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820B1 -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820B1
KR100815820B1 KR1020060135698A KR20060135698A KR100815820B1 KR 100815820 B1 KR100815820 B1 KR 100815820B1 KR 1020060135698 A KR1020060135698 A KR 1020060135698A KR 20060135698 A KR20060135698 A KR 20060135698A KR 100815820 B1 KR100815820 B1 KR 100815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dip galvanized
galvanized steel
alloying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형
홍문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135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23C2/28Thermal after-treatment, e.g. treatment in oil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판 및 외판 등에 사용되는 고강도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내파우더링성 및 프레스 가공성은 통상적인 자동차용 강판과 동등 수준을 유지하면서 보다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량%로, C; 0.005%이하(0%는 불포함), S: 0.003-0.025%, Mn: 0.20%이하(0%는 불포함), Cu: 0.2%이하(0%는 불포함) 및 나머지 Fe 및 기타 불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연강판을 도금욕인입강판온도(FCS): 500∼510℃, 도금욕온도: 455∼465℃, 및 도금욕 조성: 0.12∼0.2%의 Al을 함유하는 용융아연욕의 조건으로 용융아연도금한 후, 합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을 그 요지로 한다.
합금화, 용융아연, 부착량, 내식성

Description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lloyed Zinc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합금화 처리시 Al 억제층의 형성 메카니즘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종래예 및 발명예에 대한 염수분무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판 및 외판 등에 사용되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MnS 석출물, CuS 석출물 및 이들의 복합 석출물 등을 포함하는 강(이하, "MAFE 강"이라고도 칭함)의 표면에 후도금하여 내식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성 문제가 사회적 관심이 되면서 자동차 분야에서는 자동차의 안전성,경량화 및 저연비화의 관점에서, 자동차용의 강판으로서, 고강도의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을 적용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내/외 유수의 자동차사의 경우, 자동차 강판을 기존 냉연강판(CR)재 에서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GA)재로 부분 또는 전량 교체함에 따라, 이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수요 증가에 부응할 수 있는 강 종으로서, MAFE 강을 들 수 있으며, 이 강종은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특허출원한 강으로서, 중량%로서 C; 0.005%이하, S: 0.003-0.025%, Mn: 0.20%이하, 및 Cu: 0.2%이하를 함유하는 강이며, 그 대표적인 예가 WO 05/045085호 및 WO 05/061748호에 제시되어 있다.
한편, 순수한 아연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용융 아연도금강판 (Galvanizing steel sheet : GI 강판)은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GA강판)에 비하여 용접성 및 도장성이 떨어지며, 따라서,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은 용접성 및 도장성은 우수하지만, 도금층이 취성이 강한 철-아연 금속간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스 가공시 도금층이 박리되는 파우더링(Powdering) 및 플레이킹 (Flaking)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도금층/소지철 계면에 형성되는 감마 상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고 여겨져 왔다.
특히, 최근에는, 보다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도금 부착량을 증가시키는 시도들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금부착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상기한 박리문제를 더욱 가중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파우더링(Powdering) 및 플레이킹 (Flaking)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면서, 내식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후도금 강판재의 제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내파우더링성 및 프레스 가공성은 통상적인 자동차용 강판과 동등 수준을 유지하면서 보다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중량%로, C: 0.005%이하(0%는 불포함), S: 0.003-0.025%, Mn: 0.20%이하(0%는 불포함), Cu: 0.2%이하(0%는 불포함) 및 나머지의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연강판을 도금욕인입강판온도(FCS): 500∼510℃, 도금욕온도: 455∼465℃, 및 도금욕 조성: 0.12∼0.2%의 Al을 함유하는 용융아연욕의 조건으로 용융아연도금한 후, 합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중량%로, C: 0.005%이하(0%는 불포함), S: 0.003-0.025%, Mn: 0.20%이하(0%는 불포함), 및 Cu: 0.2%이하(0%는 불포함)를 함유하는 강 즉, MAFE강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 보다 바람직하게 적용되는 강은 C:0.003%이하(0%는 불포함), Mn:0.03~0.15%, Si: 0.10%이하(0%는 불포함), P: 0.03~0.2%, S:0.003~0.015%, Al:0.01~0.08%, Cu:0.005~0.2%를 포함하고, 상기 Mn, Cu, S가 조건 0.035≤Mn+Cu≤0.3, 2≤0.5×(Mn+Cu)/S≤20를 만족하고,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MAFE강이다.
