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501B1 - Balance weight-less elevator apparatus - Google Patents

Balance weight-less elevator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501B1
KR100824501B1 KR1020067014932A KR20067014932A KR100824501B1 KR 100824501 B1 KR100824501 B1 KR 100824501B1 KR 1020067014932 A KR1020067014932 A KR 1020067014932A KR 20067014932 A KR20067014932 A KR 20067014932A KR 100824501 B1 KR100824501 B1 KR 100824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levator
rope
main rope
sh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49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57697A (en
Inventor
히사오 쿠라오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4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501B1/en
Publication of KR20070057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6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5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7Roping for counterweightless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Abstract

승강로 꼭대기부 및 피트부의 공간을 최소한으로 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소형화할 수 있는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의 꼭대기부 및 피트부에 각각 설치된 구동 쉬브 또는 리터닝 쉬브(returning sheave)와, 이 구동 쉬브 또는 리터닝 쉬브에 감겨지고, 그 일단부가 엘리베이터 칸의 위쪽으로부터, 또 타단부가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으로부터 각각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메인 로프를 구비하고, 메인 로프의 양단부를 엘리베이터 칸의 일측면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메인 로프의 일단부를 엘리베이터 칸의 일측면 하부에 위쪽으로부터 설치하거나, 혹은 메인 로프의 타단부를 엘리베이터 칸의 일측면 상부에 아래쪽으로부터 설치한다. Provided is a counterweight weightless elevator apparatus capable of miniaturizing an elevator hoisting path by minimizing the space of the hoistway top and the pit part. To this end, an elevator car for elevating in an elevator hoist, a driving sheave or a returning sheav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top and the pit of the hoistway, and the driving sheave or the lining sheave are wound around one end thereof, From the top of the compartment,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main rope installed in the car respectively from the bottom of the car, and both ends of the main rope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r, and one end of the main rope is on one side of the car. It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from an upper part, or the other end of a main rope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one side of a car from a lower part.

Description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BALANCE WEIGHT-LESS ELEVATOR APPARATUS}Balancing elevator device {BALANCE WEIGHT-LESS 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균형추가 구비되지 않은 엘리베이터 장치(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balance weightless elevator apparatus) which is not provided with a balance weight.

트랙션(traction) 방식의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통상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에 메인 로프의 각 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은, 메인 로프가 감겨진 구동 쉬브의 회동에 연동하여 승강로 내를 승강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정면도이며, 하기 특허문헌 1 기재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이동시에 승차하는 엘리베이터 차체(1)는, 완충재(2) 등을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 틀(3)에 고정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칸 틀(3)에는, 엘리베이터 차체(1)의 위쪽에 배치된 상부 틀(3c)의 중앙부에 메인 로프(6)의 일단부가, 또 엘리베이터 차체(1)의 아래쪽에 배치된 하부 틀(3a)의 중앙부에 메인 로프(6)의 타단부가, 각각 로프 당김 장치(8a 또는 8b)를 매개로 하여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로프 당김 장치(8a, 8b)를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5)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된 이 메인 로프(6)는, 승강로(7)의 꼭대기부 및 피트(pit)부에 설치된 리터닝 쉬브(returning sheave, 10)나 구동 쉬브(9a) 에 감겨지는 동시에, 승강로(7)의 피트부에 설치된 텐션 장치(14)에 의해 소정의 장력이 부여되고 있다. 또한, 텐션 장치(14)에 의해 부여되는 이 장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5)을 승강시키는데 필요한 마찰력이 메인 로프(6)와 구동 쉬브(9a) 사이에 발생한다. In a traction type counterweight elevator device, each end of the main rope is normally connected to an elevator car, and the car of the elevator interlocks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on which the main rope is wound.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It is a front view of the conventional counterweight elevator apparatus which has such a structure, and shows schematic structure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ollowing patent document 1. As shown in FIG. In FIG. 4, the elevator car 1 which the user of an elevator rides at the time of movement is being fixed to the cage 3 through the buffer material 2, etc. In the cage frame 3, one end of the main rope 6 is plac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frame 3c disposed above the elevator car 1, and the lower frame (below the elevator car 1 is disposed). The other end part of the main rope 6 is elastically provided in the center part of 3a via the rope pulling apparatus 8a or 8b, respectively. The main rope 6,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ar 5 via the rope pulling devices 8a and 8b, has a lining sheave provided at the top and the pit of the hoistway 7. The tensioning device 14 is wound around the returning sheave 10 and the drive sheave 9a and is provided with a tension device 14 provided in the pit of the hoistway 7. In addition, due to this tension imparted by the tensioning device 14, frictional force necessary for elevating the car 5 is generated between the main rope 6 and the drive sheave 9a.

특허문헌 l : 일본특개 2004-67365호 공보Patent Document l: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67365

특허문헌 1 기재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포함하여, 종래의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메인 로프(6)가 엘리베이터 차체(1)의 직상부 및 직하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로프 당김 장치(8a, 8b)와 승강로(7)의 꼭대기부 및 피트부에 설치된 기기류가 간섭하여, 승강로(7)의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없어, 승강로(7)가 대형화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즉, 승강로(7)의 꼭대기부에는, 엘리베이터 칸(5)이 승강 가능 범위의 최상부에 도달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차체(1)의 위쪽에 설치된 로프 당김 장치(8a)와 승강로(7)의 꼭대기부에 설치된 리터닝 쉬브(10)가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엘리베이터 차체(1)와 리터닝 쉬브(10) 사이에, 메인 로프(6)를 로프 당김 장치(8a)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위한 공간(도 4에서의 L1)과, 메인 로프(6)의 길이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위한 공간(도 4에서의 L2)을 설치했어야 했다. 한편, 승강로(7)의 피트부에는, 엘리베이터 칸(5)이 승강 가능 범위의 최하부에 도달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차체(1)의 아래쪽에 설치된 로프 당김 장치(8b)와 승강로(7)의 피트부에 배치된 권상기(traction machine, 9)가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엘리베이터 차체(1)와 권상기(9) 사이에, 연결부 및 조정부를 위한 공간(도 4에서의 L4, L3)이 필요했었다.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without counterweight, including the elevator apparatus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since the main rope 6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vator vehicle 1, the rope pulling apparatuses 8a and 8b are provided. And devices provided at the top and the pit of the hoistway 7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hoistway 7 cannot be effectively utilized,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hoistway 7 is enlarged. That is, the top of the hoistway 7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rope pull device 8a and the hoistway 7 provided above the elevator car 1 when the car 5 reaches the top of the hoistable range. Space for the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main rope 6 to the rope pulling device 8a between the elevator car 1 and the lining sheave 10 so that the installed lining sheave 10 does not interfere (Fig. L1 at 4 and a space (L2 in FIG. 4) for the adjusting par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main rope 6 should have been provided. On the other hand, in the pit part of the hoistway 7, the rope pull device 8b provided below the elevator car 1 and the pit part of the hoistway 7 when the cage | basket | car 5 reached | attained the lowest part of the hoistable range. In order to prevent the arranged traction machine 9 from interfering, a space (L4 and L3 in FIG. 4) for the connecting part and the adjusting part was required between the elevator car 1 and the hoisting machine 9.

