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957B1 -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957B1
KR100818957B1 KR1020077003407A KR20077003407A KR100818957B1 KR 100818957 B1 KR100818957 B1 KR 100818957B1 KR 1020077003407 A KR1020077003407 A KR 1020077003407A KR 20077003407 A KR20077003407 A KR 20077003407A KR 100818957 B1 KR100818957 B1 KR 100818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spiral
spindle
housing
bowde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2374A (ko
Inventor
파이트 스테셀
프랭크 바일스터
로버트 코페츠키
Original Assignee
슈크라 게레테바우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크라 게레테바우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슈크라 게레테바우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to KR1020077003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957B1/ko
Publication of KR20070032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22Adjusting; Compensating length
    • F16C1/226Adjusting; Compensating length by adjusting the effective length of the sheat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1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movement to or from the flexible member
    • F16C1/14Construction of the end-piece of the flexible member; Attachment thereof to the flexible member
    • F16C1/145Attachment of the end-piece to the flexi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8Vehicle seats, e.g. in linear movable seats

Abstract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는 수동잠금장치 또는 인장잠금장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는 하우징(10), 나선형 스핀들(70) 및 두 개의 하프쉘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나선형 스핀들(70)은 비틀림에는 저항성을 가지면서 축 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있도록 하우징(10) 내부에 유도되며, 보덴 케이블 기구에 와이어로 연결된다. 상기 하프쉘부(50)는 축 방향으로는 고정되고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10) 내부에 정렬되며, 나선형 스핀들(70)과 나선이 맞물린다. 하우징(10)에 위치한 숄더부(16)는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를 상기 조절장치의 축 방향으로 유도하는 통로(13)를 포함한다. 숄더부(16)에 위치하는 슬리브(30)는 숄더부(16) 상에 정확하게 맞도록 놓이며, 조절장치가 작동할 때 숄더부(16)의 변화를 방지한다.
보덴 케이블 기구, 하우징, 나선부, 하프쉘부, 숄더부, 와이어, 조절장치

Description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Adjustment device for a bowden cable arrangement}
하기에서는 바람직한 구현예를 기초로 하는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조립된 상태인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의 투시도이다.
도 3은 조립된 상태인 상기 조절장치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4는 조립된 상태인 상기 조절장치를 아래에서 올려본 평면도이다.
도 5는 조립된 상태인 상기 조절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조립된 상태인 상기 조절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 ~ 도 6의 상기 조절장치의 하우징에 대한 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하우징을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9는 상기 하우징을 아래에서 올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 ~ 도 6의 상기 조절장치의 슬리브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슬리브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슬리브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슬리브의 투시도이다.
도 16은 도 1 ~ 도 6의 상기 조절장치의 하프쉘부에 대한 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하프쉘부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하프쉘부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하프쉘부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20은 상기 하프쉘부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 ~ 도 6의 상기 조절장치의 나선형 스핀들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2는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투시도이다.
도 23은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배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상기 나선형 스핀들을 아래에서 올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26은 상기 나선형 스핀들을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30: 슬리브
50: 하프쉘부 70: 나선형 스핀들
80: 상승부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등의 좌석 뒷부분에서 골반부 및/또는 요추부를 지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에 유용한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절장치는 회전운동을 보덴 케이블 기구의 케이블, 라인 또는 와이어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또는 인장잠금장치 또는 수동잠금장치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러한 운동변환은 예를 들면 해당 좌석의 수동핸들 또는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작동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조절장치의 예로 EP 0 706 338 B1이 있다. 상기 특허의 명세서에 개시된 조절장치는 하우징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면서 비틀림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도록 정렬된 제1나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나선부는 외부나선을 가지는 나선형 스핀들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기 외부나선은 나선형 고리 형태의 제2나선부의 내부나선과 맞물리게 된다. 상기 제2나선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회전할 수 있지만 축 방향으로는 잠긴 상태로 정렬된다.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내부에는 각각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중앙 홈이 축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중앙 스핀들의 중앙 홈은 조절손잡이를 향하는 내부 체임버와 연결되어 나선 끝부분의 니플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측벽 내부 및 나선형 스핀들의 측벽 내부에는 각각 반경 방향의 통로와 가로 홈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의 반경방향 통로와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가로 홈은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의 끝부분의 니플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해 준다. 상기 하우징 측벽 내부의 홈과 상기 나선형 스핀들 측벽 내부의 가로 홈은 슬롯에 의해 각각 상기 중앙 홈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끝 부분의 니플이 상기 하우징 측벽의 반경 방향 통로 및 상기 나선형 스핀들 측벽의 가로 홈 안을 통과하여, 반경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내부 체임버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그렇게 되면, 상기 와이어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나선형 스핀들 내부에 형성된 슬롯을 따라 중앙 홈 안으로 이동 또는 운동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끝부분이 상기 나선형 스핀들 내부의 니플과 체결된 상기 와이어는 상기 나선형 스핀들 및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시이스(sheath) 또는 케이블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시이스는 상기 하우징의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숄더부 상에 지지된다. 상기 나선형 고리가 회전하면 상기 나선형 스핀들은 상기 나선형 고리 및 상기 하우징 안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보덴 케이블 기구의 시이스로부터 끌려나오게 된다.
EP 0 706 338 B1에 의한 상기 조절장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끝부분의 상기 니플의 체결 및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나선형 스핀들에의 고정은 특별한 노력이나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가능하다. 따라서, 보덴 케이블 기구의 설치와 관련된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된다.
EP 0 774 590 B1에는 이와 유사한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니플이 달린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 끝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반경 방향의 통로가 나선형 스핀들의 외부나선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외부나선 부 분에는 또한 보덴 케이블이 걸리거나 또는 지지되며, 다른 나선부의 내부나선과 체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내부나선은 하프쉘부 2개로 구성되며 조립된 상태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조절장치들은 상기 나선형 스핀들을 조절할 경우, 비교적 큰 기계적 응력이 발생하며 가해지는 조절력에 대해 높은 하중이 가해진다. 따라서, 뚜렷한 개선점에도 불구하고, 조절장치의 설치 및 제작과 관련하여 비교적 정교한 작업이 요구되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EP 0 706 338 B1 및 EP 0 774 590 B1에서는 보덴 케이블의 시이스가 하우징 축 방향으로 돌출된 숄더부 상에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EP 0 774 590 B1의 경우, 숄더부의 중앙에 보덴 케이블의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축 방향 홈이 형성되며, 이 때 상기 숄더부는 조절장치의 전면에서 돌출된 원형 또는 고리 형태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축 방향 홈과 하우징의 측벽 내부에 형성된 반경 방향의 통로를 연결하는 슬롯에서 진행을 멈추게 된다. 상기 슬롯에 의해 고리 형태의 숄더부의 변형에 대한 저항력은 현저하게 약화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조절장치 또는 보덴 케이블이 각각 작동할 때 고리 형태의 숄더부가 변형되어 상기 숄더부가 파손되거나 상기 하우징이 손상될 수도 있다. 보덴 케이블의 시이스는 상기 고리 형태의 돌출부 안으로 삽입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보덴 케이블의 시이스가 긁혀서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EP 0 774 590 B1의 경우,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나선부에는 물론 이와 맞물려 있는 하프쉘부의 나선부에도 스톱부가 형성된다. 상기 스톱부는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상기 하프쉘부에 대한 양쪽 축 방향 움직임을 제한한다. 상기 스톱부가 나선부 내부에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과도한 조절력이 가해지면 오히려 나선부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톱부는 비교적 정교한 형태로 고안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비교적 높은 조절력에는 견디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상당한 높은 조절력이 가해지면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상기 스톱부와 그에 상응하는 상기 하프쉘부의 스톱부가 서로 맞물리거나 서로 걸리게 될 수도 있다.
