KR100829994B1 -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994B1
KR100829994B1 KR1020060106828A KR20060106828A KR100829994B1 KR 100829994 B1 KR100829994 B1 KR 100829994B1 KR 1020060106828 A KR1020060106828 A KR 1020060106828A KR 20060106828 A KR20060106828 A KR 20060106828A KR 100829994 B1 KR100829994 B1 KR 100829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b
unit
transmission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9086A (ko
Inventor
지형림
강종훈
Original Assignee
지형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형림 filed Critical 지형림
Priority to KR1020060106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994B1/ko
Priority to PCT/KR2007/005072 priority patent/WO2008054076A1/en
Publication of KR20080039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06F13/4295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using an embedded synchron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장치는, 전원부; 제1,제2 디바이스와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제2 USB 포트;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를 소스 및 목적 디바이스로 선택하고, 전송대상 데이타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제2 디바이스 간의 데이타 전송을 제어하고, 동작중의 상태 정보에 대한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제어부의 데이타 전송 제어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전송대상 데이타에서 단위 데이타 만큼씩 상기 제2 디바이스로의 간에 데이타 전송을 수행하는 USB 시스템; 상기 메인 제어부의 데이타 전송 제어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타 전송을 수행하는 USB 시스템; 상기 USB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대상 데이타중에서 기설정된 전송단위의 단위 데이타 만큼씩 임시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 및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에 따른 정보를 화면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60106828
휴대 기기, 메모리 스틱, USB, USB 메모리, USB OTG, MP3, 음악 재생기

Description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장치 및 방법{AN APPARATUS FOR DIRECT-TRANSMITTING DATA FOR PORTA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도 1의 USB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도 2의 USB 관리부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방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원부 200 : 사용자 인터페이스
210 : 입력부 220 : 표시부
300 : 메인 제어부(300); 400 : USB 시스템
410 : USB 관리부 411 : USB 클라이언트 처리기
412 : USB 버스 드라이버 413 : USB 컨트롤러 처리기
420 : 호스트/디바이스 제어부 430 : 직렬 인터페이스 엔진
500 : 버퍼 메모리 PT1 : 제1 USB 포트
PT2 : 제2 USB 포트
본 발명은 USB 메모리 스틱(USB Memory Stick)등의 휴대 기기에 적용되는 직접 데이타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PC등의 대형 호스트 시스템(Host System)의 도움없이, USB 메모리 스틱이나 MP3 재생기등의 휴대 기기 간의 데이타 전송을 직접 중계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음악 재생기(MPEG Player)등의 휴대 기기는 비교적 많은 양의 데이타(DATA)를 별도로 보관하고, 필요시 수시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하나의 휴대 기기내의 데이타를 다른 휴대 기기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PC 등과 같은 대형 호스트 시스템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종래, 데이타 저장 기능을 갖는 휴대 기기에서의 데이타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면, 기본적으로 호스트 역활을 수행하는 PC(Personal Computer) 또는 특정 네트워크(Network) 등에 연결되어야 한다. 그 후 데이타 전송에 대한 일련의 처리과정은 호스트 시스템에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A디바이스(A-Device)와 B디바이스(B-Device)간 정보의 송수신을 위해서는, 먼저 A디바이스에서 호스트 디바이스(Host Device)로 전송대상 데이타를 한번에 일괄 전송하여 호스트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에 정보를 저장한다. 다음,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에서 상기 저장된 전송대상 데이타를 B 디바이스에 한번에 일괄 전송한다.
