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352B1 -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352B1
KR100815352B1 KR1020050039808A KR20050039808A KR100815352B1 KR 100815352 B1 KR100815352 B1 KR 100815352B1 KR 1020050039808 A KR1020050039808 A KR 1020050039808A KR 20050039808 A KR20050039808 A KR 20050039808A KR 100815352 B1 KR100815352 B1 KR 100815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racted light
lens system
light
numerical aperture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071A (ko
Inventor
유로프 빅토
양행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9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352B1/ko
Priority to US11/433,637 priority patent/US7227594B2/en
Priority to JP2006134174A priority patent/JP2006317951A/ja
Publication of KR20060117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diffrac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C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 B81C1/00015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for manufacturing microsystems
    • B81C1/00134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for manufacturing microsystems comprising flexible or deformable structures
    • B81C1/00142Brid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95Relay lenses or ro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6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ylindrical or toric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04N9/313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using one-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7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polarizing the light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변조기에 의해 형성된 +차수와 -차수의 회절광을 집광하는데 있어 렌즈계의 개구수를 크게 줄인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구수 감쇠기를 구비하여 입사되는 회절광의 광경로를 광경로의 중심축에 근접하도록 변화시켜 개구수를 감쇠시킨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회절형 광변조기, 개구수, 개구수 감쇠, numerical number

Description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Optical modulator display apparatus improved numerical number of an after-edge lens system}
도 1 및 도 2는 광의 반사나 회절을 이용하여, 광스위치, 광변조소자에 적용되는 광학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의 대표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실리콘 라이트 머신사(社)가 레이져 디스플레이용 광강도변환소자, 즉, 광변조기로서 개발한 회절격자 광밸브(GLV:Grating Light Valve)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삼성전기가 개발한 압전 재료를 이용한 함몰형 회절형 광변조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를 적용한 광변조 소자로서의 회절격자 광밸브 장치, 또는 삼성전기의 압전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광학장치의 일실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6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절각이 큰 광학계의 일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은 도 7의 조명 렌즈계를 통과하는 광의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은 도 7의 회절형 광변조기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회절형 광변조기에 의해 생성된 회절광의 회절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도 7의 개구수 감쇠기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0 : 광원 710 : 조명 렌즈계
720 : 회절형 광변조기 730 : 반사미러
740 : 릴레이 렌즈계 750 : 개구수 감쇠기
760 : 프로젝션 시스템 770 : 스크린
810a, 810b, 811a, 811b, 821a, 821b, 831a, 831b : 반사미러
820a, 830a : 반파장판 820b, 830b : 더미판
822, 832 : X-큐브 840a, 840b, 850a, 850b : 프리즘
본 발명은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변조기에 의해 형성된 +차수와 -차수의 회절광을 집광하는데 있어 렌즈계의 개구수를 크게 줄인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기술의 진전에 따라서, 소위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소자 및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를 조립한 소형기기가 주목되고 있다.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는 실리콘기판, 유리 기판 등의 기판상에 미세구조체로서 형성되고, 기계적 구동력을 출력하는 구동체와, 구동체를 제어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등을 전기적으로, 또한 기계적으로 결합시킨 소자이다.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의 기본적인 특징은 기계적 구조로서 구성되어 있는 구동체가 소자의 일부에 조립되어 있는 것이며, 구동체의 구동은 전극간의 쿨롱의 힘 등을 응용하여 전기적으로 행해진다.
도 1 및 도 2는 광의 반사나 회절을 이용하여, 광스위치, 광변조소자에 적용되는 광학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의 대표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광학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1)는 기판(2)과, 기판(2)상에 형성한 기판측전극(3)과, 기판측전극(3)에 대향하여 평행으로 배치한 구동측 전극(4)을 갖는 들보(6)와, 이 들보(6)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7)를 갖추어 이룬다. 들보(6)와 기판측 전극(3)과는 그 사이의 공극(8)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이 광학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1)에서는 기판측 전극(3)과 구동측 전극(4)에 주어지는 전위에 따라서, 들보(6)가 기판측 전극(3)과의 사이의 정전인력 또는 정전반발에 의해 변위하고, 예를 들면 도 1의 실선과 파선으로 나타내는 것같이, 기판측 전극(3)에 대하여 평행상태와 경사상태로 변위한다.
도 2에 나타내는 광학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11)는 기판(12)과, 기판(12)상에 형성한 기판측 전극(13)과, 기판측 전극(13)을 브리지형상으로 걸쳐진 들보(14)를 갖추어 이룬다. 들보(14)와 기판측 전극(13)과는 그 사이의 공극(1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들보(14)는 기판측 전극(13)을 브리지형상으로 걸어서 기판(12)상에 입각하는 예를 들면 실리콘 나이트나이드(SiN)막으로 이루는 브리지 부재(15)와, 기판측 기판(13)에 대향하여 상호 평행하게 브리지부재(15)상에 설치된, 예를 들면 막두께 100nm정도의 알루미늄(Al)막으로 이루어진 반사막을 겸하는 구동측 전극(16)으로 구성된다. 기판(12), 기판측 전극(13), 들보(14) 등은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의 구성,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들보(14)는 그 양단이 지지된 소위 브리지식으로 형성된다.
