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737B1 -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737B1
KR100821737B1 KR1020060080210A KR20060080210A KR100821737B1 KR 100821737 B1 KR100821737 B1 KR 100821737B1 KR 1020060080210 A KR1020060080210 A KR 1020060080210A KR 20060080210 A KR20060080210 A KR 20060080210A KR 100821737 B1 KR100821737 B1 KR 100821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able
search
searching
broadcast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8306A (ko
Inventor
전우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0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737B1/ko
Publication of KR20080018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최단 시간에 채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공중파의 경우 인접채널 방송이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며, 케이블 방송의 경우는 인접 채널 방송을 허용한다는 방송법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동 채널탐색 명령을 입력하면 공중파와 케이블 채널이 공존하는 영역에서 인접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그에 따라 채널 탐색 영역이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자동 채널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공중파와 케이블 채널이 공존하는 영역을 우선적으로 탐색하여 인접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채널탐색을 선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채널 탐색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으며, 공중파 채널 영역과 케이블 채널 영역에서의 채널 중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사용자 미숙에 의한 채널 스킵(Skip)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채널 탐색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인접채널/자동탐색

Description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nnal of (a) receiver}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5는 TV의 채널별 주파수를 나타낸 데이터.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튜너/외부신호 입력부 110 : 신호 처리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스피커
140 : 명령 입력부 150 : 제어부
160 : 제 1 저장부 161 : 제 2 저장부
본 발명은 방송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최단 시간에 채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날로그 방송시대에서 디지털 방송시대로 전이하는 과정에서, DTV 수신장치나 디지털 셋탑 박스에 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DTV 방송이 시도되고 있고, 향후 몇년 후에는 DTV 방송이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을 완전히 대체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신호로는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 PAL(Phase Alternation by Line system)방식, SECAM(Sequential Couleur A Memoire)방식 등의 신호가 있고, DTV 방송신호에는 ATSC에서 규정하는 8-레벨 잔류 측파대(Vestigial Side Band)(이하, "VSB"라 약칭함) 신호가 있다.
그런데, 현재의 과도기에서는 DTV 방송, 위성방송, 케이블 TV 방송, 무선 LAN등 다양한 공중파의 난립으로 인하여 반송파로 사용될 신호의 주파수 대역 배분이 어려워짐에 따라, 아날로그 방송신호와 DTV 방송신호가 서로 같은 채널(Co-channel), 즉 UHF(Ultra High Frequency) 또는 VHF(Very High Frequency) 채널에 할당되어 공중으로 송출된다.
즉, NTSC 채널은 73.25 ㎒ ∼ 211.25 ㎒ 공중파 VHF Band/CATV Band, 471.25㎒ ∼ 885,25 ㎒ 공중파 UHF Band/CATV Band, 121.25 ㎒ ∼ 799.25 ㎒ CATV Band 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채널 테이블에서는 중심 주파수에서 +/- 1.5 ㎒ 범위에서 채널을 설정한다.
또한 자동채널 설정방식을 두가지의 제 1 및 제 2 자동 설정방식으로 구분하 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자동 설정방식은 자동채널 설정 명령에 의한 채널 테이블에 의한 수차적으로 검색하며, 공중파 밴드를 검색한 후 CATV 밴드를 검색하는 방식으로써, 첨부된 도 1에 나타낸 테이블에서 1 → 2 → 3 순서로 전 주파수에서 동기신호의 유/무로써 채널을 검색하여 저장한다.
또 다른 방식인 제 2 자동 설정방식은 메뉴상에 공중파 밴드/CATV 밴드를 사용자가 설정하여 검색할 수 있는 것으로, 공중파 밴드 선택시 도 1에 나타낸 테이블에서 1 → 2의 순서로 검색하며, CATV 밴드 선택시에는 도 1에 나타낸 테이블에서의 1 → 3의 순서로 채널을 검색하여 저장한다.
즉,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방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방법에 따른 제 1 자동 설정방법은 도 1을 참조하면 VHF 밴드(1), UHF 밴드(2) 및 CATV 밴드(3)을 순차적으로 검색한다(S11 ∼ S13).
또한 종래의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방법에 따른 제 2 자동 설정방법은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공중파 신호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21), 사용자가 공중파 신호를 선택하였으면 VHF 밴드(1)를 검색한 후 UHF 밴드(2)를 순차적으로 검색한다(S22 ∼ S23).
한편 상기 판단 결과(S22), 사용자가 공중파 신호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CATV 밴드(1) 및 CATV 밴드(3)를 순차적으로 검색한다(S24 ∼ S25).
