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461B1 - 향 발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향 발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461B1
KR100821461B1 KR1020070022799A KR20070022799A KR100821461B1 KR 100821461 B1 KR100821461 B1 KR 100821461B1 KR 1020070022799 A KR1020070022799 A KR 1020070022799A KR 20070022799 A KR20070022799 A KR 20070022799A KR 100821461 B1 KR100821461 B1 KR 100821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ntainer
fragrance
breathable
breathabl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보
Original Assignee
(주) 보성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보성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 보성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070022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461B1/ko
Priority to TW096114832A priority patent/TW200836977A/zh
Priority to JP2007127832A priority patent/JP5173253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rapper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Bag Fram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향 발산 홈을 형성한 향 발산 용기에 관한 것이다. 향 발산 용기는 통기성이 없는 필름과 통기성이 있는 필름을 적층 시켜 구성한 적층 필름으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상단부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통기성이 없는 필름을 관통하고 저면이 통기성이 있는 필름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미세한 홈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를 이용하여 용기를 구성하는 측벽에 홈을 형성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용기 내부의 향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였으므로 향 발산 용기를 저렴한 가격으로 형성할 수 있고 부직포 등과 같은 기능성 시이트를 부착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직포의 이탈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며, 레이저로 향 발산 홈을 형성하므로 향 발산 홈을 다양한 무늬로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어서 상품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향 발산 용기 및 그 제조방법{Vessel diffusing aromatic od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향 발산 홈이 형성된 향 발산 용기의 정면도로서, 원형 내부의 확대도는 향 발산 홈을 문자로 형성한 것을 보여 준다.
도 2는 2겹지로 형성한 향 발산 용기의 향 발산 홈을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 3은 3겹지로 형성한 향 발산 용기의 향 발산 홈을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내용물의 향기를 외부로 발산시키는 용기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특히 적층 필름으로 구성된 용기에서 소비자가 용기를 개봉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의 향기를 확인한 후에 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샴푸, 린스 및 섬유 유연제와 같은 액체 상품을 수용하는 용기는 내압 테스트나 낙하 테스트와 같은 안전성 시험을 거쳐 만들어지고 있다. 특히 낙하 테스트의 경우는 내용물의 용량 등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1 내지 1.5m 높이에서 낙하시켰을 때 용기가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특히 내용물의 인쇄성을 향상시키고 필름의 파열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강인하고 인쇄성이 우수한 PET 필름이나 나일론 필름을 LLDPE 필름의 표면에 적층 시킨 2겹으로 구성된 2층 구조나 3겹으로 구성된 3층 구조의 적층 필름이 포장용기로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상품들의 포장 용기는 내용물을 사용하는 중에 사용하다 남은 부분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구부에 파스너를 부착하여 개봉한 후에 재차 밀봉할 수 있도록 되었으나 최초의 개봉 전에는 개구부의 파스너 외측에서 완전히 융착시켜 밀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개구부가 완전히 밀봉된 용기에서는 상품이 갖고 있는 고유의 향기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으므로 내부의 향을 직접 소비자가 확인할 수 없어서 용기 표면에 표시된 향의 종류만으로 상품을 구입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용기 표면에 내용물의 향기를 표기하는 것은 향기의 종류가 다양하므로 용기의 표면에 표시된 향의 이름만으로 구체적으로 어떠한 향기인지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설사 용기의 표면에 표시된 향의 종류를 안다 하여도 상품 고유의 향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소비자들은 원하지 않는 향을 갖는 상품을 구입하는 경우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상품 포장 용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기공을 갖는 용기가 개발되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20-0225921호(2001. 06. 01 공고)에는 상품 보관 용기의 상측 단부에 통공을 형성하고 통공의 내측면에 수분의 통과가 방지되면서 향을 통과시키는 별도의 기능성 부직포를 부착하여서 내용물의 향기를 발산시키도록 구성된 리필 용기가 공개되었다.
