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902B1 -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902B1
KR100816902B1 KR1020060073516A KR20060073516A KR100816902B1 KR 100816902 B1 KR100816902 B1 KR 100816902B1 KR 1020060073516 A KR1020060073516 A KR 1020060073516A KR 20060073516 A KR20060073516 A KR 20060073516A KR 100816902 B1 KR100816902 B1 KR 100816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display module
metal shield
guide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2556A (ko
Inventor
이문희
김종화
윤금영
김창섭
전호근
김재호
박종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3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902B1/ko
Publication of KR20080012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놓이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안착되는 쉴드 가이드; 상기 쉴드 가이드에 의해서 위치가 가이드되는 메탈쉴드; 상기 메탈쉴드의 내부에 안착되는 기판; 및 상기 메탈쉴드를 전방으로 밀어서 상기 메탈쉴드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백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백커버에는 상기 메탈쉴드 및/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닿아서 피접촉물품의 요동을 방지하는 전후요동방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사마다 조금씩 다른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도 단일의 커버에 편리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부품 수가 줄어들고, 작업자의 체결이 간단하게 되고, 제조비가 절감된다. 그리고, 백커버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안정성이 개선되고, 단일의 금형에 의해서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한꺼번에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조방법{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절연부재와 기판과 메탈쉴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메탈쉴드와 쉴드 가이드가 디스플레이 모듈에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Ⅰ-Ⅰ'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Ⅱ-Ⅱ'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7은 백커버의 정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A"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백커버의 제작에 사용되는 금형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론트 커버 2 : 디스플레이 모듈 3 : 절연부재
5 : 쉴드 가이드 6 : 메탈쉴드 7 : 백커버
9 : 스탠드 72 : 전후요동방지보스 76 : 구분라인
94 : 변경코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엘씨디 모듈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로서, 부피가 작기 때문에 근래들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이 기기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면 캐비넷과 후면 캐비넷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케비넷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이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체 테두리 및 배면에 체결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배면에는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을 위한 기판이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쉴드가 기판의 배면에 더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동일한 인치의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인 경우에도 제조사마다 두께 및 크기가 약간 씩 다른데, 이때마다 메인 프레임의 크기를 달리해서 제작하고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을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에 체결하고 차폐쉴드를 메인 프레임에 다시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현장에서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 및 차폐쉴드가 사용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크기와 두께가 그만큼 커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되는 바와 같은 단점으로 인하여 기기의 제조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조사마다 두께 및 크기가 약간씩 다른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기 위하여 백커버의 크기 또한 조금씩 다르게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금형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제조사마다 다른 크기의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도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한다. 