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652B1 -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bb 1501 균주 및 이를이용한 식물병의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bb 1501 균주 및 이를이용한 식물병의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652B1
KR100825652B1 KR1020060114933A KR20060114933A KR100825652B1 KR 100825652 B1 KR100825652 B1 KR 100825652B1 KR 1020060114933 A KR1020060114933 A KR 1020060114933A KR 20060114933 A KR20060114933 A KR 20060114933A KR 100825652 B1 KR100825652 B1 KR 100825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bb
strain
bacillus subtilis
powdery mildew
plant dis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수
박종성
이한영
정봉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to KR1020060114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25Bacillus subtilis ; Hay bacillus; Grass bacil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병 유발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는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DBB 1501 균주 (KFCC-11356P)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의 효과적인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BB 1501 균주 (Bacillus subtilis DBB 1501 strain)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조성물은 식물병 유발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는 효과적인 식물병 방제제인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특히 오이흰가루병, 딸기흰가루병, 참외흰가루병, 복숭아세균성구멍병, 인삼점무늬병 등에 60~85% 수준의 우수한 약효를 보여 친환경 생물농약으로서 적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BB 1501, 식물병, 방제

Description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BB 150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의 방제방법{Novel Bacillus subtilis DBB 1501 Strain and Biological Control Method of Plant Diseases Using the Strain}
도 1은 본 발명의 DBB 1501 균주의 16S rDNA 시퀀싱 결과를 보여주는 염기서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DBB 1501 균주의 분류계통도(phylogenetic tree)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DBB 1501 균주의 배양시간에 따른 균체 생장을 보여주는 생육곡선이다.
본 발명은 토양으로부터 분리 동정한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BB 1501 균주 (Bacillus subtilis DBB 1501 strain)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의 효과적인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병해충에 대한 방제방법은 크게 유기합성농약 등을 이용한 화학적 방제법과 천적 등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법으로 나눌 수 있다. 1900년대 초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유기합성농약은 근래까지 작물보호의 수단으로서 매우 유효하게 사용되어 식량 생산의 증대, 노동력 절감 등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최근들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농식품의 안전성, 생태계의 환경 악화 등이 크게 인식되면서 친환경적 작물 생산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합성농약에 대한 사회적 환경은 매우 엄격해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생물농약의 개발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생물을 포함하는 생물농약이란 미생물 자체를 직접 이용하거나 미생물을 포함한 제제를 이용하여 농작물에 해를 주는 곤충, 응애, 선충 등의 해충과 각종 식물병원균 또는 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제하는데 쓰이는 생물제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생물농약은 유기합성 농약에 비하여, 저독성으로 약해가 적으며 생태계에 영향이 적고 약제에 대한 내성이나 저항성 유발을 나타내지 않는 등의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한편, 약효 발현이 늦고 제품의 안정성 및 제조과정 상의 난점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생물농약으로는 미생물살충제, 미생물살균제, 미생물제초제 등이 있고, 아직까지 전체 농약시장에서 생물농약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낮으나, 효과적인 생물농약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Pseudomonas fluorescens PP-73 균주의 세포현탁 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무공해 농약(한국공개특허 제1998-0031044호), Streptomyces sp. AG-P 균주가 포함된 식물병 방제제(한국공개특허 제2002-0050672호), Bacillus circulans KLP1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생물제제(한국공개특허 제2003-0089846호), 살선충 활성을 갖는 Bacillus cereus Probio-32 균주(한국공개특허 제2003-0063956호), Bacillus stearothermophilus DL-3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원성 곰팡이의 생물학적 방제용 미생물제제(한국공개특허 제2004-0067492호), Lechevalieria aerocolonigenes VK-A9 균주를 함유하는 무공해 농약(한국공개특허 제2004-0080699호), Streptomyces sp. 