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484B1 - 경화 처리기 - Google Patents

경화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484B1
KR100822484B1 KR1020060132061A KR20060132061A KR100822484B1 KR 100822484 B1 KR100822484 B1 KR 100822484B1 KR 1020060132061 A KR1020060132061 A KR 1020060132061A KR 20060132061 A KR20060132061 A KR 20060132061A KR 100822484 B1 KR100822484 B1 KR 100822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ening
gate
conveyance
opening
up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8265A (ko
Inventor
츠요시 하라다
쇼이치 우다
Original Assignee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8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경화(硬貨) 처리기로서, 경화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반송되는 통로와, 상기 통로에 마련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통로의 일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류측에 마련된 단차부를 가진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류측을 상승시키도록 기울임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여는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의 기울임에 의해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경화를 낙하시키는 게이트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게이트가 열린 상태일 때, 상기 하류측에 있어서의 상기 게이트 상에 위치하는 상기 경화의 상류측 부분을 도피시킨다.

Description

경화 처리기{Coin Process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경화 처리기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경화 처리기에서의 분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게이트의 닫힌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경화 처리기에서의 분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게이트의 닫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경화 처리기에서의 분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게이트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경화 처리기의 게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a는 경화 처리기의 게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b는 경화 처리기의 게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입금된 경화의 식별이나 계수처리 등을 수행하는 경화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경화처리의 고속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입금된 경화의 식별이나 계수 처리를 수행하는 경화 처리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경화 처리기 중에는 입금된 경화를 반송 통로를 따라 반송하고, 이 반송 통로의 개구부에 마련된 게이트를 개폐함으로써 경화를 개구부 내로 안내하는 게이트 기구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경화 처리기는 일본 공개실용신안 평2-1818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 경화 처리기를 도 4를 토대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화 처리기는, 도면 중 화살표로 표시하는 A 방향으로 경화(C)가 반송되는 반송 통로(101)와, 이 반송 통로(101)를 따라 설치된 이송 벨트(B)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반송 통로(101) 도중에는 경화(C)를 낙하시키는 개구부(102)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102)에 상벽(103)과 하벽(104)을 구비한 게이트(10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게이트(105)는 개구부(102)의 상류측 가장자리의 약간 아래 위치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하벽(104)의 상면이 반송 통로(101)의 상면과 동일면이 되는 위치에서 개구부(102)의 내측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 통로(101)의 상류측에서 이송 벨트(B)를 구동함으로써 반송되어 오는 경화(C)는, 게이트(105)가 닫힌 상태일 때, 하벽(104)의 상면으로 안내되어 반송 통로(101)의 하류로 반송된다.
한편, 게이트(105)의 하류측 부분이 아래쪽을 향해 기울어진 열린 상태일 때, 반송되어 오는 경화(C)는 상벽(103)과 하벽(104) 사이로 안내되며, 경우에 따라, 상벽(103)의 하면에 충돌하여 개구부(102) 내로 안내된다.
그런데, 상술한 게이트(105)는 상벽(103)을 갖기 때문에, 경화(C)를 확실히 개구부(102) 내로 안내할 수 있긴 하지만, 형상이 복잡해져서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이에 대해, 장치의 간소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하기 위해, 게이트의 지지점이 개구부의 하류측에 마련된 구조를 채택한 경화 처리기에 있어서는, 상벽의 기능과 하벽의 기능을 하벽 만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통로(101)의 개구부(102)에는 이 개구부(102)의 하류측 가장자리부 약간 아래에 지지축(105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게이트(105A)가 마련되어 있다.
게이트(105A)는 그 기부(基部)에서 개구부(102)의 상류를 향해 경사지게 솟아올라감과 동시에, 반송 통로(101)의 상면과 동일면이 되는 위치에서 상류측으로 굴곡 형성되는 가이드판(107)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폭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반송 방향을 따르는 슬릿(10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106)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게이트(105A)를 기울여서 그 상류측이 상승한 경우에도, 가이드판(107)이 이송 벨트(B)에 간섭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게이트(105A)가 닫힌 상태일 때에는 반송 통로(101) 위를 반송되어 오는 경화(C)가 가이드판(107)의 상면으로 안내되어 반송 통로(101)의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한편, 게이트(105A)가 열린 상태일 때에는 반송되어 오는 경화(C)가 가이드판(107)의 아래쪽으로 안내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판(107)의 하면에 충돌하여 개구부(102) 내로 낙하하게 된다.