이와 같이, 컴퓨터 등의 대형 호스트 디바이스를 통해, 대형 호스트 디바이스에 접속하고, 상기 대형 호스트 디바이스에서의 데이타 전송 제어를 통해서 A 디바이스의 전송대상 데이타를 B 디바이스에 한번에 일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대형 호스트 디바이스를 통하지 않고서는 A 디바이스에서 B 디바이스로 데이타를 직접 전송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데이타 전송 방법에 의해서는, 휴대 기기 상호간의 즉각적인, 그리고 직접적인 데이타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항상 대형 호스트 디바이스의 도움을 필요로 하므로, 예를 들어 대형 호스트 디바이스를 동작시켜야 하므로, 사용 장소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고, 사용 편리성전송 시간과 야외에서의 사용 효율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동성을 갖는 호스트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호스트 디바이스를 동작시켜야 한다는 점과 데이타 송신 기기의 데이타 전체를 일단 저장했다가 다시 수신 단말기로 보내야 한다는 점에 의해,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USB에 호스트 기능을 추가하여 별도의 다른 호스트 시스템없이 외부 기기 간의 정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USB OTG(On The Go)가 제안된바 있으나, 이러한 USB OTG는 휴대 기기의 정보를 PC 등의 호스트 시스템의 도움없이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시킬 수는 있다. 그러나, 기존의 호스트 기능이 없는 단순 메모리 스틱 등과 같은 휴대 기기간에 데이타의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PC등의 대형 호스트 시스템(Host System)의 도움없이, USB 메모리 스틱이나 MP3 재생기등의 휴대 기기 간의 데이타 전송을 직접 중계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대형 호스트 시스템의 도움없이도, 휴대 기기 간의 데이타 전송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장치는, 각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제1 디바이스와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USB 포트; 제2 디바이스와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USB 포트;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를 소스 및 목적 디바이스로 선택하고, 소스 디바이스로 선택된 제1 디바이스의 데이타중에서 전송대상 데 이타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간의 데이타 전송을 제어하고, 동작중의 상태 정보에 대한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제어부의 데이타 전송 제어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전송대상 데이타에서 단위 데이타 만큼씩 상기 제2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수행하는 USB 시스템; 상기 메인 제어부의 데이타 전송 제어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디바이스 간에 데이타 전송을 수행하는 USB 시스템; 상기 USB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 간의 전송대상 데이타중에서 기설정된 전송단위의 단위 데이타 만큼씩 임시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 및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에 따른 정보를 화면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방법은, 데이타 전송을 위한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인식하는 접속 인식 단계; 입력부와 표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기모드를 수행하는 대기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로서 제1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소스 선택 단계; 소스 디바이스로 선택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데이타 구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타중에서 선택된 전송대상 데이타의 크기를 포함하는 전송대상 데이타의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타 선택 단계; 목적 디바이스로서 제2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목적 선택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전송대상 데이타를 기설정된 전송 단위의 단위 데 이타 만큼씩 읽어와서 임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 단계; 상기 임시 저장된 단위 데이타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전송대상 데이타의 정보에 기초해서 전송대상 데이타의 전송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완료이전이면 그 다음의 단위 데이타의 전송을 위해 상기 임시 저장단계로 진행하는 전송완료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장치는, 각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0)와, 제1 디바이스(DE1)와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USB 포트(PT1)와, 제2 디바이스(DE2)와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USB 포트(PT2)와,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DE1,DE2)를 소스 및 목적 디바이스로 선택하고, 소스 디바이스로 선택된 제1 디바이스(DE1)의 데이타중에서 전송대상 데이타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210)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10)로부터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DE1) 와 제2 디바이스(DE2)간의 데이타 전송을 제어하고, 동작중의 상태 정보에 대한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300)와, 상기 메인 제어부(300)의 데이타 전송 제어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기 제1 디바이스(DE1)의 전송대상 데이타에서 단위 