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307B1 - 다중 캐리어 단말기에서의 송신 전력의 우선순위가 결정된분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캐리어 단말기에서의 송신 전력의 우선순위가 결정된분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307B1
KR100816307B1 KR1020067014040A KR20067014040A KR100816307B1 KR 100816307 B1 KR100816307 B1 KR 100816307B1 KR 1020067014040 A KR1020067014040 A KR 1020067014040A KR 20067014040 A KR20067014040 A KR 20067014040A KR 100816307 B1 KR100816307 B1 KR 100816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ower
voice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4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1937A (ko
Inventor
후안 몬토호
나가 부샨
피터 존 블랙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2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3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taking into account loading or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05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7Modulators with direct modulation of individual sub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user or data type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6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distributing total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Amplifier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단일 전력 증폭기를 갖는 송신기를 갖는 다중 캐리어 액세스 단말기에서,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다중 캐리어 신호용으로 사용 가능한 최대 송신 전력은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캐리어들 사이에서 분배된다. 분배 후에, 캐리어들은 다중 캐리어 신호로 결합되고, 전력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어 송신된다.
Figure R1020067014040
다중 캐리어 신호, 우선순위, 음성 캐리어, 데이터 캐리어, 전력 분배

Description

다중 캐리어 단말기에서의 송신 전력의 우선순위가 결정된 분배를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IORITIZED APPORTIONMENT OF TRANSMISSION POWER IN A MULTI-CARRIER TERMINAL}
배경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다중 캐리어 (multi-carrier) 통신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트래픽 및 비 음성 데이터 트래픽의 동시적인 반송을 위하여, 이중 캐리어 (dual-carrier) 또는 다중 캐리어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중 캐리어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통해 동시적으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단말기이다. 다수의 이러한 단말기가 코드 분할 다중 접속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속의 데이터 및 음성 트래픽이 동시적으로 송신될 것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음성 트래픽을 위해 CDMA2000_1x 표준을 지원하는 하나의 캐리어와 데이터 트래픽의 송신에 최적화된 CDMA2000_1xEv-DO 표준을 지원하는 다른 캐리어 를 갖는 다중 캐리어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송신 단말기는, "DO" 캐리어라 지정되는 데이터 트래픽 송신용의 하나의 캐리어를 이용하고, "1x" 캐리어로서 지정되는 음성 트래픽 송신용의 다른 캐리어를 이용하게 된다. 이들 시스템의 설명은 그들의 대응하는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3rd Partnership Project; 3GPP)" 표준에서 볼 수도 있다. CDMA2000_1x 시스템은 2002년 5월의 3GPP2 C.S0001-C v1.0, "cdma2000 소개 릴리즈 C (cdma2000 Introduction Release C)" 에서 상술된다. CDMA2000_1xEv-DO 시스템은 2002년 10월의 3GPP2 C.S0024-0 v4.0, "cdma2000 고 레이트 패킷 데이터 공중 인터페이스 규격 (cdma2000 High Rate Packet Data Air Interface Specification)" 에서 상술된다.
다중 캐리어 단말기를 위한 효과적인 송신기 설계는 다수의 전력 증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 각각은 하나의 캐리어에 전용 (全用) 되며 전력 증폭기를 포함한다. 그러나 공간 제약, 제조 비용, 전력 소비 및 기타 요인들이 캐리어들 간에 전력 증폭 회로 등의 자원을 공유할 필요성을 가져온다. 따라서, 다중 캐리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복수의 캐리어의 송신을 위해 단일의 전력 증폭기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전력 증폭기는 안테나에 의한 송신을 위해 변조된 캐리어 신호를 증폭하는, 송신기의 RF 소자이다. 전력 증폭기가 단일 소자인 것처럼 도시되고 지칭될 수 있으나, 당업자는 그 소자가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 (stage) 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중 캐리어 단말기가 상이한 유형의 캐리어 신호의 동시적 송신을 위해 단 일의 전력 증폭기를 갖는다면, 전력 증폭기는 스펙트럼 방사 요구사항, 기판 상 배터리 용량 (on-board battery capacity), 및 캐리어 간의 임의의 우선순위에 의해 부과되는 전력 제약에 의해 지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결합된 CDMA2000_1x_/_CDMA2000_1xEV-D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셀 커버리지의 열화를 피하기 위해 1x 캐리어가 DO 캐리어에 대해 송신기 전력 할당에 있어 우선권을 갖는다고 가정하자. 1x 캐리어가 DO 캐리어에 대해 우선순위를 가지므로, 전력 증폭기의 피크 전력 이외의 1x 캐리어에 부과되는 전력 제한은 배터리 용량 및 이동국의 송신 전력을 제한하기 위한 스펙트럼 방사 제어 방식뿐이다. 따라서, DO 캐리어가 1x 캐리어에 비해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면, 1x 캐리어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송신 전력의 일부분만을 DO 캐리어에게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1x 및 DO 캐리어가 동시적으로 송신되면, 다중 캐리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다중 캐리어 파형의 전력은 스펙트럼 방사 목표가 손상되지 않는 레벨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기존의 통신 시스템의 장비 및 운영에 거의 변경을 요하지 않으면서 이러한 전력 제약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기술 분야에 있어서, 복수의 캐리어 신호를 동시에 송신하기 위해 단일의 전력 증폭기가 사용되는 다중 캐리어 단말기에서 캐리어의 송신 전력을 우선순위에 따라 할당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요약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형태는, 단일 전력 증폭기에 의해 서비스되는 복수의 캐리어를 갖는 다중 캐리어 송신기의 제 1 캐리어에게 우선권을 할당하고, 제 1 캐리어에 의해 서비스되는 채널이 활성 상태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다른 캐리어에 대한 제한 하에서 송신 전력을 할당함으로써 상술된 필요성을 해결한다. 이는, 제 1 캐리어가 총 가용 송신 전력 중 한계까지 필요한 만큼 이용할 수 있고, 다음 캐리어가 제 1 캐리어에 의해 사용되는 총 전력만큼을 제외한 총 가용 송신 전력을 필요한 만큼 이용할 수 있음을 보장한다. 이러한 순차적 전력 분배는 전력 증폭기를 이용하는 복수의 캐리어에 대해 채용될 수도 있으며, 우선순위의 다음 캐리어는 우선순위의 이전 캐리어 모두에 의해 사용되는 총 전력만큼을 제외한 총 가용 송신 전력을 필요한 만큼 이용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다중 캐리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2 는 단일 캐리어 단말기를 위한 송수신기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3 은 다중 캐리어 단말기를 위한 송수신기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4 는 다중 캐리어 단말기에서의 송신 전력의 우선순위가 결정된 할당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 는 단일 전력 증폭기에 의해 서비스되는 복수의 캐리어 사이에서의 송신 전력의 우선순위가 결정된 분배의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세한 설명
"예시적인" 이라는 단어는 여기서 "예, 예시 또는 예증으로 제공되는" 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예시적인" 것으로 설명되는 임의의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에 비하여 반드시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모든 실시형태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조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이며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여기서 액세스 단말기 (access terminal; AT) 라 지칭되는 가입자국은 이동형 또는 고정형일 수도 있으며 하나 이상의 기지국 송수신기 (BTS) 와 통신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기지국 제어기 (BSC) 에 결합된 기지국 송수신기 하위 시스템을 통해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을 송신 및 수신한다. 기지국 송수신기와 기지국 제어기는 액세스 네트워크라 불리는 네트워크의 일부이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다수의 액세스 단말기로의 그리고 액세스 단말기로부터의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전송한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공중 스위칭 전화 네트워크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기업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 등의 액세스 네트워크 외부의 추가적인 네트워크에 더 접속될 수 있으며, 각각의 액세스 단말기와 이러한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기지국 송수신기와의 활성 트래픽 채널 접속을 확립한 액세스 단말기는 활성 액세스 단말기라 지칭하고, 활성 (또는 "트래픽") 상태에 있다고 한다. 유사하게, 트래픽 채널 그 자체가 활성 상태에 있다고 한다. 하나 이상의 기지국 송수신기와 활성 트래픽 채널 접속을 확립하는 과정에 있는 액세스 단말기는 접속 셋업 상태에 있다고 한다. 유사하게, 트래픽 채널 그 자체가 접속 셋업 상태에 있다고 한다. 활성 상태와 접속 셋업 상태 어느 쪽도 아닌 트래픽 채널은 유휴 (idle) 상태에 있다고 한다. 액세스 단말기는 무선 채널을 통해, 또는 유선 채널을 통해, 예를 들어 광 섬유 또는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액세스 단말기는, PC 카드, 컴팩트 플래시, 외부 또는 내부 모뎀, 또는 무선 또는 유선 전화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다수의 유형의 장치일 수도 있다.
도 1 은, 네트워크 구조가 인터넷 (20) 등의 하나 이상의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로의 그리고 PSTN (22) 등의 하나 이상의 공중 스위칭 전화 네트워크 (PSTN) 로의 액세스를 갖는 액세스 단말기 (12) 를 제공하는 광역 시스템 (10) 을 도시한다. 광역 시스템 (10) 은 예를 들어 광역 무선 시스템일 수도 있고, 액세스 단말기 (12) 는 무선 장치일 수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원리의 이용 또는 적용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광역 무선 시스템으로서, 시스템 (10) 은, 각각이 패킷 제어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통합 기지국 제어기 (BSC; 16) 에 접속되는 다수의 기지국을 갖는 기지국 송수신기 하위시스템 (BTS; 14) 과 같은 네트워크 하부구조를 포함한다. 기지국 제어기에서, 데이터는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DSN; 18) 를 통해 인터넷 (20) 으로/으로부터 라우팅되고, 음성은 이동 스위칭 센터 (MSC; 19) 를 통해 PSTN 으로/으로부터 라우팅된다. 액세스 단말기 (12) 가 하위시스템 (14) 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링크 는 역방향 링크라 불린다. 하위시스템 (14) 이 액세스 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링크는 순방향 링크라 불린다.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는 다수의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는 트래픽, 제어 및 파일럿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역방향 링크는 트래픽, 오버헤드 및 파일럿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광역 무선 시스템에서, 액세스 단말기 (12) 는 BTS (14) 와 공중을 통해 통신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 (12) 는 복수의 캐리어를 통해 역방향 링크 상에서 광역 시스템으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복수의 캐리어 중 2 개가 제 1 캐리어 및 제 2 캐리어 로 표시된다. 액세스 단말기 (12) 는 순방향 링크를 통해 광역 시스템 (10) 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가 음성 신호를, 예를 들어 제 1 캐리어를 통해 전송하고 있을 때에, 음성 신호는 BTS 로 송신되고 BSC 로 전달된다. BSC 는 음성 신호를 MSC 를 통해 PSTN 으로 전달한다. 또한, 액세스 단말기는 패킷 데이터의 형태로 데이터를, 예를 들어, 제 2 캐리어를 통해 BTS 로 송신하고, 이 BTS 는 패킷을 BSC 로 전달한다. BSC 에 결합 또는 통합된 패킷 제어 기능은 데이터 패킷을 PDSN 으로 전달하고, 이 PDSN 은 데이터 패킷을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 전달한다.
