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670B1 - Ip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 - Google Patents

Ip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670B1
KR100826670B1 KR1020060113130A KR20060113130A KR100826670B1 KR 100826670 B1 KR100826670 B1 KR 100826670B1 KR 1020060113130 A KR1020060113130 A KR 1020060113130A KR 20060113130 A KR20060113130 A KR 20060113130A KR 100826670 B1 KR100826670 B1 KR 100826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tunneling
mobile terminal
termina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경열
권혜연
박애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13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670B1/ko
Priority to PCT/KR2007/005383 priority patent/WO2008060048A1/en
Priority to US12/515,209 priority patent/US2010023892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33Interconnection of networks using encapsulation techniques, e.g. tunne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IP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IP단의 소스가 공개되지 않은 운영 시스템(OS)을 탑재한 이동 단말의 IP 이동성(Mobility)을 지원하기 위해 모바일 IP를 사용하는 경우 디바이스 드라이버단(네트워크 드라이버단)에서 패킷 처리를 수행하여 이동 단말의 터널링을 구현하기 위한, IP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에 있어서, 방문망에 연결된 제 1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이 상기 방문망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로 터널링된 패킷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이 자신의 상위의 제 1 IP단으로 패킷을 전송하지 않고 패킷을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하여 수신지 주소가 매핑되어 있는 제 2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이 자신의 상위의 제 2 IP단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IP단의 소스가 공개되지 않은 운영 시스템(Closed-source OS)을 탑재한 이동 단말 등에 이용됨.
IP단의 소스가 공개되지 않은 운영 시스템, IP 이동성 지원, 이동 단말(이동 노드), 터널링, 모바일 IP, 디바이스 드라이버단(네트워크 드라이버단)

Description

IP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Method of tunneling of mobile terminal for supporting IP mobility}
도 1은 이동 단말의 IP(Internet Protocol) 이동성 보장을 위한 모바일 IP 의 기본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 내의 터널링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 스택과 패킷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홈망 내에서의 프로토콜 스택과 패킷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4는 이동 감지(Movement Detection) 시 홈망/방문망 판단 여부에 따른 각 디바이스의 IP 활성화 알고리즘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202 : IP 203, 204 : NDIS 드라이버
205 : NIC 206 : VD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 IP 이동성 보장을 위해 모바일 IP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함에 있어 터널링을 설정하는 경우 이동 단말의 터널링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P단의 소스가 공개되지 않은 운영 시스템(Closed-source OS)을 탑재한 이동 단말의 IP 이동성(Mobility)을 지원하기 위해 모바일 IP(Mobile IP)를 사용하는 경우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예 : 네트워크 드라이버단)에서 패킷 처리를 수행하여 이동 단말의 터널링(Tunneling)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동 단말의 IP(Internet Protocol) 이동성 보장을 위한 모바일 IP 의 기본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IP는 이동 노드(이동 단말, 101)의 IP 이동성 보장을 위해 이동 노드(101)의 이동 시 이동 노드(101)가 홈 에이전트(HA : Home Agent, 102)에 위치 이동 등록을 하고 홈 에이전트(HA : Home Agent, 102)가 이동 노드(101)로 가는 패킷을 해당 위치로 터널링해 주어 이동성을 보장해 주는 기술이다.
그에 따라, 이동 노드(이동 단말, 101)는 홈망(104)에서 사용하던 홈 주소(HoA)를 방문망(105)에서도 변함없이 사용하여 상대 노드(103)와 계속적인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이동 노드(101)는 모바일 IPv6와 CCoA(Collocated-Care-of-Address) 형태의 모바일 IPv4를 사용하는 경우 홈 에이전 트(HA : Home Agent, 102)와 패킷 전송을 위한 터널을 직접 생성해야 한다.
