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823B1 - 개스킷 접합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개스킷 접합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823B1
KR100827823B1 KR1020060090715A KR20060090715A KR100827823B1 KR 100827823 B1 KR100827823 B1 KR 100827823B1 KR 1020060090715 A KR1020060090715 A KR 1020060090715A KR 20060090715 A KR20060090715 A KR 20060090715A KR 100827823 B1 KR100827823 B1 KR 100827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unit
head
moving
rele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5916A (ko
Inventor
오두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이텍
Priority to KR1020060090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823B1/ko
Publication of KR20080025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02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G02F1/0107Gaskets, spacers or sealing of cells; Filling and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스킷의 재질이나 이형필름 유무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개스킷 접합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고, 품질과 생산성이 향상시킨 개스킷 접합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 접합장치는 고정유닛, 장착유닛, 이송유닛, 커팅유닛 및 접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개스킷과 함께 이동하는 헤드부가 고정헤드 및 상기 고정헤드와 함께 상기 개스킷 일단을 선택적으로 그립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름운동에 의해 상기 개스킷 일단의 그립을 해제시키는 이동헤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개스킷을 사용하여 접합작업을 할 수 있고, 개스킷의 접착면 훼손이나 이형필름 제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발생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형필름 제거과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Figure R1020060090715
개스킷, 고정헤드, 이동헤드, 구동축, 이형필름

Description

개스킷 접합장치 및 그 방법 {Adhesion Apparatus and Method of Gask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 접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스킷 접합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헤드부의 개스킷 그립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헤드부의 개스킷 그립해제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장착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2의 커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접합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는 도 2의 필름제거유닛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9a 내지 도 9f는 개스킷의 접합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의 접합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접합 대상물 20: 보빈
110: 고정유닛 120: 장착유닛
130: 이송유닛 140: 커팅유닛
150: 접합유닛 160: 필름제거유닛
170: 클램핑유닛 G: 개스킷
L: 이형필름
본 발명은 개스킷 접합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스킷의 재질이나 이형필름 유무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개스킷 접합작업의 자동화가 가능하고, 풀질과 생산성이 향상시킨 개스킷 접합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는 두 개의 얇은 유리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 성질을 가진 액정(Liquid Crystal)을 주입해 전원 공급 시 액정분자의 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명암을 발생시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PDP, FED, 유기EL 등과는 달리 그 자체가 비 발광형(수광 소자)이기 때문에 배면 광원이 없으면 사용이 불가능하며 화면 전체를 균일한 밝기로 유지할 수 있는 면 광원 형태의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을 필요로 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PVC 소재로 만들어진 백라이트 유닛 프레임과 LCD 사이에 우레탄 접착성 테이프로 밀착한 상태로 고정시켜서 조립하며, 백라이트 유닛에 LCD를 조합하여 빛이 새어나가지 못하게 하고 밀착하여 접착되게 하는 소재로서 우레탄이나 실리콘 등의 러버로 구성된 개스킷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백라이트 유닛 프레임에 밀착하여 고정하고 그 앞면에 보호용 유리판을 삽입한 후 백라이트 유닛 전체를 감싸서 보호할 수 있도록 스테인 리스, 알미늄,도금 강판 등의 금속 재질로 제작된 사각틀 장치로 사용되는 탑 새시(top sash)의 안쪽에도 백라이트 유닛과 LCD의 조합과 같이 빛이 새어나가지 못하게 하기 위해 밀착하여 접착하는 소재로서 상기 러버로 구성된 개스킷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개스킷은 도전성의 개스킷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스킷을 부착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정전기와 전자파나 광원의 누설 및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려면 부착강도, 부착의 직선성, 이음부 또는 서로 끝이 만나는 부분 등의 요소에는 허용 값 이상의 틈이 있으면 안 된다.
우레탄 러버 개스킷을 정밀하고 정교하게 부착하는 조건은 상기와 같이 정밀한 공정이 변함없이 반복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하나하나 사람의 수작업에 의존하여 손으로 절단된 개스킷을 분리하고, 부착 부위를 찾아 감각적으로 적당한 힘을 가하면서 위치를 맞추어 개스킷을 접합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개스킷을 분리하고 부착하는 과정에서 비 직선도, 먼지나 땀 등으로 인한 오염물질 침투, 테이프의 신축성에 따라 부착 후 줄어듦 발생과 또한 양쪽 끝 부위의 들뜸 현상으로 인한 불량제품 발생 그리고 개스킷의 손실, 생산수량의 한계 및 품질의 불량산포가 심하게 발생 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LCD 패널에 개스킷을 자동으로 접합하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LCD 패널의 개스킷 접합장치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특허 제10-0611797호).