또, 복수개의 메인 로프(6)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5)이 매달려있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5)이 승강 가능 범위의 최상부에 도달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 당김 장치(8a)에 경사가 발생해 버린다. 이 경사는, 승강로(7)의 꼭대기부에 설치된 리터닝 쉬브(10)의 로프 홈(rope groove)의 간격과 엘리베이터 차체(1)의 위쪽에 설치된 로프 당김 장치(8a)의 설치 간격과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리터닝 쉬브(10)와 로프 당김 장치(8a)와의 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그 기울기가 커진다. 이 때문에, 로프 당김 장치(8a)의 경사각도(θ)를 허용 범위 내에 유지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칸(5)이 승강 가능 범위의 최상부에 도달했을 때에, 리터닝 쉬브(10)와 로프 당김 장치(8a) 사이에 소정의 거리가 필요해진다. 한편, 승강로(7)의 피트부에 설치된 권상기(9)와 엘리베이터 차체(1)의 아래쪽에 설치된 로프 당김 장치(8b) 사이에도 상기 문제는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5)이 승강 가능 범위의 최하부에 도달했을 때에, 로프 당김 장치(8b)에도 경사가 생겨 버린다. 이상의 이유에 의해, 승강로(7)의 꼭대기부 및 피트부의 쌍방에서, 로프 당김 장치(8a, 8b)의 경사각도(θ)를 허용 범위 내에 유지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했었다. In addition, when the cage | basket | car 5 is suspended by the some main rope 6, when the cage | basket | car 5 reaches the uppermost range of the elevating range, as shown in FIG. 5, the rope pulling apparatus 8a is carried out. Inclination occurs in. This inclination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acing of the rope grooves of the turning sheave 10 provid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7 and the spacing of the rope pulling device 8a provided above the elevator car 1.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lining sheave 10 and the rope pulling device 8a becomes shorter. For this reason, in order to keep the inclination angle (theta) of the rope pulling apparatus 8a in an allowable range, when the cage | basket | car 5 reaches | attained the uppermost part of the elevable range, the lining sheave 10 and the rope pulling apparatus ( A predetermined distance is necessary between 8a). On the other hand, the above problem may also occur between the hoisting machine 9 provided in the pit of the hoistway 7 and the rope pulling device 8b provided below the elevator car 1, so that the cage 5 can be moved up and down. When reaching the lowest part of, the inclination also occurs in the rope pulling device 8b. For the above reason, the space for maintaining the inclination angle (theta) of the rope pulling apparatus 8a, 8b in the tolerance range was needed in both the top part of the hoistway 7, and the pit part.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승강로 꼭대기부 및 피트부의 공간을 최소한으로 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소형화할 수 있는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objective is to provide the counterweight-less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minimize the elevator hoistway with the space of the top of a hoistway and a pit part to a minimum.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에 관한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의 꼭대기부 및 피트부에 각각 설치된 구동 쉬브 또는 리터닝 쉬브와, 이 구동 쉬브 또는 리터닝 쉬브에 감겨지고, 그 일단부가 엘리베이터 칸의 위쪽으로부터, 또 타단부가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으로부터 각각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메인 로프를 구비하고, 메인 로프의 양단부를 엘리베이터 칸의 일측면에 설치하는 동시에, 메인 로프의 일단부를 엘리베이터 칸의 일측면 하부에 위쪽으로부터 설치하거나, 혹은 메인 로프의 타단부를 엘리베이터 칸의 일측면 상부에 아래쪽으로부터 설치하는 것이다. An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und around an elevator car for elevating the inside of an elevator hoistway, a drive sheave or a lining sheave provided respectively at the top and the pit of the hoistway, and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or the lining sheave. One end has a main rope installed in the car from the top of the car and the other end from the bottom of the car, and both ends of the main rope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r, and one end of the main rope is provided in the car. It is to be installed from one side lower part of the upper side, or the other end of the main rope is installed from the lower side one side upper part of the car.

<발명의 효과>Effec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의 꼭대기부 및 피트부에 각각 설치된 구동 쉬브 또는 리터닝 쉬브와, 이 구동 쉬브 또는 리터닝 쉬브에 감겨지고, 그 일단부가 엘리베이터 칸의 위쪽으로부터, 또 타단부가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으로부터 각각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메인 로프를 구비하고, 메인 로프의 양단부를 엘리베이터 칸의 일측면에 설치하는 동시에, 메인 로프의 일단부를 엘리베이터 칸의 일측면 하부에 위쪽으로부터 설치하거나, 혹은 메인 로프의 타단부를 엘리베이터 칸의 일측면 상부에 아래쪽으로부터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승강로 꼭대기부 및 피트부의 공간을 최소한으로 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car for elevating the inside of an elevator hoistway, a drive sheave or a lining sheav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top and the pit of the hoistway, and the driving sheave or the lining sheave, and one end of which is wound above the car. From the bottom of the car,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main rope installed in the car, respectively, and both ends of the main rope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r, and one end of the main rope is located above one side of the car. Since the other end of the main rop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car from below, the elevator hoisting path can be miniaturized by minimizing the space of the top and the pit of the hoistw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 내며, (a)는 그 측면도, (b)는 그 정면도이다. FIG. 1: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balance weight in Example 1 of this invention, (a) is the side view, (b) is the front view.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며, (a)는 그 측면도, (b)는 그 정면도이다. FIG. 2: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balance weight in Example 2 of this invention, (a) is the side view, (b) is the front view.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며, (a)는 그 측면도, (b)는 그 정면도이다. Fig. 3 shows an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counterweight in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ide view thereof, and (b) is a front view thereof.

