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587B1 - 인삼종자의 개갑방법 - Google Patents

인삼종자의 개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587B1
KR100828587B1 KR1020070120836A KR20070120836A KR100828587B1 KR 100828587 B1 KR100828587 B1 KR 100828587B1 KR 1020070120836 A KR1020070120836 A KR 1020070120836A KR 20070120836 A KR20070120836 A KR 20070120836A KR 100828587 B1 KR100828587 B1 KR 100828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avel
ginseng
seed
ginseng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덕
Original Assignee
(주)청구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구바이오 filed Critical (주)청구바이오
Priority to KR1020070120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9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 of seeds for plan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종자의 개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삼으로부터 채취한 인삼열매를 탈피하여 수거한 인삼종자의 배가 신장되고 각피가 벌어져 발아가 가능한 상태로 처리하는 인삼종자의 개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삼종자의 개갑방법은, 인삼종자의 개갑방법에 있어서, 수납공간을 구비한 용기에 탈피된 인삼종자를 투입, 매장하여 개갑작업을 시행하되, 상기 인삼종자의 매장 과정은, 상기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자갈을 투입하여 아랫층을 형성하는 아랫층 형성단계; 메쉬망에 상기 인삼종자를 투입한 후, 상기 아랫층의 상면에 펼쳐서 적층하되, 상기 메쉬망의 층 사이에 소정 두께의 자갈층이 개재되도록 중간층을 형성하는 중간층 형성단계; 및 상기 중간층의 상면에 자갈을 투입하여 윗층을 형성하는 윗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자갈만을 이용하여 인삼종자를 매장하게 되므로 뒤집기 작업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종래에 비해 작업성과 작업효율이 현저히 향상되고, 물주기 작업시에 물빠짐이 뛰어나 수분의 정체가 없고 충분한 통기성이 확보되므로 개갑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인삼종자, 개갑방법, 작은 자갈, 굵은 자갈

Description

인삼종자의 개갑방법{DEHISCED METHOD FOR GINSENG SEED}
본 발명은 인삼종자의 개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삼으로부터 채취한 인삼열매를 탈피하여 수거한 인삼종자의 배가 신장되고 각피가 벌어져 발아가 가능한 상태로 처리하는 인삼종자의 개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삼의 재배방법은 인삼종자를 모밭에 파종하여 1년 동안 모종삼을 기른 다음 본판에 식재하여 정해진 기간 동안 재배하는 모삼식재방법과, 인삼종자를 직접 본밭에 파종하여 정해진 기간 동안 재배하는 종자직파방법으로 구분되어 있다.
인삼의 재배과정에서 사용되는 인삼종자는 배와 배젖을 포함하는 씨앗 부분과, 이 씨앗 부분을 둘러싸는 단단한 각피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대개 3년생 이상의 인삼에 결실되는 인삼열매를 채취하여 과육과 과피를 탈피하게 되면 얻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얻어진 인삼종자를 그대로 파종하게 되면 단단한 각피 부분이 쉽 게 벌어지지 않게 되어 봄철의 발아기에 씨눈의 발아율이 현저히 저감된다. 따라서, 인삼의 재배과정에서는 인삼종자의 파종전에 일정기간의 저온감응을 통해 후숙처리를 하는 별도의 개갑작업(開匣: 씨눈 틔우기 작업)을 시행한다.
개갑작업은 대개 6월에서 8월 사이에 채취한 인삼열매로부터 과피와 과육 부분을 제거하여 중심부에 위치한 인삼종자를 분리, 수집하고, 별도의 용기에 매장한 후 11월까지 정해진 방식으로 관리하여 배를 신장하고 각피 부분을 벌어지도록 한다.
개갑작업은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에서 발행한 인삼 GAP 표준재배지침서(발간등록번호:11-1390625-000051-01; 발행일:2007년 1월)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래와 자갈을 이용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표준재배지침서에 따르면, 일정한 크기를 갖는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자갈 20cm, 굵은 모래 15cm, 및 모래 10cm의 순으로 채워 아랫층을 형성하고, 아랫층의 모래 상면에 인삼종자와 모래를 혼합한 종자층을 투입하고, 종자층의 상측으로 모래와 자갈을 각각 10cm의 두께로 체워넣어 윗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인삼종자를 매장한다.