최대 개수의 액세스 단말기에게 소정의 품질 표준으로 통신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액세스 단말기와 무선 광역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구조 사이의 양방향 신호 송신이 관리된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CDMA 시스템은, 액세스 단말기와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의 품질을 유지하지만 그러한 모든 통신이 유발하는 총 간섭을 제한하는 레벨로 액세스 단말기 송신 전력을 제한한다. CDMA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는 개루프와 폐루프 절차의 조합을 통해 구현된다. 액세스 단말기 송신기의 개루프 전력 제어는 액세스 단말기에서의 순방향 링크 신호의 수신 및 수신된 순방향 링크 신호 전력 레벨에 기초한, 단말기에 의한 역방향 링크 송신 전력 레벨의 계산을 요구한다. 폐루프 전력 제어는 순방향 링크를 통해 액세스 단말기로 전력 레벨 설정 명령을 송신함으로써 구현된다. 이에 관하여, 예를 들어, 본 출원과 함께 양수되고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5,056,109; 5,267,262; 5,933,781; 6,035,209; 6,101,179 및 6,609,008 을 참조하라.
도 2 는 액세스 단말기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송수신기 (190) 의 블록도이다. 송수신기 (190) 는 수신기 (192), 다이플렉서 (199), 송신기 (200), 및 안테나 (201) 를 포함한다. 수신기 (192) 및 송신기 (200) 는 다이플렉서 (199) 를 통해 안테나 (201) 에 접속된다. 수신기 (192) 는 순방향 링크 통신을 지원하는 반면, 송신기 (200) 는 역방향 링크 통신에 이용된다. 다른 액세스 단말기 컴포넌트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포함된 특허를 참조하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에서, 음성 ("1x") 모뎀은 수신기 (192) 로부터 다이플렉서 (199) 를 통해 순방향 링크 확산 통신물을 수신하고, 순방향 링크 채널을 역확산하고 복조한다. 또한, 모뎀 (203) 은 역방향 링크를 통한 송신을 위해 인코딩된 음성 신호를 인코더 (204) 로부터 수신한다. 역방향 링크 음성 트래픽을 지원하기 위해, 모뎀 (203) 은 음성 트래픽 심볼 신호, 파일럿 심볼 신호 및 하나 이상의 오버헤드 심볼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변조기 (미도시) 를 포함한다. 모뎀 (203) 은 이들 신호를 상이한 채널 코드에 따라 확산하고, 그들 신호를 합하여 총합 신호를 생성하며, 총합 신호를 확산 코드로 변조하여 출력 신호 경로 (205) 상에서 확산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출력 신호 경로 (205) 는, 자동 이득 제어 (TxAGC) 증폭기 (207) 및 믹서 (211) 를 포함할 수도 있는 음성 송신 회로에 모뎀 (203) 을 접속시킨다. 확산 베이스밴드 신호는 증폭기 (207) 로 입력되고, 거기서 제어된 레벨로 증폭된다. 증폭기 (207) 가 베이스밴드 샘플을 증폭하는 이득의 양은 신호 경로 (209) 상에서 증폭기 (207) 의 제어 입력에 제공되는 AGC 이득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증폭된 확산 베이스밴드 신호는 신호 경로 (210) 상에서 믹서 (211) 의 입력으로 출력된다. 또한, 믹서 (211) 는 제 1 믹싱 신호 (ej2πf1t) 를 수신하고, 증폭된 베이스밴드 신호와 제 1 믹싱 신호의 곱인 신호를 생성한다. 당업자는 믹싱이 수개의 단계로 수행될 수도 있음을 알 것이다. 믹싱의 곱은 확산 베이스밴드 신호의 희망 RF 주파수로의 업컨버젼 (upconversion) 이다. 편의상, 이 곱은 "음성 캐리어 신호" 라고 할 수도 있다. 음성 캐리어 신호는, 믹서 (211) 를 전력 증폭기 (PA; 215) 에 접속시키는 신호 경로 (213) 상에 제공된다. 전력 증폭기 (215) 는 음성 캐리어 신호를 증폭하여, 전력 증폭기 (215) 를 다이플렉서 (199) 를 통해 안테나 (201) 에 접속시키는 신호 경로 (217) 상에 증폭된 음성 캐리어 신호를 생성한다. 안테나 (201) 로부터, 증폭된 음성 캐리어 신호가 역방향 링크를 통해 기지국 송수신기 하위시스템 (미도시) 으로 송신된다. 증폭된 음성 신호의 전력 레벨은, 신호 경로 (222) 에 의해 전력 증폭기 (215) 의 출력에 접속된 전력 검출기 (221) 에 의해 측정된다. 전력 레벨이 측정되고 있는 신호는 송신기 (200) 에 의해 송신된 아날로그 신호이므로, 측정된 파라미터는 "송신 전력" 이라고 불리고 측정을 나타내는 신호는 도 2 에서 TxAnalogPower 로 도시된다.
송신기 (200) 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는, 개루프 및 폐루프 전력 제어 기능뿐만 아니라 설명될 기능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받은 전력 제어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자(前者)에 대하여, 포함된 미국 특허 5,933,781 및 6,609,008 을 참조하라. 전력 제어 기능은, 예를 들어, 시스템 전력 제어 활동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 또는 설계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225) 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225) 는 송수신기 소자들로의 신호 경로 접속을 갖는 자립형 (stand-alone) 회로 기판 실장 소자일 수도 있고, 또는, 단일 집적 회로 또는 칩 세트에서 송수신기 소자와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225) 는, 계산을 수행하고 그 전력 제어 기능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동작들을 행하기 위해 개루프 및 폐루프 전력 레벨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프로세서 (225) 는, 신호 경로 (223) 을 통해 전력 검출기 (221) 로부터 TxAnalogPower 신호를 수신한다. (전력 검출기 (221) 가 별개의 소자로 도시되었으나, 프로세서 (225) 에 통합될 수도 있음.) TxAnalogPower 신호는, 프로세서 (225) 로 하여금 증폭된 음성 캐리어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그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225) 를 증폭기 (207) 의 제어 입력에 접속시키는 신호 경로 (209) 상에서 제공되는 AGC 이득 신호에 의해 음성 캐리어 신호의 전력 레벨을 제어 또는 조정할 수도 있다. 명백히, 이 지점에서 음성 캐리어 신호의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것은 전력 증폭기 (215) 에 의해 생성된 증폭된 음성 캐리어 신호의 전력 레벨을 효과적으로 제어한다. 프로세서 (225) 는 AGC 이득 신호를 조절하여 증폭기 (207) 의 이득의 양을 확립하고, 그에 의해, 증폭된 음성 캐리어 신호의 전력 레벨을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프로세서가 구현하기 위해 동작하는 증폭된 음성 캐리어 신호 전력 레벨에 대한 2 개의 예시적인 제약은, 배터리 용량 고려사항에 의해 정해지는 단말기의 최대 송신 전력 용량 및 허가된 사용에 대한 실제 또는 제안된 규제 제한 (regulatory limitations) 이다. 후자에 대하여, 몇몇의 무선 구성에 대한 최대 송신 전력 방사 레벨을 확립하는 제안된 표준 TIA/EIA-IS-98D 를 참조한다. 송신 전력 레벨이 최대 송신 전력 레벨에 근접하거나 이를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 (225) 는 증폭기 (207) 의 이득을 제한 또는 감소시키고, 이는 다시, 방사 규격의 손상을 피하기 위해 증폭된 음성 캐리어 신호의 전력 레벨을 제한 또는 감소시킨다.
다중 캐리어 단말기에서의 송신 전력의 우선순위가 결정된 분배
다음으로, 역방향 링크 통신을 위해 액세스 단말기의 송수신기에서 사용될 수도 있는 다중 캐리어 송신기 (300) 의 일반적인 블록도인 도 3 을 참조한다. 송신기 (300) 는 다중 캐리어 단말기에서의 송신 전력의 우선순위가 결정된 분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송신기는 음성 ("1x") 모뎀 (303) 으로부터 음성 입력을 수신한다. 음성 모뎀 (303) 은 수신기 (미도시) 로부터 순방향 링크 확산 음성 통신물을 수신하고, 순방향 링크 음성 채널을 역확산 및 복조한다. 또한, 음성 모뎀 (303) 은 음성 트래픽 심볼 신호, 파일럿 심볼 신호, 및 하나 이상의 오버헤드 심볼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변조기 (미도시) 를 포함한다. 음성 모뎀 (303) 은 그들 신호를 상이한 채널 코드에 따라 확산하고, 그들을 합하여 총합 음성 채널 신호를 생성하며, 총합 음성 채널 신호를 확산 코드로 변조하여 출력 신호 경로 (305) 상에서 베이스밴드로 음성 채널 신호를 생성한다. 출력 신호 경로 (305) 는, 자동 이득 제어 (TxAGC) 증폭기 (307) 및 믹서 (311) 를 포함할 수도 있는 음성 송신 회로에 음성 모뎀 (303) 을 접속시킨다. 음성 채널 신호는 증폭기 (307) 로 입력되고, 거기서 제어된 레벨로 증폭된다. 증폭기 (307) 가 음성 채널 신호를 증폭하는 이득의 양은 신호 경로 (309) 상에서 증폭기 (307) 의 제어 입력에 제공되는 AGC 이득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증폭된 음성 신호는 신호 경로 (310) 상에서 믹서 (311) 의 입력으로 출력된다. 또한, 믹서 (311) 는 제 1 믹싱 신호 ej2πf1t 를 수신하고, 증폭된 음성 채널 신호와 제 1 믹싱 신호의 곱인 신호를 생성한다. 그 곱은 음성 채널 신호의 희망 RF 주파수로의 업컨버젼이다. 편의상, 이 곱은 "음성 캐리어 신호" 또는 단순히 "음성 캐리어" 라고 할 수도 있다. 음성 캐리어 신호는, 믹서 (311) 를 신호 결합기 또는 합산기 (314) 에 접속시키는 신호 경로 (313) 상에 제공된다.