도 4는 종래의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정면도이다. 4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counterweight elevator apparatus.

도 5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 상세도이다. 5 is a detailed view of main parts of a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s *

1 엘리베이터 차체 2 완충재 1 elevator body 2 cushioning material

3 엘리베이터 칸 틀 3a 하부 틀 3 elevator frame 3a lower frame

3b 세로 틀 3c 상부 틀 3b vertical frame 3c upper frame

4a, 4c 하부 지지체 4b, 4d 상부 지지체4a, 4c lower support 4b, 4d upper support

5 엘리베이터 칸 6 메인 로프5 elevator car 6 main rope

7 승강로 8a, 8b 로프 당김 장치7 hoist 8a, 8b rope pull

9 권상기 9a 구동 쉬브 9 hoist 9a drive sheave

10 리터닝 쉬브 11a, 11b 로프 샤클(rope shackle)10 liter sheave 11a, 11b rope shackle

12a, 12b 스프링 홀더 13a, 13b 샤클 스프링12a, 12b spring holder 13a, 13b shackle spring

14 텐션 장치 14 tension device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의 도면을 따라 이를 설명한 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그 중복 설명은 적절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To describe the invention in more detail, i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each figur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 The duplication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briefly or abbreviate | omitted suitably.

실시예 lExample 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a)는 그 측면도, (b)는 그 정면도이다. 도 1에서,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이동할 때에 승차하는 엘리베이터 차체(1)는, 완충재(2)를 매개로 하여 대략 사각 고리 형상을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칸 틀(3)에 설치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칸 틀(3)은 엘리베이터 차체(1)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이 엘리베이터 차체(1)를 지지하는 하부 틀(3a)과, 이 하부 틀(3a)의 양단부에 각각 입설(入設)되고 엘리베이터 차체(1)의 양측에 배치된 세로 틀(3b)과, 이 세로 틀(3b)의 상부에 걸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차체(1)의 위쪽에 배치된 상부 틀(3c)로 구성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 차체(1)의 상하 및 양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틀(3)에는, 그 일측면 하부에 하부 지지체(4a)가, 또 일측면 상부에 상부 지지체(4b)가 설치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 칸 틀(3)의 일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각각의 일부(이하, 「돌출부」라고 한다)가, 연직 투영면상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FIG. 1: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balance weight in Example 1 of this invention, (a) is the side view, (b) is the front view. In FIG. 1, the elevator car 1 which boards when the user of an elevator moves is provided in the cage 3 which shows a substantially square ring shape via the buffer material 2. As shown in FIG. The cage frame 3 is disposed below the elevator body 1, and is placed in the lower frame 3a supporting the elevator body 1, and at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3a, respectively. And a vertical frame 3b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or vehicle 1, and an upper frame 3c disposed 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3b and disposed above the elevator vehicle 1,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both sides of the elevator car 1 may be enclosed. Moreover, in the cage 3, the lower support 4a is provided in the lower side of one side, and the upper support 4b is provided in the upper side of one side, and it protrudes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cage 3; A part of ea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jection") is dispos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5)은, 복수의 메인 로프(6)에 의해 매달려 있으며, 그 양측에 입설된 가이드 레일(미도시)에 안내되어 승강로(7) 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 칸(5)을 매다는 각 메인 로프(6)는 각각의 일단부에 로프 당김 장치(8a)가 설치되고, 이 로프 당김 장치(8a)를 매개로 하여 하부 지지체(4a)에 위쪽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 각 메인 로프(6)는 하부 지지체(4a)에 연결된 일단부측으로부터, 승강로(7) 꼭대기부에 설치된 권상기(9)의 구동 쉬브(9a)와 승강로(7) 피트부에 설치된 리터닝 쉬브(10)에 순차적으로 감겨지고, 그 타단부가 로프 당김 장치(8b)를 매개로 하여 상부 지지체(4b)에 아래쪽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The cage | basket | car 5 of the elevator which has such a structure is suspended by the some main rope 6, is guided by the guide rail (not shown) installed in the both sides, and elevates the inside of the hoistway 7. As shown in FIG. Each main rope 6 which suspends the cage | basket | car 5 is provided with the rope pulling apparatus 8a in each end, and is resilient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upport body 4a via this rope pulling apparatus 8a. Is connected. Moreover, each main rope 6 has a driving sheave 9a of the hoisting machine 9 provid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7 and a turning sheave provided at the hoistway 7 pit from the one end side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4a. It is wound up by (10) sequentially, and the other end is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body 4b from the lower side via the rope pulling apparatus 8b.

다음으로, 각 메인 로프(6)의 단부에 설치된 로프 당김 장치(8a, 8b)의 구성 및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rope pulling apparatus 8a, 8b provided in the edge part of each main rope 6 are demonstrated.

각 메인 로프(6)의 일단부에 설치된 로프 당김 장치(8a)에는, 하부 지지체(4a)의 위쪽에서 메인 로프(6)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하부 지지체(4a)의 돌출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미도시)에 느슨하게 통과(遊貫)하는 로프 샤클(11a)과, 하부 지지체(4a)의 아래쪽에서 로프 샤클(11a)의 선단부에 설치된 대략 원반 형상을 나타내는 스프링 홀더(12a)와, 스프링 홀더(12a)의 상부면 및 하부 지지체(4a)의 하부면 사이에 설치되어 스프링 홀더(12a)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그 중공부(中空部)에 로프 샤클(11a)이 삽입되어 통과된 샤클 스프링(13a)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로프 당김 장치(8a)는 각각의 로프 샤클(11a)이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샤클 스프링(13a)의 하부와 스프링 홀더(12a)가, 엘리베이터 칸 틀(3)의 하부 틀(3a)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The rope pulling device 8a provided at one end of each main rope 6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in rope 6 above the lower support 4a and is formed through the protrusion of the lower support 4a. Rope Shackle 11a passing loosely through a hole (not shown), Spring holder 12a showing a substantially disk shape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Rope Shackle 11a below the lower support 4a, and Spring It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2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pporter 4a to press the spring holder 12a downwards, and the rope shackle 11a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of the holder 12a. The shackle spring 13a is provided. In addition, the rope pulling device 8a is arranged so that each rope shackle 11a has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lower part of the shackle spring 13a and the spring holder 12a are the lower frame of the cage frame 3.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 located slightly below (3a).