인삼종자가 매장된 용기에는 개갑을 위한 물주기 작업을 시행하되, 7월 하순에서 9월 중순 기간동안은 1일 2회, 9월 중순 이후의 기간에는 1일 1회, 10월 중순 이후에는 2 ~ 3일에 1회 정도로 하여 시행한다.
또한, 인삼종자의 개갑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갑기간 중에 종자층을 뒤섞어 주는 뒤집기 작업을 2 ~ 3회 정도 실시하여야 한다. 이러한 뒤집기 작업을 위해서는 윗층의 자갈 및 모래층을 순차적으로 제거하고, 종자층을 분리, 제거한 다음 인삼종자의 상하 위치의 변화를 위한 혼합작업이 필요하므로 작업이 어렵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아울러, 인삼종자의 개갑율을 증대 및 병충해의 방지를 위해서는 인삼열매의 탈피과정에서 각피에 잔류되는 과육이나 과피와 같은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필요가 있지만, 채취된 대량의 인삼열매을 단시간 내에 탈피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완벽한 청결상태를 유지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에 따라 개갑공정 중 뒤집기 작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매번 인삼종자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개갑방법에 따르면, 인삼종자와 모래를 혼합하여 매장하게 되므로, 인삼종자를 모래로부터 분리한 다음, 세척하여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뒤집기 작업의 시행중에 모래와 자갈이 서로 섞여서 혼재되므로 재활용을 위해서는 모래와 자갈을 다시 분리해야 등 작업효율이 매우 낮은 단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개갑방법으로 개갑작업을 시행한 후 인삼종자의 개갑율을 조사하여 본 결과, 일반적인 개갑율은 7월 하순에 개갑을 시작한 경우 최대 개갑율은 94%이고, 8월 초순에 개갑을 시작한 경우 최대 개갑율은 89%, 8월 하순에 개갑을 시작한 경우 최대 개갑율은 60%, 9월 초순에 개갑을 시작한 경우에는 20% 전후의 개갑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개갑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갑의 시작 시점을 8월 초순 이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갑된 인삼종자는 모밭이나 본 밭에 파종되어 인삼작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약 10%에 근접하는 비개갑 인삼종자가 발생되므로 보다 더 개갑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개갑작업의 작업성과 작업효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개갑율이 향상되도록 한 인삼종자의 개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삼종자의 개갑방법에 있어서, 수납공간을 구비한 용기에 탈피된 인삼종자를 투입, 매장하여 개갑작업을 시행하되, 상기 인삼종자의 매장 과정은, 상기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자갈을 투입하여 아랫층을 형성하는 아랫층 형성단계; 메쉬망에 상기 인삼종자를 투입한 후, 상기 아랫층의 상면에 펼쳐서 적층하되, 상기 메쉬망의 층 사이에 소정 두께의 자갈층이 개재되도록 중간층을 형성하는 중간층 형성단계; 및 상기 중간층의 상면에 자갈을 투입하여 윗층을 형성하는 윗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간층 형성단계는, 상기 메쉬망을 펼쳐 수용된 인삼종자의 매장 두께가 1 ~ 6cm 범위에 해당되도록 종자층을 형성하고, 상기 종자층의 상면에 입경 5 ~ 20mm 범위의 작은 자갈을 2 ~ 10cm의 두께가 되도록 투입하여 작은 자갈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종자층과 상기 작은 자갈층이 반복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랫층 형성단계는, 상기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입경 20 ~ 60mm 범위의 굵은 자갈에 의해 형성되는 5 ~ 50cm 두께의 굵은 자갈층과, 상기 굵은 자갈층의 상면에 입경 5 ~ 20mm 범위의 작은 자갈에 의해 형성되는 2 ~ 20cm 두께의 작은 자갈층을 구비하도록 시행할 수 있다.
