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333B1 -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333B1
KR100825333B1 KR1020070045086A KR20070045086A KR100825333B1 KR 100825333 B1 KR100825333 B1 KR 100825333B1 KR 1020070045086 A KR1020070045086 A KR 1020070045086A KR 20070045086 A KR20070045086 A KR 20070045086A KR 100825333 B1 KR100825333 B1 KR 100825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rapper
belt wrapper
ten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045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03Regulation of tension or speed;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냉연제품 및 전기강판 등의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을 기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상기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는 벨트 랩퍼(100) 본체(11)에 취부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A)와; 구동부(A)의 회전 동력을 감속시킨 후 벨트 랩퍼의 캠롤 회전 동력으로 전환하는 감속부(B)와; 감속부(B)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캠롤에 의해 캠롤에 편심 장착되는 벨트 랩퍼(100)의 아이들 롤(14, 15)의 위치를 조절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편심조정부(C)와; 상기 편심조정부(C)의 캠롤(27A, 27B)의 회전각의 크기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장력 조절 값을 표시하는 지시부(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벨트 랩퍼, 벨트 장력 조절, 편심축공, 캠 롤, 스트립, 코일

Description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TENSION ADJUSTING APPARATUS OF BELT WRAPPER FOR WINDING THE STRIP}
도 1은 종래기술의 벨트 랩퍼의 사시도,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가 적용된 벨트 랩퍼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지시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구동부 중 브레이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벨트 랩퍼(Belt Wrapper)
A: 구동부
10: 벨트 11: 본체
12, 13, 14, 15: 아이들 롤(Idle Roll)
21: 구동모터 22: 브레이크 휠
22A: 커플링 23: 브레이크
23A, 23B: 브레이크슈
23C: 스프링와셔 23D: 너트
23E: 고정축 23F: 실린더
23G: 밸브 23H: 지지부재
23I: 브레이크패드 23J: 에어라인(Air Line)
B: 감속부
24: 워엄기어 25: 워엄휠
C: 편심조정부
26A, 26B: 타이밍벨트 풀리 27A, 27B: 캠롤(Cam Roll)
27a, 27b: 편심축공
30: 타이밍벨트 31: 감속기어커버
32: 감속기 33, 34: 편심조정축
33,34: 편심조정축
33a, 33b: 키 홈 33c: 나사면
36A,36B,38: 키 37A,37B: 고정너트
D: 지시부
28: 눈금지침 29: 눈금판
50: 제어 판넬
본원 발명은 냉연제품 및 전기강판 등의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립의 톱부를 권취하여 코일화 할 때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을 기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제품 및 전기강판 등의 스트립은 스트립의 톱부를 벨트 랩퍼에 감아서 코일화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도 1은 스트립을 코일화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벨트 랩퍼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의 벨트 랩퍼에서 벨트의 양 측부의 장력차이에 의한 권취 불량 발생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벨트 랩퍼를 이용하여 냉연제품 및 전기강판 등의 스트립을 코일화하는 경우 오랜 기간 사용하다 보면 벨트 랩퍼의 벨트가 노후화되고 벨트의 양 측부의 장력이 달라지게 된다.
벨트 랩퍼(BELT WRAPPER)의 벨트(BELT)(10)의 양 측부의 장력이 틀리면 스트립은 장력이 센 쪽으로 타고 올라가기 때문에 맨드릴(MANDREEL)에 스트립 톱(TOP)부가 감길 때 스트립이 한 방향으로 쏠려 권취불량이 발생한다. 따라서 스트립의 코일화 작업 중에는 이러한 권취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벨트 랩퍼의 벨트의 장력을 조절해야만 한다.