한편, 각 메인 로프(6)의 타단부에 설치된 로프 당김 장치(8b)에는, 상부 지지체(4b)의 아래쪽에서 메인 로프(6)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부 지지체(4b)의 돌출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미도시)에 느슨하게 통과하는 로프 샤클(11b) 과, 상부 지지체(4b)의 위쪽에서 로프 샤클(11b)의 선단부에 설치된 대략 원반 형상을 나타내는 스프링 홀더(12b)와, 상부 지지체(4b)의 상부면 및 스프링 홀더(12b)의 하부면 사이에 설치되어 스프링 홀더(12b)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그 중공부에 로프 샤클(11b)이 삽입되어 통과된 샤클 스프링(13b)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로프 당김 장치(8b)는, 각각의 로프 샤클(11b)이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샤클 스프링(13b)의 상부와 스프링 홀더(12b)가, 엘리베이터 칸 틀(3)의 상부 틀(3c)보다 약간 위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ope pulling device 8b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each main rope 6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rope 6 at the bottom of the upper support 4b, and at the same time as the protrusion of the upper support 4b. Rope shackle 11b passing loosely through the formed through hole (not shown), spring holder 12b having an approximate disk shape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rope shackle 11b above the upper support 4b, and the upper support ( The shackle spring 13b,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4b)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pring holder 12b, presses the spring holder 12b upwards, and the rope shackle 11b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thereof. It is provided. In addition, the rope pulling device 8b is arranged so that each rope shackle 11b has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top of the shackle spring 13b and the spring holder 12b are the top of the cage 3.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 located slightly above the frame 3c.

또한, 각 메인 로프(6)의 길이에 불균형이 발생한 경우에는, 로프 당김 장치(8a)의 스프링 홀더(12a) 및 로프 당김 장치(8b)의 스프링 홀더(12b)의 설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각 메인 로프(6)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로프 샤클(11a, 11b)에 스프링 홀더(12b, 12b)가 나사 맞춤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프링 홀더(12a, 12b)를 회전시켜서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각 메인 로프(6)의 길이를 적정하게 할 수 있다. 또, 로프 당김 장치(8a)의 샤클 스프링(13a) 및 로프 당김 장치(8b)의 샤클 스프링(13b)은, 엘리베이터 칸(5)의 발진시 및 정지시 등,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5)의 위치에 의해 변동하는 로프 샤클(11a, 11b)의 기울기를 흡수하는 플로팅 기능(floating function)을 구비하고 있다. In addition, when an imbalance arises in the length of each main rope 6, by chang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ring holder 12a of the rope pulling apparatus 8a and the spring holder 12b of the rope pulling apparatus 8b,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main rope 6 individually. For example, when the spring holders 12b and 12b are screwed to the rope shackles 11a and 11b, the length of each main rope 6 is increased by rotating the spring holders 12a and 12b to move them up and down. It can be appropriate. The shackle spring 13a of the rope pulling device 8a and the shackle spring 13b of the rope pulling device 8b are generated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such as when the car 5 starts and stops. It is provided with the floating function which absorbs the inclination of the rope shackles 11a and 11b which fluctuate by the posi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5 at the same time to alleviate an impact.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5)을 매다는 메인 로프(6)의 일단부가 엘리베이터 칸(5)의 일측면 하부에 설치된 하부 지지체(4a)에 연결되고, 또 그 타단부가 엘리베이터 칸(5)의 일측면 상부에 설치된 상부 지지 체(4b)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 로프(6)와 엘리베이터 칸(5)을 연결하는 로프 당김 장치(8a, 8b)가, 엘리베이터 칸(5)의 측방에 배치되게 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5)이 승강 가능 범위의 최상부에 도달했을 때의 권상기(9)와 엘리베이터 칸(5)과의 거리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승강로(7)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승강로(7) 및 승강로(7) 내의 엘리베이터 칸(5)의 승강 가능 범위를 변경하지 않는 경우에는, 권상기(9)의 설치 위치를 내리는 것이 가능해져서, 권상기(9)의 설치성 및 보수성이 향상된다.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one end of the main rope 6 which hangs the cage | basket | car 5 of an elevator is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body 4a provided in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cage | basket | car 5, and its other end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body 4b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cage | basket | car 5, the rope pulling apparatus 8a, 8b which connects the main rope 6 and the cage | basket | car 5 is a cage | basket | car.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side of (5).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hoist 9 and the car 5 when the car 5 reaches the top of the liftable range can be minimized, and the elevator 7 can be miniaturized. . In addition, when the lifting | removing range of the cage | basket | car 5 and the cage | basket | car 5 in the cage | path 7 is not changed, it becomes possible to lowe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oisting machine 9, and the installability and water retention of the hoisting machine 9 are made. This is improved.

