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687B1 - 자동 실장에 적합한 보드 실장 커넥터 - Google Patents

자동 실장에 적합한 보드 실장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687B1
KR100815687B1 KR1020060080431A KR20060080431A KR100815687B1 KR 100815687 B1 KR100815687 B1 KR 100815687B1 KR 1020060080431 A KR1020060080431 A KR 1020060080431A KR 20060080431 A KR20060080431 A KR 20060080431A KR 100815687 B1 KR100815687 B1 KR 100815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ard
housing
boss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4398A (ko
Inventor
유키코 사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4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52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characterised by the loca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7Coupling devices presenting arrays of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보드에 실장되는 한 쌍의 제 1 관통홀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을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 한 쌍의 지지부는 제 1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콘택을 유지하는 하우징에 형성된다. 각각의 지지부는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다. 제 1 보스는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각각 제 1 관통홀에 삽입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보스는 하우징에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에 삽입된다.

Description

자동 실장에 적합한 보드 실장 커넥터{BOARD MOUNT CONNECTOR SUITABLE FOR AUTOMATIC MOUTING}
도 1은 보드에 실장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보드에 실장될 때 도 1의 커넥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보드에 실장될 때 도 1의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보드로부터 분리될 때 도 1의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보드에 실장될 때 도 1의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커넥터와 보드의 특징 부분의 치수적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보드에 대해 소정 각도로 커넥터가 경사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보드에 실장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타입에 따라, 보드와 평행한 결합(coupling)면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옆 외관(profile)이 높은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2500036호 및 제2549644호를 참조). 이 커넥터는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하우징,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면서 소정의 피치(pitch)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콘택, 및 하우징을 커버하는 셀(shell)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그 하단부분에 형성된 확장된 하단부(lower portion)를 제공한다. 하우징에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그 하부 중심부에 형성되는 보스(boss)가 형성된다. 셀에는 또한 각각 통상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그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보스가 형성된다. 이러한 보스가 보드의 홀을 통해 삽입될 때, 콘택은 보드의 콘택 포인트 패턴에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짝 커넥터는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보드에 실장될 때 커넥터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에는 예를 들어, 그 하부에 형성되는 확장된 하단부가 형성된다. 하지만, 이 경우 커넥터는 사이즈가 증가하여 컴팩트한 구조의 요구에 맞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커넥터의 보스는 보드의 관통홀에 압입(press-fitted)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보스가 관통홀에 끼움결합되도록 커넥터는 푸시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커넥터 타입에 의존하므로, 보드에 커넥터를 자동적으로 실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커넥터가 후크를 사용하여 보드에 고정된다. 하지만, 이 경우 커넥터는 사이즈가 증가하게 되어 컴팩트한 구조를 요구하는데 맞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실장 머신에 의해 보드에 실장되기에 적합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팩트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드에 실장될 때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한 쌍의 제 1 관통홀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을 구비하는 보드에 실장될 커넥터가 제공되며,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 제 1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다수의 콘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지지부, 각각 상기 제 1 관통홀로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제 1 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로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보스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기술한다.
도면에서 묘사된 커넥터(1)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하우징(2), 제 1방향(좌우 방향)(A1)으로 소정의 피치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2)에 의해 유지되는 다수의 전도성 콘택(3), 및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택(3)과 상기 하우징(2)을 커버하는 셀(4)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은 한 쌍, 즉 하부 전방부에서 지지부로서 형성된 두 개의 확장된 하단부(2a 및 2b)를 제공한다. 상기 확장된 하단부(2a 및 2b)에는 제 1 방향(A1)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있으며 제 1 방향(A1)과 수직인 제 2 방향(전후 방향)(A2)으로 돌출되어 있다. 확장된 하단부(2a 및 2b)는 각각 저면에 형성되고 원형단면을 가지는 보스(2a1 및 2b1)가 형성된다. 보스(2a1 및 2b1)의 각각을 제 1 보스로 호칭할 것이다.