전술한 용기의 문제점은 별도의 기능성 부직포를 부착하는데 따른 인건비가 요구되므로 용기 가격이 상승 되고 별도의 기능성 부직포가 완전히 부착되지 않았을 때는 내용물이 유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통공의 형태가 한정되므로 향 발산 부분을 정밀한 문양으로 만들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 향 발산 용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기존의 액체 상품 용기에 사용하는 기존의 적층 필름에 약간의 가공을 가하면 외부의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면서 내부의 향이 외부로 발산되는 용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기성이 있는 필름의 표면에 통기성이 없는 필름을 적층 시켜서 구성한 적층 필름으로 구성된 액체상품 포장용기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통기성이 없는 필름을 관통하는 미세한 홈을 형성하여 부직포를 부착하는 가공을 하지 않고도 방수성이 있으면서 용기 내부의 향이 외부로 발산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전술한 형태의 향 발산 미세 홈을 갖는 갖는 포장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기성이 없는 필름 표면에 통기성이 있는 필름을 적층시켜 구성한 적층 필름으로 구성되고 외표면이 통기성이 없는 필름으로 구성되는 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상단부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통기성이 없는 필름을 관통 하는 미세한 홈을 형성한 향 발산 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전술한 형태의 향이 발산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통기성이 없는 필름과 통기성이 있는 필름을 적층 시켜 구성한 적층 필름으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상단부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통기성이 없는 필름을 관통하고 저면이 통기성이 있는 필름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미세한 홈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 용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형태의 향 발산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도 관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향 발산 용기는 적층 필름의 개구부를 제외한 세 주연부를 융착시켜 밀봉시키고 상단 개구부는 향 발산 내용물을 용기 내부에 주입한 다음 융착시켜 밀봉시킬 수도 있고 개구부에 파스너를 부착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개구부에 파스너를 부착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내부에 내용물을 담은 다음 파스너를 닫고 파스너의 외측에서 융착시켜 밀봉되도록 하여야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적층 필름은 통기성이 있는 필름과 통기성이 없는 필름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 시키거나 또는 드라이 라미네이팅 방법으로 적층 시켜 제조할 수도 있고 압출 방법에 의하여 적층 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적층 필름은 액체 상품 포장에 사용하는 통상적인 필름일 수도 있다. 용기를 제조할 때는 통기성이 없는 필름이 용기의 외표면에 위치하고 통기성이 있는 필름은 용기의 내면에 위치하도록 용기를 형성하거나 또는 통기성이 없는 필름이 용기의 내면에 위치하고 통기성이 있는 필름이 용기의 외표면에 위치하도록 용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통기성이 있는 필름, 특히 LLDPE 필름의 경우는 인쇄성이 통기성이 없는 필름에 비교하여 떨어지므로 인쇄성이 우수한 통기성이 없는 필름이 용기의 외표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성이 없는 필름으로는 PET 필름이나 나일론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외의 다른 종류의 필름도 공기 투과도가 없는 필름이면 어떠한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통기성이 있어서 향은 투과하면서도 방수성이 있어서 액체 성분은 투과하지 못하는 필름의 대표적인 필름으로는 LLDPE 필름이 있다. 그러나 그 외에도 전술한 특성을 갖는 필름이면 어떠한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적층 필름은 PET 필름이나 나일론 필름은 기밀성이 있어서 액체는 물론이고 공기 투과도가 낮아서 공기와 같은 향을 외부로 발산시키지 못한다. 그리고 LLDPE 필름은 액체 투과성은 낮아서 액체 성분에 대한 밀봉성은 우수한 반면에 기밀성은 낮아서 향과 같은 기체는 통과시키도록 되었다.
전술한 적층 필름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통기성이 있는 홈을 형성할 때는 홈이 통기성이 없는 필름을 관통하여 통기성이 있는 필름의 표면에 도달하도록 형성한다. 이때 사용하는 레이저의 강도는 통기성이 없는 필름의 강도에 따라서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통기성이 없는 필름으로 PET 필름이나 나일론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약 20~40 와트의 레이저 강도가 요구된다.
통기성이 없는 필름과 통기성이 있는 필름이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된 경우에 는 접착제 부분까지 관통하도록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접착제 성분이 통기성이 있는 경우에는 접착제 성분을 관통하지 않도록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홈은 다수의 미세한 홈을 미세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미세한 홈은 레이저의 특성을 이용하여 미세한 홈들이 특수한 문양, 예를 들면 회사의 로고 또는 장식용 문양을 나타내도록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를 이용하여 특수한 문양의 미세한 홈을 형성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홈 부분을 절취하여 통공을 형성하는 종래의 향 발산 용기의 제조방법에서는 달성할 수 없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향 발산 홈들이 유색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향 발산 홈 부분을 장식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향 발산 용기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향 발산 용기는 나일론 필름이나 PET 필름에 LLDPE 필름을 적층 시킨 2겹지로 형성된 필름으로 제조하거나 또는 나일론 필름과 PET적층 필름에 LLDPE 필름을 적층 시킨 3겹지로 구성된 필름으로 형성되었다.
도 1은 향 투과성이 없는 필름이 용기의 표면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본 발명에 의한 향 발산 홈을 갖는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용기(10)의 상단부에 G 형상의 미세한 홈(12)들이 다수 형성되었다.