결국, 상벽을 생략하여 간소화한 게이트(105A)에 의해 상술한 게이트(105)와 마찬가지로 경화(C)를 개구부(102) 내로 안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경화 처리기에 있어서는, 더 나은 처리능력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화 처리기의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반송되는 경화(C)의 간격(이하, 단순히 반송 간격이라고 함)을 단축하여 단위시간당 처리 갯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고려된다.
그렇지만, 상술한 게이트(105A)를 구비한 경화 처리기에서는 반송되어 오는 경화(C)가 게이트(105A) 상에 있을 때 게이트(105A)를 기울여서 열린 상태로 하려고 하면, 게이트(105A)가 경화(C)를 위쪽으로 밀어올려 이송 벨트(B)를 들어올려 버리기 때문에, 잼(jam)의 발생이 우려된다.
이 때문에, 경화(C)가 게이트(105A)에 의해 밀어올려지지 않도록 경화(C)의 반송 간격(d102), 반송 피치(d101)(모두 도 5a 참조)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 더 이상 반송 간격을 단축하여 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장치를 복잡화하지 않고 경화의 반송 간격을 단축하여 처리 능력 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경화 처리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경화 처리기는 경화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반송되는 통로와, 상기 통로에 마련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통로의 일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류측에 마련된 단차부를 가진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류측을 상승시키도록 기울임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여는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의 기울임에 의해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경화를 낙하시키는 게이트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게이트가 열린 상태일 때 상기 하류측에 있어서의 상기 게이트 상에 위치하는 상기 경화의 상류측 부분을 도피시킨다.
본 발명의 경화 처리기에 의하면, 경화의 상류측 부분이 게이트 상에 있을 때 게이트를 기울여서 그 상류측을 상승시키더라도 게이트의 단차부가 경화의 상류측 부분에 대하여 도피되도록 함로써 경화의 상류측 부분이 단차부 내에 수용되고, 게이트가 경화를 밀어올리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단차부의 길이 만큼 경화의 반송 간격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를 복잡하게 하지 않고 처리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경화 처리기에서는 상기 게이트의 하류측에 마련되며, 상기 경화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경화의 상류측 부분이 상기 단차부 내에 위치할 수 있는 타이밍 이 후에 상기 게이트를 기울이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경화 처리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경화 처리기(1)의 앞(조작자가 보았을 때 가까운 쪽), 경화 처리기(1)의 뒤(조작자가 보았을 때 먼 쪽) 및 경화 처리기(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경화 처리기(1)는 장치 본체(2)와 이 장치 본체(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대차부(3)를 가지고 있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의 전후좌우는, 경화 처리기(1)의 좌우(조작자가 보았을 때 좌우)를 의미하고 있다.
장치 본체(2)에는 일괄 투입된 경화를 분리하여 반송하는 분리 공급부(5)가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분리 공급부(5)는 호퍼(6)와, 회전 원반(7)과, 경화 분리부(8)와, 경화 반송부(9)를 갖고 있다.
호퍼(6)에는 낱개 경화가 일괄 투입된다.
회전 원반(7)은 호퍼(6)의 아래쪽에 그 호퍼(6)의 바닥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수평 선회가 가능하다.
경화 분리부(8)는 경화가 1개만 통과할 수 있는 개구를 가지며, 회전 원반(7)의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경화를 1개씩 내보낸다.
경화 반송부(9)는 경화 분리부(8)에 있어서 1개씩 내보내진 경화를 통로(9a) 상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수평으로 반송한다.
또한, 장치 본체(2)에는 경화 반송부(9)에 의해 반송중인 경화의 진위 및 돈 의 종류를 식별하여 계수하는 식별부(11)가 경화 반송부(9)의 상류측에 마련되어 있다.
경화 반송부(9)에서의 이 식별부(11)의 하류측에는 식별부(11)의 식별 결과를 기초로 진짜 이외의 경화로 식별된 리젝트 경화를 배제하는 리젝트부(게이트 기구)(1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경화 반송부(9)에서의 리젝트부(12)의 하류측에는 식별부(11)의 식별 결과를 기초로 진짜 경화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식별된 경화를 분배하는 여러 곳, 구체적으로는 3곳의 분배부(게이트 기구)(13a, 13b, 13c)가 경화 반송부(9)의 반송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분배부(13a, 13b, 13c)는 모두, 취급하는 최대 직경의 경화(일본국내에서는 500엔 경화)를 낙하시킬 수 있는 선별구멍(개구부)(14a, 14b, 14c)을 통로(9a)에 갖고 있다.