셀(4)에는 제 2 방향(A2)으로 그 하단 중심부에 형성된 보스(4a 및 4b)가 형성된다. 이 보스(4a 및 4b)는 제 1 방향(A1)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있으며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다. 셀(4)에는 후면상에 그 하단 중심에 형성된 보스(4c)가 더 형성된다. 보스(4c)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제 2 보스라 호칭된다. 보스(4a 및 4b)의 각각은 제 3 보스라 호칭될 것이다.
커넥터(1)는 보드(11) 예를 들어 자동 실장 머신에 의해 실장된다. 콘택(3)은 납땜 등에 의해 보드(11)의 콘택 포인트 패턴(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커넥터(1)는 짝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의 연결부를 수용하도록 된 결합 슬롯(1a)을 갖는다. 짝 커넥터가 결합 슬롯(1a)에 결합될 때, 짝 커넥터는 콘택(3)에 접촉되고 컨택(3)을 통해 보드(11)의 콘택 포인트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커넥터(1)는 제 1 및 제 2 방향(A1 및 A2)에 수직인 제 3 방향(상하 방향)(A3)으로 보드로부터 상대적으로 큰 높이를 가지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도 4와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커넥터(1)와 보드(11)간의 관계에 대해 기술한다.
보드(11)는 수직 방향으로 보드(11)를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을 제공한다. 관통홀은 원 형태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전방에 형성되며, 제 1 방향(A1)으로 서로 간격을 가지는 두 개의 관통홀(11a 및 11b)과, 직사각형상을 가지고,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제 1방향(A1)으로 서로 간격을 가지는 두 개의 관통홀(11c 및 11d)과 직사각형상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후방에 형성되는 관통홀(11e)을 포함한다. 여기서, 두 개의 관통홀(11a 및 11b)을 제 1 관통홀이라 칭하고, 관통홀(11e)을 제 2 관통홀이라 칭하며, 두 개의 관통홀(11c 및 11d)을 제 3 관통홀이라 칭한다.
커넥터(1)를 보드(11)에 실장하기 위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커넥터(1)의 보스(2a1,2b1,4a,4b, 및 4c)가 보드(11)의 관통홀(11a,11b,11c,11d, 및 11e)에 대면한다. 이후, 커넥터(1)는 아래로 이동하여 보스(2a1,2b1,4a,4b, 및 4c)가 각각 보드(11)의 관통홀(11a,11b,11c,11d, 및 11e) 안으로 삽입된다. 이 상태를 잠정적 실장 상태라 한다. 잠정적 실장 상태에 있어, 커넥터(1)는 보드(11)에 고정되지 않으며 기울어질 수 있다. 이후, 컨택(3)은 보드(11)의 콘택 포인트 패턴에 연결되고 커넥터(1)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보드(11)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실장 상태를 획득한다.
여기서, 확장된 하단부가 커넥터(1) 주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는 그리고 형성될 수 없는 "비 제한 영역" 및 "제한 영역"이 제공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커넥터(1)가 보드(11)의 단부에 부착되는 경우, 단부 위의 상부 지역은 "제한 영역"이며 한편 커넥터(1)의 반대측의 보드(11)의 상부 지역은 "비-제한 영역"이다. 다른 전자부품이 커넥터(1)의 일측면에 인접하여 보드(11)에 실장되는 경우, 전자부품이 배치되는 지역 및 그 주변 지역은 "제한 영역"이고 한편 커넥터(1)의 타측면의 보드(11) 상부 지역은 "비 제한 영역"이다. 특히, 도 5에 있어, 커넥터(1)의 전면측 주위 지역이 "비 제한 영역"이고 한편 커넥터(1)의 후면측 주위 지역이 "제한 영역"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확장된 하단부(2a 및 2b)는 오직 커넥터(1)의 전면측에 형성되고 확장되지 않은 하단부는 후면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커넥터(1)는 상대적으로 컴팩트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7을 추가로 참조하여, 커넥터(1)의 보스(2a1,2b1,4a,4b, 및 4c)와 보드(11)의 관통홀(11a,11b,11c,11d, 및 11e)간의 치수적 관계 뿐만 아니라 치수적 관계에 의해 획득되는 효과를 기술한다.