도2는 향 발산 용기(10)에 형성된 홈 부분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공기 투과성이 없는 필름인 PET필름(14)이 용기(10)의 표면에 위치하고 통기성이 있는 필름인 LLDPE 필름(16)이 용기의 내면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었다. PET 필름(14)은 12㎛의 두께를 갖고 있으며, LLDPE 필름(16)은 165㎛의 두께를 갖고 있다. 홈(12)은 통기성이 없는 필름에 표면층의 PET 필름(14)에 형성되었으며,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PET 필름(14)을 관통하여 LLDPE 필름(16)의 표면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었다.
도3은 PET 필름(20)에 나일론 필름(18)을 적층 시킨 적층 필름을 LLDPE 필름(22)에 적층 시켜 구성한 3겹지로 형성된 용기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3에 따르면 홈(24)은 통기성이 없는 필름인 PET 필름(20)과 나일론 필름(18)을 관통하여 통기성이 있는 필름인 LLDPE 필름(22)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었다. 도3의 적층 필름은 PET 필름이 12㎛의 두께를 갖고 있고 나일론 필름은 15㎛의 두께를 갖고 있으며 LLDPE 필름은 150㎛의 두께를 갖고 있다.
전술한 도2와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홈(12, 24)의 저면은 각각 LLDPE 필름(16, 22)의 표면으로 구성되도록 되었다.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기성이 있으면서 방수성이 있는 필름인 LLDPE 필름(16,22)이 대기중에 노출되므로 용기 내부의 향은 외부로 발산되지만 용기 내부의 수분은 용기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실시예]
실시예 1
12㎛ 두께의 PET 필름과 165㎛ 두께의 LLDPE 필름으로 구성된 총 177㎛ 두께의 2겹 적층 필름으로 PET 필름이 외표면을 형성하는 액체 상품 용기를 형성하고 용기의 상단부에 일본국 썬크스사의 레이저 기계인 LP430을 사용하여 30 와트의 출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용기의 표면에 홈을 형성하되 홈이 저면이 LLDPE 필름의 표면에 도달하도록 홈을 형성하였다. 용기의 내부에 향이 있는 액체 상품인 샴푸를 주입하고 밀봉하였다. 사람이 직접 냄새를 테스트한 결과 홈이 형성된 부분에서 액체 샴푸의 향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15㎛ 두께의 나일론 필름과 165㎛ 두께의 LLDPE 필름으로 구성된 2겹 적층 필름으로 나일론 필름이 외표면을 형성하는 액체 상품 용기를 형성하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용기의 표면에 홈을 형성하되 홈이 저면이 LLDPE 필름의 표면에 도달하도록 홈을 형성하였다. 용기의 내부에 향이 있는 액체 상품인 샴푸를 주입하고 밀봉하였다. 사람이 직접 냄새를 테스트한 결과 홈이 형성된 부분에서 액체 샴푸의 향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12㎛ 두께의 PET 필름과 15㎛ 두께의 나일론 필름 및 150㎛의 LLDPE 필름으로 구성된 3겹 적층 필름으로 PET 필름이 외표면에 위치하는 액체 상품 용기를 형성하고 용기의 상단부에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홈을 형성하되 홈이 저면이 LLDPE 필름의 표면에 도달하도록 홈을 형성하였다. 용기의 내부에 향이 있는 액체 상품인 샴푸를 주입하고 밀봉하였다. 사람이 직접 냄새를 테스트한 결과 홈이 형성된 부분에서 액체 샴푸의 향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를 형성하는 적층 필름 자체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홈을 형성하였으므로 향 발산 통공을 필름 전체가 관통되도록 형성하여 특수한 기능의 부직포를 부착하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부직포의 이탈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직포를 부착하는데 따른 수공 작업을 하지 않고 레이저로 포대에 홈을 형성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용기 내부의 향이 외부로 발산되므로 용기 제작에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를 이용하여 홈을 형성하므로 향 발산공을 임의의 형태로 정밀하게 형성함으로 로고나 문양 그림과 같은 것을 삽입할 수 있어서 용기의 미장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통기성이 없는 필름과 통기성이 있는 필름을 적층 시켜 구성한 적층 필름으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상단부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통기성이 없는 필름을 관통하고 저면이 통기성이 있는 필름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미세한 홈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 용기.
  2. 제1항에서, 통기성이 없는 필름이 PET 필름, 나일론 필름 및 이들 필름을 적층시킨 적층 필름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 용기.