또, 메인 로프(6)의 일단부가 엘리베이터 칸(5)의 일측면 하부의 하부 지지체(4a)에 위쪽으로부터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5)이 승강 가능 범위의 최상부에 도달한 경우에서도, 승강로(7)의 꼭대기부에 설치된 권상기(9)의 구동 쉬브(9a)와 로프 당김 장치(8a) 사이에는, 엘리베이터 칸(5)의 높이만큼의 거리가 항상 마련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승강로(7)의 꼭대기부에 로프 당김 장치(8a)의 경사를 허용 범위 내에 유지하기 위한 공간은 필요없게 되며, 승강로(7)의 꼭대기부의 공간을 축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5)이 승강 가능 범위의 최하부에 도달한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승강로(7)의 피트부에 설치된 리터닝 쉬브(10)와 엘리베이터 칸(5)과의 거리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승강로(7)의 피트부에 로프 당김 장치(8b)의 경사를 허용 범위 내에 유지하기 위한 공간이 불필요해진다. Moreover, since the one end of the main rope 6 is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body 4a of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cage | basket | car 5 from upper part, even when the cage | basket | car 5 reaches the uppermost range of the elevable range, The distance by the height of the cage | basket | car 5 is always provided between the drive sheave 9a of the hoisting machine 9 provided in the top part of the hoistway 7, and the rope pulling apparatus 8a. Therefore, as in the related art, the space for maintaining the inclination of the rope pulling device 8a at the top of the hoistway 7 within the allowable range is not necessary, and the space at the top of the hoistway 7 can be reduced. Moreover, even when the cage | basket | car 5 reaches | attains the lowest part of a cage | basket | lifting range, the distance between the lining sheave 10 and the cage | basket | car 5 provided in the pit part of the hoistway 7 for the same reason as the above. At the same time, the space for maintaining the inclination of the rope pulling device 8b within the allowable range in the pit portion of the hoistway 7 is unnecessary.

또, 메인 로프(6)의 일단부에 설치된 로프 당김 장치(8a)는, 이 로프 당김 장치(8a)의 조정부인 스프링 홀더(12a)가 엘리베이터 칸(5)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메인 로프(6)의 길이 조정을 행할 때에, 엘리베이터 칸(5)의 아래쪽으로부터 용이하게 스프링 홀더(12a)를 조작할 수 있어 작업성이 뛰어난다. 또한, 메인 로프(6)의 타단부에 설치된 로프 당김 장치(8b)에 관해서도 동일하며, 로프 당김 장치(8b)의 조정부인 스프링 홀더(12b)가 엘리베이터 칸(5)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메인 로프(6)의 길이 조정을 행할 때에, 엘리베이터 칸(5)의 위쪽으로부터 용이하게 스프링 홀더(12b)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addition, the rope pulling device 8a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rope 6 is disposed so that the spring holder 12a, which is an adjustment portion of the rope pulling device 8a,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car 5. When the operator adjusts the length of the main rope 6, the operator can easily operate the spring holder 12a from the lower side of the car 5, and is excellent in workability. The same applies to the rope pulling device 8b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rope 6, and the spring holder 12b, which is an adjustment part of the rope pulling device 8b, is disposed to be located above the car 5, As a result, the operator can easily operate the spring holder 12b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r 5 when adjusting the length of the main rope 6.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승강로(7)의 꼭대기부에 권상기(9)가, 또 승강로(7)의 피트부에 리터닝 쉬브(10)가 각각 배치되어 있으나, 승강로(7)의 꼭대기부 및 피트부에 각각 회동하는 회전 쉬브(turning sheave)가 설치되어 있으면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말할 것도 없으며, 예를 들면 승강로(7)의 피트부에 권상기(9)가 설치되는 구성을 갖고 있어도 상관없다.In addition, in Example 1, although the hoisting machine 9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top part of the hoistway 7, and the lining sheave 10 is respectively arrange | positioned at the pit part of the hoistway 7, the top part of the hoistway 7 an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provided when turning sheaves which are rotated respectively in the pit portions, for example,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oisting machine 9 is provided in the pit portion of the hoistway 7. It does not matter.

실시예 2Example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a)는 그 측면도, (b)는 그 정면도이다. 도 2에서, 엘리베이터 차체(1)를 지지하는 엘리베이터 칸 틀(3)의 일측면 하부에는, 그 일부가 엘리베이터 칸 틀(3)의 일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하부 지지체(4c)가 설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5)을 매다는 각 메인 로프(6)는, 각각의 일단부에 로프 당김 장치(8a)가 설치되고, 이 로프 당김 장치(8a)를 매개로 하여 하부 지지체(4c)에 위쪽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 각 메인 로프(6)는, 하부 지지체(4c)에 연결된 일단부측으로부터, 승강로(7)의 꼭대기부에 설치된 권상기(9)의 구동 쉬브(9a)와 승강로(7)의 피트부에 설치된 리터닝 쉬브(10)에 순차적으로 감겨지고, 그 타단부가 로프 당김 장치(8b)를 매개로 하여 하부 지지체(4c)에 아래쪽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FIG. 2: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balance weight in Example 2 of this invention, (a) is a side view, (b) is a front view. In FIG. 2, the lower support body 4c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cage 3 which supports the elevator car 1 so that one part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one side surface of the cage 3. . Moreover, each main rope 6 which hangs the cage | basket | car 5 is provided with the rope pulling apparatus 8a in each end part, and it is upper side to the lower support body 4c via this rope pulling apparatus 8a. It is elastically connected from. Moreover, each main rope 6 is provided in the drive sheave 9a of the hoisting machine 9 provided in the top part of the hoistway 7, and the pit part of the hoistway 7 from the one end side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body 4c. It is wound up sequentially on the lining sheave 1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body 4c from below via the rope pulling device 8b.

각 메인 로프(6)의 일단부에 설치된 로프 당김 장치(8a)에는, 하부 지지체(4c)의 위쪽에서 메인 로프(6)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하부 지지체(4c)의 돌출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미도시)에 느슨하게 통과하는 로프 샤클(11a)과, 하부 지지체(4c)의 아래쪽에서 로프 샤클(11a)의 선단부에 설치된 대략 원반 형상을 나타내는 스프링 홀더(12)와, 스프링 홀더(12a)의 상부면 및 하부 지지체(4c)의 하부면 사이에 설치되어 스프링 홀더(12a)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그 중공부에 로프 샤클(11a)이 삽입되어 통과된 샤클 스프링(13a)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로프 당김 장치(8a)는, 각각의 로프 샤클(11a)이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샤클 스프링(13a)의 하부와 스프링 홀더(12a)가, 엘리베이터 칸 틀(3)의 하부 틀(3a)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The rope pulling device 8a provided at one end of each main rope 6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in rope 6 from above the lower support 4c and is formed through the protrusion of the lower support 4c. Rope Shackle 11a loosely passing through the hole (not shown), Spring holder 12 having a substantially disk shape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Rope Shackle 11a below the lower support 4c, and Spring Holder 12a. Shackle spring (13a)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4c) and press the spring holder 12a downwards, while the rope shackle (11a)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therethrough have. In addition, the rope pulling device 8a is arranged so that each rope shackle 11a has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lower part of the shackle spring 13a and the spring holder 12a are the lower part of the cage frame 3.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 located slightly below the frame 3a.

