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496B1 - 왕겨 팽연화 장치 - Google Patents

왕겨 팽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496B1
KR100818496B1 KR1020060075660A KR20060075660A KR100818496B1 KR 100818496 B1 KR100818496 B1 KR 100818496B1 KR 1020060075660 A KR1020060075660 A KR 1020060075660A KR 20060075660 A KR20060075660 A KR 20060075660A KR 100818496 B1 KR100818496 B1 KR 100818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screw
housing
chaff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5748A (ko
Inventor
김성희
Original Assignee
김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희 filed Critical 김성희
Priority to KR1020060075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496B1/ko
Publication of KR20060095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23L7/174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 A23L7/178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by pressure release with o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 A23P30/38Puffing or expanding by he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팽연부를 수평식으로 제작 설치하고 원통형 케이싱을 관통되도록 배치되는 회전축과 케이싱 외부에 왕겨 정량공급 스크류를 설치하는 것과 왕겨 팽연화 작업시 팽연부 하우징 외부에 열선 과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200-300 ℃의 적정온도 유지와 팽연스크류의 회전압력(3-5kg/cm2)에서 팽연이 균일하게 하고, 팽연부의 팽연 스크류 와 팽연 하우징의 나선형 이빨의 장시간 사용시 마모부분의 간격조정을 위하여 케이싱과 팽연 하우징의 조립 플랜지 사이에 팽연하우징 조정볼트 사이에 간격조정 라이너를 끼워 넣어서 팽연스크류 와 팽연 하우징의 나선형 이빨의 마모시 간격조정 라이너를 1매씩 빼내어 간격을 조정한후 재조립하여 팽연왕겨를 생산 할수 있도록 하는 것과 스크류 샤프트와 팽연스크류를 일체형으로 각각 분리제작, 조립하여 균일한 팽연생산은 물론 장시간 운전을 가능케하고 보수비용과 보수인력등을 절감할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지으로한 왕겨 팽연화 장치
Figure R1020060075660
케이싱, 스크류 축, 팽연 하우징, 팽연 하우징 조절볼트 팽연 스크류, 간격조정 라이너,