상기 MAFE강에는 CuS, MnS, 및 (Cu,Mn)S의 S계 석출물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석출물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주요특징은 MAFE강의 계면 구조의 특성의 고려하여 도금조건을 적절히 제어하여 합금화 도금시 얇고 균일한 Al 억제층을 형성함으로써 합금화가 보다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소지강판인 냉연강판은 용융아연도금하기 전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 750℃ 이상으로 가열한 후, 냉각된 다음, 도금욕으로 인입된다.
상기 전처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행하면 되고,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NaOH 용액 등으로 세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통상, 합금화의 용이성을 위한 도금욕인입강판온도는 일정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극하향 또는 극상향시, 미합금화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고 여겨져왔다.
본 발명자들은 연구 및 실험을 통하여, 도금욕인입강판온도를 높이더라도, 합금화의 용이성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Al 억제층 형성시 높은 강판(Strip)온도로 인하여 Fe원자 용출 구동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치밀하고 얇은 억제층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어 균일한 합금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도금욕인입강판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Fe의 용출이 충분하지 않아 Al억제층이 불균일하게 형성되고, 너무 높은 경우에는 용융아연도금의 합금화 반응 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으므로, 상기 도금욕인입강판온도는 500∼51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금욕온도는 455∼46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금욕은 0.12∼0.2%의 Al을 함유하는 용융아연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금욕 온도 및 용융아연욕 조성은 적절한 용융아연도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건으로 선정된 것이다.
상기 합금화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합금화가 불균일하게 일어나 합금화 색상차이를 야기할 우려가 있고, 그리고 너무 높은 경우에는 내파우더링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합금화 온도는 535∼54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도금 부착량은 충분한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45g/m2를 초과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우수한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60g/m2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종래예)
중량%로, C:0.0016%, Mn:0.072%, P:0.0609%, Si: S:0.06%, Al:0.008%, Cu:0.1% 및S:0.010%를 포함하는 냉연강판을 800℃에서 64초 동안 소둔한 다음, 도금욕인입강판온도(FCS): 495℃, 도금욕온도: 460℃, 및 도금욕 조성: 0.12∼0.2%의 Al을 함유하는 용융아연욕의 조건으로 용융아연도금한 후, 부착량이 45g/m2가 되도록 조절한 다음, 535℃에서 합금화(GA)하여 합금화 용융도금강판을 제조하였다.
(발명예)
중량%로, C:0.0016%, Mn:0.072%, P:0.0609%, Si: S:0.06%, Al:0.008%, Cu:0.1% 및S:0.010%를 포함하는 냉연강판을 800℃에서 64초 동안 소둔한 다음, 도금욕인입강판온도(FCS): 505℃, 도금욕온도: 460℃, 및 도금욕 조성: 0.12∼0.2%의 Al을 함유하는 용융아연욕의 조건으로 용융아연도금한 후, 부착량이 65g/m2가 되도록 조절한 다음, 540℃에서 합금화(GA)하여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발명예에 대하여 합금화도(Fe%)를 측정한 결과, 전면은 합금화도가 9.2이고, 후면은 10.1로 나타났으며, 이는 종래의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것과 동등한 수준에 해당되는 것이다.
또한, 발명예에 대하여 표면상태[조도(JA)] 및 60도 벤딩 테스트에 의하여 내파우더링성[박리폭(mm), 등급]을 조사한 결과, 평균조도(JA)는 0.80㎛로써, 통상의 GA재 평균조도를 유지하였고, 박리폭(mm)은 전면은 4.85(mm), 후면은 5.24(mm)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발명예의 표면상태 및 내파우더링성은 자동차 외판재 기준을 만족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내파우더링성의 평가기준인 박리폭(mm)은 4mm이하가 1등급이고, 6mm이하가 2등급인데, 자동차 외판재로 합격을 받기 위해서는 1, 2등급에 해당 되어야 한다.
