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230B1 -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230B1
KR100825230B1 KR1020080009345A KR20080009345A KR100825230B1 KR 100825230 B1 KR100825230 B1 KR 100825230B1 KR 1020080009345 A KR1020080009345 A KR 1020080009345A KR 20080009345 A KR20080009345 A KR 20080009345A KR 100825230 B1 KR100825230 B1 KR 100825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right angle
pair
pie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주)대성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대성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80009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15Ancho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문틀의 네 모서리부에 이와 직각으로 면접촉을 이루는 한 쌍의 제1 직각유지구와 제2 직각유지구를 서로 대칭되게 설치하고, 이들을 통해 창문틀의 네 모서리부를 가압하여 창문틀이 긴밀한 결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문틀의 설치과정에서 창문틀을 이루는 프레임의 각도 변형 및 비틀림을 미연에 방지하여 창문의 개폐동작을 원활히 이룰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벽체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문틀의 일측 모서리부가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창문틀의 일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창문틀의 모서리와 면접촉을 이루며 내각이 직각을 이루는 제1 T형 연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 T형 연결편의 내면에는 제1 밀림방지고무패드가 부착되며, 상기 제1 T형 연결편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제1 결합공을 갖는 한 쌍의 제1 체결편과 제1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편의 일측에 제1 수평결합편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 수평결합편의 일면에 쐐기형 제1 돌부와 쐐기형 제1 홈부가 연속반복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 직각유지구; 창문틀의 타측 모서리부가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창문틀의 타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창문틀의 모서리와 면접촉을 이루며 내각이 직각을 이루는 제2 T형 연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 T형 연결편의 내면에 제2 밀림방지고무패드가 부착되며, 상기 제2 T형연결편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제2 결합공을 갖는 한 쌍의 제2 체결편과 제2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편의 일측에 제2 수평결합편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 수평결합편의 양측에 이탈방지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수평결합편의 일면에 상기 제1 돌부 및 제1 홈부와 걸림을 이루는 쐐기형 제2 돌부와 쐐기형 제2 홈부가 연속반복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2 직각유지구; 상기 한 쌍의 제1 직각유지구와 한 쌍의 제2 직각유지구를 수직방향으로 긴밀히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공과 한 쌍의 제2 연결공에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단부가 너트체결된 결합볼트 및 상기 창문틀과 개구부에 긴밀한 연결과 창문틀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제1,2 체결편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제1,2 체결편의 제1,2 결합공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되는 고정공을 갖는 설치편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편의 일측에 정방향의 제1 나선홈과 가이드홈을 갖는 제1 연결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관의 인접한 일측에는 창문틀이 설치되는 개구부의 내면을 감싸 긴밀한 연결을 이루기 위한 격자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격자프레임의 하부에는 역방향의 제2 나선홈을 갖는 제2 연결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 사이에는 상기 제1 나선홈과 제2 나선홈에 볼트체결되어 상기 격자프레임을 승강이동시키기 위한 양방향볼트가 구비된 수평조절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직각유지구, 창문틀, 수평조절구

Description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SAFETY WINDOW FRAME FOR BUILDING}
본 발명은 창문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문틀의 네 모서리부에 이와 직각으로 면접촉을 이루는 한 쌍의 제1 직각유지구와 제2 직각유지구를 서로 대칭되게 설치하고, 이들을 통해 창문틀의 네 모서리부를 가압하여 창문틀이 긴밀한 결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문틀의 설치과정에서 창문틀을 이루는 프레임의 각도 변형 및 비틀림을 미연에 방지하여 창문의 개폐동작을 원활히 이룰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의 벽체에 구비되는 창문은 태양 광에 의한 실내 조명 기능과 함께 실외 관망기능 및 풍수의 차단, 방음, 단열 등의 역할을 하는 건축물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이와 같은 창문을 구성하는 창문틀은 장방형으로 형성된 벽체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이때, 상기 창문틀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창문틀에는 상기 창문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창문틀을 개폐하는 창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창문은 건축물 벽체에 대부분 직사각형 형태로 창문틀이 설치되고, 상기 창문틀의 내부에 다수개의 창문이 설치되어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설치된다.