균주 HRS-79를 함유하는 고추역병 방제용 농약 조성물(한국공개특허 제2005-0088019호), Streptomyces roseoflavus LS-A24 균주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살균제(한국공개특허 제2005-0072341호), Bacillus subtilis EW42-1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잔디의 주요병해를 일으키는 곰팡이성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미생물제제(한국공개특허 제2006-0060429호), Streptomyces koyangensis VK-A60 균주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살균제(한국공개특허 제2006-0016851호) 등이 개시되어 있고, 일부 작물에서 제한적으로 실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BB 1501 균주 (Bacillus subtilis DBB 1501 strain)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BB 1501 균주 (Bacillus subtilis DBB 1501 strain)를 이용한 식물병의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물병 유발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는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DBB 1501 균주 (미생물 기탁번호: KFCC-11356P)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의 효과적인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유발균에 대한 방제용 미생물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생물제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DBB 1501 균주는 배양배지로부터 직접 분리한 균주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배양액 또는 배양액을 건조한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미생물제제 조성물은 DBB 1501 균주를 액체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쳐 배양된 배양물을 건조하여 분말화하여 원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액체배양은 배지성분으로(w/v% 기준) glucose 0.1~10.0%, Yeast extract 0.1~10.0%, Soybean powder 0.1~10.0%, Corn steep liquor 0.1~10.0%, Ammonium sulfate 0.1~5.0%, Potassium phosphate(dibasic) 0.1~5.0%, Calcium carbonate 0.1~5.0%를 포함하여 조성된 액체배지를 사용하여, 배양조건은 배양량 600L로 배양조내 압력 0.1~0.7 ㎏/㎤, 통기량 0.1~1.0 v/v/m, 온도 25~35 ℃, pH 5.5~8.5로 조절하여 1.2KL fermenter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44시간 배양을 거친 배양물을 분무건조기(spray dryer) 또는 동결건조기(freeze dryer) 등을 이용하여 배양액을 분말화하여 DBB 1501 원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인 농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한 양태로서, 본 발명의 미생물제제 조성물은 상기 DBB 1501 원제 5.0~50.0%(w/w)와 전착제, 분산제, 습윤제 등의 계면활성제 0.1~20%(w/w), 증량제 10.0~80.0%(w/w), 보존제 0.1~10%(w/w), 무기염 0.1~10.0%(w/w)를 혼합한 후, 에어밀린(air milling) 또는 헤머밀링(hammer milling) 등을 통해 수화제(WP)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제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이 큰 물질로서 본 발명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DBB 1501 균주의 약효가 효과적으로 발현되도록 전착, 습윤, 분산 및 붕괴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계면활성제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전착제, 분산제, 습윤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제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증량제는 상기 계면활성제를 흡착 및 분산화시키고, 상기 조성물의 표면을 이루는 물질로 사용될 수 있으며, 미생물과 같은 유효성분 및 기타 보조성분들이 농약 조성물의 조성에서 적절한 비율로 함유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체 농약 조성물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증량제로는 소듐알기네이트, 젤라틴화 전분, 옥수수 전분, 대두박, 밀기울, 입상섬유질, 유안, 규조토,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탈크, 카올린, 파이로필라이트, 화이트카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제제 조성물이 액상수화제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증량제로는 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제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보존제는 미생물 농약 조성물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는 대두유, 이소프로필산포스페이트, 소듐트리폴리포스페이트 등의 통상적인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제제 조성물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입제, 수화제, 액상수화제 등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한정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DBB 150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토양 샘플 1g을 100ml 증류수에 희석한 후 70℃에서 30분간 중탕한 후 다시 증류수로 1/100로 희석하였다. 희석액을 0.1ml을 Tryptic soy agar(Difco社)에 스프레더(spreader)로 도말한 후 30℃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 후 얻어진 수개의 콜로니중에서 Rhizoctonia solani(벼문고병)균주에 가장 우수한 저지원 효과를 보인 균주를 선발하여 DBB1501이라는 코드명을 부여하였다. 상기 분리 배양된 DBB1501 미생물을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에 2005년 9월 7일자로 기탁하여 수탁번호 KFCC-11356P를 부여받았다. 상기 DBB 1501 균주를 KCCM에서 16S rDNA 시퀀싱(sequencing) 및 API 분석방법을 수행하여 동정하였다. 균주 동정결과, 상기 DBB 1501 균주는 Bacillus subtilis (Gene Bank Data homology search result: 99%)로 확인되었다 (표 1, 도 1 및 도 2).
