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141A -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141A
KR20100107141A KR1020090025274A KR20090025274A KR20100107141A KR 20100107141 A KR20100107141 A KR 20100107141A KR 1020090025274 A KR1020090025274 A KR 1020090025274A KR 20090025274 A KR20090025274 A KR 20090025274A KR 20100107141 A KR20100107141 A KR 20100107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mage quality
signals
signal
s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90025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7141A/ko
Publication of KR20100107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기술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토대로 전체 채널 스캔을 수행하고, 채널 스캔 종료 후, 동일 채널 신호들을 선별하며, 동일 채널 신호들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화질 모드의 채널들만을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방송 송신소로부터 동일한 채널들이 스캔될 경우, TV에서 시청 화질이 가장 좋은 채널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처리하므로, 공청 안테나 사용 시 최적의 송신소를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시청자는 나머지 채널들을 일일이 지우거나 숨김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편리하게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디코딩, 채널 검색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BROADCAST CHANNEL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선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토대로 전체 채널 스캔을 수행하고, 채널 스캔 종료 후, 동일 채널 신호들을 선별하여, 동일 채널 신호들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화질 모드의 채널들만을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적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방송 및 통신은 디지털화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즉, 디지털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디지털로 전송하는 디지털 방송이 위성 방송, 케이블 방송, 지상 방송을 통하여 한국, 미국, 유럽, 아시아에서 상용화되고 있거나 상용화될 예정이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선진국들이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는 이러한 디지털 방송의 이점은 복합적이다. 이는 HDTV가 아날로그 TV 보다는 화질과 음질 면에서 훨씬 뛰어날 뿐 아니라 다양 하고 선명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의 표준은 대체로 미국, 유럽, 일본이 각각 나름대로 방송방식 및 규격을 마련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규격인 차세대 TV 방송 위원회(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 ; ATSC)방식은 단일 반송파의 8-VSB(Vestigial Side Bands) 전송방식을, 비디오 압축에는 SDTV/HDTV 겸용형 MPEG 2 규격을, 그리고 오디오 압축에는 돌비 AC-3 규격을 기본구조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 규격으로서, ATSC 방식을 따르고 있다.
도 1은 다수개의 송신기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방송 송신소는 여러 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공청 안테나 사용 시 수신 지역에 따라 두 곳 이상의 송신소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방송 시청자의 TV(100)는 3개의 송신소(102, 104, 106)로부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 받게 되며, 채널 스캔 시 동일 채널들에 대해서도 3개의 송신소(102, 104, 106)로부터 신호를 수신 받게 된다. 예를 들어, 7번 채널이 스캔 되었다면, 각각의 송신소(102, 104, 106)로부터 수신된 "7-1, 7-2, 7-3"채널이 연속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각각의 송신소(102, 104, 106)로부터 수신된 방송은 각각 다른 화질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SD(Standard Definition) 모드-640x480, HD(High Definition) 모드-1366x768, Full HD 모드-1920x1080, UD(Ultra Definition) 모드-3840x2160 및 더 나아가 3D 모드의 방송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채널 스캔의 수행 후에는 동일채널에 대해 각각의 송신소별 방송 신호와, 방송 화질별 방송 신호가 중복되어 검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는, 다수의 방송 송신소로부터 동일한 채널들이 스캔될 경우, 시청자는 시청화질이 가장 좋거나, 각 채널별로 원하는 화질 모드의 방송 신호만을 제외한 나머지 방송 채널들을 일일이 지우거나 숨김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나, 이에 대한 별다른 방안이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토대로 전체 채널 스캔을 수행하고, 채널 스캔 종료 후, 동일 채널 신호들을 선별하며, 동일 채널 신호들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화질 모드의 채널들만을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토대로 전체 채널 스캔을 수행하고, 채널 스캔 종료 후, 동일 채널 신호들을 선별하여, 동일 채널 신호들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화질 모드의 채널들만을 선별하고, 동일 채널 신호들 중에 사용자 선택 모드의 방송이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 각 방송신호에 대한 디코딩 에러율을 토대로 하나의 채널만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토대로 