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459B1 - 메모리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메모리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459B1
KR100819459B1 KR1020060101509A KR20060101509A KR100819459B1 KR 100819459 B1 KR100819459 B1 KR 100819459B1 KR 1020060101509 A KR1020060101509 A KR 1020060101509A KR 20060101509 A KR20060101509 A KR 20060101509A KR 100819459 B1 KR100819459 B1 KR 100819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ixing groove
storage device
memory storag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의
Original Assignee
황보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의 filed Critical 황보의
Priority to KR1020060101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8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a separate clip or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8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 pin snapping into a re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메모리 저장 장치이 개시된다. 단자부가 결합된 몸체부와, 상기 단자부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단자부를 보호하는 캡과, 상기 몸체부와 상기 캡에 결합하여 상기 캡이 상기 몸체부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중심축이 되는 힌지부와, 상기 몸체부와 일단이 결합하고 상기 캡에 타단이 결합하여 상기 캡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캡은 상기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회동시 상기 단자부와 충돌하지 않도록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저장 장치이 개시된다.
메모리 저장 장치, 단자부, 캡, 복원력

Description

메모리 저장 장치{ Memory storage device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저장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저장 장치의 분리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저장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저장 장치의 사용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모리 저장 장치 11: 캡
12: 몸체부 13: 힌지부
13a: 제1 홀 13b: 제1 돌출부
13c: 제2 홀 13d: 제2 돌출부
121: 단자부
본 발명은 메모리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USB포트와 같은 단자부를 이용한 메모리 저장 장치은 단자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캡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메모리 저장 장치을 다른 매체와 연결하기 위하여는 이 캡을 분리하여야 했다. 이때, 분리된 캡을 분실할 우려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메모리 저장 장치을 사용하는 방법은, 캡을 분리하는 단계, 메모리 저장 장치를 다른 매체와 연결하는 단계, 메모리 저장 장치를 분리하는 단계, 캡을 다시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그 사용 방법이 번거로웠다.
본 발명은 캡의 분실우려가 없으며, 사용하기 쉬운 메모리 저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단자부가 결합된 몸체부와, 상기 단자부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단자부를 보호하는 캡과, 상기 몸체부와 상기 캡에 결합하여 상기 캡이 상기 몸체부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중심축이 되는 힌지부와, 상기 몸체부와 일단이 결합하고 상기 캡에 타단이 결합하여 상기 캡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캡은 상기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회동시 상기 단자부와 충돌하지 않도록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저장 장치이 개시된다.
한편, 상기 메모리 저장 장치에 상기 캡과 접하는 상기 몸체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캡에는 고정돌기가 더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단자부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고정홈과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고정홈과 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된 제2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과 접하는 상기 몸체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캡에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홈과 고정돌기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캡에 형성된 제1 홀과, 상기 제1 홀이 결합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홀과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캡에 형성된 제2 홀과, 상기 제2 홀이 결합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내장될 수 있도록 하우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단자부는 USB포트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저장 장치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저장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저장 장치의 분리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저장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저장 장치의 사용 예시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메모리 저장 장치(10), 캡(11), 몸체부(12), 힌지부(13), 제1 홀(13a), 제1 돌출부(13b), 제2 홀(13c), 제2 돌출부(13d), 단자부(121), 제1 고정홈(122a), 제2 고정홈(122b), 제1 탄성부재(123a), 제2 탄성부재(123b), 제1 하우징(125a), 제2 하우징(125b), 걸림홈(126), 제1 걸림돌기(127a), 제2 걸림돌기(127b), 고정돌기(128)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메모리 저장 장치(10)은 크게 캡(11)과 몸체부(12)로 구성된다.
캡(11)은 몸체부(12)와 결합한 뒤, 단자부(121)가 회동할 수 있도록, 단자부(121)의 경로상에 위치하는 면이 개방되어 있다. 캡(11)에는 힌지부(13)의 일부분인 제1 홀(13a)과 제2 홀(13b)이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12)의 일면에는 단자부(121)가 결합되어 있어, 외부의 전자장치와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의 단자부(121)는 USB포트이다. 몸체부(12)에는 힌지부(13)의 일부인 제1 돌출부(13b)와 제2 돌출부(13d)가 대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13b)는 캡(11)의 제1 홀(13a)과 대응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제2 돌출부(13d)는 캡(11)의 제2 홀(13c)과 대응하여 결합할 수 있다. 힌지부(13)에서 몸체부(12)와 캡(11)이 결합한 모양은 도 3과 도 4와 같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2)에 제1 돌출부(13b), 제2 돌출부(13d)를 형성하였으나, 몸체부(12)에 홀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도록 캡(11)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돌출부(13b)와 제2 돌출부(13d)에는 소정의 깊이로 제1 하우징(125a)과 제2 하우징(125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125a, 125b)에는 각각 제1 탄성부재(123a)와 제2 탄성부재(123b)가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125a, 125b)은 제1 및 제2 탄성부재(123a, 123b)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탄성부재(123a)는 일단이 제1 하우징(125a)의 걸림홈(126)에 결합하고, 타단은 캡(11)의 제1 걸림돌기(127a)에 결합하여, 힌지부(13)를 중심으로 캡(11)이 회동할 경우 일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2 탄성부재(123b)의 일단은 제2 하우징(125b)의 걸림홈(미도시)에 결합하고, 타단은 캡(11)의 제2 걸림돌기(127b)에 결합하여, 힌지부(13)를 중심축으로 캡(11)이 스윙 동작을 할 경우 타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탄성부재(123a, 123b)에 의해 캡(11)은 어느 방향으로 스윙 동작을 하더라도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성질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1 및 제2 탄성부재(123a, 123b)는 코일형으로 제1 및 제2 돌출부(13b, 13d)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2개의 탄성부재를 사용하였으나, 캡(11)의 회동시 원만한 복원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라면, 하나의 탄성부재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캡(11)에 복원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면, 탄성부재의 결합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 탄성부재(123a)와 제2 탄성부재(123b)는 각각 코일 스프링이나, 판스프링과 같이 다른 종류의 탄성부재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캡(11)과 몸체부(12)가 접하는 면의 캡(11)에는 고정돌기(128)가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12)에는 제1 및 제2 고정홈(122a, 122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28)는 캡(11)이 회동중 몸체부(12)에 형성된 제1 고정홈(122a) 또는 제2 고정홈(122b)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제1 고정홈(122a)과 제2 고정홈(122b)은 힌지부(13)를 중심으로 대칭적인 위치의 몸체부(12)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돌기(128)와 제1 고정홈(122a)이 결합할 경우, 도 4와 같이 단자부(121)가 개방된 상태로 고정되고, 고정돌기(128)와 제2 고정홈(122b)이 결합할 경우, 도 3과 같이 단자부(121)가 캡(11)에 씌여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돌기(128)와 제1 및 제2 고정홈(122a, 122b)의 결합은 캡(11)이 자유롭게 회동하는 것을 멈추도록 한다. 한편, 고정돌기(128)가 몸체부(12)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 고정홈(122a)과 제2 고정홈(122b)은 캡(11)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술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지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의 구성으로 부터, 메모리 장치의 캡을 잃어버리지 않을 수 있으며, 힌지부를 중심으로 캡을 스윙하여 단자부를 쉽게 노출시킬 수 있으며, 노출 뒤에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으로 쉽게 원위치 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단자부가 결합된 몸체부와;
    상기 단자부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단자부를 보호하는 캡과;
    상기 몸체부와 상기 캡에 결합하여 상기 캡이 상기 몸체부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중심축이 되는 힌지부와;
    상기 캡과 접하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캡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캡은 상기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회동시 상기 단자부와 충돌하지 않도록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저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단자부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고정홈과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고정홈과 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된 제2 고정홈을 포함하는 메모리 저장 장치.
  3. 단자부가 결합된 몸체부와;
    상기 단자부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단자부를 보호하는 캡과;
    상기 몸체부와 상기 캡에 결합하여 상기 캡이 상기 몸체부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중심축이 되는 힌지부와;
    상기 캡과 접하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캡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캡은 상기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회동시 상기 단자부와 충돌하지 않도록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저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캡에 형성된 제1 홀과;
    상기 제1 홀이 결합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홀과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캡에 형성된 제2 홀과;
    상기 제2 홀이 결합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저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에는 탄성부재가 내장될 수 있도록 하우징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저장 장치.
  5. 삭제
KR1020060101509A 2006-10-18 2006-10-18 메모리 저장 장치 KR100819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509A KR100819459B1 (ko) 2006-10-18 2006-10-18 메모리 저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509A KR100819459B1 (ko) 2006-10-18 2006-10-18 메모리 저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9459B1 true KR100819459B1 (ko) 2008-04-04