기 출원된 상기 개스킷 접합장치는, 권취되어 있는 보빈에서 개스킷을 인출 하여 LCD 패널의 모서리 길이에 대응하여 절단을 행하고, 이를 LCD 패널에 접합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도록 구성하여, LCD 패널에 개스킷을 접합하는 공정을 자동화하고 기존 수작업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이에 더 나아가 개스킷에 이형필름이 부착되지 않거나, 개스킷의 재질이 변하더라도 이러한 개스킷의 형태에 무관하게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개스킷 접합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이형필름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키고, 이형필름 제거과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합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개선하여 개스킷의 형태에 무관하게 범용적으로 접합작업이 가능한 개스킷의 접합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형필름의 제거과정에서 생기는 오차를 방지하여 접합공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킨 개스킷의 접합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스킷 접합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 개스킷의 접합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접합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유닛, 개스킷이 권취된 보빈이 장착되는 장착유닛, 상기 보빈에서 인출된 개스킷과 함께 이동하는 헤드부를 가지며, 상기 개스킷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개스킷을 상기 접합 대상물에 대응된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유닛 및 상기 개스킷을 흡착하며, 상기 커팅유닛에 의해 절단된 개스킷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접합 대상물에 상기 개스킷을 접합시키는 접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고정헤드 및 상기 고정헤드와 함께 상기 개스킷 일단을 선택적으로 그립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름운동에 의해 상기 개스킷 일단의 그립을 해제시키는 이동헤드를 포함하는 개스킷 접합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접합 대상물의 모서리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이동헤드는 단면이 원형인 롤러 형태이고, 상기 고정헤드는 소정 각도 기울어진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이동헤드의 일부와 대응된 형상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헤드는 상기 경사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헤드의 표면은 상기 개스킷에 형성된 접착면과 접합되지 않는 재질, 구체적으로 실리콘과 테프론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상기 이동헤드의 표면에는 소정의 코팅액이 도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코팅액은 실리콘, 불소, 테프론 및 왁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 하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장착유닛은 상기 보빈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유닛은 상기 보빈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지지축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보빈을 회전시키는 구동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은 구동부의 역할을 수행하며,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구동축은 상기 개스킷이 상기 접합유닛에 흡착되기 이전에 상기 개스킷의 장력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역회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장착유닛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개스킷 접합유닛은 상기 개스킷이 상기 접합유닛에 흡착되기 이전에 상기 개스킷에 접합된 이형필름을 제거하는 필름제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름제거유닛은, 상기 이형필름의 경로를 안내하는 분리가이드 및 상기 분리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이형필름을 권취하는 회수롤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필름제거유닛은 상기 이형필름의 장력 크기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수롤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장력 크기에 따라 권취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개스킷을 절단하는 커터부 및 상기 커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패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터부는 커터 및 상기 커터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커터 하우징를 포함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패드는 상기 접합장치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패드는 고무를 포함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합유닛은 상기 개스킷을 흡착하기 위해 진공 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스킷의 이동 경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개스킷의 장력을 조절하는 클램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이송유닛의 헤드부, 커팅유닛 및 클램핑유닛은 상기 접합유닛의 상승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접합유닛의 이동 전에 상기 접합유닛의 이동 공간 밖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 접합방법은, 접합 대상물을 고정하는 단계, 개스킷이 권취된 보빈을 장착하는 단계, 고정헤드와 이동헤드를 포함하는 헤드부에 의해 상기 개스킷의 일단을 