종래의 조절장치에 관하여 또한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제작이 문제된다. 상기 나선형 스핀들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모양이 일치하는 공구가 사용되어 상기 스핀들을 측정해야 한다. 상기 나선형 스핀들 형성을 위한 공구의 끝 부분인 스핀들 영역을 통해, 최종 제작될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나선이 평평하고 고르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기능 저하를 가져오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제작이 쉽고 다른 한편으로는 적당한 안정성과 기능성을 갖춘 나선형 스핀들을 위한 필수조건이 기본적으로 따라야 한다.
종래의 조절장치는 또한 하우징 디자인이 비교적 융통성이 없고 엄정하기 때문에, 개개 구성요소의 소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보덴 케이블 주입부의 접점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선택된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그 접점이 가장 큰 하중이 발생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러한 소재 선택은, 예를 들면 하프쉘부와 나선형 스핀들의 접점과 같은 조절장치의 나머지 접점을 위해서는 적당하지 못한 결과 가 된다.
또한 EP 0 774 590 B1의 경우, 상기 나선형 스핀들은 상기 하우징에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유도된다. 즉, 반경 방향으로 서로 대척되게 툭 튀어나온 앞부분의 두 개의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 벽에 있는 그에 상응하는 차단부 또는 홈과 맞물려서 축 방향으로 작동된다. 이러한 홈 또는 차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원주형 방향으로 진행되는 망사형 또는 방벽형 투사로 범위가 제한되고, 상기 하우징에 있는 나선형 스핀들의 유도 영역에 소재가 축적된다. 이는 플라스틱 공학적 측면에서 문제가 있고, 또한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조절시 어느 정도의 효율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장치는 핸들이나 레버를 이용해서 수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데,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유도 영역에 소재가 축적됨으로 인하여, 상기 스핀들의 유도가 때로는 더 힘들어지거나 때로는 쉬워지기도 하며, 이에 따라 가해지는 조절력의 정도 역시 불규칙해 진다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알려진 조절장치의 경우, 안쪽으로 유도되는 상기 와이어의 끝 부분에 있는 상기 니플은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안쪽에 위치한다. 일단 상기 니플이 적절한 위치에 오게 되면, 상기 보덴 케이블 기구의 상기 와이어가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안쪽에서부터 축 방향으로 작동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나선형 스핀들과 상기 하우징에 있는 축 방향 홈을 경유하여, 외부에 이르게 된다. 하지만, 상기 조절장치나 상기 보덴 케이블 기구가 각각 작동되는 동안에, 상기 스핀들 안쪽의 내부에 있는 상기 니플의 위치가 변할 수도 있다. 따라서 특히 상기 니플이 상기 스핀들의 안쪽 벽과 또한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스핀들 내부를 결 정함으로써 마찰로 인한 효율성을 저하시키기도 한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보덴 케이블 기구에 축 방향으로 조절력이 정확히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조절장치의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나선형 스핀들이 기울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는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심지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손상을 가져오는 결과가 된다.
또한 지금까지 기술된 형태의 조절장치에 대한 일반적인 제작상 문제점은 상기 조절장치의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가능한 가장 부드럽고 가장 고르게 작동하게 고안해 내야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축 방향 조절을 위해서는 가능한 가장 고른 조절력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스핀들을 조절하는 동안에 비틀림과 같은 저항력이 없어야 한다. EP 0 774 590 B1에 따라 상기 나선형 스핀들이나 상기 하프쉘부의 나선부에 직접적으로 스톱 모서리를 형성하는 것은, 특히 상기 스핀들의 나선을 측면으로 평탄화하는 것과 관련하여,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고르지 못한 작동을 유도할 수 있다.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제작과 관련하여 특이한 문제점들이 있다. 상기 스핀들을 제작하는 동안에, 가능한 최상의 상기 스핀들 선조세공을 위하여, 상기 스핀들에서 공구와 관련하여 가장 집중되는 곳에 경사부를 상기 스핀들 내부로 밀어 넣는다. 그러나 기존의 나선형 스핀들의 경우, 경사부를 삽입하는 동안에 상기 스핀들의 유지력이 보장되지 않고, 또한 상기 외부나선의 형성 동안에도 마찬가지로 보장되지 않는다.
앞서 기술한 바에서 보듯이 상기 형태의 보덴 케이블 기구의 조절장치와 관 련하여 많은 다양한 요구가 있다. 그러나 공통적인 점은 상기 조절장치의 쉬운 제작과 최적의 효율성을 지니는 동시에 상기 나선형 스핀들의 가능한 가장 부드러운 작동을 달성하기 위한 시도가 있어 왔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기능이 향상되고 제작이 용이하며, 효율성 및 나선부의 조절력이 개선된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1, 14, 30, 37, 47, 54 및 62의 특징을 지니는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독립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유용한 실시예를 한정한다.
고안 형태에 따라 작동자, 수동잠금장치 또는 인장잠금장치로서 설계될 수 있는 보덴 케이블 또는 라인/케이블 인장 장치용 조절장치는, 하우징, 제1나선부 및 제2나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나선부는 비틀림에는 저항성을 지니면서 축 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유도되며, 보덴 케이블에 연결된다. 상기 제2나선부는 축 방향으로는 고정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열되며, 제1나선부와 나선이 맞물린다. 특히, 상기 제1나선부는 외부나선을 가지는 나선형 스핀들의 형태이며, 제2나선부는 내부나선을 가지는 중공 실린더 또는 링 형태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나선부는 몇 개의 부분쉘부 특히 두 개의 하프쉘부를 포함하며, 제2나선부가 조립되면 상기 하우징 내부로 넣어 진다. 그러나, 또한, 제1 및 제2나선부의 기능은 제2나선부가 나선형 스핀들 형태가 되고 제1나선부가 중공 실린더 또는 링 형태가 되는 방식으로 서로 바뀔 수 있다.
