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642B1 - 숙취해소용 펩타이드 - Google Patents

숙취해소용 펩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642B1
KR100822642B1 KR1020060092580A KR20060092580A KR100822642B1 KR 100822642 B1 KR100822642 B1 KR 100822642B1 KR 1020060092580 A KR1020060092580 A KR 1020060092580A KR 20060092580 A KR20060092580 A KR 20060092580A KR 100822642 B1 KR100822642 B1 KR 100822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peptide
alcohol
hangover
pept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7429A (ko
Inventor
강용구
나혜경
김호민
Original Assignee
강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구 filed Critical 강용구
Priority to KR1020060092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642B1/ko
Publication of KR2008002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5D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및 알코올 탈수소 효소의 작용의 촉진을 통해 숙취를 해소하기 위한 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숙취해소, 알코올, 펩타이드

Description

숙취해소용 펩타이드 {Peptides for Relieving Overhang}
본 발명은 혈액 내 알코올 농도를 현저히 낮추고, 숙취를 해소할 수 있는 숙취해소용 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알코올 소비는 세계 최고 수준이며 알코올 중독, 간암, 간경변등으로 인한 사망등 음주로 인한 경제적, 사회적 문제가 심각한 상태이며, 계속 증가추세에 있다. 알코올의 과다 섭취는 알코올 중독이나 간암, 간경변등 뿐만 아니라 위염, 고혈압, 뇌졸중, 당뇨병, 심장병등 소화기관 및 순환기관등을 손상시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기호식품으로 섭취하는 알코올에 의한 신체의 손상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 알코올을 빠른 시간에 분해시킬 수 있는 식품이나 의약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섭취된 알코올은 간에 있는 알코올 탈수소효소 (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 (acetaldehyde)로 산화되고, 다시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에 의해 초산 (acetic acid)으로 산화되어 구연산 회로 (TCA cycle)를 통해 분해된다. 숙취는 섭취한 에탄올 또는 중간 대사 물 질인 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해 구토, 두통, 피로감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음주에 따른 숙취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조성물들이 개발되었다. 특허 496524호는 아스파라거스 추출물, 녹차추출물, 양파추출물, 매실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있는 숙취해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 500609호는 오가피, 노근, 모과, 앵두, 저두강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출원 제 2003-0022745호는 아스타잔틴 (astaxanthin), 아스파라긴산 (aspartic acid) 및 갈화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인용한 바와 같이 다양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들이 제안되었으나, 아직까지 소비자들이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숙취를 해소해 주는 조성물은 그 요구에 비해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특정한 펩타이드가 상기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코올 분해촉진용 펩타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알코올 분해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숙취해소용 펩타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글리신-알라닌](GA), 서열번호 2의 [글리신-알라닌-글리신-알라닌-글리신-타이로신] (GAGAGY)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 분해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글리신-알라닌](GA), 서열번호 2의 [글리신-알라닌-글리신-알라닌-글리신-타이로신] (GAGAGY)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자들은 종래에 개발된 숙취해소용 조성물보다 개선된 숙취해소 효능을 발휘하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켜주는 효과와 알코올 탈수소 효소 활성의 탁월한 증진 효과가 있고, 이러한 작용을 통해 우수한 숙취해소 효능을 발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숙취 (lingering intoxication)"는 알코올 섭취 후에 타나는 부작용, 즉 피로감, 전신권태, 복부팽만감, 구토, 속쓰림, 인지기능 감소 등과 같이 섭취한 알코올 및 이의 대사물 알데하이드에 의해 유도되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탄수화물류 화합물 (예: 락토스, 아밀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자일리톨, 셀룰로스, 등),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염 용액,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식물성 기름 (예: 옥수수 기름, 목화 종자유, 두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 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식품 조성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아미노산,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미네랄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식품에 대한 용이한 접근성을 고려한다면, 본 발명의 식품은 알코올 분해 촉진 및 숙취해소에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제는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할 수 있으나 경구투여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제로 사용되는 펩타이드의 1일 투여량은 1 내지 1000 mg/kg 의 범위이다. 그러나 실제 투여량은 투여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관련인자를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상기 투여량은 어떤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올리고 펩타이드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한 올리고 펩타이드는 펩트론 (한국) 사 또는 애니젠 (한국)사에 의뢰하여 합성하였으며 그 아미노산 서열은 아래의 표 1 과 같으며 IUPAC 명명법에 따라 표기하였다.