이 때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랩퍼(100)의 캠롤 너트(7B1~7B6)를 풀고 편심조정축(8A,8B)을 스패너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양만큼 돌려서 아이들(IDLE) 롤(ROLL)(14,15)이 벨트를 밀거나 벨트 안쪽으로 당기지도록 하여 벨트의 장력을 조절한다. 이 후 다시 캠롤 너트(7B1~7B6)를 체결한 후 벨트 랩퍼(100)로 스트립의 선단부를 맨드릴에 감아 스트립이 쏠리는 양을 확인한다. 그리고 스트립이 맨드릴에 감기어 지는 동안 쏠림이 발생하면 다시 캠롤 너트 (7B1~7B6)를 풀어서 상기와 같은 장력 조절을 위한 작업을 반복 수행하는 것에 의해 벨트 랩퍼의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을 조절하는 작업은 벨트 장력 조절 및 장력 조절의 확인을 위하여 벨트 랩퍼에 대한 분해 및 조립 작업을 수작업으로 반복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정확하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굉장히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장력 조절의 정도를 작업자가 관측에 의해 확인하기 때문에 그 정확도도 떨어지게 되며, 육안으로는 스트립의 톱이 쏠리지 않는다고 판단되나 정확한 장력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코일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에는 코일화 작업의 진행 중에 권취 불량으로 인한 품질저하가 발생함은 물론, 코일화되었을 때 내경이 돌출되어 운송 도중에 내경이 손상되고, 이로 인해 스트립의 톱을 여러 번 잘라내야 하기 때문에 스크랩의 발생이 많아짐은 물론 실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의 장력 조절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벨트 랩퍼를 분해, 조절, 재조립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 작업을 기계작업에 의해 반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벨트 랩퍼의 벨트의 장력 조절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며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업무부하를 크게 감소시키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며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품질향상 및 실수율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는, 벨트 랩퍼(100) 본체(11)에 취부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A)와; 구동부(A)의 회전 동력을 감속시킨 후 벨트 랩퍼의 캠롤 회전 동력으로 전환하는 감속부(B)와; 감속부(B)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캠롤에 의해 캠롤에 편심 장착되는 벨트 랩퍼(100)의 아이들 롤(14, 15)의 위치를 조절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편심조정부(C)와; 상기 편심조정부(C)의 캠롤(27A, 27B)의 회전각의 크기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장력 조절 값을 표시하는 지시부(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벨트 랩퍼 본체(11)의 일측에 위치되어 회전 구동력을 감속부(B)로 전달하는 구동모터(21)와; 상기 구동모터(21)의 축에 브레이크휠(22)을 구비한 상태로 체결되고 위엄기어(24)에 결합되는 커플링(22A)과; 상기 브레이크휠(22)의 양측면에 브레이크 패드(23I)가 부착되도록 결합되는 브레이크(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또한 상기 브레이크의 브레이킹 작용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작용을 제어하는 제어판넬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속부는 상기 벨트 랩퍼(100) 본체(11)에 조립된 직육면체의 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커플링(22A)과 일직선 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 내측에 베어링에 의해 축이 지지되는 워엄기어(24)와, 상기 워엄기어(24)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에 베이링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워엄기어의 동력을 상기 캠롤(15)로 전달하는 워엄휠(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심조정부는 상기 