상기 제1나선부 및 하우징은 그들의 측면에 원형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과 관련된 제1나선부의 적절한 배열과 함께,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 또는 와이어의 끝 부분에 위치한 니플은 원주 방향으로 제1나선부 내로 상기 통로를 통해 들어올 수 있으므로, 보덴 케이블 기구 및 와이어는 제1나선부와 연결된다. 특히, 제1나선부의 내부공간에 있어서, 니플을 포함하는 와이어의 끝 부분이 제1나선부의 내부공간에 들어오는 방식으로 원형 통로에 연결된다. 또한, 제1나선부 및 하우징 내에서, 통로가 세로 방향 끝 또는 정면에서 축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축 방향 통로는 하우징 또는 제1나선부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을 통하여 하우징 또는 제1나선부의 원형 통로와 연결된다. 니플을 포함하는 와이어의 끝 부분이 놓인 후,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는 슬롯을 통해 움직이고 마침내는 제1나선부 및 하우징의 축 방향 통로를 통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와이어가 고정된 보덴 케이블 기구의 시이스(sheath)는 하우징의 축 방향 끝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은 보덴 케이블 기구를 수용하는 축 방향 통로를 포함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링 형태로서 하우징의 축 방향 끝 부분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며, 슬롯에 의해서 막히는 상기 돌출부의 짝인, 슬리브는 보덴 케이블 기구의 시이스를 수용하는 통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는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가 제1하우징부와 결합된 형태를 이루는 하우징의 돌출부의 통로 안으로 유도할 수 있는 통로 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는 하우징의 돌출부 주위에서 맞물리는 주변부를 포함한다.
보덴 케이블 기구의 시이스는 예를 들어 황동으로 된 시이스에 의해서 코팅되거나 강화되어 상기 시이스의 통로 내로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고 시이스의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숄더를 시이스로 코팅함으로써, 슬롯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한 조절장치를 작동하는 동안 숄더가 변화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즉, 숄더의 원래 형태를 시이스로 보호할 수 있으므로, 숄더, 하우징 및 전체 조절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덴 케이블 기구의 시이스가 벗겨지거나 늘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하우징과 보덴 케이블 기구의 접점으로써의 역할에만 집중하여 고려할 필요 없이, 상기 슬리브의 성분으로서 적절한 소재를 선택해도 무방하다는 점에 의해 상기 슬리브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을 위해서 소량의 유리섬유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폴리아미드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스핀들 형태인 제1나선부를 위해서는 PBT(폴리부틸렌 테라플탈레이트)를 사용하여, 나선형 스핀들을 조절할 때 특히 높은 정확성을 얻을 수 있다. 몇 개의 부분쉘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며 제1나선부와 나선이 맞물리는 제2나선부를 위해서는 POM(폴리옥시메틸렌)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플라스틱은 PBT를 위한 짝 소재에 대해서 특히 잘 미끄러질 수 있다. 보덴 케이블 기구의 시이스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상기 슬리브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특히(소량의 유리섬유를 함유 한 폴리아미드 6/6.6과 같은) 유리섬유를 함유한 폴리아미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서, 충분한 강도, 안정성 및 우수한 진행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개개의 성분의 기능에 따라서 소재 선택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리브는 숄더와 하우징을 함께 수용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특히 보덴 케이블 기구의 시이스를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덴 케이블 기구의 시이스는 하우징 숄더의 축 방향 통로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슬리브의 축 방향 통로에 위치한다. 상기 통로는 슬리브의 내부에서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를 위한 통로 구멍을 포함하는 접촉표면에 의해서 한정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는 슬리브를 통해서 조절장치의 하우징의 숄더의 축 방향 통로 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라서, 스톱부는 두 개의 나선부의 제1 및 제2나선부 사이에 형성된다. 특히, 두 개의 나선부의 스톱부는 접촉표면이 원주 방향 또는 원주 방향 및 축 방향으로의 두 개의 나선부 상호 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고안된다. 특히, 스톱부는 정확하게 맞아떨어지는 접촉표면이 형성되도록 고안된다.
상기 방법에 의해서, 두 개의 나선부 상호 간의 상대적인 운동 및 상대적으로 높은 조절력의 한정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서, 예를 들어, 부적절하게 높은 조절력을 사용한 결과 두 개의 나선부 사이의 후킹과 같은 오용에 의한 두 개의 나선부 또는 전체 조절장치의 손상을 피할 수 있다. 특히, 스톱부에서의, 두 개의 나선부의 접촉면 사이의 접촉이 아무 문제없이 쉽게 다시 풀릴 수 있다.
두 나선부에는, 두 개의 나선부가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확실히 제한을 가할 수 있도록 직경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된 돌출부들이 서로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나선부가 나선형 스핀들로서 형성될 때, 스톱부는 나선형 스핀들의 기저부에 돌출부를 포함하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나선형 스핀들의 원주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상기 돌출부는 원주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접촉표면을 한정한다. 상기 접촉표면은 몇 개의 부분쉘부에 의해서 형성됨이 바람직한 제2나선부에 형성된다. 코형상 돌출부는 나선형 스핀들의 헤드부에 형성되며, 원주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접촉표면을 한정하며, 다른 하나의 나선부의 접촉표면과 작용한다. 상기 코형상 돌출부는 하나 이상의 리브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몇 개의 리브가 서로 인접하여 위치한다. 특히, 물결 형상인 하나 이상의 리브는 나선형 스핀들의 세로 방향으로 뻗어있고 선형 소재를 수용하는 버팀목 리브로서 작동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리브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하우징의 내벽에 대한 스톱부로서 작동한다. 코형상 돌출부의 배열은 두 개의 나선부의 나선의 외부에 정확하게 맞아떨어지는 스톱부를 위한 지지체로 작동한다.
본 발명의 제3관점에 따라서, 두 개의 나선부 중 하나는 다른 하나의 나선부의 내부나선과 나선이 맞물리는 외부나선을 포함하는 나선형 스핀들이다. 상기 외부나선은 몇 개의 나선형 스핀들로 나뉘어져서, 나선형 스핀들의 축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나선형 스핀들의 원주 방향으로 비나선부 또는 분리된 나선부에 의한 간극을 형성한다. 홈 형태로서 나선형 스핀들의 세로 방향으로 난 상기 비나선부는 나 선형 스핀들의 제작용 장치가 나선형 스핀들의 외부나선의 나선 진행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으면서 상기 나선부의 스핀들 주위에 놓이도록 한다. 선행 기술과 다르게, 상기 장치를 위한 어떤 선조 세공 분리표면도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나선형 스핀들을 제작하는 동안에 외부나선의 어떤 위치도 다른 하나의 나선부의 내부나선과 접촉하는 위치로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나선형 스핀들의 외부나선은 나선형 스핀들의 진행 또는 기능에 대한 어떤 손상도 가하지 않는다.
나선형 스핀들의 외부나선은 세 부분 즉, 나선형 스핀들의 원주 방향으로 동등하게 나뉜 세 개로 나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접한 상기 나선부의 중간 라인끼리는 원주 방향으로 120°의 각도를 가진다. 숄더 배열이 이런 세 발 형태인 결과, 나선형 스핀들의 위치가 내부나선 내에 확실히 고정되므로, 다른 하나의 나선부의 나선형 스핀들의 내부나선의 위치 및 안정성이 확실히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라서, 하우징 내부의 제1나선부를 유도하는 부분에서 소재가 축적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선행 기술에 따른 조절장치에서의 링 형태의 돌출부는 유도 홈에 의해서 막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부분적으로만 막히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 내의 제1나선부의 유도에 필요하지 않은 여분의 소재는 제거되어 불필요한 소재의 축적을 피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은 여분의 소재는 제작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하우징 내에 제1나선부를 유도하는데 있어서 효율성을 개선한다.
