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176B1 - 왕겨 팽연화 장치 - Google Patents

왕겨 팽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176B1
KR100699176B1 KR1020050038720A KR20050038720A KR100699176B1 KR 100699176 B1 KR100699176 B1 KR 100699176B1 KR 1020050038720 A KR1020050038720 A KR 1020050038720A KR 20050038720 A KR20050038720 A KR 20050038720A KR 100699176 B1 KR100699176 B1 KR 100699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ff
screw
rotating shaft
cylindrical casing
swe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6366A (ko
Inventor
김성희
Original Assignee
김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희 filed Critical 김성희
Priority to KR1020050038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176B1/ko
Publication of KR20060036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7/00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 C10B57/08Non-mechanical pretreatment of the charge, e.g. desulfurization
    • C10B57/10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발명은 왕겨 팽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왕겨를 고온 고압화에서 압축 및 분쇄시켜 배출함으로써 왕겨의 단단한 조직을 파괴하여 부드럽고 수분의 흡수성이 좋은 성질을 갖도록하는 왕겨 팽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
본발명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왕겨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 스크류의 하단에 배치되어 왕겨가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통형 케이싱과 상기 원통형 케이싱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형성되는 가압 및 정량 왕겨공급 스크류와, 상기 가압 및 정량 왕겨공급 스크류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팽연스크류와,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팽연스크류를 덮도록 마련되는 팽연 스크류커버와, 상기 팽연스크류 커버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와, 팽연왕겨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를 갖는 왕겨 팽연화 장치에 있어서, 왕겨 팽연화 작업시 상기 원통형 케이싱내의 온도와 압력을 200-300℃, 3∼5kg/㎠로 유지할수 있도록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 팽연화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고안은 회전축의 안정적인 고정과 회전안정성을 확보하여 보다 안전하게 팽연왕겨를 생산할수 있도록하며, 회전축에 형성되는 스크류를 오랜기간 사용할수 있으며, 원통형 케이싱을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분도를 조절할수 있으므로 팽연왕겨의 입도 및 팽연화 정도를 조절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왕겨, 팽연, 호퍼, 스크류, 분도

Description

왕겨 팽연화 장치{RICE-CHAFF EXPANDING APPARAIUS}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왕겨 팽연화 장치의 정면도
도 2a는 본발명에 따른 왕겨 팽연화 장치의 팽연스크류의 평면도
도 2b는 본발명에 따른 왕겨팽연화장치의 평연스크류의 단순모식도
도 3a는 본발명에 따른 왕겨팽연화 장치의 평연스크류 커버의단면도
도 3b는 본발명에 따른 왕겨팽연화 장치의 평연스크류 커버의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왕겨팽연화 장치 20 : 본체 21. 22 : 전,후 베어링
23 : 토출구 24 배출스크류 30 : 원통형케이싱
31 : 회전축 32 : 가압 및 정량왕겨공급 스크류
33 : 팽연스크류 34 : 팽연스크류 커버 35 : 가압압축부
36 : 배출구 40 : 투입부 41 : 호퍼
42 : 이물질 제거망 43 : 왕겨투입량 조절센서
44 : 왕겨투입량 확인창 50 : 구동부 51 : 구동모터
52 : 구동풀리 53 : 회전축 풀리 60 : 온도조절부
61 : 온도센서 62 : 히터 70 : 분도조절핸들
80 : 이송부 81 : 투입스크류 82 : 이송스크류