이 광학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11)에서는 기판측전극(13)과 구동측전극(16)에 주어지는 전위에 따라서, 들보(14)가 기판측전극(13)과의 사이의 정전인력 또는 정전반발에 의해 변위하고, 예를 들면 도 2의 실선과 파선으로 나타내는 것같이, 기판측전극(3)에 대하여 평행상태와 오목상태로 변위한다.
광학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1, 11)는 광반사막을 겸하는 구동측전극(4, 16)의 표면에 광이 조사되고, 들보(6, 14)의 구동 위치에 따라서, 그 광의 반사방향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한 방향의 반사광을 검출하여 스위치기능을 가지게 한 광스위치로서 적용할 수 있다.
또, 광학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1, 11)는 광강도를 변조시키는 광변조소자로서 적용할 수 있다. 광의 반사를 이용하는 때는, 들보(6, 14)를 진동시켜서 단위 시간당의 일방향의 반사광량으로 광강도를 변조한다. 이 광변조소자는 소위 시간변조이다.
광의 회절을 이용하는 때는 공통의 기판측 전극(3, 13)에 대하여 복수의 들보(6, 14)를 병렬 배치하여 광변조소자를 구성하고, 공통의 기판측 전극(3, 13)에 대한 예를 들면 1개 거른 들보(6, 14)의 근접, 이간의 동작에 의해, 광반사막을 겸하는 구동측 전극의 높이를 변화시키고, 광의 회절에 의해 구동측 전극에서 반사하는 광의 강도를 변조한다. 이 광변조소자는 소위 공간변조이다.
도 3a 및 3b는 실리콘 라이트 머신사(社)가 레이져 디스플레이용 광강도변환소자, 즉, 광변조기로서 개발한 회절격자 광밸브(Grating Light Valve)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회절격자 광밸브 장치(21)는 도 3a에 나타내는 것같이, 유리 기판등의 절연기판(22)상에 텅스텐, 티탄 등의 고융점 금속 및 그들의 질화막, 또는 폴리실리콘 박막에 의한 공통의 기판측 전극(23)이 형성되고, 이 기판측 전극(23)에 교차하여 브리지형으로 거는 복수, 본 예에서는 6개의 들보(24)[241 , 242 , 243 , 244 , 245 , 246]가 병렬배치되어 이룬다. 기판측 전극(23) 및 들보(24)의 구성은 전술의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구성이다. 즉, 도 3b에 나타내는 것 같이, 들보(24)에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나이트나이드(SiN)막에 의한 브리지부재(25)의 기판측 전극(23)과 평행하는 면상에 막두께 100nm정도의 알루미늄(Al)막에 의한 반사막겸 구동측 전극(26)이 형성되어 이룬다.
브리지부재(25)와, 그 위에 설치된 반사막겸 구동측 전극(26)으로 이루는 들보(24)는 리본으로 통칭되고 있는 부위이다.
기판측 전극(23)과 반사막겸 구동측전극(26)과의 사이에 미소 전압을 인가하면, 전술한 정전현상에 의해 들보(24)가 기판측 전극(23)에 향하여 근접하고, 또, 전압의 인가를 정지하면 이간하여 원래의 상태로 되돌린다.
회절격자 광밸브 장치(21)는 기판측 전극(23)에 대한 복수의 들보(24)의 근접, 이간의 동작(즉, 1개 거른 들보의 근접, 이간의 동작)에 의해, 광반사막겸 구동측 전극(26)의 높이를 교대로 변화시키고, 광의 회절에 의해 (6개의 들보(24)전체에 대하여 1개의 점광이 조사된다), 구동측전극(26)에서 반사하는 광의 강도를 변조한다.
정전인력 및 정전반발력을 이용한 구동하는 들보의 역학적 특성은 화학기상증착법등에서 성막되는 실리콘 나이트나이드 물성에 의해 거의 결정되고, 알루미늄막은 미러로서의 역할이 주이다.
도 4는 삼성전기가 개발한 압전 재료를 이용한 함몰형 회절형 광변조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삼성전기가 개발한 함몰형 박막 압전 광변조기는 실리콘 기판(40)과, 복수의 회절부재(42a~42n)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회절부재(42a~42n)는 일정한 폭을 가지며 일정하게 정렬하여 함몰형 박막 압전 광변조기를 구성한다. 또한, 이러한 복수의 회절부재(42a~42n)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며 교번하여 정렬하여 함몰형 박막 압전 광변조기를 구성한다. 또한, 이러한 회절부재(42a~42n)는 일정간격(거의 회절부재(42a~42n)의 폭과 같은 거리)을 두고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실리콘 기판(40)의 상면의 전부에 형성된 마이크로 미러층이 입사된 빛을 반사하여 회절시킨다.
실리콘 기판(40)은 회절부재(42a~42n)에 이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함몰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절연층(41)이 상부 표면에 증착되어 있고, 함몰부의 양측에 회절부재(42a~42n)의 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각각의 회절부재(여기에서는 도면부호 42a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지만 나머지 42b~42n도 동일하다)는 막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중앙부분이 실리콘 기판(40)의 함몰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양끝단의 하면이 각각 실리콘 기판(40)의 함몰부를 벗어난 양측지역에 부착되어 있고, 실리콘 기판(40)의 함몰부에 위치한 부분이 상하로 이동가능한 하부지지대(43a)를 포함한다.
