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235B1 -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235B1
KR100821235B1 KR1020070110777A KR20070110777A KR100821235B1 KR 100821235 B1 KR100821235 B1 KR 100821235B1 KR 1020070110777 A KR1020070110777 A KR 1020070110777A KR 20070110777 A KR20070110777 A KR 20070110777A KR 100821235 B1 KR100821235 B1 KR 100821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road
section
width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익
Original Assignee
인해엔지니어링(주)
(주)경보공영
이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53450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2123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인해엔지니어링(주), (주)경보공영, 이순익 filed Critical 인해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70110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235B1/ko
Priority to CNA2008101715627A priority patent/CN101424065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마찰계수가 낮은 구간, 배수성 향상이 필요한 구간, 결빙사고 위험이 높은 구간, 차량 이탈사고 위험이 높아 접지력 향상이 필요한 곡선구간, 조향성 향상이 요구되는 구간, 경사로 등 미끄럼 방지홈이 필요한 구간,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유도할 필요가 있는 구간, 교통소음 감소대책이 필요한 구간의 노면에 종방향과 횡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 그리고 배수홈, 감속 경고홈을 형성함으로서,
각각의 상황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규격화된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을 제공하여 작업공정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접지력을 향상시키고, 제동거리 단축 및 마찰계수 감소를 최소화하여, 운전자의 안전한 운행과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 배수홈, 감속 경고홈

Description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THE METHOD OF GROOVING}
본 발명은 노면마찰계수가 낮은 구간, 배수성 향상이 필요한 구간, 결빙사고 위험이 높은 구간, 차량 이탈사고 위험이 높아 접지력 향상이 필요한 곡선구간, 조향성 향상이 요구되는 구간, 경사로 등 미끄럼 방지홈이 필요한 구간,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유도할 필요가 있는 구간, 교통소음 감소대책이 필요한 구간의 노면에 종방향과 횡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 그리고 배수홈, 감속 경고홈을 형성한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끄럼 방지, 곡선도로 이탈사고 방지, 결빙방지, 수막현상 방지, 감속 경고 및 소음대책을 위한 수단으로서,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 시공을 한다.
특히, 사고 다발 구간 및 사고 발생 위험구간에 대하여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시공 공법을 적용함으로써 교통사고 위험성을 최소화 시킬 수가 있다.
하지만, 기존의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은 노면마찰계수가 낮은 구간, 배수성 향상이 필요한 구간, 결빙사고 위험이 높은 구간, 차량 이탈사고 위험이 높아 접지력 향상이 필요한 곡선구간, 조향성 향상이 요구되는 구간, 경사로 등 미끄럼 방지홈이 필요한 구간,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유도할 필요가 있는 구간, 교통소음 감소대책이 필요한 구간에 관계없이 그 동안에는 설계자 임의로 노면 미끄럼 방지홈을 시공하였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상황별 각 구간의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을 잘 몰라, 작업공정기간이 길어지고, 도로 노면에 미끄럼 방지홈 시공을 하여도, 효과가 없거나, 노면 배수가 불량하여 우천시 물 튀김 현상이나 우천 종료 후에도 노면이 장시간 습윤한 상태로 있고, 중(重)차량의 통행 빈도가 높은 구간에는 그루빙 홈의 형상이 쉽게 마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장마철 폭우 및 추운 겨울철 결빙에 의해 미끄럼 방지용 바닥 포장재가 쉽게 마모, 탈락되어 노면의 미끄럼 마찰계수가 낮아져 교통사고 위험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노면마찰계수가 낮은 구간, 배수성 향상이 필요한 구간, 결빙사고 위험이 높은 구간, 차량 이탈사고 위험이 높아 접지력 향상이 필요한 곡선구간, 조향성 향상이 요구되는 구간, 경사로 등 미끄럼 방지홈이 필요한 구간,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유도할 필요가 있는 구간, 교통소음 감소대책이 필요한 구간에 따라, 각각의 상황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규격화된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을 제공하여 작업공정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접지력을 향상시키고, 제동거리 단축 및 마찰계수 감소를 최소화하여, 운전자의 안전한 운행과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은,
구동부, 커터기, 발전기, 폐기물 수집부, 컨트롤 박스부로 구성된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 장치를 통해 배수성 향상 및 결빙억제가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S100); 접지력 향상 및 조향성 향상이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S200); 도로의 곡선부 그루빙 시공 모드(S300); 터널 진출입 입구, 교차로, 횡단보도, 철도 건널목의 접근부에 설치되어 제동거리 단축이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S400); 내리막 경사 구간의 그루빙 시공 모드(S50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 도로 표면에 횡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과,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 그리고, 배수홈과, 감속경고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형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상기 배수성 향상 및 결빙억제가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S100)는 배수성 향상 및 결빙억제가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S100)는 도로의 종단경사가 2% 미만의 도로일 경우에는 횡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0.7 : 6.7과, 1 : 0.4 : 4, 그리고 1 : 0.4 : 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5~10mm이고, 깊이가 2~7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20~70mm로 형성되는 단계(S110)와,