벨트 랩퍼의 각각의 롤의 축이 결합되도록 중심에서 편이된 편심축공이 형성되고 편심조정축을 구비하여 상기 롤의 각각에 부착되는 캠롤(27A, 27B)과; 상기 캠롤(27A, 27B) 각각의 축에 결합되는 타이밍벨트 풀리(26A, 26B)와; 상기 타이밍벨트 풀리(26A, 26B)의 걸쳐지는 타이밍벨트(30)와; 상기 타이밍벨트 풀리(26A, 26B)가 결합된 후 상기 캠롤(27A, 27B)의 축과 상기 워엄휠(25) 을 결합시키는 커플링(3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시부는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서 벨트 랩퍼 본체(11)에 취부되는 눈금지침(28)과; 상기 타이밍 벨트의 풀리(26B)의 측면에 고정되는 눈금판(2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이하 "벨트 장력 조절 장치"라 함)가 적용된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지시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구동부 중 브레이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벨트 조절 장치가 적용된 벨트 랩퍼(100)는, 벨트 랩퍼(100) 본체(11)에 취부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A)와; 구동부(A)의 회전 동력을 감속시킨 후 벨트 랩퍼의 캠롤 회전 동력으로 전환하는 감속부(B)와; 감속부(B)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캠롤에 의해 캠롤에 편심 장착되는 벨트 랩퍼(100)의 아이들 롤(14, 15)의 위치를 조절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편심조정부(C)와; 상기 편심조정부(C)의 캠롤(27A, 27B)의 회전각의 크기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장력 조절 값을 표시하는 지시부(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 중 구동부(A)는 구동모터(21)와 브레이크(23)와 커플링(22A)과 브레이크휠(22) 및 제어판넬(50)로 구성되고, 감속부(B)는 워엄기어(24)와 워엄휠(2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편심조정부(C)는 캠롤(27A,27B)과 캠롤의 편심조정축(33,34)과 타임밍벨트 풀리(26A, 26B)와 타이밍 벨트(30) 및 커플링(39)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지시부(D)는 눈금지침(28)과 눈금판(2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벨트 장력 조절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의 유기적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벨트 랩퍼 본체(11)에 취부된 구동부(A)의 구동모터(21)는 동력전달과 브레이크 역할을 같이하는 커플링(22A)을 통하여 감속부(B)의 워엄기어(24)와 워엄휠(23)로 연결된다. 이 때, 커플링(22A)은 다시 브레이크휠(22)을 중간에 수용하여 수 개의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진다. 그리고 브레이크(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랩퍼(100) 본체(11)에 취부된 원통형의 지지부재(23H)에 의하여 2개의 브레이크슈(23A,23B)와 지지부재(23H)와 한몸인 고정축(23E)에 삽입되어 스프링 와셔(23C)와 고정 너트(23D)에 의하여 체결되고, 브레이크휠(22)과 맞닿는 브레이크슈(23A, 23B) 면은 다시 브레이크 패드(23I) 2개가 고정 볼트로 체결되고, 브레이크슈(23A, 23B) 아랫 부분은 다시 에어 실린더(23F)가 부착되어 브레이크슈(23A,23B)를 조여주거나 벌리게 된다. 브레이크 스프링(23K)은 브레이크슈(23A, 23B) 안쪽에 조립되어 에어의 차단시 브레이크슈(23A, 23B)를 밀어주게 되며, 에어 라인(23J)은 쏠레노이드 밸브(23G)를 매개로 하여 에어 실린더(23F)에 연결되어 쏠레노이드 밸브(23G)의 제어에 따라 에어 실린더(23)로 에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판넬(50)은 모터(21)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모터(21)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며 제어판넬(50)의 정회전이나 역회전 스위치를 누르면 전기적인 신호가 브레이크 쏠레노이드 벨브(23G) 스풀을 밀어주어 에어 라인(23J)의 에어 공급을 차단시킨 다음 브레이크 스프링(23K)이 브레이크 에어 실린더(23F)에 남아있던 에어를 배출시키고, 브레이크슈(23A,23B)를 벌린 다음 모터(21)를 구동하게 된다. 반대로 스위치를 떼면 모터(21)는 정지되고 쏠레노이드 벨브(23G)가 에어(23J)를 통입시켜 에어 실린더(23F)가 브레이크슈(23A,23B)를 밀어 브레이크 휠(22)을 꽉 조여 준다.
