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357B1 -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7357B1 KR100827357B1 KR1020070002022A KR20070002022A KR100827357B1 KR 100827357 B1 KR100827357 B1 KR 100827357B1 KR 1020070002022 A KR1020070002022 A KR 1020070002022A KR 20070002022 A KR20070002022 A KR 20070002022A KR 100827357 B1 KR100827357 B1 KR 1008273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boards
- main body
- wedge
- adjustment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 B23K2101/185—Tailored b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차진 두 판재를 용접하기에 앞서 판재의 표면에 어떠한 손상도 남기지 않고 두 판재의 단차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재 하부에서의 작업이 필요치 않아 판재 하부의 작업공간이 협소하거나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는, 단차진 두 판재중 높은 위치에 있는 판재의 상면에 안착되는 본체,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하단이 두 판재 사이로 삽입되어 낮은 위치에 있는 판재의 저면 가장자리에 걸리는 판재 상승부재, 및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어 판재 상승부재를 강제 상승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 판재 상승부재, 실린더
Description
도 1은 종래에 판재의 단차를 조정하는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2은 종래에 판재의 단차를 조정하는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종래에 판재의 단차를 조정하는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차 조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단차 조정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 선단면도.
도 8은 도 6의 B-B 선단면도.
도 9은 두 판재의 단차가 조정되기 전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에 의해 두 판재의 단차가 조정된 후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두 판재의 단차가 조정되기전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에 의해 두 판 재의 단차가 조정된 후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1′: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 10 : 본체
20, 80 : 판재 상승부재 30 : 유압실린더
40 : 편심캠 50 : 쐐기부재
60 : 스토퍼 볼트 70 : 커버
81 : 몸체부 82 : 연장부
90 : 쐐기
본 발명은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차진 두 판재를 용접하기에 앞서 판재의 표면에 어떠한 손상도 남기지 않고 단차진 두 판재의 단차를 조정하도록 된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건조시에는 작업의 용이성등을 이유로 구조물을 작은 단위로 분할하여 제작한 후 결합하게 된다.
이처럼, 작은 단위의 구조물을 제작한 후 서로 결합할 때에는 결합면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용접 등에 의해 결합하게 되는데, 작은 단위의 구조물들은 제작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오차와 용접 등에 의한 열변형 등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결합시 단위 구조물간에 단차가 발생되어 용접작업등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 게 된다.
따라서, 단위 구조물을 결합하여 대형구조물을 제작할 때 서로 맞대어지는 단위 구조물의 단차는 반드시 해소되어야 하며, 단위 구조물간의 단차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방식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판재(100)에 ㄱ자형으로 형성된 탭피스(110)의 일단을 용접하여 부착하고 탭피스(110)의 타단과 높은 위치에 있는 판재(120) 사이에 쐐기(130)를 억지끼움함으로써, 두 판재(100)(120)의 단차가 조정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판재(200)에 ㄱ자형으로 형성된 탭피스(210)의 일단을 용접하여 부착하고 탭피스(210)의 타단과 높은 위치에 있는 판재(220) 사이에 유압실린더(230)를 위치시킨 후 유압실린더(230)를 작동시킴으로써, 두 판재(200)(220)의 단차가 조정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방식은, 탭피스를 판재에 용접해야 하기 때문에 두 판재의 결합이 완료된 후 탭피스를 판재로부터 분리할 때 판재에 용접의 흔적이 남아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용접의 흔적을 지우기 위한 추가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므로 비용과 시간이 추가적으로 소요될 뿐만 아니라, 용접에 의해 탭피스의 표면이 손상되기 때문에 탭피스의 재사용이 불가하며 그로 인해 원가상승이 야기된다.