그립하는 단계, 상기 헤드부를 이동하여 상기 보빈에서 인출된 개스킷을 이송하는 단계, 상기 개스킷을 흡착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개스킷을 상기 접합 대상물에 대응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이동헤드를 회전시켜 구름운동에 의해 상기 개스킷 일단의 그립을 해제시키는 단계 및 절단된 개스킷을 이동하여 상기 접합 대상물에 상기 개스킷을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헤드는 상기 경사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스킷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빈을 개스킷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개스킷이 상기 접합유닛에 흡착되기 이전에 상기 개스킷의 장력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보빈을 역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스킷이 상기 접합유닛에 흡착되기 이전에 상기 개스킷에 접합된 이형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이형필름의 장력 크기를 측정하여, 측정된 장력 크기에 따라 상기 이형필름을 회수하는 회수롤의 권취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 접합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 접합장치는 고정유닛(110), 장착유닛(120), 이송유닛(도면부호 미부여), 커팅유닛(140) 및 접합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유닛(110)은 접합 대상물(10)을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100)의 상부에 접합 대상물(10)에 대응된 고정홈(112)이 형성되어 접합 대상물(10)을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합 대상물(10)의 종류는 제한이 없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접합 대상물(10)이 사각형 형상의 LCD 패널이며, 개스킷(G)이 상기 LCD 패널의 각 모서리에 접합되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개스킷(G)은 LCD 패널에 접합되어, LCD 패널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거나 빛을 차단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장착유닛(120)은 보빈(2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보빈(20)은 양측면에 배리어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빈(20)에는 개스킷(G)이 다층으로 감겨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LCD 패널의 네 모서리에 개스킷(G)을 접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장착유닛(120)에는 총 4개의 보빈(20)이 공간을 달리하여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장착유닛(120)은 보빈(2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유닛(120)을 지지하는 두 개의 축 중 어느 하나가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장착유닛(120)은 하부에서 자유 회전상태의 지지축(124)과, 지지축(124)과 함께 보빈(20)을 지지하면서 회전 구동이 가능한 구동축(12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구동축(122)가 구동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구동축(122)은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장착유닛(120)에 장착된 보빈(20)에서, 보빈(20)에 감겨진 개스킷(G)은 다수 개의 롤러들(182,184)에 의해 소정 인출 경로로 유도된다.
상기 이송유닛은 개스킷(G)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보빈(20)에서 인 출된 개스킷(G)과 함께 이동하는 헤드부(130)를 가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송유닛은 직선방향으로 형성된 이동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130)는 직선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 가이드를 따라 왕복운동을 하며 상기 개스킷(G)을 이송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130)의 운동 속도는 저속, 정속, 감속, 정지 순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헤드부(130)는 고정헤드(132)와 상기 고정헤드(132)와 함께 개스킷(G)을 선택적으로 그립하는 이동헤드(138)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헤드(138)가 고정헤드(132)와 밀착되면, 상호간의 밀착력에 의해 상기 이동헤드(138)와 고정헤드(132) 사이에 끼워지는 개스킷(G)을 그립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헤드(138)가 이동하여 고정헤드(132)와 멀어지면 개스킷(G)의 그립이 해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부(130)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과정은 도 3a 내지 4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커팅유닛(140)은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는 역할을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개스킷(G)이 접합되는 LCD 패널의 모서리 길이만큼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팅유닛(14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접합유닛(150)은 개스킷(G)을 흡착하여 고정시키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흡착된 개스킷(G)을 접합 대상물(10)에 접합한다. 상기 접합유닛(150)은 개스킷(G)을 흡착하기 위하여 진공 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흡입부(152; 도 7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LCD 패널에서 네 개의 모서리를 접합하기 때문에, 이들 각각에 대응한 접합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부호 157과 159는 접합대상물(10)의 다른 측 모서리에 개스킷을 접합하기 위한 접합유닛을 나타낸다.