이들 중 상류측의 2개의 분배부(13a, 13b)에는 선별구멍(14a, 14b)을 개별적으로 개폐가능한 게이트(15a, 15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분배부(13a 13b, 13c) 각각의 상류측에는 경화의 도달을 검출하는 도달 센서(16a, 16b, 16c)가 마련되어 있다.
경화 반송부(9)의 도중에 배치된 각 분배부(13a, 13b) 각각의 하류측에는 경화의 통과를 검출하는 통과 센서(센서)(17a, 17b)가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리젝트부(12)도 리젝트 구멍(14d)과 리젝트 구멍(14d)을 개폐할 수 있는 게이트(15d)와, 상류측의 도달 센서(16d), 하류측의 통과 센서(17d)를 갖 고 있다.
도달 센서(16a, 16b, 16d), 통과 센서(17a, 17b, 17d)는 게이트(15a, 15b, 15d) 중 각각 대응하는 게이트의 개폐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며, 또한, 경화의 반송 잼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장치 본체(2)는 리젝트부(12)에서 경화 반송부(9)로부터 배제된 경화를 받아들이는 탈착 가능한 리젝트 박스(20)와, 각 분배부(13a, 13b, 13c)에 1대1로 대응하여 마련되며, 각 분배부(13a, 13b, 13c)에서 분배된 경화를 일시 저장시키는 여러 곳, 구체적으로는 3곳의 일시 저장부(21a, 21b, 21c)를 갖고 있다.
일시 저장된 경화를 반각할 때, 일시 저장부(21a, 21b, 21c)는 일체적으로 장치 본체(2)로부터 인출된다.
가장 상류측의 일시 저장부(21a)는 가장 상류측의 분배부(13a)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고, 이 분배부(13a)의 게이트(15a)가 열림으로써 선별구멍(14a)으로부터 낙하된 경화만 받아들여 일시 저장시킨다.
중간의 일시 저장부(21b)는 중간의 분배부(13b)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고, 이 분배부(13b)의 게이트(15b)가 열림으로써 선별구멍(14b)으로부터 낙하된 경화만 받아들여 일시 저장시킨다.
가장 하류측의 일시 저장부(21c)는 가장 하류측의 분배부(13c)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고, 이 분배부(13c)의 선별구멍(14c)으로부터 낙하된 경화만 받아들여 일시 저장시킨다.
대차부(3)는 하부에 마련된 캐스터(22)를 구름운동시킴으로써 장치 본체(2) 에 대해 전면(前面; 2A)쪽으로 인출되어, 다시 장치 본체(2)로부터 빠져나와 운반된다.
또한, 대차부(3)는 전면(2A)쪽으로부터 장전됨으로써 장치 본체(2)에 장착되게 되어 있다.
대차부(3)에는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복수, 구체적으로는 3개의 수납 박스(24a, 24b, 24c)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수납 박스(24a, 24b, 24c)는 상기한 장치 본체(2)의 복수의 일시 저장부(21a, 21b, 21c) 각각에 1대1로 대응하여 연직 하방으로 마련되어 있다.
수납 박스(24a, 24b, 24c)에 있어서는 일시 저장부(21a)의 바닥부가 열림 작동함으로써 일시 저장부(21a)에 일시 저장되어 있던 경화만 수납 박스(24a)가 받아들여 수납한다.
또한, 일시 저장부(21b)의 바닥부가 열림 작동함으로써 일시 저장부(21b)에 일시 저장되어 있던 경화만 수납 박스(24b)가 받아들여 수납한다.
또한, 일시 저장부(21c)의 바닥부가 열림 작동함으로써 일시 저장부(21c)에 일시 저장되어 있던 경화만 수납 박스(24c)가 받아들여 수납한다.
또한, 장치 본체(2)에는 제어부(26)와 표시 조작부(27)가 마련되어 있다.
제어부(26)는 분리 공급부(5)의 구동을 제어하고, 식별부(11)의 식별 결과 및 도달 센서(16a, 16b, 16d)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분배부(13a, 13b)의 게이트(15a, 15b) 및 리젝트부(12)의 게이트(15d)를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표시 조작부(27)에 있어서는, 조작자에 대한 표시가 수행됨과 동시에, 조작 자에 의한 조작 입력이 이루어진다.
이어, 도 2a 및 도 2b에 기초하여 상술한 리젝트부(12), 분배부(13a, 13b)를 상세히 설명한다.