또한, 회절부재(42a)는 하부지지대(43a)의 좌측단에 적층되어 있으며, 압전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하부전극층(44a)와, 하부전극층(44a)에 적층되어 있으며 양면에 전압이 인가되면 수축 및 팽창하여 상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압전 재료층(45a)와, 압전 재료층(45a)에 적층되어 있으며 압전재료층(45a)에 압전 전압을 제공하는 상부 전극층(46a)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회절부재(42a)는 하부지지대(43a)의 우측단에 적층되어 있으며, 압전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하부전극층(44a')과, 하부전극층(44a')에 적층되어 있으며 양면에 전압이 인가되면 수축 및 팽창하여 상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압전 재료층(45a')과, 압전 재료층(45a')에 적층되어 있으며 압전재료층(45a')에 압전 전압을 제공하는 상부 전극층(46a')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 P2003-077389호에는 위에서 설명한 함몰형외에 돌출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도 5는 상술의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 소자를 적용한 광변조 소자로서의 회절격자 광밸브 장치, 또는 삼성전기의 압전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광학장치의 일실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레이져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하는 레이져 디스플레이(51)는 예를 들면 대형스크린용 프로젝터, 특히 디지털 화상의 프로젝터로서 혹은 컴퓨터의 화상투영장치로서 이용된다.
레이져 디스플레이는 도 5에 나타낸 것같이, 레이져광원(52)과, 레이져광원에 대하여 설치된 미러(54), 조명광학계(렌즈군)(56) 및 광변조소자로서 기능하는 회절격자 광밸브 장치 또는 압전 회절형 광변조기(58)를 갖추고 있다.
또한, 레이져 디스플레이는 회절격자 광밸브 장치 또는 압전 회절형 광변조기(58)에 의해 광강도가 변조된 레이져 광을 반사하는 미러(60), 푸리에 렌즈(62), 필터(64), 확산부(66), 미러(68), 갈바노 스캐너(70), 투영광학계(렌즈군)(72) 및 스크린(74)을 갖추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레이져 디스플레이에서는, 레이져광원(52)에서 출사된 레이져광이 미러(54)를 경유하여 조명광학계(56)에서 회절격자 광밸브 장치 또는 압전 회절형 광변조기(58)에 입사한다.
또한, 레이져광은 회절격자 광밸브 장치 또는 압전 회절형 광변조기(58)에 의해 회절됨으로써 공간변조되고, 미러(60)에 의해 반사된 후에 푸리에 렌즈(62)에서 회절차수별로 분리되고, 필터(64)에 의해 신호성분만이 취출된다.
다음에, 이 화상신호는 확산부(66)에 의해 레이져 스펙트럼이 저감되고, 미러(68)를 통하여 화상신호와 동기하는 갈바노 스캐너(68)에 의해 공간에 전개되고, 투영광학계(70)에 의해 스크린(72)상에 투영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회절형 광변조기의 회절격자 간격이 좁아지면 회절 각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투사 렌즈 등의 후단에 위치하는 렌즈계의 개구수(NA: Numerical Aperture)가 증가하게 된다.
도 6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절각이 큰 광학계의 일예시도로서, 회절각(θ)이 크면 푸리에 렌즈의 개구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처럼 푸리에 렌즈 등의 회절형 광변조기의 후단에 위치하는 렌즈계의 개구수가 증가하게 되면 레이져 디스플레이를 설계하는데 많은 제약조건을 발생시키며 렌즈 설계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회절형 광변조기의 후단에 위치하는 렌즈계의 개구수가 증가하면 갈바노 미러의 크기도 증가하게 되고, 이처럼 증가된 크기의 갈바노 미러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큰 회전력을 갖는 고가의 회전모터를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푸리에 렌즈 등의 후단 렌즈계의 중심 쪽으로 진행하는 광은 근축 광학계를 이루어 렌즈 성능이 좋아지는데 도 6와 같은 구조에서는 후단 렌즈계의 중심부분을 사용하지 못하고 후단 렌즈계의 주면을 사용하기 때문에 좋은 성능을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변조기에 의해 형성된 +차수와 -차수의 회절광을 집광하는데 있어 렌즈계의 개구수를 크게 줄인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활성부위가 입사된 광을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변조하여 반사 또는 복수의 회절차수를 갖는 회절광을 생성하는 회절형 광변조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에 조사하는 조명 렌즈계;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로부터 형성된 복수의 회절차수를 갖는 회절광에서 원하는 차수의 회절광을 선택하여 통과시키는 릴레이 렌즈계; 상기 릴레이 렌즈계를 통과한 회절광에서 +의 회절광과 그에 대응하는 -의 회절광을 근접시켜 개구수를 감쇠시키는 개구수 감쇠기; 및 상기 개구수 감쇠기로부터 개구수가 감쇠된 회절광이 입사되면 대상 물체에 집광하여 스캐닝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제, 도 7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700), 조명렌즈계(710), 회절형 광변조기(720), 반사 미러(730), 릴레이 렌즈계(740), 개구수 감쇠기(750), 프로젝션 시스템(760), 스크린(770)을 포함하고 있다.
광원(700)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레이져 다이오드(Laser diode, LD) 같은 반도체를 사용하여 제작한 광원이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광원(700)의 단면도의 일예가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8a의 A를 참조하면 광원(700)의 단면은 원형이고, 그 광의 세기 프로파일은 도 8a 내지 도 8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우시안(Gausian) 분포를 하고 있다.