[표 1] DBB 1501의 생화학적 대사능력 분석 결과 (API 분석)
Strain DBB 1501 Strain DBB 1501
API CHB API CHB
0 Control - 25 Esculine +
1 Glycerol + 26 Salicine +
2 Ertythritol - 27 Cellobiose +
3 D-Arabinose - 28 Maltose +
4 L-Arabinose + 29 Lactose +
5 Ribose + 30 Melibiose +
6 D-Xylose + 31 Saccharose +
7 L-Xylose - 32 Trehalose +
8 Adonitol - 33 Inuline -
9 β Methyl-xyloside - 34 Melezitose -
10 Galactose - 35 D-Raffinose +
11 D-Glucose + 36 Amidon +
12 D-Fructose + 37 Glycogene +
13 D-Mannose + 38 Xylitol -
14 L-sorbose - 39 β Gentiobiose -
15 Rhamnose - 40 D-Turanose -
16 Dulcitol - 41 D-Lyxose -
17 Inositol + 42 D-Tagatose -
18 Mannitol + 43 D-Fucose -
19 Sorbitol + 44 L-Fucose -
20 α Methyl-D-mannoside - 45 D-Arabitol -
21 α Methyl-D-glucoside + 46 L-Arabitol -
22 N Acetyl glucosamine - 47 Gluconate -
23 Amygdaline + 48 2 ceto-gluconate -
24 Arbutine + 49 5 ceto-gluconate -
<실시예 2> DBB 1501 액체배양 및 분말원제 제조
DBB 1501을 균주를 1.2KL fermenter를 사용하여 액체배양을 진행하였다. 배지는 배지성분은(w/v% 기준) glucose 0.1~10.0%, Yeast extract 0.1~10.0%, Soybean powder 0.1~10.0%, Corn steep liquor 0.1~10.0%, Ammonium sulfate 0.1~5.0%, Potassium phosphate(dibasic) 0.1~5.0%, Calcium carbonate 0.1~5.0%를 포함하여 조성된 액체배지를 사용하였다. 배양조건은 배양량 600L로 하였으며, 배양조내 압력 0.1~0.7 ㎏/㎤, 통기 0.1~1.0 v/v/m, 온도 25~35 ℃, pH 5.5~8.5로 제어하였다. 배양 44시간 후 배양을 종료하고 배양물을 분무건조기(spray dryer) 또는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배양액을 분말화하여 원제를 제조하였다.
한편, 배양과 관련된 특성으로는 전체배양시간은 약 44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최대 Optical density(A600)는 53.1을 보였다. 영양세포의 포자 생성(sporulation)은 배양 25시간 이후부터 진행되어 배양종료시 99% 이상의 모든 세포들이 포자로 전환되었다. pH값은 초기 영양세포 증식기에는 점진적으로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포자가 형성되는 시기부터는 다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배양과정 중에는 산소공급에 영향을 줄 정도의 다량의 폴리머(polymer)는 생성되지 않았다. 배양종료 후 배양액과 분무건조(동결건조 가능)를 한 분말원제의 생포자수를 조사한 결과, 각각 4.1×109 cfu/㎖와 2.3×1011 cfu/g의 함량을 보여 일반적인 Bacillus 균주와 유사한 생산성을 보였다 (표 2, 표 3 및 도 3).
[표 2] 배양시간별 DBB 1501 균주의 생육 데이터
배양시간 (hour) Optical density (A600) pH 온도 (℃) RPM 압력 (kg/cm3) 통기 (v/v/m)
0 8.8 6.62 29.8 80 0.32 0.5
6 10.2 6.82 30.6 80 0.29 0.5
8 12.8 6.31 32.1 80 0.31 0.5
10 10.2 6.13 32.8 100 0.29 0.5
11 9.9 6.16 33.4 100 0.27 0.5
14 25.7 6.23 31.7 100 0.32 0.5
18 25 6.67 34.5 100 0.30 0.5
22 28.4 6.64 32.3 120 0.32 0.5
28 38.4 6.39 31.8 150 0.41 0.5
32 43.2 6.62 31.2 150 0.42 0.5
36 45.8 6.41 30.9 150 0.40 0.5
39 53.1 6.40 31.4 150 0.39 0.5
43 47.8 7.10 31.7 150 0.41 0.5
[표 3] DBB 1501 배양액 및 건조분말 원제의 포자수 함량 분석
구분 포자함량
DBB 1501 배양액 4.1 x 109 cfu/ml
DBB 1501 분말원제 2.3 x 1011 cfu/g
<실시예 3> DBB 1501을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제형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DBB 1501 원제 5.0~50.0%(w/w)와 계면활성제(전착제, 분산제, 습윤제 등) 0.1~20%(w/w), 증량제 10.0%~80.0%(w/w), 보존제 0.1%~10%(w/w), 무기염 0.1~10.0%(w/w)를 혼합 후 에어밀링(air milling) 또는 헤머밀링(hammer milling)을 통해 수화제(WP) 제형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수화제로 제형화한 결과, 양호한 물리성을 확보하였다. 구체적 으로 분말도 98% 이상, 수화성 1분 15초, 현수성 93.3%의 결과를 보였다. 수화제의 DBB 1501 포자수 함량을 분석한 결과 3.8×1010 cfu/g의 함양을 보여 적합한 유효함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표 4).