그러나 제 1 자동 설정방식은 채널 스팁방지 및 주파수 인입범위(1.5 ㎒)를 만족하기 위해 IC 특성을 고려하여 중심 주파수에서 1.5 ㎒ 이상의 밴드를 검색하여 동기가 있을 경우 채널을 메모리하는 방식임에 따라 중복된 채널이 메모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공중파 16채널(483.25㎒)와 CATV 67채널(481.25㎒)을 중복 검색함에 따라 채널이 중복 메모리될 뿐만아니라, 모든 채널 테이블에 대한 검색을 수행함에 따라 채널 설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 2 자동 설정방식의 경우는 제 1 자동 설정방식보다 소요시간은 짧게 걸리나, 잘못된 선택시 채널이 메모리되지 않을 뿐더러, 정확한 채널 검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방송 주파수 테이블 구조 및 방송법상의 특성을 이용하여 채널 설정 시간을 단축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채널을 설정함에 있어서 중복된 채널 설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보다 정확한 채널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 치는 튜너를 구비한 방송수신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명령 입력부와, 채널별 주파수 대역을 저장하기 위한 제 1 저장부와, 상기 명령 입력부를 통해 자동 채널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방송종류를 파악하고, 파악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주파수 대역을 선별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탐색된 채널을 저장하기 위한 제 2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저장부는 공중파 채널의 밴드별 주파수, 케이블 채널의 밴드별 주파수가 저장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공중파 채널의 밴드별 주파수는 주파수 30∼300MHz대의 초단파(very high freqeuency:VHF)를 사용한 VHF 채널과, 주파수 300∼3,000MHz(1MHz=1,000kHz) 를 사용한 UHF 채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 입력부를 통해 자동 채널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공중파 및 케이블 채널이 혼재되어 있는 영역을 우선적으로 탐색한 후 인접채널 존재 여부에 따라 케이블 채널만을 독립적으로 탐색되도록 제어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접채널 존재 여부에 따라 케이블 채널만을 독립적으로 탐색한 후 채널존재 여부에 따라 케이블 채널, 공중파 채널, 전체 채널 탐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방법은 튜너 및 명령 입력부를 구비한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명령 입력부를 통해 자동 채널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기 설정된 공중파 및 케이블이 공존하는 영역을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공중파 및 케이블이 공존하는 영역에서 인접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채널 탐색 범위가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된 공중파 및 케이블이 공존하는 영역을 탐색하는 단계는 공중파 및 케이블이 혼재하는 영역을 탐색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 탐색 범위가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공중파 및 케이블이 공존하는 영역의 탐색 결과 인접채널이 존재하면 케이블 채널만을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블 채널만 탐색결과 채널이 존재하면 케이블 채널 영역만을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 탐색 범위가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공중파 및 케이블이 공존하는 영역의 탐색 결과 인접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면 케이블 채널만을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블 채널만 탐색결과 채널이 존재하면 전체 채널을 모두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 탐색 범위가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공중파 및 케이블이 공존하는 영역의 탐색 결과 인접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면 케이블 채널만을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블 채널만 탐색결과 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면 공중파 채널만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며, 도 5는 채널 밴드별 주파수를 나타낸 데이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튜너(100)와,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명령 입력부(140)와, 채널별 주파수 대역을 저장하기 위한 제 1 저장부(160)와, 상기 명령 입력부(140)를 통해 자동 채널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방송종류를 파악하고, 파악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주파수 대역을 선별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0)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탐색 된 채널을 저장하기 위한 제 2 저장부(161)와, 상기 튜너(100)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분리하여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110)와, 상기 신호 처리부(11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20)와, 상기 신호 처리부(110)에서 처리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명령 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가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이 명령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이 선국 될 수 있도록 상기 튜너(1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튜너(10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국하며, 상기 튜너(100)를 통해 선국 된 채널의 방송신호는 상기 신호처리부(110)로 입력되어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로 분리되어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부(120) 및 스피커(130)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명령 입력부(140)를 통해 자동 채널탐색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이를 인식하여 상기 튜너(100)를 통해 수신되는 모든 방송채널을 검색하도록 하나,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공중파 및 케이블 방송이 동시에 수신되고 있는 채널 영역을 먼저 탐색함으로써 인접채널이 존재하는지를 우선적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상기 인접채널의 존재 유무에 따라 채널 탐색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며, 채널 선택방법으로는 케이블 방송만 탐색할지, 전체 채널을 모두 탐색할지, 공중파 채널만 탐색할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공중파는 VHF 방식과, UHF 방식의 복수개의 방식이 있으며, 상기 VHF는 주파수 30∼300MHz대의 초단파(very high freqeuency:VHF)를 사용한 텔레비젼 송수신방식을 말하며, UHF는 주파수 300∼3,000MHz(1MHz=1,000kHz)인 극초단파(UHF)를 사용한 텔레비전 송수신 방식을 뜻한다.