도 6에 있어, 보스(2a1 및 2b1)는 동일한 직경 a를 가진다. 관통홀(11a 및 11b)은 직경 a보다 약간 큰 동일한 직경 b를 가진다. 보스(4c)는 직경 c를 가진다. 관통홀(11e)은 직경 c보다 약간 큰 직경 d를 가진다. 예를 들어, 직경 a 내지 d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하지만, 직경 b 및 d는 서로 동등할 수 있다.
a=1.2mm
b=1.4mm
c=0.5mm
d=0.65mm
보스(4a 및 4b)는 관통홀(11c 및 11d)보다 직경이 작다. 하지만 이들간의 관계가 엄격하게 일치할 필요는 없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커넥터(1)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잠정적 실장 상태로 가정하여, 보스(4a 및 4b)는 경사의 회전 중심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보스(4a 및 4b) 및 관통홀(11c 및 11d)간의 치수적 관계는 엄격하게 일치할 필요가 없다.
커넥터(1)의 보스(2a1,2b1,4a,4b, 및 4c)가 각각 보드(11)의 관통홀(11a,11b,11c,11d, 및 11e)보다 직경이 작기 때문에, 관통홀로 보스가 삽입되기 용이하다. 따라서, 자동 실장 머신으로 보드(11)에 커넥터(11)를 실장하기가 용이해진다.
커넥터(1)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잠정적 실장 상태일 때, 보스(2a1 및 2b1)는 관통홀(11a 및 11b)의 내부표면과 간섭(interfere)하며 한편 보스(4c)는 관통홀(11e)의 내부표면과 간섭한다. 그 결과, 커넥터(1)가 소정 각도를 넘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보드(11)의 콘택 포인트 패턴에 콘택(3)을 연결하는 동작이 방해받지 않는다.
보스(4a 및 4b)와 관통홀(11c 및 11d)은 커넥터(1)가 소정 각도로 경사진다 하더라도 보스(4a 및 4b)가 관통홀(11c 및 11d)의 내부 표면과 간섭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하지만, 보스(4a 및 4b)와 관통홀(11c 및 11d)은 보스(4a 및 4b)가 관통홀(11c 및 11d)의 내부표면과 간섭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게다가, 제 3 보스(4a 및 4c)가 없다하더라도 제 1 보스(2a1 및 2b1)와 제 2 보스(4c)로 커넥터(1)는 소정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단일 제 2 보스가 기술되었지만, 하우징은 두 개 이상의 제 2 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보스의 추가에 따라 관통홀이 보드에 추가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실장 머신에 의해 보드에 실장되기에 적합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컴팩트한 커넥터를 제공한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보드에 실장될 때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0)

  1. 한 쌍의 제 1 관통홀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을 구비하는 보드에 실장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
    제 1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다수의 콘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지지부;
    각각 상기 제 1 관통홀로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제 1 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로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보스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보스가 상기 셀과 일체로 형성되는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셀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한 쌍의 제 3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커넥터는 각각 상기 제 3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1 보스와 상기 제 2 보스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3 보스를 구비하는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보스는 상기 셀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보스는 상기 셀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절연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셀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스는 상기 제 1 관통홀보다 직경이 작은 커넥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보다 직경이 작은 커넥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스는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에 수직인 제 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관통홀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보스는 상기 제 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보다 직경이 작은 커넥터.
KR1020060080431A 2005-08-25 2006-08-24 자동 실장에 적합한 보드 실장 커넥터 KR100815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43712A JP2007059227A (ja) 2005-08-25 2005-08-25 基板搭載用コネクタ
JPJP-P-2005-00243712 2005-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398A KR20070024398A (ko) 2007-03-02
KR100815687B1 true KR100815687B1 (ko) 2008-03-20

Family

ID=37778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431A KR100815687B1 (ko) 2005-08-25 2006-08-24 자동 실장에 적합한 보드 실장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52532B2 (ko)
JP (1) JP2007059227A (ko)
KR (1) KR100815687B1 (ko)
CN (1) CN1921233A (ko)
TW (1) TWI2982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56517A2 (en) 2007-05-10 2010-02-24 Fci Support for electrical connector
FR2915897B1 (fr) * 2007-05-11 2009-08-21 Lvmh Rech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extrait d'adenium obesum, son utilisation et une methode de soin cosmetique en comportant l'application.