합성펩타이드 아미노산 서열 아미노산 수
P1 GA 2
P2 GVGY 4
P3 GAGAGY 6
실시예 2: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
6주령의 SD계 흰쥐 20마리를 대조군, 펩타이드 P1, 펩타이드 P2, 펩타이드 P3의 4개의 군으로 나누고 18시간 금식시켰다. 대조군은 증류수 1ml을 경구투여하였고, 실험군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 P1, P2, P3을 각각 그룹별로 체중 1 Kg 당 10 mg 씩 증류수 1ml 에 녹여 경구투여하였다. 10분 후, 25% 에탄올 1ml 씩을 경구투여하였다. 에탄올 투여 후 1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혈액 2ml 씩 채혈하였다.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혈청을 분리하고 알코올 농도를 측정할 때까지 영하 70도에 보관하였다.
알코올 농도는 알코올 측정용 키트 (NAD-ADH Reagent Multiple Test Vial, Sigma Co.,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NAD-ADH 용액 3ml을 시험관에 담고 혈청 10μl를 섞어주었다. blank 로는 혈청대신 증류수를 사용하였고, 표준 에탄올 용액으로는 혈청대신 0.08% 에탄올 용액을 사용하였다. 상온에서 10분간 놓아둔 후 340nm 파장에서 blank 혼합물을 기준점으로 시험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알코올 표준용액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혈액의 알코올 농도를 계산하였다.
알코올 농도 (mg/dl) = 80 x (시료의 흡광도)/(표준용액의 흡광도)
실험 결과는 다음 표 2에 정리되어 있다.
대조군 P1 P2 P3
알코올농도 (mg/dl) 56.79±5.28 29.24±4.64 36.97±5.75 32.48±3.59
감소효과(%) 48.5 35.2 42.5
* 감소효과는 대조군의 알코올 농도과 비교한 상대적 감소비율 (%)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3가지 펩타이드 모두 효과적으로 혈중 알코올을 분해해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펩타이드 P 1 이 대조군에 비해서 혈중 알코올 농도를 48.5% 감소시켜 가장 효과가 좋았고, 펩타이드 P 3 가 42.8%, 펩타이드 P 2 가 34.9% 의 순서로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효과를 보여주었다.
실시예 3: 혈중 알코올 농도의 시간별 측정
실시예 2의 결과 가장 효과가 좋은 펩타이드 P 1 에 대해서 시간 경과별 혈중 알코올 농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펩타이드 투여 조건과 알코올 농도 검사 방법은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알코올 농도 (mg/dl)
경과시간(시간) 1 2 3
대조군 58.34±6.27 43.38±4.73 (25.6)* 36.82±5.56 (36.9)
P1 27.51±6.34 (52.8) 19.36±4.61 (66.8) 13.68±3.25 (76.6)
* 괄호안의 숫자는 대조군 1시간 경과시의 농도에 대한 상대적 감소 비율(%)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펩타이드 P 1은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1시간 경과했을 때의 알코올 농도에 비해 2시간 후, 3시간 후에 각각 25.6%, 36.9% 감소되었다. 반면, 펩타이드 P 1 을 투여한 그룹에서는 1시간 경과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서 52.8 % 가 감소했으며, 2시간, 3시간 경과했을 때, 1시간 경과시의 대조군에 비해 각각 66.8%, 76.6% 감소하여 대조군의 15.4% 와 36.9%와 비교해 볼 때, 상당히 높은 알코올 농도의 감소가 이루어 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 P 1이 알코올 분해 효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시예 4: 알코올 탈수소효소 ( ADH )의 활성 측정
알코올의 분해를 촉진하고 숙취를 해소하는 것은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활성의 증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ADH의 활성 측정은 Blandino의 방법 (Bostian et al., Biochem J., 173(3):773-86(1978))을 변형하여 측정하였으며, 340 nm에서의 NADH의 생성으로 인한 흡광도의 증가를 측정의 지표로 이용하였으며, 효소의 활성은 효소단백질 1mg 당, 에탄올이 1분동안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되는 양으로 정의된다. 50mM sodium pyrophosphate buffer (pH 8.8) 1.3ml, 95% 에탄올 0.1ml, 10mM NAD 1.5ml 가 혼합된 반응액에 간의 세포질 분획 0.1 ml 을 넣고 잘 섞은 다음, 5분간 340 nm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1분 동안 분해되는 에탄올의 mole 수로써 ADH의 활성을 정량하였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 와 알코올 투여조건은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으며, ADH 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대조군 P1 P2 P3
효소 활성 (nmol 에탄올/mg 단백질/min) 17.36±0.47 19.23±0.54 18.37±0.46 18.86±0.57
효소활성 증진효과 (%)* 110.8 105.8 108.6
* 대조군의 효소활성에 대한 상대적 증가 비율 (%)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숙취해소 조성물은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펩타이드 P 1, P 2, P 3 는 각각 110.8%, 105.8% 및 108.6%의 ADH 효소 활성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ADH 효소 활성의 증진시켜 우수한 혈중 알코올 농도 분해 효과 및 숙취해소를 해소시키는 기전 중의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은 개선된 효능을 갖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혈중 알코올 농도를 격감시키고 알코올 탈수소 효소의 활성에 대한 탁월한 증진 효과가 있어, 이러한 작용을 통해 결국 우수한 숙취해소 효능을 발휘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6)