이와 같이 탭피스를 판재에 용접하는 방식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20-0274714호에는 판재에 직접적으로 용접하지 않아 작업 완료후 별 도의 보수작업이 필요치 않으며 종래의 탭피스처럼 한 번 사용하고 폐기하는 것이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블럭단차조정 치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블럭단차조정 치구는 주로 조선소 선박 건조시 블럭의 단차를 조정하기 위한 치구로서 발명되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받침대(300)가 블럭(310)(320)의 하부에서 끼워지게 되는 바, 선박처럼 구조물의 크기가 큰 경우 하부 받침대를 끼우기 위해 별도의 작업자가 필요하며, 블럭 하부의 작업공간이 협소하거나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는 하부 받침대를 끼우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차진 두 판재를 용접하기에 앞서 판재의 표면에 어떠한 손상도 남기지 않고 두 판재의 단차를 조정할 수 있는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재 하부에서의 작업이 필요치 않아 판재 하부의 작업공간이 협소하거나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는, 단차진 두 판재중 높은 위치에 있는 판재의 상면에 안착되는 본체,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하단이 두 판재 사이로 삽입되어 낮은 위치에 있는 판재의 저면 가장자리에 걸리는 판재 상승부재, 및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어 판재 상승부재를 강제 상승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판재 상승부재의 상부에는 실린더가 위치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하단부 전면에는 판재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두 판재의 좁은 틈새로 끼워질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경사면의 하단은 일측으로 절곡되어 판재의 가장자리 저면에 걸려 판재를 끌어올리도록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본체의 양측에는 본체로부터 판재 상승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 볼트가 각각 나사 결합되며, 판재 상승부재의 양측에는 스토퍼 볼트의 단부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본체의 전면부에는 판재 상승부재의 하강을 방지하는 편심캠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본체내에는 판재 상승부재의 하부와 함께 두 판재 사이에 끼워지는 쐐기부재가 판재 상승부재의 배면에 접촉된 상태로 스프링에 의해 탄설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차 조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단차 조정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 선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B-B 선단면도이고, 도 9은 두 판재의 단차가 조정되기 전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에 의해 두 판재의 단차가 조정된 후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1)는 서로 맞대어 결합되는 두 판재(2)(3)의 단차를 조정하는 것으로, 두 판재(2)(3)중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판재(2)의 상면에 안착되는 본체(10), 본체(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낮은 위치에 있는 판재(3)를 상승시키는 판재 상승부재(20), 본체(10)의 상면에 안착되어 판재 상승부재(20)를 상승시키는 유압실린더(30), 본체(10)의 전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판재 상승부재(20)의 하강을 방지하는 편심캠(40), 본체(10) 내에 설치되어 판재 상승부재(20)와 함께 두 판재(2)(3) 사이에 끼워지는 쐐기부재(50), 및 본체(10)의 상면에 안착되는 커버(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본체(10)에는 판재 상승부재(20) 하단부의 승강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쐐기부재(5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설치공간(10a)이 하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이 제1설치공간(10a)의 상측으로는 판재 상승부재(20)가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관통되는 상승부재 관통홀(10c)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10)의 양측 전면부에는 후술할 편심캠(40)이 설치되는 제2설치공간(10b)이 각각 형성되되, 각 제2설치공간(10b)의 후방측은 제1설치공간(10a)과 연 통되고 전방측은 본체(10)의 전면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양측에는 본체(10)로부터 판재 상승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 볼트(60)가 각각 나사 결합된다.
한편, 본체(10)의 전면부에는 작업자가 판재 상승부재(20)를 두 판재(2)(3) 사이에 끼워넣을 때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판재 상승부재(2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경사면(10d)이 형성된다.
전술한 판재 상승부재(20)는 본체(10)의 제1설치공간(10a) 및 상승부재 관통홀(10c)을 통해 본체(10)에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판재(3)를 끌어올린다.
이러한 판재 상승부재(20)의 상부에는 유압실린더(30)가 위치되는 중공(20a)이 형성되며, 하단부 전면에는 판재(3)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두 판재(2)(3)의 좁은 틈새로 끼워질 수 있도록 경사면(20b)이 형성되며, 경사면(20b)의 하단은 일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판재(3)의 가장자리 저면에 걸려 판재 상승부재(20) 상승시 판재(3)를 끌어올리게 된다.
이 때, 경사면(20b)으로 인해 판재 상승부재(20) 하단부의 두께가 하측으로 가면서 줄어듦으로써, 판재 상승부재(20)의 하단이 두 판재(2)(3) 사이에 용이하게 끼워지게 한다.
한편, 판재 상승부재(20)의 양측에는 본체(10)의 양측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스토퍼 볼트(60)의 단부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홈(20d)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처럼 스토퍼 볼트(60)가 볼트 삽입홈(20d)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스토퍼 볼트(60)를 풀지 않는한 판재 상승부재(20)는 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전술한 유압실린더(30)는 판재 상승부재(20)의 중공(20a)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10)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그 작동축(31) 단부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판재 상승부재(20)를 강제로 밀어 상승시키게 된다.