LCD 패널의 다른 측 모서리를 접합하는 접합유닛(157,159)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간도 고려하여 이러한 접합유닛(157,159)의 상승공간도 확보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개스킷 접합장치는 개스킷(G)에 접합된 이형필름(L)을 제거하는 필름제거유닛(160)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이형필름(L)이 부착되지 않은 개스킷(G)에는 상기 필름제거유닛(160)이 불필요하지만, 이형필름(L)이 부착된 개스킷(G)의 경우에는 이형필름(L)이 부착되어 있는 접합면이 노출되어 접합 대상물(10)에 접합되어 하기 때문에 필름제거유닛(160)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름제거유닛(160)이 구비되어, 이형필름이 부착된 개스킷과 그렇지 않은 개스킷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필름제거유닛(160)은 개스킷(G)이 접합유닛(150)에 흡착되기 이전에 이형필름(L)을 제거할 수 있도록 커팅유닛(140)이나 접합유닛(150)의 상측 경로 상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필름제거유닛(16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함께, 개스킷(G)의 이동 경로상에는 개스킷(G)의 장력을 조절하는 클램핑유닛(17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유닛(170)은 상기 커팅유닛(140)의 바로 전방에 서로 대응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어, 상기 헤드부(130)와 함께 개스킷(G)의 장력을 조절하여 개스킷(G)이 상기 접합유닛(150)에 일직선으로 놓일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유닛(170)이 필름제거유닛(160)의 후방에 구비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와 달리 클램핑유닛(170)이 필름제거유닛(160)의 전방에 구비되거나, 필름제거유닛(160)을 구성하는 분리가이드(162)나 지지부재(166) 상에 구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이형필름(L)을 제거하기 전에 클램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클램핑유닛(170)에 의해 개스킷(G)의 접착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등 접착면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형필름(L)에 의해 개스킷의 인장강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클램핑이 이루어져 개스킷(G)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본체(100)의 상부에는 축에 의해 지지된 터치패드 방식의 디스플레이 유닛(190)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90)은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접촉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LCD 패널의 프레임의 규격이나 수량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이송유닛을 구성하는 헤드부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b는 헤드부(130)를 구성하는 이동유닛이 이동하면서 개스킷을 그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개스킷의 그립이 해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고정헤드(132)은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이동헤드(138)는 단면이 원형인 롤러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에 순차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130)는 이동헤드(138)가 고정헤드(132) 측으로 이동하면서 개스킷(G)을 그립하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기 이동헤드(138)의 이동 방향은 고정헤드 경사면(134)의 법선 방향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동헤드(138)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이동헤드(138)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개스킷(G)이 밀려 하강하게 되어 개스킷(G)이 쳐지게 되면, 개스킷(G)이 접합유닛(150)상에 정확히 놓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이동헤드(138)를 고정헤드 경사면(134)의 법선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개스킷(G)이 하부로 쳐지지 않으면서 개스킷(G)을 효과적으로 그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헤드의 경사면(134) 상에는 상기 이동헤드(138)의 일부와 대응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홈(13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홈(136)은 단면이 원형인 이동헤드(138)의 형상에 대응하여 이동헤드(138)의 곡률에 대응된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홈(136)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동헤드(138)와 고정헤드(132)가 밀착될 때 보다 견고하게 개스킷(G)을 그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헤드부(130)에서 개스킷(G)의 그립이 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스킷(G)은 이형필름(L)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헤드부(130)에 의한 이송을 행하기 이전에 필름제거유닛(160)에 의해 이형필름(L)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개스킷(G)의 상부면은 LCD 패널과 접합되기 위한 접착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착면은 외부에 직접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개스킷(G)은 LCD 패널에 접합하기 전에 접착면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발명은 헤드부(130)에서 개스킷(G)을 그립해제 하는 과정에서 개스킷(G)에 형성된 접착면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 해제시 이동헤드(138)가 구름운동을 하면서 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였다.
즉, 상기 이동헤드(138)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아이들(idle) 상태로 구성하고, 이동헤드(138)와 고정헤드(132)가 밀착된 상태에서 횡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립이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헤드(138)는 접착면의 접착력에 따라 회전하게 되므로 구름운동(rolling motion)이 일어나며, 접착면에 손상을 주는 미끄럼운동(slipping motion)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함께, 이동헤드(138)의 밀착에 따른 접착력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동헤드(138)는 개스킷(G)의 접착면과 접합되지 않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헤드(138)를 실리콘이나 테프론 재질로 구성하였다. 개스킷(G)의 접착면과 직접 접하는 부위는 이동헤드(138)의 표면, 즉 외주면 이기 때문에 이동헤드(138)의 표면만을 실리콘이나 테프론 등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그리고 이동헤드(138)와 개스킷(G)의 접착면과의 접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헤드(138)의 표면에 소정의 코팅액을 도포하여 구성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코팅액은 일반적인 양면테이프의 이형필름(L) 재료로 사용되는 이형 코팅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형 코팅액은 실리콘, 불소, 테프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장착유닛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장착유닛과 이에 장착되는 보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유닛(120)은 보빈(20)을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축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아이들 상태의 지지축(124)과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122)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125)의 회전력이 전달벨트(127)을 통해 구동풀리(129)로 전달됨으로써 동축 상의 구동축(122)이 회전하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달리 두 개의 지지축(122,124)이 모두 회전 구동이 가능한 구동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구동축(122)에 체인이나 기타 다른 방식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122)은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개스킷(G)이 이형필름(L)과 함께 이송되거나 개스킷(G)이 충분한 인장 응력을 가지게 되면, 상기 헤드부(130)가 개스킷(G)의 일단을 그립하여 이동할 때 이러한 운동에 따라 보빈(20)이 회전하면서 이에 권취된 개스킷(G)이 원활히 풀릴 수 있다.
