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229B1 - 편직기 바늘 - Google Patents

편직기 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229B1
KR100824229B1 KR1020060091661A KR20060091661A KR100824229B1 KR 100824229 B1 KR100824229 B1 KR 100824229B1 KR 1020060091661 A KR1020060091661 A KR 1020060091661A KR 20060091661 A KR20060091661 A KR 20060091661A KR 100824229 B1 KR100824229 B1 KR 100824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hank
contour
hook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3911A (ko
Inventor
요하네스 브루스케
홀거 체불라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33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4Latch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후크(hook : 3)와 래치 베어링(latch bearing : 9) 사이의 후크(3)에서 시작하는 편직기 바늘은 볼록 또는 적어도 오목하지 않은 생크(shank) 외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생크 외형부는 내부 후크 외형부를 형성하고 일 단부(18)상에서 직접적으로 상기 오목 내부 후크 외형부를 결합한다. 이는 얀(yarn : 23)이 상기 생크상에서 활주되는 것이라면, 후크(3)내에 위치하는 얀(23)이 반드시 넘어서야 되는 상승 각도는 생크 외형부(17)를 따라서 어떠한 지점(point)에서도 증가되지 않는 결과로서 달성된다. 상승각도는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승각도는 내부 후크 외형부(15)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후크 팁(tip : 12) 또는 테이퍼부(11)로부터 바늘 등(16)까지 또는 바늘 등(16)이 상기 편직기 바늘의 동작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되지 않는다면 동작 방향을 규정하는 화살표까지 내려지는 수직선L 또는 수직선L1에 의해 형성된 간격의 내부측에서 최대치를 갖는다. 볼록 또는 적어도 오목하지 않는 생크 외형부(17)는 바늘 측면부(7)의 볼록 외형부와 마찬가지로 계속적으로 합쳐지게 된다.
Figure R1020060091661
후크, 후크 외형부, 바늘 생크, 생크 외형부, 래치, 래치베어링, 팁.

Description

편직기 바늘 {MACHINE KNITTING NEEDLE}
도 1은 본 발명의 편직기 바늘을 도시하는 기본 사시도.
도 2는 폐쇄 위치에서의 래치와 함께 도 1의 바늘을 도시하는 다른 스케일(scale)의 단편적인 측면도.
도 3은 개방된 경우의 래치와 함께 도 2의 바늘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폐쇄 위치에서의 래치와 함께 본 발명의 편직기 바늘의 변경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편적인 측면도.
도 5는 개방된 경우의 래치와 함께 도 4의 편직기 바늘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4의 래치 바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면 번호 리스트:
2 생크
3 후크
4 바늘 몸체
6 래치
7 바늘 측면부
14 후크 내부
15 내부 후크 외형부
17 생크 외형부
23,28 얀
32 스로트
본 발명은 특히, 고속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에 사용하기 위한 편직기 바늘에 관한 것이나, 원칙적으로는 편직기의 모든 종류에도 적절하며 심지어 경편기(warp knitting machine)에도 적절하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1,629,275로부터 주지된 종류의 편직기 바늘은 점차 증가하는 높은 편직 속도에서 세로 방향으로 앞뒤로 이동한다. 바늘의 후크에 의해 고정된 루프(loop)는 예를 들어, 편직기 바늘상에 제공된 래치를 배후 위치(back position)로 이동시키면서, 과정중에 생크상에서 활주한다. 이 동작은 래치 고유의 관성에 의해 강화된다. 그러므로, 상기 래치는 후크와 생크를 교대로 타격하면서 폐쇄 위치와 배후 위치 사이에서 앞뒤로 흔들린다. 