리젝트부(12), 분배부(13a, 13b)는 각각 동일 구성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분배부(13a)를 일 예로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화 반송부(9)는 통로(9a)의 위쪽에 이송 벨트(B)를 갖고 있고, 이 이송 벨트(B)가 경화 반송부(9)의 반송 방향인 도면 속 화살표로 표시하는 A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이송 벨트(B)와 통로(9a)의 상면 사이에는 경화(C)가 끼워져 지지되도록 되어 있어서, 이송 벨트(B)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경화(C)가 통로(9a)를 따라 반송된다.
통로(9a)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별구멍(14a)이 형성되고, 이 선별구멍(14a)에 게이트(15a)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게이트(15a)는 제어부(26)로부터의 제어 지령을 기초로, 도시하지 않은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그 기울임 동작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15a)는 통로(9a)의 폭방향을 따르는 축(31)을 갖고 있으며, 이 축(31)이 선별구멍(14a)의 하류측의 가장자리 부분보다도 약간 아래쪽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축(31)에 액츄에이터 등의 구동원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15a)는 가이드판(가이드부)(32)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판(32)은 게이트(15a)가 닫힌 상태일 때 축(31) 쪽의 기부(30)로부터 상류측을 향해 경사지게 위쪽으로 솟아올라감과 동시에, 가이드판(32)의 상면은 경화 반송부(9)의 상면과 동일면이 되는 위치로부터 상류측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고, 또한 가이드판(32)의 하면은 상류를 향해 감에 따라 서서히 접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지는 곡선을 그린다.
이 가이드판(32)의 상면의 상류측 부분에는 게이트(15a)가 닫힌 상태일 때 통로(9a)의 상면과 동일면이 되는 반송면(3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반송면(32a)이 통로(9a)와 함께 반송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판(32)의 하면에는 이 가이드판(32)의 기부(30)로부터 상류단(33)을 향해 서서히 경사가 완만해지는 대략 원호형 단면의 가이드면(34)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판(32)의 하면에 가이드면(34)을 구성함으로써, 반송되어 온 경화(C)가 대략 원호형 단면의 가이드면에 충돌하여 선별구멍(14a)에 안내되는 경우라도, 경화(C)의 선단이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선별구멍(14a) 내로 낙하한다.
또한, 가이드판(32)에는 이송 벨트(B)에 대응한 위치에 이송 벨트(B)보다도 약간 넓은 폭의 슬릿(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36)이 마련됨으로써, 게이트(15a)가 축(31)을 중심으로 기울어져 열린 상태가 되더라도, 가이드판(32)이 이송 벨트(B)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도 2에도 나타내듯이, 가이드판(32)의 상면의 하류측 부분에는 단차부(3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단차부(35)는 게이트(15a)가 열린 상태일 때 경화(C)의 상류측의 일부분(예를 들어, 상류측의 1/3정도의 부분)에 대해 도피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단차부(35)는 게이트(15a)를 열림 동작시켜도, 가이드판(32)에 의해 경화(C)의 상류 부분을 위쪽, 즉 이송 벨트(B) 쪽으로 밀어올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단차부(35)는 게이트(15a)의 열린 상태에서 통로(9a)의 상면과 대략 동일면이 되는 저면(35a)과, 이 저면(35a)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솟아오르는 세로면(35b)을 구비하고 있다.
이 세로면(35b)은 경화(C)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상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원호형(도 2a 참조)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세로면(35a)의 높이는 경화(C)의 두께와 거의 같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세로면(35b)의 높이는 경화(C)의 두께 치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경화(C)의 두께 치수 이상의 높이가 확보되어 있는 것이 좋다.
분배부(13a)의 상류측 경화 반송부(9)에는 그 반송 방향의 좌측(도 2a에 있어서 지면(紙面) 아래쪽)에 2개의 도달 센서(16a)가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들 도달 센서(16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류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온 경화(C)를, 타이밍을 달리하여 검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들 도달 센서(16a)를 반송 방향을 따른 좌측에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이 도달 센서(16a)의 위치를 경화(C)가 모든 방향, 즉, 하류측 또는 상류 측을 향해 반송되고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로써, 이 위치를 통과하는 경화의 가감산 계수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분배부(13a)의 하류측의 경화 반송부(9)에는 2개의 통과 센서(17a)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통과 센서(17a)는 경화 반송부(9)의 폭방향을 따라,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송 벨트(B)의 궤도를 사이에 두도록, 한 쪽의 통과 센서(17a)가 경화 반송부(9)의 폭방향 대략 중앙에 배치되며, 다른 쪽의 통과 센서(17a)가 경화 반송부(9)의 경화(C)의 반송 방향의 좌측의 측벽(9b) 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통과 센서(17a)에 의해 경화(C)의 반송 방향의 하류단, 즉 선단을 검출했을 때 측벽(9b)에 의해 안내되어 반송되는 경화(C)의 상류측의 일부분이 단차부(35) 내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들 통과 센서(17a)에 의해 게이트(15a)를 통과하도록 하고 있는 취급 경화 중에서 최대 직경의 경화(C)의 상류단이, 단차부(25)의 상류단, 즉 세로면(35b)의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2개의 통과 센서(17a)가 마련됨으로써 각각 서로 다른 외경의 경화(C)의 반송 위치가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달 센서(16a)와 통과 센서(17a)는 각각 제어부(26)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26)는 도달 센서(16a), 통과 센서(17a) 각각의 검출 결과와, 상술한 식별부(11)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경화(C)의 반송 위치, 경화(C)의 반송 방향 등을 판별하여 게이트(15a)의 개폐 타이밍의 제어를 수행한다.