본발명은 왕겨팽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왕겨를 고온 고압하에서 압축 및 분쇄시켜 배출하므로서 왕겨의 단단한 조직을 파괴하여 부드럽고 수분의 흡수성이 좋은 성질을 갖도록 하는 왕겨 팽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왕겨는 미곡종합처리장 및 도정공장 운용시 발생되는 주부산물로서 조곡의 약 17%(무게기준)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로 번개탄, 과실포장용 충진재, 돈사용깔개 및 퇴비등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들어 연탄사용의 격감, 포장재료의 고급화 및 운반비의 상승으로 인하여 왕겨의 이용이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왕겨는 표면에 굵은 강모가 존재하고 리그닌으로 다져져 있고 표피세포에 규산으로 침적되어 있어, 조직이 강하고 수분침투가 어려워서 잘 부식되지 않기 때문에 분쇄기로 분쇄하여 퇴비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왕겨를 단순하게 분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왕겨의 특성상 분쇄된 왕겨의 조직이 강하고, 수분침투가 어려워 부식이 잘되지 않기 때문에 이용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분쇄기로 왕겨를 분쇄하는 경우에는, 왕겨의 조직이 강하기 때문에 분쇄기의 마모가 심하여 부품을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왕겨의 조직을 팽창 및 연화시켜 수분 흡수율을 향상되도록 한 왕겨 팽연화 장치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팽연왕겨의 경우 일반 적으로 분쇄한 왕겨와는 현저하게 다른 부드러운 조직과 수분흡수성을 가지기 때문에 발효가 빠르고 가스발생이 현저하게 줄어들며 함수율과 분쇄입자가 매우 일정하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팽연왕겨는 수분조절제 및 축사깔개, 조사료, 원예용 상토, 벼재배용 상토등 다방면에 사용할수 있다,
종래의 왕겨팽연화 장치를 살펴보면, 투입된 왕겨를 압축하는 원통형케이싱에 팽연왕겨를 수평방향으로 배출하도록 배출구를 형성하고 원통형케이싱의 끝단면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구성함과 동시에, 원통형케이싱 내에 나선형의 스크류가 구비된 스크류축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압축하도록 구성하고, 스크류축의 끝단면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구성하여 왕겨의 팽창 및 연화를 행하도록 되어있다,
즉 종래의 왕겨팽연화 장치는 왕겨를 투입하여 물을 가하면서 스크류축을 회전시켜 압축하면 왕겨는 압축가열되고, 압축가열된 왕겨를 원통형케이싱 끝단부의 배출구에서 대기중으로 방출하여 왕겨를 단열팽창과 동시에 분쇄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왕겨 팽연화 장치에 의해 제조된 팽연왕겨는 원료인 왕겨에 비해 작은입도로 형성되고, 그 입도는 스크류축과 배출구 벽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작게 하므로써 팽연왕겨의 입자를 미세하게 할 수가 있고, 이 간극을 크게하므로서 팽연왕겨의 입자를 거칠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수평 왕겨팽연화 장치는 원통형케이싱내에 스크류축이 테이퍼진 반대축에만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있어서, 회전시 스크류축의 수평 흔들림이 커지고 왕겨의 하부 편재와 불균일한 분포에 의해서 수평흔들림이 더욱 크게되어, 결국 회전관성 모멘트가 일정치 않아 스크류축의 피로파괴를 발생시키게 되어 스크류의 마 모율이 높아 교체시기가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2002-23195호가 공개되여 있는데, 이것의 구성은 원통형 케이싱을 수직으로 장치하고 있어 공급되는 원료의 수직공급이 급속히 이루어 짐으로 인하여 원통형 케이싱과 회전축부 의 사이에서 공급과잉되는 왕겨가 엉키고 분쇄는 물론 필요에 따른 분분도를 조절할수 없다는 문제점이 따르고, 왕겨 공급 스크류의 잦은 막힘현상이 발생하여 왕겨팽연화 장치의 연속적인 작업이 어렵고, 특히 물을 공급하여 부드럽게 배출을 유도할 경우에는 떡과 같이 뭉쳐서 덩어리가 팽연화 작업의 중단을 시키는 고장의 원인이 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사용되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본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과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축의 안정적인 고정과 회전안정성을 확보하여 보다 안전하게 팽연왕겨를 생산할수 있도록 하며 원통형 케이싱에 형성되는 팽연스크류를 오랜기간 사용할수 있는 왕겨 팽연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발명의 다른목적은, 원통형케이싱을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분도를 조절할수 있으므로 팽연왕겨의 입도 및 팽연화 정도를 조절할수 있는 왕겨팽연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팽연 스크류에 정량으로 