편직 속도가 증가하면서, 특히 배후 위치에서 래치의 타격은 편직기 바늘의 내구성에 관한 문제를 일으킨다. 허용될 수 없는 편직기 바늘의 마모와 특히 래치 또는 바늘 몸체의 파손은 편직기 바늘 전체 사용수명동안 일어나지 않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래치가 배후 위치로 선회하고 생크를 타격할 때, 래치의 충격을 완화하는 시도가 행 해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독일특허 DE 27 14 607 C3호에는 생크 측면부(cheek)에 다소 탄성적으로 형성되어있는 바늘 슬롯(slot)의 특수한 디자인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탄성 생크 측면부는 탄성적으로 래치를 차단하고 충격을 완화한다.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것은 높은 작동 속도에서 래치 바늘들을 이용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점에서 편직기 바늘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청구항 제1항에서 규정된 편직기 바늘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바늘은 후크와 바늘 측면부 사이에서 볼록 생크 외형부를 구비하는 생크를 갖는다. 이에 의해, 래치가 배후 위치에서 정지하고 생크와 만나게 될때, 래치와 생크상의 부하는 감소된다. 예전의 편직기 바늘에서는, 스로트(throat) 및 측면 상승부를 포함하는 바늘 측면부와 후크 사이의 생크 외형부는 본래 오목하다. 상기 스로트는 후크 또는 머리부와 측면 상승부 사이에서 전이부(transition)를 형성한다. 상기 측면 상승부는 바늘 측면부 또는 달리 표현하면 래치가 고정되는 만곡된 상승부와, 편직기 바늘의 스로트 사이를 연결한다. 따라서, 후크 내부로부터 스로트와 측면 상승부 바늘 측면부상으로 얀이 활주될 때, 상기 얀은 생크 외형부를 따라서 상승한다. 바늘 측면부 방향으로 얀의 이동동안, 얀의 마찰각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생크 외형부 즉, 측면 상승부로부터 바늘 측 면부까지의 전이부에서 마찰각은 비교적 크다. 따라서, 얀의 장력은 크다. 전이부 지점에서 상승부의 급격한 감소때문에, 마찰각은 사실상 갑자기 감소한다. 여전히 존재하는 상기 얀의 큰 장력과 소멸된 마찰각은 얀이 바늘 측면부를 가로질러 튀어오르게 하며, 얀의 장력에 기인한 운동력은 래치상으로 통과한다. 그러므로, 상기 래치는 배후 위치에서 고속으로 생크를 타격한다. 많은 경우에, 이는 래치와 바늘 파손의 원인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설계로 이는 정확하게 피할 수 있다. 상기 비오목(nonconcave) 생크 외형부는 후크 내부에 배치되는 루프가 래치 베어링의 방향으로 활주됨과 동시에 상승을 시작하도록 하게 한다. 루프가 래치를 만나게 될 때, 많은 상승이 이미 이뤄지게 되고, 루프는 점점 감소되는 마찰각과 함께 바늘 측면부 전체로 비교적 동일한 속도로 활주될 수 있다. 갑작스런 루프 동작의 소멸때문에, 상기 래치는 현저하게 덜 가속되며, 그 결과로서 래치는 감소된 속도로 래치의 배후 위치에서 생크와 만나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편직기 바늘의 작동 속도를 상당히 증가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오목 생크 외형부는 후크 내부측면에서 이미 시작되며, 특히 다시 한번 후크의 오목 홈 영역과 양호하게 직접적으로 인접하며 시작된다. 상기 전이부 지점은 적어도 베어링 지점으로부터 최대한 후크 팁의 테이퍼부(이하 '테이퍼(tapering) 부'라고 함.)까지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후크 외형부와 생크 외형부의 곡률 반경은 각각 일정하다. 내부 후크 외형부의 곡률 중심은 후크 내부에 위치한다. 비오목, 바람직하게는 볼록 생크 외 형부를 위한 곡률 중심은 바늘의 하부측면 아래 또는 바늘 등(back)의 아래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비오목 생크 외형부는 루프가 후크 내부로부터 바늘 측면부상으로 이동하는 쪽의 루프 반대편에 둥근 램프(ramp)를 형성하고, 둥근 램프는 상기 루프가 래치를 만나기 전에도 상승 각도가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래치가 후크 내부를 향해 배향된 래치의 측면이 오목부로서 구체화된다면 더욱 유익하다. 이는 래치의 질량을 감소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루프가 래치를 비교적 늦게 만나게 하거나, 달리 표현하면 비교적 작은 상승각도에서 만나게 한다.