그리고, 체결이 간단하게 부품 수가 줄어들어서 작업자의 체결이 간단하게 되고, 제조비가 절감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한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이 요구되지 아니하여서, 크기가 작아지고, 전자파의 차단효과를 얻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백커버에 의해서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이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안정성이 개선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작을 위한 비용이 감소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놓이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안착되는 쉴드 가이드; 상기 쉴드 가이드에 의해서 위치가 가이드되는 메탈쉴드; 상기 메탈쉴드의 내부에 안착되는 기판; 및 상기 메탈쉴드를 전방으로 밀어서 상기 메탈쉴드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백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백커버에는 상기 메탈쉴드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닿아서 피접촉물품의 요동을 방지하는 전후요동방지부가 더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놓이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안착되는 쉴드 가이드; 상기 쉴드 가이드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배면의 설정 위치에 안착되는 메탈쉴드; 상기 메탈쉴드의 내부에 안착되는 기판; 및 상기 메탈쉴드를 전방으로 밀어서 상기 메탈쉴드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백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쉴드 가이드와 메탈쉴드에는 적어도 제 1 체결구조 및 제 2 체결구조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체결구조가 조립된 다음에, 상기 제 1 체결구조를 지지점으로 상기 쉴드 가이드를 회전하여 제 2 체결구조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놓이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안착되는 쉴드 가이드; 상기 쉴드 가이드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설정 위치에 안착되는 메탈쉴드; 상기 메탈쉴드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 및 상기 메탈쉴드를 전방으로 밀어서 상기 메탈쉴드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백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메탈쉴드에는 상기 쉴드 가이드에 의해서 막혀지는 측면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개구를 통해서는 와이어가 인출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쉴드 가이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 사이의 간격부를 통하여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조방법은 메탈쉴드에 기판이 고정되는 단계; 상기 메탈쉴드에 쉴드 가이드가 조립되는 단계; 상기 쉴드 가이드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상기 메탈쉴드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설정위치에 안착되는 단계; 및 상기 메탈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측으로 압박력을 가하면서, 백커버와 프론트 커버가 체결되는 단계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사마다 많은 구성의 변화없이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부품의 수가 줄어들고 조립시간 및 노력이 절감되어 제조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되는 예로 제한되지는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변경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2)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의 전방 및 후방을 보호하는 프론트 커버(1) 및 백커버(7)와, 상기 백커버(7)에 체결되어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는 스탠드(9)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의 구동을 위한 전원과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파워기판(40)과 메인기판(41)이 더 제공되는데, 상기 기판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원활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기판은 메탈쉴드(6)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된다. 나아가서, 상기 파워기판(40)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2)의 배면에는 절연부재(3)가 부착되어 파워기판(40)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디스플레이 모듈(2)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으로서, 상기 메탈쉴드(6)는 쉴드 가이드(5)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에 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메탈쉴드(6)는 어떠한 체결부재에 의해서 직접 디스플레이 모듈(2)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쉴드 가이드(5)에 의한 가이드 작용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모듈(2)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메탈쉴드(6)에 걸림작용으로 쉴드 가이드(5)가 체결되고, 상기 쉴드 가이드(5)는 나사등과 같은 부재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모듈(2)에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쉴드 가이드(5)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의 어느 일면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상태로 장착이 되기 때문에, 생산현장에서 작업자는 쉴드 가이드(5) 및 메탈쉴드(6)의 장착이 보다 정확한 위치로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쉴드 가이드(5)는 디스플레이 모듈(2)의 제조사마다 무관하게 범용적으로 적용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나아가서, 상기 메탈쉴드(6)도 상기 쉴드 가이드(5)와의 연결부위만 동일하면 다른 부분은 달라지더라도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모듈(2)의 종류에 따라서 기판등이 달라지더라도, 그 부분만이 달라지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가 제조되는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메탈쉴드(6)에 기판(40)(41)을 고정하고, 이후에 메탈쉴 드(6)에 쉴드 가이드(5)를 조립한다. 