종래의 창문틀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참고로 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창문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건축용 창문틀은 유리를 지지하는 상하부 2개의 가로 프레임(수평 프레임)(1a, 1b)과 좌우측 2개의 세로 프레임(수직프레임)(3a, 3b)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은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서로 체결 고정되어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창문틀을 이루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은 철재 또는 강재나 알루미늄재 등 다양한 소재가 이용된다.
상기와 같이 사각 프레임 형태로 창문틀이 완성되면, 완성된 창문틀을 시공현장까지 운반하여 시공하게 되는데 있어서, 창문틀의 통상 운반 시 적어도 한 사람 이상의 운반자가 완성된 상기 창문틀을 잡고 운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운반된 창문틀은 벽돌의 조적시공으로 이루어진 벽체의 개구부에 위치시킨 후, 개구부와 창문틀 사이에 시멘트를 타설하다.
이후, 시멘트가 타설된 개구부에 창문틀을 끼움결합하여 창문틀을 고정설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설치된 창문틀은 창문틀과 개구부 사이에 긴밀한 결합관계가 이루어지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끼움결합 과정에서 창문틀에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됨에 따라 뒤틀림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창문틀의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동하는 창문의 개폐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창문틀의 설치시 가장 유의해야될 사항 중 하나가 창문의 원활한 슬라이딩 동작을 이룰 수 있도록 창문틀의 수평을 맞추어야 하는 과정인데, 종래에는 창문틀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서 창문틀이 기울어진 부위의 창문틀과 개구부 사이에 시멘트의 채움작업을 수회 반복하여 높이를 조절해야 했기 때문에 시공상의 어려움 및 이에 따른 시공기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벽체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문틀의 네 모서리부에 이와 직각으로 면접촉을 이루는 한 쌍의 제1 직각유지구와 제2 직각유지구를 서로 대칭되게 설치하고, 이들을 통해 창문틀의 네 모서리부를 가압하여 창문틀이 긴밀한 결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문틀의 설치과정에서 창문틀을 이루는 프레임의 각도 변형 및 비틀림을 미연에 방지하여 창문의 개폐동작을 원활히 이룰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문틀 설치과정에서 창문틀의 수평을 개구부와 창문틀 사이에 구비된 수평조절구를 통해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상의 편리성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른 시공기간의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안전창문틀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문틀의 일측 모서리부가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창문틀의 일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창문틀의 모서리와 면접촉을 이루며 내각이 직각을 이루는 제1 T형 연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 T형 연결편의 내면에는 제1 밀림방지고무패드가 부착되며, 상기 제1 T형 연결편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제1 결합공을 갖는 한 쌍의 제1 체결편과 제1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편의 일측에 제1 수평결합편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 수평결합편의 일면에 쐐기형 제1 돌부와 쐐기형 제1 홈부가 연속반복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 직각유지구;
창문틀의 타측 모서리부가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창문틀의 타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창문틀의 모서리와 면접촉을 이루며 내각이 직각을 이루는 제2 T형 연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2 T형 연결편의 내면에 제2 밀림방지고무패드가 부착되며, 상기 제2 T형연결편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제2 결합공을 갖는 한 쌍의 제2 체결편과 제2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편의 일측에 제2 수평결합편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 수평결합편의 양측에 이탈방지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수평결합편의 일면에 상기 제1 돌부 및 제1 홈부와 걸림을 이루는 쐐기형 제2 돌부와 쐐기형 제2 홈부가 연속반복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2 직각유지구;
상기 한 쌍의 제1 직각유지구와 한 쌍의 제2 직각유지구를 수직방향으로 긴밀히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공과 한 쌍의 제2 연결공에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단부가 너트체결된 결합볼트;