종단경사가 2% 이상의 도로일 경우에는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5.6와, 1 : 0.7 : 3.8, 그리고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5~10mm이고, 깊이가 3.5~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19~57mm로 형성되고,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는 단계(S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력 향상 및 조향성 향상이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S200)는 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5.6와, 1 : 0.7 : 3.8, 그리고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5~10mm이고, 깊이가 3.5~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19~57mm로 하여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을 형성하는 제1단계(S210)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하여 횡단 배수홈을 형성하는 제2단계(S220)와,
도로의 선형성이 좋지 않아 급감속이 요구되는 구간 진입부에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주기 위하여 폭과 깊이 비율이 1 : 0.17와, 1 : 0.13, 그리고 1 : 0.1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60~100mm이고, 깊이가 6~17mm로 하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30cm~3m가 되도록 감속 경고홈을 형성하는 제3단계(S2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로의 곡선부 그루빙 시공 모드(S300)는 원곡선 도로 구간 진입 전 완화 구간이 없는 경우에 진입 전송에 차량의 주행속도(km/hr)에 따라 2.5초 주행 거리를 40~75m로 하고, 1초간의 주행거리인 횡방향 이격식 감속 경고 구간의 길이가 17~31m로 하여 감속 경고구간을 형성하는 단계(S310)와,
원곡선 도로 구간 진입 전 완화 구간이 있는 경우에 완화구간과 원곡선 구간을 연결하고, 그 완화구간과 원곡선 구간이 연결된 전체 구간에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5.6와, 1 : 0.7 : 3.8, 그리고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5~10mm이고, 깊이가 3.5~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19~57mm로 하여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을 형성되고,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하여 횡단 배수홈을 형성하는 단계(S3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널 진출입 입구, 교차로, 횡단보도, 철도 건널목의 접근부에 설치되어 제동거리 단축이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S400)는 제동구간 전방에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운전자의 인지 및 반응시간을 고려하여 차량의 주행속도(km/hr)에 따라 제동거리 2.5초의 주행거리 지점부터 시작하여 1초간의 경고구간을 17~31m로 한 횡방향 이격식으로 감속 경고구간을 형성하는 단계(S410)와;
경고구간(t=1)에서 위험을 인지한 운전자가 반응시간(t=1.5)을 거쳐 주행 차량이 제동행위를 하도록 횡방향 경고 홈의 폭을 1m 시공하고, 홈의 간격을 3m 간격으로 설치하는 1:3 방식과,
횡방향 경고 홈의 폭을 3m 시공하고, 홈의 간격을 6m 간격으로 설치하는 3:6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제동구간을 형성하는 단계(S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리막 경사 구간의 그루빙 시공 모드(S500)는 5% 이상의 내리막 구배가 90~150m인 구간의 전체길이(경고구간길이 + 제동구간길이)가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5.6와, 1 : 0.7 : 3.8, 그리고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5~10mm이고, 깊이가 3.5~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19~57mm로 하여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으로 형성되는 제1단계(S510)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하여 횡단 배수홈이 형성되는 제2단계(S5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노면마찰계수가 낮은 구간, 배수성 향상이 필요한 구간, 결빙사고 위험이 높은 구간, 차량 이탈사고 위험이 높아 접지력 향상이 필요한 곡선구간, 조향성 향상이 요구되는 구간, 경사로 등 미끄럼 방지홈이 필요한 구간,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유도할 필요가 있는 구간, 교통소음 감소대책이 필요한 구간에 따라, 각각의 상황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규격화된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을 제공하여 작업공정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접지력을 향상시키고, 제동거리 단축 및 마찰계수 감소를 최소화하여, 운전자의 안전한 운행과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은 노면마찰계수 가 낮은 구간, 배수성 향상이 필요한 구간, 결빙사고 위험이 높은 구간, 차량 이탈사고 위험이 높아 접지력 향상이 필요한 곡선구간, 조향성 향상이 요구되는 구간, 경사로 등 미끄럼 방지홈이 필요한 구간,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유도할 필요가 있는 구간, 교통소음 감소대책이 필요한 구간에 각각 상황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규격화된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노면마찰계수가 낮은 구간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에서 정하는 기준조건에 미달하는 구간을 말한다.
상기 배수성 향상이 필요한 구간은 젖은 노면의 사고가 발생 또는 예상되는 구간, 노면배수가 불량하여 우천시 물 튀김 현상이 심한 구간, 우천 종료 후에도 노면이 장시간 습윤한 구간을 말한다.
상기 결빙사고 위험 구간은 동계 결빙사고가 발생 또는 우려되는 구간, 제설작업 후 주행차로에 물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구간, 해무 등으로 인하여 동계 노면 결빙이 잦은 해안도로를 말한다.
상기 차량 이탈사고 위험성이 높아 접지력 향상이 필요한 곡선구간은 고속주행도로 및 교량의 진출입 램프 구간, 선형 연속성이 좋지 않아 위험 구간 진입 전/후의 주행속도 차이가 많은 곳을 말한다.
상기 조향성 향상이 요구되는 구간은 산간도로, 터널 입출구, 해안도로, 표고가 높은 교량 및 고가도로, 차선변경의 억제가 필요한 교량 구간 및 터널 내부를 말한다.
상기 경사로 등 미끄럼 방지홈이 필요한 구간은 5% 이상의 내리막 종단 경사 구간이 100m 이상인 구간, 설계속도 60km/hr 이상의 도로에서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 앞에서의 제동거리 단축이 요구되는 구간을 말한다.