도 3 의 설명을 계속하면, 송신기 (300) 는 데이터 ("DO") 모뎀 (323) 으로부터 데이터 입력을 수신한다. 데이터 모뎀 (323) 은 수신기 (미도시) 로부터 순방향 링크 확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순방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역확산 및 복조 한다. 또한, 데이터 모뎀 (323) 은 데이터 트래픽 심볼 신호, 파일럿 심볼 신호, 확인응답 (ACK) 심볼 신호 및 데이터 레이트 제어 (DRC)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변조기 (미도시) 를 포함한다. 데이터 모뎀 (323) 은 그들 신호를 상이한 채널 코드에 따라 확산하고, 그들을 합하여 총합 데이터 채널 신호를 생성하며, 총합 데이터 채널 신호를 확산 코드로 변조하여 출력 신호 경로 (325) 상에서 베이스밴드에서 데이터 채널 신호를 생성한다. 출력 신호 경로 (325) 는, 자동 이득 제어 (TxAGC) 증폭기 (327) 및 믹서 (331) 를 포함할 수도 있는 데이터 송신 회로에 데이터 모뎀 (323) 을 접속시킨다. 데이터 채널 신호는 증폭기 (327) 로 입력되고, 거기서 제어된 레벨로 증폭된다. 증폭기 (327) 가 데이터 채널 신호를 증폭하는 이득의 양은 신호 경로 (329) 상에서 증폭기 (327) 의 제어 입력으로 제공되는 AGC 이득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증폭된 데이터 신호는 신호 경로 (330) 상에서 믹서 (331) 의 입력으로 출력된다. 또한, 믹서 (331) 는 제 2 믹싱 신호 (ej2πf2t) 를 수신하고, 증폭된 데이터 채널 신호와 제 2 믹싱 신호의 곱인 신호를 생성한다. 그 곱은 데이터 채널 신호의 희망 RF 주파수로의 업컨버젼이다. 추가적인 데이터 캐리어를 발생하기 위한 송신기의 추가적인 부분이 존재할 수도 있으므로, 편의상, 이 곱은 "제 1 데이터 캐리어 신호" (또는 "제 1 데이터 캐리어") 라고 할 수도 있다. 제 1 데이터 캐리어 신호는 믹서 (331) 를 신호 결합기 또는 합산기 (314) 에 접속시키는 신호 경로 (333) 상에 제공된다.
신호 결합기 (314) 는, 음성 캐리어, 제 1 데이터 캐리어 및 다른 송신기 회로 (미도시) 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는 다른 캐리어를 합하여 전력 증폭기 (PA; 345) 에 입력되는 다중 캐리어 신호를 생성한다. 전력 증폭기 (345) 는 다중 캐리어 신호를 증폭하고, 전력 증폭기 (345) 를 다이플렉서 (355) 를 통해 안테나 (357) 에 접속시키는 신호 경로 (347) 상에 증폭된 다중 캐리어 신호를 생성한다. 안테나 (357) 로부터, 증폭된 다중 캐리어 신호가 역방향 링크를 통해 기지국 송수신기 하위시스템 (미도시) 으로 송신된다. 증폭된 다중 캐리어 신호의 전력 레벨은 신호 경로 (362) 에 의해 전력 증폭기 (345) 의 출력에 접속된 전력 검출기 (361) 에 의해 측정된다. 전력 레벨이 측정되고 있는 신호는 송신기 (300) 에 의해 송신된 아날로그 신호이므로, 측정된 파라미터는 "송신 전력" 이라고 불리고 측정을 나타내는 신호는 도 3 에서 TxAnalogPower 로 도시된다.
송신기 (300) 에 대한 전력 제어 기능은, 예를 들어, 개루프 및 폐루프 알고리즘에 따라 시스템 전력 제어 활동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 또는 설계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365) 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365) 는 송수신기 소자들로의 신호 경로 접속을 갖는 자립형 소자일 수도 있고, 또는, 단일 집적 회로 또는 칩 세트에서 송수신기 소자와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365) 는, 계산을 수행하고 그 시스템 전력 제어 기능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동작들을 행하기 위해 개루프 및 폐루프 전력 레벨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프로세서 (365) 는 신호 경로 (363) 를 통해 전력 검출기 (361) 로부터 TxAnalogPower 신호를 수신한다. (전력 검출기 (361) 가 별개의 소자로 도시되었으나, 프로세서 (365) 에 통합될 수도 있음) TxAnalogPower 신호는, 프로세서 (365) 로 하여금 증폭된 다중 캐리어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그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365) 를 증폭기 (307) 의 제어 입력에 접속시키는 신호 경로 (309) 상에 제공되는 AGC 이득 신호에 의해 음성 캐리어 신호의 전력 레벨을 제어 또는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프로세서 (365) 를 증폭기 (327) 의 제어 입력에 접속시키는 신호 경로 (329) 상에 제공되는 AGC 이득 신호에 의해 제 1 데이터 캐리어 신호의 전력 레벨을 제어 또는 조정함으로써 TxAnalogPower 신호에 응답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365) 는 AGC 이득 신호를 조절하여 증폭기 (307 및 327) 의 이득의 양을 확립하고, 그에 의해, 음성 및 하나 이상의 데이터 캐리어의 전력 레벨을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명백히, 캐리어들의 전력 레벨의 제어는, 전력 증폭기 (215) 에 의해 생성되는 증폭된 다중 캐리어 신호의 전력 레벨의 제어를 제공한다.
2 이상의 캐리어의 동시적인 송신을 지원하는 다중 캐리어 액세스 단말기가 도 3 의 송신기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전력 증폭기를 이용하도록 제한된다고 가정하자. 또한 단말기로부터의 다수의 캐리어의 동시 송신은 다음의 제약을 받는다고 가정하자:
· 다중 캐리어 신호가 가질 수도 있는 전력의 양에 대한 소정의 한계 ("최대 송신 전력") 가 존재한다. 소정의 한계는, 예를 들어, 단말기 전력 용량 및 스펙트럼 방사 제약으로부터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송신 전력은 캐리어 간에 분배되어야 한다.
· 캐리어들 간에 송신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우선순위가 존재한다. 따라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캐리어는, 소정의 한계까지, 그가 도달할 수도 있는 전력 레벨에 한계가 없을 것이다. 다음 더 낮은 우선순위의 캐리어는 더 높은 우선순위의 캐리어에 대한 분배에 의해 최대 송신 전력 레벨의 감소가 있은 후의 송신 전력만큼 분배받을 것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전력 검출기 (221) 는 전력 증폭기 (215) 의 출력에서 아날로그 신호 전력의 측정을 제공하고, 프로세서 (225) 로 하여금 예를 들어 위에서 인용된 IS-98D 에서 개시된 방사 제한에 의한 규제 동작에 의해 요구될 수도 있는 송신 전력 레벨의 백오프 (back-off) 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전력 검출기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중 캐리어 단일 전력 증폭기 송신기에서, 상술된 제약의 부과를 가능케 하기 위해 데이터 캐리어 전력을 제한하도록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은 2 개의 캐리어 사이에 송신 전력이 분배되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이며, 캐리어 중 제 1 캐리어 (이 예에서, 음성 트래픽 용) 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고 제 2 캐리어 (이 예에서, 데이터 트래픽 용) 는 다음 우선순위를 갖는다. 이 예는, 송신 전력의 우선순위가 결정된 분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었으며, 이들 원리의 적용을 2 개의 캐리어에, 즉, 음성 캐리어가 항상 최고의 우선순위를 받는 캐리어 우선순위 방식에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후술되는 우선순위 알고리즘은 설계 선택의 문제인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2 이상의 캐리어 사이에서 송신 전력을 분배하는데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예는 단일 전력 증폭기를 갖는 단말기로 원리를 설명한다. 이러한 예시는 이들 원리의 적용을 단일 전력 증폭기를 갖는 단말기에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원리는 단일 전력 증폭기가 동시적으로 송신될 수 있는 복수의 캐리어를 서비스하여야 하는 상황에 적용된다.
전력 증폭기 헤드룸 (headroom) 알고리즘은, 데이터 캐리어 단말기에서 단말기가 역방향 링크를 통해 송신할 수도 있는 최대 데이터 레이트를 계산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알고리즘은 도 3 의 프로세서 (365) 와 같은 DSP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 알고리즘은 먼저 역방향 링크 데이터 채널 파일럿 신호의 전력에 대한 상한을 고려한다:
Figure 112006049855854-pct00001
식 (1) 은 파일럿 채널에 분배된 데이터 역방향 링크에서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의 양에 대한 상한을 정의한다. LPFTxOpenLoop 기여분은 개루프 전력 제어 처리 동안에 측정된 저역 통과 필터링된 값이다. PeakFilterTxClosedLoop 기여분은 폐루프 전력 제어 처리 동안에 얻어진 피크 필터링된 값이다. Margin 기여분은 역방향 링크를 통해 송신되고 있는 데이터 패킷의 전체 지속기간 동안의 파일럿 채널에 대한 상한을 제공하며, 이 값은 소정 레벨로 설정되거나 채널 조건을 수용하도록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개루프 및 폐루프 기여분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필터 유형은 상이하다. 개루프 전력 제어 값을 얻기 위해 순시 값의 저역 통과 필터가 사용되는 반면, 폐루프 전력 제어 값을 얻기 위해서는 긴 감쇄 시간 (decay time) 을 갖는 피크 필터가 사용된다.