Description

왕겨 팽연화 장치 {Rice - chaff Expanding Apparatus}
도 1은 본발명 팽연화장치의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발명 팽연화장치의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발명 팽연화장치의 요부 단면 상세도
도 4의 "가"도는 본발명의 A부분 확대 단면 예시도
도 4의 "나"도는 본발명의 A부분 평면 예시도
도 4의 "다"도는 본발명의 B부분 확대 예시도
도 5의 "가"도는 본발명의 C부분 확대 단면도
도 5의 "나"도는 본발명의 C부분 평면 예시도
도 5의 "다"도는 본발명의 D부분 확대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발명의 히팅 권취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본발명의 도6의 정면 예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원료투입 곤베어 2 : 호퍼 3 : 프레임 4 : 종동축 베어링
5 : 팽연 하우징 6 : 케이싱 7 : 구동축 베어링 8. 13 : 플리
9 : 슈트(chute) 10 : 기어드 모터 11 : 배출 콘베어 12 : 배출 슈트
14 : 인디게이트 15 : 베이스 플레이트 16 : 고정링 17 : 리테이너
18 : 하우징 플랜지 19 : 공급 스크류 20 : 내부 케이싱 21' : 스크류 축
21 : 팽연 스크류 22 : 왕겨 23 : 열선(heating coil) 24 : 온도센서
25 : 인출 스크류 26 : 스토퍼 27 : 팽연 하우징 조정볼트 28 : 간격 조정 라이너(clearance adjusting liner) 29 : 구동, 종동축의 조절볼트
30 : 케이싱 조정볼트 31 : 케이싱 베이스 플레이트
본 발명은 왕겨 팽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왕겨를 고온, 고압 하에서 압축 및 분쇄시켜 왕겨 표면의 단단한 조직을 파괴하여 부드럽고 흡수성이 좋은 성질을 갖고 입자를 균등하게 할 수 있는 팽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팽연화 왕겨 장치를 수평으로 제작한 것과 일정온도 하에 팽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온도열선 및 온도센서를 설치하고 팽연부의 간격조정(대표도)을 쉽게 한 왕겨 팽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왕겨 팽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왕겨를 고온상태에서 일정한 압력에 의해 압축 분쇄시켜 배출하여 왕겨의 단단한 조직을 파괴하여 부드럽고 균일한 입자로 수분의 흡수성이 좋은 성질을 갖도록 하는 왕겨 팽연화 장치를 고안한 것이다.
종래에는 실용신안등록제 101652호 왕겨 분쇄장치와 특허공개번호 10-2001-0035112호 왕겨 팽연분쇄기 및 특허공개번호제 2002-23195호 왕겨 팽연화 장치등이 출원등록 및 공고 되여 있는데 왕겨를 분쇄한 경우에는 왕겨를 투입하여 열을 가하고 압축하면 압축가열 형식 및 물에 왕겨가 떠오르지 않도록 일단 압축한 후 왕겨 공급구에 물 공급 장치를 사용하거나, 포화 수증기를 이용, 왕겨의 원활한 투입을 하기 위하여 에어 스프레이를 사용하거나 하여 균일한 팽연 왕겨의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는데,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은;
1) 투입구와 배출구를 가지는 본체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여 왕겨 이송부와 왕겨 가압압축부 및 커터가 설치되여 투입되는 왕겨의 공급상태 및 속도를 조절하는 이송스크류와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와 왕겨를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수평 팽연 왕겨 팽연화 장치는 원통형 케이싱내에 스크류 축이 테이퍼진 반대측에만베어링이 지지되여 있어서 회전시 스크류 축의 수평 흔들림이 커지고, 왕겨가 하부에만 누적, 불균일한 분포에 의해 수평 흔들림이 더욱 가중되고,
2) 관성 모멘트(moment)가 일정치 않아 스크류(screw)축의 피로한계가 단 시간에 도래하여 샤프트(shaft)의 벤딩(Bending)이나, 절단 사고를 발생시키게 되고 마모율이 높아 교체시기가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3) 스크류 축(screw shaft)과 원통 케이싱(casing)이 고정되어 있어 팽연 스크류(21) 및 팽연 하우징(5)의 이빨(teeth) 마모시 팽연 왕겨의 입도조절이 어려워 균일한 팽연 생산에 어려움이 많았다.
4) 스크류 하우징(screw housing)의 잦은 막힘 현상으로 팽연 왕겨 장치의 연속적인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왕겨를 이송하고 투입 콘베어(1) 하단에 왕겨가 투입되는 호퍼(2) 와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싱(6)과 원통 케이싱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가압 및 왕겨정량 공급 스크류(19)와 회전축의 외면에 형성되는 팽연 스크류(21)와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팽연 스크류(21)를 덮도록 마련된 팽연 스크류 커버와 왕겨 팽연화 작업시 팽연부(팽연 하우징(5) 및 팽연 스크류(21))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한 열선(23), 팽연 스크류(21) 및 팽연 하우징(5)이 장시간 운전하여 스크류 이빨면이 마모 되었을 때 발생하는 팽연 스크류(21)와 팽연 하우징(5)의 간격을 쉽게 조정할 수 있게 얇은 간격조정 라이너(28)를 조립한 다음 팽연 스크류(21)가 일정량 마모 되었을 때 간격조정 라이너(28)를 