상기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유도할 필요가 있는 구간은 횡단보도 진입전, 학교 앞, 급커브 구간 진입전, 요금정산소 앞, 고속주행 직선구간으로 졸음운전이 우려되는 구간을 말한다.
상기 교통소음 감소대책이 필요한 구간은 교통소음 중 고속주행에 따른 소음 감소 대책이 필요한 구간, 콘크리트 포장 도로에서 방음벽 설치만으로 충분한 소음대책이 될 수 없는 구간, 및 미관 또는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기준치보다 낮은 방음벽 시공을 해야 하는 경우를 말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 방법의 적용 형식에 관해 설명한다.
① 기준치 미끄럼 마찰계수에 미달되는 구간
이는 도로의 기하구조에 따라 결정하되, 횡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시공 방법으로 미끄럼 마찰계수의 증가 필요 전체 구간에 시공한다.
그리고, 고속주행 지역으로 소음감소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시공방법을 적용한다.
② 배수성 향상 및 결빙억제가 필요한 구간
이는 도로의 기하구조(종단경사와 횡단경사)에 따라 배수성능의 극대화를 고려하여 종방향과 횡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 시공 방법을 결정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단경사가 2% 미만의 도로에 대하여는 횡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 시공 방법을 설치하고, 2% 이상의 종단경사 구간에 대하여는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 시공방법과 횡단 배수를 촉진하기 위한 배수홈을 복합적으로 적용한다.
한편, 종단경사가 2% 미만의 구간인 경우에는 급커브 구간 등 조향성 향상 및 접지력 향상이 필요한 구간 및 소음대책이 요구되는 구간에는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시공 방법을 설치하고, 종단 경사도에 따라 적절한 간격의 횡단 배수홈을 시공한다.
③ 접지력 향상 및 조향성 향상이 요구되는 곡선구간
이는 전체 위험구간에 대하여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 시공 방법으로 시공한다.
그리고, 도로의 기하구조에 알맞게 배수홈을 설치하고, 도로의 선형 연속성이 좋지 않아, 급감속이 요구되는 구간 진입부에는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주기 위하여 횡방향 대폭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 시공방법으로 구성된 감속 경고구간을 설치한다.
이러한 경고구간의 설치는 위험구간(원곡선 구간) 진입 전 완화구간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구분하여 적용한다.
<완화구간이 없는 경우>
이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곡선 위험구간 진입 전방에 최소한 2.5초 주행 거리를 두고 경고구간을 설치하며, 경고구간의 길이는 1초간의 주행거리로 한다.
이를 표 1과 같이, 완화구간이 없는 곡선구간의 그루빙 배열 기준으로 나타낼 수가 있다.
상위 85% 백분율 실제 주행속도(km/hr) 2.5초 주행거리 (s) 감속경고구간 (이격식 설치)(d)
60 40 17
70 50 20
80 55 23
90 60 25
100 70 28
110 75 31
<완화구간이 있는 경우>
이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완화구간과 원곡선 구간을 연결하여 전체 구간에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 시공 방법을 적용한다.
④ 제동거리 단축이 필요한 구간
이는 교차로, 횡단보도, 철도 건널목 등의 접근부에 설치함으로서 주행차량의 급제동시 해당 위험구간 이전에 충분히 정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 마찰계수의 증가를 위한 횡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시공 방법을 설치하고, 위험구간 접근부 전방으로 상위 85% 실제주행속도를 기준으로 2.5초 주행거리 이전부터 시작하여 약 1초간의 주행거리 구간을 감속 경고 구간으로 설치한다.
상기 경고구간의 설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구간 전방에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적용하며, 운전자의 인지 및 반응 시간을 고려하여 제동거리 전방 2.5초의 주행거리 지점부터 시작하여 1초간의 경고구간을 횡방향 이격식으로 설치한다.
상기 제동구간의 설치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고구간(t=1초)에서 위험을 인지한 운전자가 반응시간(t=1.5초)을 거쳐 자동차의 제동행위를 하는 구간에 설치하는 것으로, 이 구간의 최소 길이는 도로의 종단 경사률 및 실제 주행속도를 고려하여 지정구간 내에서 자동차가 완전하게 정지할 수 있는 구간으로 하여 표 2와 같이 설정한다.
내리막구배(%) 주행속도(km/hr) 0 2 4 6 8
40 20 20 20 20 25
60 45 50 55 55 60
80 85 90 100 105 115
100 140 150 160 175 190
⑤ 내리막 경사 구간
이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5% 이상의 내리막 구배가 100m이상인 구간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 시공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좋으며, 최소 구간을 적용하기 위하여 5% 이상의 종단 경사가 시작되는 지점으로부터 약 100m 내려간 지점에서 내리막 구배가 끝나는 지점까지 적용한다.
이때 도로의 배수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적절한 간격으로 횡단 배수홈을 동시에 설치한다.
⑥ 경고 및 졸음운전 방지 구간
이는 횡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시공 방법을 통해 차량의 진동과 소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위험구간 진입에 대한 경고, 졸음운전 방지, 요금 정산소 앞 감속경고 효과 등을 거둘 수가 있다.
