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834B1 - 소음방지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음방지 바닥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소음방지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음방지 바닥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834B1
KR100826834B1 KR1020080011093A KR20080011093A KR100826834B1 KR 100826834 B1 KR100826834 B1 KR 100826834B1 KR 1020080011093 A KR1020080011093 A KR 1020080011093A KR 20080011093 A KR20080011093 A KR 20080011093A KR 100826834 B1 KR100826834 B1 KR 100826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atio
noise
weight
bisphenol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동
Original Assignee
김영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동 filed Critical 김영동
Priority to KR1020080011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6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 C08G59/686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45Sulf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 및 소음방지를 위한 소음방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음방지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60℃로 형성되어 있는 자켓에 비스페놀A계 액상에폭시 수지 38 ∼ 42중량비, 텍사놀 4 ∼ 4.5중량비, 무정형 침강 실리카 6 ∼ 8중량비, 중질탄산칼슘 20 ∼ 25중량비, 황산바륨 18 ∼ 22중량비를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시키고, 상기 혼합된 조성물에 안료제 2.2 ∼ 6.36중량비와 점도조정제 5.6 ∼ 6.6중량비를 동시에 혼합시킨 후 소포제 0.08 ∼ 0.12중량비와 레벨링제 0.08 ∼ 0.12중량비를 추가로 더 혼합시켜 형성한 주제와 경화제의 중량비를 6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소음방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음방지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프라이머 및 라이닝 레진몰탈 도포 후, 소음방지 조성물을 흙손이나 고무레기 및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하기 때문에, 시공시 분진이 발생하지 않아 주변환경의 오염방지 및 시공 후 청소도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점도조정제를 이용하여 점도를 높이지 않더라도 칙소성이 생기기 때문에 롤러나 흙손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도 손쉽게 도포가 가능하며, 특히, 고점도가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두께로 도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1회 작업만으로도 충분히 시공이 이루질 수 있어 작업공정의 단축 및 시공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특히 요철형상을 레벨링제를 이용하여 둥글게 형성시킴으로써, 관리시 청소의 용이함 및 미끄럼 방지, 소음방지의 효과가 탁월한 장점이 있다.
소음방지, 미끄럼 방지, 바닥제

Description

소음방지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음방지 바닥 시공방법{Noise prevention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 및 소음방지를 위한 소음방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음방지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프라이머 및 라이닝 레진몰탈 도포 후, 소음방지 조성물을 흙손이나 고무 레기 및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하기 때문에, 시공시 분진이 발생하지 않아 주변환경의 오염방지 및 시공 후 청소도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점도조정제를 이용하여 점도를 높이지 않더라도 칙소성이 생기기 때문에 롤러나 흙손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도 손쉽게 도포가 가능하며, 특히, 고점도가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두께로 도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1회 작업만으로도 충분히 시공이 이루질 수 있어 작업공정의 단축 및 시공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아울러, 요철형상을 레벨링제를 이용하여 둥글게 형성시킴으로써, 관리시 청소의 용이함 및 미끄럼 방지, 소음방지의 효과가 탁월한 소음방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음방지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료형 소음방지 조성물의 종류는 에폭시계, 우레탄계, 아크릴계 등으로 다양한 형태로 제조하고 있다.
한편, 지하주차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소음방지 및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소음방지 조성물을 이용한 바닥시공을 하고 있다.