[표 4] DBB 1501 수화제의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함량
구분 분말도 수화성 현수성 포자함량(cfu/g)
DBB 1501 수화제 98% 이상 1분 15초 93.3% 3.8 x 1010
<실시예 4> DBB 1501의 식물병 방제 효과
4-1. 오이흰가루병 방제효과
대전 대형 비닐하우스 조건에서 재배중인 오이(품종: 백미백다다기)를 대상으로 오이흰가루병 발생초기에 실시예 3에서 제조된 DBB 1501 WP를 물에 500배로 희석하여 동력분무기로 7일 간격으로 3회 경엽처리하였다(2006년 4/21, 4/28, 5/5). 최종 약제처리 7일 후(2006년 5/10) 오이흰가루병의 발생정도를 잎에 발생한 오이흰가루병의 병반면적율로 조사하여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조약제로 화학약제인 Fenarimol 12.5% EC(일반명: 훼나리 유제)를 사용하였다.
DBB 1501 수화제는 오이흰가루병에 60.3%의 방제효과를 보여 대조약제인 화학농약 Fenarimol 87.7% 유제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수준이기는 하나 생물농약으로 적용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표 5] DBB 1501 수화제의 오이흰가루병 방제효과
시험약제 처리방법 병반면적율(%) 방제가(%)
DBB 1501 수화제 별 발생초기부터 7일 간격 3회 경엽처리 17.7 60.3
Fenarimol 12.5% 유제 5.5 87.7
무처리 44.7 -
4-2. 딸기흰가루병 방제효과
충남 논산 딸기재배농가에서 재배중인 딸기(품종: 육보)를 대상으로 딸기흰가루병 발생초기에 실시예 3에서 제조된 DBB 1501 WP를 물에 500배로 희석하여 동력분무기로 7일간격으로 3회 경엽처리하였다(2006년 2/12, 2/28, 3/7). 최종 약제처리 7일 후(2006년 3/14) 딸기흰가루병의 발생정도를 시험구 전체에 있는 딸기과실수 대비 딸기흰가루병이 발생한 과실수인 이병과율로 조사하여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조약제로 화학약제인 Triflumizole 30% WP(일반명: 리프졸 수화제)를 사용하였다.
DBB 1501 수화제는 딸기흰가루병에 80.3%의 방제효과를 보여 대조약제인 화학농약 Triflumizole 30% 수화제와 대등한 수준으로 적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표 6] DBB 1501 수화제의 딸기흰가루병 방제효과
시험약제 처리방법 이병과율(%) 방제가(%)
DBB 1501 수화제 별 발생초기부터 7일 간격 3회 경엽처리 2.8 80.3
Triflumizole 30% 수화제 2.1 84.9
무처리 14.0 -
4-3. 참외흰가루병 방제효과
경북 칠곡 참외재배 농가에서 재배중인 참외(품종: 금동이)를 대상으로 참외흰가루병 발생초기에 실시예 3에서 제조된 DBB 1501 WP를 물에 500배로 희석하여 동력분무기로 7일 간격으로 3회 경엽처리하였다(2006년 5/30, 6/6, 6/13). 최종 약제처리 7일 후(2006년 6/20) 참외흰가루병의 발생정도를 잎에 발생한 참외흰가루병의 병반면적율로 조사하여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조약제로 화학약제인 Fenarimol 12.5% EC(일반명: 훼나리 유제)를 사용하였다.