하나씩 뺄 수 있게 하면 팽연왕겨(22)를 일정한 압력 (3∼5 kg/㎠)하에 균일하게 생산하고, 팽연 시킬 때의 온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열선(23))을 팽연부 하우징(5) 외주면부에 권취하여 200∼300℃의 가열선 을 권취 하고, 300℃ 이상에서는 왕겨 껍질이 새까맣게 타게 되고, 200℃ 이하로 내려가면 왕겨의 굵은 강모인 리그닌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본래의 팽연 왕겨의 기능을 할 수 없게 하여 일정한 온도 유지를 위하여 팽연 하우징(5)에다 온도센서(24)를 설치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팽연화 장치를 얻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축의 안정적인 고정과 회전 안전성을 확보하여 장시간 운전을 가능하게 하고 팽연왕겨를 균일하게 생산할수 있도록 하여 원통부 팽연 스크류(screw)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왕겨팽연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으 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팽연 하우징(5)과 후측에서 연결하는 하우징 플랜지(18)를 체결 하는 팽연 하우징 조절볼트(27)로 조절하는 사이에 간격 조정 라이너(28)를 다수매 끼워 팽연 스크류(21))와 팽연부 하우징(5)의 마모에 의하여 캡 (간격)이 커졌을 때 팽연 왕겨는 입도규격이 커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간격조정 라이너(28)를 제거하여 균일한 간격을 맞추어 운전하면 균일한 입도의 팽연 왕겨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왕겨 팽연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투입 콘베어(1)에 의해 이송되어진 왕겨는 호퍼(2)에 저장 되어지며 케이싱(6) 내부에 설치되어진 내부 케이싱(20)의 공급 스크류(19)에 의해 일정량이 팽연 스크류(21)와 팽연 하우징(5)의 간격 사이로 통과 되어지고, 원추형 팽연 스크류(21)와 팽연 하우징(5)사이에 투입 되어진 왕겨는 원추형 팽연 스크류(21)를 통과할 때 팽연의 나선형 이빨의 회전력에 의해 가압이 발생(3∼5kg/㎠)하고 팽연 하우징(5)외부에 설치되어진 열선(23)에 의하여 가온(200∼300℃)되어진 균일하고 완전한 팽연 왕겨가 생산되어 진다.
온도가 200℃ 이하로 떨어지면 팽연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300℃ 이상일 때는 왕겨 껍질이 새 까맣게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팽연 하우징(5)의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온도센서(24)를 포함하는 팽연화 장치이다.
특히, 팽연 스크류(21) 및 팽연 하우징(5)의 나선형 이빨(teeth)이 장시간 사용 했을 때 마모 되어지면 팽연 하우징(5)과 팽연 스크류(21)의 간격이 넓어져 팽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때 케이싱(6)의 팽연 하우징 조정볼트(27)을 풀어 팽연 하우징(5)과 팽연 스크류(21)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팽연 하우징 조정볼트(27)를 다시 조여서 조립한 후 팽연 왕겨를 생산 하게된다 즉, 팽연 하우징 조정볼트(27) 조정 시에는 후측 스크류 축(21') 및 플리(8) 와 하부 기어드 모터(10) 및 플리(13)를 V홈 플리에 수직되게 조정하는 관계로 많은 조정시간 및 많은 보수, 인력이 필요하여 팽연 생산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팽연 하우징(5)과 팽연 스크류(21)의 연결부(도3)의 플랜지 사이에 얇은 간격조정 라이너(28) 4매를 끼워서 팽연 하우징 조정볼트(27)를 조여서 결합하여 운전 하다가 팽연부 하우징(5)과 팽연 스크류(21)의 간격이 벌어지면 팽연 하우징 조정볼트(27)를 풀고 간격조정 라이너 1매를 빼고, 다시 팽연 하우징 조정볼트(27)를 조여서 결합하여 사용케 하므로 장시간에 걸쳐 팽연왕겨를 생산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팽연화 장치이다.
또한, 종래의 선출원 된 것은 스크류의 마모 및 운전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팽연 스크류(21)와 스크류 축(21')를 일체형으로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팽연 스크류의 나선형 이빨(teeth)이 완전히 마모 되었을 때 스크류 축(21') 및 팽연 스크류(21) 전체를 분해하여 팽연 스크류(21) 나선형 이빨을 보수한 후 재조립 하였으나 스크류 축(21')와 팽연 스크류(21)를 각자 분리하여 제작, 조립 함으로써 나선형 이빨(teeth) 보수시 팽연 스크류(21)만 분해하여 보수한 후 재 조립 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수시간 절약은 물론 다량의 팽연왕겨를 량산할 수 있게 하는 팽연화 장치이다.
따라서, 본원의 구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볼 때, 특히, 팽연부의 팽연 스크류 및 팽연 하우징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팽연부의 간격이 마모가 되는 경우 간격 조정 라이너를 한개씩 빼서 간격을 쉽게 조정할 수 있게 하며, 팽연 스크류와 스크류 축을 일체형으로 제작 사용하지 않고, 각각 분리 제작 하므로서 분해와 보수후 재 조립을 편리하게 하여 사용케 하므로서, 보수 시 단시간에 신속히 조립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적인 것이다.