상기 쉴드 가이드(5)가 메탈쉴드(6)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쉴드 가이드(5)를 디스플레이 모듈(2)에 나사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체결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도 상기 메탈쉴드(6)가 요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백커버(7)를 프론트 커버(1)와 체결하는 과정 중에, 상기 백커버(7)의 내면이 상기 메탈쉴드(6)에 닿아 메탈쉴드(6)를 전방으로 압박함으로써, 메탈쉴드(6)가 완전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9)를 백커버(7)에 체결하기만 하면, 모든 조립공정은 완성된다. 한편, 선택적으로는 메탈쉴드(6)와 백커버(7)를 한번더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하여 제 2 나사(8)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간단한 작업과정에 의해서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조가 완료되기 때문에, 생산작업이 편리하게 되고, 작업의 효율이 향상되고, 제조가가 절감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특징으로서, 상기 메탈쉴드(6)중에서 상기 쉴드 가이드(5)를 향하는 일 측면은 개구되어 측면개구(62)를 이룬다. 상기 측면개구(62)로는 상기 기판(40)(41)에서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가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개구(62)는 상기 쉴드 가이드(5)가 고정되면쉴드 가이드(5)에 의해서 저절로 닫혀지게 됨으로써, 측면개구(62)를 통하여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사용자의 안전을 해할 우려가 없어진다. 이와 같이 쉴드 가이드(5)의 조립과 동시에 자체적인 구조에 의해서 메탈쉴드(6)의 와이어 관 통공이 막혀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이 더욱 편리해지고 부품수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절연부재와 기판과 메탈쉴드의 분해 사시도인데, 도 2를 참조하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기판과 메탈쉴드의 상호관계를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메탈쉴드(6)의 내면에는 융기되는 융기안착부(61)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40)(41)과 상기 융기안착부(61)를 관통하여 나사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물론, 상기 메탈쉴드의 일 측면에는 측면개구(62)가 형성되어 기판의 와이어등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것도 당연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은 메탈쉴드와 쉴드 가이드가 디스플레이 모듈에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2) 배면의 일 부분-전체가 아니다-에는 메탈쉴드(6)가 안착되고, 메탈쉴드(6)에는 쉴드 가이드(5)가 조립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쉴드 가이드(5)는 디스플레이 모듈(2)의 일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에 가이드되는 상태로 안착됨으로써, 상기 메탈쉴드(6)는 요동이 없이 디스플레이 모듈(2)의 배면 상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쉴드 가이드(5)가 디스플레이 모듈(2)의 정위치에 견고하게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쉴드 가이드(5)는 디스플레이 모듈(2)의 측면에 가이드되는 형상으로 벤딩되는 절곡부(51)가 형성되어 있다. 결국에는, 상기 쉴드 가이드(5)가 디스플레이 모듈(2)의 정해진 일 측면부에 안착되면, 메탈쉴드(6)도 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개구(62)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 와이어가 디스플레이 모듈(2)의 와이어와 결선되도록 쉴드 가이드(5)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쉴드 가이드(5)는 일정 간격만큼 들려져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의 배면에 직접 접하는 스페이서부(52)를 제외하고, 상기 쉴드 가이드(5)의 수평면(53)은 전체적으로 일정높이 들려져 있다. 그러므로, 상기 수평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 배면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면(53)을 통해서, 와이어가 연장되어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측면개구(62)를 통하여 인출된 와이어는 상기 수평면(53)을 통하여 쉴드 가이드(5)의 외부로 인출된 뒤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에서 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는 다른 부분에 다다를 수 있게 된다.
상기 메탈쉴드와 상기 쉴드 가이드의 상호조립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서 Ⅰ-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Ⅱ-Ⅱ'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메탈쉴드(6) 및 쉴드 가이드(5)는 두가지 종류의 체결구조에 의해서 양자가 체결된 것을 볼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5에 제시되는 제 1 체결구조와 도 4에 제시되는 제 2 체결구조에 의해서 메탈쉴드 및 쉴드 가이드가 체결되는 것으로서, 작업자는 상기 제 1 체결구조를 체결한 다음에, 쉴드 가이드를 하방으로 내리면서 상기 제 2 체결구조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양자의 체결과정은 완료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 제시되는 제 2 체결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쉴 드 가이드(5)에서 절개되고 벤딩되어 제공되는 삽입 가이드(54)와, 메탈쉴드(6)에서 개구되는 제 1 걸림홈(63)이 포함되고, 상기 삽입 가이드(54)의 단부에는 제 1 걸림턱(55)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걸림턱(55)이 제 1 걸림홈(63)에 걸리게 됨으로써 작업자에 의해서 삽입 가이드(54)를 들어 올리는 일정 정도 이상의 힘이 가하여지지 아니하면, 제 1 걸림홈(63)을 넘어서 제 1 걸림턱(55)이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가이드(54)가 걸림홈(63)의 내부로 삽입되는 동작은, 얇은 판상인 쉴드 가이드(5)의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서, 쉴드 가이드(5)가 메탈쉴드(6)와 포게어져서 삽입되는 동작 중에 쉴드 가이드(5)-정확하게는, 삽입 가이드(54)-가 탄성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삽입 가이드(54)의 단부, 즉, 제 1 걸림턱(55)이 메탈쉴드(6)의 외면을 타고서 걸림홈(63) 안으로 진입될 수 있다.