하지만, 이형필름(L)이 제거된 상태에서 개스킷(G)이 이송되거나, 개스킷(G)의 인장응력이 높지 않아 일정 인장력에 쉽게 늘어나는 재질인 경우, 상기 개스킷(G) 일단의 이동에 맞추어 보빈(20)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에 따라, 보빈(20)을 지지하는 두 개의 축 중 어느 하나를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보빈(20)의 정방향 회전을 용이하게 구현하였다.
한편, 접합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헤드부(130)의 이송에 의해 개스킷(G)을 이송한 후에는 접합유닛(150)에 흡착하기 전에 개스킷(G)이 일직선으로 고르게 정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개스킷(G)은 일정 장력이 걸리도록 개스킷(G)의 장력 정도를 조절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개스킷(G)이 접합유닛(150)에 흡착되기 이전에 장착유닛(120)의 구동축(122)이 일정 시간 동안 역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은 구동축(122)을 양방향으로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보빈(20)을 지지함과 함께, 개스킷(G)의 늘어짐을 방지하고 개스킷(G)의 적정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장착유닛(120)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즉, 보빈(20)에서 개스킷(G)이 풀리면서 자동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스킷(G)이 중앙 부위에서 인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인출된 개스킷(G)이 인출 경로 상에 구비된 롤러들(182,184)을 통과할 때 뒤집히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커팅유닛과 접합유닛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커팅유닛(140)은 상기 개스킷(G)을 절단하는 커터부(142)와, 상기 커터부(142)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패드(148)를 포함하며, 개스킷(G)을 접합 대상물(10)의 길이에 대응되게 절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터부(14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144)와 이를 수용하는 커터 하우징(146)을 포함하며, 상기 커터 하우징(146)의 측부에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커터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커터의 탈착이 가능하고, 일정 사용량이 지난 커터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커터 하우징(146)은 하부 중앙부에 내측으로 함몰된 커터홈(147)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터(144)가 커터홈 부위에서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패드(148)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으나, 반복적인 절단공정에서 커터가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탄성을 가진 고무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48)가 접합유닛(15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정 사용량을 넘겼을 때 교체할 수 있도록 접합장치 상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패드(148)를 분리할 수 있도록 패드(148)의 일면에 접하는 부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홈(14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합유닛(150)의 상면에는 개스킷을 흡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흡입공(15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LCD 프레임과 접합유닛(150)이 접촉되면, LCD패널의 프레임 저면이 휘거나 굴곡 현상이 생겨서 개스킷을 완전히 밀착시킬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접합유닛(150)의 상면에 탄력을 가진 쿠션부(1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쿠션부(154)에 의해서 접촉되는 순간에 탄성에 의해서 LCD 패널 프레임의 휨 현상이나 굴곡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154)는 예를 들어 우레탄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쿠션부를 고무판, 테이프, 고무코팅 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여, 필름제거유닛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름제거유닛(160)은 상기 이형필름(L)의 경로를 안내하는 분리가이드(162), 분리가이드(162)를 따라 이동되는 이형필름(L)을 권취하는 회수롤(16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리가이드(162)는 개스킷(G)에서 이형필름(L)이 원활히 분리될 수 있도록 소정 각도 경사진 가이드면(163)이 형성되어 있다.
개스킷(G)에서 분리된 이형필름(L)은 회수롤(168)에 회수되지만, 회수롤(168)에 감긴 이형필름(L)의 감겨있는 양에 따라 1회전당 감기는 이형필름(L)의 길이를 쉽게 예상할 수 없다. 따라서, 이형필름(L)을 탈피할 때 회수롤(168)의 회전량을 미리 예상하여 설정하여서는 이형필름(L)의 늘어나지 않게 권취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형필름(L)이 늘어지게 되면 커팅유닛(140)에 개스킷(G)과 함께 유입되어 개스킷(G)과 함께 동시에 절단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름제거유닛(160)의 가이드면(163)에 상기 이형필름(L)의 장력 크기를 측정하는 센서부(164)를 구비하여, 센서부(164)에서 측정된 장력 크기에 따라 회수롤(168)의 권취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164)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현이 가능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가이드(162)의 가이드면(163) 상에 돌기 형태로 구성되어, 돌기의 누름 상태에 따라 이형필름(L)의 장력 정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분리가이드의 하부에는 분리가이드와 함께 개스킷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66)가 형성되어 있다.