기존 기술에 있어서, 이러한 터널링을 구현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IP단에서 터널링을 처리하는 방식으로서, 운영 시스템의 소스 공개 여부에 따라 다음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먼저, 리눅스와 같이 운영 시스템의 소스가 공개된 시스템에서는 IP단에서 패킷을 검사하여 터널링된 패킷이 감지되면 패킷을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하고 직접 다른 IP단으로 넘겨주는 형태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윈도우즈와 같이 운영 시스템의 소스가 공개되지 않은 시스템에서는 IP단을 직접 조작하지 못하므로, 사용자 레벨에서 IP단의 패킷을 캡쳐하여 그 중 터널링된 패킷을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하여 다른 IP단으로 이동시켜주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패킷을 터널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도 동일한 동작 구조를 가진다.
전술한 기존의 터널링 방식 중 후자와 같이 운영 시스템의 소스가 공개되지 않은 시스템에서는 IP 패킷을 사용자 레벨에서 직접 캡쳐하여 처리해주어야 하므로 많은 시스템 부하 및 속도 측면에서 큰 비효율성이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IP단의 소스가 공개되지 않은 운영 시스템(OS)을 탑재한 이동 단말의 IP 이동성(Mobility)을 지원하기 위해 모바일 IP를 사용하는 경우 디바이스 드라이버단(네트워크 드라이버단)에 서 패킷 처리를 수행하여 이동 단말의 터널링을 구현하기 위한, IP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에 있어서, 방문망에 연결된 제 1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이 상기 방문망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로 터널링된 패킷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이 자신의 상위의 제 1 IP단으로 패킷을 전송하지 않고 패킷을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하여 수신지 주소가 매핑되어 있는 제 2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이 자신의 상위의 제 2 IP단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이 홈 주소를 이용하여 전달한 IP 패킷을 홈 주소가 매핑되어 있는 제 2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이 전달받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이 전달받은 패킷을 현재 터널링 종단점과 매핑되어 있는 제 1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이 전달받은 패킷을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여 자신의 하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IP단의 소스가 공개되지 않은 운영 시스템(Closed-source OS)을 탑재하고 있는 이동 단말에서의 터널링 방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모바일 IP를 사용하기 위해서 이동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이 항상 변하지 않는 IP 주소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구조 및 운영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 내의 터널링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 스택과 패킷의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터널링이 사용될 경우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과 패킷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IP단의 소스가 공개되지 않은 운영 시스템에 대해서도 새로운 하드웨어의 호환성을 위해 IP 계층의 하위 계층인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커널 함수 수준의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이러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특히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련 된 NDIS(Network Device Interface Specification) 드라이버(네트워크 드라이버)(203, 204)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터널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토콜 스택은 네트워크 1계층인 범용적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의미하는 NIC(Network Interface Card)(205)와 가상 디바이스(VD : Virtual Device, 206), 2계층의 네트워크 드라이버(디바이스 드라이버)인 NDIS 드라이버(203, 204), 및 3계층에 있어 이동 단말(이동 노드)의 홈 주소 IP(202)와 방문망에서 얻게 되는 의탁 주소(CoA : Care-of-Address)(20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이동 노드가 방문망(105)으로 이동 시 이동 단말(이동 노드)의 홈 주소는 가상 디바이스(206)의 IP 계층(202)에서 할당되어야 하며, 응용 프로그램은 항상 이 홈 주소를 기반으로 동작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이동 단말(이동 노드)로 들어오는(즉, 수신되는) 패킷에 대한 터널링의 구현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터널링을 통한 송/수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터널링의 수행 대상이 되는 터널링 내부 헤더의 IP 주소(수신지/송신지 IP 주소)와 터널링 외부 헤더에 사용되는 IP 주소(수신지/송신지 IP주소)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터널링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지정되어 질 수도 있고, 또는 터널링과 관련된 프로토콜의 신호 교환을 사용하여 설정되어 질 수도 있다. 모바일 IP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프로토콜 수행 시 생성되는 바인딩 리스트(Binding list)가 이용될 수 있다.
먼저, 방문망(105)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인 NIC(205)로 터널링된 패킷이 수신되면 NDIS 드라이버(203)에서 이를 감지한다.