데이타 만큼씩 상기 제2 디바이스(DE2)로의 전송을 수행하는 USB 시스템(400)과, 상기 메인 제어부(300)의 데이타 전송 제어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디바이스(DE1,DE2) 간에 데이타 전송을 수행하는 USB 시스템(400)과, 상기 USB 시스템(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DE1,DE2) 간의 전송대상 데이타중에서 기설정된 전송단위의 단위 데이타 만큼씩 임시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500)와, 상기 메인 제어부(300)로부터의 제어에 따른 정보를 화면표시하는 표시부(22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USB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USB 시스템(400)은, 상기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USB 데이타 트랜잭션(data transaction) 제어에 관련되는 일들, 즉 USB 데이타 대역폭(Data Bandwidth), USB 버스 전력(Bus Power)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데이타 트랜잭션 작업(DATA Transaction Task)의 시작과 끝을 제어하는 USB 관리부(410)와, 상기 USB 관리부(410)의 제어에 따라, USB 호스트 또는 USB 디바이스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DE1)의 전송대상 데이타에서 단위 데이타 만큼씩 상기 제2 디바이스(DE2)로의 전송을 제어하고, USB 디바이스 주소(USB Device Address), 전송 타입(Type of Transfer), 전송 명령(Direction of Transfer), 메모리 버퍼 주소(Memory Buffer Address)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타 구조를 이용해서 목표 디바이스(Target Device)에 리드/라이트 트랜잭션(Read/Write Transaction)을 수행하는 호스트/디바이스 제어부(420)와,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USB 데이타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제1 USB 포트(PT1)를 통한 단위 데이타를 상기 제2 USB 포트(PT2)로 직렬로 전송하는 직렬 인터페이스 엔진(Serial Interface Engine)(SIE)(4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타 트랜잭션(data transaction)은 소스(Source)와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간에 USB 버스를 통해 데이타 패킷의 전달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데이타 패킷은 소스(Source),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전송 타입 및 길이 등의 정보를 갖는 제어 정보와, 데이타와, 그리고 에러 검출 및 수정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의 USB 관리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USB 관리부(41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20) 및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트랜잭션(Transaction)을 하기 위해서 입출력 요청 패킷(I/O Request Packets, IRPs)을 발생시켜 이를 이용하여 입출력을 요청하는 USB 클라이언트 처리기(411)와, 기설정된 목표 디바이스(Target Device)의 특성 및 USB 버스를 이용한 통신방법에 따라, 상기 USB 클라이언트 처리기(411)로부터의 입출력 요청 패킷을 전송받은 후, 상기 입출력 요청 패킷에 의한 요청에 따라 마이크로 프레임(Microframes) 또는 프레임(Frame) 단위로 USB 데이타 입출력을 연속적으 로 수행할 수 있도록, 수행할 작업(데이타 통신)의 종류에 맞추어 해당 트랜잭션(Transaction)을 만드는 USB 버스 드라이버(412)와, 상기 USB 버스 드라이버(412)로부터의 상기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를 바탕으로 USB 포트를 통해서 전송되는 트랜잭션(Transaction)이 메모리에 연결된 리스트(Linked list)의 데이타 구조로 만들어지는 트랜잭션 리스트(Transaction list)를 스케쥴링(Scheduling)하는 USB 컨트롤러 처리기(4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USB 버스 드라이버(412)에서, 상기 개별적인 트랜잭션 셋업(Transaction set-up)은 현재 구성된 USB 디바이스와 USB 버스 및 USB 클라이언트 처리기의 특성에 맞게 만들어진다. 또한, 상기 트랜잭션 리스트(Transaction list)는 USB 시스템 특성에 맞도록 만들어지고,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제어부(420)에 의해서 페치(Fetch)되어 수행된다.
상기 전원부(100)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원 공급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방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에서, S100은 데이타 전송을 위한 제1 디바이스(DE1) 및 제2 디바이스(DE2)와의 접속을 인식하는 접속 인식 단계이다. S200은 입력부와 표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기모드를 수행하는 대기 단계이다. S300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로서 제1 디바이스(DE1)를 선택하는 소스 선택 단계이다. S400 및 S500은 소스 디바이스로 선택된 상기 제1 디바이스(DE1)의 데이타 구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타중에서 선택된 전송대상 데이타의 크기를 포함하는 전송대상 데이타의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타 선택 단계이다. S600은 목적 디바이스로서 제2 디바이스(DE2)를 선택하는 목적 선택 단계이다. S700은 상기 제1 디바이스(DE1)로부터 상기 선택된 전송대상 데이타를 기설정된 전송 단위의 단위 데이타 만큼씩 읽어와서 임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 단계이다. S800은 상기 임시 저장된 단위 데이타를 상기 제2 디바이스(DE2)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이다. S910은 상기 선택된 전송대상 데이타의 정보에 기초해서 전송대상 데이타의 전송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완료이전이면 그 다음의 단위 데이타의 전송을 위해 상기 임시 저장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이다. S920은 상기 전송대상 데이타의 