도 9a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접합 대상물(10)에 개스킷(G)을 접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a 내지 9f는 개스킷의 접합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0 은 개스킷 접합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개스킷을 접합하기 위하여 우선 접합 대상물(10)을 고정유닛(110)에 고정한다(S1). 이때 상기 접합 대상물(10)은 LCD 패널의 프레임인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고정유닛(110)은 LCD 패널의 프레임에 대응된 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개스킷(G)이 권취된 보빈(20)을 장착유닛(120) 상에 장착한다(S3). 상기 장착유닛(120)은 상기 보빈(20)이 안착되는 두 개의 축으로 이루어지며, 이 중 어느 하나의 축은 회전 구동이 가능한 구동축(122)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접합 대상물(10)을 고정하고 보빈(20)을 장착한 후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30)에 의해 개스킷(G)을 일단을 그립하고(S5), 헤드부(130)를 이동하여 개스킷(G)을 이송시킨다(S7).
여기서, 개스킷(G)의 그립은 고정헤드(132)와 이의 법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헤드(138)가 상호 밀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클림핑유닛의 전에는 필름제거유닛(160)이 구비되어, 개스킷(G)에 접합된 이형필름(L)을 제거한다(S9). 즉, 본 실시예에서는 개스킷(G)의 이송과 함께, 이형필름(L)이 제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개스킷(G)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개스킷(G)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유닛(120)을 구성하는 구동축(122)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보빈(20)을 회전시키게 되어, 개스킷(G)이 늘어나지 않으면서 원활히 이송하게 한다.
이와 같이, 헤드부(130)가 개스킷(G)을 보빈(20)에서 인출하여 접합 대상 물(10)의 모서리 길이만큼 이송하게 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유닛(150)에 개스킷(G)을 흡착하여 고정시킨다(S11).
한편, 상기 개스킷(G)을 흡착하기 이전에, 개스킷(G)이 일직선을 유지하며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122)을 역회전으로 일정 시간 동안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개스킷(G)이 흡착되기 전에 구동축(122)을 역회전 시킴으로써, 개스킷(G)의 적정 장력을 유지할 수 하여, 개스킷(G)을 정확히 흡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유닛(140)에 의해 개스킷(G)을 접합 대상물(10)에 대응된 길이로 절단하고(S13), 개스킷(G) 일단의 그립을 해제시킨다(S15). 여기서, 개스킷(G)의 절단하는 단계와 개스킷(G)의 그립을 해제하는 단계는 서로 순서가 뒤바뀔 수 있다.
한편, 개스킷(G)의 그립 해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헤드(138)를 개스킷(G)의 접착면을 따라 구름운동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동헤드(138)의 미끄럼운동이나 접착면의 상부로 직접 이동하면서 생기는 접착면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개스킷(G) 일단의 그립이 해제되면,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유닛, 커터부(142) 및 헤드부(130)를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왜냐하면, 상기 접합유닛(150)이 상하운동을 하면서 서로 부딪힐 수 있게 때문에, 상기 접합유닛(150)의 상승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와 함께, 본 실시예는 LCD 패널에서 네 개의 모서리를 접합하기 때문에, LCD 패널의 다른 측 모서리를 접합하는 접합유닛(157,159)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간도 고려하여 이러한 접합유닛(157,159)의 상승공간도 확보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개스킷(G)이 흡착된 접합유닛(150)은 상부로 이동하면서, 접합 대상물(10)에 개스킷(G)을 접합하는 단계를 거친다(S17).