여기서, 수신된 IP 패킷의 IP 헤더(header)를 검사하여 해당 패킷이 아이피-인-아이피(IP-in-IP)와 같이 터널링이 적용되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 패킷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터널링된 IP 패킷의 외부 헤더의 IP 주소가 터널링 정보에 존재하는 것인지 판단한다.
만약, 외부 헤더의 IP 주소가 터널링 정보에 존재하는 패킷인 경우, 상기 방문망(105)에 연결된 NDIS 드라이버(203)에서 상위 IP단(201)으로 패킷을 전송하지 않고 패킷을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한다.
그리고 상기 디캡슐레이션된 패킷의 수신지 주소를 확인하여 해당 주소가 매핑되어 있는 NDIS 드라이버(204)로 직접 전송한다.
이대, 패킷의 전송 방법으로는 해당 패킷을 상대 NDIS 드라이버(204)에 메모리 복사 또는 메모리 주소 전달 등을 통해 직접 포워딩하는 방법과, 상대 NDIS 드라이버(204)에 패킷 송신함수를 호출하여 전달하는 방법, 및 상대 IP단(202)에 패킷 송신함수를 호출하여 패킷을 상대 IP단(202)으로 직접 전달하는 방법 등이 있다.
여기서, 상기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과정은 패킷이 아이피-인-아이피(IP-in-IP) 터널을 통하여 터널링된 아이피-인-아이피(IP-in-IP) 형태의 패킷인 경우 단순 헤더 제거일 수 있고, 패킷이 IP 보안 프로토콜(IPSec : IP security protocol) 터널을 통하여 터널링된 IP 보안 프로토콜(IPSec : IP security protocol) 형태의 패킷인 경우 보안 관계(Security Association)를 통해 복호화하는 과정일 수 있다.
만약, 모바일 IP를 사용하는 경우 모바일 IP 프로토콜 구동 중에 생성된 바인딩 리스트(Binding list) 정보에 터널 외부 헤더의 송신지/수신지 주소와 내부 헤더의 수신지 주소를 포함하고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IP의 바인딩 리스트(Binding list)에는 홈 주소(Home address), HA 주소(Home Agent address), 의탁 주소(Care-of-address), 유효시간(Life time) 등이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서 수신된 터널링 패킷에 대해 홈 주소는 터널링 내부 헤더의 수신지 IP에 해당되고 의탁 주소는 터널링 외부 헤더의 수신지 IP에 해당되며 HA 주소는 터널링 외부 헤더의 송신지 IP에 해당된다. 터널링 내부 헤더의 송신지 IP는 패킷을 보낸 임의의 상대 노드(Corresponding node)의 IP일 수 있으므로 모바일 IP에 사용되는 터널링의 경우에는 터널링 내부 헤더의 송신지 IP를 따로 저장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상기 수신지 주소가 매핑되어 있는 NDIS 드라이버(204)가 상위 IP단(202)으로 패킷을 전송한다.
이 과정은 운영 시스템에서 관장하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패킷 송/수신 과정으로, 상기와 같이 NDIS 드라이버(204)가 패킷의 메모리 주소를 가지고 패킷 송신함수를 호출하여 상위 IP단(202)으로 패킷을 송신하게 된다.
한편, 터널링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동 단말(이동 노드)에서 송신되는 패킷도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을 통해 터널링 패킷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모바일 IP의 경우에는 역터널링(reverse-tunneling)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된 다. 이동 단말(이동 노드)에서 외부 기기(예 : 상대 노드)로 송신되는 패킷에 대한 터널링의 구현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인 운영 시스템의 IP 프로토콜 구동 메커니즘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이 홈 주소를 이용하여 전달한 IP 패킷이 IP단(202)에서 홈 주소가 매핑되어 있는 NDIS 드라이버(204)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상기 홈 주소가 매핑되어 있는 NDIS 드라이버(204)가 자신이 전달받은 패킷을 현재 터널링 종단점과 매핑되어 있는 NDIS 드라이버(203)로 전송한다.