그러므로 상기 관점에 따라서, 인접 돌출부 사이에 소재 차단부가 위치하는데, 상기 인접 돌출부는 하우징 내벽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며 제1나선부를 위한 유도 홈을 한정하고, 전체 축 방향에 걸쳐서 연결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소재 차단부는 또한, 유도 홈을 한정하지 않도록 상응하는 소재 차단부에 의해 상기 인접 돌출부가 전체 원주 방향에 걸쳐서 서로 분리되게 한다.
본 발명의 제5관점에 따라서,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를 위한 통로는 제1나선부 내의 축 방향 또는 세로 방향 끝의 어느 한 곳에 존재한다. 위치 고정부는 외부나선을 포함하는 나선형 스핀들로서 고안된 제1나선부 내에 존재하여, 와이어 또는 와이어의 끝에 위치한 니플을 제1나선부의 통로에 위치시킨다. 특히, 상기 위치 고정부는 와이어 또는 니플을 제1나선부의 중앙에 고정되도록 고안되어서, 와이어 또는 와이어의 끝에 위치한 니플이 제1나선부의 상기 통로의 내벽 또는 모서리에 접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마찰 또는 축 방향으로의 조절력이 와이어 전체에 전달되지 않아 나타나는 제1나선부의 기울어짐에 의한 효율성의 감소를 피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부는 제1나선부 또는 상기 통로의 내벽에서 돌출된 특히, 리브 형태인 몇 개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돌출부는 상기 통로의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네 개의 리브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6관점에 따라서, 두 개의 나선부 중 하나는 다른 하나의 나선부의 내부나선과 나선이 맞물리는 외부나선을 포함하는 나선형 스핀들이다. 다른 하나의 나선부는 특히, 중공 실린더 또는 링 형태로서 내부나선이 형성되는 나선부 의 내벽에 형성된다. 상기 부분쉘부는 분리표면이 조립된 후, 하우징 내부에 들어간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원주형인 돌출부가 부분쉘부의 외부에 존재하고 상기 돌출부는 하우징의 내벽에 있는 바람직하게는 원주형인 홈과 맞물리게 된다. 상기 나선부는 부분쉘부의 분리표면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돌아나간다. 상기 부분쉘부가 조립된 후, 하나의 부분쉘부의 나선부 및 다른 하나의 부분쉘부의 나선부 사이의 날카로운 전이라인이 사라진다. 조절장치가 작동할 때, 부분쉘부의 분리표면에 형성된 나선부의 반경 또는 나선의 진로는 제1나선부 또는 나선형 스핀들의 부분쉘부에 의해서 형성된 내부나선 내에서 원형으로 진행한다. 특히, 수동조절과 함께인 경우, 사용자에게 더욱 수월하며, 효율성이 향상된다.
돌출부-홈부 조합은 부분쉘부의 분리표면에서 형성된다. 부분쉘부가 조립될 때, 하나의 부분쉘부의 분리표면상의 돌출부는 다른 하나의 부분쉘부의 분리표면상의 홈부와 맞물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홈부 조합은 각각의 부분쉘부의 분리표면상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7관점에 따라서, 두 개의 나선부 중 하나는 나선형 스핀들이며, 나선형 스핀들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통로 특히, 원형 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원형통로는 제작과정에서 특히, 경사부의 도입과정에서 스핀들을 고정시켜서 나선형 스핀들의 더욱 정교한 선 세공 제작가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하나 이상의 통로는 나선형 스핀들의 비나선부에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스핀들의 헤드면 끝에 존재한다. 또한, 상기 통로의 정반대 위치에는 또 다른 통로가 나선형 스핀들의 측면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또 다른 통로는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 또는 와이어의 끝에 위치한 니플을 도입하는 원형 통로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상기 관점은 원칙상 서로 독립적이며, 각각의 경우는 독립적으로 제작력의 향상, 비용절감, 조절 및 운용력의 향상을 이끌어서, 조절장치의 실행력 및/또는 효율성의 향상을 가져온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이미 언급한 다른 관점은 하나로 합쳐져서 조절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 ~ 도 6에 제시된 조절장치는 보덴 케이블 기구(미도시)를 조절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보덴 케이블 기구의 시이스(sheath)가 입혀진 이동식 와이어를 조절한다. 스핀들 작동부, 인장장치 또는 수동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조절장치의 필수구성부품은 하우징(10), 조립된 상태에서는 중공 실린더가 되는 두 개의 하프쉘부(50) 및 나선형 스핀들(70)이다. 두 개의 하프쉘부(50)은 축 방향으로는 고정되고 회전이 가능하게 하우징(10)에 장치됨에 반해서, 나선형 스핀들(70)은 뒤틀림에 저항성을 가지면서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우징에 위치한다. 나선형 스핀들(70)은 보덴 케이블 기구 또는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와 연결된다. 즉, 나선형 스핀들(70)이 축 방향으로 움직여서 하우징(10) 및 하프쉘부(50) 내부에 위치함에 따라서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는 하우징(10) 내부에서 왕복한다. 예를 들어, 이런 사실은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 다른 끝 부분에 연결된 허리 지지대의 캠버를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보덴 케이블 기구를 이용하여 허리 지지대의 캠버를 조절하는 다양한 해결책은 공지의 사실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자세히 설명할 필요가 없다.
도 1 ~ 도 6에 제시된 조절장치는 슬리브를 포함하며, 하우징(10)의 링 형태 숄더에 위치한다. 상기 슬리브는 도 1 ~ 도 6에는 제시되지 않았으며, 도 12 ~ 도 15에서 상세하게 제시한다. 도 1 ~ 도 6의 조절장치의 개개 구성부품 및 슬리브는 하기의 도 7 ~ 도 26에서 설명한다.
도 7은 하우징(10)의 투시도이며, 도 8은 하우징(10)을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며, 도 9는 하우징(10)을 아래에서 올려다본 평면도이며, 도(10)은 하우징(10)의 정면도이며, 도 11은 하우징(10)의 측면도이다.
하우징(10)은 가능하다면 소량의 유리섬유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플라스틱으로 제작한다. 하우징(10)은 중공 실린더 구조이며, 하우징(10)의 측면에는 하우징(10)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당히 돌출되어 있으며 고정 홈(12)이 나 있는 두 개의 프랜지형 돌출부(11)가 존재한다. 이런 고정 홈(12)이 나 있는 프랜지형 돌출부(11)의 도움으로, (하프쉘부(50, 나선형 스핀들(70) 및 하우징(10)에 있는 슬리브(30)를 포함하는) 하우징(10)은 예를 들어 자동차 좌석과 같은 물체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측면에는 원형 통로(14)가 슬롯(15)을 경유하여 축 방향 통로(13)에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축 방향 통로(13)은 하우징(10)의 축 방향 끝 부분 표면 또는 전면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링 형태의 숄더(16)에 의해서 고정된다. 또한, 슬롯(15)은 링 형태의 숄더 또는 돌출부(16)에 연결된다.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 끝 부분에 위치한 니플이 원형 통로(14)로 들어와서 슬롯(15)을 통하여 축 방향 통로(13)를 거쳐 하우징 내부로 들어감으로써, 전 체 와이어는 장치의 외부에서부터 축 방향 통로(13)를 거쳐 하우징(10)의 세로 방향으로 내부에 연결된다.