조명 렌즈(710)는 입사광을 타원형 단면을 갖는 선형의 평행광으로 변화시키게 되는데, 실린더 렌즈(711), 콜리메이터 렌즈(712)로 이루어져 있다.
즉, 조명 렌즈(710)는 광원(700)에서 출력된 빔을 광로 방향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선형광으로 변환시켜 후술하는 회절형 광변조기(720)에 집속시키는 것으로서, 실린더 렌즈(711)와 콜리메이터 렌즈(712)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실린더 렌즈(711)는 광원(700)으로부터 입사되는 각각의 평행광을 광로 방향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대응하는 회절형 광변조기(720)에 수평으로 입사시키기 위하여, 도 8a 내지 도 8c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광을 수평방향의 선형광으로 변환시켜 해당하는 콜리메이터 렌즈(712)를 통하여 해당 회절형 광변조기(720)로 입사시킨다.
여기서, 콜리메이터 렌즈(712)는 광원(700)으로부터 실린더 렌즈(711)를 통 하여 입사되는 구면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한 후, 이를 해당하는 회절형 광변조기(720)로 입사시킨다.
콜리메이터 렌즈(712)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예로 오목렌즈(712a)와 볼록 렌즈(712b)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 렌즈(712a)는 실린더 렌즈(711)로부터 입사되는 선형광을 도 8a 내지 도 8c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아래로 확장하여 볼록 렌즈(712b)로 입사시킨다. 볼록렌즈(712b)는 오목렌즈(712a)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도 8a 내지 도 8c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광을 변화시켜 출사한다. 여기에서 도 8a는 광원과 실린더 렌즈, 콜리메이터 렌즈로 이루어진 광학계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평면도이며, 도 8c는 측단면도이다.
다음으로, 회절형 광변조기(720)는 입사광을 회절시켜 다수 차수의 회절계수를 갖는 회절광을 출사하며, 반사 미러(730)는 반사광은 통과시키고 다수 차수의 회절계수를 갖는 회절광에서 원하는 차수의 회절광을 릴레이 렌즈계(740)로 반사시킨다.
여기에 사용되는 회절형 광변조기(720)로서 일예로 오픈홀 회절형 광변조기가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일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오픈홀 기반의 회절 광변조기는 실리콘 기판(901a)과, 절연층(902a), 하부 마이크로 미러(903a)와, 복수의 회절부재(910a~910c 등등))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절연층과 하부 마이크로 미러를 별개의 층으로 구성하였지만 절연층에 광을 반사하는 성질이 있다면 절연층 자체가 하부 마이크로 미러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실리콘 기판(901a)은 회절부재(910a~910c 등등)에 이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함몰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절연층(902a)이 적층되어 있으며, 하부 마이크로 미러(903a)가 상부에 증착되어 있고, 함몰부를 벗어난 양측에 회절부재(910a~910c 등등)의 하면이 부착되어 있다. 실리콘 기판(901a)을 구성하는 물질로는 Si, Al2O3, ZrO2, 석영(Quartz), SiO2 등의 단일물질이 사용되며, 바닥면과 위층(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됨)을 다른 이종의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하부 마이크로 미러(903a)는 실리콘 기판(901a)의 상부에 증착되어 있으며, 입사하는 빛을 반사하여 회절시킨다. 하부 마이크로 미러(903a)에 사용되는 물질로는 금속(Al, Pt, Cr, A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회절부재(대표적으로 도면부호 910a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나머지도 같다)는 리본 형상을 하고 있으며 중앙부분이 실리콘 기판(901a)의 함몰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양끝단의 하면이 각각 실리콘 기판(901a)의 함몰부를 벗어난 양측지역에 부착되어 있는 하부 지지대(911a)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지지대(911a)의 양측면에는 압전층(920a, 920a')이 구비되어 있으며, 구비된 압전층(920a, 920a')의 수축 팽창에 의해 회절부재(910a)의 구동력이 제공된다.
하부 지지대(911a)를 구성하는 물질로는 실리콘 산화물(일예로 SiO2 등), 실리콘 질화물 계열(일예로 Si3N4 등), 세라믹 기판(Si, ZrO2, Al2O3 등), 실리콘 카바이드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지지대(911a)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측의 압전층(920a, 920a')은 압전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하부전극층(921a, 921a')과, 하부전극층(921a, 921a')에 적층되어 있으며 양면에 전압이 인가되면 수축 및 팽창하여 상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압전 재료층(922a, 922a')과, 압전 재료층(922a, 922a')에 적층되어 있으며 압전재료층(922a, 922a')에 압전 전압을 제공하는 상부 전극층(923a, 923a')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 전극층(923a, 923a')과 하부 전극층(921a, 921a')에 전압이 인가되면 압전재료층(922a, 922a')은 수축 팽창을 하여 하부 지지대(911a)의 상하 운동을 발생시킨다.
전극(921a, 921a', 923a, 923a')의 전극재료로는 Pt, Ta/Pt, Ni, Au, Al, RuO2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0.01~3㎛ 범위에서 스퍼터링(sputter) 등의 방법으로 증착한다.