한편, 종래예 및 발명예의 내식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염수분무시험을 행하 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명예가 종래예에 비하여 내식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중량%로, C:0.0016%, Mn:0.072%, P:0.0609%, Si: S:0.06%, Al:0.008%, Cu:0.1% 및S:0.010%를 포함하는 냉연강판을 800℃에서 64초 동안 소둔한 다음, 하기 표 1에 나타난 도금욕인입강판온도, 도금욕온도 및 합금화 온도조건으로 용융아연도금 및 합금화 처리를 실시하여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도금욕으로는 0.12∼0.2%의 Al을 함유하는 용융아연욕을 사용하고, 부착량은 65g/m2 이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에 대하여 60도 벤딩 테스트에 의하여 파우더링지수[박리폭(mm)]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도금욕인입 강판온도(℃) 도금욕 온도(℃) 합금화 온도(℃) 파우더링지수 [박리폭(mm)]
발명범위 500 458 535 4
비교범위 490 450 545 6.1
발명범위 510 465 545 5
비교범위 516 457 535 미합금화 발생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금욕인입강판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미합금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 내식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내파우더링성 및 프레스 가공성도 종래의 자동차용 강판과 동등 수준을 유지하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중량%로 C:0.003%이하(0%는 불포함), S:0.003~0.015%, Mn:0.03~0.15%, Cu:0.005~0.2%, Si: 0.10%이하(0%는 불포함), P:0.03~0.2%, Al:0.01~0.08%를 포함하고, 상기 Mn, Cu, S가 조건 0.035≤Mn+Cu≤0.3, 2≤0.5×(Mn+Cu)/S≤20를 만족하고,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냉연강판을 도금욕인입강판 온도(FCS): 500∼510℃, 도금욕 온도: 455∼465℃, 및 도금욕 조성: 0.12∼0.2%의 Al을 함유하는 용융아연욕의 조건으로 용융아연도금한 후, 합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도금 부착량은 45g/m2을 초과 하도록 하고, 그리고 합금화는 535∼545℃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도금 부착량이 60g/m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화 용 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20060135698A 2006-12-27 2006-12-27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0815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698A KR100815820B1 (ko) 2006-12-27 2006-12-27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698A KR100815820B1 (ko) 2006-12-27 2006-12-27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820B1 true KR100815820B1 (ko) 2008-03-20

Family

ID=39411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698A KR100815820B1 (ko) 2006-12-27 2006-12-27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8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1663A (ja) * 1992-05-28 1993-12-14 Nkk Corp 2層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H08283909A (ja) * 1995-04-17 1996-10-29 Nippon Steel Corp 加工性の均一性に優れた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45508A (ko) * 1998-12-30 2000-07-15 이구택 내파우더링성이 우수한 합금화 용융아연 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20050069898A (ko) * 2003-12-29 2005-07-05 주식회사 포스코 내2차가공취성이 우수한 소부경화형 고강도 냉연강판과 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1663A (ja) * 1992-05-28 1993-12-14 Nkk Corp 2層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H08283909A (ja) * 1995-04-17 1996-10-29 Nippon Steel Corp 加工性の均一性に優れた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45508A (ko) * 1998-12-30 2000-07-15 이구택 내파우더링성이 우수한 합금화 용융아연 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20050069898A (ko) * 2003-12-29 2005-07-05 주식회사 포스코 내2차가공취성이 우수한 소부경화형 고강도 냉연강판과 그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4751B1 (en) Steel sheet for hot pressing and method for producing hot-pressed member using steel sheet for hot pressing
TWI437122B (zh) 熔融Al-Zn系鍍覆鋼板及其製造方法
KR20120075235A (ko) 고내식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과 그 제조방법
CA2605487C (en) A method for hot-dip galvanizing
US20210310129A1 (en) ZnAlMg-Coated Metal Sheet with Improved Flexibility and Corresponding Manufacturing Process
JP4333940B2 (ja) アルミ系めっき鋼板を用いた高強度自動車部材の熱間プレス方法
KR20150061407A (ko) 백색도 및 외관 균일성이 우수한 전기아연도금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H0324255A (ja) 溶融亜鉛めっき熱延鋼板の製造方法
KR101414886B1 (ko) 성형성 및 접착 후의 내 박리성이 우수한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과 그 제조 방법
JP5009035B2 (ja) 外観に優れた高張力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KR100868457B1 (ko) 도금밀착성이 우수한 합금화용융아연도금강판과 그제조방법
JP2001323355A (ja) めっき密着性と塗装後耐食性の良好なSi含有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と塗装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40813B2 (ja) TS×Elの値が21000MPa・%以上である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KR102250323B1 (ko)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815820B1 (ko)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CN115443350B (zh) Al镀覆热冲压钢材
CN113227437B (zh) 加工性和耐蚀性优异的异种镀覆钢板及其制造方法
KR101143180B1 (ko) 용융 아연합금 도금욕, 용융 아연합금 도금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51163B1 (ko) 도금부착성 및 굽힘가공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이를이용한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20120041619A (ko) 도금성 및 밀착성이 우수한 용융아연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2575273A (zh) 具有优良镀层塑性的中铝系锌铝镁镀层钢板及生产方法
KR100797364B1 (ko) 굽힘가공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초고강도 강판 및 이를이용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JP2010248602A (ja) 熱間プレス用めっき鋼板および熱間プレス成形品
CN110964981A (zh) 一种镀锌管材及制造方法
KR101143037B1 (ko) 열간 프레스용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