전술한 편심캠(40)은 본체(10)의 양측 전면부에 형성된 제2설치공간(10b) 내에 힌지(41)에 의해 각각 편심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짧은 쪽(이하, ‘단축’이라 함)이 하방에 위치되고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긴 쪽(이하, ‘장축’이라 함)이 상방에 위치되며, 제2설치공간(10b)의 바깥쪽으로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도록 된 누름부(40a)가 위치된다.
이 때, 편심캠(40)은 인장스프링(42)에 의해 탄지되는데, 인장스프링(42)의 일단은 제2설치공간(10b)의 천정에 연결되고 타단은 편심캠(40)의 누름부(40a) 측에 연결되어, 누름부(40a)를 누르지 않는 한 편심캠(40)은 판재 상승부재(20)의 측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판재 상승부재(20)를 하강시켜 그 하단부를 두 판재(2)(3) 사이로 끼워넣고자 하는 경우에는 누름부(40a)를 눌러 단축이 판재 상승부재(20)와 수직상태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판재 상승부재(20)와 편심캠(40)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게 되고, 판재 상승부재(20)는 자유롭게 하강하게 된다.
반대로, 유압실린더(30)를 작동시켜 두 판재(2)(3) 사이의 단차를 극복한 후에는 누름부(40a)를 누르지 않게 된다. 즉, 두 판재(2)(3) 사이의 단차를 해소하고 유압실린더(3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이를 해체하면 판재 상승부재(20)를 받치고 있던 힘이 해제되므로 판재 상승부재(20)는 하강하려고 하나 편심캠(40)의 장축이 판재 상승부재(20)의 전면과 밀착되면서 판재 상승부재(20)의 하강을 억지하게 된다.
한편, 판재 상승부재(20)와 접촉되는 편심캠(40)의 외측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미세한 줄무늬(너얼링) 가공하여 판재 상승부재(20)와의 마찰을 크게함으로써, 판재 상승부재(20)의 하강을 억지하는 억지력이 증대된다.
전술한 쐐기부재(50)는 두 판재(2)(3) 사이에 끼워지는 판재 상승부재(20)의 하단부가 두 판재(2)(3)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판재 상승부재(20)의 절곡부(20c)가 과다한 하중으로 인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본체(10)에 형성된 제1설치공간(10a) 내에서 판재 상승부재의 배면에 접촉된 상태로 스프링(51)에 의해 탄설된다.
이러한 쐐기부재(50)의 하부에는 판재 상승부재(20)에 형성된 경사면(20b)과 반대방향에 경사면(50a)이 형성됨으로써, 판재 상승부재(20)의 하단부가 두 판재(2)(3) 사이로 끼워지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판재(2)의 가장자리에 경사면에 밀착되어 판재 상승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커버(70)는 본체(10)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어 본체(10)의 상측에 위치되는 판재 상승부재(20) 및 유압실린더(30) 등을 보호한다. 이러한 커버(70)에는 손잡이(71)가 장착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52는 본체(10)의 양측부에 나사 결합되어 쐐기부재(50)가 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볼트이다. 그리고, 쐐기부재(50)의 양측면에는 스토퍼 볼트(52)의 단부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홈(미도시)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판재의 단자 조정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체(10)를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판재(2)의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편심캠(40)의 누름부(40a)를 누르면, 편심캠(40)의 단축이 판재 상승부재(20)와 수직으로 위치됨으로써, 판재 상승부재(2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그 하단부가 두 판재(2)(3) 사이에 끼워지며 경사면(20b)의 하단에 형성된 절곡부(20c)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판재(3)의 가장자리 저면에 걸리게 된다.
이처럼 판재 상승부재(20)의 하단부가 두 판재(2)(3) 사이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쐐기부재(50)도 함께 하강하여 두 판재(2)(3)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판재 상승부재(20)의 하단부가 두 판재(2)(3) 사이에 견고히 끼워진다. 이와 함께 편심캠(40)의 누름부(40a)를 누르고 있던 힘도 해제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단차 조정을 위한 준비작업이 완료되어 유압실린더(30)를 작동시키면 그 작동축(31)이 상승하면서 판재 상승부재(20)를 본체(10)에 대하여 강제 상승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판재(2)는 하강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판재(3)는 상승함에 따라 두 판재(2)(3)가 동일 수평면을 유지하여 단차를 극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두 판재(2)(3)의 단차가 조정된 후에는 유압실린더(30)를 해체하 게 되며, 유압실린더(30)의 해체후에는 판재 상승부재(20)의 측면에 밀착되는 편심캠(40)에 의해 판재 상승부재(20)의 하강이 방지되고, 나아가 두 판재(2)(3)는 계속해서 동일 수평면을 유지하게 된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단차 조정장치에 의해 두 판재(2)(3)의 단차가 조정되면 용접에 의해 두 판재(2)(3)가 일체로 결합되며, 용접작업이 완료되면 단차 조정장치(1)를 해체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단자 조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두 판재의 단차가 조정되기전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에 의해 두 판재의 단차가 조정된 후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단자 조정장치(1′)는, 두 판재(2)(3) 사이에 끼워져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판재(3)를 상승시키는 판재 상승부재(80), 및 판재 상승부재(80)를 상승시킴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판재(2)를 하강시키는 쐐기(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판재 상승부재(80)는, 중심측이 상방으로 돌출되고 양측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쐐기(90)에 의해 지지되는 몸체부(81), 및 몸체부(81)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단으로 가면서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연장부(82)로 구성된다.