상기 윗층 형성단계는, 상기 중간층의 최상측 면상에 입경 5 ~ 20mm 범위의 작은 자갈에 의해 형성되는 2 ~ 20cm 두께의 작은 자갈층과, 상기 작은 자갈층의 상면에 입경 20 ~ 60mm 범위의 굵은 자갈에 의해 형성되는 5 ~ 50cm 두께의 굵은 자갈층을 구비하도록 시행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통기성이 부여되도록 바닥면에 통기공이 마련되고, 상기 용기의 내부조건이 12 ~ 21℃ 범위의 온도와, 8 ~ 17% 범위의 수분함유량을 유지하도록 하여 시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삼종자의 개갑방법은, 상기 개갑기간 동안 상기 중간층에 매장된 인삼종자의 위치를 뒤섞는 뒤집기 과정을 시행하되, 상기 뒤집기 과정은, 상기 윗층을 제거하는 윗층 제거단계; 상기 중간층의 메쉬망과 자갈층을 상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중간층 제거단계; 상기 메쉬망의 제거과정에서 선출(先出)된 메쉬망을 선입(先入) 되도록 역순으로 투입하되, 상기 메쉬망의 층 사이에 소정 두께의 자갈층이 개재되도록 하는 중간층 재형성단계; 및 상기 윗층 제거단계에 의해 제거된 자갈을 재투입하여 윗층을 형성하는 윗층 재형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층 재형성단계의 시행 전에 상기 중간층 제거단계에 의해 제거된 상기 메쉬망 내부의 인삼종자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단계를 시행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는, 청정수를 공급하면서 상기 인삼종자에 마찰력을 작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세공정; 및 수세된 상기 인삼종자를 통기성이 확보된 음지에서 24시간 이내로 건조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삼종자의 개갑방법은, 자갈만을 이용하여 인삼종자를 매장하게 되므로 뒤집기 작업시에 인삼종자와 모래를 별도로 분리할 필요없고, 인삼종자가 수용된 메쉬망의 위치만 변경시키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편리하게 뒤집기를 시행하고, 인삼종자의 이물질 제거작업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상복귀시에도 모래와 자갈을 별도로 분리하여 재활용하여야 하는 복잡한 작업공정이 필요없게 되므로 종래에 비해 작업성과 작업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모래 대신에 작은 자갈을 이용하므로 물주기 작업시에 물빠짐이 뛰어나 수분의 정체가 없고 충분한 통기성이 확보되므로 개갑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종자의 개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 정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종자의 개갑방법에서 인삼종자의 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종자의 개갑방법은, 3년생 이상의 인삼에 결실되는 인삼열매를 채취(인삼 열매 채취단계)하여 과육과 과피 부분을 탈피(탈피단계)한 후 인삼열매의 내부에 위치된 인삼종자만을 분리, 수집하고, 수납공간을 구비한 용기(10)에 투입, 매장하여 소정 기간 동안 개갑작업을 시행한다.
인삼종자의 매장(埋藏) 과정(80)은, 용기(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두께가 되도록 자갈을 투입하여 아랫층(50)을 형성하는 아랫층 형성단계(81), 메쉬망(20)에 소정량의 인삼종자를 투입한 후, 아랫층(50)의 상면에 소정 두께의 중간층(60)이 형성되도록 펼쳐서 적층하는 중간층 형성단계(82), 중간층(60)의 상면에 소정 두께가 되도록 자갈을 투입하여 윗층(70)을 형성하는 윗층 형성단계(83)를 포함한다.
아랫층 형성단계(81)는, 용기(10)의 바닥면으로부터 굵은 자갈(a)에 의해 형성되는 굵은 자갈층(51)과, 굵은 자갈층(51)의 상면에 작은 자갈(b)에 의해 형성되는 작은 자갈층(52)을 구비한다.
굵은 자갈층(51)은 입경 20 ~ 60mm 범위의 굵은 자갈(a)을 이용하여 5 ~ 50cm 두께로 형성하고, 작은 자갈층(52)은 입경 5 ~ 20mm 범위의 작은 자갈(b)을 이용하여 2 ~ 20cm 두께로 형성한다. 이때, 작은 자갈(b)의 입경은 5 ~ 10mm, 굵은 자갈(a)의 입경은 20 ~ 30mm 정도로 하고, 작은 자갈층(52)의 두께는 5cm 내외, 굵 은 자갈층(51)의 두께는 15cm 내외가 바람직하다.
