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980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980B1
KR100829980B1 KR1020060117927A KR20060117927A KR100829980B1 KR 100829980 B1 KR100829980 B1 KR 100829980B1 KR 1020060117927 A KR1020060117927 A KR 1020060117927A KR 20060117927 A KR20060117927 A KR 20060117927A KR 100829980 B1 KR100829980 B1 KR 100829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mera module
lens barrel
image sensor
stepp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훈
강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7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 유입 방지를 위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수광부가 구비된 이미지센서; 상기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밀착 결합되며, 내주면에 이단의 단턱부가 형성되어 하부측 단턱부로부터 그 내측으로 이물 차단벽이 연장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수직 결합되며, 내부에 다수의 렌즈가 적층 결합된 렌즈배럴;을 포함하며, 이물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음과 아울러 제작된 카메라 모듈의 화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기판, 이미지센서, 하우징, 단턱부, 이물 차단벽, 렌즈배럴, 이미지센서, IR 필터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도 1은 종래 카메라 모듈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종래 카메라 모듈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채용되는 하우징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I-I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평단면도.
도 7은 도 5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5의 "B"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기판 111. 이미지센서
120. 하우징 123. 제1 단턱부
124. 제2 단턱부 126. 이물 차단벽
127. 돌출부 130. 렌즈배럴
132. 단차부 133. 내입부
140. 이미지센서 150. IR 필터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하우징의 내주면 상에서 이물 차단벽이 하향 연장되고, 렌즈배럴의 하단부와 밀착되는 단차부가 하우징 내주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 하부에 실장되는 이미지센서의 수광부로 이물의 유입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CCM:Compact Camera Module)은 휴대폰이나 PDA 등의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와 디지털 카메라 및 CCTV 등의 다양한 IT 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바, 최근에 이르러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추어 소형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기기의 출시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은, CCD나 CMOS 등의 이미지센서를 주요 부품으로 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상기 이미지센서를 통하여 사물의 이미지를 집광시켜 기기내의 메모리상에 데이터로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기기내의 LCD 또는 PC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를 통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통상의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과, 그 상부에 결합되는 렌즈배럴 및 이미지센 서가 실장된 기판으로 구성되는 바, 카메라 모듈의 조립 시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이미지센서 상면에서 유동 또는 고착되는 이물에 의한 화상 불량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 제조사들을 통해 이물 불량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 모듈 조립 구조 및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카메라 모듈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카메라 모듈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로서, 종래의 카메라 모듈(10)은 CCD나 CMOS의 이미지센서(2)가 와이어 본딩 방식 또는 플립 칩 방식에 의해서 장착된 프린트기판(1)이 플라스틱 재질의 하우징(3)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3) 상부로 연장된 경통(4)에 하부로 원통형 몸체(5)가 연장된 렌즈배럴(6)이 결합됨에 의해서 제작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경통(4)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4a)와 원통형 몸체(5)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5a)의 나사 결합으로 하우징(3)과 렌즈배럴(6)가 상호 결합된다.
이때, 상기 프린트기판(1)의 상면, 즉 렌즈배럴(6)의 하단부에 장착된 렌즈(L)와 상기 프린트기판(1)의 하면에 부착된 이미지센서(2) 사이에는 적외선 차단 필터(IR Cut-Off Filter:이하 'IR 필터'라 칭함)(8)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렌즈(L)를 관통하여 이미지센서(2)로 유입되는 과도한 장파장의 적외선을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카메라 모듈은, 특정한 사물로부터 유입되는 빛이 렌 즈(L)를 통과하면서 상이 반전되어 이미지센서(2)의 표면에 포커싱되는 데, 이때 나사 결합에 의해서 하우징(3) 상단에 체결된 렌즈배럴(6)를 회전시키면서 최적의 포커스가 맞춰진 지점에서 하우징(3)과 렌즈배럴(6)의 유격 사이로 접착제를 주입하여 하우징(3)과 렌즈배럴(6)을 접착 고정시켜 최종적인 카메라 모듈 제품이 생산된다.