역방향 링크 데이터 채널은, 가용 송신 전력이 제한되고 파일럿, 데이터, 확인응답 (ACK) 및 데이터 레이트 제어 (DRC) 채널 간에 분배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데이터 채널에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 레벨에 상응하는 레이트로 데이터 를 송신한다. 이들 채널에 대해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은 파일럿 채널의 전력 레벨을 참조한 채널 이득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채널 상태가 변함에 따라, 전력은 재분배될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 레이트의 변화 필요성을 초래할 수 있다. 다음의 표는 데이터 채널에 사용 가능한 파일럿 채널에 대한 상대적인 전력 이득 (DataChannelGain) 에 대해 요구된 링크 데이터 레이트를 요약한 것이다.
RL 데이터 레이트 DataChannelGain
9.6 kbs 3.75 dB
19.2 kbs 6.75 dB
38.4 kbs 9.75 dB
76.8 kbs 13.25 dB
153.6 kbs 18.50 dB
다음으로, 전력 증폭기 (PA) 헤드룸 알고리즘은 특정 데이터 레이트의 송신에 대한 전력 증폭 헤드룸을 제공하며, 여기서, 실제 값은 선형 도메인 (lin) 에 존재한다.
Figure 112006049855854-pct00002
식 (1) 이 비선형 항 (dB) 으로 표현되지만, 제시되는 개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식 (2) 및 이하의 식은 선형 항으로 표현된다. 식 (2) 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PA 헤드룸은 단말기가 송신할 수도 있는 송신 전력을 제한하는 최대 전력 레벨 (MaxPower(lin)) 을 참조하여 계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제한은 단순히 배터리 용량으로부터 나올 수도 있고, 요인들의 결합에 의해 나올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파일럿 채널 전력은 데이터 트래픽과 함께 송신되는 다른 채널 (데이터, ACK 및 DRC) 을 설명하기 위해 스케일링될 수도 있다. 이들 다른 채널들은 비 T2P(rate) 만큼 고려되며, 이는 이들 채널 각각의 상대적인 이득을 특정 데이터 레이트에 대한 파일럿 채널에 대해 포함한 것이다. 따라서,
Figure 112006049855854-pct00003
이다.
식 (3) 은 파일럿 채널 전력을 모든 데이터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전체 신호 전력으로 변환하는 이득이다. 명백히, 데이터 레이트는 PAHeadroom(rate)>0 인 경우에 송신된다. 이 예에서 데이터 트래픽이 음성 트래픽에 비해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므로, 다중 캐리어 단일 증폭기 송신기에서 음성 캐리어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전력의 일부를 참조하여 임의의 시간에 제 1 데이터 캐리어 (음성 캐리어에 대해 우선순위상 2 번째) 가 취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이 헤드룸 알고리즘이 조금 변형된다.
다중 캐리어 단일 전력 증폭기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캐리어 전력 제한은, 예 를 들어, 최대 송신 전력이 제한되고 임의의 데이터 캐리어보다 우선하여 음성 캐리어에 가용 송신 전력이 주어진다는 제약을 만족시키는 알고리즘에 따라 프로세서 (365) 와 같은 DSP 에 의해 계산된다. 즉, 송신 전력을 요구하는 임의의 데이터 캐리어는 음성 캐리어에게 가용 송신 전력의 필요한 부분을 제공한 후에 남은 송신 전력을 할당받는다. 그 알고리즘은 사용자 및 시스템의 동작 모드 선택 (도 3 에서 프로세서에 입력된 OP CODES 에 의해 표시됨) 의 가능성을 고려하며, 그에 따르면, 적어도 3 개의 동작 모드, 즉, 음성 채널 및 하나 이상의 데이터 채널이 활성 (음성/데이터); 음성 채널만이 활성 (음성-전용); 및 데이터 채널만이 활성 (데이터-전용), 가 가능하다. 그 알고리즘에 의해 관측된 캐리어 우선순위에 따르면, 음성 캐리어의 전력 제어는 어떠한 데이터 캐리어의 상태도 고려하지 않지만, 임의의 데이터 캐리어의 전력 제어는 음성 캐리어의 상태를 고려한다; 즉, 음성 캐리어는 송신 전력 분배에 있어서 임의의 데이터 캐리어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음성/데이터 동작 모드에서, 음성 캐리어에 대해 할당된 최대 송신 전력 (MaxTxPowerAnalog) 이 존재한다. 원칙적으로, 음성 캐리어는 가용 송신 전력의 모두를 이용하진 않으며, 사용되지 않은 부분은 데이터 파일럿 채널의 현재 전력 레벨 하에서 데이터 캐리어에 제공된다. 데이터 캐리어에 대해 분배되는 전력의 최대량의 표현은,
Figure 112006049855854-pct00004
이다.
이 계산에서, 변수 MaxTxPowerAnalog 는 다중 캐리어 신호에 대한 최대 가용 송신 전력이고, 이는 음성 채널이 활성 또는 접속 셋업 모드인 경우에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음성 캐리어에 분배되고, 존재한다면, 음성 캐리어에의 분배 이후 부차적으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캐리어에 분배되는 전력이다. 이 변수는, 예를 들어, 음성 캐리어에 대해 최악의 경우의 기대된 송신 전력인 고정 값이거나, 현재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값을 산출하는 함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채널이 활성인 조건에서, 음성 및 데이터 채널이 모두 활성인 경우에 다중 캐리어 신호의 송신 전력 레벨의 직접적인 체크로서 MaxTxPowerAnalog 를 200mW (23dBm) 로 제한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더욱 정교한 절차에 따르면, MaxTxPowerAnalog 의 값은 음성 캐리어의 전력 레벨의 함수로서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음성 캐리어의 전력 레벨이 23dBm 보다 꽤 낮으면, 활성인 2 이상의 채널을 갖는 다중 캐리어 신호에 대한 스펙트럼 송신 레벨이 만족되는 한, 총 송신 전력에 대한 제약을 완화하는 것이 유용할 수도 있다.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의 양이 단순히 MaxTxPowerAnalog 로부터 음성 캐리어 전력을 감산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을 것임을 기대할 것이다. 그러나, 변수 TxAnalogPower 는 예를 들어 도 3 의 전력 증폭기 (345) 의 출력에서 전력 검출기 (361) 에 의해 측정되는 송신 전력이며, 이러한 측정은 음성 캐리어 및 데이터 캐리어 (존재하는 경우) 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송신 전력의 총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데이터 캐리어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전력의 양은, 더 높은 우선순위 캐리어에게 분배된 송 신 전력에 의해서만 감소되는 송신 전력의 양으로 계산을 제한하기 위해, 항 [TxPilotPower(lin)*T2P(rate)] 에 의해 다시 더해진다. 변수 TxPilotPower 는 데이터 파일럿 채널의 현재 전력 레벨이고, T2P 는 현재 전체 트래픽 대 파일럿 비이다. MarginForVoice 변수는 음성 캐리어의 주파수에 대해 예상되거나 알려진 송신 손상에 대한 보호물로서, 음성 캐리어에 대한 추가적인 송신 전력의 증분 할당 (incremental allocation) 치이며, 이 값은 고정되거나 함수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일단 이 계산이 완료되면, 데이터 캐리어의 전력 레벨은 증폭기 (327) 에게 제공된 AGC 이득 신호를 통해 프로세서 (365) 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데이터 레이트는 MaxPower 에 MaxDataPower 를 대입하여 PA 헤드룸 등식을 풀어 결정될 수 있다.
음성-전용 동작 모드에서, 음성 캐리어 전력 제어 계산이 프로세서 (365) 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결과는 증폭기 (307) 의 제어 입력에 제공되는 AGC 이득 신호에 의해 증폭기 (307) 의 이득을 설정함으로써 수행된다. 단말기가 음성 전용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단말기 사용자는 이메일 프로그램을 호출할 수도 있다. 이메일 메시지가 구성되고 사용자가 "메일 발송" 명령을 활성화시키면, 이메일 트래픽을 운반하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 채널은 접속 셋업 상태로 들어가며, 여기서, 데이터 채널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액세스 프로브가 역방향 링크로 전송될 것이다. 채널이 활성화되면, 음성/데이터 모드에 들어가고 이메일 메시지가 전송된다. 제 1 데이터 캐리어에 의해 데이터 송신을 초기화하기 위한 준비로서 데이터 채널이 접속 셋업 상태로 들어가는 시간에, 데이터 모뎀 (323) 은 역 방향 링크의 제 1 데이터 채널을 통한 액세스 프로브의 송신을 야기하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프로세서는 데이터 캐리어가 현재 액세스 프로브를 통신하는 전력 레벨을 계산하고 설정하여야 한다. 이 경우, MaxDataPower 는,
Figure 112006049855854-pct00005
와 같이 계산된다:
MaxDataPower 에 대해 계산된 값은 현재 액세스 프로브가 설정될 최대 전력이 될 것이며, 이는, 프로세서 (365) 설정에 의한, 증폭기 (327) 에 대한 AGC 이득에 대한 적절한 값일 수도 있다.
데이터-전용 동작 모드에서는, 데이터 채널이 활성이다. 접속 셋업 상태의 음성 채널 없이, 프로세서 (365) 는 MarginForVoice 성분을 영으로 설정하고 상기 식 (4) 에 따라 데이터 캐리어에 대한 전력을 설정한다. 단말기가 데이터 전용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단말기 사용자는 전화 번호를 누르기 시작할 수도 있고, 이는 음성 채널이 접속 셋업 상태로 들어가도록 하게 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프로브가 음성 채널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송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예시적인 경우, 사용자가 "발신" 명령을 활성화할 때까지 단말기는 음성/데이터 모드로 들어가지 않는다. 음성 채널이 셋업 모드로 들어갈 때에, 음성 모뎀 (303) 은 액세스 플래그 (도 3 에서 프로세서에 입력되는 FLAG) 를 발하고 음성 채널을 통해 액세스 프로브의 전송을 준비한다. 액세스 플래그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365) 는 식 (4) 의 MarginForVoice 를 최대값으로 설정하여 식을 풀고 증 폭기 (327) 의 이득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데이터 캐리어에 할당된 송신 전력의 일부를 조정한다. 데이터 캐리어 전력이 음성 캐리어를 수용하기 위해 감소될 경우, 프로세서 (365) 는 PA헤드룸 식 (2) 을 이용하여 데이터 채널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가 변경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변경이 요구되면, 데이터 모뎀 (323) 은 역방향 링크 데이터 캐리어 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를 변경하도록 시그널링된다.