한편, 하부 지지대(911a)의 중앙 부분에는 상부 마이크로 미러(930a)가 증착되어 있으며 복수의 오픈홀(931a1~931a3)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오픈홀(931a1~931a3)의 모양은 직사각형이 바람직하지만 원형, 타원형 등 어떤 폐곡선의 형상도 가능하다. 그리고 여기에서 하부 지지대를 광반사성 물질로 형성한다면 별도로 상부 마이크로 미러를 증착할 필요가 없으며 하부 지지대가 상부 마이크로 미러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오픈홀(931a1~931a3)은 회절부재(910a)에 입사되는 입사광이 관통하여 오픈홀(931a1~931a3)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하부 마이크로 미러(903a)에 입사광이 입사되도록 하며, 이렇게 하여 하부 마이크로 미러(903a)와 상부 마이크로 미러(930a)가 화소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일예로 오픈홀(931a1~931a3)이 형성된 상부 마이크로 미러(930a)의 (A) 부분과 하부 마이크로 미러(903a)의 (B) 부분이 하나의 화소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부 마이크로 미러(930a)의 오픈홀(931a1~931a3)이 형성된 부분을 관통하여 입사되는 입사광은 하부 마이크로 미러(903a)의 해당 부분에 입사할 수 있으며 상부 마이크로 미러(930a)와 하부 마이크로 미러(903a)의 간격이 λ/4의 홀수배가 될 때 최대의 회절광을 발생시킨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이용가능한 오픈홀 회절 광변조기는 국내출원번호 제P2004-030159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회절형 광변조기(720)는 조명렌즈(710)로부터 입사된 선형광을 회절시켜 회절광을 형성한 후, 회절광을 반사 미러(730)로 입사시킨다.
이때, 조명렌즈(710)로부터 입사된 선형광이 회절형 광변조기(720)에 수직으로 입사할 때 형성되는 +1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이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입사광이 수직으로 입사하면 양쪽 방향으로 +1차 회절광 및 -1차 회절광이 형성됨을 보여주는데 입사광으로부터 벌어진 각도 θ는 파장에 비례한다. 즉 파장이 길수록 θ는 커진다.
도 10b는 선형의 평행광이 회절형 광변조기에 입사될 때 형성되는 +1차의 선형의 회절광과 -1차의 선형의 회절광을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한편, 반사미러(730)는 가운데 부분에 홀이 형성되어 입사되는 반사광을 통 과시키며, 상부에 있는 미러(730a)는 (+) 차수의 회절광을 릴레이 렌즈계(740)로 반사시키고, 하부에 있는 미러(730b)는 (-) 차수의 회절광을 릴레이 렌즈계(740)로 반사시킨다.
다음으로, 릴레이 렌즈계(740)는 입사되는 회절광을 차수별로 분리하여 원하는 차수의 회절광을 통과시키고, 평행광을 변화시켜 출사한다.
여기에서 릴레이 렌즈계(7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차수를 갖는 회절광을 차수별로 분리하는 푸리에 렌즈(741), 푸리에 렌즈(741)에서 분리된 여러 차수의 회절광을 필터링하여 원하는 차수의 회절광만을 통과시키는 푸리에 필터(742), 푸리에 필터(742)를 통과한 회절광을 평행광을 변화시키는 콜리메이터 렌즈(74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개구수 감쇠기(750)은 릴레이 렌즈계(740)로부터 입사되는 회절광의 개구수를 감쇠시켜 개구수가 감쇠된 회절광을 출사한다.
프로젝션 시스템(760)은 입사된 회절광을 스크린(770)에 투사한다. 즉, 프로젝션 시스템(760)은 개구수 감쇠기(750)에서 입사되는 회절광을 스크린(770)에 집속시켜 스팟을 형성한 후에 2차원 이미지로 스캐닝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집광 렌즈(761), 갈바노 미러(762), 프로젝션 렌즈(763)를 포함한다.
집광 렌즈(761)는 +1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을 모아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갈바노 미러(762)는 스크린(770)에 2차원 이미지 스캐닝을 수행한다.
도 11a는 도 7의 개구수 감쇠기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한쌍의 제1 반사미러(810a, 810b)와, 한쌍의 제2 반사미러(811a, 811b)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도 11a의 개구수 감쇠기는 도 7에서 릴레이 렌즈계(740)의 콜리메이터 렌즈(743)가 없는 디스플레이 광학 구조로서 제1 반사미러(810a, 810b)에 입사되는 회절광은 확산광이다. 도 11a는 이러한 개구수 감쇠기 외에 이해를 돕기 위하여 조명 렌즈계(710)와, 회절형 광변조기(720)와 반사미러(73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측에 있는 제1 반사미러(810a)는 입사되는 (+) 회절광의 방향을 상측에 있는 제2 반사미러(811a)로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하측에 있는 제1 반사미러(810b)는 입사되는 (-) 회절광의 방향을 하측에 있는 제2 반사미러(811b)로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측에 있는 제2 반사미러(811a)는 상측에 있는 제1 반사미러(810a)에서 입사되는 회절광을 프로젝션 시스템(760)에 향하도록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하측에 있는 제2 반사미러(811b)는 하측에 있는 제2 반사미러(810b)에서 입사되는 회절광을 프로젝션 시스템(760)을 향하도록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보게되면 개구수 감쇠기(750)를 통과한 회절광의 개구수가 감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11b는 도 7의 개구수 감쇠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반파장판(820a), 더미판(820b), 한쌍의 제1 반사미러(821a, 821b)와, X-큐브(822)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도 11b의 개구수 감쇠기는 도 7에서 릴레이 렌즈계(740)의 콜리메이터 렌즈(742)가 없는 디스플레이 광학 구조로서 제1 반사미러(821a, 821b)에 입사되는 회절광은 확산광이다. 도 11b는 이러한 개구수 감쇠기 외에 이해를 돕기 위하 여 조명 렌즈계(710)와, 회절형 광변조기(720)와 반사미러(73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반파장판(820a)은 입사되는 회절광이 P 파 회절광이라면 S 파 회절광으로 편광시키고, S 파 회절광이라면 P 파 회절광으로 편광시켜 출사하며, 더미판(820b)는 입사광을 편광 시키지 않고 투과시킨다.