본 발명의 유익한 실시예의 추가적인 상세는 도면,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되어있다.
도면에서 예시적인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1에서, 신장된 생크(2)를 구비한 편직기 바늘이 도시되고 있으며, 생크의 단부상에 후크(3)가 구현되어 있다. 예를 들어 기복있는 형태인 상기 생크(2)는 상기 편직기 바늘(1)을 구동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 예를 들어, 버트(butt : 5) 형태를 구비하는 바늘 몸체(4)와 일체가 된다.
상기 후크(3)와 관련된 것이 래치(6)인데, 상부가 볼록하고 바늘 측면부(7)로 불리는 생크(2)의 어느 한 지점에서 래치는 소슬롯(sawslot : 8)으로부터 돌출되고, 소슬롯(8)에서 상기 래치는 래치 베어링(9)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된다. 다른 도면들처럼 도 1에서 상기 래치 베어링(9)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2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후크(3)는 예를 들어, 둥근, 타원형 또는 원형 단면 같은 일정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3)는 대략 절두원추형 외부 형상을 가지며 후크 팁(12)을 형성하는 단부에서 다소 둥글게 처리된 테이퍼부(11)와 지점(10)에서 일체된다. 후크(3)는 본래 오목한 내면 외형부를 형성하는 180°원호(arc)를 형성한다. 후크는 상기 후크 내부(14)내에 위치하는 곡률 중심(13)에 대하여 반경 R1을 갖는 곡률을 따르게 된다. 상기 반경 R1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내부 후크 외형부(15)를 따라서 다소 변화할 수도 있다. 상기 내부 후크 외형부(15)의 변화하는 부분들은 상이한 곡률 중심(13,13')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후크(3)에 인접하는 편직기 바늘의 생크(2)는 실제적으로 일직선인 바늘 등(16)과 일체를 이루고 ; 바늘 등에서 수직으로 측정된 생크(2)의 높이 H는 래치 베어링(9)을 향해 증가한다. 상기 생크(2)는 상기 후크(3)와 래치 베어링(9) 사이에서, 스로트(32)와 측면 상승부(31)를 포함하는 생크 외형부(17)와 함께 후크 내부(14)를 형성한다. 스로트(32)는 지점(10)에서 시작하여 지점(33)의 수직선L2에서 종결하고, 수직선L2에서 측면 상승부(31)는 시작한다. 상기 지점(33)은 스푼(spoon : 22)(도 2)의 단부(34)로부터 상기 바늘 등(16)으로 수직선L2를 내리면 볼 수 있다. 지점(34)은 스푼(22)의 단부와 래치(6)의 생크 사이에서의 전이부를 나타낸다. 상기 내부 후크 외형부의 단부(18)에서 시작하는 생크 외형부(17)의 상승부는 증가하지 않으며 ; 상승은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단부(18)에서 또는 달리 표현하자면 내부 후크 외형부(15)로부터 생크 외형부(17)까지의 전이부 영역에서 시작하는 상승부는 측면부(7)의 부분(19)까지 거의 일정하다. 상기 부분(19)은 래치(6)에 의해 폐쇄 위치에서 가려있다. 측면 상승부(31)는 지점(35)에서 종결되고, 지점(35)에서 부분(19)은 시작된다. 상승부는 생크 외형부(17)를 따라서 보이는 특정 지점과 선(20,21) 사이의 α각으로 규정되고, 선(20,21)은 바늘 등(16)에 대해 평행하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단부(18)에서 시작되고 영역(19)으로 연장하는 생크 외형부(17)는 곡률이 거의 없이 직선상을 따라간다. 생크 외형부(17)의 단부(18)로부터 지점(33)까지의 α각은 다소 감소한다. 상기 단부(18)는 후크(3) 내부측면에 또는 달리 표현하면, 한편으로 도 2에서 좌측에서는 내부 후크 외형부(15)에 의해 그리고 우측에서는 팁(12)으로부터 바늘 등(16)으로 내려진 수직선L에 의해 형성된 영역의 적어도 내부측면에서 위치한다. 단부(18)는 우측에서 지점(10)으로부터 바늘 등(16)으로 내려진 수직선L1에 의해 그리고 좌측에서 외형부(15)에 의해 형성된 영역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생크 외형부(17)의 단부(18)는 래치 베어링(9)보다 바늘 등(16)에 더욱 가까이 위치한다. 