다중 캐리어 액세스 단말기에서의 송신 전력의 우선순위가 결정된 분배를 위한 방법이 도 4 에 도시된다. 본 방법의 전체 흐름 및 각각의 행위가 도 3 의 다중 캐리어 송신기를 참조하여 설명되겠지만, 이는 오직 이해의 용이를 위함이며, 본 방법은 여러 가지 다른 다중 캐리어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 에서, 액세스 단말기는 계속 켜져 있었으며, 프로세서 (365) 에 입력된 OP MODE 에 의해 정의되는 어떠한 초기 동작 모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조건이 본 방법의 START 를 정의한다고 하자. 블록 (402) 에서 OP CODE 가 변경될 경우에는, 단말기가 음성과 데이터 트래픽 모두가 초기화되지 않은 유휴 (IDLE) 상태로 들어갔거나, 단말기의 사용자가 음성, 데이터 또는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이 초기화된 동작 모드를 선택한 것이다. 첫 번째 경우에, 본 방법은 판정 (404, 406 및 408) 을 통하여 블록 (410) 의 유휴 상태로 천이하고, 거기서 사용자에 의해 동작 코드가 입력될 경우에 블록 (402) 로 천이한다. 동작 코드가 입력되는 경우, 본 방법은 블록 (402) 로부터 천이하고 판정 (404) 에서 코드를 처음으로 테스트한다. 코드가 음성/데이터 동작 모드를 표시하면, 판정 (404) 에서 긍정 측 으로 나가고, 상술한 우선순위에 따라 블록 (405) 에서 송신 전력의 분배가 이루어진다. 즉, 증폭기 (307) 의 이득이 음성 트래픽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만큼의 MaxTxPowerAnalog 를 음성 캐리어에 부여하는 레벨로 설정된다. 동시에, MaxDataPower 는 식 (4) 에 따라 계산되고 데이터 캐리어는 증폭기 (327) 의 이득을 설정함으로써 계산된 전력 레벨로 설정된다. 본 방법은 동작 모드가 사용자 행위나 어떠한 시스템-개시 천이 중 하나를 통해 변경될 때까지 이 상태에서 유지되며, 둘 중 한 경우에, 본 방법은 다시 블록 (402) 로 들어간다. 판정 (404) 에서의 테스트에서 동작 모드가 음성/데이터가 아님을 나타낸다고 가정하면, 본 방법은 판정 (404) 으로부터의 부정 측에 의해 판정 (406) 으로 들어간다. 동작 모드가 음성 전용인 경우, 판정 (406) 에서 긍정 측으로 나가고 본 방법은 블록 (407) 으로 들어간다. 블록 (407) 에서 증폭기 (307) 의 이득은 음성 트래픽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의 MaxTxPowerAnalog 를 음성 캐리어에 부여하는 레벨로 설정된다. 그 후, 데이터 액세스 프로브가 발생하면, MaxDataPower 는 식 (5) 에 따라 계산되고, 증폭기 (327) 의 이득은, 계산으로부터 나온 MaxDataPower 레벨을 데이터 캐리어에게 제공하는데 필요한 대로 조정된다. 그렇지 않으면, 본 방법은 필요한 경우 필요에 따라, 데이터 액세스 프로브에 응답하여 동작 모드 변경시까지 블록 (407) 에서 유지되며, 이 경우 본 방법은 블록 (402) 로 돌아간다. 판정 (406) 에서의 테스트에서 동작 모드가 음성 전용이 아님을 나타내면, 본 방법은 판정 (408) 로 들어가고 동작 조건이 데이터 전용인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테스트의 결과가 긍정이면, 본 방법은 블록 (409) 로 천이하여, MarginForVoice 를 영으로 설정되고 식 (4) 에 따라 MaxDataPower 를 결정하고, 계산으로부터 나온 MaxDataPower 레벨을 데이터 캐리어에 제공하는데 필요한 대로 증폭기 (327) 의 이득을 조정한다. 그 후, 음성 액세스 프로브가 발생하면, MaxDataPower 는 MarginForVoice 를 큰 값으로 설정하고 식 (4) 에 따라 계산되며, 증폭기 (327) 의 이득은 계산으로부터 나온 MaxDataPower 레벨을 데이터 캐리어에 제공하는데 필요한 대로 조정된다. 그렇지 않으면, 본 방법은 필요한 경우 필요에 따라, 음성 액세스 프로브에 응답하여 동작 모드가 변경될 때까지 블록 (409) 에서 유지되며, 이 경우 본 방법은 블록 (402) 로 돌아간다.
단일 전력 증폭기에 의해 서비스되는 복수의 캐리어 사이에서의 송신 전력의 우선순위가 결정된 분배의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을 도시하는 도 5 를 참조한다. 도 5 에서, 송신기 (500) 는, 전력 증폭기 (PA; 504) 로 입력되는 다중 캐리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캐리어들을 합산하는 신호 결합기 (502) 에 의해 복수의 캐리어 (제 1 캐리어, 제 2 캐리어, ..., 제 n 캐리어) 가 합산되는 하나 이상의 다중 캐리어 송신부 (501) 을 포함한다. 전력 증폭기 (504) 는 다중 캐리어 신호를 증폭하여, 전력 증폭기 (504) 를 안테나 (506) 에 접속시키는 신호 경로 (505) 상에 증폭된 다중 캐리어 신호를 생성한다. 안테나 (506) 로부터, 증폭된 다중 캐리어 신호가 송신 링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수신기 (미도시) 로 송신된다. 증폭된 다중 캐리어 신호의 전력 레벨은, 신호 경로 (509) 에 의해 전력 증폭기 (504) 의 출력에 접속되는 전력 검출기 (508) 에 의해 측정된다. 전력 레벨이 측정되고 있는 신호는 다중 캐리어 송신부에 의해 송신되는 아날로그 신호이므로, 측정된 파라미터는 "송신 전력" 이라고 불리고 측정을 나타내는 신호는 도 5 에서 TxAnalogPower 로 도시된다. 프로세서 (510) 는 신호 경로 (511) 에 의해 전력 검출기 (508) 로부터 TxAnalogPower 신호를 수신한다. (전력 검출기 (508) 가 별개의 소자로 도시되었으나, 프로세서 (510) 에 통합될 수도 있음) TxAnalogPower 신호는, 프로세서 (510) 로 하여금 증폭된 다중 캐리어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지하고, 각각의 캐리어 (516) 에 대한 정보 비트 스트림의 송신을 위해 변조기 (514) 에 제공되는 각각의 캐리어 (제 1 캐리어, 제 2 캐리어, ..., 제 n 캐리어) 에 대한 최대 가용 송신 전력 (MaxPowerCarrier i) 을 간접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각각의 MaxPowerCarrier 신호는 변조기 (514) 에게, 대응하여 번호가 매겨진 캐리어 신호의 최대 가용 전력 레벨을 표시하고, 그에 의해, 우선순위 리스트 (512) 및 송신에 사용 가능한 전체 최대 전력 (MaxTxPowerAnalog) 에 상응하게 전력 캐리어 분배를 수행한다. 각각의 캐리어는 변조기 (514) 로의 입력 (517) 중 각각의 입력에 응답한 정보 신호 또는 채널의 송신을 위해 제공된다. 명백히, 캐리어들의 최대 전력 레벨의 제어는 전력 증폭기 (504) 에 의해 생성되는 증폭된 다중 캐리어 신호의 전력 레벨의 제어를 제공한다. 프로세서 (510) 는, 메모리 또는 저장 위치 (미도시) 에 유지되는 데이터 구조일 수도 있는 우선순위 리스트 (512) 에 액세스한다. 우선순위 리스트 (512) 는 캐리어 우선순위를 확립하고, 이에 따라, 안테나 (506) 에게 제공되는 증폭된 다중 캐리어 신호에 대한 최대 송신 전력의 최대량의 분배를 위해 캐리어 사이에 우선권이 확립된다. 설명을 위해, 캐리어의 번호 부여는 우선순위에서의 그들의 위치를 식별하는 것으로 가정하자. 따라서, 제 1 캐리어는 최고의 우선순위 캐리어이고, 제 2 캐리어는 두 번째 높은 우선순위, 등등이다. 또한, 캐리어는, 적어도, 정보 신호 또는 채널이 활성인 활성 상태 및 정보 신호 또는 채널이 유휴인 유휴 상태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태 중 임의의 상태에 있을 수 있음을 가정하자. 최대 송신 전력은 MaxTxPowerAnalog 로 표시된다. 임의의 캐리어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의 양은 MaxTxPowerAnalog 의 값, 활성 상태에 있는 임의의 더 상위의 우선순위 캐리어에 할당된 MaxTxPowerAnalog 의 양에 의존한다. 우선순위 분배 방식에 따르면, 최고의 우선순위 캐리어는, 그에 적용되는 어떠한 송신 요구 조건이던지 만족시키는데 필요한 만큼의 MaxTxPowerAnalog 를 할당받는다. 임의의 더 낮은 우선순위 캐리어 (캐리어 y 라 하자) 는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활성 캐리어에 할당된 후에 남은 MaxTxPowerAnalog 를 받을 것이다. 활성 고 우선순위 캐리어에 분배된 총 전력은 TxAnalogPower 로부터, 그리고 변조기 (514) 의 각각의 캐리어의 송신 레벨에 대한 정보로부터 확인가능하기 때문에, 캐리어 y 에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의 최대량은 일반적으로 프로세서 (510) 에 의해,
Figure 112006049855854-pct00006
에 따라 결정된다.
이 식에서, Margin 은 예측, 기대, 계산 또는 측정된 조건에 대해 주어진다. 물론, 그 값은 영일 수도 있다.