여기서, 상기 UHF 방송은 VHF 방송에 비하면 자동차 잡음 등 도시잡음의 영향은 적지만 UHF 전파의 강한 직진성 때문에 장애물로 인한 수신불능상태가 생기기 쉽고, 전파 감쇠가 커서 수신측에 고이득 안테나가 필요한 점, 서비스구역이 좁아 높은 송신안테나가 요구되는 점, 방송국 수·중계국 수를 VHF 방송의 경우보다 여러 배 증가시켜야 하는 점 등의 난점이 있습니다. 서비스구역이 좁고 다른 지역방송과의 혼신방지에는 유리하기 때문에 지방방송(local用)에는 일반적으로 UHF 방송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VHF용 수신기로 UHF 전파를 수신하려면 UHF 컨버터를 써서 주파수변환을 하여야 하나, 올 채널 텔레비전은 UHF·VHF 방송을 다 같이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명령 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가 자동 채널탐색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VHF 영역을 우선적으로 검색하며, 이때 VHF 밴드로는 도 5에 도시된 [1] 영역이며, 공중파와 케이블 채널이 공존하는 영역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1] 영역에서 인접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왜냐하면 공중파 방송의 경우에는 방송법상 인접 채널 방송이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며, 케이블 채널의 경우에만 인접 채널 방송이 허용됨에 따라 인접채널이 존재할 경우에는 공중파 방송이 아닌 케이블 채널임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인접채널이 존재하면 케이블 채널 영역인 [4] 영역을 탐색하며, 이때 채널이 존재할 경우에는 케이블 채널만을 탐색하여 상기 제 2 저장부(161)에 탐색 결과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인접채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도, 케이블 채널을 우선적으로 탐색하여 채널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채널이 존재할 경우에는 전 채널에 걸쳐 서 채널탐색을 수행하고, 해당 탐색결과를 상기 제 2 저장부(161)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인접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케이블 채널영역에서 채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공중파 채널만이 존재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2] 영역만을 탐색하여 해당 탐색결과를 상기 제 2 저장부(161)에 저장한다.
따라서 인접채널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공중파까지 다 탐색을 수행하고, 인접채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케이블 채널 영역만을 탐색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로부터 자동 채널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VHF 밴드인 공중파 및 케이블 영역을 모두 검색한다(S101).
그리고 상기 검색결과 인접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2).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2), 상기 검색결과 인접채널이 존재하면 케이블 채널 영역을 우선적으로 검색한다(S103).
그리고 상기 검색된 영역에서 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4).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4), 채널이 존재하면 케이블 채널 영역을 탐색한 결과를 저장한다(S105).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02), 인접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면 케이블 채널 영역을 우선적으로 검색한다(S106).
그리고 상기 검색된 케이블 채널 영역에서 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7).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7), 상기 케이블 채널 영역에서 채널이 존재하면 케이블 채널영역 및 공중파 채널 영역을 걸쳐서 전 채널을 탐색한다(S108 ∼ S109 ).
한편 상기 검색된 케이블 채널 영역에서 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면 UHF 밴드 영역인 공중파 영역만을 탐색하고, 해당 탐색 결과를 저장한다(S11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은 공중파의 경우 인접채널 방송이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며, 케이블 방송의 경우는 인접 채널 방송을 허용한다는 방송법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동 채널탐색 명령을 입력하면 공중파와 케이블 채널이 공존하는 영역에서 인접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그에 따라 채널 탐색 영역이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에 의해 자동 채널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공중파와 케이블 채널이 공존하는 영역을 우선적으로 탐색하여 인접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채널탐색을 선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채널 탐색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둘째, 공중파 채널 영역과 케이블 채널 영역에서의 채널 중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 미숙에 의한 채널 스킵(Skip)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채널 탐색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튜너를 구비한 방송수신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명령 입력부;
    채널별 주파수 대역을 저장하기 위한 제 1 저장부;
    상기 명령 입력부를 통해 자동 채널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방송종류를 파악하고, 파악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저장부에 기 저장된 주파수 대역을 선별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탐색된 채널을 저장하기 위한 제 2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부는 공중파 채널의 밴드별 주파수, 케이블 채널의 밴드별 주파수가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파 채널의 밴드별 주파수는 주파수 30∼300MHz대의 초단파(very high freqeuency:VHF)를 사용한 VHF 채널과, 주파수 300∼3,000MHz(1MHz=1,000kHz) 를 사용한 UHF 채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 입력부를 통해 자동 채널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공중파 및 케이블 채널이 혼재되어 있는 영역을 탐색한 후 인접채널 존재 여부에 따라 케이블 채널만을 독립적으로 탐색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접채널 존재 여부에 따라 케이블 채널만을 독립적으로 탐색한 후 채널존재 여부에 따라 케이블 채널, 공중파 채널, 전체 채널 탐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6. 튜너 및 명령 입력부를 구비한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명령 입력부를 통해 자동 채널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공중파 및 케이블이 공존하는 영역을 탐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영역에서 인접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채널 탐색 범위가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탐색 범위가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공중파 및 케이블이 공존하는 영역의 탐색 결과 인접채널이 존재하면 케이블 채널만을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블 채널만 탐색결과 채널이 존재하면 케이블 채널 영역만을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탐색 범위가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공중파 및 케이블이 공존하는 영역의 탐색 결과 인접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면 케이블 채널만을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블 채널만 탐색결과 채널이 존재하면 전체 채널을 모두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탐색 범위가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공중파 및 케이블이 공존하는 영역의 탐색 결과 인접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면 케이블 채널만을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블 채널만 탐색결과 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면 공중파 채널만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방법.