상기 창문틀과 개구부에 긴밀한 연결과 창문틀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제1,2 체결편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제1,2 체결편의 제1,2 결합공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되는 고정공을 갖는 설치편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편의 일측에 정방향의 제1 나선홈과 가이드홈을 갖는 제1 연결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관의 인접한 일측에는 창문틀이 설치되는 개구부의 내면을 감싸 긴밀한 연결을 이루기 위한 격자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격자프레임의 하부에는 역방향의 제2 나 선홈을 갖는 제2 연결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 사이에는 상기 제1 나선홈과 제2 나선홈에 볼트체결되어 상기 격자프레임을 승강이동시키기 위한 양방향볼트가 구비된 수평조절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벽체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문틀의 네 모서리부에 이와 직각으로 면접촉을 이루는 한 쌍의 제1 직각유지구와 제2 직각유지구를 서로 대칭되게 설치하고, 이들을 통해 창문틀의 네 모서리부를 가압하여 창문틀이 긴밀한 결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문틀의 설치과정에서 창문틀을 이루는 프레임의 각도 변형 및 비틀림을 미연에 방지하여 창문의 개폐동작을 원활히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문틀 설치과정에서 창문틀의 수평을 개구부와 창문틀 사이에 구비된 수평조절구를 통해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상의 편리성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른 시공기간의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는
벽체의 개구부(20)에 설치되는 창문틀(10)의 일측 모서리부가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창문틀(10)의 일측 상하부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한 쌍의 제1 직각유지구(110)와, 창문틀(10)의 타측 모서리부가 직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창문틀(10)의 타측 상하부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한 쌍의 제2 각도유지구(120)와, 상기 한 쌍의 제1 직각유지구(110)와 한 쌍의 제2 직각유지구(120)를 수직방향으로 긴밀히 연결할 수 있도록 그 사이에 체결되는 결합볼트(130) 및 상기 창문틀(10)과 개구부(20)에 긴밀한 연결과 창문틀(10)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창문틀(10)과 개구부(20)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수평조절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직각유지구(110)는 창문틀(10)의 일측 모서리부가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창문틀(10)의 일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직각유지구(110)는 그 하부에 상기 창문틀(10)의 모서리와 면접촉을 이루며 내각이 직각을 이루는 제1 T형 연결편(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T형 연결편(111)의 내면에는 제1 밀림방지고무패드(112)가 부착되며, 상기 제1 T형 연결편(111)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제1 결합공(113)을 갖는 한 쌍의 제1 체결편(114)과 제1 연결공(1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체결편(114)은 그 일측에 제1 수평결합편(116)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 수평결합편(116)의 일면에는 쐐기형 제1 돌부(117)와 쐐기형 제1 홈부(118)가 연속반복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직각유지구(120)는 창문틀(10)의 타측 모서리부가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창문틀(10)의 타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 직각유지구(120)는 그 하부에 상기 창문틀(10)의 모서리와 면접촉을 이루어 내각이 직각을 이루는 제2 T형 연결편(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T형 연결편(121)의 내면에 제2 밀림방지고무패드(122)가 부착되며, 상기 제2 T형 연결편(121)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제2 결합공(123)을 갖는 한 쌍의 제2 체결편(124)과 제2 연결공(1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체결편(124)은 그 일측에 제2 수평결합편(126)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 수평결합편(126)의 양측에 이탈방지편(129)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수평결합편(126)의 일면에 상기 제1 돌부(117) 및 제1 홈부(118)와 걸림을 이루는 쐐기형 제2 돌부(127)와 쐐기형 제2 홈부(128)가 연속반복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볼트(130)는 상기 한 쌍의 제1 직각유지구(110)와 한 쌍의 제2 직각유지구(120)를 수직방향으로 긴밀히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공(115)과 한 쌍의 제2 연결공(125)에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단부가 너트(131)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직각유지구(110)와 제2 직각유지구(120)는 수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긴밀한 연결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조절구(140)는 상기 창문틀(10)을 벽체의 개구부(20)에 긴밀히 설치하여 창문틀(10)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제1,2 체결편(114,124)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수평조절구(140)는 그 일측에 상기 제1,2 체결편(114,124)의 제1,2 결합공(113,123)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되는 고정공(141)을 갖는 설치편(142)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편(142)의 일측에 제1 연결관(14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관(145)의 내측에는 정방향의 제1 나선홈(143)이 형성되고, 제1 연결관(145)의 외주면에는 가이드홈(14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관(145)의 인접한 일측에는 창문틀(10)이 설치되는 개구부(20)의 내면을 감싸 긴밀한 연결을 이루기 위한 "Ц"자 형상의 격자프레임(146)이 마련되고, 상기 격자프레임(146)의 하부에는 제2 연결관(14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연결관(148)의 내측에는 역방향의 제2 나선홈(14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관(145)과 제2 연결관(148) 사이에는 상기 제1 나선홈(143)과 제2 나선홈(147)에 볼트체결되어 상기 격자프레임(146)을 승강이동시키기 위한 양방향볼트(149)가 구비되며, 상기 양방향볼트(149)의 중간에는 조절편(P)이 돌출형성된다.