한편, 각 메인 로프(6)의 타단부에 설치된 로프 당김 장치(8b)에는, 하부 지지체(4c)의 아래쪽에서 메인 로프(6)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하부 지지체(4c)의 돌출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느슨하게 통과하는 로프 샤클(11b)과, 하부 지지체(4c)의 위쪽에서 로프 샤클(11b)의 선단부에 설치된 대략 원반 형상을 나타내는 스프링 홀더(12b)와, 하부 지지체(4c)의 상부면 및 스프링 홀더(12b)의 하부면 사이에 설치되어 스프링 홀더(12b)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그 중공부에 로프 샤클(11b)이 삽입되어 통과된 샤클 스프링(13b)이 구비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ope pulling device 8b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each main rope 6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rope 6 from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upport 4c, and at the protrusion of the lower support 4c. Rope shackle 11b passing loosely through the formed through hole, spring holder 12b having an approximate disk shape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rope shackle 11b above the lower support 4c, and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upport 4c. The shackle spring 13b is provided between the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pring holder 12b to press the spring holder 12b upwards, and the rope shackle 11b is inserted through the hollow portion thereof.

또한, 그 밖은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In addition, others have the same structure as Example 1. FIG.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 로프 당김 장치(8a, 8b)를 엘리베이터 칸(5)의 하부에 집약하여, 구조의 간소화 및 구성 부품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메인 로프(6)의 연결 작업 및 길이 조정 작업 등을 모든 엘리베이터 칸(5)의 아래쪽으로부터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뛰어난다. 그 밖은,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5)의 일측면과 이 일측면에 대향하는 승강로 벽 사이에 충분한 간격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엘리베이터 칸(5)의 아래쪽으로부터 로프 당김 장치(8b)를 조작하여 메인 로프(6)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어렵게 되나, 로프 당김 장치(8a)의 스프링 홀더(12a)를 조작함으로써 각 메인 로프(6)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문제는 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로프 당김 장치(8b)에는 메인 로프(6)의 길이를 조정하는 조정부의 기구는 불필요하며, 또한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By having such a structure, the rope pulling apparatuses 8a and 8b are concentr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5, and it becomes possible to simplify structure and reduce component parts. Moreover, since work which connects the main rope 6, length adjustment work, etc. can be performed from the bottom of all the cage | basket | cars 5, it is excellent in workability. Otherwise, the same effects as in Example 1 are obtained. In addition, when sufficient space is not provided between the one side surface of the cage | basket | car 5 and the hoistway wall which opposes this one side, the rope pulling apparatus 8b is opera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cage | basket | car 5, and the main rope ( Although it becomes difficult to adjust the length of 6), since the length of each main rope 6 can be adjusted individually by operating the spring holder 12a of the rope pulling apparatus 8a, there is no problem in particular. In this case, the mechanism of the adjusting par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main rope 6 is unnecessary for the rope pulling device 8b, an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실시예 3Example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a)는 그 측면도, (b)는 그 정면도이다. 도 3에서, 엘리베이터 차체(1)를 지지하는 엘리베이터 칸 틀(3)의 일측면 상부에는, 그 일부가 엘리베이터 칸 틀(3)의 일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상부 지지체(4d)가 설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5)을 매다는 각 메인 로프(6)는 각각의 일단부에 로프 당김 장치(8a)가 설치되며, 이 로프 당김 장치(8a)를 매개로 하여 상부 지지체(4d)에 위 쪽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 각 메인 로프(6)는, 상부 지지체(4d)에 연결된 일단부측으로부터 승강로(7)의 꼭대기부에 설치된 권상기(9)의 구동 쉬브(9a)와 승강로(7)의 피트부에 설치된 리터닝 쉬브(10)에 순차적으로 감겨지고, 그 타단부가 로프 당김 장치(8b)를 매개로 하여 상부 지지체(4d)에 아래쪽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Fig. 3 shows an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counterweight in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ide view thereof, and (b) is a front view thereof. In FIG. 3, an upper support 4d is provided on one side upper part of the cage 3 for supporting the elevator car 1 so that a part thereof protrudes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cage 3. have. Moreover, each main rope 6 which hangs the cage | basket | car 5 is provided with the rope pulling apparatus 8a in each end, and it is upwards to the upper support 4d via this rope pulling apparatus 8a. Is elastically connected. Moreover, each main rope 6 is attached to the drive sheave 9a of the hoisting machine 9 provided in the top part of the hoistway 7 from the one end side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body 4d, and the pit part of the hoistway 7. It is wound up sequentially on the turning sheave 1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4d from below via the rope pulling device 8b.

각 메인 로프(6)의 일단부에 설치된 로프 당김 장치(8a)에는, 상부 지지체(4d)의 위쪽에서 메인 로프(6)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부 지지체(4d)의 돌출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미도시)에 느슨하게 통과하는 로프 샤클(11a)과, 상부 지지체(4d)의 하부에서 로프 샤클(11a)의 선단부에 설치된 대략 원반 형상을 나타내는 스프링 홀더(12a)와, 스프링 홀더(12a)의 상부면 및 상부 지지체(4d)의 하부면 사이에 설치되어 스프링 홀더(12a)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그 중공부에 로프 샤클(11a)이 삽입되어 통과된 샤클 스프링(13a)이 구비되어 있다. The rope pulling device 8a provided at one end of each main rope 6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in rope 6 from above the upper support 4d, and is formed through the protrusion of the upper support 4d. Rope shackle 11a passing loosely through holes (not shown), spring holder 12a showing an approximate disk shape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rope shackle 11a at the lower portion of upper support 4d, and spring holder 12a. It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4d) to press the spring holder 12a downwards,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provided with a shackle spring (13a) through which the rope shackle (11a)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have.