중간층 형성단계(82)는, 종자층(61)과 종자층(61) 사이에 작은 자갈층(62)을 개재되도록 하여 종자를 매장하는 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종자층(61)은 메쉬망(20)으로 제작된 자루에 인삼종자를 투입하고 아랫층(50)의 상면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인삼종자가 고르게 펼쳐지도록 하되, 두께가 1 ~ 6cm 범위에 해당되도록 한다. 작은 자갈층(62)은 종자층(61)의 상면에 입경 5 ~ 20mm 범위의 작은 자갈(b)을 2 ~ 10cm의 두께가 되도록 투입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작은 자갈층(62)의 상면에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종자층(61)을 형성하고, 이 종자층(61)의 상면에 다시 작은 자갈층(62)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다층의 종자층(61)을 형성하되, 최상측 종자층(61)의 상면에는 후술되는 윗층(70)의 작은 자갈층과 겹치게 되므로 작은 자갈층(62)을 생략할 수 있다. 이때, 종자층(61)의 적층수량은 3 ~ 10층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종자층(61)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종자가 투입되는 자루 형태의 메쉬망은 인삼종자의 입경 보다 작은 입도를 갖는 메쉬패드를 이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인삼종자의 취급 및 보관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지퍼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윗층 형성단계(83)는, 중간층(60)의 최상측 면상에 입경 5 ~ 20mm 범위의 작은 자갈(b)에 의해 형성되는 2 ~ 20cm 두께의 작은 자갈층(71)과, 작은 자갈층(71)의 상면에 입경 20 ~ 60mm 범위의 굵은 자갈(a)에 의해 형성되는 5 ~ 50cm 두께의 굵은 자갈층(72)을 구비하도록 시행한다.
한편, 전술한 종자의 매장에 사용되는 용기(10)는 합성수지, 옹기, 목재, 콘 크리트 등의 재질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용기를 이용할 수 있지만, 용기의 바닥면에는 통기성이 부여되도록 통기공(12)이 형성되어야 한다.
용기(10)의 내부조건으로 온도조건은 12 ~ 21℃ 범위이고, 수분함유량은 8 ~ 17% 범위를 유지하도록 하여 소정 기간 동안 보관한다. 이러한 보관기간 동안에는 중간층(60)에 매장된 인삼종자의 위치를 뒤섞는 뒤집기 과정(90)을 2 ~ 6회 시행하되, 월 1회 정도가 되도록 시행한다.
뒤집기 과정(90)은 용기(10)의 최상층인 윗층(70)을 제거하는 윗층 제거단계(91)를 시행하고, 중간층(60)의 메쉬망(20)과 작은 자갈(b)을 상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중간층 제거단계(92)를 시행한 후, 역순으로 중간층 재형성단계(94)와 윗층 재형성단계(95)를 시행하여 최초의 중간층 형태와 동일한 형태가 되도록 한다.
중간층 재형성단계(94)는, 중간층 제거단계(92)의 메쉬망(20) 제거과정에서 선출(先出)된 메쉬망(20)이 선입(先入) 되도록 역순으로 투입하되, 메쉬망(20)의 층 사이에 자갈층(62)이 개재되도록 시행한다.
윗층 재형성단계(95)는 중간층 재형성단계(94)를 통해 투입된 최상층 메쉬망(20)에 윗층 제거단계(91)를 통해 제거된 자갈을 재투입하되 최초의 상태와 동일하게 2 ~ 20cm 두께의 작은 자갈층(71)과, 5 ~ 50cm 두께의 굵은 자갈층(72)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중간층 재형성단계(94) 및 윗층 재형성단계(95)에서 재투입되는 작은 자갈(b)과 굵은 자갈(a)은 청정수로 세척하여 재사용한다.
한편, 중간층 재형성단계(94)의 시행 전에 중간층 제거단계(92)에 의해 제거된 메쉬망(20) 내부의 인삼종자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단계(93)를 시행함으로써, 인삼종자의 개갑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물질 제거단계(93)는, 메쉬망(20)의 지퍼(미도시)를 개방하여 인삼종자를 외부로 배출한 후 수세공정과 건조공정을 순차적으로 시행하면서 각피의 표면에 고착된 과육, 과피 또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물질은 대개 탈피단계에서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한 과피 및 과육 부분이 각피의 표면에 고착된 것으로, 개갑불량의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수세공정은 인삼종자에 청정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인삼종자를 서로 비벼서 각피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되도록 하는 공정이다.
건조공정은 수세된 인삼종자를 통기성이 확보된 음지에서 24시간 이내로 건조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공정이다. 이때, 송풍팬 등을 이용하여 건조시간을 줄일 수 있지만, 이때, 인삼종자가 완전 건조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종자의 개갑방법의 작용을 실험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7월 하순에 5년생 인삼으로부터 인삼열매를 채취하고, 인삼열매의 과육과 과피 부분을 탈피, 세척하여 인삼종자를 준비한 후, 상기한 개갑방법에 따라 인삼종자의 개갑작업을 시행하였다.