DBB 1501 수화제는 참외흰가루병에 82.2%의 방제효과를 보여 대조약제인 화학농약 Fenarimol 12.5% 유제와 대등한 수준으로 적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표 7] DBB 1501 수화제의 참외흰가루병 방제효과
시험약제 처리방법 병반면적율(%) 방제가(%)
DBB 1501 수화제 별 발생초기부터 7일 간격 3회 경엽처리 4.2 82.2
Fenarimol 12.5% 유제 2.7 88.8
무처리 23.6 -
4-4. 복숭아세균성 구멍병 방제효과
경기 화성 복숭아 과수원에서 재배중인 복숭아(품종: 유명)를 대상으로 복숭아세균성구멍병 발생초기에 실시예 3에서 제조된 DBB 1501 WP를 물에 500배로 희석하여 동력분무기로 7일 간격으로 3회 경엽처리하였다(2006년 5/16, 5/23, 5/30). 최종 약제처리 7일 후(2006년 6/7) 복숭아세균성구멍병의 발생정도를 복숭아 1주당 전체잎수 대비 병이 발생한 잎수인 이병엽율를 조사하여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조약제로 화학약제인 Streptomycin 20% WP(일반명: 농용신 수화제)를 사용하였다.
DBB 1501 수화제는 복숭아세균성구멍병에 72.7%의 방제효과를 보여 대조약제인 화학농약 Streptomycin 20% 수화제보다 월등한 수준으로 적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표 8] DBB 1501 수화제의 복숭아세균성 구멍병 방제효과
시험약제 처리방법 이병엽율(%) 방제가(%)
DBB 1501 수화제 별 발생초기부터 7일 간격 3회 경엽처리 1.4 72.7
Streptomycin 20% 수화제 2.7 47.9
무처리 5.1 -
4-5. 인삼점무늬병 방제효과
경북 풍기 인삼재배농가에서 재배중인 인삼(3년생)을 대상으로 인삼점무늬병 발생초기에 실시예 3에서 제조된 DBB 1501 WP를 물에 500배로 희석하여 동력분무기로 10일 간격으로 3회 경엽처리하였다(2006년 6/5, 6/16, 6/26). 최종 약제처리 10일 후(2006년 7/6) 인삼점무늬병의 발생정도를 발병도로 조사하여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조약제로 화학약제인 Difenoconazole10% WP(일반명: 디페노코나졸 수화제)를 사용하였다.
DBB 1501 수화제는 인삼점무늬병에 79.2%의 방제효과를 보여 대조약제인 화학농약 Difenoconazole 10%수화제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나 적용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표 9] DBB 1501 수화제의 인삼점무늬병 방제효과
시험약제 처리방법 발병도(%) 방제가(%)
DBB 1501 수화제 별 발생초기부터 7일 간격 3회 경엽처리 1.5 79.2
Difenoconazole10%수화제 0.5 92.2
무처리 7.0 -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BB 1501 균주 (Bacillus subtilis DBB 1501 strain)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조성물은 식물병 유발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는 효과적인 식물병 방제제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DBB 1501 미생물제제 조성물은 오이흰가루병, 딸기흰가루병, 참외흰가루병, 복숭아세균성구멍병, 인삼점무늬병 등에 60~85% 수준의 우수 한 약효를 보여 친환경 생물농약으로서 적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5)

  1. 오이흰가루병, 딸기흰가루병, 참외흰가루병, 복숭아 세균성구멍병, 인삼점무늬병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식물병 유발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는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DBB 1501 균주 (KFCC-11356P).
  2. 제1항 기재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DBB 1501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유발균 방제용 미생물제제 조성물.
  3. 삭제
  4. 제1항 기재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DBB 1501 균주를 액체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쳐 배양된 배양물을 건조하여 분말화하여 원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유발균 방제용 미생물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기재된 미생물제제 조성물을 이용한 식물병의 방제방법.