도 9의 하우징(10)을 아래에서 올려다본 평면도에서,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18)는 원주 방향으로 하우징(10)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있다. 이런 돌출부(18)는 세로 방향으로 나 있는 유도 홈(17)에 나선형 스핀들(70)의 코형상 돌출부(78)를 확실하게 위치시킴으로써, 나선형 스핀들(70)이 하우징(10) 내부의 유도 홈(17)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놓이도록 한다.
또한 도 9에서, 하우징(10)의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여 있는 원주 돌출부(18)는 원주 방향으로 축 전체를 덮을 정도로 서로 연결된 것은 아니다. 대신에, 소재 차단부(19)가 원주 방향에 있는 두 개의 인접 원주 돌출부(18) 사이를 연결한다. 소재 차단부(19)는 원주 돌출부(18)의 축 방향 전체에 걸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19)가 축 방향 전체에 걸쳐 확장된 경우에, 하우징(10)의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원주 돌출부(18)는 전체 방향을 따라 서로 완전히 떨어져 있다. 소재 차단부(19)가 원주 돌출부(18)가 하우징(10)의 내벽 표면에 링 형태로 더 넓게 확장되는 것을 막아서, 여분의 소재가 나선형 스핀들(70)의 유도부에 생기지 않으므로 플라스틱 공업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불필요한 소재가 축적되지 않도록 해 준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효율성 면에서도 상당히 향상된다. 이것은 나선형 스핀들(70) 또는 그의 코형상 돌출부(78)가 유도 홈(17)로 들어올 때, 불필요하게 축적된 소재가 상당한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도 9의 실시예에서, 축 방향의 유도 홈(17)을 한정하는 원주 돌출부(18)는 단면으로 사다리꼴 모양이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유도 홈(17) 내에 나선형 스핀들(70)이 확실하게 놓일 수 있는 한, 돌출부(18)는 어떤 형태도 가능하며, 더 얇은 두께로도 고안될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했듯이 나선형 스핀들(70)이 하우징(10)의 반대편 세로 끝 부분에 있는 하프쉘부(50)에 의해서 확실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하우징(10)의 전면 끝 부분에 있는 원주 돌출부(18)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존재하게 된다.
*이하, 도 12 ~ 도 15에 제시된 슬리브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슬리브는 하우징(10)의 링 형태 숄더 또는 돌출부(16)에 놓인다. 도 12는 슬리브(30)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평면도이며, 도 13은 슬리브(30)의 측면도이며, 도 14는 슬리브(30)을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며, 도 15는 슬리브(30)의 투시도이다.
슬리브(30)는 수용부(31) 및 슬리브(30)의 세로 방향의 끝 부분에 위치하는 기저 또는 주변부(33)를 포함한다. 슬리브(30)는 그 중심축의 세로 방향으로 회전대칭형이며 종 형태이다.
수용부(31)는 보덴 케이블 기구의 시이스를 통과시키는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통로를 가진다. 통로(32)의 차원은 보덴 케이블 기구의 슬리브 차원과 일치한다. 또한, 도 14에서 제시된 것처럼, 내벽에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장치된 리브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보덴 케이블 기구의 시이스를 통로(32)에 고정시킨다.
도 15에 제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 돌출부(35)는 수용부(31)의 밑 끝 부분 에서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 링 형태 돌출부(35)의 중심부에 통로 구멍(36)이 존재하여 시이스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제작된 와이어를 유도할 수 있다. 동시에, 수용부(31) 쪽으로 향해 있는 링 형태 돌출부(35)의 표면은 보덴 케이블 기구의 시이스를 멈추게 하는 표면으로도 작동한다. 즉, 상기 시이스는 링 형태 홈(35)의 기저까지 통로(32)의 내부로 들어올 수 있다.
도 15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30)의 주변부(33)은 링 형태이며, 링 형태인 홈부 또는 홈(34)에 의해서 링 형태 돌출부(35)로부터 분리된다. 홈(34)의 형태 및 차원은 하우징(10)의 링 형태 돌출부(16)의 홈 및 형태에 상응하게 선택한다. 그러나, 하우징(10)의 링 형태 돌출부(16)와는 대조적으로, 단면이 원형인 주변부(33)는 닫혀 있다. 링 형태 돌출부(35) 및 링 형태 홈(34)의 단면 또한 원형이다.
실제로, 보덴 케이블 기구의 시이스는 슬리브(30) 수용부(31)의 통로(32) 안으로 들어오며,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는 통로 구멍(36)을 통과한다. 니플을 포함하는 와이어의 끝 부분은 하우징(10)의 측면에 있는 원형 통로(14)를 통하여(또한,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나선형 스핀들(70)의 원형 통로(75)를 통하여) 들어와서 나선형 스핀들(70)에 연결된다. 와이어는 하우징(10)의 측면에 있는 슬롯(15) (및 이에 상응하는 나선형 스핀들(70)의 측면에 있는 슬롯(76))을 통과하여 하우징(10)의 축 방향 통로(13) (및 이에 상응하는 나선형 스핀들(70)의 축 방향 통로(77))의 내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와이어는 하우징(10) 및 나선형 스핀들(70)의 세로 방향으로 움직인다. 슬리브(30)를 하우징(10)의 축 방향 돌출 부(16)위에 놓고 누른다. 서로 구분되는 주변부(33), 링 형태 홈(34) 및 링 형태 돌출부(35)는 하우징(10)의 축 방향 돌출부(16)가 슬리브(30)의 링 형태 홈(34) 내부에 가능한 정확하게 위치하며 주변부(33) 및 링 형태 돌출부(35)사이에 확실하게 위치할 수 있게 형성된다. 실제로, 주변부(33)는 하우징의 축 방향 돌출부(16)를 완전히 둘러싼다. 따라서 보덴 케이블 기구 및 보덴 케이블 기구의 시이스에 상당한 조절력이 가해지더라도, 돌출부(16) 내에 형성된 슬롯(15)은 그 조절력을 함께 받으며 또한 그 크기가 확장되지 않으므로 하우징(10)의 축 방향 돌출부(16)는 변형에 대처할 수 있다. 보덴 케이블 기구 시이스가 슬리브(30) 수용부(31)의 통로(32)에 놓이고 통로(32)의 내벽, 내벽에 형성된 원주 리브(37) 및 링 형태 돌출부(35)의 기저에서 슬리브(30)의 세로축에 수직인 끝 부분 표면을 통하여 확실하게 맞는 위치에 놓이기 때문에, 보덴 케이블 기구의 시이스의 신장 또는 벗겨지는 것을 확실하게 피할 수 있다.