한편, 각 메인 로프(6)의 타단부에 설치된 로프 당김 장치(8b)에는, 상부 지지체(4d)의 아래쪽에서 메인 로프(6)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부 지지체(4d)의 돌출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느슨하게 통과하는 로프 샤클(11b)과, 상부 지지체(4d)의 위쪽에서 로프 샤클(11b)의 선단부에 설치된 대략 원 형상을 나타내는 스프링 홀더(12b)와, 상부 지지체(4d)의 상부면 및 스프링 홀더(12b)의 하부면 사이에 설치되어 스프링 홀더(12b)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그 중공부에 로프 샤클(11b)이 삽입되어 통과된 샤클 스프링(13b)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로프 당김 장치(8b)는, 각각의 로프 샤클(11b)이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샤 클 스프링(13b)의 상부와 스프링 홀더(12b)가 엘리베이터 칸 틀(3)의 상부 틀(3c)보다 약간 위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ope pulling device 8b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each main rope 6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rope 6 at the bottom of the upper support 4d, and at the same time as the protrusion of the upper support 4d. Rope shackle 11b passing loosely through the formed through hole, spring holder 12b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rope shackle 11b above upper support 4d, and upper part of upper support 4d. The shackle spring 13b is provided between the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pring holder 12b to press the spring holder 12b upwards, and the rope shackle 11b is inserted through the hollow portion thereof. In addition, the rope pulling device 8b is arranged so that each rope shackle 11b has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top of the shackle spring 13b and the spring holder 12b are the top of the cage 3.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 located slightly above the frame 3c.

또한, 그 밖은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In addition, others have the same structure as Example 1. FIG.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 로프 당김 장치(8a, 8b)를 엘리베이터 칸(5)의 상부에 집약하여, 구조의 간소화 및 구성 부품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메인 로프(6)의 연결 작업 및 길이 조정 작업 등을 모두 엘리베이터 칸(5)의 위쪽으로부터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뛰어난다. 특히, 엘리베이터 칸(5)의 천장을 타고 상기 작업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작업시에 새로운 발판 등을 짤 필요가 없다. 그 밖은,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5)의 일측면과 이 일측면에 대향하는 승강로 벽 사이에 충분한 간격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엘리베이터 칸(5)의 위쪽으로부터 로프 당김 장치(8a)를 조작하여 메인 로프(6)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어렵게 되나, 로프 당김 장치(8b)의 스프링 홀더(12b)를 조작함으로써 각 메인 로프(6)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문제는 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로프 당김 장치(8a)에는 메인 로프(6)의 길이를 조정하는 꼭대기부의 기구가 불필요해지며, 또한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By having such a structure, the rope pulling apparatuses 8a and 8b are concentr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5, and it becomes possible to simplify a structure and to reduce component parts. Moreover, since the connection work of the main rope 6, the length adjustment work, etc. can all be perform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ge | basket | car 5, it is excellent in workability. In particular,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above work on the ceiling of the car 5, and there is no need to prepare a new scaffold or the like at the time of work. Otherwise, the same effects as in Example 1 are obtained. In addition, when sufficient space is not provided between the one side surface of the cage | basket | car 5 and the hoistway wall which opposes this one side, the rope pulling apparatus 8a is oper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ge | basket | car 5, and the main rope 6 Although it becomes difficult to adjust the length of), since the length of each main rope 6 can be adjusted individually by operating the spring holder 12b of the rope pulling apparatus 8b, it does not become a problem in particular. In this case, the rope pulling device 8a does not need a mechanism at the top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main rope 6, an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의 양단부가 로프 당김 장치를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 가능 범위의 최상 부 및 최하부에 도달했을 때에, 승강로의 꼭대기부 및 피트부에 설치된 기기류와 로프 당김 장치가 간섭할 우려가 없어지기 때문에, 승강로의 꼭대기부 및 피트부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점유 공간이 작은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unbalanced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main rope which hangs the elevator car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r via a rope pulling device, and the car is at the top of the liftable range. When the parts and the bottom are reached, the equipment and the rope pulling device provided on the top and the pit of the hoistway are not likely to interfere. Therefore, the space required for the top and the pit of the hoistway can be minimized, thus occupying space.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this small counterweight free elevator apparatus.