먼저, 내용량이 850 리터(ℓ)인 합성수지재 용기(10; 일명 고래통으로 호칭됨) 8개를 준비하여 그 바닥면에 다수의 통기공을 천공하고 세척한 후, 고일목(30) 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약 10 ~ 30cm 정도의 높이로 이격되게 용기를 설치하고, 통기성을 갖는 천막으로 해가림 시설을 설치한 개갑장을 마련한다.
그런 다음, 입경 20 ~ 30mm 정도의 굵은 자갈(a)과 입경 5 ~ 10mm 정도의 작은 자갈(b)을 각각 세척하여 준비한 후, 용기의 바닥면에 굵은 자갈(a)을 두께 15cm가 되도록 투입하여 굵은 자갈층(51)을 형성하고, 작은 자갈(b)을 두께 5cm가 되도록 투입하여 작은 자갈층(52)을 형성한 아랫층(50)을 마련한다.
이후, 일정량의 인삼종자를 메쉬망(20)에 담고, 아랫층(50)의 상면에 메쉬망을 차례로 투입하여 종자층(61)을 형성하되, 종자층(61)의 두께가 3cm 정도 되도록 메쉬망(20)을 평평하게 펼친다. 종자층(61)의 상면에는 작은 자갈층(62)을 두께 5cm가 되도록 형성하고, 이 작은 자갈층(62)의 상면에 상기한 방법으로 다시 종자층(61)을 적층하여 5개의 종자층(61)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1개의 종자층(61)에 12kg의 인삼종자가 투입되므로 총 60kg의 인삼종자가 매장되는 중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중간층(60)의 형성이 완료되면, 최상측 종자층(61)의 상면에 작은 자갈(b)을 두께 5cm가 되도록 투입하여 작은 자갈층(71)을 형성하고, 그 상면에 굵은 자갈(a)을 두께 15cm가 되도록 투입하여 굵은 자갈층(72)을 층적한 윗층(70)을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인삼종자의 매장작업이 완료되면, 개갑시 요구되는 적절한 수분함유율을 유지하도록 물주기 작업을 시행한다. 물주기 작업은 7월 하순에서 9월 중순까지는 조석으로 1일 2회 실시하고, 9월 중순 이후에는 1일 1회, 10월 중순 이후로는 2 ~ 4일에 1회 정도가 되도록 실시한다. 이때, 물주는 양은 용 기(10) 바닥의 통기공으로 물이 충분히 흘러나올 정도로 하고, 비가 올 때는 물주기 작업을 시행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매장방법은, 모래 대신에 작은 자갈(b)이 이용되므로 물주기 작업시에 용기(10)내에 수분이 정체되지 않고 물빠짐이 뛰어나 충분한 통기성이 확보된다.
한편, 인삼종자의 개갑율 향상을 위해서는 중간층(60)에 매장된 인삼종자의 위치를 뒤섞는 뒤집기 과정을 월 1회 정도가 되도록 시행한다. 뒤집기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윗층(70) 및 중간층(60)을 순차 제거하여 종자층(61)을 뒤섞은 다음 윗층(70)을 다시 형성하는 방법으로 시행하되, 종자층(61)은 선출(先出)된 메쉬망(20)을 선입(先入) 되도록 하여 시행한다. 또한, 뒤집기 작업의 시행과정에서 인삼종자를 수세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물기가 제거될 정도로 건조하는 이물질 제거작업을 시행한다.
이러한, 인삼종자의 뒤집기 작업이나 이물질 제거작업의 시행시에 종래와 같이 인삼종자를 모래와 분리할 필요가 없고, 메쉬망을 제거 및 투입하는 간단한 방식에 의해 뒤집기 과정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상기한 방식으로 개갑작업을 시행하여 인삼종자의 파종 시점인 11월 초순에 각 용기(10)의 종자층(61)을 분리하고 용기마다 300립의 인삼종자 샘플을 추출하여 개갑율을 측정한 결과 표1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때, 육안검사를 통해 각피 부분이 벌어진 인삼종자를 정상 개갑된 것으로 판정하였다.