왕겨를 공급할수 있기 때문에 분쇄도를 일정하게 할수 있고, 왕겨의 공급이 팽연 스크류의 한날개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어 막힘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그로인해 기계의 마모 및 소음정도를 줄일수 있는 왕겨 팽연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왕겨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하단에 배치되어 왕겨가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통형케이싱과 상기 원 통형케이싱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축의 외면에 형성되는 가압 및 정량 왕겨공급스크류와, 상기 가압 및 정량 왕겨공급스크류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형성되는 팽연 스크류와,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팽연스크류를 덮도록 마련되는 팽연스크류 커버와, 상기 팽연스크류 커버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와 팽연 왕겨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를 갖는 왕겨 팽연화 장치에 있어서, 왕겨 팽연화 작업시 상기 원통형케이싱 내의 온도와 압력을 200-300℃, 3-5kg/㎠로 유지할수 있도록 온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 팽연화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온도조절부는 온도센서와 히터 및 냉각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원통형 케이싱의 위치를 전후로 조절할수 있도록하는 분도조절핸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뿐 본고안이 이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왕겨 팽연화장치의 정면도이다, 도2a는 본고안에 따른 왕겨팽연화 장치의 팽연스크류의 평면도이고,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왕겨팽연화 장치의 평연스크류의 단순모식도이고, 또한 도3a는 본고안에 따른 왕겨팽연화 장치의 평연스크류 커버의 단면도이며, 도3b는 본발명에 따른 왕겨팽연화 장치의 평연 스크류커버의 정면도이다,
도1내지 도3a를 참조하면, 본발명에 의한 왕겨팽연화장치(10)는 크게 본체 (20)와 이송부(80)로 구성되며, 본체(20)에는 원통형케이싱(30)과 투입부(40), 구동부(50), 온도조절부(60) 및 분도조절핸들(70)로 구성되는데, 가압 및 정량왕겨공급 스크류(32) 및 팽연스크류(33)의 안정적인 고정과 회전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회전축(31)을 고정할수 있는 전,후베어링(21.22)과 팽연왕겨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23) 및 토출구의 상단에 배치되는 배출스크류(24)를 포함한다,
이송부(80)는 본체(20)의 상단에 배치되며 별도의 모터에 의해 왕겨를 본체(20)에 제공하게 되는 투입스크류(81)와 본체(20)의 하단에 연결되어 팽연왕겨를 이송하는 스크류(82)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원통케이싱(30)은 호퍼(41)의 하단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호퍼(41)를 통해 투입된 왕겨가 담기게 되며 일측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데, 원통형케이싱(3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축(31)과, 회전축(31)에 등간격으로 날개가 부착되어 호퍼(41)로부터 공급되는 왕겨를 팽연스크류(33) 방향으로 이송 및 가압하는 가압 및 정량왕겨공급 스크류(32)를 이송되어진 왕겨를 고온 고압상태에서 팽연하는 팽연스크류(33) 및 팽연스크류 커버(34)가 배치 되게 된다, 여기서 가압 및 정량왕겨공급 스크류(32) 및 팽연스크류(33)를 회전축(31)과 일체로 제작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스크류(32. 33)의 마모를 줄이고 소음을 줄일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원통형케이싱(30)의 내부에 배치되는 팽연스크류(33)와 팽연스크류커버(34)의 사이에서 왕겨가 팽연되는 공간인 가압압축부(35)와 팽연왕겨가 배출되는 배출구(36)를 포함한다,
투입부(40)는 이송부(80)의 투입스크류(81)에 의해 투입되는 왕겨를 1차적으로 담아 원통형케이싱(30)으로 전달하게되는 효퍼(41)의 하단 내부에 장착되는 이물질 제거망(42), 그리고 호퍼(41)의 일측에 마련되어 왕겨의 투입량을 조절할수 있는 왕겨투입량 조절센서(43)와 호퍼(41)에 투입된 왕겨의 양을 눈으로 확인하여 왕겨의 투입량을 조절할수 있도록 하는 왕겨 투입량확인창(4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호퍼(41)는 자동으로 진동하도록 하는 자동진동효퍼를 사용하여 진동에 의해 투입되는 왕겨를 원통형케이싱(30)에 잘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50)는 본체(20)의 하단에 배치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모터(51)와 구동모터(51)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동폴리(52), 회전축(31)에 장착되며 구동폴리(52)의 회전에따라 통상 사용되는 벨트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축폴리(53)로 구성된다,