상기 상승부(31)는 단부(18)로부터 일정하게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지점(35)은 래치 베어링(9)보다 위에 위치한다. 이는 바늘 등(16)과 지점(35)에 위치하는 생크 외형부(17)의 단부 사이의 간격이 래치 베어링(9)의 중심점과 바늘 등(16) 사이의 간격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바늘 등(16)으로부터 생크 외형부(17)의 단부(18) 사이의 간격이 바늘 등(16)과 바늘 측면부(7)의 정점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수직방향에서, 바늘의 세로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단부(18)가 래치 베어링(9)의 중심점과 바늘 측면부(7)의 정점 사이에서 또는 래치 베어링(9)의 중심점에 위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기술된 편직기 바늘(1)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작동되는 동안, 편직기 바늘(1)은 상기 생크의 세로방향에서 앞뒤로 빠르게 이동한다. 상기 바늘이 복귀되는 동안(도 2에서 우측을 향한 동작), 후크(3)의 방향으로 래치 생크를 거쳐 생크 등에서 이동하는 얀(28)에 의해 구동되는 래치(6)는 후크(3)를 향해서 이동하고 후크의 래치 스푼(22)과 함께 후크 내부(14)를 폐쇄한다. 이 후에, 래치(6)는 폐쇄 위치에 있게 된다.
바늘이 외부를 향해 구동될 때, 즉, 도 2의 좌측부를 향한 빠른 동작에 따라서, 후크 내부에 위치한 얀(23)은 도 2에서 도시되는 위치에서 시작하여 래치(6)의 방향으로 대략적으로 생크 외형부(17)상의 단부(18) 부근으로 이동한다. 래치(6) 자체의 관성 및/또는 래치 내부측면(22)상에 정착하는 얀(23)의 장력에 영향을 받아 래치(6)는 래치의 배후 위치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과정에서, 래치 베어링(9)에 의해 형성된 회전축에 대해서 래치는 선회한다. 상기 선회 동작은 도 3에서 화살표(25)에 의해 표현되고 있다. 생크 외형부(17)의 일정한 상승으로 인해, 후크(3)에서 시작하고 바늘 측면부(7)까지 연장하는 얀(23)은 상기 단부 영역에서 바늘 측면부(7)를 향해 정지되거나 지연되는 것이 방지된다. 비교적 일정한 활주 속도가 얀(23)에 전해진다. 속도 스파이크(spike)는 의도적으로 회피된다. 이는 동작 운동력과 얀(23)으로부터 래치(6)로의 동작 운동력 전달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래치(6)의 선회 속도는 비교적 경미하게 유지된다. 만약 배후 위치에서 래 치(6)가 상기 생크와 만나게 되면, 래치가 생크와 만나는 속도는 비교적 적당한 범위가 된다. 따라서, 마모 효과와 상기 래치의 바운드는 감소된다. 게다가, 상기 얀의 활주 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스티치 패턴(stitch pattern)과 생산품질에서의 향상이 달성된다. 또한, 편직 공정에서 얀의 손상과 관련된 먼지의 발생도 감소될 수 있다.
편직기 바늘(1)은 일반적으로 편직 캠(cam) 수단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앞뒤로 이동한다. 힘의 전달은 바늘(1)의 버트(butt : 5)를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 상기 버트는 실제 캠의 사인곡선인 편직 곡선을 따른다. 편직기 바늘(1)은 두 개의 터닝(turning) 지점 사이에서 최고 속도에 다다르고, 반면에 상기 터닝 지점자체의 영역에서 바늘 속도는 대신에 느려진다. 비오목 생크 외형부와 특히 볼록 생크 외형부는 동적인 상태를 고려할 때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된다. : 편직기 바늘(1)이 외부를 향해 구동될 때, 얀(23)은 바늘의 속도가 비교적 저속에서 생크 외형부(17)의 최초의 높은 상승부를 넘어선다. 편직기 바늘(1)이 거의 최고 속도에 다다를 때, 상기 루프는 작은 상승부를 갖는 측면 상승부(31)의 영역에 위치한다. 전체적으로, 상기 루프의 동작은 더욱 일정하게 이뤄진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생크 외형부(17)의 단부(18)는 래치 베어링(9)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어서, 후크 내부(14)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부(18)는 수직선L과 지점(33) 사이에서 위치할 수도 있다.