전송이 완료되면 제1,제2 디바이스(DE1,DE2)의와의 접속이 분리되지 않으면 상기 대기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종료하는 리턴 판단 단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및 MPEG 재생기 등과 같은 단말기 상호간의 직접적인 데이타 전송을 위해서, 단말기 내부에 저장된 데이타의 제어 및 송수신 기능을 담당하는 호스트 기능을 구현하였으며, 더 나아가 이 기술을 휴대용 데이타 송수신 관리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본 기술을 사용하지 못했던 기존의 디바이스 단말기 간에도 데이타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양쪽 제1,제2 USB 포트에 연결된 제1 및 제2 디바이스(DE1,DE2) 내부에 저장된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 기능 및 데이타 확인 기능, LCD 등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이용한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타의 표시 및 이를 제어하는 기능, 단말기 내부 데이타의 선택을 가능케 하는 스위치 및 이의 제어 기능, 그리고 이들 일련의 기능을 작동케 하기 위한 태양 전지 등을 이용한 자체 파워 생성 기능과, 단말기 내부 혹은 별도의 휴대용 데이타 송수신 관리 시스템에 설치하여, 기존의 호스트 시스템없이 단말기 간의 직접적인 정보 교환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도 1에서, 상기 장치의 전원부(100)에서 각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원부(100)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원 공급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별도의 전원 공급이 없어도 본 발명의 장치의 동작에 사용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USB 포트(PT1)에 제1 디바이스(DE1)를 접속하고, 제2 USB 포트(PT2)에 제2 디바이스(DE2)를 접속하면, 상기 제1 및 제2 USB 포트(PT1,PT2)에 연결된 USB 시스템(400)을 통해 메인 제어부(300)는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DE1,DE2)의 접속을 인식하고, 이후 입력부(210) 및 표시부(220)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대기모드로 제어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00)의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소스 디바이스로서 제1 디바이스(DE1)가 선택되고 목적 디바이스로 제2 디바이스(DE2)를 선택하면, 상기 메인 제어부(300)는 상기 USB 시스템(400)을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DE1)의 데이타 구조를 읽어와서 상기 표시부(220)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220)에는 상기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동기모드, 전송 상태, 전송완료 등의 동작 상태 정보가 표시된다.
이후, 상기 표시부(220)에 표시된 데이타 구조를 보고서, 사용자가 전송할 데이타를 선택하면 상기 메인 제어부(300)가 선택된 데이타의 전송을 제어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USB 시스템(400)은 소스 디바이스에 해당되는 제1 디바이스(DE1)로부터 선택된 데이타중에서 기설정된 데이타 단위의 데이타를 읽어와서 버퍼 메모리(500)에 임시 저장한다.
상기 USB 시스템(400)은, 상기 버퍼 메모리(500)에 임시 저장된 데이타를 목적 디바이스에 해당되는 제2 디바이스(DE2)에 전송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USB 시스템(400)의 USB 관리부(410)는 상기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USB 데이타 트랜잭션(data transaction) 제어에 관련되는 일들, 즉 USB 데이타 대역폭(Data Bandwidth), USB의 버스 전력(Bus Power)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데이타 트랜잭션 작업(DATA Transaction Task)의 시작과 끝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USB 시스템(400)의 호스트/디바이스 제어부(420)는, 본 발명의 전송장치의 응용에 적합하게 상기 USB 관리부(410)의 제어에 따라, USB 호스트 또는 USB 디바이스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DE1)의 전송대상 데이타에서 단위 데이타 만큼씩 상기 제2 디바이스(DE2)로의 전송을 제어한다.
또한, USB 디바이스 주소(USB Device Address), 전송 타입(Type of Transfer), 전송 명령(Direction of Transfer), 메모리 버퍼 주소(Memory Buffer Address)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타 구조를 이용해서 목표 디바이스(Target Device)에 리드/라이트 트랜잭션(Read/Write Transaction)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USB 시스템(400)의 직렬 인터페이스 엔진(Serial Interface Engine)(SIE)(430)은,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USB 데이타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제1 USB 포트(PT1)를 통한 단위 데이타를 상기 제2 USB 포트(PT2)로 직렬로 전송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USB 관리부(410)의 USB 클라이언트 처리기(411)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20) 및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트랜잭션(Transaction)을 수행하기 위해서 입출력 요청 패킷(I/O Request Packets, IRPs)을 발생시켜 이를 USB 버스 드라이버(412)에 전송하여 데이타 입출력을 요청한다.
상기 USB 관리부(410)의 USB 버스 드라이버(12)는, 기설정된 목표 디바이스(Target Device)의 특성및 USB 버스를 이용한 통신방법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처리기(411)로부터 상기 입출력 요청 패킷(IRPs)을 전송받은 후, 상기 입출력 요청 패킷(IRPs)에 의한 요청에 따라 마이크로프레임(Microframes) 또는 프레임(Frame) 단위로 USB 데이타 입출력을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수행할 작업(데이타 통신)의 종류에 맞추어 해당 트랜잭션(Transaction)을 만들어 준다.