경고홈의 규격은 횡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시공 방법 홈의 폭을 1,000 m/m 기준으로 설치하며 도로특성(교통특성, 주변 여건, 포장 특성)을 고려하여, 횡그루빙의 규격과 배열을 합리적으로 결정한다.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크게 하기 위하여 진동에 의한 운전편의성 저하 및 차량 내/외부의 소음발생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양면성을 적절하게 고려하여 경고홈의 규격과 설치구간의 길이, 배열 등을 결정한다.
이와 관련하여 교통소음에 대한 민원문제 등이 없고 확실한 감속경고 효과가 필요한 경우, 경고홈의 폭은 1,000mm, 깊이 6~10mm 기준으로 설계한다.
그리고, 운전자에게 감속경고 효과를 주면서도 소음 감소가 필요한 경우, 경고 홈의 폭은 600~800 mm, 깊이 4~8 mm 기준으로 설계한다.
그리고, 경고구간의 설계는 배열 위치 및 설치길이 기준에 따라 주행차로 전폭에 걸쳐 설치한다.
경고구간의 설계는 광폭 횡그루빙 시공방법과 소폭 횡그루빙 시공방법으로 나눈다.
상기 광폭 횡그루빙 시공방법은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고구간의 광폭 그루빙 배열을 분산 배열 방식 또는 집적 배열 방식으로 하여 적용한다.
일예로, 분산 배열 방식은 설치길이를 100cm로 하고, 집적 배열 방식은 간격(S)를 30cm로 하고, 설치길이를 150cm로 한다.
상기 소형 횡그루빙 시공방법은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고 운전편의 및 소음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은 경우, 폭 9mm, 깊이 6mm, 간격 60mm 규격의 횡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 시공방법을 이격식으로 설치한다. 이격식 적용시 주행속도에 따라 70km/hr 이내의 경우 1:3 방식으로 적용하고, 80km/hr 이상의 고속주행 도로의 경우 3:6 방식으로 적용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 장치(=그루빙 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이는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 장치는 구동부(100), 커터기(200), 발전기(400), 폐기물 수집부(500), 컨트롤 박스부(60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100)는 전단부와 후단부에 전동바퀴가 형성되어 포장도로의 표면으로부터 2~15cm 높이에서 장방향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를 지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곳으로, 이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좌우로 장착되는 한쌍의 전동바퀴(110)와, 몸체의 전단부 및 후단부 일측에 DC 150와트 출력의 전동바퀴 회전용 구동 모터(120)가 형성되어 구동기어(130)와 체인로프(140) 그리고 종동기어(150)를 통해 정·역방향 회전력으로 전동바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전동바퀴 회전용 구동 모터(120)는 컨트롤 박스부의 제어를 통해 이동 방향 및 속도를 제어받는다.
여기서, 전동바퀴 회전용 구동 모터(120)는 스테핑모터로 이루어져 구동부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하여 노면 미끄럼 방지홈 도로 표면에 홈을 파는 커터기의 동작이 전동바퀴 회전용 구동모터와 동일하게 유지하며 시공할 수 있어, 횡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 및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을 시공시, 폭,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을 규칙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즉, 컨트롤박스부(600)에서 전동바퀴 회전용 구동 모터 스위치가 온(ON)되면, 전동바퀴 회전용 구동 모터(120)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전동바퀴 회전용 구동 모터(120)의 정·역방향 회전력은 전동바퀴 회전용 구동 모터 일측에 형성된 구동기어(130)를 통해 체인로프(140)로 전달된다. 그 체인로프(140)로 전달된 전동바퀴 회전용 구동 모터(120)의 정·역방향 회전력은 전동바퀴(110)의 종동기어(150)로 전달되어 전동바퀴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서,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 도로 표면 위에서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동바퀴 회전용 구동모터(120), 구동기어(130), 체인로프(140), 종동기어(150), 전동바퀴(110)로 구성된 구동부(100)를 그루빙 장치의 몸체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구동부(100)는 울퉁불퉁한 바닥면과의 접지력이 좋게 하기 위하여 전동바퀴 일측에 쇼바장치를 구성할 수가 있다.
상기 커터기(200)는 원형 블레이드로 이루어져 도로 표면에 노면 미끄럼 방지홈을 형성하는 곳으로, 이는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복수개의 원형 블레이드가 부착되어 구성되며, 구동부의 전동바퀴 일측에 구성되어 컨트롤박스부의 제어를 통해 도로 표면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커터기는 일측에 DC 80~120와트 출력의 커터기 회전용 구동 모터가 형성되어 구동기어와 체인로프 그리고 종동기어를 통해 정·역방향 회전력으로 커터기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박스부의 제어를 통해 구동부가 동작되고, 이어서 커터기 회전용 구동 모터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커터기 회전용 구동 모터의 정·역방향 회전력은 커터기 회전용 구동 모터 일측에 형성된 구동기어를 통해 체인로프로 전달된다. 그 체인로프로 전달된 커터기 회전용 구동 모터의 정·역방향 회전력은 커터기의 종동기어로 전달되어 커터기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서,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도로 표면 위에서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발전기(300)는 그루빙 장치의 중앙 또는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곳으로, 이는 정격 AC출력이 1.5~6.0KVA이고, 엔진 배기량이 100~250cc이며, 엔진 최대 출력이 5.2HP/3600rpm인 특성을 갖는다.