대체로 도 1에서 도시된 편직기 바늘(1) 종류에 대한 지금까지 언급한 특징에 관해서 더욱 향상된 변경 실시예가 도 3과 도 4에서 도시되고 있다. 편직기 바늘(1)의 상기 설명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설명과 달리, 생크 외형부(17)는 현저하게 만곡되어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크 외형부(17)는 반경 R2를 따르며, 도 4 및 도 5에서 반경R2의 곡률 중심은 바늘 등(16) 아래 또는, 달리 표현하면 후크 내부(14)의 외부측면에 위치한다. 반경R2는 일정하거나 단부(18)로부터 바늘 측면부(7)까지, 또는 달리 표현하면 적어도 영역(19)에서 변화할 수 있다. 생크 외형부(17)의 다양한 부분이 상이한 곡률 중심(26, 27)을 가지고 만곡되는 것이 똑같이 가능하다. 이와 무관하게,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등(16)에 평행한 각각의 선들(20,21)에 대하여 측정된 생크 외형부(17)의 상승각도 α가 후크(3)로부터 바늘 측면부(7)까지 감소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도 4에서, 상승각도 α는 우측보다 좌측에서 더 크다. 이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생크 외형부(17)가 반경R2로 만곡되는 곡률 중심(26, 27)이 편직기 바늘(1)의 동작 방향에서 수직선L의 하류에 위치하는 점에서 달성된다. 래치 바늘(1)의 동작방향(B)은 도 6에서 화살표로 지시되고 있다. 수직선L은 직각으로 동작방향(B)과 만나고, 후크(3)의 팁(12)을 통해 연장한다. 후크(3)는 이 수직선(L3)의 일 측면상에 위치하고, 곡률 중심(26,27)은 상기 수직선의 다른 측면상에 위치한다. 상술한 모든 실시예에서, 바늘 등(16)은 동작방향(B)에 평행하다. 또한, 바늘 등(16)은 동작방향(B)에 예각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수직선L과 수직선L1은 동작방향(B)을 가리킨다. 다른 방법에서, 상기의 설명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래치(6)를 향해서 생크 외형부(17)의 감소되는 상승부의 결과로써, 생크 외형부(17)를 따라서 얀(23)이 활주될 때, 얀(23)의 마찰은 바늘 측면부(7)를 향해서 점점 더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편직기 바늘(1)과 얀(23) 사이의 상대 활주 속도는 일정하게 되고, 최대 얀(23)의 활주 속도는 크게 감소한다. 이는 특히 단부(18)로부터 래치(6)와 래치 베어링(9)을 향해서 상승각도 α의 지속적인 감소의 결과로서 이뤄진다. 래치(6)로 전달된 얀(23)의 운동력은 최소화되고, 결과로서 상기 래치의 최대 속도는 감소된다. 특히, 상기 래치의 배후 위치에서 래치(6)가 편직기 바늘(1)의 생크(2)와 만나는 속도는 감소된다. 따라서, 바늘 파괴 또는 그 밖에 발생하는 바늘 마모의 원인은 크게 감소된다. 본 발명의 바늘을 사용함으로써, 편직 속도는 증가될 수 있고, 사용 수명도 연장될 수 있다.