또한, 상기 USB 버스 드라이버(12)에서의 개별적인 트랜잭션 셋업(Transaction set-up)은 현재 구성된 USB 버스, USB 버스 디바이스(412) 및 USB 클라이언트 처리기(411)의 특성에 맞게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USB 관리부(410)의 USB 컨트롤러 처리기(413)는 상기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를 바탕으로 USB 포트를 통해 전송되는 트랜잭션(Transaction)이 메모리에 연결된 리스트(Linked list)의 데이타 구조로 만들진 트랜잭션 리스트(Transaction list)를 스케쥴링(Scheduling)한다.
이러한 트랜잭션 리스트(Transaction)는 USB 시스템 특성에 맞도록 만들어지고, 호스트/디바이스 제어부(420)에 의해서 페치(Fetch)되어 수행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방법을 설명한다.
도 4에서, 접속 인식 단계(S100)에서는 데이타 전송을 위한 제1 디바이스(DE1) 및 제2 디바이스(DE2)와의 접속을 인식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장치의 제1 및 제2 USB 포트(PT1,PT2)에 제1 및 제2 디바이스(DE1,DE2)가 접속되면, 메인 제어 부(300)는 상기 제1 및 제2 USB 포트(PT1,PT2)에 연결된 USB 시스템(400)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DE1,DE2)의 접속을 인식하고, 이때, 본 발명의 장치는 제1,제2 디바이스 상호간에 기본적인 초기화 과정(Enumeration) 을 거쳐서 데이타 교환에 필요한 준비 작업을 마치고, 또한 입력부(210) 및 표시부(220)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대기모드로 제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명령을 기다린다.
다음, 대기 단계(S200)에서는 입력부와 표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입력부(210) 및 표시부(220)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대기모드로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한 소스 디바이스의 선택, 목적 디바이스의 선택, 데이타 선택 등의 입력을 기다린다.
다음, 소스 선택 단계(S300)에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로서 제1 디바이스(DE1)를 선택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00)의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가 소스 디바이스로서 제1 디바이스(DE1)를 선택하면, 상기 메인 제어부(300)는 USB 시스템(400)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1 디바이스(DE1)의 선택을 인식한다.
다음, 데이타 선택 단계(S400,S500)에서는, 소스 디바이스로 선택된 상기 제1 디바이스(DE1)의 데이타 구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타중에서 선택된 전송대상 데이타의 크기를 포함하는 전송대상 데이타의 정보를 기록한다.
즉,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제어부(300)는 상기 USB 시스템(400)을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DE1)의 데이타 구조를 읽어와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00)의 표시부(220)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표시부(220)에 표시된 데이타 구조를 확인한 후, 사용자가 상기 제1 디바이스(DE1)의 데이타중 전송할 데이타를 선택하면, 상기 메인 제어부(300)는 상기 선택된 데이타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다. 여기서, 데이타 정보는 데이타 크기, 파일형식, 생성일 등을 포함한다.
다음, 목적 선택 단계(S600)에서는 목적 디바이스로서 제2 디바이스(DE2)를 선택한다.
즉,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00)의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목적 디바이스로 제2 디바이스(DE2)가 선택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제2 디바이스(DE1,DE2)중에서 소스 디바이스로서 선택된 제1 디바이스(DE1) 이외의 제2 디바이스(DE2)를 목적 디바이스로 자동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도 1의 메인 제어부(300)는, 정보 송수신을 위한 데이타 선택 및 데이타 전송 방향을 제어하고, 내부 각 기능 블럭의 동작에 필요한 신호를 제어하고, 데이타 송수신시에 선택된 데이타 뿐만 아니라 제1,제2 디바이스 등의 저장 장치의 데이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부(220)를 제어한다.
다음, 임시 저장 단계(S700)에서는, 상기 제1 디바이스(DE1)로부터 상기 선택된 전송대상 데이타를 기설정된 전송 단위의 단위 데이타 만큼씩 읽어와서 임시 저장한다.
즉,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제어부(300)가 상기 선택된 데이타의 전송을 제어하면, 상기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USB 시스템(400)은 소스 디바이스에 해당되는 제1 디바이스(DE1)로부터 선택된 데이타중에서 기설정된 데이타 단위의 데이타를 읽어와서 버퍼 메모리(500)에 임시 저장한다.