한편, 최근에는 소비자가 요구하는 해상도 또는 화소수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제작 공정 중에서나 자재 자체의 이물 관리 여부가 한층 더 강조되고 있는 바, 자재간의 이물 관리 규정을 강화시킬수록 자재의 단가가 높아지게 되므로 최종적으로는 제품의 단가가 상승되고 실질적으로 이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 자재를 수급 관리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제품 단가의 상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재 및 부품들이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바, 카메라 모듈 조립시의 불량 원인에 의한 화상검사 등의 검수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전술한 구조로 제작되는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의 조립 후 최종적인 포커싱 조절 단계에서 하우징(3)의 경통(4) 내주면에 구비된 암나사부(4a)와 렌즈배럴(6)의 원통형 몸체(5) 외주면에 구비된 숫나사부(5a)의 마찰에 의해 그 결합 부위가 마모되면서 미세한 파티클(P)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3)과 렌즈배럴(6) 사이에서 발생되는 파티클(P)은 하우징(3) 내측으로 연장된 편평한 안착륜(9)에 거치되어 파티클(P)이 적외선 차단필터(8) 상면으로 직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상기 안착륜(9)의 상부로 렌 즈(L)의 상, 하 이송범위내에서 여유 공간이 구비됨과 아울러 포커스 조절시에 하우징(3)이 좌, 우 흔들림에 따라 하우징(3)과 렌즈배럴(6)의 결합 부위에서 발생된 파티클(P)이 IR 필터(8) 또는 이미지센서(2)의 상면으로 유입될 수 밖에 없어 이미지센서(2)를 통한 이미지 재현시의 결함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카메라 모듈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하우징의 내주면 하부로 이물 차단벽이 이미지센서의 상면과 최소한으로 이격되도록 하향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단차부의 내주면에 렌즈배럴의 하단부가 밀착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포커싱 조정시 상기 하우징과 렌즈배럴의 접촉 계면에서 발생되는 이물이 이미지센서의 상면에 유입되지 않도록 한 카메라 모듈이 제공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부에 밀착 결합되며 중앙부에 콘 형상의 이물 차단벽이 하향 연장되고 그 상부로 단차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수직 결합되며 내부에 다수의 렌즈가 적층 결합된 렌즈배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기판 상에는 중앙부에 이미지센서가 와이어 본딩 또는 플립 칩 본딩 방 식에 의해서 실장되며, 별도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상기 기판의 하면에 밀착되어 외부 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상부에 장착되는 하우징은 내주면에 이단의 단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단턱부 중 하부측 단턱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콘(corn) 형상의 이물 차단벽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물 차단벽의 하단부는 하우징의 기판 결합시 이미지센서의 상면에 접촉되거나 최소한의 이격 공간을 가지며, 그 하단면은 상기 이미지센서의 수광부 외측 영역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이미지센서의 수광 영역과 그 외측 영역을 공간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주면에 돌출된 단턱부의 내측면에 상기 렌즈배럴의 하단부가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렌즈배럴의 상부는 하우징과 나사 결합됨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과 렌즈배럴이 일체로 수직 결합된다.
상기 단턱부의 내주면은 원통체로 구성된 렌즈배럴의 하부 외주면과 밀착됨으로써, 그 상부에서 발생되는 이물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 내로 렌즈배럴이 삽입될 때 상기 하우징 내의 단턱부에 렌즈배럴의 내입부가 먼저 접촉되면서 수직 결합됨에 따라 렌즈배럴의 광축이 교정되며, 그 상부의 암, 수 나사부에 의해 렌즈배럴과 하우징의 나사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기술적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과 렌즈배럴의 결합과 상, 하 이송에 의한 포커싱 조정시 발생되는 이물이 하우징과 렌즈배럴 에 의해 형성된 하부측 접촉 계면에 의해 이미지센서 상면으로의 유입이 차단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하부 단턱부 상에서 연장된 이물 차단벽이 이미지센서의 직상부에 그 수광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소 이격 공간을 가지도록 하향 연장됨에 따라 상기 이미지센서 외측의 이물 유입이 방지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 모듈의 구조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채용되는 하우징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B"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기판(110)과, 상기 기판(110)의 상부에 밀착 결합되는 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의 상단 개구부(121)에 수직 결합되는 렌즈배럴(130)로 구성된다.
상기 기판(110)은 중앙부에 수광부(141)가 구비된 이미지센서(140)가 실장되 며, 상기 이미지센서(140)는 기판(110)의 중앙부에 와이어 본딩 방식 또는 플립 칩 본딩 방식에 의해서 밀착 결합된다.
또한, 상기 기판(110)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 단면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양면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사용 가능하며,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이 소켓 방식으로 장착될 때는 세라믹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의 상면에 장착된 이미지센서(140)는 상면에 구비된 수광부(141)를 통해 상기 렌즈배럴(130)을 통해 입사되는 광이 집광되면서 영상 신호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영상 신호는 기판(110)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외부 기기에 송출되어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기판(1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하우징(120)은 상부로 원통형 몸체(122)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몸체(122)의 내주면에 이단으로 구성된 제1 단턱부(123)와 제2 단턱부(124)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2 단턱부(124) 상부의 내주면 상에는 암나사부(12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20)의 하부측에 형성된 제1 단턱부(123)의 내주면으로부터 콘(corn)의 형상을 가지며, 그 단부가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이미지센서(140)의 상면 공간(C)을 그 외측의 하우징(120) 내부 공간(D)과 분리시키는 이물 차단벽(126)이 구비된다.