  3. 제1항에서, 통기성이 있는 필름이 LLDPE 필름임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 용기.
  4. 제1항에서, 통기성이 없는 필름이 용기의 외표면으로 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 용기.
  5. 통기성이 없는 필름과 통기성이 있는 필름을 적층 시켜 구성한 적층 필름으로 액체 상품 수용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용기의 측벽을 구성하는 적층 필름 중의 통기성이 없는 필름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통기성이 없는 필름을 관통하고 통기성이 있는 필름 표면까지 이르는 향 발산 홈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 용기의 제조방법.
KR1020070022799A 2007-03-08 2007-03-08 향 발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821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799A KR100821461B1 (ko) 2007-03-08 2007-03-08 향 발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TW096114832A TW200836977A (en) 2007-03-08 2007-04-26 Vessel diffusing aromatic od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07127832A JP5173253B2 (ja) 2007-03-08 2007-05-14 香の発散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799A KR100821461B1 (ko) 2007-03-08 2007-03-08 향 발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1461B1 true KR100821461B1 (ko) 2008-04-11

Family

ID=39534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799A KR100821461B1 (ko) 2007-03-08 2007-03-08 향 발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73253B2 (ko)
KR (1) KR100821461B1 (ko)
TW (1) TW2008369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371B1 (ko) 2011-10-18 2014-05-07 (주)일성테크팩 아로마 밸브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6120B (zh) * 2015-10-16 2018-03-23 惠州市杰普特电子技术有限公司 激光式儿童教学设备
EP3733552A4 (en) * 2017-12-25 2021-10-06 Toyo Seikan Co., Ltd. BAG AND BAG WITH LIQUID CONTENTS
JP2020200099A (ja) * 2019-06-13 2020-12-17 東洋製罐株式会社 パウチ
JP7318330B2 (ja) * 2019-06-13 2023-08-01 東洋製罐株式会社 内容液入りパウ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3205A2 (en) 2004-08-23 2006-03-02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Plastic bag for fine powde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102Y2 (ko) * 1980-06-26 1988-04-01
JPH0329751A (ja) * 1989-06-16 1991-02-07 Nippon Soda Co Ltd 脱酸素剤包装体
JPH0429840A (ja) * 1990-05-25 1992-01-31 Asahi Chem Ind Co Ltd 通気性包材及びその包体
JP3123567B2 (ja) * 1992-02-28 2001-01-1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品質保持剤包装体
JP2007126212A (ja) * 2005-10-03 2007-05-24 Okada Shigyo Kk 通気性を有する包装材料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3205A2 (en) 2004-08-23 2006-03-02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Plastic bag for fine powd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371B1 (ko) 2011-10-18 2014-05-07 (주)일성테크팩 아로마 밸브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36977A (en) 2008-09-16
JP5173253B2 (ja) 2013-04-03
JP2008222307A (ja)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461B1 (ko) 향 발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US20060291756A1 (en) Web materials with active agent for use in forming reclosable packages
US20060110080A1 (en) Packages and structures with selective dosing of active agent
US10351327B2 (en) Thermoformed container having a wicking layer interposed between differently-shaped opposed fa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060286356A1 (en) Web materials with active agent
WO2018121276A1 (zh) 复合包装材料、片材组和密封包装
US20200061228A1 (en) Fragrance sachet
ITMO20110301A1 (it) Diffusore di profumi, particolarmente per piccoli ambienti, e relativo procedimento di produzione.
TW201529108A (zh) 藥劑揮發袋及收納其之藥劑揮發容器
JP6895931B2 (ja) 香り提示装置
JP6245628B2 (ja) 香り付き包装袋
JP2009516624A (ja) 香気通路を有する板紙または厚紙製の容器
KR20170079695A (ko) 향패치 및 그 제조방법
JP3087001U (ja) 内容物の香気を発散する容器
CN111491871A (zh) 袋以及装入内容液的袋
JP2008265765A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包装体
CN208360952U (zh) 一种存储轿车除醛剂的装饰包装袋
WO2011109804A1 (en) Oxygenation valve for a package
JP3134112U (ja) 弁当容器材の構造
KR200237036Y1 (ko) 부직포와 합성수지를 이용한 포장봉투
JP2009292490A (ja) インスタント食品用容器のシート蓋
JP2020059544A (ja) 吸収性物品集合体及び吸収性物品集合体を製造する方法
KR20190000233U (ko) 방향제
KR20200039176A (ko) 한지의 느낌을 표현하는 마스크 팩 파우치
JPH0729821Y2 (ja) 水生動物用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