하우징(10)과 유사하게, 슬리브(30)는 폴리아미드 6/6.6과 같은 폴리아미드 플라스틱으로 제작한다. 상기 슬리브를 유리섬유로 강화해서 슬리브(30)의 안정성 및 강도를 향상시킴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 도 1 ~ 도 6에서 제시된 조절장치의 두 개의 하프쉘부(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은 하프쉘부(50)의 투시도이며, 도 17은 하프쉘부(50)의 정면도이며, 도 18은 하프쉘부(50)의 측면도이며, 도 19는 하프쉘부(50)을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며, 도 20은 하프쉘부(50)을 아래에서 올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16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하프쉘부(50) 각각은 반 원통형이며, 하나의 세로축 끝 부분에 내부나선(51) 및 다른 세로축 끝 부분에 공동(54)을 포함한다. 하기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듯이 나선형 스핀들(70)의 기저부(72)는 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16에서 제시했듯이, 하프셀부(50)의 내부나선은 원주 방향으로 향한 라운딩(53) 및 분리표면의 끝부분에 위치한 라운딩(52)을 포함한다. 두 개의 하프쉘부(50)가 분리표면에서 조립되면, 라운딩(52, 53) 및 그의 반경은 나선형 스핀들(70)이 하프쉘부(50) 내부의 라운드를 통과하기 적합하게 된다. 특히, 분리표면의 끝 부분에 위치한 라운딩(52)에 의해서, 두 개의 하프쉘부(50)의 내부나선은 정확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나선형 스핀들(70)은 하프쉘부(50) 및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실제로 어떤 저항도 받지 않고 돌아 들어올 수 있다.
하프쉘부(50)의 각각의 분리표면은 돌출부와 홈부를 포함한다. 도 16에서 제시된 각각의 하프쉘부(50)에 있어서, 하나의 분리표면은 상대적으로 큰 돌출부(55)를 포함하며, 다른 분리표면은 상대적으로 작은 돌출부(57)를 포함한다. 또한, 제1분리표면은 다른 하나의 하프쉘부의 상대적으로 적은 돌출부(57)에 대응하는 홈부(58)를 포함하며, 상대적으로 적은 돌출부(57)에 인접해 있는 하프쉘부(50)의 다른 분리표면은 다른 하프쉘부(50)의 상대적으로 큰 돌출부(55)에 대응하는 홈부(56)를 포함한다. 돌출부와 홈부 사이의 배열순서는 각각의 하프쉘부(50)의 분리표면상에서 교차한다. 따라서 두 개의 하프쉘부(50)가 조립되기 쉬운 배열이 될 수 있으며, 나선형 스핀들(70)에 상응하는 중공 실린더가 형성된다. 특히, 하프쉘부(50)의 두 개의 분리표면 상의 돌출부-홈부 조합(55, 58 및 57, 56)은 내부나 선(51)에 존재한다. 따라서 두 개의 하프쉘부(50)는 내부나선에서 더욱 쉽게 조립된다.
원주 방향으로 나 있는 돌출부(59)는 두 개의 하프쉘부(50)의 외벽에서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있다. 조립된 하프쉘부(50)가 하우징(10) 내로 들어갈 때, 돌출부(59)는 하우징(10)의 내벽에 원주 방향으로 나있는 차단부(제시되지 않음)에 위치하여, 하프쉘부(50)가 축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으면서 하우징 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도 16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하프쉘부(50)가 회전하면, 하프쉘부(50)에서 발생하는 전복모멘트는 하우징(10) 내의 하프쉘부(50)의 바깥 끝 부분에 원주 방향으로 나있는 원주 돌출부(59)에서만 흡수된다. 그렇지 않으면 하우징(10)의 경계부가 온전하게 마찰표면으로 사용될 것이고, 이 경우 더 큰 자유 공간부(60)를 이런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작장치용으로 분리된 부재가 더 이상 마찰표면을 정확하게 조절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특히 유용하다.
하프쉘부(50)는 폴리옥시메틸렌(POM)으로 제작할 수 있다. 나선형 스핀들(70)을 제작하는데 바람직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은 POM과 서로 매우 잘 미끄러져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다. PBT는 하프쉘부(50) 내에서 나선형 스핀들(70)을 매우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해 준다.
도 17 및 도 18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하프쉘부(50)는 동공(54)(도 16 참조)의 세로 방향 끝 부분의 외부에 차단부 또는 홈(64)을 포함하여, 수동핸들에 압력을 가하거나 안전하게 해 준다(제시되지 않음). 이미 설명한 것처럼, 두 개의 하프 쉘부(50)가 조립된 후 나선형 스핀들(70)이 끼워진 후, 나선형 스핀들(70)을 포함하는 하프쉘부(50)가 하우징(10) 내로 끼워져서 맞물리게 된다. 이 경우, 하프쉘(50)은 축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으면서 하우징(10) 내에서 회전하며, 나선형 스핀들(70)의 외부나선(73)은 하프쉘부(50)의 내부나선(53)과 서로 맞물려 있다. 따라서 나선형 스핀들(70)은 하프쉘부(50) 및 하우징(10)내에 축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나선형 스핀들(70)의 코형상 돌출부(78)가 하우징(10)의 유도 홈(17)에 맞물리면, 나선형 스핀들(70)은 비틀림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하우징(10) 내에 고정된다. 이 결과, 하프쉘부(50)가 이미 언급한 수동핸들의 도움으로 회전하면, 나선형 스핀들(70)은 회전방향과 회전환경에 따라서 하프쉘부(50) 및 하우징(10)의 안쪽과 바깥쪽으로 반복 이동하게 된다. 나선형 스핀들(70)이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의 끝 부분에 있는 니플에 연결된 후,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는 수동핸들 또는 하프쉘부(50)의 회전방향 및 회전환경에 따라서 하우징(10)에 고정된 보덴 케이블 기구의 슬리브(30)의 외부 및 하우징(10)의 내부에서 가깝거나 멀게 반복 이동한다.
하기에서 더욱 자세하게 언급하듯이, 하프쉘부(50)에 관련된 나선형 스핀들(70)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상응되게 고안된 스톱부에 의해서 세로 방향으로는 제한된다. 도 21 ~ 도 26에서 제시된 것처럼, 나선형 스핀들(70)은 이미 언급한 외부나선(73)을 포함하는 스핀들 본체, 상부 끝 부분에 위치한 비나선 스핀들 헤드(71) 및 하부 끝 부분에 위치한 비나선 스핀들 기저(72)를 포함한다. 스핀들 기저(72)는 외부나선(73)을 포함하는 스핀들 본체를 둘러싸는 평탄한 부분이다. 두 개의 스톱 부(83)는 스핀들 기저(72)상의 서로 정 반대편에 위치한다. 도 22에 제시된 실시예에서, 스톱부(83)는 돌출되어 있으며, 그 높이는 나선형 스핀들(70) 또는 스핀들 기저(72)의 원주 방향으로 서서히 증가한다. 돌출되어 있는 스톱부(83)의 높이는 원주 방향(원주)의 스톱표면을 결정하며, 돌출되어 있는 스톱부(83)의 상부면은 축 방향의 스톱표면을 결정한다.