도 5에 제시되는 제 1 체결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쉴드 가이드(5)에는 제 2 걸림홈(64)이 형성되고, 상기 메탈쉴드(6)에는 제 2 걸림턱(5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걸림홈(64)의 안으로 제 2 걸림턱(56)이 삽입되는 동작에 의해서, 상기 메탈쉴드(6) 및 쉴드 가이드(5) 양자는 걸려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되는 설명에 의해서 명확해 지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체결구조에 의해서 메탈쉴드 및 쉴드 가이드 양자가 지지된 다음에, 상기 제 1 체결구조의 지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쉴드 가이드를 도 2의 지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제 2 체결구조가 체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쉴드 가이드와 메탈쉴드가 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실질적으로 생산 현장에서는 상기 메탈쉴드를 디스플레이 모듈(2)의 배면에 놓은 상태에서, 상기 쉴드 가이드(5)를 메탈쉴드(6)에 상기 제 1 체결구조를 이용하여 걸고, 쉴드 가이드(5)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 2 체결구조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조작업 중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의 크기 및 두께가 조금씩 다르다 할지라도 쉴드 가이드(5)가 디스플레이 모듈(2)의 정하여진 위치에서 고정적으로 장착되기만 하면, 메탈쉴드는 올바른 위치에 정확하게 놓여질 수 있게 된다.
상기되는 구조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조방법을 도 6에 제시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메탈쉴드에 기판을 안착하고(St 1), 안착된 메탈쉴드에 쉴드 가이드를 조립한다(St 2). 그리고, 쉴드 가이드를 디스플레이 모듈의 정하여진 위치에 안착시키게 되는데(St 3), 이렇게 되면, 상기 메탈쉴드는 디스플레이 모듈 배면의 정확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후에는 상기 백커버를 프론트 커버에 안착시키는 과정에 의해서 커버의 결합이 완결될 뿐만 아니라, 백커버에 의해서 가하여지는 압박력에 의해서 메탈쉴드는 움직이지 않고 정하여진 위치에 고정적으로 놓여져 있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의 두께가 제조사마다 다른 경우에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백커버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백커버(7)에는 메탈쉴드(6)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는 쉴드 수용부(71)와, 상기 쉴드 수용부(71)의 외곽부에는 상기 메탈쉴드(6)가 상하좌우방향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좌우요동방지리브(7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커버가 프론트 커버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74)와, 상기 백커버(7)가 디스플레이 모듈(2)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나사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고정홀(7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이 전후방향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백커버(7)의 내면에서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전후요동방지보스(72)가 소정의 길이로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전후요동방지보스(72)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 및/또는 메탈쉴드(6)의 배면에 닿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모듈(2) 및 메탈쉴드(6)가 전후방향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전후요동방지보스(72)에 의해서 제조사 별로 디스플레이 모듈(2)의 두께가 약간씩 다른 경우에도, 그에 대응하여 전후요동방지보스(72)의 길이를 달리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 및 메탈쉴드의 후방지지에 어려움이 없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디스플레이 모듈(2)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상기 전후요동방지보스(72)의 길이를 짧게 해야 하고, 이와 달리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상기 전후요동방지보스(72)의 길이를 길게 해서 충분히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닿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의 견고한 지지를 위한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백커버의 제조상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백커버의 전체적인 제조는 동일한 금 형에 의해서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전후요동방지보스(72)가 형성되는 부분에서만 변경코어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변경코어(도 9의 94참조)가 사용됨으로써, 상기 전후요동방지보스(72)의 제작만을 위하여 전체적으로 별도의 금형을 제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지고, 다수의 금형이 필요치 아니하게 되므로, 결국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서, 상기 전후요동방지보스(72)가 제작되는 중에 그 인근 위치에 고정홀(73)이 형성되고 이를 통과하여 나사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경우에는, 전후요동방지보스(72)에 의한 지지작업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그 인근에 모듈명 표시부(75)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작된 백커버(7)가 어느 회사의 디스플레이 모듈용으로 적합한지에 대하여 보다 편리하게 알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상기 전후요동방지보스(72), 고정홀(73), 및 모듈명 표시부(75)는, 변경코어(94)의 종류별로 달라지는 것으로서 한꺼번에 제작된다. 