종래의 소음방지 바닥시공은 프라이머 및 라이닝레진몰탈 작업 후 신나와 같은 유기용제를 포함한 수지조성물 또는 무용제를 포함한 수지조성물을 골고루 도포한 상태에서 소음방지재를 뿌린 후 코팅작업을 스프레이나 롤러와 같은 작업도구를 사용하여 도포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소음방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지하주차장 등과 같은 장소에 시공하는 종래의 방법은 시공시 신나와 같은 유기용제에 의해 발생하는 유독성 냄새로 인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없었으며, 특히,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소음방지 조성물은 환경을 훼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용제를 포함하는 소음방지 조성물의 경우 도포 두께를 조절하지 못함으로써 요철형상을 제대로 형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소음방지 및 미끄럼 방지 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는 형태로 시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음방지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음방지 바닥 시공방법은 60℃로 형성되어 있는 재킷에 비스페놀A계 액상 에폭시 수지 38 ∼ 42중량비, 텍사놀 4 ∼ 4.5중량비, 무정형 침강 실리카 6 ∼ 8중량비, 중질탄산칼슘 20 ∼ 25중량비, 황산바륨 18 ∼ 22중량비를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시키고, 상기 혼합된 조성물에 안료제 2.2 ∼ 6.36중량비와 점도조정제 5.6 ∼ 6.6중량비를 동시에 혼합시킨 후 소포제 0.08 ∼ 0.12중량비와 레벨링제 0.08 ∼ 0.12중량비를 추가로 더 혼합시켜 형성한 주제와 경화제의 중량비를 6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소음방지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음방지 바닥 시공방 법은 프라이머 및 라이닝 레진몰탈 도포 후, 소음방지 조성물을 흙손이나 고무 레기 및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하기 때문에, 시공시 분진이 발생하지 않아 주변환경의 오염방지 및 시공 후 청소도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점도조정제를 이용하여 점도를 높이지 않더라도 칙소성이 생기기 때문에 롤러나 흙손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도 손쉽게 도포가 가능하며, 특히, 고점도가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두께로 도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1회 작업만으로도 충분히 시공이 이루질 수 있어 작업공정의 단축 및 시공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요철형상을 레벨링제를 이용하여 둥글게 형성시킴으로써, 관리시 청소의 용이함 및 미끄럼 방지, 소음방지의 효과가 탁월한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60℃로 형성되어 있는 재킷에 비스페놀A계 액상 에폭시 수지 38 ∼ 42중량비, 텍사놀 4 ∼ 4.5중량비, 무정형 침강 실리카 6 ∼ 8중량비, 중질탄산칼슘 20 ∼ 25중량비, 황산바륨 18 ∼ 22중량비를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시키고, 상기 혼합된 조성물에 안료제 2.2 ∼ 6.36중량비와 점도조정제 5.6 ∼ 6.6중량비를 동시에 혼합시킨 후 소포제 0.08 ∼ 0.12중량비와 레벨링제 0.08 ∼ 0.12중량비를 추가로 더 혼합시켜 형성한 주제와 경화제의 중량비를 6 : 1의 비율로 혼합시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경화제는 60℃로 형성되어 있는 재킷에 아민계 경화제 78 ∼ 90중량비, 비스페놀A계 액상에폭시수지 5 ∼ 8중량비, 경화촉진제인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3 ∼ 5중량비를 섞어 혼합시킨 상태에서 믹서를 통해 발열시킨 후, 기타첨가물(고비점 알콜 1 ∼ 2중량비, 유동성조정 첨가제 1 ∼ 2중량비)을 다시 한번 혼합시켜 형성하며, 이때에, 상기 경화제에 사용하는 아민계는 시공하는 계절에 따라 폴리에스테르아민, 이소포론디아민, 메타크실렌디아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계절이나 지역에 따라 작업시 주위의 온도의 변화가 심하더라도 본 발명의 소음방지 조성물의 경화속도나 점도, 유동성을 조절하여 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기온이 20℃ 이상일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아민과 비스페놀A계 에폭시 수지의 아덕트 타입을 사용하고, 촉진제로는 2,4,5-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을 사용하여 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온이 5 ∼ 20℃일 경우에는 이소포론디아민을 사용하나 경화가 늦는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메탈크실렌디아민과 비스페놀A계 에폭시 수지를 아덕트하여 사용하게 되면 빠른 경화물질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건조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기온이 5℃ 이하 일 때에는 메타크실렌디아민을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메타크실렌디아민은 벤젠핵에 메틸렌기를 끼운 1급 아미노기를 2개 가진 대표적인 아민으로서, 비스페놀A계 에폭시 수지와 경화반응이 뛰어나고 광택 등 표면이 양호한 저온속경화제이다.
한편, 주제 중 상기 비스페놀A계 액상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A와 에피크로로 히드린을 60 ∼ 120℃에서 수산화나트륨 등의 촉매를 사용하여 형성하되, 비스페놀A와 에피크로로 히드린의 배합량, 반응조건을 변경시켜 평균 분자량이 350 ∼ 20,000인 액상에서 고형수지를 얻는다.
본 발명에서의 비스페놀A계 액상 에폭시 수지는 당량이 180 ∼ 190, 점도가 11,500 ∼ 13,500Cps이고 비중이 1.17이 되도록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주제 중 텍사놀은 2,2,4 트리메틸-1,3-펜탄디올모노이소부티레이트로 이소부틸알루데히드를 알칼리 촉매하에 3분자 결합시켜서 제조한 원료로 에스트레알콜류의 하나로서, 비점이 248℃, 점도 16.2Cps인 고비점 희석제이다.