이어, 이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호퍼(6)에 투입된 낱개 경화는 경화 분리부(8)에 의해 경화 반송부(9)에 1개씩 내보내진다.
이 때, 1개씩 내보내지는 경화(C)의 반송 간격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상태의 위치에서 길이(d2)가 최소한도로 필요해진다.
여기서, 길이(d2)란, 분배부(13a)를 통과한 경화(C)의 반송 방향의 하류단(선단)이 통과 센서(17a)에 도달했을 때에 그 분배부(13a)를 통과한 경화(C)의 상류단(후단)과 이어서 반송되는 경화(C)(분배부(13a)를 통과하기 전의 경화)의 반송 방향의 하류단(선단)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그리고,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 이어서 반송되는 경화(C)의 위치란, 분배부(13a)의 게이트(15a)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구동되어, 선별구멍(14a)에 의해 분배되는 것이 가능한 가장 근접한 위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분배부(13a)를 통과하는 경화(C)가, 취급하는 경화 중에서 최소 직경의 경화인 경우에는, 반송 피치는 최소한도로 필요로 하는 반송 피치(d1)가 된다.
달리 표현하면, 단차부(35)의 상류단, 즉 세로면(35b)의 위치가 취급하는 경화 중에서 최대 직경의 경화(C)에 맞춰 설정되어 있으므로, 분배부(13a)를 통과한 경화(C)의 반송 방향의 하류단(선단)이 통과 센서(17a)에 도달했을 때, 분배부(13a)의 게이트(15a)를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구동한 경우라도, 게이트(15a)는 분배부(13a)를 통과하는 경화(C)를 잠시라도 밀어올리는 일은 없다.
또한, 이어서 반송되는 경화(C)는 분배부(13a)의 게이트(15a)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구동되는 동안에도 이송 벨트(B)에 의해 반송되는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배부(13a)의 게이트(15a)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의 구동이 끝나더라도 이어서 반송되는 경화(C)의 하류단(선단)은 게이트(15a)의 가이드판(32)의 상류단(33)에 충돌하는 일이 없는 위치 관계가 유지된다. 즉, 반송 간격(d2), 반송 피치(d1)의 위치 관계가 유지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분배부(13a)를 반송 간격의 기준으로 하고 있는데, 리젝트부(12), 분배부(13b)에 대해서도 분배부(13a)와 동일한 구성이 되므로 이들 리젝트부(12), 분배부(13b)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기준이 되는 리젝트부(12), 각 분배부(13a, 13b)의 치수가 각각 다른 경우에는 가장 반송 간격이 길게 설정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좋다.
경화 반송부(9)에 의해 내보내진 경화(C)는 식별부(11)에서 진위 및 돈의 종류가 식별되어 계수된다.
경화 반송부(9)에서 반송되는 경화(C) 중 진짜 이외의 경화로 판별된 경화(C)는 리젝트부(12)에서 리젝트 박스(20)로 배제된다.
또한, 리젝트 대상 외의 경화(C)는 리젝트부(12)의 하류측의 분배부(13a~13c)를 향해 반송되며, 식별부(11)의 식별 결과를 기초로 분배부(13a), 분배부(13b)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분배되며, 이들 분배부(13a), 분배부(13b)에 의해 분배되지 못한 것이 분배부(13c)로 반송된다.
그리고, 경화(C)는 이들 각 분배부(13a, 13b, 13c)의 선별구멍(14a, 14b, 14c)으로부터 각각 일시 저장부(21a, 21b, 21c)로 낙하하여 수용된다.