여기서, 터널링의 수행 유무 판단 방법과 터널링 구성 방법 및 터널링 종단점과 매핑되어 있는 NDIS 드라이버(203)를 찾는 방법은, 전술한 터널링 정보를 이용한다. 즉, 송신 패킷의 IP 헤더를 검사하여 수신지/송신지 주소가 터널링 정보에 존재하는 경우에 터널링을 수행하며, 이때 터널링 외부 헤더의 송신지/수신지 주소는 터널링 정보에 기록된 IP 주소를 사용한다. 이후, 터널링 외부 헤더의 송신지 주소가 매핑되어있는 NDIS 드라이버(203)에 패킷을 송신한다.
만약, 모바일 IP를 사용하는 경우는 이동 단말과 HA가 1:1 터널링 관계가 아니고 이동 단말에서 HA를 통해 임의의 상대 노드와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이동 단말에서 홈 주소가 송신지 IP로 설정되어 나가는 모든 패킷에 대해서 터널링을 구성하여 전송하여야 한다. 이때도 모바일 IP 프로토콜 구동 중에 생성된 바인딩 리스트(Binding list)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송신지에 관계없이 홈 주소가 매핑된 IP단(202)에서 나오는 모든 패킷은 터널링의 대상이 된다. 이때, 의탁 주소는 터널링 외부 헤더의 송신지 IP에 사용되며 HA 주소는 터널링 외부 헤더의 수신지 IP에 사 용된다.
다음으로, 현재 터널링 종단점과 매핑되어 있는 NDIS 드라이버(203)가 전달받은 패킷을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여 하위의 NIC(205)를 통해 외부 기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패킷의 송신 방법은 상기에서 패킷 수신 시의 경우에 기술한 바와 유사하게 해당 패킷을 상대 NDIS 드라이버(203)에 메모리 복사 또는 메모리 주소 전달 등을 통해 직접 포워딩하는 방법과 상대 NDIS 드라이버(203)에 패킷 송신함수를 호출하여 전달하는 방법, 및 상대 NIC단(205)에 패킷 송신함수를 호출하여 패킷을 상대 NIC단(205)으로 직접 전달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과정은 패킷이 아이피-인-아이피(IP-in-IP) 형태인 경우 단순 헤더 첨가일 수 있고, IP 보안 프로토콜(IPSec : IP security protocol) 형태의 패킷인 경우 보안 관계(Security Association)를 통한 암호화 과정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홈망 내에서의 프로토콜 스택과 패킷의 일실시예 흐름도이고, 도 4는 이동 감지(Movement Detection) 시 홈망/방문망 판단 여부에 따른 각 디바이스의 IP 활성화 알고리즘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이동 단말이 이동 감지 시 홈망/방문망 판단 여부에 따라 홈망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IP와 가상 디바이스의 IP에 단말의 홈 주소를 할당하고 해제하는 메커니즘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이동 단말(이동 노드)은 이동 감지(Movement Detection)를 하면(401) 현재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즉, 연결되어 있는) 망이 홈망인지 아니면 방문망인지를 판단하여(402) 현재 망이 홈망으로 판단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주소를 홈망에 접속된 디바이스의 IP 계층(301)에 할당하고 가상 디바이스의 구동 없이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즉, 일단 홈망임이 확인되면 현재 홈망에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IP 계층(301)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고(403)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는 추가적인 작업 없이 작동하여 패킷을 송/수신한다(404).
한편, 상기 확인 결과(403), 현재 홈망에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IP 계층(301)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고 가상 디바이스(305)의 IP 계층(302)에 홈 주소가 할당되어 활성화되어 있다면, 가상 디바이스(305)의 IP(302)를 비활성화시키고 홈 주소를 홈망에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IP(301)로 가져와서 활성화시킨 후에(405) 패킷을 송/수신한다(404).