KR1020060080210A 2006-08-24 2006-08-24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21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210A KR100821737B1 (ko) 2006-08-24 2006-08-24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210A KR100821737B1 (ko) 2006-08-24 2006-08-24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306A KR20080018306A (ko) 2008-02-28
KR100821737B1 true KR100821737B1 (ko) 2008-04-11

Family

ID=3938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210A KR100821737B1 (ko) 2006-08-24 2006-08-24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73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7415A (ja) * 1993-09-09 1995-03-31 Funai Electric Co Ltd 受信機の受信チャンネル自動設定方法
KR20010010282A (ko) * 1999-07-19 2001-02-05 전주범 티 브이의 채널 자동 선국방법
JP2001339651A (ja) 2000-05-29 2001-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選局装置
KR20030070292A (ko) * 2002-02-23 2003-08-3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자동 케이블 티브이 밴드 탐색 방법
JP2005318182A (ja) 2004-04-28 2005-11-10 Funai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機
KR20060011412A (ko) * 2004-07-30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밴드 자동 검색 방법
KR100555915B1 (ko) * 2003-12-22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채널탐색을 병렬적으로 수행하는 디지털 방송수신장치및 그 채널탐색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7415A (ja) * 1993-09-09 1995-03-31 Funai Electric Co Ltd 受信機の受信チャンネル自動設定方法
KR20010010282A (ko) * 1999-07-19 2001-02-05 전주범 티 브이의 채널 자동 선국방법
JP2001339651A (ja) 2000-05-29 2001-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選局装置
KR20030070292A (ko) * 2002-02-23 2003-08-3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자동 케이블 티브이 밴드 탐색 방법
KR100555915B1 (ko) * 2003-12-22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채널탐색을 병렬적으로 수행하는 디지털 방송수신장치및 그 채널탐색방법
JP2005318182A (ja) 2004-04-28 2005-11-10 Funai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機
KR20060011412A (ko) * 2004-07-30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밴드 자동 검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306A (ko) 200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3091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채널 스캔 방법
US200901418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broadcast channel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apted to receiv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US20090044247A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US8154665B2 (en) Broadcast receiver
US20060116093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21737B1 (ko) 방송수신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EP1280275B1 (en) Automatic tuning apparatus
US20080200137A1 (en) Program Diversity
JP2007259053A (ja) 地上波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2006074827A (ja) 受信装置とその受信方法
KR20100107141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장치 및 방법
JP4413118B2 (ja) 受信装置
JP2008148197A (ja) 放送受信装置
KR10065710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자동 채널 설정 방법
JP2003037785A (ja) 移動体用受信装置及び放送信号の受信方法
KR20090064831A (ko) 자동 채널을 설정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688882B1 (ko) 아날로그/디지털 방송 겸용 영상표시장치의 채널 스캔시간단축 방법
KR100662342B1 (ko) 케이블 밴드 자동 검색 방법
KR20010010282A (ko) 티 브이의 채널 자동 선국방법
KR100828894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자동 선택 방법
KR100709347B1 (ko) 고유lcn에 강전계채널을 자동할당하는 디지털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자동할당방법
KR20060055958A (ko) 디지탈 티브이 자동 채널 설정 방법
KR20070016404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자동 채널 설정방법
KR0141527B1 (ko) F/s방식의 전자튜너를 이용한 채널검출장치
KR20100023239A (ko) 방송 수신기 및 동일 채널 이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