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259B1 - 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259B1
KR100825259B1 KR1020060068330A KR20060068330A KR100825259B1 KR 100825259 B1 KR100825259 B1 KR 100825259B1 KR 1020060068330 A KR1020060068330 A KR 1020060068330A KR 20060068330 A KR20060068330 A KR 20060068330A KR 100825259 B1 KR100825259 B1 KR 100825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control unit
telephon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8733A (ko
Inventor
문인제
Original Assignee
문인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인제 filed Critical 문인제
Priority to KR1020060068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259B1/ko
Publication of KR20080008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부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부와;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전화신호가 검출 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될 경우 상기 진동부가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부재가 감지될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가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부재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부재중일 시 소리로 전화수신을 통보하여 주변인이 전화응답에 임할 수 있고, 사용자가 존재할 시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전화수신을 통보하는 전화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화시스템{TELEPHONE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시스템이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화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전화시스템 10 : 제어부
11 : 제1 제어부 12 : 제2 제어부
20 : 음향출력부 30 : 감지부
40 : 진동부 50 : 전화기
60 : 의자
본 발명은 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부재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부재중일 시 소리로 전화수신을 통보하여 주변인이 전화응답에 임할 수 있고, 사용자가 존재할 시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전화수신을 통보하는 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사무실 등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자리에는 각 직원들의 업무를 위한 전화기가 비치되어 있다. 여기서, 통상 전화기는 전화수신 시 직원에게 벨소리로 전화수신을 통보하였다.
이처럼, 전화수신을 벨소리로 통보하는 전화기를 사용할 경우 벨이 울리는 전화기 앞의 직원이 부재중일 시 타직원이 그 벨소리를 듣고 전화수신을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벨이 울리는 전화기 앞의 직원이 착석하고 있을 시에도 전화응답에 임할때까지는 벨소리가 계속 울림으로서 타직원들이 벨소리에 의해 업무를 방해받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부재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부재중일 시 소리로 전화수신을 통보하여 주변인이 전화응답에 임할 수 있고, 사용자가 존재할 시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전화수신을 통보하는 전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부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부와;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전화신호가 검출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될 경우 상기 진동부가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부재가 감지될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가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와 상기 진동부가 설치된 의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자에 착석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부재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자에 안착했을 시,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상기 의자의 면을 통해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전화수신에 대한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부재에 대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가 소리 출력을 온 하게 하고 상기 사용자의 존재에 대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가 소리 출력을 오프 하게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1 제어부로부터 상기 전화수신에 대한 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제어부로 상기 사용자의 존재에 대한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진동부가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부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제어부로 상기 사용자의 부재에 대한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의자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음향출력부가 설치되는 전화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 상기 제2제어부 및 상기 음향출력부가 설치되는 전화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의자에 설치된 상기 진동부 및 상기 압력센서와 유선통신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화시스템을 자세히 설 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30), 진동부(40), 음향출력부(20), 및 제어부(10)를 포함한다.
감지부(30)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시스템(1)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부재 여부를 감지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전화시스템(1)이 회사 등의 사무실에 회사 직원이 업무를 보는 자리에 설치된 경우, 감지부(30)는 직원이 자리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감지부(30)는 압력센서로 구비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6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부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압력센서로 구비된 감지부(30)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닿는 의자(60)의 시트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감지부(30)를 근적외선 센서로 마련하고, 사용자가 의자(60)에 착석 시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곳에 근적외선 센서의 감지영역이 포함되도록 감지부(30)를 의자(60)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재 여부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진동부(40)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전화시스템(1)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전화수신을 진동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진동부(40)는 진동모터로 구비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30)가 설치된 의자(60)의 시트 부분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20)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전화시스템(1)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전화수신을 소리로 전달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출력부(2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화기(50)의 벨소리 출력 스피커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전화신호가 검출된 상태에서, 감지부(30)에 의해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될 경우 진동부(40)로 진동을 출력하고, 감지부(30)에 의해 사용자의 부재가 감지될 경우 음향출력부(20)가 소리 출력을 온(ON) 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0)가 무선통신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50)에 설치되는 제1 제어부(11) 및 의자(60)에 설치되는 제2 제어부(12)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시스템(1)의 제1 제어부(11) 및 제2 제어부(12)를 설명하겠다.
제1 제어부(11)는 전화국 또는 교환기 등의 외부로부터 전화가 오면 전화수신에 대한 신호를 제2 제어부(12)로 송신하고, 사용자 부재에 대한 신호가 제2 제어부(12)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음향출력부(20)가 소리 출력을 온 하도록 하고, 사용자 존재에 대한 신호가 제2 제어부(12)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음향출력부가 소리 출력을 오프 하도록 음향출력부(20)를 제어한다.
제2 제어부(12)는 제1 제어부(11)로부터 전화수신에 대한 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감지부(30)를 통해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된 경우 진동부(40)가 진동을 출력하도록 하고 사용자 존재에 대한 신호를 제1 제어부(11)로 송신하고, 감지부(30)를 통해 사용자의 부재가 감지된 경우 제1 제어부(11)로 사용자에 부재에 대한 신호를 송신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화시스템(1)의 동작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제어부(11)에 의해 전화수신이 검출되면(S11), 제1 제어부(11)는 전화수신 신호를 출력하여 제2 제어부(12)로 송신한다(S12).