US7704098B2 (en) * 2008-07-22 2010-04-27 Amphenol Corporation Registered jack with enhanced EMI protection
US8784132B2 (en) * 2010-11-18 2014-07-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connector shroud
KR102345677B1 (ko) * 2018-05-08 2021-12-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수직 타입의 다이렉트 pcb 커넥터
JP6785261B2 (ja) 2018-05-11 2020-11-1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ユニット
JP1663239S (ko) * 2020-02-20 2020-07-06
JP7482021B2 (ja) 2020-12-25 2024-05-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部品
DE102021134344A1 (de) * 2021-12-22 2023-06-22 HARTING Electronics GmbH Leiterkartensteckverbinder mit sensierbarem Formele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489A (ja) * 1992-08-05 1994-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多チャンネル音声再生装置
JP2000123894A (ja) * 1998-09-15 2000-04-28 Molex Inc プリント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00150091A (ja) * 1998-11-06 2000-05-30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
JP2001093604A (ja) * 1999-09-28 2001-04-06 Calsonic Kansei Corp コネクタの基板取付構造
JP2002319443A (ja) * 2001-04-20 2002-10-31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9644B2 (ja) 1987-02-05 1996-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出力制御装置
US5147225A (en) * 1991-01-25 1992-09-15 Amp Incorporated Shroud-to-board polarization and keying system
US5357617A (en) 1991-11-22 1994-10-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tantially concurrent multiple instruction thread processing by a single pipeline processor
US5634810A (en) * 1995-03-22 1997-06-03 Molex Incorporated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165015A (en) * 1997-07-17 2000-12-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6354875B1 (en) * 2000-10-10 2002-03-1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a rear shield
US6508660B2 (en) * 2001-01-31 2003-01-21 Agilent Technologies, Inc. Metallic shroud for use with board-mounted electronic connectors
TW532627U (en) * 2001-12-26 2003-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6822466B1 (en) * 2003-08-20 2004-11-23 Agilent Technologies, Inc. Alignment/retention device for connector-less probe
CN2665986Y (zh) * 2003-08-27 2004-12-2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737009Y (zh) * 2004-09-27 2005-10-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489A (ja) * 1992-08-05 1994-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多チャンネル音声再生装置
JP2000123894A (ja) * 1998-09-15 2000-04-28 Molex Inc プリント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00150091A (ja) * 1998-11-06 2000-05-30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
JP2001093604A (ja) * 1999-09-28 2001-04-06 Calsonic Kansei Corp コネクタの基板取付構造
JP2002319443A (ja) * 2001-04-20 2002-10-31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21233A (zh) 2007-02-28
US20070049072A1 (en) 2007-03-01
JP2007059227A (ja) 2007-03-08
US7252532B2 (en) 2007-08-07
TW200715659A (en) 2007-04-16
TWI298213B (en) 2008-06-21
KR20070024398A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687B1 (ko) 자동 실장에 적합한 보드 실장 커넥터
US8821198B2 (en) Surface mounted electrical contact
US722312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ing shell
US20110053388A1 (en) Edge connector for reverse insertion of daughter board
US7997932B2 (en) Shieled connector having leveling arrangement ensuring reliable interconnection
US755979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 grounded shield for camera module
US8974236B2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US750379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10070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butting ribs against PCB
US20080081490A1 (en) Ball grid array socke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585192B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80151986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nclined shell with side-by-side legs
US822113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wo connector bodies mounted on opposite surfaces of a PCB
JP4971957B2 (ja) コンタクト部材、コンタクト部材の保持構造及び電気コネクタ
US20150155659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inforced anti-mismating member
US6296527B1 (en) Modular jack connector
US7950928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EP0429554A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30153203A1 (en) Convenience outlet mountable to a printed circuit board
US20030119357A1 (en) Cpu socket connector
CN114698239B (zh) 电气部件
WO1993026063A1 (en) Face-mount connector
US20140099831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w profile
US6224398B1 (en) IC card connector and IC card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JPH0716306Y2 (ja) 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