구 분 용기1 용기2 용기3 용기4 용기5 용기6 용기7 용기8 비고
인삼종자 샘플수량(a)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정상개갑 종자수량(b) 285 289 288 284 292 291 285 286
개갑 불량 수량 불량종자로 인한 개갑불량 수량(c) 9 2 5 9 2 3 5 6
정상종자 중 개갑불량 수량(d) 6 9 7 7 6 6 10 8
개갑불량 소계(e) 15 11 12 16 8 9 15 14
개갑율 (%) 전체 종자에 대한 개갑율 95.0 96.3 96.0 94.7 97.3 97.0 95.0 95.3
정상종자만을 고려한 개갑율 97.9 97.0 97.6 97.6 98.0 98.0 96.6 97.2
본 실시예에 의해 수행된 인삼종자의 개갑율을 표1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전체 인삼종자에 대한 개갑율(불량 인삼종자를 포함하여 산출한 개갑율;b/a x 100)은 94.7 ~ 97% 정도로 나타나고, 모든 샘플군이 종래 개갑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최대 개갑율인 94%를 초과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고, 특히, 미개갑 인삼종자에 포함된 미성숙 종자나 탈피불량 종자를 제외한 정상종자만을 고려한 실제적인 개갑율(b/(a-c) x 100)은 96.6 ~ 98%로 나타남에 따라 개갑율이 종래에 비해 상당히 상승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삼종자의 개갑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종자의 개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종자의 개갑방법에서 인삼종자의 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용기 12:통기공
20:메쉬망 30:고일목
50:아랫층 51,72:굵은 자갈층
52,62,71:작은 자갈층 60:중간층
61:종자층 70:윗층
81:아랫층 형성단계 82:중간층 형성단계
83:윗층 형성단계 91:윗층 제거단계
92:중간층 제거단계 93:이물질 제거단계
94:중간층 재형성단계 95:윗층 재형성단계

Claims (8)

  1. 인삼종자의 개갑방법에 있어서,
    수납공간을 구비한 용기에 탈피된 인삼종자를 투입, 매장하여 개갑작업을 시행하되,
    상기 인삼종자의 매장 과정은,
    상기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자갈을 투입하여 아랫층을 형성하는 아랫층 형성단계;
    메쉬망에 상기 인삼종자를 투입한 후, 상기 아랫층의 상면에 펼쳐서 적층하되, 상기 메쉬망의 층 사이에 소정 두께의 자갈층이 개재되도록 중간층을 형성하는 중간층 형성단계; 및
    상기 중간층의 상면에 자갈을 투입하여 윗층을 형성하는 윗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종자의 개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형성단계는, 상기 메쉬망을 펼쳐 수용된 인삼종자의 매장 두께가 1 ~ 6cm 범위에 해당되도록 종자층을 형성하고, 상기 종자층의 상면에 입경 5 ~ 20mm 범위의 작은 자갈을 2 ~ 10cm의 두께가 되도록 투입하여 작은 자갈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종자층과 상기 작은 자갈층이 반복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인삼종자의 개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랫층 형성단계는, 상기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입경 20 ~ 60mm 범위의 굵은 자갈에 의해 형성되는 5 ~ 50cm 두께의 굵은 자갈층과, 상기 굵은 자갈층의 상면에 입경 5 ~ 20mm 범위의 작은 자갈에 의해 형성되는 2 ~ 20cm 두께의 작은 자갈층을 구비하도록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종자의 개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윗층 형성단계는, 상기 중간층의 최상측 면상에 입경 5 ~ 20mm 범위의 작은 자갈에 의해 형성되는 2 ~ 20cm 두께의 작은 자갈층과, 상기 작은 자갈층의 상면에 입경 20 ~ 60mm 범위의 굵은 자갈에 의해 형성되는 5 ~ 50cm 두께의 굵은 자갈층을 구비하도록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종자의 개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통기성이 부여되도록 바닥면에 통기공이 마련되고,
    상기 용기의 내부조건이 12 ~ 21℃ 범위의 온도와, 8 ~ 17% 범위의 수분함유 량을 유지하도록 하여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종자의 개갑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갑기간 동안 상기 중간층에 매장된 인삼종자의 위치를 뒤섞는 뒤집기 과정을 시행하되,
    상기 뒤집기 과정은,
    상기 윗층을 제거하는 윗층 제거단계;
    상기 중간층의 메쉬망과 자갈층을 상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중간층 제거단계;
    상기 메쉬망의 제거과정에서 선출(先出)된 메쉬망을 선입(先入) 되도록 역순으로 투입하되, 상기 메쉬망의 층 사이에 소정 두께의 자갈층이 개재되도록 하는 중간층 재형성단계; 및
    상기 윗층 제거단계에 의해 제거된 자갈을 재투입하여 윗층을 형성하는 윗층 재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종자의 개갑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재형성단계의 시행 전에 상기 중간층 제거단계에 의해 제거된 상기 메쉬망 내부의 인삼종자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단계를 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종자의 개갑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는, 청정수를 공급하면서 상기 인삼종자에 마찰력을 작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세공정; 및
    수세된 상기 인삼종자를 통기성이 확보된 음지에서 24시간 이내로 건조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종자의 개갑방법.