상기 폐기물 수집부(400)는 그루빙 장치의 전면 및 측면 일측에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커터기 작업 후 발생되는 폐기물을 흡입하여 수집하는 곳으로, 이는 커터기 일측에 구성되어 커터기 작업 후 발생되는 폐기물을 바로 흡입하도록 하는 흡입부(410)와, 그 흡입부(410)에서 흡입된 폐기물을 원통형 수집통(430)으로 이송시키는 이송파이프(420)와, 그 이송파이프(420)를 통해 흡입된 폐기물을 수집하는 원통형 수집통(4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박스부(500)는 각 기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하는 곳으로, 이는 마이컴 제어부(510)와, 키패드부(520), 디스플레이부(530)로 구성된다.
마이컴제어부(510)는 키패드부로부터 배수성 향상 및 결빙억제가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 접지력 향상 및 조향성 향상이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 교차로, 횡단보도, 철도 건널목의 접근부에 설치되어 제동거리 단축이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 내리막 경사 구간의 그루빙 시공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에 각 모드의 동작상태, 폭,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을 표시하며, 구동부와, 커터기, 폐기물 수집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키패드부(520)는 사용자에 의해 노면 미끄럼 방지홈의 폭,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을 직접 설정하거나, 셋팅된 각 상황별 그루빙 시공모드를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부(530)는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각 상황별 그루빙 시공모드의 동작상태, 폭,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 커터기, 발전기, 폐기물 수집부, 컨트롤 박스부로 구성된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 장치를 통해 배수성 향상 및 결빙억제가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 접지력 향상 및 조향성 향상이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 도로의 곡선부 그루빙 시공 모드; 교차로, 횡단보도, 철도 건널목의 접근부에 설치되어 제동거리 단축이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 내리막 경사 구간의 그루빙 시공 모드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배수성 향상 및 결빙억제가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에 관해 설명한다.
[일실시예 1]
이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의 종단경사가 2% 미만의 도로일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0.7 : 6.7로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5mm이고, 깊이가 4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34mm로 형성된다.
[일실시예 2]
종단경사가 2% 이상의 도로일 경우에는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노면 미끄럼 방지홈 )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0.7 : 3.8로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5mm이고, 깊이가 4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19mm로 형성되고,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5°이고, 홈의 폭이 30mm이고, 깊이가 1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m로 형성된다.
이렇게 도로의 종단경사가 2% 미만의 도로일 경우에 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0.7 : 6.7로 이루어진 횡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을 설치하고, 종단경사가 2%이상의 도로일 경우에 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0.7 : 3.8로 이루어진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과 횡단 배수를 촉진하기 위한 횡단 배수홈을 시공함으로서, 배수성이 향상되고, 결빙억제가 탁월한 효과가 있는 보다 정확하고 규격화된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접지력 향상 및 조향성 향상이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에 관해 설명한다.
[일실시예 3]
이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0.7 : 3.8로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8mm이고, 깊이가 6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30mm로 하여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을 형성하는 제1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이고, 홈의 폭이 40mm이고, 깊이가 2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25mm로 하여 횡단 배수홈을 형성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의 선형성이 좋지 않아 급감속이 요구되는 구간 진입부에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주기 위하여 폭과 깊이 비율이 1 : 0.17로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60mm이고, 깊이가 10mm로 하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1m가 되도록 감속 경고홈을 형성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감속 경고홈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 대폭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으로 구성된 감속 경고구간을 설치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처럼, 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0.7 : 3.8로 선택되어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이 형성되고, 도로의 기하구조에 따라 횡단배수홈이 형성되며, 도로의 선형 연속성이 좋지 않아 급감속이 요구되는 구간 진입부에 운전자의 경각심을 주기 위하여 감속 경고홈을 시공함으로서, 접지력 향상 및 조향성 향상이 탁월한 효과가 있는 보다 정확하고 규격화된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도로의 곡선부 그루빙 시공 모드에 관해 설명한다.
[일실시예 4]
이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곡선 도로 구간 진입 전 완화 구간이 없는 경우에 진입 전송에 차량의 주행속도(km/hr)에 따라 2.5초 주행 거리를 70m로 하고, 1초간의 주행거리인 감속 경고 구간의 길이가 25m로 하여 횡방향 이격식으로 감속 경고구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4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곡선 도로 구간 진입 전 완화 구간이 있는 경우에 완화구간과 원곡선 구간을 연결하고, 그 완화구간과 원곡선 구간이 연결된 전체 구간에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0.7 : 5.7로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10mm이고, 깊이가 7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57mm로 하여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을 형성된다.
그리고,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50°이고, 홈의 폭이 34mm이고, 깊이가 15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20m로 하여 횡단 배수홈을 형성한다.