이러한 텍사놀은 라텍스 및 에멀젼 도료의 조막조제나 가소제(연질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점도저하 및 강도성을 높이면서 가소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원료이다.
그리고 주제 중 상기 무정형 침강 실리카는 침전법에 의해 제조된 함수 실리카로서, 내마모성이 뛰어남은 물론 이거니와 도료의 흐름성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정형 침강 실리카는 마모가 이루어진 후에도 환경오염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국가에서 이용되는 있는 실정이다.
또한, 주제 중 탄산칼슘은 석회석에 착색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조쇄하여 분쇄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탄산칼슘은 주로 고무, 플라스틱, 페인트, 제지, 사료, 유리, 시멘트, 의약품, 화장품, 식품첨가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나 본 발명에서는 체질안료로서 도료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한다.
그리고 주제 중 황산바륨의 경우에는 체질안료로서 은폐력이 뛰어나 제지, 엑스선, 조영제, 고무, 수지용 충전제, 인쇄잉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중정석을 기계적으로 분쇄하여 분급하여 탈철한 것을 사용한다.
한편, 주제 중 안료제는 비스페놀A계 2 ∼ 2.2중량비, 루틸형 이산화티탄 0.1 ∼ 2중량비, 각종 안료 0.1 ∼ 2중량비, 제1 분산제 0.05 ∼ 0.08중량비, 제2 분산제 0.05 ∼ 0.08중량비를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시킨 후 3회 분쇄하여 제조하며, 이때에 상기 각종 안료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색상의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제 중 점도조정제는 유동성 조정첨가제 1.6 ∼ 2중량비, 고비점알콜 4 ∼ 4.4중량비를 혼합시켜 제조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주제를 이루는 점도조정제 중 유동성 조정첨가제는 주요성분이 변성우레아 용액으로 도료에 혼합된 후 3차원 구조를 형성하여, 가점도 및 요변성을 부여함으로써 침전 및 흐름을 방지(칙소성)하며, 특히 요철형상을 만드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유동성 조정첨가제는 액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별도의 온도조절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제조 후 바로 사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유동성 조정첨가제는 마감공정에도 투입이 가능하다.
또한, 주제를 이루는 점도조정제 중 고비점알콜은 무색투명한 중성반응을 나타내는 액체로 자스민, 월하향이 나는 크림향료로도 널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염화벤질을 원료로 자비(煮沸)분해한 알콜을 희석제로 사용하여 점도 조절을 한다.
상기와 같은 유동성 조정첨가제와 고비점알콜의 반응으로 도료 내의 침상구조를 형성하여, 액상 에폭시수지가 칙소성(흐름 저하)이 생기도록 함으로써, 액상 에폭시수지에 유기용제를 희석제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와 같은 칙소성을 형성하기 때문에, 액상 에폭시수지의 점도를 높이지 않더라도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점도가 낮기 때문에 롤러와 같은 도구로도 요철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주제 중 소포제는 기포를 파괴하는 폴리실록산 용액(비상용 물질)으로 적은 양으로도 탁월한 소포성을 부여하여 할 수 있으며, 최상의 소포효과를 얻기 위해 분산공정 이전에 투입해야 한다.
그리고 주제 중 레벨링제는 표면장력 저하효과가 약한 실리콘계 중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메틸알콜실록산 용액으로 소포특성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비극성에서 중극성을 갖는 도료에 적절하며, 특히, 도료의 극성이 높을수록 소포레벨링 효과가 높아진다.
이러한 레벨링제는 도료의 요철모양을 반달형으로 동그랗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화물질은 무용제 타입으로 내열성, 내습성, 인성, 내산성, 내용제성, 내구성 등이 우수하며, 경화 후 에는 반영구적인 물질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소음방지 조성물을 이용한 소음방지 바닥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방지를 하기 위한 콘크리트 층 상측으로 프라이머 및 라이닝 레진몰탈을 도포한다.
그런 후, 상기 라이닝 레진몰탈의 상측으로 전술한 주제와 경화제를 6 : 1로 혼합한 소음방지재를 배치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소음방지 조성물을 통상의 흙손이나 고무 레기를 이용하여 전체면적에 골고루 도포를 한다.