상기 감속부(B)의 워엄(24) 및 워엄휠(25)은 벨트 랩퍼(100) 본체(11)에 조립된 직육면체의 감속기(32) 안에 내장되어 있으며 워엄기어(24)는 커플링(22A)과 일직선 상으로 연결되고, 워엄기어(24) 축은 감속기 양쪽에 부착되는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워엄휠(25)은 워엄기어(24)의 동력 방향을 바꾸어 줌과 동시에 회전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도록 워엄기어(24)의 하부에서 감속기(32)의 양 측부에 부착되는 베어링에 의해 워엄휠 축이 지지되는 것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감속기 커버(31)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편심조정부(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롤(27A, 27B)은 베어링을 개재하여 본체(11)의 관통 결합되고, 아이들 롤(IDLE ROLL)(14, 15)들은 캠롤(27A, 27B)과 결합되는 단부의 반대쪽 축은 고정되어 있고, 캠롤(27A, 27B)과 결합되는 단부는 유동으로 캠롤(27A,27B) 중앙에서 편심되도록 형성된 편심축공(27a, 27b)에 각각 결합된다. 캠롤(27B,27A)과 한 몸체인 캠롤편심조정축(33,34) 2 세트(SET)가 벨트 랩퍼(100)의 2개의 롤(14.15)을 돌리면서 편심양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벨트(10)의 장력을 조절하는데 동력전달 축인 캠롤(27A)과 편심조정축(33)은 베어링(35)안에서 회전을 하며 베어링(35)은 벨트 랩퍼(100) 본체(11)와 조립되어 캠롤(27A)과 캠롤편심 조정축(33)을 지지해 준다. 캠롤편심조정축(33)은 2개의 키홈(33a, 33b)과 나사면(33c)을 가지고 있으며, 내측의 키 홈(33b)은 풀리(26A)와 조립되며 풀리 고정을 위한 너트(37A)로 풀리(26A)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편심조정축(33) 외측의 키홈(33a)은 워엄휠(25) 축과 커풀링(39)으로 체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며 타이밍 벨트(30)는 두 개의 타이밍 벨트풀리(26, 26B)에 결합되어 동력 전달을 위한 편심조정축(33)의 회전 동력을 피동축인 편심조정축(34)으로 전달한다.
상기 피동축인 캠롤(27B)과 한 몸체인 편심조정축(34)은 캠롤(27A)의 편심조정축(33)과 마찬가지로 베어링(35) 안에서 회전을 하며 베어링(35)은 벨트 랩퍼(100) 본체(11)와 조립되어 캠롤(27B)과 캠롤(27B)의 편심조정축(34)을 지지해 준다.
상기 캠롤(27B)의 편심조정축(34)은 1개의 나사면을 가지며 풀리(26B)가 편심조정축(34) 키홈(34a)에 키(36B)와 함께 조립되고 풀리 고정 너트(37B)에 의해 캠롤(27B)에 고정된다.
상기 지시부(D)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금지침(28)과 눈금판(29)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눈금지침(28)은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서 벨트 랩퍼 본체(11)에 취부되고, 눈금판(29)은 타이밍 벨트의 풀리(26B)의 측면에 2개의 볼트에 의해 고정 부착된다. 상기 눈금판(29)은 1 ~ 360도까지 1도 간격으로 눈금을 새겨넣어 아이들 롤(14, 15)의 편심양을 눈금지침(28)을 통하여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원 발명의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벨트 랩퍼(100)를 이용하여 맨드릴(MANDREEL)에 스트립 톱부를 권취할 때 도 2 내지 도 5의 벨트 랩퍼(100)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가 부착된 반대방향으로 쏠리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벨트 랩퍼(100)의 벨트(10)의 장력은 벨트 랩퍼(100)의 반대 방향 쪽의 장력이 더 세게 작용하는 것이 된다. 이는 스트립이 맨드릴에 감길때 벨트 랩퍼(100)의 벨트의 장력이 더 센 쪽으로 타고 올라가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맨드릴에 벨트 랩퍼(100)로 스트립 톱부를 권취할 때 스트립이 쏠리지 않고 똑바로 정렬되게 권취할려면 먼저 제어판넬(50)의 역회전 스위치를 눌러 구동부(A)의 구동모터(21)를 역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쏠레노이드 벨 브(23G)가 에어 라인(AIR LINE)(23J)를 차단시키는 것에 의해 에어의 공급을 차단시키고, 브레이크 스프링(23K)이 브레이크슈(23A,23B)를 밀어주어 에어 실린더(23F) 안에 들어있는 에어를 쏠레노이드 벨브(23G)를 통하여 배출시켜준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휠(22)을 조이고 있던 브레이크슈(23A23B)가 벌어진 다음 구동모터(2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역회전)하면서 커플링(22A)과 연결된 워엄기어(24)를 회전시킨다. 워엄기어(24)는 다시 워엄휠(25)과 맞닿아 충분한 감속이 이루어지면서 회전방향을 시계 반대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바꾸어주고 커플링((39)과 연결된 캠(27A)과 한 몸인 캠롤(27A)의 편심조정축(33)을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타이밍 벨트(30)가 풀리(26A)와 풀리(26)에 맞닿아 피동축인 캠롤(27B)과 한 몸인 편심조정축(34)에 정확한 동력을 전달한다.