이처럼, 원곡선 도로 구간 진입 전 완화 구간이 없는 경우에 차량의 주행속도(km/hr)에 따라 2.5초 주행 거리를 두고, 감속 경고 구간을 설치하며, 감속 경고구간의 길이는 1초간의 주행거리로 하고; 원곡선 도로 구간 진입 전 완화 구간이 있는 경우에 완화구간과 원곡선 구간을 연결하여 전체 구간에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을 형성하고,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을 형성함으로서, 도로의 곡선부 그루빙 시공시, 보다 정확하고 규격화된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교차로, 횡단보도, 철도 건널목의 접근부에 설치되어 제동거리 단축이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에 관해 설명한다.
[일실시예 5]
이는 교차로, 횡단보도, 철도 건널목 등과 같이 제동구간 전방에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운전자의 인지 및 반응시간을 고려하여 차량의 주행속도(km/hr)에 따라 제동거리 2.5초의 주행거리 지점부터 시작하여 1초간의 경고구간을 30m로 한 횡방향 이격식으로 감속 경고구간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속 경고구간(t=1)에서 위험을 인지한 운전자가 반응시간(t=1.5)을 거쳐 주행 차량이 제동행위를 하도록 횡방향 경고 홈의 폭을 1m 시공하고, 경고 홈의 간격을 3m 간격으로 설치하며, 감속경고구간의 설치길이를 20m로 하여 설치하는 1:3 방식으로 형성한다.
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 경고 홈의 폭을 3m로 시공하고, 홈의 간격을 6m로 설치하며, 감속경고구간의 설치길이를 30m로 하여 설치하는 3:6 방식으로 형성한다.
이처럼, 교차로, 횡단보도, 철도 건널목에 횡방향 이격식으로 경고구간이 형성되고, 1:3 방식 또는 3:6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경고홈을 형성함으로서, 제동거리 단축이 탁월한 효과가 있는 보다 정확하고 규격화된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내리막 경사 구간의 그루빙 시공 모드에 관해 설명한다.
[일실시예 6]
이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5% 이상의 내리막 구배가 100m 이상인 구간의 종단 내리막 도로가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종단 내리막 도로의 전체길이(경고구간길이 + 제동구간길이)가 110m로 한다.
이러한 5% 이상의 내리막 구배가 110mdls 구간의 전체길이에 대하여, 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5.6로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5mm이고, 깊이가 5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28mm로 한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최소 구간을 적용하기 위하여 5% 이상의 종단 경사가 시작되는 지점으로부터 100m 내려간 지점에서 내리막 구배가 끝나는 지점까지 적용한다.
이어서,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5°이고, 홈의 폭이 35mm이고, 깊이가 15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20m로 하여 횡단 배수홈이 형성된다.
이처럼, 내리막 경사 구간의 그루빙 시공시, 보다 정확하고 규격화된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단경사가 2% 미만의 도로에 대하여는 횡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 시공 방법을 설치하고, 2% 이상의 종단경사 구간에 대하여는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 시공방법과 횡단 배수를 촉진하기 위한 배수홈을 복합적으로 적용한 일실시예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구간 전방에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적용하며, 운전자의 인지 및 반응 시간을 고려하여 제동거리 전방 2.5초의 주행거리 지점부터 시작하여 1초간의 경고구간을 횡방향 이격식으로 설치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화구간이 없는 경우에 원곡선 위험구간 진입 전방에 최소한 2.5초 주행 거리를 두고 경고구간을 설치하며, 경고구간의 길이는 1초간의 주행거리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화구간과 원곡선 구간을 연결하여 전체 구간에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횡단배수홈이 시공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5% 이상의 내리막 구배가 100m이상인 구간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그루빙)+횡단배수홈이 시공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고구간(t=1초)에서 위험을 인지한 운전자가 반응시간(t=1.5초)을 거쳐 자동차의 제동행위를 하는 구간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고구간의 분산배열식 대폭 그루빙 배열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고구간의 집적배열식 대폭 그루빙 배열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고구간의 1:3방식 배열을 통한 이격식 그루빙 배열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고구간의 3:6방식 배열을 통한 이격식 그루빙 배열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및 횡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을 형성하기 위한 홈의 폭,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홈을 형성하기 위한 홈의 폭,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속 경고홈을 형성하기 위한 홈의 폭,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 장치(=그루빙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 장치(=그루빙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 중 배수성 향 상 및 결빙억제가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S100)를 도시한 순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 중 접지력 향상 및 조향성 향상이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S200)를 도시한 순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 중 도로의 곡선부 그루빙 시공 모드(S300)를 도시한 순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 중 교차로, 횡단보도, 철도 건널목의 접근부에 설치되어 제동거리 단축이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S400)를 도시한 순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 중 내리막 경사 구간의 그루빙 시공 모드(S500)를 도시한 순서도.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 구동부 200 : 커터기
400 : 발전기 500 : 폐기물 수집부
600 : 컨트롤 박스부

Claims (7)