여기서, 상술한 리젝트부(12), 분배부(13a, 13b)에서의 분배 제어에 대해, 분배부(13a)를 일 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경화 반송부(9)에 의한 경화(C)의 반송 속도는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제어부(26)에서는 일시 저장부(21a)에 수용시키는 분배 대상 경화의 반송 거리가 경과 시간으로부터 산출된다.
또한, 제어부(26)는 이 분배 대상 경화가 검출되어야 할 시간이 경과했을 때 도달 센서(16a)에 의해 검출되는 경화(C)를 분배 대상 경화로 판정한다.
또한, 제어부(26)에서는 분배 대상 경화인 경화(C)가 판정되었을 때, 이 경화(C)의 하나 하류측에서 반송된 분배 대상외의 경화(C)의 상류단이, 게이트(15a)에 형성된 단차부(35)의 상류단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통과 센서(17a)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판정한다.
그리고,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화(C)의 상류단이 단차부(35)의 상류단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고, 또한 게이트(15a)가 열린 상태로 되더라도 경화(C)의 상류측 부분이 단차부(35) 내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한 타이밍 이후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어부(26)는 게이트(15a)의 개방 제어를 수행하고, 게이트(15a)가 개방됨으로써 분배 대상 경화인 경화(C)는 선별구멍(14a) 내로 안내되어 일시 저장부(21a)에 수용된다.
이 때, 게이트(15a)의 가이드판(32)이 위쪽으로 요동해도 하류측의 경화(C)는 단차부(35) 내에 수용되어, 이송 벨트(B)를 들어올리지 않고 반송된다.
한편, 제어부(26)는 경화(C)의 상류단이 단차부(35)의 상류단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즉, 경화(C)의 상류측 부분이 단차부(35) 내에 위치할 수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반송 잼 등이 생겨서 반송을 정지하는 등, 이상 발생시의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6)는 분배 대상의 경화(C)가 일시 저장부(21a)에 수용된 후, 예를 들어, 다음의 분배 대상 외의 경화(C)가 도달 센서(16a)에 의해 검출되면, 게이트(15a)의 폐쇄 제어를 수행한다.
게이트(15a)가 폐쇄 상태가 되면, 경화(C)는 게이트(15a) 위를 통과하여 분배부(13a)의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이상, 분배부(13a)를 일 예로 설명했지만, 상술한 리젝트부(12)에서는 식별부(11)의 식별 결과 및 도달 센서(16d), 통과 센서(17d)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게이트(15d)의 개폐 제어가 수행되고, 또한 분배부(13b)에서는 식별부(11)의 식별 결과 및 도달 센서(16b), 통과 센서(17b)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게이트(15b)의 개폐 제어가 수행된다.
이들 게이트(15d, 15b)의 개폐 제어에 대해서는 상술한 분배부(13a)와 마찬가지기 때문에, 그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리젝트부(12), 분배부(13a, 13b)에 의해 분배되지 않은 경화(C)는 경화 반송부(9)의 가장 하류측에 배치된 분배부(13c)로 반송되고, 그대로 선별구멍(14c)으로 낙하하여 일시 저장부(21c)에 수용된다.
단, 이 분배부(13c)에서도 도달 센서(16c)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잼 등이 발 생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술한 분배부(13a, 13b)와 마찬가지로 이상 발생시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경화 반송부(9)에 의해 반송된 경화(C)의 상류측의 일부분이 게이트(15a, 15b, 15d) 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게이트(15a, 15b, 15d)를 기울여서 그 상류측을 상승시키더라도, 가이드판(32)의 상면에 형성된 단차부(35)에 의해 경화(C)의 상류측의 일부분을 도피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15a, 15b, 15d)가 경화(C)를 밀어 올리지 않으므로, 경화(C)가 이송 벨트(B)를 압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종래 도 5a에 나타내는 반송 간격(d102), 반송 피치(101)를 확보할 필요가 있었던 것을, 도 2a에 나타내는 단차부(35)의 반송 방향의 길이(d3)만큼 단축한 반송 간격(d2), 반송 피치(d1)로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단위 시간당 경화 처리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종래, 예를 들어, 이송 벨트(B)의 속도가 60000mm/min, 반송 간격으로 27.92mm 필요했을 때, 취급하는 경화의 최대 직경의 경화(C)의 사이즈가 φ25.8인 경우, 반송 피치는 53.72mm가 되고, 1분간에 처리할 수 있는 갯수가 1116개(=60000/53.72)이었지만, 경화(C)의 반송 간격을 단차부(35)의 반송 방향의 길이(d3)(예를 들어, 9.24mm=27.92-18.68)만큼 단축함으로써 이송 벨트(B)의 속도를 상승시키지 않고 1분간 1348개(=60000/44.48)의 처리가 가능해진다.