다음, 전송 단계(S800)에서는 상기 임시 저장된 단위 데이타를 상기 제2 디바이스(DE2)로 전송한다.
즉,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USB 시스템(400)은, 상기 버퍼 메모리(500)에 임시 저장된 데이타를 목적 디바이스에 해당되는 제2 디바이스(DE2)에 전송한다.
다음, 전송완료 판단단계(S910)에서는, 상기 선택된 전송대상 데이타의 정보에 기초해서 전송대상 데이타의 전송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완료이전이면 그 다음의 단위 데이타의 전송을 위해 상기 임시 저장단계로 진행한다.
즉,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선택된 전송대상 데이타의 정보에 기초해서, 선택된 데이타의 전체가 전송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데이타의 전송이 완료되기 이전이면 그 다음의 데이타 단위의 전송을 위해 상기 임시 저장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리턴 판단 단계(S920)에서는 상기 전송대상 데이타의 전송이 완료되면 제1,제2 디바이스(DE1,DE2)의와의 접속이 분리되지 않으면 상기 대기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린다. 그렇지 않고 상기 제1,제2 디바이스(DE1,DE2)가 제1,제2 USB 포트(PT1,PT2)로부터 분리되면 본 발명의 동작을 종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는, 서로 다른 단말기 의 데이타 교환에 필요한 제어 기능만을 담당하는 단말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는 휴대폰 등의 휴대 전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게다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에서는 기존의 정보 저장 메카니즘(Mechanism)에 따라 정보를 받아 저장하게 되며,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단말기의 이동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 스틱 및 MPEG 재생기 등 데이타 저장(Data Storage)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간의 정보를 단말기 자체만으로, 혹은 간단한 휴대용 데이타 송수신 관리 시스템을 통해, PC등과 같은 호스트 기능을 갖는 시스템 디바이스에의 데이타 저장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교환이 가능토록 하는 기술로, 기존의 개념과 같은 별도의 시스템 디바이스를 통한 데이타의 저장 및 전달 과정을 거치지 않고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타를 바로 선택, 또는 극히 간단한 휴대용 데이타 송수신 장치에 의해 다른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어 시간적, 공간적 측면에서 그 효율성은 아주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장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USB 메모리 스틱(USB Memory Stick)등의 휴대 기기에 적용되는 직접 데이타 전송 장치에서, PC등의 대형 호스트 시스템(Host System)의 도움없이, USB 메모리 스틱이나 MP3 재생기등의 휴대 기기 간의 데이타 전송을 직접 중계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대형 호스트 시스템의 도움없이도, 휴대 기기 간의 데이타 전송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순수 데이타 저장(Data Storage)기능의 단말기에 저장된 각종 데이타를 상호 교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MPEG 재생기 등의 데이타 저장 단말기의 이동중 정보 교환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시간적, 공간적인 측면에서 단말기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이로 인한 사 용자들의 단말기 활용 빈도를 높여 줄 수 있어, 항후 단말기의 수요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말기 자체의 효용성 확대에 따라 단말기의 보급을 가속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보편화된 메모리 스틱 및 MPEG 재생기 등의 데이타 저장 단말기 간에 직접 정보 교환이 가능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기술적 효용성을 높이고, 더 나아가 이러한 정보 교환 기술은 여러가지 응용 제품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단말기 간의 직접적인 데이타 교환을 가능케 함으로 인해, 단말기 자체의 사용 빈도를 높이고 이를 통한 수요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새로운 응용 제품 및 시장의 창출이 가능하다.