  1. 구동부, 커터기, 발전기, 폐기물 수집부, 컨트롤 박스부로 구성된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 장치를 통해 배수성 향상 및 결빙억제가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S100); 접지력 향상 및 조향성 향상이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S200); 도로의 곡선부 그루빙 시공 모드(S300); 터널 진출입 입구, 교차로, 횡단보도, 철도 건널목의 접근부에 설치되어 제동거리 단축이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S400); 내리막 경사 구간의 그루빙 시공 모드(S50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 도로 표면에 횡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과,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 그리고, 배수홈과, 감속경고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배수성 향상 및 결빙억제가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S100)는 도로의 종단경사가 2% 미만의 도로일 경우에는 횡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0.7 : 6.7과, 1 : 0.4 : 4, 그리고 1 : 0.4 : 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5~10mm이고, 깊이가 2~7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20~70mm로 형성되는 단계(S110)와,
    종단경사가 2% 이상의 도로일 경우에는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5.6와, 1 : 0.7 : 3.8, 그리고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5~10mm이고, 깊이가 3.5~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19~57mm로 형성되고,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횡단 배수홈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형성되는 단계(S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 .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접지력 향상 및 조향성 향상이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S200)는 홈의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5.6와, 1 : 0.7 : 3.8, 그리고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5~10mm이고, 깊이가 3.5~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19~57mm로 하여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을 형성하는 제1단계(S210)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하여 횡단 배수홈을 형성하는 제2단계(S220)와,
    도로의 선형성이 좋지 않아 급감속이 요구되는 구간 진입부에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주기 위하여 폭과 깊이 비율이 1 : 0.17와, 1 : 0.13, 그리고 1 : 0.1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60~100mm이고, 깊이가 6~17mm로 하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30cm~3m가 되도록 감속 경고홈을 형성하는 제3단계(S2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도로의 곡선부 그루빙 시공 모드(S300)는 원곡선 도로 구간 진입 전 완화 구간이 없는 경우에 진입 전송에 차량의 주행속도(km/hr)에 따라 2.5초 주행 거리를 40~75m로 하고, 1초간의 주행거리인 횡방향 이격식 감속 경고 구간의 길이가 17~31m로 하여 감속 경고구간을 형성하는 단계(S310)와,
    원곡선 도로 구간 진입 전 완화 구간이 있는 경우에 완화구간과 원곡선 구간을 연결하고, 그 완화구간과 원곡선 구간이 연결된 전체 구간에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5.6와, 1 : 0.7 : 3.8, 그리고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5~10mm이고, 깊이가 3.5~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19~57mm로 하여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을 형성되고,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하여 횡단 배수홈을 형성하는 단계(S3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터널 진출입 입구, 교차로, 횡단보도, 철도 건널목의 접근부에 설치되어 제동거리 단축이 필요한 도로의 그루빙 시공 모드(S400)는 제동구간 전방에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운전자의 인지 및 반응시간을 고려하여 차량의 주행속도(km/hr)에 따라 제동거리 2.5초의 주행거리 지점부터 시작하여 1초간의 경고구간을 17~31m로 한 횡방향 이격식으로 감속 경고구간을 형성하는 단계(S410)와;
    경고구간(t=1)에서 위험을 인지한 운전자가 반응시간(t=1.5)을 거쳐 주행 차량이 제동행위를 하도록 횡방향 경고 홈의 폭을 1m 시공하고, 홈의 간격을 3m 간격으로 설치하는 1:3 방식과,
    횡방향 경고 홈의 폭을 3m 시공하고, 홈의 간격을 6m 간격으로 설치하는 3:6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제동구간을 형성하는 단계(S4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감속 경고구간은 소형 횡그루빙 시공방법으로 이루어져, 폭 5~10mm, 깊이 2~7mm, 간격 20~70mm 규격의 횡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을 이격식으로 설치하고, 이격식 적용시 주행속도에 따라 70km/hr 이내의 경우 1:3방식으로 적용하고, 80km/hr 이상의 고속주행 도로의 경우 3:6방식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내리막 경사 구간의 그루빙 시공 모드(S500)는 5% 이상의 내리막 구배가 90~150m인 구간의 전체길이(경고구간길이 + 제동구간길이)가 폭과 깊이, 인접한 홈의 간격 비율이 1 : 1 : 5.6와, 1 : 0.7 : 3.8, 그리고 1 : 0.7 : 5.7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홈의 폭이 5~10mm이고, 깊이가 3.5~10mm이며, 인접한 홈의 간격이 19~57mm로 하여 종방향 노면 미끄럼 방지홈으로 형성되는 제1단계(S510)와,
    횡방향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주행방향에 대하여 배수홈 각도가 40°~ 55°이고, 홈의 폭이 30~40mm이고, 깊이가 8~20mm이며, 인접한 배수홈의 간격이 10~50m로 하여 횡단 배수홈이 형성되는 제2단계(S5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
KR1020070110777A 2007-11-01 2007-11-01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 KR100821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777A KR100821235B1 (ko) 2007-11-01 2007-11-01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
CNA2008101715627A CN101424065A (zh) 2007-11-01 2008-10-21 根据路面状况的路面防滑槽施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777A KR100821235B1 (ko) 2007-11-01 2007-11-01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1235B1 true KR100821235B1 (ko) 2008-04-11