단, 이들의 처리 갯수는 효율 100%인 경우이다.
저면(35a)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는 길면 길수록 경화(C)의 반송 간격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해지지만, 단차부(35)와 가이드면(34) 사이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가이드판(32)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그리고 반송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게이트(15a, 15b, 15d)는 선별구멍(14a, 14b, 14d)의 하류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가이드판(32)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게이트(15a, 15b, 15d)의 형상을 복잡화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로 만들 수 있으며, 이 결과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통과 센서(17a, 17b, 17d)에 의해, 경화(C)가 게이트(15a, 15b, 15d)에 의해 밀어올려지지 않는 위치에 있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늘 경화(C)가 밀어올려지지 않도록 게이트(15a, 15b, 15d)의 기울임을 제어할 수 있고, 이 결과,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달 센서(16a, 16b, 16d) 및 통과 센서(17a, 17b, 17d)에 의해 게이트(15a, 15b, 15d)의 전후에 있어서의 경화(C)의 위치를 정확히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26)에 의해 게이트(15a, 15b, 15d)의 개폐 타이밍을 양호한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결과, 더 나은 신뢰성과 처리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게이트(15a, 15b, 15d)의 단차부(35)로서 수평의 저면(35a)과 이 저면(35a)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솟아오르는 세로면(35b)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차부(35)가 경화(C)의 상류측 부분에 대해 회피되도록 하는 형상이면, 상기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경화 처리기에 의하면, 센서의 검출을 기초로, 게이트 기구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경화를 게이트에 의해 밀어올리지 않는 타이밍에서 개폐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양호한 정밀도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반송 간격을 짧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을 해치지 않고 더 나은 처리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경화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반송되는 통로와,
    상기 통로에 마련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통로의 일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류측에 마련된 단차부를 가진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가 닫힌 상태로부터 상기 상류측을 상승시키도록 기울임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여는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의 기울임에 의해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경화를 낙하시키는 게이트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단차부는, 상기 게이트가 열린 상태일 때 상기 하류측에 있어서의 상기 게이트 상에 위치하는 상기 경화의 상류측 부분을 도피시키는 경화 처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하류측에 마련되며, 상기 경화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를 토대로, 상기 게이트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경화의 상류측 부분이 상기 단차부 내에 위치가능한 타이밍 이후에 상기 게이트를 기울어지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경화 처리기.
KR1020060132061A 2005-12-26 2006-12-21 경화 처리기 KR100822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72066A JP4777060B2 (ja) 2005-12-26 2005-12-26 硬貨処理機
JPJP-P-2005-00372066 2005-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265A KR20070068265A (ko) 2007-06-29
KR100822484B1 true KR100822484B1 (ko) 2008-04-16

Family

ID=3798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061A KR100822484B1 (ko) 2005-12-26 2006-12-21 경화 처리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88491B2 (ko)
EP (1) EP1808822B1 (ko)
JP (1) JP4777060B2 (ko)
KR (1) KR100822484B1 (ko)
CN (1) CN100583173C (ko)
DE (1) DE602006002237D1 (ko)
HK (1) HK1107864A1 (ko)
TW (1) TWI3117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2518B2 (ja) * 2007-10-03 2013-06-26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処理機
JP6182766B2 (ja) * 2011-02-01 2017-08-23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セレクタ
DE102011001873A1 (de) * 2011-04-07 2012-10-11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Münzen mit horizontalem Sortierband
DE102011001870A1 (de) * 2011-04-07 2012-10-11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ortieren von Münzen
DE102011054167A1 (de) * 2011-04-07 2012-10-11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Münzen
JP5692100B2 (ja) 2012-01-16 2015-04-0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JP5891957B2 (ja) * 2012-06-01 2016-03-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繰出収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CN103268659B (zh) * 2013-04-01 2015-11-25 北京名天网璟传媒技术有限公司 一种双马达数币装置