그리고, 제1 제어부(11)로부터 전화수신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제어부(12)는 압력센서로 구비된 감지부(30)를 통해 얻은 사용자의 의자(60) 착석 여부에 따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부재 여부를 감지한다(S13). 여기서,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제2 제어부(12)는 제1 제어부(11)로 사용자 존재신호를 송신하고(S14), 이에 제1 제어부(11)는 음향출력부(20)가 소리 출력을 오프하게 한다(S15). 그리고, 제2 제어부(12)는 진동부(40)로 진동을 출력하게 하여(S16) 사용자로 하여금 전화가 수신된 것을 인지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화수신을 한다(S17).
만약, 사용자의 부재가 감지되면, 제2 제어부(12)는 제1 제어부(11)로 사용자 부재 신호를 송신하여(S18), 제1 제어부(11)로 하여금 전화기(50)의 음향출력부(20)로 벨소리 출력을 온 하게 한다(S19).따라서, 사용자의 주변인, 예컨대, 사용자가 회사 사무실의 직원일 경우 사용자의 직장 동료가 전화를 사용자 대신 수신할 수 있다(S20).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50)에 설치된 제1 제어부(11) 및 의자(60)에 설치된 제2 제어부(12)는 상호 무선통신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통신 방식은 적외선 송수신, 블루투스 등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화기(50)에 설치된 제1 제어부(11) 및 의자(60)에 설치된 제2 제어부(12)는 상호 유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 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어부(11)는 전화기(50)에 설치되고, 제2 제어부(12)는 의자(60)에 설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제1 제어부(11) 및 제2 제어부(12)가 모두 전화기(50)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전화기(50)에 설치된 제2 제어부(12)는 의자(60)에 설치된 감지부(30) 및 진동부(40)와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화시스템은 사용자의 부재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부재중일 시 소리로 전화수신을 통보하여 주변인이 전화응답에 임할 수 있고, 사용자가 존재할 시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전화수신을 통보하여 주변인이 불필요한 전화벨소리로부터 방해를 받지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사용자의 부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부와;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전화신호가 검출된 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될 경우 상기 진동부가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부재가 감지될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가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와 상기 진동부가 설치된 의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자에 착석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부재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자에 안착했을 시,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상기 의자의 면을 통해 진동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화수신에 대한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부재에 대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가 소리 출력을 온 하게 하고 상기 사용자의 존재에 대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가 소리 출력을 오프 하게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1 제어부로부터 상기 전화수신에 대한 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제어부로 상기 사용자의 존재에 대한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진동부가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부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제어부로 상기 사용자의 부재에 대한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의자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음향출력부가 설치되는 전화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 상기 제2제어부 및 상기 음향출력부가 설치되는 전화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의자에 설치된 상기 진동부 및 상기 압력센서와 유선통신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
KR1020060068330A 2006-07-21 2006-07-21 전화시스템 KR100825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330A KR100825259B1 (ko) 2006-07-21 2006-07-21 전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330A KR100825259B1 (ko) 2006-07-21 2006-07-21 전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733A KR20080008733A (ko) 2008-01-24
KR100825259B1 true KR100825259B1 (ko) 2008-04-25

Family

ID=39221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330A KR100825259B1 (ko) 2006-07-21 2006-07-21 전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2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06716B (zh) * 2014-12-08 2018-09-28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346B1 (ko) 2004-12-28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재중자동응답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346B1 (ko) 2004-12-28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부재중자동응답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733A (ko)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1447B1 (ko) 스피커 폰의 통화로 자동 형성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72484B1 (ko) 부재중 알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부재중알림 방법
JP2007142815A (ja) 電話装置およびその音響機器遠隔操作方法
KR100825259B1 (ko) 전화시스템
JP3791143B2 (ja) 携帯電話機
JP2002319997A (ja) 携帯電話機
JP2000295318A (ja) 携帯電話装置
JP3751107B2 (ja) 携帯電話機
JP3954738B2 (ja) 目覚し機能を有する電話機及び電話機の時刻報知方法
KR20140036899A (ko) 핸즈프리 장치, 그리고 이의 음성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5020435A (ja) 拡声機能付き移動電話機、拡声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4601515B2 (ja) 迷惑電話対策音出力機能を有する電話機
JP3118317U (ja) 携帯電話の着信を通知する装置
JP4548358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294507A (ja) マナー着信モード中に呼出し可能な電話装置
KR200205580Y1 (ko) 통신시스템의 오디오 출력기능을 구비한 헤드셋형단말장치
KR980013188A (ko) 전화기에 있어 시간 대역별 벨소리 변환장치 및 방법
JP2003078662A (ja) 通信装置
JP2004007792A (ja) 電話装置
JP2002218015A (ja) 通信装置
KR101604869B1 (ko) 수신 음량의 변화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4688607B2 (ja) 迷惑電話対策音出力機能を有する電話機
JP2006080605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WO20090585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dible indication of an active wireless link
JP2007049558A (ja) 迷惑電話対策音出力機能を有する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