KR1020060114933A 2006-11-21 2006-11-21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bb 1501 균주 및 이를이용한 식물병의 방제방법 KR100825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933A KR100825652B1 (ko) 2006-11-21 2006-11-21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bb 1501 균주 및 이를이용한 식물병의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933A KR100825652B1 (ko) 2006-11-21 2006-11-21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bb 1501 균주 및 이를이용한 식물병의 방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5652B1 true KR100825652B1 (ko) 2008-04-25

Family

ID=3957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933A KR100825652B1 (ko) 2006-11-21 2006-11-21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bb 1501 균주 및 이를이용한 식물병의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6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226B1 (ko) * 2009-02-17 2009-08-26 주식회사 세실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m010b 균주 및 이를 이용하는 식물병원균 방제
KR101124193B1 (ko) * 2009-04-22 2012-03-27 (주)바이오쉴드 인삼 점무늬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WO2012064096A2 (ko) * 2010-11-09 2012-05-1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의 식물 뿌리썩음병 방지 용도
CN107827612A (zh) * 2017-12-12 2018-03-23 罗宇 一种防治草莓白粉病的专用药肥及其制备方法
KR102124933B1 (ko) 2019-11-21 2020-06-19 (주)씨엠씨코리아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mc1147 균주, 이를 포함하는 잔류 농약 분해용 및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KR20200082070A (ko) 2018-12-28 2020-07-08 전라남도 구례군(구례군농업기술센터 ) 토양에서 분리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와 이를 이용한 생육촉진 및 방제용 조성물
CN111763629A (zh) * 2019-03-27 2020-10-13 北京奥沃伽科技有限公司 一种贝莱斯芽孢杆菌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895A (ko) * 1998-12-09 2000-07-05 이재호 작물의 병해 방제용 균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그 용도
KR20040039140A (ko) * 2002-11-04 2004-05-10 주식회사 바이오리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포함하는 인삼 병원균 방제용미생물 제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895A (ko) * 1998-12-09 2000-07-05 이재호 작물의 병해 방제용 균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그 용도
KR20040039140A (ko) * 2002-11-04 2004-05-10 주식회사 바이오리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포함하는 인삼 병원균 방제용미생물 제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226B1 (ko) * 2009-02-17 2009-08-26 주식회사 세실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m010b 균주 및 이를 이용하는 식물병원균 방제
KR101124193B1 (ko) * 2009-04-22 2012-03-27 (주)바이오쉴드 인삼 점무늬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WO2012064096A2 (ko) * 2010-11-09 2012-05-1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의 식물 뿌리썩음병 방지 용도
WO2012064096A3 (ko) * 2010-11-09 2012-07-2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의 식물 뿌리썩음병 방지 용도
CN107827612A (zh) * 2017-12-12 2018-03-23 罗宇 一种防治草莓白粉病的专用药肥及其制备方法
KR20200082070A (ko) 2018-12-28 2020-07-08 전라남도 구례군(구례군농업기술센터 ) 토양에서 분리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와 이를 이용한 생육촉진 및 방제용 조성물
CN111763629A (zh) * 2019-03-27 2020-10-13 北京奥沃伽科技有限公司 一种贝莱斯芽孢杆菌及其应用
CN111763629B (zh) * 2019-03-27 2022-09-20 北京奥沃伽科技有限公司 一种贝莱斯芽孢杆菌及其应用
KR102124933B1 (ko) 2019-11-21 2020-06-19 (주)씨엠씨코리아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mc1147 균주, 이를 포함하는 잔류 농약 분해용 및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2514B2 (en) Bacillus subtilis strain having antagonistic activity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US5968503A (en) Use of streptomyces bacteria to control plant pathogens and degrade turf thatch
US6280719B1 (en) Antifungal biocontrol agents, a process for preparing and treating the same
JP4810151B2 (ja) イネの育苗時期に発生する病害に対する防除剤
CA2216794C (en) Use of streptomyces bacteria to control plant pathogens and degrade turf thatch
KR100825652B1 (ko)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bb 1501 균주 및 이를이용한 식물병의 방제방법
US20080267937A1 (en) Compositions for Preventing Plant Disease Comprising Bacillus Subtilis Kccm 10639 or Kccm 10640 and Methods of Preventing Plant Disease by Using Them
WO2003000051A2 (en) Novel biofungicide
AU2002252240A1 (en) Novel biofungicide
KR101184296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bc1010 균주 및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WO2005079580A1 (ja) 植物病害防除剤組成物及び微生物
CN111647518A (zh) 一种贝莱斯芽孢杆菌微生物菌剂及制备方法
KR101670592B1 (ko) 식물 병원성 진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트로페우스 lb14 균주
KR20080010191A (ko) 식물 잿빛 곰팡이병 방제용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lp0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KR102285666B1 (ko)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afb2-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100685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의 균핵병 및 시들음병 예방용 미생물 제제
JP3668008B2 (ja) ストレプトミセスの新規株及びその利用
KR20110075132A (ko) 항진균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수화제
KR100952632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섭틸리스 균주 및 이를 함유한 고추탄저병방제용 농약 제제
KR100997677B1 (ko) 슈도모나스 제니큘라타 mh102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KR101429227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사펜시스 hc42 균주
KR20080037849A (ko)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균주 및 그 균주를 이용한미생물 농약제제
KR100574346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072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
KR101977173B1 (ko) 식물병 원인균에 대하여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크로모박테리움 속 jh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936471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kbc1109 및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 병해충 방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