상기와 같이 골고루 도포된 소음방지 조성물을 롤러를 이용하여 다짐작업을 하여 시공이 완료되는데, 이때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을 1회만 시행함으로써 시공이 완전히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다짐작업에 이용하는 롤러는 벌집롤러, 무늬롤러, 털롤러 중 어느 하나의 롤러를 이용하여 할 수 있으며, 이때에 상기 롤러에 의해 다져지는 소음방지 조성물은 롤러의 형상에 의해 요철형상을 형성하게 되며, 이때에, 상기 요철은 1 ∼5mm의 크기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시공된 후에 12시간 후면 차량통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방지 조성물의 경화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방지 조성물의 주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소음방지 조성물을 이용한 소음방지 바닥을 시공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Claims (9)

  1. 주제와 경화제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시켜 형성하는 소음방지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60℃로 형성되어 있는 재킷에 비스페놀A계 액상 에폭시 수지 38 ∼ 42중량비, 텍사놀 4 ∼ 4.5중량비, 무정형 침강 실리카 6 ∼ 8중량비, 중질탄산칼슘 20 ∼ 25중량비, 황산바륨 18 ∼ 22중량비를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시키고, 상기 혼합된 조성물에 안료제 2.2 ∼ 6.36중량비와 점도조정제 5.6 ∼ 6.6중량비를 동시에 혼합시킨 후 소포제 0.08 ∼ 0.12중량비와 레벨링제 0.08 ∼ 0.12중량비를 추가로 더 혼합시켜 형성한 주제와 경화제의 중량비를 6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소음방지 조성물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페놀A계 액상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A와 에피크로로 히드린을 60 ∼ 120℃에서 수산화나트륨 등의 촉매를 사용하여 형성하되, 비스페놀A와 에피크로로의 배합량, 반응조건을 변경시켜 평균 분자량이 350 ∼ 20,000, 당량이 180 ∼ 190, 점도가 11,500 ∼ 13,500Cps이고, 비중이 1.17로 형성되도록 제조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소음방지 조성물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제는 비스페놀A계 2 ∼ 2.2중량비, 루틸형 이산화티탄 0.1 ∼ 2중량비, 각종 안료 0.1 ∼ 2중량비, 제1 분산제 0.05 ∼ 0.08중량 비, 제2 분산제 0.05 ∼ 0.08중량비를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시킨 후 3회 분쇄하여 제조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소음방지 조성물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조정제는 유동성 조정첨가제 1.6 ∼ 2중량비, 고비점알콜 4 ∼ 4.4중량비를 혼합시켜 제조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소음방지 조성물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아민계 경화제 78 ∼ 90중량비, 비스페놀A계 액상에폭시수지 5 ∼ 8중량비, 경화촉진제인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3 ∼ 5중량비를 섞어 혼합시킨 상태에서 믹서를 통해 발열시킨 후, 기타첨가물을 혼합시켜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소음방지 조성물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의 아민계는 시공하는 계절에 따라 폴리에스테르아민, 이소포론디아민, 메타크실렌디아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소음방지 조성물 제조방법.
  7. 소음을 방지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층의 상측으로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상기 프라이머의 상측으로 라이닝 레진몰탈을 더 도포한 후 소음방지재를 도포하는 소음방지 바닥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 레진몰탈의 상측으로 60℃로 형성되어 있는 재킷에 비스페놀A 계 액상에폭시 수지 38 ∼ 42중량비, 텍사놀 4 ∼ 4.5중량비, 무정형 침강 실리카 6 ∼ 8중량비, 중질탄산칼슘 20 ∼ 25중량비, 황산바륨 18 ∼ 22중량비를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시키고, 상기 혼합된 조성물에 안료제 2.2 ∼ 6.36중량비와 점도조정제 5.6 ∼ 6.6중량비를 동시에 혼합시킨 후 소포제 0.08 ∼ 0.12중량비와 레벨링제 0.08 ∼ 0.12중량비를 추가로 더 혼합시켜 형성한 주제와 60℃로 형성되어 있는 재킷에 아민계 경화제 78 ∼ 90중량비, 비스페놀A계 액상 에폭시수지 5 ∼ 8중량비, 경화촉진제인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을 섞어 혼합시킨 상태에서 믹서를 통해 발열시킨 후, 기타첨가물을 섞어 다시 한번 혼합시켜 형성한 경화제를 6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형성시킨 소음방지재를 바닥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소음방지재를 흙손이나 고무 레기로 전체면적에 골고루 도포한 후, 롤러를 이용하여 다짐작업을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소음방지 바닥 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작업에 사용하는 롤러는 벌집롤러, 무늬롤러, 털롤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다짐작업을 하되, 상기 롤러에 의해 다져지는 소음방지재의 표면이 요철형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소음방지 바닥 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작업에서 형성하는 요철의 크기는 1 ∼ 5mm인 것에 특징이 있는 소음방지 바닥 시공방법.