이때,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 제1 연결관(145)들 사이에는 개구부(20)와 창문틀(10) 사이 공간에 견고하게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망체(150)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망체(150)는 그 양단에 상기 제1 연결관(145)에 형성된 가이드홈(144)에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바(151)가 용접고정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는 벽체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문틀의 네 모서리부에 이와 직각으로 면접촉을 이루는 한 쌍의 제1 직각유지구와 제2 직각유지구를 서로 대칭되게 설치하고, 이들을 통해 창문틀의 네 모서리부를 가압하여 창문틀이 긴밀한 결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문틀의 설치과정에서 창문틀을 이루는 프레임의 각도 변형 및 비틀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시공관계 및 결합관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5a,5b 및 도 6을 참조하면, 창문틀(10)의 네 모서리부 일측과 타측에 제1 T형 연결편(111)과 제2 T형 연결편(121)을 면접촉시킨다. 이때, 상기 제1 T형 연결편(111)과 제2 T형 연결편(121)의 내면에 부착된 제1 밀림방지패드(112)와 제2 밀림방지패드(122)에 의해 상기 제1,2 T형 연결편(111,121)은 창문틀(10)의 모서리부에서 긴밀한 밀착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제1 수평결합편(116)의 쐐기형 제1 돌부(117)와 쐐기형 제1 홈부(118)는 제2 수평결합편(126)의 쐐기형 제2 돌부(127)와 쐐기형 제2 홈부(128)에 걸림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쐐기형 제1 돌부(117)와 쐐기형 제1 홈부(118) 및 쐐기형 제2 돌부(127)와 쐐기형 제2 홈부(128)는 일면의 각도가 직각을 이루고 있어, 제1 수평결합편(116)과 제2 수평결합편(126)이 창문틀(10) 측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은 가능하나, 창문틀(10) 외측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을 방지하여 서로 걸림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직각유지구(110)와 제2 직각유지구(120)는 수평방향으 로 이탈되지 않고 긴밀한 연결관계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수평결합편(116)은 상기 제2 수평결합편(126)의 양측에 형성된 이탈방지편(129)에 의해 서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이후, 상기 제1 직각유지구(110)의 제1 연결공(115)과 제2 직각유지구(120)의 제2 연결공(125) 사이에 결합볼트(130)를 삽입연결하여 그 단부에 너트(131)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각도유지구(110)와 제2 각도유지구(120)는 상기 결합볼트(13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긴밀한 연결관계를 이루게 된다.