그리고, 상기 접합유닛(150)의 진공발생이 해제되고, 접합유닛(150)만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개스킷(G)의 그립, 이송, 흡착 및 절단의 일련의 과정을 반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 접합장치 및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개스킷의 접합작업을 자동화시킨 장치로서, 헤드부를 고정헤드와 이동헤드로 구성하여 이동헤드의 회전에 의해 개스킷의 그립이 해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개스킷의 접착면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그립과 그립 해제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형필름이 없이 접착면이 직접 외부로 노출된 형태의 개스킷에 의해서도 자동으로 접합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접착면에 직접 닿는 이동헤드의 재질을 실리콘이나 테프론 등과 같이 잘 접합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하거나 표면에 이형코팅액을 도포함으로써, 개스킷 접착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개스킷을 그립하는 경우 이동헤드를 고정헤드의 경사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밀착되도록 구성하여, 개스킷이 하부로 쳐지지 않으면서 개스킷을 효과적으로 그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이형필름이 구비된 형태의 개스킷으로 접합작업을 하는 경우, 이형필름을 제거한 한 후에 개스킷의 흡착을 행하기 때문에, 개스킷의 흡착 후 이형필름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틀어짐이나 위치 오차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접합작업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장착유닛에서 보빈을 지지하는 축을 회전 구동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이송시 보빈을 이송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송에 따른 개스킷의 늘어짐이나 변형들을 방지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개스킷에 대해 접합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개스킷이 접합유닛에 흡착되기 이전에 장착유닛의 구동축이 일정 시간 동안 역방향으로 구동되도록 하여, 개스킷이 일직선으로 고르게 정렬된 상태로 흡착되어 접합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넷째, 개스킷의 일단을 이송하기 전에 이형필름을 우선 제거하기 때문에, 종전 이형필름과 같이 개스킷을 이송할 때 이형필림 제거를 위해 분리가이드를 별도로 뒤로 후진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나, 이형필름 제거를 위한 별도의 시간이 더 소요되는 문제점이 해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형필름 제거에 따른 시간소요를 줄여, 생산공정을 단순 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커팅유닛에서, 커터와 패드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일정 사용량이 지난 커터와 패드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드를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반복적인 절단과정에서 커터가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커터의 사용기간을 늘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1)

  1. 접합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유닛;
    개스킷이 권취된 보빈이 장착되는 장착유닛;
    상기 보빈에서 인출된 개스킷과 함께 이동하는 헤드부를 가지며, 상기 개스킷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개스킷을 상기 접합 대상물에 대응된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유닛; 및
    상기 개스킷을 흡착하며, 상기 커팅유닛에 의해 절단된 개스킷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접합 대상물에 상기 개스킷을 접합시키는 접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고정헤드 및 상기 고정헤드와 함께 상기 개스킷 일단을 선택적으로 그립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름운동에 의해 상기 개스킷 일단의 그립을 해제시키는 이동헤드를 포함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접합 대상물의 모서리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헤드는 단면이 원형인 롤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 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헤드는 소정 각도 기울어진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이동헤드의 일부와 대응된 형상의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헤드는 상기 경사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헤드의 표면은 상기 개스킷에 형성된 접착면과 접합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헤드의 표면은 실리콘과 테프론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헤드의 표면에는 소정의 코팅액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은 실리콘, 불소, 테프론 및 왁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유닛은 상기 보빈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유닛은,
    상기 보빈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지지축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보빈을 회전시키는 구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상기 개스킷이 상기 접합유닛에 흡착되기 이전에 상기 개스킷의 장력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역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유닛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이 상기 접합유닛에 흡착되기 이전에 상기 개스킷에 접합된 이형필름을 제거하는 필름제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제거유닛은,
    상기 이형필름의 경로를 안내하는 분리가이드; 및
    상기 분리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이형필름을 권취하는 회수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제거유닛은,
    상기 이형필름의 장력 크기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수롤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장력 크기에 따라 권취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개스킷을 절단하는 커터부; 및
    상기 커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패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는,
    커터; 및
    상기 커터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커터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접합장치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고무를 포함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유닛은 상기 개스킷을 흡착하기 위해 진공 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의 이동 경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개스킷의 장력을 조절하는 클램핑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의 헤드부, 커팅유닛 및 클램핑유닛은, 상기 접합유닛의 상승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접합유닛의 이동 전에 상기 접합유닛의 이동 공간 밖 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장치.