이 때, 몸체부(81)의 타측은 쐐기(90)의 상면에 접촉되며, 연장부(82)의 하 단부는 두 판재(2)(3) 사이에 끼워진다.
그리고, 연장부(82)에는 쐐기(90)가 관통되는 쐐기 관통홀(82a)이 형성되고, 연장부(82)의 하단에는 일측으로 절곡된 절곡부(82b)가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판재(3)의 가장자리 저면에 걸리게 된다.
전술한 쐐기(90)는 판재 상승부재(20)의 쐐기 관통홀(82a)에 끼워져 판재 상승부재(20)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그 일측은 두께가 일정하며, 타측은 단부로 가면서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상면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쐐기(90)는 두께가 일정한 일측부터 판재 상승부재(20)의 쐐기 관통홀(82a)을 관통하게 되는 바,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는 타측이 판재 상승부재(20)의 몸체부(81) 타측과 접촉되면 몸체부(81)가 상대적으로 쐐기(90)의 상향 경사진 타측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판재(3)가 상승함과 동시에 높은 위치에 있는 판재(2)는 하강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판재 상승부재(20)의 연장부(82)를 두 판재(2)(3) 사이에 끼워넣은 후, 쐐기(90)를 일측부터 쐐기 관통홀(82a) 내로 삽입한다.
이 때, 쐐기(90)는 두께가 일정한 일측은 용이하게 삽입되지만 두께가 두꺼워지는 타측의 경우 용이하게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해머로 쳐서 삽입한다.
해머로 쐐기(90)의 타측을 가압하여 쐐기(90)를 쐐기 관통홀(82a) 내로 계속 해서 삽입하면, 쐐기(90)의 타측 상면에 접촉되는 몸체부(81)의 타측이 쐐기(90)의 경사진 타측 상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판재(2)는 하강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판재(3)는 상승함으로써 두 판재(2)(3) 사이의 단차가 해소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두 판재(2)(3) 사이의 단차가 해소된 상태에서 용접을 하게 되는데, 용접을 하는 과정에서는 쐐기(90)를 빼지 않고 그대로 두어 두 판재(2)(3) 사이의 단차를 계속해서 유지시켜야만 용접작업이 원활히 진행된다.
용접작업이 거의 완료되면, 쐐기(90)의 일측을 해머로 쳐서 쐐기 관통홀(82a)로부터 분리한 후, 판재 상승부재(20)의 연장부(82)를 두 판재(2)(3) 사이로부터 탈거시킨 다음, 연장부(82)가 끼워져 있던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두 판재(2)(3)의 용접작업이 모두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에 따르면, 단차진 두 판재를 용접하기에 앞서 판재의 표면에 어떠한 손상도 남기지 않고 두 판재의 단차를 조정할 수 있으며, 파손되지 않는 한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판재의 단차 조정작업이 판재의 상부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판재 하부에서의 작업이 필요치 않아 판재 하부의 작업공간이 협소하거나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도 용이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Claims (5)
- 단차진 두 판재(2)(3)중 높은 위치에 있는 판재(2)의 상면에 안착되는 본체(10);상기 본체(10)에 승강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하단이 두 판재(2)(3) 사이로 삽입되어 낮은 위치에 있는 판재(3)의 저면 가장자리에 걸리는 판재 상승부재(20); 및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판재 상승부재(20)를 강제 상승시키는 실린더(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판재 상승부재(20)의 상부에는 상기 실린더(30)가 위치되는 중공(20a)이 형성되며, 하단부 전면에는 상기 판재(3)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상기 두 판재(2)(3)의 좁은 틈새로 끼워질 수 있도록 경사면(20b)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20b)의 하단은 일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판재(3)의 가장자리 저면에 걸려 판재(3)를 끌어올리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10)의 양측에는 본체(10)로부터 상기 판재 상승부재(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볼트(60)가 각각 나사 결합되며, 상기 판재 상승부재(20) 의 양측에는 상기 스토퍼 볼트(60)의 단부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홈(20d)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10)의 전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판재 상승부재(20)의 하강을 방지하는 편심캠(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10)내에서 상기 판재 상승부재(20)의 배면에 접촉된 상태로 스프링(51)에 의해 탄설되어 상기 판재 상승부재(20)의 하부와 함께 상기 두 판재(2)(3) 사이에 끼워지는 쐐기부재(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2022A KR100827357B1 (ko) | 2007-01-08 | 2007-01-08 |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2022A KR100827357B1 (ko) | 2007-01-08 | 2007-01-08 |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27357B1 true KR100827357B1 (ko) | 2008-05-07 |