캠롤(27A, 27B)에 부착된 아이들 롤(IDLE ROLL)(14,15)은 캠롤(27A, 27B)과 결합되는 단부의 반대쪽 축은 고정되어 있고, 캠롤(27A, 27B)과 결합되는 단부는 유동으로 캠롤(27A,27B) 중앙에서 편심되도록 형성된 편심축공(27a, 27b)에 각각 결합되어져 있기 때문에 타이밍벨트(30)에 의해 캠롤(27A, 27B)들이 회전하면 캠롤(27A,27B)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아이들 롤(IDLE ROLL)(14, 15)들이 위치 이동되어 벨트 랩퍼(100)의 벨트(12)의 장력을 조정하게 된다.
이와 달리 벨트 랩퍼(100)를 이용하여 스트립을 권취할 때 스트립 톱이 맨드릴에서 벨트 장력 조절장치가 부착된 방향으로 쏠리면 제어판넬(50)의 정회전 스위치를 눌러준다. 이 경우 모터(2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위에서 나열한 브레이크(23) 동작들이 이루어지며 워엄기어(24)를 통하여 캠롤(27A,27B)이 시계반 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아이들 롤(IDLE ROLL)(14,15)들이 위치 이동되어 벨트(10)의 장력을 조정하게 된다.
상기 벨트 랩퍼(100)의 벨트(10)의 장력 조정시 제어판넬(50)의 정회전이나 역회전 스위치를 누르면서 타이밍 벨트 풀리(26B)에 조립된 눈금판(29)과 눈금 지침(28)을 통하여 아디들 롤(IDLE ROLL)(14,15)들의 편심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벨트 랩퍼(100)의 벨트(10)의 장력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원 발명의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는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을 기계장치에 의해 반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에 의해 벨트 랩퍼를 분해하지 않고도 벨트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벨트 장력 조절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며,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 발명의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는 벨트 장력의 조절을 신속하고 용이하며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에 의해 작업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코일화 작업시 발생하는 권취불량률을 저하시킴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키고 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 발명의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는 코일의 권취 불량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스크랩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벨트 랩퍼(100) 본체(11)에 취부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A)와;
    상기 구동부(A)의 회전 동력을 감속시킨 후 벨트 랩퍼의 캠롤 회전 동력으로 전환하는 감속부(B)와;
    상기 감속부(B)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캠롤에 의해 캠롤에 편심 장착되는 벨트 랩퍼(100)의 아이들 롤(14, 15)의 위치를 조절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편심조정부(C)와;
    상기 편심조정부(C)의 캠롤(27A, 27B)의 회전각의 크기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장력 조절 값을 표시하는 지시부(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벨트 랩퍼 본체(11)의 일측에 위치되어 회전 구동력을 감속부(B)로 전달하는 구동모터(21)와;
    상기 구동모터(21)의 축에 브레이크휠(22)을 구비한 상태로 체결되고 위엄기어(24)에 결합되는 커플링(22A)과;
    상기 브레이크휠(22)의 양측면에 브레이크 패드(23I)가 부착되도록 결합되는 브레이크(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또한 상기 브레이크의 브레이킹 작용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작용을 제어하는 제어판넬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는,
    상기 벨트 랩퍼(100) 본체(11)에 조립된 직육면체의 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커플링(22A)과 일직선 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 내측에 베어링에 의해 축이 지지되는 워엄기어(24)와, 상기 워엄기어(24)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에 베이링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워엄기어의 동력을 상기 캠롤(27A, 27B)로 전달하는 워엄휠(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심조정부는,