KR1020070120836A 2007-11-26 2007-11-26 인삼종자의 개갑방법 KR100828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836A KR100828587B1 (ko) 2007-11-26 2007-11-26 인삼종자의 개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836A KR100828587B1 (ko) 2007-11-26 2007-11-26 인삼종자의 개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587B1 true KR100828587B1 (ko) 2008-05-09

Family

ID=3965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836A KR100828587B1 (ko) 2007-11-26 2007-11-26 인삼종자의 개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5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457B1 (ko) 2009-03-23 2011-05-03 이종천 인삼 육묘방법
KR101042545B1 (ko) 2008-06-24 2011-06-20 박동준 인삼 재배 방법
KR101366571B1 (ko) 2013-12-16 2014-02-25 남영제약영농조합법인 사포닌 및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강된 인삼 종자의 개갑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개갑된 인삼 종자
KR20200137168A (ko) 2019-05-29 2020-12-09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인삼종자 개갑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777A (ko) * 2000-09-07 2001-02-05 김준 관상용 인삼 및 그 재배방법
KR20040060617A (ko) * 2002-12-30 2004-07-06 최용조 고려인삼종자의 연중발아법 및 그 발아식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777A (ko) * 2000-09-07 2001-02-05 김준 관상용 인삼 및 그 재배방법
KR20040060617A (ko) * 2002-12-30 2004-07-06 최용조 고려인삼종자의 연중발아법 및 그 발아식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삼 GAP표준재비지침서(2007.01. 발행,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545B1 (ko) 2008-06-24 2011-06-20 박동준 인삼 재배 방법
KR101032457B1 (ko) 2009-03-23 2011-05-03 이종천 인삼 육묘방법
KR101366571B1 (ko) 2013-12-16 2014-02-25 남영제약영농조합법인 사포닌 및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강된 인삼 종자의 개갑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개갑된 인삼 종자
KR20200137168A (ko) 2019-05-29 2020-12-09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인삼종자 개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48562B (zh) 一种天麻有性繁殖的高产栽培方法
CN103329662B (zh) 葡萄杂交种子的播种和育苗方法
CN104396575B (zh) 一种竹荪层架式轮种栽培方法
CN103583108B (zh) 三七育苗方法
CN106804150A (zh) 一种水稻种子的催芽方法
KR100828587B1 (ko) 인삼종자의 개갑방법
CN105993804A (zh) 一种利用蚯蚓粪制作营养土培育柑橘容器菌根苗的方法
CN101878717A (zh) 一种血人参的规范化种植方法
CN103444387A (zh) 三七的种植方法
CN107372074A (zh) 一种天麻种麻有性繁殖的方法
CN115968766B (zh) 一种极小种群植物沧江海棠的繁育方法
CN105917790A (zh) 一种增强水稻抗逆性耐旱的水稻浸种方法
CN109548426A (zh) 一种多花黄精的种子催芽育苗方法及装置
CN101595825A (zh) 檀香苗的快速繁育方法
CN104686198A (zh) 一种桑枝栽培木耳的方法
CN1711823A (zh) 西红花的种植方法
CN103460933B (zh) 热淋清颗粒药材头花蓼种植繁育用种子处理方法
CN101015264B (zh) 一种花生芽生产方法
CN105993529A (zh) 一种毛竹林地栽培三七的方法
CN105613184A (zh) 一种香榧树的种植方法
CN104718839B (zh) 一种西瓜嫁接育苗砧木用葫芦种子的发芽脱壳方法
CN105900829B (zh) 一种基于离子注入尾细桉人工杂交种的快速育种方法
CN105794444A (zh) 一种海金沙孢子的萌发方法
CN107624536A (zh) 一种重楼种子破口浅播育苗方法
CN105144912B (zh) 一种灰毡毛忍冬种子萌发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