후크(3)와 래치 베어링(9) 사이에서 후크(3)로부터 시작하는 본 발명의 편직기 바늘은 볼록 또는 적어도 오목하지 않은 생크 외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생크 외형부는 상기의 내부 후크 외형부를 형성하고 일 단부(18)상에서 직접적으로 오목한 내부 후크 외형부에 인접한다. 이는 얀(23)이 생크상에서 활주된다면 후크(3)에 위치하는 얀(23)이 반드시 넘어야 하는 상승각도가 생크 외형부(17)를 따라서 어느 지점에서도 증가하지 않는다는 결과로서 달성된다. 양호하게는 심지어, 상기 상승각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상승각도는 한편으로는 내부 후크 외형부(15)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후크 팁(12) 또는 테이퍼부(11)로부터 바늘 등(16)까지 또는 바늘 등(16)이 상기 편직기 바늘의 동작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되지 않는다면 동작 방향을 규정하는 화살표까지 내려지는 수직선(L,L1)에 의해 형성된 간격의 내부측에서 최대치를 갖는다. 볼록 또는 적어도 오목하지 않는 생크 외형부(17)는 바늘 측면부(7)의 볼록 외형부와 마찬가지로 계속적으로 변화가능하게 합쳐지게 된다.
본 발명의 편직기 바늘은 편직물의 훨씬 가변적인 설계가 가능하게 하며, 래치와 바늘 파손을 피할 수 있다.

Claims (9)

  1. 환편기용 편직기 바늘(1)에 있어서,
    오목 내부 후크 외형부(15)를 구비한 후크(3)가 바늘 생크(2)의 자유단부상에 구현되고, 팁(12)에서 종결되는 상기 바늘 생크(2); 및
    상기 생크(2)의 바늘 측면부(7)에서 래치 베어링(9)에 의해 폐쇄 위치와 배후 위치 사이에서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래치(6)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3)에서 시작되며 상기 래치 베어링(9)까지 연장하는 상기 생크(2)는 상기 바늘 측면부의 방향으로 상승각도 α가 감소하는 생크 외형부(17)를 갖는 편직기 바늘.
  2. 제1항에 있어서,
    절두 원추형 테이퍼부(frustoconical tapering portion : 11)는 상기 팁(12)에 인접하고 ; 상기 팁(12)은 둥글게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바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 외형부(17)의 일 단부(18)는 상기 후크(3)의 내부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바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 외형부(17)의 일 단부(18)는 상기 후크(3)의 외부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바늘.
  5. 제1항에 있어서,
    바늘 등(16)으로부터 상기 생크 외형부(17)의 단부(18)까지의 간격은 상기 바늘 등(16)으로부터 상기 바늘 측면부(7)의 정점까지의 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바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내부 후크 외형부(15)로부터 상기 생크(2)의 상기 생크 외형부(17)로의 전이 지점은 적어도 상기 래치 베어링(9)으로부터 테이퍼부(11)까지의 거리만큼 떨어진 단부(18)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바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 외형부(17)의 곡률 반경(R2)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바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 외형부(17)는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바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6)는 상기 생크(2)를 향해 대면하는 상기 래치(6)의 측면이 오목하게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바늘.
KR1020060091661A 2005-09-22 2006-09-21 편직기 바늘 KR100824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20629A EP1767678B1 (de) 2005-09-22 2005-09-22 Maschinenstricknadel
EP05020629.1 2005-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911A KR20070033911A (ko) 2007-03-27
KR100824229B1 true KR100824229B1 (ko) 2008-04-24

Family

ID=3573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661A KR100824229B1 (ko) 2005-09-22 2006-09-21 편직기 바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05855B2 (ko)
EP (1) EP1767678B1 (ko)
JP (1) JP4617283B2 (ko)
KR (1) KR100824229B1 (ko)
CN (1) CN1936141B (ko)
DE (1) DE50200500348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2005003486D1 (de) 2005-09-22 2008-05-08 Groz Beckert Kg Maschinenstricknadel
EP1921189B1 (de) * 2006-11-09 2011-05-11 Groz-Beckert KG Maschinenstricknadel
CN101985792A (zh) * 2010-12-03 2011-03-16 常德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经编机用织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1923A (ko) * 1989-01-13 1990-08-02 시바따 세이신 가부시끼가이샤 메리야스편침
JPH0334091U (ko) * 1989-08-07 1991-04-03
JPH03220349A (ja) * 1989-06-30 1991-09-27 Theodor Groz & Soehne & E Beckert Nadelfab Kg 編物製品を編成する機械用の舌針
KR20010098609A (ko) * 2000-04-14 2001-11-08 피터 메이어 편물 기계 바늘
EP1767678A1 (de) 2005-09-22 2007-03-28 Groz-Beckert KG Maschinenstricknadel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039A (en) * 1916-01-11 Scott & Williams Inc Latch-needle for knitting-machines.