이에, 상기 창문틀(10)의 네 모서리부에 상기 제1 각도유지구(110)와 제2 각도유지구(120)를 위치시킨 후, 제1 수평결합편(116)과 제2 수평결합편(126) 및 결합볼트(130)를 이용하여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창문틀(10)에 가압시켜 결합함으로써, 창문틀(10)이 긴밀한 연결관계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편(114)과 한 쌍의 제2 체결편(124) 사이에 제1,2 결합공(113,123)과 고정공(141)이 연통되도록 설치편(142)을 위치시킨 후, 볼트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조절구(140)는 상기 제1 각도유지구(110)와 제2 각도유지구(120)에 긴밀히 결합된다.
이후, 상기 수평조절구(140)를 이루는 제1 연결관(145)의 정방향 제1 나선홈(143)과 격자프레임(146)에 형성된 제2 연결관(148)의 역방향 제2 나선홈(147)에는 양방향볼트(149)가 볼트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양방향볼트(149)의 볼트체결 및 이완을 통해 격자프레임(146)을 승강이동시킴으로써, 창문틀(10)의 수평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 제1 연결관(145)들의 가이드홈(144)에는 망체(150)의 체결바(151)가 삽입연결된다.
이에 따라, 개구부(20)와 창문틀(10) 사이 공간에 타설된 콘크리트는 상기 망체를 통해 더욱 견고한 설치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는 창문틀의 설치과정에서 창문틀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창문틀의 수평을 신속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건축용 창문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창문틀 20 : 개구부
110 : 제1 직각유지구 120 : 제2 직각유지구
130 : 결합볼트 140 : 수평조절구
150 : 망체

Claims (2)

  1. 벽체의 개구부(20)에 설치되는 창문틀(10)의 일측 모서리부가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창문틀(10)의 일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창문틀(10)의 모서리와 면접촉을 이루며 내각이 직각을 이루는 제1 T형 연결편(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T형 연결편(111)의 내면에는 제1 밀림방지고무패드(112)가 부착되며, 상기 제1 T형 연결편(111)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제1 결합공(113)을 갖는 한 쌍의 제1 체결편(114)과 제1 연결공(115)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편(114)의 일측에 제1 수평결합편(116)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 수평결합편(116)의 일면에 쐐기형 제1 돌부(117)와 쐐기형 제1 홈부(118)가 연속반복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 직각유지구(110);
    창문틀(10)의 타측 모서리부가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창문틀(10)의 타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창문틀(10)의 모서리와 면접촉을 이루며 내각이 직각을 이루는 제2 T형 연결편(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T형 연결편(121)의 내면에 제2 밀림방지고무패드(122)가 부착되며, 상기 제2 T형 연결편(121)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제2 결합공(123)을 갖는 한 쌍의 제2 체결편(124)과 제2 연결공(125)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편(124)의 일측에 제2 수평결합편(126)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 수평결합편(126)의 양측에 이탈방지편(129)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수평결합편(126)의 일면에 상기 제1 돌부(117) 및 제1 홈부(118)와 걸림을 이루는 쐐기형 제2 돌부(127)와 쐐기형 제2 홈부(128)가 연속반복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2 직각유지구(120);
    상기 한 쌍의 제1 직각유지구(110)와 한 쌍의 제2 직각유지구(120)를 수직방향으로 긴밀히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공(115)과 한 쌍의 제2 연결공(125)에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단부가 너트(131)체결된 결합볼트(130);
    상기 창문틀(10)과 개구부(20)에 긴밀한 연결과 창문틀(10)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제1,2 체결편(114,124)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제1,2 체결편(114,124)의 제1,2 결합공(113,123)과 연통되어 볼트체결되는 고정공(141)을 갖는 설치편(142)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편(142)의 일측에 정방향의 제1 나선홈(143)과 가이드홈(144)을 갖는 제1 연결관(145)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관(145)의 인접한 일측에는 창문틀(10)이 설치되는 개구부(20)의 내면을 감싸 긴밀한 연결을 이루기 위한 격자프레임(146)이 마련되고, 상기 격자프레임(146)의 하부에는 역방향의 제2 나선홈(147)을 갖는 제2 연결관(148)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관(145)과 제2 연결관(148) 사이에는 상기 제1 나선홈(143)과 제2 나선홈(147)에 볼트체결되어 상기 격자프레임(146)을 승강이동시키기 위한 양방향볼트(149)가 구비된 수평조절구(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 제1 연결관(145)들 사이에는 개구부(20)와 창문틀(10) 사이 공간에 견고하게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망체(150)가 마 련되며, 상기 망체(150)의 양단에는 상기 제1 연결관(145)에 형성된 가이드홈(144)에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144)에 삽입연결되는 체결바(151)가 용접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