Family

ID=39533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509A KR100819459B1 (ko) 2006-10-18 2006-10-18 메모리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4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524Y1 (ko) 2002-12-28 2003-03-28 피엔씨엔텍 주식회사 Usb 드라이브의 커버장치
JP2004005407A (ja) 2002-05-30 2004-01-08 Hana Micron Inc 一体型回転蓋を有するフラッシュメモリ装置
JP2005158712A (ja) * 2003-11-05 2005-06-16 Toshiba Corp Usb端子を有する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5407A (ja) 2002-05-30 2004-01-08 Hana Micron Inc 一体型回転蓋を有するフラッシュメモリ装置
KR200308524Y1 (ko) 2002-12-28 2003-03-28 피엔씨엔텍 주식회사 Usb 드라이브의 커버장치
JP2005158712A (ja) * 2003-11-05 2005-06-16 Toshiba Corp Usb端子を有する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02786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利用した電子機器
US6932629B2 (en) Device with USB terminal
US20120028485A1 (en) Electronic device
JP2007165303A (ja) 装置用コネクタ及びusbコネクタ
KR100413601B1 (ko) 폴더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JP4921209B2 (ja) Usbプラグ及び該usbプラグを備えたusb機器
KR100819459B1 (ko) 메모리 저장 장치
KR20090032870A (ko) 매모리 저장 장치
CN108958361B (zh) 电子设备及底座
KR100872030B1 (ko) 외장형 심카드 젠더
JP4201815B2 (ja) カード型携帯情報処理機器のケース
JPH04506429A (ja) 改良型のディスク
JPH11273780A (ja) コネクタ保護カバーの取付構造
KR20080033627A (ko) 메모리 저장 장치
KR100763995B1 (ko) 메모리 저장 장치
KR100304190B1 (ko)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힌지가능하고 착탈가능한 액세스 도어
CN114465064B (zh) 电源适配器
CN211351100U (zh) 多功能网关硬件接口保护装置
KR100773864B1 (ko) 메모리 저장 스틱
TWI821670B (zh) 插槽結構與電子裝置
ES2711414T3 (es) Terminal de pago que comprende un dispositivo de pago y una interfaz modular en forma de cubierta o estuche para emparejar un terminal de comunicación
KR200429687Y1 (ko) 휴대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JPS5841743Y2 (ja) 端子装置の蓋開閉装置
JP2003108264A (ja) コネクタ、電子機器及び情報処理装置
JPH10283450A (ja) Pcカードの耐衝撃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