전체 채널 스캔을 수행하고, 채널 스캔 종료 후, 동일 채널 신호들을 선별하여, 동일 채널 신호들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화질 모드의 채널들만을 선별하고, 동일 채널 신호들 중에 사용자 선택 모드의 방송이 없는 경우, 사용자 선택 모드보다 한 단계 아래의 화질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장치는,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토대로 전체 채널 스캔을 수행하는 채널 검색기와, 상기 전체 채널 스캔 종료 후, 스캐닝된 채널 신호들에 대한 디코딩 테스트를 수행하여 디코딩 테스트 결과를 출력하는 디코더와, 상기 스캐닝된 채널 신호들 중에서 동일 채널 신호들을 선별하고, 상기 디코딩 테스트 결과를 토대로 화질 모드를 설정하고, 특정 화질 모드로의 채널 설정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동일 채널 신호들 중에서 상기 특정 화질 모드의 채널 신호를 제외한 채널 신호를 채널 검색 시 안보이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방법은,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토대로 전체 채널 스캔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전체 채널 스캔 종료 후, 동일 채널 신호들을 선별하는 과정과, 상기 동일 채널 신호들에 대한 디코딩 테스트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 기 디코딩 테스트를 통하여 화질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특정 화질 모드로의 채널 설정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동일 채널 신호들 중에서 상기 특정 화질 모드의 채널 신호를 제외한 채널 신호를 채널 검색 시 안보이도록 숨김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수의 방송 송신소로부터 동일한 채널들이 스캔될 경우, TV에서 시청 화질이 가장 좋은 채널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처리하므로, 공청 안테나 사용 시 최적의 송신소를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시청자는 나머지 채널들을 일일이 지우거나 숨김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편리하게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 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토대로 전체 채널 스캔을 수행하고, 채널 스캔 종료 후, 동일 채널 신호들을 선별하여, 동일 채널 신호들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화질 모드의 채널들만을 사용자의 채널 검색 시 제공하는 것으로서, 동일 채널에 사용자 선택 모드의 방송이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 방송에 대한 디코딩 에러율을 토대로 하나의 채널만을 선택하고, 동일 채널 신호들 중에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의 방송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 선택 모드보다 한 단계 아래의 화질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다.
넓은 지역에 대한 디지털 지상파 방송의 송신은 여러 개의 송신소에 의해 분담되며, 우리나라 ATSC의 경우는 동일채널에 대해 근접지역의 송신소가 서로 다른 극초단파(UHF:Ultrahigh frequency) 채널을 써서 송신을 함으로써, 이 채널들은 주파수만 다를 뿐 방송데이터는 완전 동일한 것이다. 그러나 공청주파수의 설치상태와 각 송신소와의 거리에 따라 화질에서는 차이가 나게 된다. 여기서 화질의 기준은 디코딩시 에러 발생율과, 계전강도(예를 들어, 주파수의 세기, 볼륨, 잡음률)등이 기준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200)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한다) 수신부(202), 채널 검색기(204), 디코더(206), 제어부(208), 디스플레이부(210)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RF수신부(202)는 디지털 방송 송신소로부터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방송 신호를 채널 검색기(204)로 전달한다. 채널 검색기(204)에서는 채널 전체 스캔을 통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에서 채널 신호를 검출하여 디코더(206)로 전달하고, 각 채널 정보는 제어부(208)로 전달한다.
디코더(206)에서는 채널 검색기(204)로부터 전달된 채널 신호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여 디코딩 된 채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한다. 이에 디스플레이부(210)에서는 전달된 채널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여 시청자가 선택한 방송에 대해 시청을 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다.
제어부(208)에서는 전반적인 디지털 방송 수신기(200)를 제어하며, 채널 검색기(204)로부터 각 채널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시청자가 특정 채널을 선택할 경우, 선택된 채널에 대한 채널 신호를 채널 검색기(204)에서 디코더(206)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8)는 채널 검색기(204)로부터 전체 채널 스캔을 통해 전달받은 채널 정보를 토대로 동일 채널의 방송 신호들을 선별하고, 동일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별로 디코더(206)에서 수초간의 디코딩을 시험하여 각각의 화질 모드를 정의하도록 한다. 즉, 7번 채널에 7-1, 7-2, 7-3, 7-4, 7-5의 방송 신호가 수신된 경우, 이에 대한 디코딩을 통해 7-1(SD), 7-2(HD), 7-3(Full HD), 7-4(UD), 7- 5(3D)로 화질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넓은 지역에 대한 디지털 지상파 방송의 송신은 여러 개의 송신소에 의해 분담되며, 우리나라 ATSC의 경우는 동일채널에 대해 근접지역의 송신소가 서로 다른 극초단파(UHF: Ultrahigh frequency) 채널을 써서 송신을 함으로써, 이 채널들은 주파수만 다를 뿐 방송데이터는 완전 동일한 것이다. 그러나 공청주파수의 설치상태와 각 송신소와의 거리에 따라 화질에서는 차이가 나게 된다. 여기서 화질의 기준은 디코딩시 에러 발생율과, 계전강도(예를 들어, 주파수의 세기, 볼륨, 잡음률)등이 기준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각 채널 신호에 대해 디코딩을 통해 화질 모드를 설정하며, 한편, 동일 채널로 선별된 방송 신호에 화질 모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질 모드 정보를 추출하여 정의하도록 한다.