당업자는, 상기 제공된 설명과 관련하여 설명된 정보 및 신호를 다양한 서로 다른 기술 및 기법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지시, 명령, 정보, 신호, 비트, 심볼, 및 칩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계 또는 자성 입자, 광계 또는 광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당업자는 상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을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대체 가능성을 명백히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을 주로 그들의 기능의 관점에서 상술하였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될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조건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해석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제공된 개시물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신호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별도의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별도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 그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기계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기타 다른 구성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ROM), 소거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전기적 소거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판독 전용 메모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어, 그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한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단일 ASIC (주문형 집적회로) 내에 상주하거나, 예를 들어, 기지국 송수신기 내의 별도의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개시되어 있는 실시형태들에 대한 상기의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제조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당업자는 이들 실시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을 명백히 알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실시형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 서,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서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특징들과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Claims (22)

  1. 제 1 채널에 대해 제 1 캐리어를 제공하는 제 1 송신 회로;
    제 2 채널에 대해 적어도 제 2 캐리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송신 회로;
    상기 송신 회로들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적어도 제 2 캐리어를 다중 캐리어 신호로 결합하는 결합기;
    상기 결합기에 접속되어, 상기 다중 캐리어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송신 회로들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캐리어와 상기 제 2 캐리어 사이에서 상기 증폭된 다중 캐리어 신호용으로 사용 가능한 전력을 캐리어 우선순위에 따라 분배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다중 캐리어 단말기용 송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는 상기 캐리어 우선순위에 있어서 상기 제 2 캐리어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다중 캐리어 단말기용 송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우선순위는, 상기 제 1 캐리어에 송신 전력의 제 1 캐리어 부분 을 할당하고 상기 제 2 캐리어에 상기 송신 전력의 제 2 캐리어 부분을 할당하며,
    상기 제 2 캐리어 부분은, 상기 제 1 캐리어 부분만큼 감소된 상기 다중 캐리어 신호용으로 사용 가능한 전력에 기초하는, 다중 캐리어 단말기용 송신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채널이 활성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을 가지며,
    상기 캐리어 우선순위는, 상기 제 1 채널이 활성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 1 캐리어 부분을 할당하는, 다중 캐리어 단말기용 송신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우선순위는, 또한, 상기 제 1 채널이 접속 셋업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 1 캐리어 부분을 할당하는, 다중 캐리어 단말기용 송신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캐리어 신호용으로 사용 가능한 전력은 단말기 방사 제약에 의해 최대값으로 제한되는, 다중 캐리어 단말기용 송신기.
  7. 음성 채널에 대해 음성 캐리어를 제공하는 음성 송신 회로;
    데이터 채널에 대해 하나 이상의 데이터 캐리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데 이터 송신 회로;
    상기 음성 송신 회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송신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음성 캐리어와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캐리어를 다중 캐리어 신호로 결합하는 결합기;
    상기 결합기에 접속된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접속되어, 상기 전력 증폭기에 의해 생성되는 증폭된 다중 캐리어 신호의 전력 레벨을 측정하는 전력 검출기; 및
    상기 전력 검출기, 상기 음성 송신 회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송신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음성 캐리어에게 송신 전력의 음성 캐리어 부분을 먼저 할당하고, 그 후,
    Figure 112006049855854-pct00007
    에 의해, 상기 송신 전력의 데이터 캐리어 부분을 할당함으로써 단말기의 제 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음성 캐리어와 하나의 데이터 캐리어 사이에서 상기 다중 캐리어 신호용으로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의 최대량을 분배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여기서, MaxDataPower 는 상기 하나의 데이터 캐리어에 할당된 최대 전력이고, MaxTxPowerAnalog 는 상기 음성 캐리어에 사용 가능한 전력의 최대 레벨이고, TxAnalogPower 는 상기 전력 검출기에 의해 측정되는 증폭된 다중 캐리어 신호의 전력 레벨이고, TxPilotPower 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파일럿 신호의 전력 레벨이고, T2P(rate) 는 상기 파일럿 신호의 전력을 전체 신호 전력으로 변환하는 이득이 며, MarginForVoice 는 상기 음성 캐리어를 위해 예비된 전력의 마진인, 다중 캐리어 단말기용 송신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 1 동작 모드에서 모두 활성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Figure 112006049855854-pct00008
    에 의해, 상기 단말기의 제 2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음성 캐리어와 상기 하나의 데이터 캐리어 사이에서 상기 다중 캐리어 신호용으로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의 최대량을 분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 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음성 채널은 활성 상태이고 상기 데이터 채널은 접속 셋업 상태인, 다중 캐리어 단말기용 송신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Figure 112006049855854-pct00009
    에 의해, 상기 데이터 채널이 활성 상태인 상기 단말기의 제 3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음성 캐리어와 상기 하나의 데이터 캐리어 사이에서 상기 다중 캐리어 신호용으로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의 최대량을 분배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MarginForVoice 는, 상기 음성 채널이 유휴 상태인 동안에 0 으로 설정되고 상기 음성 채널이 접속 셋업 상태인 경우에 최대값으로 설정되는, 다중 캐리어 단말기용 송신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MaxTxPowerAnalog 는 스펙트럼 방사 제약에 기초한 최대값을 갖는, 다중 캐리어 단말기용 송신기.
  11. 광역 네트워크용 다중 캐리어 액세스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될 다중 캐리어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의 최대량을 제공하는 단계;
    제 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제 1 캐리어를 제공하는 단계;
    제 2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적어도 제 2 캐리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캐리어 및 상기 적어도 제 2 캐리어를 다중 캐리어 신호로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 1 캐리어와 상기 제 2 캐리어 사이에서 상기 다중 캐리어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을 캐리어 우선순위에 따라 분배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량 이하의 전력으로 상기 다중 캐리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캐리어 액세스 단말기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는 상기 캐리어 우선순위에 있어서 상기 제 2 캐리어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다중 캐리어 액세스 단말기의 동작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우선순위는, 상기 제 1 캐리어에 상기 송신 전력의 제 1 캐리어 부분을 할당하고 상기 제 2 캐리어에 상기 송신 전력의 제 2 캐리어 부분을 할당하며,
    상기 제 2 캐리어 부분은, 상기 제 1 캐리어 부분만큼 감소된 상기 다중 캐리어 신호용으로 사용 가능한 전력에 기초하는, 다중 캐리어 액세스 단말기의 동작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 1 캐리어가 활성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를 가지며,
    상기 캐리어 우선순위는, 상기 제 1 캐리어가 활성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 1 캐리어 부분을 할당하는, 다중 캐리어 액세스 단말기의 동작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우선순위는, 또한, 상기 제 2 캐리어가 활성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 2 캐리어 부분을 할당하는, 다중 캐리어 액세스 단말기의 동작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캐리어 신호용으로 사용 가능한 전력은 단말기 방사 제약에 의해 최대값으로 제한되는, 다중 캐리어 액세스 단말기의 동작 방법.
  17. 다중 캐리어 단말기에서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음성 채널에 대해 음성 캐리어를 제공하는 단계;
    데이터 채널에 대해 하나 이상의 데이터 캐리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음성 캐리어와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캐리어를 다중 캐리어 신호로 결합하는 단계;
    상기 다중 캐리어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상기 증폭된 다중 캐리어 신호의 전력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캐리어에게 송신 전력의 음성 캐리어 부분을 먼저 할당하고, 그 후,
    Figure 112006049855854-pct00010
    에 의해, 상기 송신 전력의 데이터 캐리어 부분을 할당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의 제 1 동작 모드에서 상기 음성 캐리어와 하나의 데이터 캐리어 사이에서 상기 다중 캐리어 신호용으로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의 최대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MaxDataPower 는 상기 하나의 데이터 캐리어에 할당된 최대 전력이고, MaxTxPowerAnalog 는 상기 음성 캐리어에 사용 가능한 전력의 최대 레벨이고, TxAnalogPower 는 증폭된 다중 캐리어 신호 전력의 측정된 전력 레벨이고, TxPilotPower 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파일럿 신호의 전력 레벨이고, T2P(rate) 는 상기 파일럿 신호의 전력을 전체 신호로 변환하는 이득이며, MarginForVoice 는 상기 음성 캐리어를 위해 예비된 전력의 마진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은 상기 제 1 동작 모드에서 모두 활성이고,
    Figure 112006049855854-pct00011
    에 의해, 상기 단말기의 제 2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음성 캐리어와 상기 하나의 데이터 캐리어 사이에서 상기 다중 캐리어 신호용으로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의 최대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음성 채널은 활성 상태이고 상기 데이터 채널은 접속 셋업 상태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Figure 112006049855854-pct00012
    에 의해, 상기 데이터 채널이 활성 상태인 상기 단말기의 제 3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음성 캐리어와 상기 하나의 데이터 캐리어 사이에서 상기 다중 캐리어 신호용으로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의 최대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MarginForVoice 는, 상기 음성 채널이 유휴 상태인 동안에 0 으로 설정되고 상기 음성 채널이 접속 셋업 상태인 경우에 최대값으로 설정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MaxTxPowerAnalog 는 스펙트럼 방사 제약에 기초한 최대값을 갖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1. 전력 증폭기를 갖는 송신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기에 의해 송신될 다중 캐리어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의 최대량을 제공하는 단계;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복수의 캐리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들 사이에서 상기 다중 캐리어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을 캐리어 우선순위에 따라 분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중의 캐리어를 다중 캐리어 신호로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전력 증폭기로 상기 다중 캐리어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량 이하의 전력으로 상기 다중 캐리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기 동작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의 최대량 (MaxTxPower) 는,
    Figure 112006049855854-pct00013
    에 따라 상기 복수의 캐리어 중 캐리어 y 에 분배되며,
    여기서, MaxPowerCarrier y 는 캐리어 y 용으로 사용 가능한 전력의 최대량이고, Margin 은 0 이상의 값을 갖는 전력의 마진이며,
    Figure 112006049855854-pct00014
    는 상기 복수의 캐리어 중 상기 캐리어 y 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캐리어에 분배된 총 송신 전력인, 송신기 동작 방법.