Claims (8)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로의 꼭대기부 및 피트(pit)부에 각각 설치된 구동 쉬브 또는 리터닝 쉬브(returning sheave)와, 이 구동 쉬브 또는 리터닝 쉬브에 감겨지고 그 일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쪽으로부터, 또 타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으로부터 각각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메인 로프를 구비한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상기 메인 로프는, 그 양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일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일측면 하부에 위쪽으로부터 설치되거나, 혹은 상기 타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일측면 상부에 아래쪽으로부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 An elevator car for elevating in an elevator hoist, a driving sheave or a returning sheave provided at the top and a pit of the hoistway, respectively, and one end of the drive sheave or the turning sheave, An unbalanced elevator device having a main rope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a car from the top of a car, and the other end thereof from a lower side of the car, wherein the main ropes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one side of the car. At the same time, the one end portion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car from above, or the other end is provided on the one side surface upper portion of the car from below the balance weight elevator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엘리베이터 칸의 일측면 하부에 위쪽으로부터 설치된 메인 로프의 일단부,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일측면 상부에 아래쪽으로부터 설치된 상기 메인 로프의 타단부는, 상기 메인 로프의 길이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구비한 로프 당김 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상기 로프 당김 장치의 상기 조정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 및 위쪽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조정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 One end of the main rope provid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car, or the other end of the main rope provid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side of the car, the rope pull provided with an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main rope It is provided in the cage via the apparatus, The said adjustment part of the said rope pulling apparatus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djustment is possible from at least one of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cage, The counterweight-free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로의 꼭대기부 및 피트부에 각각 설치된 구동 쉬브 또는 리터닝 쉬브와, 이 구동 쉬브 또는 리터닝 쉬브에 감겨지고 그 일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쪽으로부터, 또 타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으로부터 각각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메인 로프를 구비한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상기 메인 로프는, 상기 일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일측면 하부에 위쪽으로부터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타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일측면 상부에 아래쪽으로부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An elevator car for elevating an elevator hoist, a drive sheave or a lining sheave provided at the top and the pit of the hoistway, respectively, and one end of which is wound around the car sheave or the lining sheave; An unbalanced elevator device having a main rope provided at the other end from the lower side of the car,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car, wherein the main rop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lower side of the car from above and at the same time. Counterweight eleva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is provided from the lower side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of the ca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메인 로프의 양단부는, 상기 메인 로프의 길이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구비한 로프 당김 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로프의 일단부에 설치된 상기 로프 당김 장치의 상기 조정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으로부터 조정 가능하게, 또 상기 메인 로프의 타단부에 설치된 상기 로프 당김 장치의 상기 조정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쪽으로부터 조정 가능하게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 Both ends of the main rope are installed in the car via a rope pulling device having an adjusting par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main rope, and the adjusting part of the rope pulling device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rope is provided in the elevator. And said adjusting portion of said rope pulling devic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said main rope so as to be adjustable from a lower side of said compartment and to be adjustable from an upper side of said cage.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로의 꼭대기부 및 피트부에 각각 설치된 구동 쉬브 또는 리터닝 쉬브와, 이 구동 쉬브 또는 리터닝 쉬브에 감겨지고, 그 일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쪽으로부터, 또 타단부 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으로부터 각각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메인 로프를 구비한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일측면 하부에 설치된 하부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로프는, 상기 일단부가 상기 하부 지지체에 위쪽으로부터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타단부가 상기 하부 지지체에 아래쪽으로부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An elevator car for elevating the inside of the elevator hoistway, a drive sheave or a lining sheave provided at the top and the pit of the hoistway, and the drive sheave or the lining sheave, respectively, one end of which is wound from above the car;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non-balance weight elevator device having a main rope installed in the car from the lower side of the car, each of which has a lower support provided below one side of the car, wherein the main rope has one end An elevator device without a counterweight, wherein the lower end is provided from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lower suppor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메인 로프의 일단부는, 상기 메인 로프의 길이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구비한 로프 당김 장치를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상기 로프 당김 장치의 상기 조정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으로부터 조정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One end of the main rope is installed in the car via a rope pulling device provided with an adjusting par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main rope, and the adjusting part of the rope pulling device is arranged to be adjustable from the lower side of the car. Elevator device without a counterweight, characterized in that.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로의 꼭대기부 및 피트부에 각각 설치된 구동 쉬브 또는 리터닝 쉬브와, 이 구동 쉬브 또는 리터닝 쉬브에 감겨지고, 그 일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쪽으로부터, 또 타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으로부터 각각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메인 로프를 구비한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일측면 상부에 설치된 상부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로프는, 상기 일단부가 상기 상부 지지체에 위쪽으로부터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타단부가 상기 상부 지지체에 아래쪽으로부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An elevator car for elevating the inside of the elevator hoistway, a drive sheave or a lining sheave provided at the top and the pit of the hoistway, and the drive sheave or the lining sheave, respectively, one end of which is wound from above the car; Moreover,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the non-weighted elevator apparatus provided with the main rope installed in the said car from the lower side of the said car respectively, Comprising: The upper support body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said car, The said main rope has the said one end part A counterweight without an eleva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is installed from the top,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on the upper support from the bottom.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메인 로프의 타단부는, 상기 메인 로프의 길이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구비한 로프 당김 장치를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상기 로프 당김 장치의 상기 조정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쪽으로부터 조정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추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other end of the main rope is installed in the car via a rope pulling device provided with an adjusting par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main rope, and the adjusting part of the rope pulling device is adjustable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r. Counterweight eleva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KR1020067014932A 2006-07-24 2004-11-29 Balance weight-less elevator apparatus KR1008245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4932A KR100824501B1 (en) 2006-07-24 2004-11-29 Balance weight-less elevato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4932A KR100824501B1 (en) 2006-07-24 2004-11-29 Balance weight-less elevator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697A KR20070057697A (en) 2007-06-07
KR100824501B1 true KR100824501B1 (en) 2008-04-22

Family

ID=38354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4932A KR100824501B1 (en) 2006-07-24 2004-11-29 Balance weight-less elevator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50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749A (en) * 1991-07-02 1993-01-22 Toshiba Corp Color copy controller
JPH11310372A (en) * 1998-04-28 1999-11-09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equipment
JP2001524060A (en) * 1996-12-30 2001-11-27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 Elevator rope equipment
JP2004067365A (en) * 2002-08-09 2004-03-04 Otis Elevator Co Elevator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749A (en) * 1991-07-02 1993-01-22 Toshiba Corp Color copy controller
JP2001524060A (en) * 1996-12-30 2001-11-27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 Elevator rope equipment
JPH11310372A (en) * 1998-04-28 1999-11-09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equipment
JP2004067365A (en) * 2002-08-09 2004-03-04 Otis Elevator Co Eleva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697A (en)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06947A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KR100444936B1 (en) Elevator device
JP2006256760A (en) Elevator device
JP4992281B2 (en) Elevator equipment
WO2003008318A1 (en) Elevator device
JP5329031B2 (en) Elevator equipment
KR20030051900A (en) Elevator
JP4765444B2 (en) Elevator rope steady rest
KR100824501B1 (en) Balance weight-less elevator apparatus
JP2004175510A (en) Elevator device
JP4290731B2 (en) Counterweight-less elevator device
EP1717185B1 (en) Elevator
EP1724229A1 (en) Elevator apparatus
JP4658067B2 (en) Elevator equipment
JP5608960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device
JP2010275022A (en) Elevator device
KR20040068178A (en) Elevator equipment
JP4491300B2 (en) Elevator hoist support device
JPWO2004028948A1 (en) Elevator equipment
KR100770500B1 (en) Elevator system
KR100246745B1 (en) Lope vibration isolation apparatus for elevator
JP2005075575A (en) Elevator apparatus
KR20040010737A (en) Elevator
KR100500862B1 (en) Mechanism for fixing hoist and elevator
KR100792092B1 (en) Elevat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