Claims (2)

  1. 삭제
  2. 팽연 하우징(5)과 팽연 스크류(21)의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팽연 하우징 플랜지와 팽연 스크류 플랜지에 팽연하우징 볼트를 결착 고정케 하고, 팽연 스크류와 팽연스크류 축을 일체형으로 구성한 왕겨 팽연화 장치에 있어서,
    팽연부의 팽연 스크류(21) 와 팽연 하우징(5)의 나선형 이빨(teeth)의 장시간 사용시 마모부분의 간격 보정을 위하여 케이싱(6)과 팽연 하우징(5)의 조립 플랜지 사이에 다수매의 간격조정 라이너(28)을 끼워 넣어서 팽연 하우징 조정볼트(27)로 조립 하고, 팽연 스크류(21) 와 팽연 하우징(5)의 나선형 이빨(teeth)의 마모시 팽연 하우징 조절볼트를 풀고 간격조정 라이너(28)를 1매씩 빼내어 간격을 조정한 후 재조립 토록 함과, 스크류 축(21')와 팽연 스크류(21)를 각각분리 제작하여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왕겨 팽연화 장치
KR1020060075660A 2006-08-07 2006-08-07 왕겨 팽연화 장치 KR100818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660A KR100818496B1 (ko) 2006-08-07 2006-08-07 왕겨 팽연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660A KR100818496B1 (ko) 2006-08-07 2006-08-07 왕겨 팽연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748A KR20060095748A (ko) 2006-09-01
KR100818496B1 true KR100818496B1 (ko) 2008-03-31

Family

ID=3762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660A KR100818496B1 (ko) 2006-08-07 2006-08-07 왕겨 팽연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320B1 (ko) 2015-04-03 2015-10-15 대왕전기(주) 변전소의 메인 부스 교체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6385A (ja) 1998-02-03 1999-08-10 Kitagawa Iron Works Co Ltd 擂潰装置および擂潰物
KR20000051936A (ko) * 1999-01-28 2000-08-16 박석만 왕겨팽연화기
KR20010035112A (ko) * 2000-12-15 2001-05-07 이용삼 왕겨 팽연 분쇄기
KR20020023195A (ko) * 2001-12-18 2002-03-28 서용교 왕겨팽연화장치
JP2002126548A (ja) 2000-10-31 2002-05-08 One Touch Chikusan Shizai Kenkyusho:Kk 籾殻粉砕装置
KR200373535Y1 (ko) * 2004-10-20 2005-01-21 (주)지앤엘 왕겨 팽연화 장치
KR100711518B1 (ko) 2006-02-28 2007-04-27 정준환 왕겨 팽연화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6385A (ja) 1998-02-03 1999-08-10 Kitagawa Iron Works Co Ltd 擂潰装置および擂潰物
KR20000051936A (ko) * 1999-01-28 2000-08-16 박석만 왕겨팽연화기
JP2002126548A (ja) 2000-10-31 2002-05-08 One Touch Chikusan Shizai Kenkyusho:Kk 籾殻粉砕装置
KR20010035112A (ko) * 2000-12-15 2001-05-07 이용삼 왕겨 팽연 분쇄기
KR20020023195A (ko) * 2001-12-18 2002-03-28 서용교 왕겨팽연화장치
KR200373535Y1 (ko) * 2004-10-20 2005-01-21 (주)지앤엘 왕겨 팽연화 장치
KR100711518B1 (ko) 2006-02-28 2007-04-27 정준환 왕겨 팽연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320B1 (ko) 2015-04-03 2015-10-15 대왕전기(주) 변전소의 메인 부스 교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748A (ko) 200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05504Y (zh) 防缠绕式秸秆粉碎机
CN104907117A (zh) 立式碾米机
KR100818496B1 (ko) 왕겨 팽연화 장치
CN201042701Y (zh) 农用圆锥型离心式风机
CN102397798A (zh) 多功能粮食脱皮机
CN201244494Y (zh) 新型碾米机
CN201299011Y (zh) 碾搓式谷子脱粒装置
CN207641628U (zh) 一种中药粉剂动物用药的研磨设备
CN109225868A (zh) 一种连续式茶叶加工设备
CN213610911U (zh) 一种食品加工机械
CN101411271B (zh) 碾搓式谷子脱粒装置
KR200373535Y1 (ko) 왕겨 팽연화 장치
CN2477273Y (zh) 压砣碾米机
CN207238166U (zh) 饲料超微粉碎机
CN213208574U (zh) 一种大米生产用烘干设备
JP5257830B2 (ja) エタノールの製造のためのとうもろこし粒の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CN220177039U (zh) 一种锤片式粉碎机
CN220859380U (zh) 一种饲料制粒机的上料机构
CN2501576Y (zh) 齿爪式粉碎机
CN110479451A (zh) 一种涡轮式粉机
KR100699176B1 (ko) 왕겨 팽연화 장치
CN214102407U (zh) 一种青饲料的加工装置
CN209613081U (zh) 一种磨米机
CN210357486U (zh) 一种畜牧业用饲料研磨装置
KR20020023195A (ko) 왕겨팽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