  1. 삭제
  2. 하기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G A (상기에서 아미노산 서열은 IUPAC 명명법에 따라 기재)
  3. 삭제
  4. 하기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G A G A G Y (상기에서 아미노산 서열은 IUPAC 명명법에 따라 기재)
  5. 삭제
  6. 삭제
KR1020060092580A 2006-09-23 2006-09-23 숙취해소용 펩타이드 KR100822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580A KR100822642B1 (ko) 2006-09-23 2006-09-23 숙취해소용 펩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580A KR100822642B1 (ko) 2006-09-23 2006-09-23 숙취해소용 펩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429A KR20080027429A (ko) 2008-03-27
KR100822642B1 true KR100822642B1 (ko) 2008-04-17

Family

ID=39414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580A KR100822642B1 (ko) 2006-09-23 2006-09-23 숙취해소용 펩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6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191A (ko) 2017-10-16 2019-04-24 (주)케어젠 세사몰과 펩타이드의 결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773A (ko) * 1995-09-22 1997-04-28 김선중 견단백 분해 펩타이드 간기능 보호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773A (ko) * 1995-09-22 1997-04-28 김선중 견단백 분해 펩타이드 간기능 보호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sci. Biotechnol. Biochem.(제70권, 제2호, 제517-520면, 2006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191A (ko) 2017-10-16 2019-04-24 (주)케어젠 세사몰과 펩타이드의 결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429A (ko)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5079B2 (ja) シトルリンおよびアルギニンを含有する即効性血中アルギニン濃度上昇型経口剤
US20010031729A1 (en) Composition comprising carbohydrate and peptide material and its use as an energy supplement after or during physical exercise or as a metabolic nutrient for oral consumption
EP2050444B1 (en) Fatigue-reducing agent
CA2649842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eptide as active ingredient
KR20070039924A (ko) 석류액, 석류액 분말 및 분말 생산 공정
KR101449804B1 (ko) 홍어 껍질 유래 젤라틴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PT753526E (pt) Peptido inibidor da diferenciacao dos adipocitos da diferenciacao dos adipocitos que contem o referido peptido como ingrediente activo
EP1824501B1 (en) Protein hydrolysate with antidiabetic effect
WO2005074961A1 (ja) 体脂肪調整剤
KR100822642B1 (ko) 숙취해소용 펩타이드
KR20060107183A (ko) 쥐눈이콩 및 쥐눈이식초콩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408101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표고버섯 균사체 흑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US11179435B2 (en) Hangover alleviating composition containing conjugate of sesamol and peptide as active ingredient
WO2017002895A1 (ja) アミノ酸及び環状ジペプチドを含有する組成物
JPH03272694A (ja) オリゴペプチド混合物、その製造法及び肝疾患患者用栄養補給組成物
US6261588B1 (en) Prophylactics and remedies for renal diseases
JP2020097535A (ja) 血圧を降下させるための組成物
KR102523928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낫또 배양균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KR102444884B1 (ko) 비타민 b1 및 b2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맥주효모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8679B1 (ko) 시스―9―헥사데센산 및2―[(2―아미노에틸)아미노]에탄올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12638180A (zh) 用于短期肾功能的蛋白质水解产物
JPH04221320A (ja) コレステロール抑制剤
KR20110121238A (ko) 양파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87416A (ko) 꽁치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