그리고, 상측에 있는 제1 반사미러(821a)는 입사되는 (+) 회절광의 방향을 X-큐브(822)의 제1 반사면(822a)으로 경로를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하측에 있는 제1 반사미러(821b)는 입사되는 (-) 회절광의 방향을 하측에 있는 X-큐브(822)의 제2 반사면(822b)으로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X-큐브(822)에서 출사된 회절광은 프로젝션 시스템(760)에 입사되어 스크린(770)에 2차원 이미지 스캐닝이 수행된다.
도 11c는 도 7의 개구수 감쇠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반파장판(830a), 더미판(830b), 한쌍의 제1 반사미러(831a, 831b)와, X-큐브(832)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도 11c의 개구수 감쇠기는 도 7에서 릴레이 렌즈계(740)의 콜리메이터 렌즈(743)가 포함된 디스플레이 광학 구조로서 제1 반사미러(831a, 831b)에 입사되는 회절광은 평행광이다. 도 11c는 이러한 개구수 감쇠기 외에 이해를 돕기 위하여 조명 렌즈계(710)와, 회절형 광변조기(720)와 반사미러(73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반파장판(830a)은 입사되는 회절광이 P 파 회절광이라면 S 파 회절광으로 편광시키고, S 파 회절광이라면 P 파 회절광으로 편광시켜 출사하며, 더미판(830a)은 입사광을 편광시키지 않고 투과시킨다.
그리고, 상측에 있는 제1 반사미러(831a)는 입사되는 (+) 회절광의 방향을 X-큐브(832)의 제1 반사면(832a)으로 경로를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하측에 있는 제1 반사미러(831b)는 입사되는 (-) 회절광의 방향을 하측에 있는 X-큐브(832)의 제2 반사면(832b)으로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X-큐브(832)에서 출사된 회절광은 후단에 위치하는 제1 이색 미러(837a)에 입사되어 반사된 후에 제2 이색 미러(837b)로 입사된다.
여기에서, 제1 이색 미러(837a)는 녹색 채널(834)에서 출사되는 녹색 회절광은 투과시키고 적색 채널(835)에서 출사되는 적색 회절광을 반사시켜 녹색 회절광과 적색 회절광을 합성시킨다.
그리고, 제2 이색 미러(837b)는 제1 이색 미러(837a)에서 출사된 녹색 회절광과 적색 회절광의 합성광을 투과시키고 청색 채널(836)에서 출사되는 청색 회절광을 반사시켜 제1 이색 미러(837a)에서 합성된 녹색 회절광과 적색 회절광에 청색 회절광을 합성시켜 프로젝션 시스템(760)으로 출사하여 스크린(770)에 2차원 이미지를 스캐닝하도록 한다.
도 11d는 도 7의 개구수 감쇠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한쌍의 프리즘(840a, 840b)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도 11d의 개구수 감쇠기는 도 7에서 릴레이 렌즈계(740)의 콜리메이터 렌즈(743)가 없는 디스플레이 광학 구조로서 프리즘(840a, 840b)에 입사되는 회절광은 확산광이다. 도 11d는 이러한 개구수 감쇠기 외에 이해를 돕기 위하여 조명 렌즈계(710)와, 회절형 광변조기(720)와 반사미러(73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측에 있는 프리즘(840a)은 반사미러(730)로부터 (회절광이 입사되는 입사면(840aa)이 입사되는 회절광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어 회절광이 입사되면 경로가 안쪽으로 변경되어 개구수를 감쇠시킨다.
그리고, 상측에 있는 프리즘(840a)은 반사미러(730)로부터 회절광이 입사되는 입사면(840aa)과 회절광이 출사되는 출사면(840ab)이 평행하지 않아 회절광이 출사될 때 회절광이 확산된다.
다음으로, 하측에 있는 프리즘(840b)은 반사미러(730)로부터 회절광이 입사되는 입사면(840ba)이 입사되는 회절광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어 회절광이 입사되면 경로가 안쪽으로 변경되어 개구수를 감쇠시킨다.
그리고, 하측에 있는 프리즘(840b)은 반사미러(730)로부터 회절광이 입사되는 입사면(840ba)과 회절광이 출사되는 출사면(840bb)이 평행하지 않아 회절광이 출사될 때 회절광이 확산된다.