그러므로, 그 외측에는 변경코어(94)에 의한 구분라인(76)이 형성되는 것임이 도 8을 통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백커버의 제작에 사용되는 금형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금형(91)과, 제 2 금형(92)이 제공되고, 상기 제 2 금형(92)에는 다수의 코어 삽입홀(93)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 삽입홀(93)의 내부에는 변경코어(94)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금형(91)(92)의 내부에 사출액이 주입되고 경화됨으로써, 상기 백커버가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변경코어(94)는 동일한 인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라 하더라도 제조사 별로 두께가 조금씩 다르게 제조되는 경우에, 두께가 큰 경우에는 전후요동방지보스(72)를 좀 짧게 제작되도록 하고, 두께가 긴 경우에는 전후요동방지보스(72)를 좀 길게 제작한다. 물론, 이를 위하여 단일의 제 1 금형(91) 및 제 2 금형(92)에 대하여 다수개의 제조사 별로 다른 변경코어(94)를 구비되어 있는 것은 당연히 예측가능한 일이다.
상기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하고, 당업자라면 다른 실시예도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그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절곡부(51)는 본 실시예에 제시되는 형상으로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으며, 디스플레이 모듈의 코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는 구조이거나, 다른 여타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쉴드 가이드의 정위치가 편리하게 찾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특정위치와 대응되는 형상 및 구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임은 용이하게 짐작될 것이다.
상기 쉴드 가이드가 디스플레이 모듈이 체결된 다음에는, 쉴드 가이드와 디스플레이 모듈을 관통하는 별도의 나사등과 같은 체결도구에 의해서 양자가 더욱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아니한 경우에는 백커버 및/또는 프론트 커버의 사이 간격부에 끼워져서 쉴드 가이드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고, 별도의 걸림구조에 의해서 쉴드 가이드가 움직이지 않게 지지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만, 쉴드 가이드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은 어느 측면에서나 당연하게 요구된다.
상기 금형은 상기 전후요동방지보스를 제작하는 한 방법에 지나지 않고, 필 요에 따라서는 동일한 길이로 제작되는 전후요동방지보스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서 절단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제조사별로 상기 전후요동방지보스의 길이가 달라지는 것은 본 발명의 사상의 일 특징을 이루고, 이에 대응하는 최적의 방법으로서 금형에서 상기 전후요동방지보스가 형성되는 부분은 변경코어를 적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사마다 다른 크기 및 두께의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도 단일의 커버에 편리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부품 수가 줄어들고 작업자의 체결이 간단하게 되고, 제조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이 요구되지 아니하여서, 크기가 작아지고, 제조비가 더욱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백커버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안정성이 개선된다.
또한, 단일의 금형에 의해서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한꺼번에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놓이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안착되는 쉴드 가이드;
    상기 쉴드 가이드에 의해서 위치가 가이드되는 메탈쉴드;
    상기 메탈쉴드의 내부에 안착되는 기판; 및
    상기 메탈쉴드를 전방으로 밀어서 상기 메탈쉴드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백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백커버에는 상기 메탈쉴드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닿아서 피접촉물품의 요동을 방지하는 전후요동방지부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요동방지부의 인근에는 사출에 의한 구분라인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쉴드의 일면에는 상기 기판과 결선되는 와이어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측면개구가 형성되고, 그 측면개구는 상기 쉴드 가이드에 의해서 막히는 디스플레이 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설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쉴드 가이드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과 접하는 스페이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후방으로 이격되는 수평면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5. 메탈쉴드에 기판이 고정되는 단계;
    상기 메탈쉴드에 쉴드 가이드가 조립되는 단계;
    상기 쉴드 가이드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상기 메탈쉴드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설정위치에 안착되는 단계; 및
    상기 메탈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측으로 압박력을 가하면서, 백커버와 프론트 커버가 체결되는 단계로 수행되는 디스프레이 기기의 제조방법.