온도조절부(60)는 본체(20)의 일측에 마련되며 팽연스크류커버(34) 외주면에 히터(62)를 권선 설치하며 동시에 온도쎈서(61)를 상기 팽연스크류커버 외주면 임의 지점에 상기 히터와 연결하여 장치하며, 가압압축부(35)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1)와 전원을 인가받아 가압압축부(35)에 열을 공급하는 열선으로 이루어지는 히터(62)로 구성되게 되어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온도조절부(60)는 온도센서(61)와 히터(62)외에 냉각팬(미도시)등을 구비하여 온도를 낮출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분도조절핸들(70)은 원통형케이싱(30)의 위치를 전후로 조절하여 팽연스크류(33)와 팽연스크류커버(34)의 거리를 조절 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팽연왕겨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공급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이를 위해 물공급부를 본체(20)에 마련하여 가압압축부(35)에 물을 공급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왕겨 팽연화 장치의 작동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왕겨팽연화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면 구동부(50)의 구동모터가 작동되게 되며, 구동모터(51)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동폴리(52)와 벨트로 연결된 회전축폴리(53)에 의해 회전축(31)이 구동모터(51)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동시에 회전축(31)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 및 정량왕겨공급 스크류(32)가 회전되며, 팽연스크류(33)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이송부(80)의 투입스크류(81)를 이용하여 왕겨를 호퍼(41)에 투입하게 되는데, 호퍼(41)에 투입되는 왕겨의 양은 호퍼(41)에 장착되어 있는 왕겨투입량 조절센서(43)에 의해 투입스크류(91)의 속도를 조절하는 방식등을 사용하여 조절한다
그리고, 호퍼(41)에 투입된 왕겨는 호퍼(41)의 하단에 장착되는 이물질 제거망(42)에 이물질이 제거되는 원통형케이싱(30) 내에서 회전하고 있는 가압 및 정량왕겨 공급스크류(32)의 상단에 쌓이게 된다,
이후 본체(20)에 설치된 물공급부(미도시)를 통해 소정량의 물이 왕겨로 공급되게되고, 이와동시에 가압 및 정량왕겨 공급스크류(32)의 회전에 따라 왕겨가 물과 혼합된 상태로 팽연스크류(33)으로 이송되게된다, 이때에 물의 공급은 왕겨가 물에 떠오르지 않는 수준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팽연스크류(33)로 이송된 물과 혼합된 왕겨는 원통형케이싱(30)의 직 경이 배출구(36)쪽으로 작아지도록 태이퍼지게 형성되는 가압압축부(35)에서 왕겨의 이송되는 단위면적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압축되게 된다,
또한 온도조절부(60)의 히터(62)로부터 발생된 팽연스크류커버(34)를 가열시켜서 가열 되는 열이 왕겨에 가해지게 되고, 가압 및 정량왕겨공급 스크류(32)에 의해 배출구(36) 방향으로 전진하던 왕겨는 가압압축부(35)의 후단에 형성된 테이퍼부와 팽연스크류 커버(34)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의해 일단 저지 되기 때문에 여기에서 왕겨에 고온고압이 작용하여 왕겨의 조직 내의 수분이 물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연화되기 시작하고 이어서 팽연스크류(33)와 팽연스크류커버(34)에 의해 분쇄되게 된다,
여기서 가압압축부(35)는 고온과 고압이 발생되는 부분으로 그 온도를 팽연이 되는 적정한 온도로 유지하여 주므로서 고른 성상을 가진 팽연왕겨를 생산할수 있게된다,
이에따라 가압압축부(35)의 온도는 200-300℃를 유지하게되며, 압력은 3-5kg/㎠를 유지하게 되는데 가압압축부(35)의 온도가 300℃를 넘게되면 왕겨가 팽연이 되면서 탈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할수 있으며 200℃미만일 경우에는 팽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수 있기때문이며, 이와 마찬가지로 가압압축부(35)의 내부 압력이 5kg/㎠를 넘을 경우 왕겨가 원하는 팽연정도를 넘어설수 있으며, 3kg/㎠ 미만일 경우 팽연이 잘되지 않을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압압축부(35) 내의 온도를 체크할수 있는 온도센서(61)와 가압압축부(35)의 온도를 높일수 있도록 히터(62)를 장착하여 항상 일정한 팽연온도를 유지할수 있도록 하게된다,