도 11e는 도 7의 개구수 감쇠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한쌍의 프리즘(850a, 850b)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도 11e의 개구수 감쇠기는 도 7에서 릴레이 렌즈계(740)의 콜리메이터 렌즈(743)가 포함된 디스플레이 광학 구조로서 프리즘(850a, 850b)에 입사되는 회절광은 평행광이다. 도 11e는 이러한 개구수 감쇠기 외에 이해를 돕기 위하여 조명 렌즈계(710)와, 회절형 광변조기(720)와 반사미러(730), 콜리메이터 렌즈(743)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측에 있는 프리즘(850a)는 반사미러(730)로부터 (+) 회절광이 입사되는 입사면(850aa)이 입사되는 회절광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어 회절광이 입사되면 경로가 안쪽으로 변경되어 개구수를 감쇠시킨다.
그리고, 상측에 있는 프리즘(850a)은 반사미러(730)로부터 회절광이 입사되는 입사면(850aa)과 회절광이 출사되는 출사면(850ab)이 평행하여 회절광이 출사될 때 회절광이 평행광이된다.
다음으로, 하측에 있는 프리즘(850b)은 반사미러(730)로부터 회절광이 입사되는 입사면(850ba)이 입사되는 회절광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어 회절광이 입사되면 경로가 안쪽으로 변경되어 개구수를 감쇠시킨다.
그리고, 하측에 있는 프리즘(850b)는 반사미러(730)로부터 회절광이 입사되는 입사면(850ba)과 회절광이 출사되는 출사면(850bb)이 평행하여 회절광이 출사될 때 회절광이 평행광이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절각이 증가해도 렌즈의 개구수의 증가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광학계를 설계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수의 회절광과 -차수의 회절광을 모아줄수 있게 되어 근축 광학계의 설계가 가능하여 렌즈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수의 회절광과 -차수의 회절광을 모아줄수 있게 되어 소형의 갈바노 미러의 사용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형화와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Claims (8)

  1. 활성부위가 입사된 광을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변조하여 반사 또는 복수의 회절차수를 갖는 회절광을 생성하는 회절형 광변조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에 조사하는 조명 렌즈계;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로부터 형성된 복수의 회절차수를 갖는 회절광에서 원하는 차수의 회절광을 선택하여 통과시키는 릴레이 렌즈계;
    상기 릴레이 렌즈계를 통과한 회절광에서 +의 회절광과 그에 대응하는 -의 회절광을 근접시켜 개구수를 감쇠시키는 개구수 감쇠기; 및
    상기 개구수 감쇠기로부터 개구수가 감쇠된 회절광이 입사되면 대상 물체에 집광하여 스캐닝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수 감쇠기는,
    상기 릴레이 렌즈계로부터 입사된 +의 회절광과 -의 회절광의 각각의 광경로를 광경로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변화시키는 한쌍의 제1 반사미러; 및
    상기 한쌍의 제1 반사미러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된 +의 회절광과 -의 회절광의 각각을 동일 방향의 광경로를 갖도록 변화시켜 상기 프로젝션 시스템에 입사시 키는 한쌍의 제2 반사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수 감쇠기는,
    상기 릴레이 렌즈계로부터 입사된 +의 회절광과 -의 회절광의 각각의 광경로를 광경로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변화시키는 한쌍의 반사미러;
    상기 릴레이 렌즈계와 상기 일측의 반사미러 사이에 위치하여 입사되는 회절광을 편광시키는 편광판; 및
    상기 한쌍의 반사미러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된 편광된 회절광과 편광되지 않은 회절광의 각각을 동일방향의 광경로를 갖도록 변화시켜 상기 프로젝션 시스템에 입사시키는 X-큐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렌즈계는,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로부터 입사되는 복수 차수의 회절광을 차수별로 분리하는 푸리에 렌즈계; 및
    상기 푸리에 렌즈계에서 분리된 복수 차수의 회절광에서 원하는 차수의 회절광을 통과시키는 필터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렌즈계는,
    상기 필터계를 통과한 회절광을 평행광으로 변화시키는 콜리메이터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수 감쇠기는,
    상기 릴레이 렌즈계로부터 입사된 +의 회절광과 -의 회절광의 각각의 광경로를 광경로의 중심축에 근접하도록 변화시키는 한쌍의 프리즘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렌즈계는,
    상기 회절형 광변조기로부터 입사되는 복수 차수의 회절광을 차수별로 분리하는 푸리에 렌즈계; 및
    상기 푸리에 렌즈계에서 분리된 복수 차수의 회절광에서 원하는 차수의 회절광을 통과시키는 필터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렌즈계는,
    상기 필터계를 통과한 회절광을 평행광으로 변화시키는 콜리메이터 렌즈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리즘은 회절광의 입사면과 출사면이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039808A 2005-05-12 2005-05-12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디스플레이 장치 KR100815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808A KR100815352B1 (ko) 2005-05-12 2005-05-12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디스플레이 장치
US11/433,637 US7227594B2 (en) 2005-05-12 2006-05-12 Display device using optical modulator equipped with lens system having improved numerical aperture
JP2006134174A JP2006317951A (ja) 2005-05-12 2006-05-12 レンズ系の開口数が改善された光変調器を利用したディスプレ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808A KR100815352B1 (ko) 2005-05-12 2005-05-12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071A KR20060117071A (ko) 2006-11-16
KR100815352B1 true KR100815352B1 (ko) 2008-03-19

Family

ID=37448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808A KR100815352B1 (ko) 2005-05-12 2005-05-12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27594B2 (ko)
JP (1) JP2006317951A (ko)
KR (1) KR100815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4765A (ja) * 2004-10-27 2006-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ミラー素子及びミラーアレイ
CA2507177C (en) * 2005-05-13 2012-04-24 Institut National D'optique Image projector with flexible reflective analog modulator
AU2007305216A1 (en) 2006-10-06 2008-04-10 Lalley Brothers Scientific, Llc Three-dimensional internal back-projec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5009017B2 (ja) * 2007-03-26 2012-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位相分布制御装置