이후,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입력 패널을 통한 키 입력, 사용자가 리모콘을 이용하여 전체 채널 혹은 각 채널에 대한 화질 모드 선택 신호를 전송한 경우, 제어부(208)에서는 이를 토대로 화질 모드가 정의된 채널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된 채널 신호 외에 다른 검색 신호는 숨김 처리한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화질 모드의 채널 신호 외에 스캔 된 모든 채널 신호를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가 화질 모드 선택을 통하여 복수의 동일 채널에 대한 검색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채널 스캐닝 이후에 사용자가 선택한 화질 모드에 대해 동일 채널에 대해서도 두 개 이상의 채널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런 경우에는 에러 발생율이 가장 적은 채널 외에 다른 채널 신호는 모두 숨긴다. 다만, 채널 간 에러발생율의 차이가 미비하면 계전강도를 비교하여 계전강도가 가장 강한 채널 이외의 채널들은 모두 숨기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동일채널 상에서 사용자의 선택 모드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0단계에서 RF 수신부(202)에 수신된 방송 신호를 토대로 채널 검색기(204)에서 전체 채널 스캔 동작을 수행한 후, 302단계에 동일 채널 신호들에 대해 선별하여, 이에 대한 채널 정보들을 제어부(208)로 전달한다. 제어부(208)에서는 304단계에서 동일 채널들의 채널 신호들을 디코더(206)에서 수 초간 디코딩 테스트를 수행하여, 동일 채널 내의 채널 신호들 각각에 대한 화질 모드를 정의하도록 한다. 물론 채널 신호에 화질 모드 정보가 포함된 이를 토대로 화질 모드를 정의하도록 한다.
이에 304단계에서 제어부(208)가 HD 모드로의 설정 명령을 수신한 경우, 즉 동일 채널들에 대해 HD 모드의 채널 신호만을 검색할 수 있도록 진행할 것임을 명령받은 경우에는 306단계에서 동일 채널 상에서 HD 모드의 채널 신호를 제외한 다른 동일 채널 내 채널 신호들은 숨김 처리를 수행하여 채널 검색 시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처리한다.
다만, 308단계에서 동일 채널 내에 HD 모드의 채널 신호가 중복되어 존재하는 경우에는 310단계에서 각각의 신호에 대한 디코딩 테스트를 수행하게 된다. 즉, 312단계에서 각 채널 신호별 디코딩 에러 발생율을 비교하여 동일 채널들 중에 에 러 발생율이 가장 적은 채널을 선별하고, 나머지 채널은 숨김 처리한다.
그러나 에러 발생율의 차이가 미비, 즉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내의 에러 발생율을 보이는 동일 채널이 존재한다면, 동일 채널들 간에 계전 강도를 비교하여 계전 강도가 가장 강한 채널 외에 다른 채널은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처리하여 314단계에서 선별된 개별 채널 데이터들을 디스플레이 하여 시청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계전 강도는 주파수의 세기, 볼륨의 크기, 잡음률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주파수의 세기가 크거나, 볼륨의 크기가 크거나, 잡음률이 적은 채널 신호를 최적의 채널로 선택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208)에서는 모든 스캔 채널에서 사용자 설정 화질 모드로 처리하거나, 각 채널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기 설정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일채널 상에서 사용자의 선택 모드가 없는 경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0단계에서는 RF 수신부(202)에 수신된 방송 신호를 토대로 채널 검색기(204)에서 전체 채널 스캔 동작을 수행한 후, 402단계에 동일 채널 신호들에 대해 선별하여, 이에 대한 채널 정보들을 제어부(208)로 전달한다. 제어부(208)에서는 304단계에서 동일 채널들의 채널 신호들을 디코더(206)에서 수 초간 디코딩 테스트를 수행하여, 동일 채널 내의 채널 신호들 각각에 대한 화질 모드를 정의한다. 이에 사용자가 HD 모드로의 설정을 명령하는 신호를 송신한 경우, 제어 부(208)에서 동일 채널 별 HD 모드의 채널 신호를 제외한 다른 신호는 채널 검색 시 검색 되지 않도록 숨김 처리를 수행한다.