Claims (8)

  1. 각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0);
    제1 디바이스(DE1)와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USB 포트(PT1);
    제2 디바이스(DE2)와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USB 포트(PT2);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DE1,DE2)를 소스 및 목적 디바이스로 선택하고, 소스 디바이스로 선택된 제1 디바이스(DE1)의 데이타중에서 전송대상 데이타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210);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10)로부터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DE1)와 제2 디바이스(DE2)간의 데이타 전송을 제어하고, 동작중의 상태 정보에 대한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300);
    상기 메인 제어부(300)의 데이타 전송 제어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기 제1 디바이스(DE1)의 전송대상 데이타에서 단위 데이타 만큼씩 상기 제2 디바이스(DE2)로의 전송을 수행하는 USB 시스템(400);
    상기 USB 시스템(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DE1,DE2) 간의 전송대상 데이타중에서 기설정된 전송단위의 단위 데이타 만큼씩 임시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500); 및
    상기 메인 제어부(300)로부터의 제어에 따른 정보를 화면표시하는 표시부(220)
    를 포함하되, 상기 USB 시스템(400)은,
    상기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USB 데이타 트랜잭션(data transaction) 제어에 관련되는 일들, 즉 USB 데이타 대역폭(Data Bandwidth), USB 버스 전력(Bus Power)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데이타의 트랜잭션 작업(DATA Transaction Task)의 시작과 끝을 제어하는 USB 관리부(410);
    상기 USB 관리부(410)의 제어에 따라, USB 호스트 또는 USB 디바이스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DE1)의 전송대상 데이타에서 단위 데이타 만큼씩 상기 제2 디바이스(DE2)로의 전송을 제어하고, USB 디바이스 주소(USB Device Address), 전송 타입(Type of Transfer), 전송 명령(Direction of Transfer), 메모리 버퍼 주소(Memory Buffer Address)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타 구조를 이용해서 목표 디바이스(Target Device)에 리드/라이트 트랜잭션(Read/Write Transaction)을 수행하는 호스트/디바이스 제어부(420);
    상기 호스트/디바이스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USB 데이타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제1 USB 포트(PT1)를 통한 단위 데이타를 상기 제2 USB 포트(PT2)로 직렬로 전송하는 직렬 인터페이스 엔진(Serial Interface Engine)(SIE)(4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직접 정보 교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관리부(41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20) 및 메인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트랜잭션(Transaction)을 하기 위해서 입출력 요청 패킷(I/O Request Packets, IRPs)을 발생시켜 이를 이용하여 입출력을 요청하는 USB 클라이언트 처리기(411);
    기설정된 목표 디바이스(Target Device)의 특성 및 USB 버스를 이용한 통신방법에 따라, 상기 USB 클라이언트 처리기(411)로부터의 입출력 요청 패킷을 전송받은 후, 상기 입출력 요청 패킷에 의한 요청에 따라 마이크로 프레임(Microframes) 또는 프레임(Frame) 단위로 USB 데이타 입출력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수행할 작업(데이타 통신)의 종류에 맞추어 해당 트랜잭션(Transaction)을 만드는 USB 버스 드라이버(412); 및
    상기 USB 버스 드라이버(412)로부터의 상기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를 바탕으로 USB 포트를 통해서 전송되는 트랜잭션(Transaction)이 메모리에 연결된 리스트(Linked list)의 데이타 구조로 만들어지는 트랜잭션 리스트(Transaction list)를 스케쥴링(Scheduling)하는 USB 컨트롤러 처리기(4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직접 정보 교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100)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원 공급 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직접 정보 교환 장치.
  5. 제1항에 기재된 휴대 기기용 직접 정보 교환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 장치.
  6. 데이타 전송을 위한 제1 디바이스(DE1) 및 제2 디바이스(DE2)와의 접속을 인식하는 접속 인식 단계(S100);
    입력부와 표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기모드를 수행하는 대기 단계(S200);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로서 제1 디바이스(DE1)를 선택하는 소스 선택 단계(S300);
    소스 디바이스로 선택된 상기 제1 디바이스(DE1)의 데이타 구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타중에서 선택된 전송대상 데이타의 크기를 포함하는 전송대상 데이타의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타 선택 단계(S400,S500);
    목적 디바이스로서 제2 디바이스(DE2)를 선택하는 목적 선택 단계(S600);
    상기 제1 디바이스(DE1)로부터 상기 선택된 전송대상 데이타를 기설정된 전송 단위의 단위 데이타 만큼씩 읽어와서 임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 단계(S700);
    상기 임시 저장된 단위 데이타를 상기 제2 디바이스(DE2)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S800); 및
    상기 선택된 전송대상 데이타의 정보에 기초해서 전송대상 데이타의 전송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완료이전이면 그 다음의 단위 데이타의 전송을 위해 상기 임시 저장단계로 진행하는 전송완료 판단단계(S9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송대상 데이타의 전송이 완료되면 제1,제2 디바이스(DE1,DE2)의와의 접속이 분리되지 않으면 상기 대기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종료하는 리턴 판단 단계(S9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선택 단계(S600)는,
    상기 제1,제2 디바이스(DE1,DE2)중에서 소스 디바이스로서 선택된 제1 디바이스(DE1) 이외의 제2 디바이스(DE2)를 목적 디바이스로 자동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방법.