여기서, 히터(62)에 의해 가압압축부(35)의 온도를 높인후 온도를 낮출수 있도록 냉각팬(미도시)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팽연왕겨는 200-300℃의 고온에서 처리되므로 병원균, 해충의 알 및 잡초의 씨등이 사멸하여 무균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그리고 팽연스크류(33)와 팽연스크류커버(34)에 의해 분쇄된 왕겨는 가압압축부(35)의 좁은 틈새를 통해 배출구(36)로 밀려나온 순간 급격한 감압이 작용하게 되며 이로인해 왕겨의 조직과 조직내의 수분이 함께 폭발적으로 급팽창하게 됨에따라 분쇄된 왕겨의 조직이 연화되게 된다,
여기서 원통형케이싱(30)의 위치를 조절하여 팽연왕겨의 분도를 조절할수 있도록 분도조정핸들(70)을 두어 핸들(70)의 조작에따라 팽연왕겨의 입도 및 팽연화 정도를 조절할수 있게 되는데, 원통형케이싱은 회전축(31)에 구성된 팽연스크류(33)과 배출스크류(24)가 일체화 되여 고정된 내부몸체와는 달리 분도조절핸들(70)을 좌 또는 우로 돌려주면 원통형케이싱(30) 자체도 좌 또는 우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되어 팽연스크류(33)는 팽연스크류커버(34)와의 접면하는 접속간격을 약간씩 넓게 하거나 좁게 할수 있으며, 간격을 좁게 할 경우에는 왕겨의 분쇄입도가 미세하게 되고, 간격을 넓게하면 분쇄입도 즉, 분도가 크게된다 분도조절핸들(70)을 돌려주면 핸들 자체에는 기어가 구성되어, 치차가 형성된 원통형케이싱(30)의 하부 받침대 평치차와, 기어 치차가 교합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배출구(36)를 통해 배출되는 팽연왕겨는 물을 함유한 팽연왕겨의 덩어리로 되어 있으므로 덩어리를 통째로 토출구(23)를 통해 배출할 경우 토출구(23)를 막게될수 있다, 따라서 배출이 용이하도록 토출구(23)의 상단에는 배출스크류(24)를 마련하여 팽연왕겨의 덩어리를 풀어헤치도록 하게된다, 이에의해 팽연왕겨의 덩어리는 분리되어 토출구(2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팽연왕겨는 별도의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82)의 말단에 위치하는 배출구앞에 포장포대 또는 포장용기를 위치시켜 팽연왕겨를 담게된다,
이와같이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사자는 본발명이 그기술적 사상이 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거스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발명에 따른 패연화 장치에 의하면 회전축의 안정적인 고정과 회잔안정성을 확보하여 보다 안전하게 팽연왕겨를 생산할수 있도록 하며, 회전축에 형성되는 스크률를 오랜기간 사용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통형케이싱을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분도를 조절할수 있으므로 팽연왕겨의 입도 및 팽연화 정도를 조절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평연 스크류에 정량으로 왕겨를 공급할수 있기 때문에 분쇄도를 일정하게 할수 있고, 왕겨의 공급이 평연스크류의 한 날개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어, 막힘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그로인한 기계의 마모 및 소음정도를 줄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왕겨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이송 스크류의 하단에 배치되어 왕겨가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통형케이싱과 상기 원통형케이싱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형성되는 가압 및 정량왕겨 공급스크류와 상기 가압 및 정량왕겨공급 스크류와 소정 간격이격되어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형성되는 팽연 스크류와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팽연스크류를 덮도록 마련되는 팽연스크류 커버와 상기 팽연스크류커버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와 팽연왕겨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를 갖는 왕겨 팽연화 장치에 있어서,
    왕겨 팽연화 작업시 상기 원통형케이싱 내의 온도와 압력을 200-300℃, 3-5kg/㎠로 유지할수 있도록 온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왕겨 팽연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는 온도센서와 히터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 팽연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케이싱의 위치를 전후로 조절할수 있도록 하는 분도 조절핸들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팽연화 장치.