US757378A (en) * 1903-08-24 1904-04-12 Charles Richard Woodward Knitting-machine needle.
US1022238A (en) * 1911-05-10 1912-04-02 Herbert Heaton Knitting-needle.
US1032613A (en) * 1911-06-24 1912-07-16 John J Tuller Latch knitting-needle.
US1629275A (en) 1925-03-30 1927-05-17 Torrington Co Latch needle
GB301349A (en) * 1927-08-27 1928-11-27 Percival Arthur Bentle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atch needles for knitting machines
GB380554A (en) * 1931-07-25 1932-09-22 Robert Kirkland Mills Improvements in the means for and method of producing knitted fabric
US1997530A (en) * 1932-02-05 1935-04-09 Hosiery Developments Ltd Needle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knitted fabrics
US2292940A (en) * 1940-02-13 1942-08-11 Wildt & Co Ltd Loop transferring instrument for knitting machines
US3063274A (en) * 1956-04-13 1962-11-13 Kohl Karl Raschel warp knitting machine with novel latch needles
DE2714607C3 (de) 1977-04-01 1983-12-08 Theodor Groz & Söhne & Ernst Beckert Nadelfabrik KG, 7470 Albstadt Zungennadel für Maschinen zur Herstellung von Maschenware
JPS6044416B2 (ja) * 1982-10-04 1985-10-03 福原ニ−ドル株式会社 メリヤス針
DE19512375C1 (de) * 1995-04-01 1996-06-20 Groz & Soehne Theodor Zungennadel für Maschinen zur Herstellung von Maschenwa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1923A (ko) * 1989-01-13 1990-08-02 시바따 세이신 가부시끼가이샤 메리야스편침
JPH03220349A (ja) * 1989-06-30 1991-09-27 Theodor Groz & Soehne & E Beckert Nadelfab Kg 編物製品を編成する機械用の舌針
JPH0334091U (ko) * 1989-08-07 1991-04-03
KR20010098609A (ko) * 2000-04-14 2001-11-08 피터 메이어 편물 기계 바늘
EP1767678A1 (de) 2005-09-22 2007-03-28 Groz-Beckert KG Maschinenstrickna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005003486D1 (de) 2008-05-08
JP2007084996A (ja) 2007-04-05
JP4617283B2 (ja) 2011-01-19
KR20070033911A (ko) 2007-03-27
US7305855B2 (en) 2007-12-11
EP1767678B1 (de) 2008-03-26
US20070084250A1 (en) 2007-04-19
CN1936141A (zh) 2007-03-28
EP1767678A1 (de) 2007-03-28
CN1936141B (zh)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229B1 (ko) 편직기 바늘
US8959958B2 (en) Knitting machine
KR100684492B1 (ko) 루프-형성 직물기용 래치 니들
KR100841542B1 (ko) 편성 시스템용 구성부품
JPS6071747A (ja) 針床付き編機
JP5819038B2 (ja) 蛇行状スリット曲線を備えた編み機の針
KR860001067B1 (ko) 편기용 부재
KR100937598B1 (ko) 편물기용 바늘
JP3926578B2 (ja) 緯編み機、特に丸編み機用のべら針
CA2172770C (en) Latch needle for knitting machines
JP4614990B2 (ja) べら針
US7523624B2 (en) Latch needle for a loop-forming textile
JP7341752B2 (ja) 編み機工具、特に編み機針
JP7374342B2 (ja) 編み機用複合針
KR102416661B1 (ko) 기계 편직 도구, 특히 기계 편직 바늘
US5452593A (en) Loop tension release notch to assist latch clo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