KR1020060106828A 2006-10-31 2006-10-31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829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828A KR100829994B1 (ko) 2006-10-31 2006-10-31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장치 및 방법
PCT/KR2007/005072 WO2008054076A1 (en) 2006-10-31 2007-10-17 An apparatus for direct-transmitting data for por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828A KR100829994B1 (ko) 2006-10-31 2006-10-31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086A KR20080039086A (ko) 2008-05-07
KR100829994B1 true KR100829994B1 (ko) 2008-05-19

Family

ID=39344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828A KR100829994B1 (ko) 2006-10-31 2006-10-31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29994B1 (ko)
WO (1) WO20080540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045B1 (ko) * 2008-11-05 2010-03-2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유에스비(usb) 직렬 통신을 이용한 can 접속 장치
GB2492752A (en) * 2011-07-05 2013-01-16 Ajay Nalluri Portable memory apparatus
DE102014001633A1 (de) * 2014-02-07 2015-08-13 Dieter Meiller Datenträger-Gerät
CN112987991A (zh) * 2021-02-20 2021-06-18 深圳市颍创科技有限公司 一种不同usb主机设备之间数据的传输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340A (ja) * 1999-01-28 2000-08-11 Funai Electric Co Ltd データの送受信装置
JP2003266880A (ja) 2002-03-13 2003-09-25 Seiko Epson Corp 外部記憶装置内のデータを直接読み込んで印刷することができるプリンタ及びそのプリンタの動作方法
KR100514218B1 (ko) 2004-09-02 2005-09-13 하나 마이크론(주) 하나의 유에스비 드라이브를 에이브이 컨텐츠의저장매체로 사용하는 다기능 플레이어에서 유에스비드라이브간의 정보공유방법
KR20060096174A (ko) * 2005-03-01 2006-09-08 체센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Usb메모리 장치의 용량확장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340A (ja) * 1999-01-28 2000-08-11 Funai Electric Co Ltd データの送受信装置
JP2003266880A (ja) 2002-03-13 2003-09-25 Seiko Epson Corp 外部記憶装置内のデータを直接読み込んで印刷することができるプリンタ及びそのプリンタの動作方法
KR100514218B1 (ko) 2004-09-02 2005-09-13 하나 마이크론(주) 하나의 유에스비 드라이브를 에이브이 컨텐츠의저장매체로 사용하는 다기능 플레이어에서 유에스비드라이브간의 정보공유방법
KR20060096174A (ko) * 2005-03-01 2006-09-08 체센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Usb메모리 장치의 용량확장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54076A1 (en) 2008-05-08
KR20080039086A (ko)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4665B2 (en) Image transfer system and display method in which a stored image is transferr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US8725955B2 (en) Chip combined with processor cores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US9680972B2 (en) SD switch box in a cellular handset
KR100829994B1 (ko) 휴대용 데이타 직접 전송 장치 및 방법
US2003011420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N103744478A (zh) 一种蓝牙无线显示器及其控制方法
TW200939025A (en) Providing a high-speed connection between a memory medium of a mobile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JPH10116187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WO2012000240A1 (zh) 下载数据的方法和终端设备
KR100736902B1 (ko)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한 메모리 공유 방법 및 장치
JP5082599B2 (ja) データ転送装置
KR20080000559A (ko) 휴대폰 및 휴대용 어플라이언스를 위한 저전력 고체 상태저장장치 제어기
WO2009115777A1 (en) Sharing of access to a storage device
JP4602907B2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TW200523789A (en) Method and system for direct access to a non-memory mapped device memory
US200300411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performing a command swapping procedure
US7644195B2 (en) Host connectable device capable of selecting mode using menu displayed automatically upon connecting to host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050006484A (ko) 호환 가능한 유에스비 컨넥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방법
JP3072497U (ja) メモリアダプタ
US20070101035A1 (en) Pc card and pc card control method
KR100658591B1 (ko) 공유 메모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3330871A (ja) データ転送装置
JP4350340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JP2001251318A (ja) ゲートウェイシステム及び情報端末
JP2004172711A (ja)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遠隔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