Family

ID=39534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777A KR100821235B1 (ko) 2007-11-01 2007-11-01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21235B1 (ko)
CN (1) CN10142406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092B1 (ko) 2010-12-28 2011-05-19 인해엔지니어링(주)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장치 및 방법
KR101713896B1 (ko) * 2016-05-20 2017-03-14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콘크리트 포장의 보수를 위한 밴드 공법
KR20200048241A (ko) 2018-10-29 2020-05-08 하성민 도로시설물 경고용 그루빙 시스템
CN115559170A (zh) * 2022-10-17 2023-01-03 南通大学 一种友好型智慧人行横道路面处置结构及其施工方法
KR20230161801A (ko) * 2022-05-19 2023-11-28 이요석 횡단물매 전환구간의 배수시공방법
KR102648114B1 (ko) 2023-07-13 2024-03-20 청호이앤씨(주) 원더링 저감을 위한 그루빙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6361A (zh) * 2014-02-28 2014-05-21 中国人民解放军军事交通学院 一种u形端头整体防滑条
CN104213489A (zh) * 2014-08-29 2014-12-17 华南理工大学 一种水泥混凝土路面纵向刻槽结构
CN112458822A (zh) * 2020-10-13 2021-03-09 北京首钢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坡道找坡兼做防滑缝的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566Y1 (ko) 2001-05-29 2001-12-01 주식회사 원 재 건식 노면 가공장치
JP2004011212A (ja) 2002-06-05 2004-01-15 Hitachi Constr Mach Co Ltd 路面切削用アタッチメント装置及び作業機
JP2006144246A (ja) * 2004-11-16 2006-06-08 Save Machine Co Ltd ループセンサ埋設用溝部を形成する路面切削工法及び該路面切削工法を用いた交通情報制御システム
JP2006183261A (ja) 2004-12-27 2006-07-13 Atsushi Kondo 路面切削装置及び路面凹凸検出装置
KR100704947B1 (ko) 2006-03-24 2007-04-09 이순익 노면 미끄럼 방지시설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566Y1 (ko) 2001-05-29 2001-12-01 주식회사 원 재 건식 노면 가공장치
JP2004011212A (ja) 2002-06-05 2004-01-15 Hitachi Constr Mach Co Ltd 路面切削用アタッチメント装置及び作業機
JP2006144246A (ja) * 2004-11-16 2006-06-08 Save Machine Co Ltd ループセンサ埋設用溝部を形成する路面切削工法及び該路面切削工法を用いた交通情報制御システム
JP2006183261A (ja) 2004-12-27 2006-07-13 Atsushi Kondo 路面切削装置及び路面凹凸検出装置
KR100704947B1 (ko) 2006-03-24 2007-04-09 이순익 노면 미끄럼 방지시설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092B1 (ko) 2010-12-28 2011-05-19 인해엔지니어링(주)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장치 및 방법
KR101713896B1 (ko) * 2016-05-20 2017-03-14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콘크리트 포장의 보수를 위한 밴드 공법
KR20200048241A (ko) 2018-10-29 2020-05-08 하성민 도로시설물 경고용 그루빙 시스템
KR20230161801A (ko) * 2022-05-19 2023-11-28 이요석 횡단물매 전환구간의 배수시공방법
KR102629985B1 (ko) * 2022-05-19 2024-01-25 이요석 횡단물매 전환구간의 배수시공방법
CN115559170A (zh) * 2022-10-17 2023-01-03 南通大学 一种友好型智慧人行横道路面处置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648114B1 (ko) 2023-07-13 2024-03-20 청호이앤씨(주) 원더링 저감을 위한 그루빙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24065A (zh) 200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235B1 (ko)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
JP2006285731A (ja) 自動車システムの制御装置
CN103485250B (zh) 一种无需红绿灯斑马线的立体城市道路
KR101035092B1 (ko) 상황별 노면 미끄럼 방지홈 시공장치 및 방법
KR100864413B1 (ko) 모노레일 운행 시스템
WO2000001889A1 (en) Intersection with unhindered traffic flow
CN106758606B (zh) 一种下坡路避险车道
CN110130249B (zh) 一种智能隔离系统
CN103485251A (zh) 一种人车分离的城市道路
CN112746571B (zh) 一种下沉式道路综合减速预警系统
RU7929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нудительного снижения скорости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искусственная неровность)
KR100939026B1 (ko) 상황별 조면 시공모드를 통한 멀티 조면 시공장치 및 방법
Varhelyi Dynamic speed adaptation in adverse conditions: A system proposal
KR100741489B1 (ko) 궤도버스 시스템
US20230063561A1 (en) Highly automated mode of road traffic
CN1125280A (zh) 轨道及导向轮分别在高速公路和汽车上的应用及其构造
CN210288071U (zh) 可控制车速的车道及含有该车道的人行天桥
KR100452051B1 (ko) 도로용 소음감소형 안전홈
CN113789690A (zh) 城市公共空间人行区域结构和具有其天桥商业空间结构
CN102556184A (zh) 跨式客车
KR200268894Y1 (ko) 자동차의 차로이탈을 인식할 수 있는 도로구조
CN211285100U (zh) 一种陡坡防滑乡村公路
CN106143511B (zh) 无接触供电轨道高架公交车及运行方法
CN210886984U (zh) 一种用于城市社区道路出入口坡道的减速装置
KR101130852B1 (ko) 볼록형 버스전용차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318

Effective date: 20100629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929

Effective date: 201006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911

Effective date: 20100715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1002

Effective date: 20100715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1124

Effective date: 2010071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00712

Effective date: 20101230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731

Effective date: 20101230

EXTG Extinguishmen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126

Effective date: 20110428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