KR1020067014040A 2003-12-17 2004-11-30 다중 캐리어 단말기에서의 송신 전력의 우선순위가 결정된분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16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39,964 US7411930B2 (en) 2003-12-17 2003-12-17 Apparatus and method for prioritized apportionment of transmission power in a multi-carrier terminal
US10/739,964 2003-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937A KR20060121937A (ko) 2006-11-29
KR100816307B1 true KR100816307B1 (ko) 2008-03-24

Family

ID=3467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4040A KR100816307B1 (ko) 2003-12-17 2004-11-30 다중 캐리어 단말기에서의 송신 전력의 우선순위가 결정된분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411930B2 (ko)
EP (2) EP1698070B1 (ko)
JP (1) JP4481998B2 (ko)
KR (1) KR100816307B1 (ko)
CN (2) CN101715230B (ko)
AT (1) ATE484110T1 (ko)
BR (1) BRPI0417676A (ko)
CA (1) CA2548401C (ko)
DE (1) DE602004029495D1 (ko)
ES (1) ES2351698T3 (ko)
HK (1) HK1099430A1 (ko)
MX (1) MXPA06006915A (ko)
PL (1) PL1698070T3 (ko)
TW (1) TWI375417B (ko)
WO (1) WO20050624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0857B2 (en) 2003-11-24 2012-01-03 Qualcomm Atheros, Inc. Medium access control layer that encapsulates data from a plurality of received data units into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transmittable blocks
US7411930B2 (en) * 2003-12-17 2008-08-1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ioritized apportionment of transmission power in a multi-carrier terminal
US7333784B2 (en) * 2004-01-16 2008-02-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code channel power in a transmitter
US7899419B2 (en) * 2004-01-16 2011-03-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code channel power in a transmitter
US7616711B2 (en) * 2004-07-20 2009-11-10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domain filtering to improve channel estimation in multicarrier systems
US7672286B2 (en) * 2005-04-18 2010-03-02 Via Telecom Co., Ltd. Reverse-link structure for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7564828B2 (en) * 2005-04-18 2009-07-21 Via Telecom Co., Ltd. Power-efficient signaling for asymmetric multi-carrier communications
US8175190B2 (en) 2005-07-27 2012-05-08 Qualcomm Atheros, Inc. Managing spectra of modulated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4629611B2 (ja) * 2006-05-17 2011-02-09 ソフトバンクBb株式会社 ピーク電力低減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8072381A (ja) * 2006-09-13 2008-03-27 Toshiba Corp 基地局、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チャネル割当方法
US8665778B2 (en) 2006-11-30 2014-03-04 Motorola Mobility Llc Monitoring and control of transmit power in a multi-mode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744519B2 (en) 2006-12-14 2014-06-03 Motorola Mobility Llc Multimodal phone data session management enhancement that alleviates dual transmission problems
US7904021B2 (en) * 2006-12-21 2011-03-08 Atheros Communications, Inc. Selecting carriers for modulating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080207140A1 (en) * 2007-02-26 2008-08-28 Broadcom Corporation, A California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with contempor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realtime and non-realtime data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CN101056129B (zh) * 2007-05-18 2011-04-13 华为技术有限公司 同一功放中载波功率分配方法及系统
US8005152B2 (en) 2008-05-21 2011-08-23 Samplify Systems, Inc. Compression of baseband signals in base transceiver systems
US8832777B2 (en) 2009-03-02 2014-09-09 Headwater Partners I Llc Adapting network policies based on device service processor configuration
US8402111B2 (en) 2009-01-28 2013-03-19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 assisted services install
US8548428B2 (en) 2009-01-28 2013-10-01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 group partitions and settlement platform
US8391834B2 (en) 2009-01-28 2013-03-05 Headwater Partners I Llc Security techniques for device assisted services
US8635335B2 (en) 2009-01-28 2014-01-21 Headwater Partners I Ll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offloading
US8275830B2 (en) 2009-01-28 2012-09-25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 assisted CDR creation, aggregation, mediation and billing
US8630192B2 (en) 2009-01-28 2014-01-14 Headwater Partners I Llc Verifiable and accurate service usage monitoring for intermediate networking devices
US8626115B2 (en) 2009-01-28 2014-01-07 Headwater Partners I Llc Wireless network service interfaces
US8346225B2 (en) 2009-01-28 2013-01-01 Headwater Partners I, Llc Quality of service for device assisted services
US8406748B2 (en) 2009-01-28 2013-03-26 Headwater Partners I Llc Adaptive ambient services
US8340634B2 (en) 2009-01-28 2012-12-25 Headwater Partners I, Llc Enhanced roaming services and converged carrier networks with device assisted services and a proxy
US8589541B2 (en) * 2009-01-28 2013-11-19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assisted services for protecting network capacity
US8184599B2 (en) * 2008-06-23 2012-05-22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of UE operation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8526381B2 (en) * 2008-09-05 2013-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ulti-carrier
WO2010027216A1 (en) * 2008-09-05 2010-03-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of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KR101199572B1 (ko) * 2008-09-05 2012-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과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0027223A1 (en) * 2008-09-05 2010-03-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ulti-carrier
US8378732B2 (en) * 2008-09-22 2013-02-19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Octave-range, watt-level, fully-integrated CMOS switching power mixer array for linearization and back-off-efficiency improvement
AU2008362802B2 (en) * 2008-10-07 2012-01-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ransmission apparatus
US20100301398A1 (en) 2009-05-29 2010-12-02 Ion Torrent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alytes
JP5173742B2 (ja) * 2008-10-29 2013-04-03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
US8565170B2 (en) 2009-01-14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data transmission on multiple carriers
US9955332B2 (en) 2009-01-28 2018-04-24 Headwater Research Llc Method for child wireless device activation to subscriber account of a master wireless device
US10783581B2 (en) 2009-01-28 2020-09-22 Headwater Research Llc Wireless end-user device providing ambient or sponsored services
US10248996B2 (en) 2009-01-28 2019-04-02 Headwater Research Llc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end-user device mobile payment agent
US10492102B2 (en) 2009-01-28 2019-11-26 Headwater Research Llc Intermediate networking devices
US9253663B2 (en) 2009-01-28 2016-02-02 Headwater Partners I Llc Controlling mobile device communications on a roaming network based on device state
US10779177B2 (en) 2009-01-28 2020-09-15 Headwater Research Llc Device group partitions and settlement platform
US10326800B2 (en) 2009-01-28 2019-06-18 Headwater Research Llc Wireless network service interfaces
US9392462B2 (en) 2009-01-28 2016-07-12 Headwater Partners I Llc Mobile end-user device with agent limit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for specified background applications based on a stored policy
US8745191B2 (en) 2009-01-28 2014-06-03 Headwater Partners I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notifications
US10798252B2 (en) 2009-01-28 2020-10-06 Headwater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notifications
US10200541B2 (en) 2009-01-28 2019-02-05 Headwater Research Llc Wireless end-user device with divided user space/kernel space traffic policy system
US10841839B2 (en) 2009-01-28 2020-11-17 Headwater Research Llc Security, fraud detection, and fraud mitigation in device-assisted services systems
US9270559B2 (en) 2009-01-28 2016-02-23 Headwater Partners I Llc Service policy implementation for an end-user device having a control application or a proxy agent for routing an application traffic flow
US9858559B2 (en) 2009-01-28 2018-01-02 Headwater Research Llc Network service plan design
US10064055B2 (en) 2009-01-28 2018-08-28 Headwater Research Llc Security, fraud detection, and fraud mitigation in device-assisted services systems
US9980146B2 (en) 2009-01-28 2018-05-22 Headwater Research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secure data path processing agents
US10057775B2 (en) 2009-01-28 2018-08-21 Headwater Research Llc Virtualized policy and charging system
US11218854B2 (en) 2009-01-28 2022-01-04 Headwater Research Llc Service plan design, user interface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and device management
US11985155B2 (en) 2009-01-28 2024-05-14 Headwater Research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secure data path processing agents
US9706061B2 (en) 2009-01-28 2017-07-11 Headwater Partners I Llc Service design center for device assisted services
US9578182B2 (en) 2009-01-28 2017-02-21 Headwater Partners I Llc Mobile device and service management
US10715342B2 (en) 2009-01-28 2020-07-14 Headwater Research Llc Managing service user discovery and service launch object placement on a device
US9954975B2 (en) 2009-01-28 2018-04-24 Headwater Research Llc Enhanced curfew and protection associated with a device group
US9565707B2 (en) 2009-01-28 2017-02-07 Headwater Partners I Llc Wireless end-user device with wireless data attribution to multiple personas
US9755842B2 (en) 2009-01-28 2017-09-05 Headwater Research Llc Managing service user discovery and service launch object placement on a device
US9351193B2 (en) 2009-01-28 2016-05-24 Headwater Partners I Llc Intermediate networking devices
US11973804B2 (en) 2009-01-28 2024-04-30 Headwater Research Llc Network service plan design
US10264138B2 (en) 2009-01-28 2019-04-16 Headwater Research Llc Mobile device and service management
US9571559B2 (en) 2009-01-28 2017-02-14 Headwater Partners I Llc Enhanced curfew and protection associated with a device group
US9647918B2 (en) 2009-01-28 2017-05-09 Headwater Research Llc Mobile device and method attributing media services network usage to requesting application
US10484858B2 (en) 2009-01-28 2019-11-19 Headwater Research Llc Enhanced roaming services and converged carrier networks with device assisted services and a proxy
US8793758B2 (en) 2009-01-28 2014-07-29 Headwater Partners I Llc Security, fraud detection, and fraud mitigation in device-assisted services systems
US9557889B2 (en) 2009-01-28 2017-01-31 Headwater Partners I Llc Service plan design, user interface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and device management
US9572019B2 (en) 2009-01-28 2017-02-14 Headwater Partners LLC Service selection set published to device agent with on-device service selection
US10237757B2 (en) 2009-01-28 2019-03-19 Headwater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offloading
KR101697596B1 (ko) * 2009-01-29 201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2394472A2 (en) * 2009-02-03 2011-12-14 Nokia Siemens Networks Oy Uplink power control for multiple component carriers
CN102301615B (zh) * 2009-02-20 2014-07-2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使用多载波功率放大器(mcpa)的基站的发送功率控制方法和设备