한편, 상기 판단 결과(402), 현재 방문망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가상 디바이스(305)의 IP 계층(302)에 홈 주소를 할당하고 활성화시키며, 만약 이전에 홈망에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에 홈 주소가 할당되어 있었다면 홈 디바이스의 IP(301)를 비활성화시킨 후에(406) 패킷을 송/수신한다(404).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롬, 램,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이 IP단의 소스가 공개되지 않은 운영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는 경우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예 : 네트워크 드라이버단)에서 패킷 처리를 수행하여 터널링을 구현함으로써, 속도 측면에서 효율적이고 시스템에 부하가 적은 터널링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IP단의 소스가 공개되지 않은 운영 시스템(OS)을 탑재한 이동 단말의 IP 이동성(Mobility)을 지원하기 위해 모바일 IP를 사용하는 경우 디바이스 드라이버단(네트워크 드라이버단)에서 패킷 처리를 수행하여 이동 단말의 터널링을 구현함으로써, 속도 및 부하 측면에서 효율적이고 융통성 있는 터널링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에 있어서,
    방문망에 연결된 제 1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이 상기 방문망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로 터널링된 패킷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이 자신의 상위의 제 1 IP단으로 패킷을 전송하지 않고 패킷을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하여 수신지 주소가 매핑되어 있는 제 2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이 자신의 상위의 제 2 IP단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P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과정은,
    패킷이 아이피-인-아이피(IP-in-IP) 형태의 패킷임에 따라 헤더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과정은,
    패킷이 IP 보안 프로토콜(IPSec : IP security protocol) 형태의 패킷임에 따라 보안 관계(Security Association)를 통해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
  4.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이 홈 주소를 이용하여 전달한 IP 패킷을 홈 주소가 매핑되어 있는 제 2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이 전달받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이 전달받은 패킷을 현재 터널링 종단점과 매핑되어 있는 제 1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 드라이버단이 전달받은 패킷을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여 자신의 하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P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과정은,
    패킷이 아이피-인-아이피(IP-in-IP) 형태의 패킷임에 따라 헤더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과정은,
    패킷이 IP 보안 프로토콜(IPSec : IP security protocol) 형태의 패킷임에 따라 보안 관계(Security Association)를 통하여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
KR1020060113130A 2006-11-16 2006-11-16 Ip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 KR100826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130A KR100826670B1 (ko) 2006-11-16 2006-11-16 Ip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
PCT/KR2007/005383 WO2008060048A1 (en) 2006-11-16 2007-10-30 Tunne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for supporting ip mobility
US12/515,209 US20100238923A1 (en) 2006-11-16 2007-10-30 Tunne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for supporting ip mo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130A KR100826670B1 (ko) 2006-11-16 2006-11-16 Ip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6670B1 true KR100826670B1 (ko) 2008-05-02

Family

ID=3940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130A KR100826670B1 (ko) 2006-11-16 2006-11-16 Ip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238923A1 (ko)
KR (1) KR100826670B1 (ko)
WO (1) WO20080600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0728B2 (en) * 2013-02-12 2017-06-13 Ixia Arrangements for monitoring network traffic on a cloud-computing environment and methods thereof
US10135702B2 (en) 2015-11-12 2018-11-20 Keysight Technologies Singapore (Holdings) Pte. Ltd.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testing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NFV)
US9967165B2 (en) 2015-12-07 2018-05-08 Keysight Technologies Singapore (Holdings) Pte. Ltd.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acket monitoring in a virtual environment
US11398968B2 (en) 2018-07-17 2022-07-26 Keysight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testing virtualized network functions and related infrastructure
US11323354B1 (en) 2020-10-09 2022-05-03 Keysight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network testing using switch emulation
US11483227B2 (en) 2020-10-13 2022-10-25 Keysight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active queue management
CN112565053B (zh) * 2020-12-01 2022-06-10 武汉绿色网络信息服务有限责任公司 识别私网用户的方法、装置、服务系统及存储介质
US11853254B1 (en) 2022-10-07 2023-12-26 Keysight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exposing data processing unit (DPU) traffic in a smartswitc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4854A (ja) 2003-08-12 2005-03-10 Kddi Corp モバイルipを用いた多重化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40180A (ko) * 2003-10-27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의 이동성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60088017A1 (en) 2004-10-25 2006-04-27 Fujitsu Limited Mobile network system