특히, 도 20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하프쉘부(50) 내부의 내부나선(53)의 끝 부분이며 동공(54)로 전환되는 부분에 돌출되어 있는 스톱부(63)가 존재한다. 이 스톱부(63)의 형태는 스핀들 기저(72)의 돌출되어 있는 스톱부(83)와 상응할 수 있다. 그러나, 제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되어 있는 스톱부(63)는 스핀들 기저(72)의 스톱부(83)에 있는 축 방향으로 증가하는 윗면에 상응하는 경사가 없다. 또한, 돌출되어 있는 스톱부(63)는 두 개의 스톱표면을 결정한다. 그 중 한 스톱표면은 하프쉘부(50)의 분리표면에 존재하며 스핀들 기저(72)의 스톱부(83)와 함께 하프쉘부(50)에 관련된 나선형 스핀들(70)의 원주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한정하며, 또 다른 스톱표면은 하프쉘부(50)의 축 방향으로 뻗어있으며 스핀들 기저(72)의 스톱부(83)의 축 방향 윗면과 함께 하프쉘부(50)에 관련된 나선형 스핀들(70)의 축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한정한다. 특히, 스톱표면(63 및 83)의 움직임 때문에, 정확하게 맞아떨어지는 쐐기 모양의 스톱부는 작동한다. 두 개의 하프쉘부(50)이 조립된 후, 스핀들 기저(72)의 스톱부(83)와 유사한 두 개의 짝을 이루는 스톱부(63)는 서로 정반대의 위치에 놓인다.
또한, 나선형 스핀들(70) 또는 하프쉘부(50)의 상부 끝에는 스톱부가 위치하 여 하프쉘부(50)에 관련된 나선형 스핀들(70)의 축 방향 또는 원주 방향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한한다. 도 21 ~ 도 26에 제시된 바, 정반대로 위치한 코형상 돌출부(78)는 축 방향 헤드(71)에서 돌출하며, 하우징(10)의 유도 홈(17) 내부로 들어간다. 코형상 돌출부(78)는 그들의 하부에 돌출부(82)를 포함하여, 스톱부를 원주 방향 및 축 방향으로 결정한다. 도 16 ~ 도 20에서 제시된바, 스톱부(61)은 하프쉘부(50)의 상부 가장자리의 한쪽 원주 끝 부분에 위치한다. 스톱부(61)은 하프쉘부(50)의 가장자리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톱부(61)은 나선형 스핀들(70)의 스톱부(82)와 접촉한다. 특히, 하프쉘부(50)의 스톱부(61)은 스톱표면을 나선형 스핀들(70)의 돌출부(82)의 원주 방향으로 상응하는 스톱표면에 대한 원주 방향으로 결정한다. 또한, 축 방향인 스톱부(61)의 꼭대기면은 돌출부(82)의 스톱표면 또는 코형상 돌출부(78)의 아랫면에 대해 상응하는 스톱표면이 된다. 또한, 하프쉘부(50)의 스톱부(61)의 축 방향 스톱표면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므로, 이와 정확하게 맞아떨어지면서 쐐기 모양을 해야 하는 스톱부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프쉘부(50)가 조립된 후, 완전히 정반대 위치에 두 개의 스톱부(61)가 형성되며, 이는 나선형 스핀들(70)의 완전히 정반대위치에 놓인 스톱부(82)와 상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프쉘부(50) 및 나선형 스핀들(70)의 스톱부 및 그 짝이 되는 스톱부 각각은 하프쉘부(50) 또는 나선형 스핀들(70)의 비나선부에 형성된다.
축 방향 헤드(71)의 코형상 돌출부(78)는 상호 간에 원주 방향으로 접해 있는 몇 개의 물결형태 리브(79)를 포함하며, 이런 리브(79)의 각각은 축 방향으로 뻗어있는 상승부(80)를 포함한다. 코형상 돌출부(78)가 선형으로 세공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리브(79)는 선형부를 수용할 수 있다. 리브(79)가 버팀대 역할을 하여 소량의 마찰력을 흡수하므로, 하우징(10)의 내부에 있는 정확하게 맞아떨어지는 나선형 스핀들(78)의 스톱부를 지탱하게 된다. 특히, 이미 언급한 원주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영향을 끼치는 스톱표면을 포함하는 하프쉘부(50) 및 나선형 스핀들(70)의 스톱부의 장치 때문에 조절력을 허용한도보다 높게 부과하거나 오용하는 경우에도 코형상 돌출부(78)의 손상 또는 파괴를 피할 수 있으므로, 코형상 돌출부(78)의 선 세공 형성이 가능하다.
도 21 ~ 도 24에서 제시된 바, 나선형 스핀들(70)의 외부나선(73)은 완전한 원주형은 아니다. 홈 형태인 비나선부(74)는 나선형 스핀들의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에 의해 외부나선(73)이 나선형 스핀들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세 개의 동등한 크기의 나선부로 나뉘게 된다. 이런 나선부는 나선형 스핀들의 세로 방향으로 길이가 같고, 원주 방향으로는 폭이 같다. 즉, 나선부는 동일한 각도로 뻗어 있다. 나선형 스핀들(70)의 외부나선(73)이 세 개의 부분으로 나뉨으로써, 나선형 스핀들(73)의 제작장치가 비나선부(74)에서 멈추게 할 수 있다. 또한, 세 개의 다리가 나있는 숄더 장치가 하프쉘부(50) 내부에서의 나선형 스핀들을 충분하게 안정되게 한다.
축 방향 헤드(71)는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의 니플을 수용하기 위해 이미 언급했듯이 측면에 원형 통로(75)를 포함한다. 상기 원형 통로는 측면에 형성된 슬롯(76)을 거쳐서 나선형 스핀들의 정면에 형성된 축 방향 통로(77)와 연결된다. 따라서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의 니플이 하우징(10)의 측면에 있는 원형 통로(14) 및 축 방향 헤드(71)의 측면에 있는 원형 통로(75)를 통과한 후, 와이어는 하우징(10) 및 나선형 스핀들(70) 각각의 슬롯(15 및 76)을 지나 축 방향 통로(13 및 77)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는 나선형 스핀들(70) 및 하우징(10)의 축 방향으로 유도된다. 와이어의 니플은 나선형 스핀들(70)의 내부 공간에 놓인다.
특히, 도 21, 도 22 및 도 2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축 방향 헤드(71) 내부에는 축 방향 헤드(71)의 내벽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나있는 몇 개의 리브(84)가 존재한다. 특히, 상기 실시예에서는, 축 방향 헤드(71)의 내벽의 원주를 따라 균등하게 분포된 4개의 리브가 있다. 리브(84)는 니플이 축 방향헤드(71)의 내벽에 접하지 않도록 하여 마찰손실을 없애는 방식으로, 와이어 및 와이어의 끝 부분에 있는 니플 각각이 축 방향 통로(77)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특히, 리브(84)는 와이어와 니플 각각이 축 방향 통로(77)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또한, 나선형 스핀들(70)의 조절은 보덴 케이블 기구의 와이어에 축 방향으로 가능한 정확하게 전이된다. 따라서 하우징(10) 또는 하프쉘부(50) 각각의 내부에 있는 나선형 스핀들(70)이 기울어지지 않는다.