  26. 접합 대상물을 고정하는 단계;
    개스킷이 권취된 보빈을 장착하는 단계;
    고정헤드와 이동헤드를 포함하는 헤드부에 의해 상기 개스킷의 일단을 그립하는 단계;
    상기 헤드부를 이동하여 상기 보빈에서 인출된 개스킷을 이송하는 단계;
    상기 개스킷을 흡착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개스킷을 상기 접합 대상물에 대응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이동헤드를 회전시켜 구름운동에 의해 상기 개스킷 일단의 그립을 해제시키는 단계; 및
    절단된 개스킷을 이동하여 상기 접합 대상물에 상기 개스킷을 접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스킷 접합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헤드는 상기 경사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빈을 개스킷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이 상기 접합유닛에 흡착되기 이전에 상기 개스킷의 장력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보빈을 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이 상기 접합유닛에 흡착되기 이전에 상기 개스킷에 접합된 이형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이형필름의 장력 크기를 측정하여, 측정된 장력 크기에 따라 상기 이형필름을 회수하는 회수롤의 권취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접합방법.
KR1020060090715A 2006-09-19 2006-09-19 개스킷 접합장치 및 그 방법 KR100827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715A KR100827823B1 (ko) 2006-09-19 2006-09-19 개스킷 접합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715A KR100827823B1 (ko) 2006-09-19 2006-09-19 개스킷 접합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916A KR20080025916A (ko) 2008-03-24
KR100827823B1 true KR100827823B1 (ko) 2008-05-07

Family

ID=39413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715A KR100827823B1 (ko) 2006-09-19 2006-09-19 개스킷 접합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8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8022A (ja) * 1993-03-12 1994-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導電膜の貼着装置
KR970071053A (ko) * 1996-04-15 1997-11-07 구자홍 이방성도전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과 테이프형 전송패키지(Tape Carrier Package)의 부착장치
KR19980020107A (ko) * 1996-09-05 1998-06-25 김광호 이방성 도전막 부착기
KR20050070291A (ko) * 2003-12-30 2005-07-07 한동희 이방전도성필름 본딩장치
KR100611797B1 (ko) 2005-11-01 2006-08-11 주식회사 싸이텍 백라이트유닛 몰드 및 탑 새시의 자동 테이핑 장치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8022A (ja) * 1993-03-12 1994-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導電膜の貼着装置
KR970071053A (ko) * 1996-04-15 1997-11-07 구자홍 이방성도전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과 테이프형 전송패키지(Tape Carrier Package)의 부착장치
KR19980020107A (ko) * 1996-09-05 1998-06-25 김광호 이방성 도전막 부착기
KR20050070291A (ko) * 2003-12-30 2005-07-07 한동희 이방전도성필름 본딩장치
KR100611797B1 (ko) 2005-11-01 2006-08-11 주식회사 싸이텍 백라이트유닛 몰드 및 탑 새시의 자동 테이핑 장치 및 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916A (ko) 2008-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7935B2 (en) Adhesive-film exfolia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ing the device
US92899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eling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fabricat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JP4895240B2 (ja) フィルム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JP6706746B2 (ja) 接着シート貼り付け装置及び貼り付け方法
KR100857212B1 (ko) 개스킷 접합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63444A (ko) 필름 접착방법 및 그 장치
KR102172312B1 (ko) 접합 장치, 접합 방법, 광학 표시 디바이스의 생산 시스템 및 광학 표시 디바이스의 생산 방법
JP4105729B2 (ja) 偏光フィルムキャリア
CN216051318U (zh) 一种印刷品表面层附着力检测装置
TW201317116A (zh) 貼合裝置及貼合方法
KR100926979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엘시디모듈 제조용 패널 접합장치
KR100611797B1 (ko) 백라이트유닛 몰드 및 탑 새시의 자동 테이핑 장치 및 그방법
KR100827823B1 (ko) 개스킷 접합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17554A (ko) 도광판 라미네이팅 포장장치
CN113009725A (zh) 背光板双圆盘前段机
JP2017187515A (ja) 基板の貼合装置及び貼合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
KR101278197B1 (ko) 백라이트 유닛 제조장치의 필름공급장치
JP7286158B2 (ja) 貼り付け装置及び貼り付け方法
KR102331014B1 (ko) 필름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100857851B1 (ko) 개스킷 접합장치 및 그 방법
JP2006039238A (ja) 偏光板やarフィルム等の機能性フィルムの貼付装置
KR20200090134A (ko) 필름 접합 장비
JP2016065910A (ja) 基板の貼合装置及び貼合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
KR100871598B1 (ko) 백라이트유닛 프레임 테이핑 머신의 테이프 접착장치
KR20180005631A (ko) 금속성 재질의 컨베이어 라인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조에 필요한 필름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