KR1020080009345A 2008-01-30 2008-01-30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 KR100825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345A KR100825230B1 (ko) 2008-01-30 2008-01-30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345A KR100825230B1 (ko) 2008-01-30 2008-01-30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5230B1 true KR100825230B1 (ko) 2008-04-30

Family

ID=39572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345A KR100825230B1 (ko) 2008-01-30 2008-01-30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2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727B1 (ko) 2014-02-27 2014-04-15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디에스그룹 건축용 안전 창문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5843A (en) 1973-08-13 1976-12-07 Kasteler Fred J Apparatus for supporting a window buck frame
JPH1122307A (ja) 1997-07-08 1999-01-26 Asahi Glass Co Ltd 通気工法用サッシ構造
KR100538133B1 (ko) 2005-09-02 2005-12-21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창문틀 고정 구조
KR100579447B1 (ko) 2005-11-29 2006-05-15 (주)동화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창문틀 보강구조
KR100592723B1 (ko) 2005-12-19 2006-06-28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창문틀 고정구조
KR100704545B1 (ko) 2006-09-07 2007-04-09 (주)중원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창문틀 체결구조
KR100730901B1 (ko) 2006-12-06 2007-06-21 (주)경진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창호 보강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5843A (en) 1973-08-13 1976-12-07 Kasteler Fred J Apparatus for supporting a window buck frame
JPH1122307A (ja) 1997-07-08 1999-01-26 Asahi Glass Co Ltd 通気工法用サッシ構造
KR100538133B1 (ko) 2005-09-02 2005-12-21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창문틀 고정 구조
KR100579447B1 (ko) 2005-11-29 2006-05-15 (주)동화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창문틀 보강구조
KR100592723B1 (ko) 2005-12-19 2006-06-28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창문틀 고정구조
KR100704545B1 (ko) 2006-09-07 2007-04-09 (주)중원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창문틀 체결구조
KR100730901B1 (ko) 2006-12-06 2007-06-21 (주)경진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창호 보강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727B1 (ko) 2014-02-27 2014-04-15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디에스그룹 건축용 안전 창문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6577B (zh) 直料扣件系統
US9813013B2 (en) Solar panel installation systems and methods
JP5901615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固定用可変型ファスナー
RU73909U1 (ru) Система профилей для модульного фасада здания
US9793852B2 (en) Clamp and bowl mounting system for photovoltaic modules
CN101426986A (zh) 防火墙结构
KR100953279B1 (ko) 외장판넬 조립용 체결구
KR100825230B1 (ko)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
KR20080030592A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CA2888404C (en) Support bracket apparatus
JP5329174B2 (ja) 外断熱構造
KR101590093B1 (ko) 오픈조인트공법용 기능성 외장마감재 고정장치
CA2872780A1 (en) Support bracket apparatus
KR101566801B1 (ko) 하프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KR20130137362A (ko) 조립식 건축물의 각도 조절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51327A (ko) 창호용 차수 판
JP6704242B2 (ja) 下枠装着部材
KR102122277B1 (ko) 전단벽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
KR100646663B1 (ko) 건축물 창문틀 고정구조물
JP3150736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施工方法と窓取付装置
JP3980391B2 (ja) 木造建築物
NL2017629B1 (en) Anchoring device for anchoring a facade element to a building
JP3113860U (ja) ユニットハウス用壁パネルの固定構造
KR20090012732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용 조립체
JP2007247220A (ja) Alc壁パネ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