KR20060070246A (ko) * 2004-12-20 2006-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진 노드의 이기종 네트워크연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313498A (en) * 1996-10-23 1998-05-15 Infoglobal, S.L.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on of several physical media for data communications
US7181766B2 (en) * 2000-04-12 2007-02-20 Corente, Inc. Methods and system for providing network services using at least one processor interfacing a base network
JP4201466B2 (ja) * 2000-07-26 2008-12-24 富士通株式会社 モバイルip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vpnシステム及びvpnの設定方法
US7333482B2 (en) * 2000-12-22 2008-02-19 Interactive People Unplugged Ab Route optimization technique for mobile IP
US7155518B2 (en) * 2001-01-08 2006-12-26 Interactive People Unplugged Ab Extranet workgroup formation across multiple mobile virtual private networks
US7685317B2 (en) * 2002-09-30 2010-03-23 Intel Corporation Layering mobile and virtual private networks using dynamic IP address management
US7376133B2 (en) * 2003-10-16 2008-05-20 Alcatel-Lucent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in a network using a redundant switching architecture
US20050111454A1 (en) * 2003-11-25 2005-05-26 Narjala Ranjit S.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lligently and dynamically routing mobile internet protocol packets
US7478173B1 (en) * 2003-12-18 2009-01-13 Wmware, Inc.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 network connection in a virtual computer system
US20060120402A1 (en) * 2004-12-07 2006-06-08 Paul Gallant Method for running an X.25-based application on a second protocol-based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4854A (ja) 2003-08-12 2005-03-10 Kddi Corp モバイルipを用いた多重化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40180A (ko) * 2003-10-27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의 이동성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60088017A1 (en) 2004-10-25 2006-04-27 Fujitsu Limited Mobile network system
KR20060070246A (ko) * 2004-12-20 2006-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진 노드의 이기종 네트워크연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38923A1 (en) 2010-09-23
WO2008060048A1 (en) 200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6670B1 (ko) Ip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이동 단말의 터널링 방법
JP3593121B2 (ja) 移動インターネットのためのパケット伝送方法
US7486670B2 (en) Method for packet communication and computer program stored on computer readable medium
US9331980B2 (en) Secure in-band signaling method for mobility management crossing firewalls
JP2005514868A (ja) モバイルipにおいてネットワークアドレス変換トラバーサルをインプリメント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2160067A1 (en) Detection of the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used by the network
JP2010500782A (ja) モバイルipシステムにおけるパケットのルーティングを行うための方法と装置
AU200420986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 internet protocol (IP) version independent mobility management system
JP2007519339A (ja) IPv6ネットワークからのIPv4モビリティを実現する方法
EP1780977B1 (en) Method of route optimization with dual mobile node in IPV4-only network
US97875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 IP service through a network address translation gateway
US20070088853A1 (en)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IPv6 mobile node and IPv4-based node using DSTM in MIPv6 environment
JP2008546222A (ja) パケット転送制御方法及びパケット転送制御装置並びに通信ノード
JPWO2008132780A1 (ja) オーバレイ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モバイルノード並びにモバイルルータ
EP1947819A1 (en) Header reduction of data packets by route optimization procedure
KR20070055593A (ko) 직접 라우팅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359431B1 (ko)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시스템 및 그 라우팅 방법
ES2370667T3 (es) Método y aparato para uso en una red de comunicaciones.
US94328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routing data to a mobile node in a foreign network
JP5016030B2 (ja) デュアルスタック移動体ノードがIPv4ネットワーク中でローミング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US7593373B2 (en) Snoop-and-shortcut routing method for better mobility support on networks
JP5298540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データ送受信方法、及びデータ送受信プログラム
JP4705820B2 (ja) Icmpエラーパケット転送処理方法及びモバイルipエージェントシステム
NGUYEN State of the art of Mobility Protocols
EP2237629A1 (en) Multiple interface support in Proxy Mobile IPv6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