상기 이물 차단벽(126)은 그 하단부가 상기 기판(110)에 실장된 이미지센서(140)의 상면으로 연장되고, 그 하단면이 상기 이미지센서(140)의 수광 영역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이미지센서(140)의 수광부(141) 외측 영역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이물 차단벽(126)은 그 하단의 원주면이 상기 이미지센서(140)의 수광부(141) 외측 영역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거나 최소한의 이격 공간을 가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이물 차단벽(126)의 하단부와 이미지센서(140) 상면과의 이격 공간(T)은 0.01~0.5㎜의 범위를 가진게 되며, 상기에서 그 이격 공간(T)의 최대치를 0.5㎜ 이하로 함에 있어서, 그 이격 공간이 0.5㎜ 이상이 되면 이물의 차단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기판(110)의 상면 테두리부에 도포된 접착제의 경화에 의해서 하우징(120)이 밀착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20)은 원통형 몸체(122)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단턱부(123)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돌출부(127)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20)의 상단 개구부(121)를 통해 삽입되는 후술될 렌즈배럴(130)의 하단 내입부(133) 외주면이 밀착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20)에 수직 결합되는 렌즈배럴(130)은 원통형의 몸체(131)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L)를 비롯한 IR 필터 글라스(150)가 적층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20)의 원통형 몸체(122) 내주면에 렌즈배럴(130)의 몸체(131) 외주면이 밀착 결합된다.
상기 렌즈배럴(130) 내에 적층된 다수의 렌즈(L)는 압입링(160)에 의해서 밀착 결합되고, 상기 렌즈(L) 중 최상부층 렌즈(L)의 상면에는 그 직상부에서 입사되는 광 중에 포함된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IR 필터 글라스(150)가 개재된다.
상기 렌즈배럴(130)은 하부로 연장된 원통형의 몸체(131) 상에 단차부(132)가 구비되어 상기 단차부(132)의 하부에는 내입부(133)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132) 상부에는 숫나사부(13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렌즈배럴(130)에 형성된 단차부(132) 하부의 내입부(133)는 상기 렌즈배럴(130)의 하우징 결합시 하우징(120)의 원통형 몸체(122)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부(127)와 밀착되게 접촉 결합됨으로써, 그 접촉 계면을 통해 하우징(120)과 렌즈배럴(130)의 결합 부위와 하우징(120) 하부 공간 간의 이물 유동 경로가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배럴(130)의 단차부(132) 상부에 형성된 숫나사부(134)는 하우징(120)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25)와 대응되어 상호 나사 결합된다.
카메라 모듈의 조립 및 초점 조정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하우징(120)의 상부로 연장된 원통형 몸체(122)의 상단 개구부(121)를 통해 렌즈배럴(130)의 하부로 연장된 몸체(131)가 수직으로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20)의 하부에 이미지센서(140)가 중앙부에 실장된 기판(110)이 밀착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120)은 기판(110)의 상면에 UV 경화제를 포함한 접착제가 개재된 상태로 밀착 결합되며, 상기 기판(110)의 상면에 하우징(120)이 안착될 때 상기 하우징(120) 내의 중앙부에 형성된 콘(corn) 형상의 이물 차단벽(126)이 이미지센서(140)의 상면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 차단벽(126)의 하단부가 이미지센서(140)의 상면에 밀착 또는 최소 공간을 형성하며 하우징(120)이 기판(110)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20) 조립 단계에서 상기 이미지센서(140) 외측 공간에서의 이물이 이미지센서(140)의 수광부(141) 내로 유입됨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20)의 상단 개구부(121)를 통해 렌즈배럴(130)이 수직 결합될 때, 상기 렌즈배럴(130)의 몸체(131) 하단에 형성된 내입부(133)의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부(127)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일차적인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우징(120) 렌즈배럴(130)은 상기 돌출부(127)와 내입부(133)의 면 접촉에 의해서 좌, 우 흔들림 없이 수직으로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120) 하부의 이미지센서(140)에 대한 광축이 교정된다.