JP5342022B2 (ja) * 2009-02-27 2013-11-13 ノキア シーメンス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アップリンクキャリアに優先順位を付け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WO2010101508A1 (en) * 2009-03-05 2010-09-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method of power control
CN102349253B (zh) * 2009-03-10 2016-08-17 夏普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无线发送装置和无线发送方法
CN102356674B (zh) * 2009-03-17 2015-07-29 诺基亚公司 干扰控制
JP5406919B2 (ja) * 2009-04-27 2014-02-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統合基地局
US9585108B2 (en) * 2009-05-04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power control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34806B2 (en) * 2009-06-11 2017-04-25 Qualcomm Incorporated Data prioritization for a power-limited U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07026A (ko) * 2009-07-15 201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1009157A1 (en) * 2009-07-20 2011-01-27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US9113491B2 (en) * 2009-07-22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ontrol and data transmission in a mixed single and multiple carrier network
CA2771081C (en) * 2009-08-14 2016-09-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haring carrier set for carrier aggregation
KR101603584B1 (ko) * 2009-08-18 201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셀룰러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초기 전송전력 설정 방법 및 장치
US11012947B2 (en) * 2009-10-21 2021-05-18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multi-power amplifier/antenna operation and channel prioritization
WO2011082145A2 (en) * 2010-01-04 2011-07-07 Atheros Communications, Inc. Transmit power control
EP2346175B1 (en) * 2010-01-15 2015-03-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A method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er to multi-carrier power amplifier configuration
CN102158942B (zh) * 2010-02-12 2013-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网络设备和终端
WO2011119079A1 (en) * 2010-03-24 2011-09-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t power
CN101808396B (zh) * 2010-03-24 2014-04-16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共享方法和基站
TWI459839B (zh) * 2010-04-02 2014-11-01 Mediatek Inc 管理多成分載波、緩存器狀態報告以及功率餘裕回報方法
EP2403302B1 (en) * 2010-06-29 2017-01-04 Lg Electronics Inc. User equipment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plurality of signals simultaneously using at least two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and method thereof
KR101718018B1 (ko) 2010-06-30 201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종 모뎀을 구비하는 단말에서의 송신 전력 검출 장치 및 방법
CN102340824B (zh) * 2010-07-22 2015-04-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载波高速数据业务调度的方法和装置
CN102487544B (zh) * 2010-12-06 2014-10-08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功率放大处理的方法和装置
US8737330B2 (en) 2011-06-24 2014-05-27 Motorola Mobility Llc Multi-cluster up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2740441B (zh) * 2012-06-14 2015-07-0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td-scdma小区的载波间功率分配方法和系统
US9241339B2 (en) * 2013-01-07 2016-01-19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emphasizing frequency blocks containing priority data
US9706564B2 (en) 2013-03-14 2017-07-11 Cavium,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a access control scheduling with a priority calculation hardware coprocessor
US9237581B2 (en) * 2013-03-14 2016-01-12 Cavium,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a access control scheduling with a sort hardware coprocessor
WO2014159862A1 (en) 2013-03-14 2014-10-02 Headwater Partners I Llc Automated credential porting for mobile devices
US10015749B2 (en) * 2015-09-25 2018-07-03 Intel IP Corporation Closed-loop power control in multi-transmission wireless systems
US10524264B2 (en) * 2017-03-20 2019-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memory de-allocator for efficient memory usag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9803366A (zh) * 2017-11-17 2019-05-2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US10812216B2 (en) 2018-11-05 2020-10-20 XCOM Labs, Inc.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scheduling
US10432272B1 (en) 2018-11-05 2019-10-01 XCOM Labs, Inc. Variabl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user equipment
US10756860B2 (en) 2018-11-05 2020-08-25 XCOM Labs, Inc.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US10659112B1 (en) 2018-11-05 2020-05-19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assis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CN113169764A (zh) 2018-11-27 2021-07-23 艾斯康实验室公司 非相干协作式多输入多输出通信
US11063645B2 (en) 2018-12-18 2021-07-13 XCOM Labs, Inc. Methods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group of devices
US10756795B2 (en) 2018-12-18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with cellular link and peer-to-peer link
US11330649B2 (en) 2019-01-25 2022-05-10 XCOM Labs, Inc. Methods and systems of multi-link peer-to-peer communications
US10756767B1 (en) 2019-02-05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cellular signal with another user equipment
US10735057B1 (en) 2019-04-29 2020-08-04 XCOM Labs, Inc. Uplink user equipment selection
US10686502B1 (en) 2019-04-29 2020-06-16 XCOM Labs, Inc. Downlink user equipment selection
US11411778B2 (en) 2019-07-12 2022-08-09 XCOM Labs, Inc. Time-division duplex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alibration
US11411779B2 (en) 2020-03-31 2022-08-09 XCOM Labs, Inc. Reference signal channel estim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5335A1 (en) * 1999-08-24 2001-03-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power amplification in a basestation
US20010031014A1 (en) * 2000-02-01 2001-10-18 C.A. Subramanian Method for allocating bits and power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WO2002084935A1 (en) * 2001-04-17 2002-10-24 Nokia Corporation Methods for determining the gains of different carriers, radio transmission units and modules for such unit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6109A (en) * 1989-11-07 1991-10-08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cdma cellular mobile telephone system
US5267262A (en) * 1989-11-07 1993-11-30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ter power control system
TW347616B (en) * 1995-03-31 1998-12-11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ast power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disclosed.
US5933781A (en) * 1997-01-31 1999-08-03 Qualcomm Incorporated Pilot based, reversed channel power control
US6101179A (en) * 1997-09-19 2000-08-08 Qualcomm Incorporated Accurate open loop power control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6545989B1 (en) * 1998-02-19 2003-04-08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g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694148B1 (en) * 1999-07-26 2004-02-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t power control for MCPA-equipped based stations
DE69933243T2 (de) * 1999-07-28 2007-04-12 Fujitsu Ltd., Kawasaki Funkgerät mit verzerrungskompensation
GB2357670A (en) * 1999-12-24 2001-06-27 Nokia Networks Oy Controlling a base station transmitter comprising a multi-carrier power amplifier
US6609008B1 (en) * 2000-11-09 2003-08-19 Qualcomm Inco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ignal power level in a communication system
JP3637323B2 (ja) * 2002-03-19 2005-04-13 株式会社東芝 受信装置、送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AU2003225815A1 (en) * 2002-03-19 2003-10-08 Powerwav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eliminating signal zero crossings in single and multiple channel communication systems
KR100519165B1 (ko) * 2002-10-17 2005-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처리 방법
US6937669B2 (en) * 2002-12-03 2005-08-30 Motorola, Inc. Digital predistortion system for linearizing a power amplifier
KR100474311B1 (ko) * 2002-12-05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캐리어 송신기의 출력레벨 조정회로 및 방법
US7409010B2 (en) * 2003-06-10 2008-08-05 Shared Spectrum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signals with reduced spurious emissions
US7026873B2 (en) * 2003-11-07 2006-04-11 Scintera Networks LMS-based adaptive pre-distortion for enhanced power amplifier efficiency
US7411930B2 (en) * 2003-12-17 2008-08-1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ioritized apportionment of transmission power in a multi-carrier terminal
KR100720633B1 (ko) * 2005-12-26 2007-05-21 엘지노텔 주식회사 컴바인 트랙킹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장치 및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5335A1 (en) * 1999-08-24 2001-03-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power amplification in a basestation
US20010031014A1 (en) * 2000-02-01 2001-10-18 C.A. Subramanian Method for allocating bits and power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WO2002084935A1 (en) * 2001-04-17 2002-10-24 Nokia Corporation Methods for determining the gains of different carriers, radio transmission units and modules for such un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98070B1 (en) 2010-10-06
DE602004029495D1 (de) 2010-11-18
HK1099430A1 (en) 2007-08-10
WO2005062492A1 (en) 2005-07-07
CN101715230A (zh) 2010-05-26
EP1698070A1 (en) 2006-09-06
MXPA06006915A (es) 2006-09-04
ES2351698T3 (es) 2011-02-09
CN100583672C (zh) 2010-01-20
BRPI0417676A (pt) 2007-03-20
CA2548401A1 (en) 2005-07-07
JP2007515139A (ja) 2007-06-07
ATE484110T1 (de) 2010-10-15
JP4481998B2 (ja) 2010-06-16
PL1698070T3 (pl) 2011-04-29
KR20060121937A (ko) 2006-11-29
TWI375417B (en) 2012-10-21
TW200539594A (en) 2005-12-01
EP2246990A2 (en) 2010-11-03
US7411930B2 (en) 2008-08-12
EP2246990B1 (en) 2018-09-26
CN101715230B (zh) 2014-08-20
US20050135312A1 (en) 2005-06-23
CN1894867A (zh) 2007-01-10
CA2548401C (en) 2011-07-19
EP2246990A3 (en)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307B1 (ko) 다중 캐리어 단말기에서의 송신 전력의 우선순위가 결정된분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62043B1 (ko) 다중-반송파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전력스로틀링
US79908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joint reverse link access and traffic channel radio frequency overload control
RU2325033C2 (ru) Управление множеством модемов в терминал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пределяемых значений энергии на бит
US7366142B2 (en) Controlling multiple modems in a wireless terminal using dynamically varying modem transmit power limits
KR101197525B1 (ko) 다운링크 전송시 호들의 스케줄링
JP469447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アウターループ出力制御
KR100430458B1 (ko) 무선 주파수 증폭기에 대한 적응성 프리리미터
CA2519646C (e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control during the traffic channel initialization period in a cdma network
US20070010269A1 (en) Base station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US7058421B2 (en) Wireless terminal operating under an aggregate transmit power limit using multiple modems having fixed individual transmit power limits
KR20060119712A (ko)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80021817A (ko) 무선 통신에서 액세스 터미널들 사이의 역방향 링크 간섭을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EP12257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nnel gains and data rates to preserve voice quality in a CDMA system
CN113647155B (zh) 用于管理辅载波上的最大功率的方法和装置
JP4125959B2 (ja)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