KR1020080011093A 2008-02-04 2008-02-04 소음방지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음방지 바닥시공방법 KR100826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093A KR100826834B1 (ko) 2008-02-04 2008-02-04 소음방지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음방지 바닥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093A KR100826834B1 (ko) 2008-02-04 2008-02-04 소음방지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음방지 바닥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6834B1 true KR100826834B1 (ko) 2008-05-02

Family

ID=3964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093A KR100826834B1 (ko) 2008-02-04 2008-02-04 소음방지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음방지 바닥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8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920B1 (ko) 2008-10-13 2009-01-23 김영동 도로용 논슬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KR101285869B1 (ko) 2012-06-07 2013-07-12 주식회사 엠 케이 우드 친환경 난연성 발포 데크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0598A (ja) 1997-09-12 1999-03-26 Asahi Corp 騒音防止用アンダーコート剤
KR20030053091A (ko) * 2001-12-22 2003-06-28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흡음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20040033313A1 (en) 2002-08-13 2004-02-19 Van Etten Holdings, Inc. Thermal insulating and acoustic absorption coating
WO2004108807A1 (ja) 2003-06-04 2004-12-16 Sunstar Giken Kabushiki Kaisha ペースト状加熱発泡充填材組成物および車体部材閉断面の充填遮音方法
KR20050104937A (ko) * 2004-04-30 2005-11-03 곽상운 층간 소음차단제, 방음재 및 이들을 이용한 방음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0598A (ja) 1997-09-12 1999-03-26 Asahi Corp 騒音防止用アンダーコート剤
KR20030053091A (ko) * 2001-12-22 2003-06-28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흡음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20040033313A1 (en) 2002-08-13 2004-02-19 Van Etten Holdings, Inc. Thermal insulating and acoustic absorption coating
WO2004108807A1 (ja) 2003-06-04 2004-12-16 Sunstar Giken Kabushiki Kaisha ペースト状加熱発泡充填材組成物および車体部材閉断面の充填遮音方法
KR20050104937A (ko) * 2004-04-30 2005-11-03 곽상운 층간 소음차단제, 방음재 및 이들을 이용한 방음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920B1 (ko) 2008-10-13 2009-01-23 김영동 도로용 논슬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KR101285869B1 (ko) 2012-06-07 2013-07-12 주식회사 엠 케이 우드 친환경 난연성 발포 데크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603B1 (ko) 아크릴 칼라칩을 포함한 화강석 문양 도료 조성물 및 그 이용방법
KR100478446B1 (ko) 건축용 수지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1073693B1 (ko) 친환경 바닥마감재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JP5420520B2 (ja) 模様面の形成方法
CN106675399A (zh) 一种可湿气固化的丙烯酸改性聚硅氧烷涂料及其制备方法
KR100826834B1 (ko) 소음방지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음방지 바닥시공방법
KR101263382B1 (ko) 친환경 수용성 에폭시 수지 몰탈 도막의 형성방법
KR100831095B1 (ko) 미끄럼방지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바닥 시공방법
KR20090059572A (ko) 내마모성 도로용 도료 조성물
JP4320675B2 (ja) 塗り目地用目地材及び塗り目地工法
JP2011025173A (ja) 模様面の形成方法
KR101370292B1 (ko) 유기질 재료와 무기질 재료를 이용한 친환경 유,무기 복합 바닥재 시공공법
JP2007209877A (ja) 装飾面の塗装仕上げ方法、及び装飾積層体
CN110117460A (zh) 水性抗滑抗磨耗涂料及其制备和施工方法
KR20070050604A (ko) 요철무늬를 갖는 내마모성 에폭시 바닥재 조성물 및 바닥재시공방법
JP5512945B2 (ja) 不燃用水系塗材組成物、仕上塗材及びその施工方法
JP4807772B2 (ja) アスファルト舗装表面の塗布材及びアスファルト舗装表面の処理方法
JP2005282128A (ja) 樹脂舗装及び樹脂舗装の表面を仕上げる方法
JP5232834B2 (ja) 模様面の形成方法
JP6013162B2 (ja) 壁面仕上げ方法
JP4895494B2 (ja) 模様面の形成方法
JP2007268499A (ja) 模様面の形成方法
JP5576011B2 (ja) 模様面の形成方法
JP5072409B2 (ja) 水性塗材
JP2007291837A (ja) 水系塗材組成物及びその施工方法並びにそれによる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