US7600893B2 (en) * 2007-05-01 2009-10-13 Exalos Ag Display apparatus, method and light source
KR100892339B1 (ko) * 2007-05-08 2009-04-08 삼성전기주식회사 요철형 투명기판을 포함한 영상 왜곡 보정 디스플레이 장치
US8172404B2 (en) * 2009-05-21 2012-05-08 Eastman Kodak Company Projection with lenslet arrangement on speckle reduction element
JP6805758B2 (ja) * 2016-06-03 2020-12-23 株式会社リコー スペクトル測定器及び分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2277A1 (en) 2001-07-02 2003-07-31 Atsushi Hatakeyama Projection image display
US20040075817A1 (en) 2002-10-16 2004-04-22 Agostinelli John A. Broad gamut color display apparatus using an electromechanical grating device
US20050083523A1 (en) 2003-10-15 2005-04-21 Polychromix Corporation Light processor providing wavelength control and method for same
KR20060029821A (ko) * 2004-10-04 2006-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사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800665D0 (sv) * 1998-03-02 1998-03-02 Micronic Laser Systems Ab Improved method for projection printing using a micromirror SLM
US6288829B1 (en) * 1998-10-05 2001-09-11 Fuji Photo Film, Co., Ltd. Light modulation element, array-type light modulation element, and flat-panel display unit
US7196740B2 (en) * 2000-08-30 2007-03-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ojection TV with improved micromirror array
WO2003017653A2 (en) * 2001-08-17 2003-02-27 Cae Inc. Video projector and optical light valve therefor
US6594090B2 (en) * 2001-08-27 2003-07-15 Eastman Kodak Company Laser projection display system
US6692129B2 (en) * 2001-11-30 2004-02-17 Silicon Light Machines Display apparatus including RGB color combiner and 1D light valve relay including schlieren filter
US6801354B1 (en) * 2002-08-20 2004-10-05 Silicon Light Machines, Inc. 2-D diffraction grating for substantially eliminating polarization dependent losses
KR101049608B1 (ko) * 2002-08-24 2011-07-14 매스크리스 리소그래피 인코퍼레이티드 연속적인 직접-기록 광 리쏘그래피 장치 및 방법
US6947199B2 (en) * 2003-03-28 2005-09-20 Silicon Light Machines Corporation Loosely-packed two-dimensional modulator arrangement
KR100815342B1 (ko) * 2004-10-15 2008-03-19 삼성전기주식회사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2277A1 (en) 2001-07-02 2003-07-31 Atsushi Hatakeyama Projection image display
US20040075817A1 (en) 2002-10-16 2004-04-22 Agostinelli John A. Broad gamut color display apparatus using an electromechanical grating device
US20050083523A1 (en) 2003-10-15 2005-04-21 Polychromix Corporation Light processor providing wavelength control and method for same
KR20060029821A (ko) * 2004-10-04 2006-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사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27594B2 (en) 2007-06-05
KR20060117071A (ko) 2006-11-16
JP2006317951A (ja) 2006-11-24
US20060262404A1 (en)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352B1 (ko) 후단 렌즈계의 개구수가 개선된 광변조기를 이용한디스플레이 장치
KR100815366B1 (ko) 1판넬 회절형 광변조기 및 그를 이용한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
KR20010053201A (ko) 2차원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입사광 빔을 변조시키는방법 및 장치
US7355797B2 (en) Color display device using separate diffracted light and illumination light
US7369318B2 (en) Color display device having single illuminating system
US7327508B2 (en) Display device using light modulator and having improved numerical aperture of after-edge lens system
US7116380B2 (en) Video projector and optical light valve therefor
KR101235807B1 (ko)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KR100890291B1 (ko)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래스터 스캐닝 방식의디스플레이 장치
KR100826341B1 (ko) 회절광과 조명광을 분리한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53241A (ko) 광학 이미징 시스템을 위한 빔 스위칭
KR100832655B1 (ko) 회절효율이 증가된 색선별 필터를 이용한 칼라 디스플레이장치
KR100832637B1 (ko) 차수 분리 및 다중빔 방식의 광변조기를 이용한 프린팅 장치
KR100815351B1 (ko) 일체식 광학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15354B1 (ko) 공간 분리 필터를 이용한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15346B1 (ko) 픽셀 단위 스캐닝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8844B1 (ko) 편광빔을 이용한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15340B1 (ko) 균일성 구현을 위한 다각 반사 조명 장치
KR20060033575A (ko) 가상 단일 광원을 갖는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26340B1 (ko) 드럼식 반사형 칼라휠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117072A (ko)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배면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31453A (ko) 복수의 필터를 사용한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117073A (ko)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배면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