JP6658003B2 (ja) * 2016-01-29 2020-03-04 富士電機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US20170270735A1 (en) * 2016-03-16 2017-09-21 Glory Ltd. Coin handling apparatus
DE102016217432A1 (de) * 2016-09-13 2018-03-15 Mühlbauer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ortieren von scheibenförmigen Objekten
JP6969263B2 (ja) * 2016-11-29 2021-11-24 富士電機株式会社 硬貨検銭装置
CN109377634B (zh) * 2017-08-04 2021-05-25 南宁市黑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硬币自动分拣装置
JP2020160858A (ja) 2019-03-27 2020-10-0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CN110956735B (zh) * 2019-07-25 2022-05-13 日本金钱机械株式会社 硬币识别单元
JP2022086209A (ja) * 2020-11-30 2022-06-09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8712A (en) 1982-07-08 1985-12-17 Laurel Bank Machine Co., Ltd. Automatic coin depositing and paying machine
US5114381A (en) 1990-03-14 1992-05-19 Laurel Bank Machines Co., Ltd. Coin feeding apparatus for coin handling machine
JPH07168960A (ja) * 1993-12-15 1995-07-04 Sanyo Electric Works Ltd 硬貨整列器
WO1997007485A1 (en) * 1995-08-21 1997-02-27 Scan Coin Ab Coin counting and sort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44252B (en) * 1983-07-28 1987-04-23 Mars Inc Coin testing apparatus
US4718660A (en) * 1985-10-09 1988-01-12 Daboub Henry A Anti-jamming means for a pocket of a mail sort machine
DE3627387A1 (de) * 1986-08-13 1988-02-25 Ngz Geldzaehlmasch Gmbh Vorrichtung zum sortieren von muenzen
JPH0671901B2 (ja) 1988-07-05 1994-09-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部品の取付装置
US5059153A (en) * 1988-07-22 1991-10-22 Laurel Bank Machines Co., Ltd. Coin receiving and dispensing machine
JP2838641B2 (ja) 1993-12-17 1998-12-16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処理機の受け入れ不能硬貨除去装置
GB9617427D0 (en) 1996-08-20 1996-10-02 Coin Controls Coin dispensing mechanism
JP3949859B2 (ja) 1999-12-02 2007-07-25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選別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硬貨処理機
US8393455B2 (en) 2003-03-12 2013-03-12 Cummins-Allison Corp. Coin processing device having a moveable coin receptacle station
JP2005174072A (ja) 2003-12-12 2005-06-30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硬貨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8712A (en) 1982-07-08 1985-12-17 Laurel Bank Machine Co., Ltd. Automatic coin depositing and paying machine
US5114381A (en) 1990-03-14 1992-05-19 Laurel Bank Machines Co., Ltd. Coin feeding apparatus for coin handling machine
JPH07168960A (ja) * 1993-12-15 1995-07-04 Sanyo Electric Works Ltd 硬貨整列器
WO1997007485A1 (en) * 1995-08-21 1997-02-27 Scan Coin Ab Coin counting and sor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07864A1 (en) 2008-04-18
CN1991922A (zh) 2007-07-04
TW200729085A (en) 2007-08-01
KR20070068265A (ko) 2007-06-29
CN100583173C (zh) 2010-01-20
US7588491B2 (en) 2009-09-15
EP1808822A1 (en) 2007-07-18
TWI311732B (en) 2009-07-01
DE602006002237D1 (de) 2008-09-25
EP1808822B1 (en) 2008-08-13
US20070144864A1 (en) 2007-06-28
JP2007172478A (ja) 2007-07-05
JP4777060B2 (ja)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484B1 (ko) 경화 처리기
EP2023301B1 (en) Coin receiving and dispensing machine
JPWO2008093420A1 (ja) 硬貨入出金機
JP6839822B2 (ja) 硬貨入金装置
WO2008032350A1 (fr) Dispositif de réception et d'éjection de pièces de monnaie
EP2026294B1 (en) Coin receiving/dispensing machine
JP2016042333A (ja) 硬貨処理機
JP5667407B2 (ja) 硬貨リフタ装置
US5558197A (en) Coin escalator for gaming devices
JP3973861B2 (ja) 硬貨入出金機
JP6056586B2 (ja) 硬貨処理装置
WO2009096017A1 (ja) 硬貨入金装置
JP2010061510A (ja) 棒金収納装置
JP7193154B2 (ja) コイン送出装置およびコイン処理装置
JP4137538B2 (ja) 硬貨処理機
JP3664370B2 (ja) リフト駆動機構
JP5022816B2 (ja) 硬貨入出金機
JP4307821B2 (ja) 硬貨繰出装置及び硬貨処理装置
JP3862974B2 (ja) 硬貨入出金機
JP4183253B2 (ja) 遊技メダルの揚送機構
JP4897828B2 (ja) 硬貨収納繰出装置
JPH0496893A (ja) 硬貨選別装置
JP2003030709A (ja) 硬貨入出金機
JP2002210214A (ja) メダル投入装置
JP2003284811A (ja) 遊技機のメダル投入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遊技機、メダル貸機並びに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