KR1020050038720A 2005-05-07 2005-05-07 왕겨 팽연화 장치 KR100699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720A KR100699176B1 (ko) 2005-05-07 2005-05-07 왕겨 팽연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720A KR100699176B1 (ko) 2005-05-07 2005-05-07 왕겨 팽연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29662U Division KR200373535Y1 (ko) 2004-10-20 2004-10-20 왕겨 팽연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366A KR20060036366A (ko) 2006-04-28
KR100699176B1 true KR100699176B1 (ko) 2007-03-23

Family

ID=37144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720A KR100699176B1 (ko) 2005-05-07 2005-05-07 왕겨 팽연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393A (ko)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유니바이오 왕겨 흡수율을 제고시키는 팽연왕겨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195A (ko) * 2001-12-18 2002-03-28 서용교 왕겨팽연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195A (ko) * 2001-12-18 2002-03-28 서용교 왕겨팽연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393A (ko)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유니바이오 왕겨 흡수율을 제고시키는 팽연왕겨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366A (ko) 200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5807B (zh) 增加了功能性成分含量的谷物或豆科植物及其制造方法
US4463022A (en) Method of grinding and cooking whole grain
JPH02502879A (ja) 栽培用支持体として機能する物質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910002525B1 (ko) 제분방법 및 장치
CN108295951B (zh) 一种农业大棚种植培养用土壤粉碎设备
CN109530032A (zh) 一种食品加工用粉碎机
CN113275097A (zh) 一种中草药加工用智能粉碎设备及中草药加工工艺
CN109604025A (zh) 一种新型生物质处理设备
AU2006202567B2 (en) Process for granulation of low-moisture, high-lipid content processed foods and re-use thereof
KR100699176B1 (ko) 왕겨 팽연화 장치
KR200373535Y1 (ko) 왕겨 팽연화 장치
CN106758450B (zh) 一种用于加工纸浆的瞬间爆秸秆生产线及其生产工艺
CN102771727B (zh) 增加了功能性成分含量的豆科植物及其制造方法
KR20020023195A (ko) 왕겨팽연화장치
CN209348714U (zh) 一种高效的谷物加工用碾磨装置
CN109845499B (zh) 一种新式农作物粉碎机
KR20060080605A (ko) 난분쇄성 섬유질 원료의 2단 분쇄 펠렛 성형방법
KR20000051936A (ko) 왕겨팽연화기
RU2361482C2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рмов
KR102137877B1 (ko) 왕겨 흡수율을 제고시키는 팽연왕겨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N1919006A (zh) 高级复合特级营养面粉
JP2000229249A (ja) 繊維含有材料の膨張及び粉砕方法並びにその装置
CN216800125U (zh) 一种代餐粉加工用具有防卡顿性能的粉磨装置
CN218924871U (zh) 一种农产品加工粉碎装置
KR100305515B1 (ko) 메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