다만, 402단계에서 동일 채널별 채널 신호에서 HD 모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동일 채널에 6-1(SD), 6-2(UD), 6-3(3D)와 같은 채널 신호가 스캔된 경우에는 6번에 대한 채널 신호가 모두 숨김 처리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404단계로 진행하여 HD 모드보다 한 단계 낮은 하위 모드, 혹은 한 단계 높은 상위 모드로 설정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즉, 이러한 채널에 대해서는 제어부(208)에서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알리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모드가 없는 경우, 한 단계 하위 모드 혹은 한 단계 상위 모드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에 406단계에서는 선별된 동일한 채널 신호들 중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화질모드의 채널만 검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토대로 전체 채널 스캔을 수행하고, 채널 스캔 종료 후, 동일 채널 신호들을 선별하여, 동일 채널 신호들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화질 모드의 채널들만을 사용자의 채널 검색 시 제공하는 것으로서, 동일 채널에 사용자 선택 모드의 방송이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 방송에 대한 디코딩 에러율을 토대로 하나의 채널만을 선택하고, 동일 채널 신호들 중에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의 방송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 선택 모드보다 한 단계 아래의 화질 모드를 선택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다수개의 송신기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동일채널 상에서 사용자의 선택 모드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일채널 상에서 사용자의 선택 모드가 없는 경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0 : 디지털 방송 수신기 202 : RF 수신부
204 : 채널 검색기 206 : 디코더
208 : 제어부 210 :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토대로 전체 채널 스캔을 수행하는 채널 검색기와,
    상기 전체 채널 스캔 종료 후, 스캐닝된 채널 신호들에 대한 디코딩 테스트를 수행하여 디코딩 테스트 결과를 출력하는 디코더와,
    상기 스캐닝된 채널 신호들 중에서 동일 채널 신호들을 선별하고, 상기 디코딩 테스트 결과를 토대로 화질 모드를 설정하고, 특정 화질 모드로의 채널 설정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동일 채널 신호들 중에서 상기 특정 화질 모드의 채널 신호를 제외한 채널 신호를 채널 검색 시 안보이도록 처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일 채널 신호들 중에서 상기 특정 화질 모드의 채널 신호가 적어도 두 개 존재하는 경우, 각 채널 신호에 대한 에러 발생율이 가장 적은 채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러 발생율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의 차이인 경우, 상기 동일 채널에 대한 계전 강도를 비교하여 가장 높은 강도를 나타내는 채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전 강도는,
    주파수의 세기, 볼륨의 크기, 잡음률 중 적어도 하나인 것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장치.
  5.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토대로 전체 채널 스캔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전체 채널 스캔 종료 후, 동일 채널 신호들을 선별하는 과정과,
    상기 동일 채널 신호들에 대한 디코딩 테스트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디코딩 테스트를 통하여 화질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특정 화질 모드로의 채널 설정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동일 채널 신호들 중에서 상기 특정 화질 모드의 채널 신호를 제외한 채널 신호를 채널 검색 시 안보이 도록 숨김 처리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 방법은,
    상기 동일 채널 신호들 중에서 상기 특정 화질 모드의 채널 신호가 적어도 두 개 존재하는 경우, 각 채널 신호에 대한 에러 발생율이 가장 적은 채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선택 방법은,
    상기 에러 발생율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의 차이인 경우, 상기 동일 채널에 대한 계전 강도를 비교하여 가장 높은 강도를 나타내는 채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계전 강도는,
    주파수의 세기, 볼륨의 크기, 잡음률 중 적어도 하나인 것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방법.
KR1020090025274A 2009-03-25 2009-03-25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100107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274A KR20100107141A (ko) 2009-03-25 2009-03-25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274A KR20100107141A (ko) 2009-03-25 2009-03-25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141A true KR20100107141A (ko) 2010-10-05

Family

ID=4312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274A KR20100107141A (ko) 2009-03-25 2009-03-25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71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1368B2 (en) 2013-09-25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756379B2 (en) 2014-10-02 2017-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82768A (ko) * 2018-12-31 2020-07-08 서기수 리모듈레이터 및 그의 구동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1368B2 (en) 2013-09-25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60600B2 (en) 2013-09-25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756379B2 (en) 2014-10-02 2017-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82768A (ko) * 2018-12-31 2020-07-08 서기수 리모듈레이터 및 그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231B1 (ko) Dmb 휴대단말기에 있어 복수의 채널 동시 다중화면시청 방법 및 장치
JP4095079B2 (ja) 無線端末機におけるディ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を受信する装置及び方法
US20040135929A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method and receiving circuit
US7697078B2 (en) Broadcasting receiver
US85726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nnel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GB2397711A (en) Broadcasting receiver
US8139158B2 (en) Television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KR20100107141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선택 장치 및 방법
US20120014479A1 (en)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KR20160021538A (ko) 채널 검색 방법
CN101248592A (zh) 分集调谐移动机顶盒
JP2006222766A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機及びその操作装置
KR100828894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자동 선택 방법
US20150195617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7235434A (ja) 地上波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662395B1 (ko) 영상기기 및 그의 채널 전환 방법
KR101325833B1 (ko) 교통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70064810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채널 튜닝 방법
JP4645510B2 (ja) 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装置
JP5372454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65710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자동 채널 설정 방법
KR100755837B1 (ko) 영상기기에서의 멀티 튜닝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멀티 튜닝 방법
KR100841562B1 (ko) 듀얼 튜너의 연결 상태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90064831A (ko) 자동 채널을 설정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709347B1 (ko) 고유lcn에 강전계채널을 자동할당하는 디지털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자동할당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