    상기 벨트 랩퍼의 각각의 롤의 축이 결합되도록 중심에서 편이된 편심축공이 형성되고 편심조정축을 구비하여 상기 롤의 각각에 부착되는 캠롤(27A, 27B)과;
    상기 캠롤(27A, 27B) 각각의 축에 결합되는 타이밍벨트 풀리(26A, 26B)와;
    상기 타이밍벨트 풀리(26A, 26B)의 걸쳐지는 타이밍벨트(30)와;
    상기 타이밍벨트 풀리(26A, 26B)가 결합된 후 상기 캠롤(27A, 27B)의 편심조정축(33, 34) 과 상기 워엄휠(25)을 결합시키는 커플링(3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는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서 벨트 랩퍼 본체(11)에 취부되는 눈금지침(28)과; 상기 타이밍 벨트의 풀리(26B)의 측면에 고정되는 눈금판(2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1020070045086A 2007-05-09 2007-05-09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100825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086A KR100825333B1 (ko) 2007-05-09 2007-05-09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086A KR100825333B1 (ko) 2007-05-09 2007-05-09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5333B1 true KR100825333B1 (ko) 2008-04-28

Family

ID=39572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086A KR100825333B1 (ko) 2007-05-09 2007-05-09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3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152A (ko) * 2015-08-19 2017-03-02 현대제철 주식회사 와인딩머신
KR102090478B1 (ko) 2018-10-01 2020-03-18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랩퍼의 벨트 경화 방지 장치
WO2020118863A1 (zh) * 2018-12-12 2020-06-18 肇庆宏旺金属实业有限公司 一种立式助卷器
CN111992512A (zh) * 2020-08-18 2020-11-27 杭州蒲丰视觉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钢带视觉检测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152A (ko) * 2015-08-19 2017-03-02 현대제철 주식회사 와인딩머신
KR101715496B1 (ko) * 2015-08-19 2017-03-13 현대제철 주식회사 와인딩머신
KR102090478B1 (ko) 2018-10-01 2020-03-18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랩퍼의 벨트 경화 방지 장치
WO2020118863A1 (zh) * 2018-12-12 2020-06-18 肇庆宏旺金属实业有限公司 一种立式助卷器
CN111992512A (zh) * 2020-08-18 2020-11-27 杭州蒲丰视觉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钢带视觉检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333B1 (ko) 스트립 권취용 벨트 랩퍼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CN105485276B (zh) 用于钻床的带张紧装置
US10927927B2 (en) Tensioning device for a stirred ball mill with a belt or chain drive, and stirred ball mill
KR101511013B1 (ko) 3롤 타입 롤 밴딩장치
CN100475449C (zh) 电动工具
US20040002400A1 (en) Belt installation tool
US20080307912A1 (en) Transmission assembly and straightening machine for same
EP0019039B1 (en) Strap feeding and tensioning assembly
WO2017107021A1 (zh) 一种压辊间隙调整装置
KR200437969Y1 (ko) 구동축 아답터 분리용 지그
JP3054550B2 (ja) ワイヤソー装置
KR200356018Y1 (ko) 테이프 권취기
KR100643368B1 (ko) 선재 압연 공정의 조 압연기 공형 롤 고정장치
JP2009012270A (ja) 印刷機の駆動装置
CN209922224U (zh) 一种摆臂式压链装置及使用该装置的切丝机
CN217920626U (zh) 一种用于塑胶片材生产的收料装置
CA2030371C (en) Method for reconditioning of the sealing face on a drying cylinder of a paper machine and device for reconditioning of the sealing face
CN201531574U (zh) 一种简易张紧器
CN217867515U (zh) 同步带传动气胀轴收放卷机构
CN219171713U (zh) 一种皮带焊齿条用热熔焊接装置
KR20050117783A (ko) 피드롤 장치
JP4886339B2 (ja) シート状物品の切断装置
KR20030044243A (ko) 코일결속용 테이핑머신 내 코일끝부의 테이프밀착부착장치
KR200198216Y1 (ko) 롤 포밍 라인의 레이아웃
JP4837398B2 (ja) 金型の回転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