Family
ID=39649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2022A KR100827357B1 (ko) | 2007-01-08 | 2007-01-08 |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735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43270A (zh) * | 2021-12-08 | 2022-02-15 | 昆山美吉富精密机械有限公司 | 一种自动调位置型定位装置 |
CN114713985A (zh) * | 2022-05-24 | 2022-07-08 | 张维 | 一种不等厚钢板准填丝激光拼焊专用数控机床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160399U (ko) | 1975-06-14 | 1976-12-20 | ||
JPS56122598U (ko) | 1980-02-18 | 1981-09-18 | ||
KR200294077Y1 (ko) | 2002-07-04 | 2002-11-0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블럭단차 조정치구 |
KR200315513Y1 (ko) | 2003-02-20 | 2003-06-0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끝단 맞춤용 치구 |
KR200340971Y1 (ko) | 2003-10-30 | 2004-02-0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종통재 단차 조정용 치구 |
-
2007
- 2007-01-08 KR KR1020070002022A patent/KR10082735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160399U (ko) | 1975-06-14 | 1976-12-20 | ||
JPS56122598U (ko) | 1980-02-18 | 1981-09-18 | ||
KR200294077Y1 (ko) | 2002-07-04 | 2002-11-0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블럭단차 조정치구 |
KR200315513Y1 (ko) | 2003-02-20 | 2003-06-0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끝단 맞춤용 치구 |
KR200340971Y1 (ko) | 2003-10-30 | 2004-02-0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종통재 단차 조정용 치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43270A (zh) * | 2021-12-08 | 2022-02-15 | 昆山美吉富精密机械有限公司 | 一种自动调位置型定位装置 |
CN114713985A (zh) * | 2022-05-24 | 2022-07-08 | 张维 | 一种不等厚钢板准填丝激光拼焊专用数控机床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27357B1 (ko) | 판재의 단차 조정장치 | |
KR20090121155A (ko) |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 | |
KR200355424Y1 (ko) |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 | |
KR20050102795A (ko) |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 | |
JP2019089644A (ja) |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 |
EP1647512B1 (en) | Working scaffold system of elevator | |
CN216019737U (zh) | 一种升降展示台的调平结构及教学桌 | |
KR200405258Y1 (ko) | 분리형 상부 플레이트를 갖는 오일레스베어링 | |
KR20060107874A (ko) |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 | |
CN215666792U (zh) | 一种配重组件和工程机械 | |
CN108792906B (zh) | 电梯对重框的加强件安装辅助装置和加强件安装方法 | |
CN218708533U (zh) | 一种用于多点吊装过程的固定组件 | |
CN213114333U (zh) | 一种叠合梁钢混衔接微调装置 | |
JPS6137333A (ja) | プレス金型装置 | |
CN211939955U (zh) | 一种人防门门框铰耳钻孔装置 | |
JP3857282B2 (ja) | 荷受台昇降装置における荷受台の最上昇位置決め装置 | |
CN219885380U (zh) | 一种电梯顶门器 | |
CN214519644U (zh) | 一种喷砂固定治具 | |
CN216516771U (zh) | 一种建筑施工用装配式升降架 | |
CN215323221U (zh) | 一种高处作业平台 | |
CN213626550U (zh) | 一种新型安全作业钢平台 | |
CN221658607U (zh) | 用于对电池壳定位的定位装置 | |
CN219929304U (zh) | 一种电梯层门板的试验框架 | |
JP3641654B2 (ja) | 鉄骨建入直し調整治具 | |
CN217025093U (zh) | 一种焦炉水封盖提升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