축 방향 헤드(71) 측면의 원형 통로(75) 반대쪽 면에, 더 작은 구멍으로 되어있는 원형 통로(81)가 있어서, 나선형 스핀들 제작용 제작장치의 맞물림을 가능케 한다. 나선형 스핀들을 제작하는 동안, 스핀들은 제작장치의 중앙에 위치해야 한다. 원형 통로(81 및 75)가 제작과정에서 제작장치의 경사부가 스핀들의 내부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동안 스핀들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방법에 의해서 나선형 스핀들(70)의 세선 세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절장치는 자동차 등의 좌석 뒷부분에서 골반부 및/또는 요추부를 지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에 유용한 보덴 케이블장치용 조절장치로서 더욱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는 본 출원의 우선범위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수동 및 자동으로 작동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2)

  1.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에 있어서, 하우징(10), 제1나선부(70) 및 제2나선부(50)을 포함하며, 상기 제1나선부(70)는 비틀림이 방지되면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하고 보덴 케이블 기구에 체결되며, 상기 제2나선부(50)는 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하며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10) 내부에 정렬되고 제1나선부(70)와 체결되며, 상기 제1나선부(70) 및 제2나선부(50) 각각은 서로의 나선이 맞물리는 나선부(75; 33)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나선부(70) 및 제2나선부(50) 각각은 각각의 나선부(73; 53)와 접하는 나선부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나선부에 대한 스톱부(82, 83; 61, 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나선부(70, 50)의 스톱부(82, 83; 61, 63)는 제1 및 제2 나선부 사이에서 상기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의 원주 방향 및 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나선부 중 하나의 나선부는 외부나선(73)을 포함하는 나선형 스핀들(70)이고 다른 나선부는 내부나선(53)을 포함하며 속이 빈 원통형이고, 상기 나선형 스핀들(70)의 상기 외부나선(73)은 속이 빈 원통형의 상기 다른 나선부(50)의 내부나선(53)과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나선형 스핀들(70)은 비나선 단부(82)에 하나 이상의 스톱표면을 정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8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핀들(70)의 비나선 단부(82)에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83)는 나선형 스핀들(70)의 원주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스톱표면과 나선형 스핀들(70)의 축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스톱표면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나선형돌출부(70)의 비나선 단부(82)에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83)의 높이가 나선형돌출부(70)의 원주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핀들(70)은 비나선 단부(82)에 스톱부로서 적어도 두 개의 정 반대로 향한 돌출부(8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핀들(70)은 하나의 비나선 단부(71)에 하나 이상의 스톱표면을 정하는 하나 이상의 코형상 돌출부(7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나선형 스핀들(70)의 비나선 단부(71)의 하나 이상의 코형상 돌출부(78)는 나선형 스핀들(70)의 축 방향 및 나선형 스핀들(70)의 원주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스톱표면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코형상 돌출부(78)는 하나 이상의 리브(79)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리브(79)는 하나 이상의 코형상 돌출부(78)의 윗면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스톱표면은 하나 이상의 코형상 돌출부(78)의 아랫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리브(79)는 하나 이상의 상승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리브(79)의 하나 이상의 상승부(80)는 상기 하나 이상의 리브(79)가 상기 하나 이상의 상승부(80)와 함께 하우징(10)의 내벽에 대한 스톱부 역할을 하도록 나선형 스핀들(70)의 축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핀들(70)은 나선형 스핀들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 소정개수의 물결형상 리브(79)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정반대로 향한 코형상 돌출부(7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실린더인 나선부(50)는 높이가 원주 방향으로 서서히 증가하는 비나선형 단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61)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61)는 원주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스톱표면 및 축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스톱표면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선부(70) 및 제2나선부(50)의 스톱부(82, 83; 61, 63)는 제1나선부(70) 및 제2나선부(50) 사이의 스톱부에 의해서 정하는 스톱표면이 정확하게 맞는 방식으로 고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KR1020077003407A 2003-08-22 2004-08-17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KR100818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3407A KR100818957B1 (ko) 2003-08-22 2004-08-17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38737.4 2003-08-22
KR1020077003407A KR100818957B1 (ko) 2003-08-22 2004-08-17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885A Division KR100797804B1 (ko) 2003-08-22 2004-08-17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918A Division KR100818956B1 (ko) 2003-08-22 2007-08-10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374A KR20070032374A (ko) 2007-03-21
KR100818957B1 true KR100818957B1 (ko) 2008-04-04

Family

ID=4164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407A KR100818957B1 (ko) 2003-08-22 2004-08-17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9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7583A1 (fr) 1991-06-03 1992-12-09 Acco La Teledynamique Commande par cable en deux parties
EP0774590A1 (de) 1995-11-18 1997-05-21 Jörg Schwarzbich Spannschloss für Kabelz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7583A1 (fr) 1991-06-03 1992-12-09 Acco La Teledynamique Commande par cable en deux parties
EP0774590A1 (de) 1995-11-18 1997-05-21 Jörg Schwarzbich Spannschloss für Kabelz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374A (ko) 200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707B1 (ko)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JP3580818B2 (ja) 座部と連結可能なバックレスト内に配置されている骨盤支え及び/又は脊椎前湾部支えを調整するためのボーデン式制御ケーブルユニットを備えた座席の調整装置
KR100902968B1 (ko) 라인 안내 장치를 구비한 로봇
US8839566B2 (en) Bearing site for a redirecting element
EP1031503B1 (en) Derailleur cable router with a cable housing support that pivots in multiple directions
CN103350319B (zh) 一种用于线性运动导螺杆和螺母总成中螺母和螺丝自动对准的悬置轴环夹持装置
CN100570176C (zh) 线性致动器
KR100818957B1 (ko) 보덴 케이블 기구용 조절장치
EP0623770A1 (en) Ball valve
JP2007530879A (ja) ネジボルトを備えた支持部材に固定するための装置
CN1071434C (zh) 散热器调节阀
CN113446373A (zh) 滚珠丝杠传动机构和安装方法
KR100189305B1 (ko) 방적기계의 래핏
KR101220386B1 (ko) 핀 클램프 유닛
CA2975246A1 (en) Brake actuator apparatus for shielding and centering
RU2132989C1 (ru) Вентиль, в особенности встраиваемый вентиль
JP6174382B2 (ja) カバー部材
CN108699879B (zh) 车辆用拉线式车窗调节器
US7401535B2 (en) Twist-grip bicycle shifter
EP1730339B1 (en) Yarn feeding device
CN220254283U (zh) 一种旋转调节结构
JPH09144424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駆動装置
WO2021039608A1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CN1182847A (zh) 散热器调节阀
KR20000045730A (ko) 자동차용 변속레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