  6.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놓이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안착되는 쉴드 가이드;
    상기 쉴드 가이드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배면의 설정 위치에 안착되는 메탈쉴드;
    상기 메탈쉴드의 내부에 안착되는 기판; 및
    상기 메탈쉴드를 전방으로 밀어서 상기 메탈쉴드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 키는 백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쉴드 가이드와 메탈쉴드에는 적어도 제 1 체결구조 및 제 2 체결구조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체결구조가 조립된 다음에, 상기 제 1 체결구조를 지지점으로 상기 쉴드 가이드를 회전하여 제 2 체결구조가 조립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7.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놓이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안착되는 쉴드 가이드;
    상기 쉴드 가이드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설정 위치에 안착되는 메탈쉴드;
    상기 메탈쉴드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 및
    상기 메탈쉴드를 전방으로 밀어서 상기 메탈쉴드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백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메탈쉴드에는 상기 쉴드 가이드에 의해서 막혀지는 측면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개구를 통해서는 와이어가 인출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쉴드 가이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 사이의 간격부를 통하여 인출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20060073516A 2006-08-03 2006-08-03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조방법 KR100816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516A KR100816902B1 (ko) 2006-08-03 2006-08-03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516A KR100816902B1 (ko) 2006-08-03 2006-08-03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556A KR20080012556A (ko) 2008-02-12
KR100816902B1 true KR100816902B1 (ko) 2008-03-27

Family

ID=39340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516A KR100816902B1 (ko) 2006-08-03 2006-08-03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9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256B1 (ko) 1994-04-13 2001-12-28 나시모토 류조 액정표시장치
KR20030064230A (ko) * 2002-01-18 2003-07-3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누설 전계 방지 시트,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 및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KR200330909Y1 (ko) 2003-06-09 2003-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0022940A (ko) * 2002-09-10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모니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256B1 (ko) 1994-04-13 2001-12-28 나시모토 류조 액정표시장치
KR20030064230A (ko) * 2002-01-18 2003-07-3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누설 전계 방지 시트,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 및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KR20040022940A (ko) * 2002-09-10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모니터
KR200330909Y1 (ko) 2003-06-09 2003-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556A (ko) 200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9966B2 (ja) 電子装置
JP4717159B2 (ja) 板金部品同士の固定構造
JP2019114700A (ja) 電子装置
EP1784067B1 (en) Display device and board supporting structure
JP4241805B2 (ja) 薄型表示装置の電源スイッチ取付構造
KR100816902B1 (ko)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조방법
JP4977071B2 (ja) 情報通信装置
JP5366336B2 (ja) 携帯端末
JP4482479B2 (ja) ラック
TWI664880B (zh) 顯示裝置
JP4856036B2 (ja) コネクタ固定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4162517B2 (ja) 走査装置
JP2000039525A (ja) スプライス棚
JP2013211294A (ja) シールドケース組立体
KR10236871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5478457B2 (ja) 石油暖房機
CN209843568U (zh) 一种按键装置及电子设备
KR101075197B1 (ko) 터치버튼 디스플레이 장착구조
JP2011174297A (ja) 耐震構造
KR100938581B1 (ko) 오븐 및 오븐의 컨트롤 패널 조립방법
CN107949218B (zh) 显示装置及其壳体结构
KR100826024B1 (ko)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조방법
JP4114078B2 (ja) プラズマテレビジョンおよびパネル表示型テレビジョン
JP3825602B2 (ja) ケースの取付け構造及び取付け方法
KR100630971B1 (ko)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