다음, 상기 돌출부(127)와 내입부(133)의 접촉에 의해서 수직 결합된 렌즈배럴(130)은 그 접촉 계면 상부에 형성된 암나사부(125)와 숫나사부(134)가 상호 나사 결합되고, 상기 렌즈배럴(130)을 하우징(120) 상부에서 회전시키면서 상, 하 이동됨에 따라 이미지센서(140)에 대한 포커싱 조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나사부(125)와 숫나사부(134)의 나사 결합 부위는 상기 돌출부(127)와 내입부(133)의 접촉 계면을 통해 상기 하우징(120)의 하부 공간과 구분됨으로써, 상기 나사 결합 부위에서 포커싱 조정시 발생될 수 있는 이물이 하우징(120) 하부측의 이미지센서(140) 상면으로 유입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봉쇄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배럴(130)의 회전에 의해 최적의 포커스가 맞춰진 지점에서 하우징(120)과 렌즈배럴(130)의 접촉면 사이로 접착제를 주입하여 하우징(120)과 렌즈배럴(130)을 접착 고정시킴으로써, 최종적인 카메라 모듈 제품의 생산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물 차단벽이 하향 연장되어 그 하단부가 이미지센서의 상면과 최소한의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렌즈배럴의 하단부가 하우징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과 렌즈배럴의 접촉 계면에서 발생되는 이물이 이미지센서의 상면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이물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음과 아울러 제작된 카메라 모듈의 화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2)

  1. 수광부가 구비된 이미지센서;
    상기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밀착 결합되며, 내주면에 이단의 단턱부가 형성되어 하부측 단턱부로부터 그 내측으로 이물 차단벽이 연장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수직 결합되며, 내부에 다수의 렌즈가 적층 결합된 렌즈배럴;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 몸체가 일체로 상향 연장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몸체의 내주면에 제1 단턱부와 제2 단턱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단턱부 상부의 내주면 상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단턱부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턱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이물 차단벽이 하향 연장 형성된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차단벽은, 하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콘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차단벽은, 그 하단부가 이미지센서의 상면에 밀착되게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차단벽은, 그 하단부가 이미지센서의 상면과 최소한의 이격 공간을 가지도록 제1 단턱부의 내주면으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차단벽은, 그 연장 단부측 하단면이 상기 이미지센서의 수광부 외측 영역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차단벽은, 그 하단부와 이미지센서 상면과의 이격 공간이 0.01~0.5㎜의 범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은, 그 하부로 연장되어 내부에 다수개의 렌즈가 적층 결합된 원통형의 몸체 상에 단차부가 구비되어 상기 단차부의 하부에 내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 상부에 숫나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로 렌즈배럴이 삽입될 때, 상기 하우징 내의 단턱부에 렌즈배럴의 내입부가 먼저 접촉되면서 수직 결합되어 렌즈배럴의 광축이 교정되며, 그 상부의 암, 수 나사부에 의해 렌즈배럴과 하우징의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에 형성된 내입부는, 상기 하우징의 원통형 몸체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밀착되게 접촉 결합되어 그 접촉 계면을 통해 하우징과 렌즈배럴의 나사 결합 부위와 하우징 하부 공간의 이물 유동 경로가 차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060117927A 2006-11-27 2006-11-27 카메라 모듈 KR100829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927A KR100829980B1 (ko) 2006-11-27 2006-11-27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927A KR100829980B1 (ko) 2006-11-27 2006-11-27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980B1 true KR100829980B1 (ko) 2008-05-16

Family

ID=3966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927A KR100829980B1 (ko) 2006-11-27 2006-11-27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9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550A (ko) * 2016-01-12 2017-07-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332A (ja) 2000-05-24 2001-11-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鏡筒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2004173031A (ja) 2002-11-21 2004-06-17 Iwate Toshiba Electronics Co Ltd イメージセンサモジュール
JP2004304567A (ja) 2003-03-31 2004-10-28 Seiko Precision Inc 固体撮像装置
KR20050034473A (ko) * 2003-10-09 2005-04-14 한성엘컴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332A (ja) 2000-05-24 2001-11-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鏡筒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2004173031A (ja) 2002-11-21 2004-06-17 Iwate Toshiba Electronics Co Ltd イメージセンサモジュール
JP2004304567A (ja) 2003-03-31 2004-10-28 Seiko Precision Inc 固体撮像装置
KR20050034473A (ko) * 2003-10-09 2005-04-14 한성엘컴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550A (ko) * 2016-01-12 2017-07-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502284B1 (ko) 2016-01-12 2023-0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917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60215055A1 (en) Camera lens module
KR20110022279A (ko) 카메라 모듈
KR100956380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109475A (ko) 렌즈 하우징 일체형 카메라 모듈
KR100832072B1 (ko) 카메라 모듈
US20060171701A1 (en) Lens unit used for camera module having optical filter therein
KR100826270B1 (ko)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 조정 방법
KR100738380B1 (ko) 카메라 모듈
KR100808017B1 (ko) 카메라모듈
KR100829980B1 (ko) 카메라 모듈
KR100752701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0661612B1 (ko) 카메라 모듈
KR20090055978A (ko) 이물 유입 방지용 카메라 모듈
KR100854748B1 (ko) 카메라 모듈
KR100772587B1 (ko) 카메라 모듈
KR100863797B1 (ko) 카메라 모듈
KR100855369B1 (ko) 카메라 모듈
KR100769713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20090078475A (ko) 카메라 모듈
KR100836130B1 (ko) 카메라 모듈
KR100885505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0834030B1 (ko) 카메라 모듈
KR100904182B1 (ko) 초점 무조정 타입 카메라 모듈
KR100753661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