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300B1 -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 - Google Patents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300B1
KR100815300B1 KR1020060106443A KR20060106443A KR100815300B1 KR 100815300 B1 KR100815300 B1 KR 100815300B1 KR 1020060106443 A KR1020060106443 A KR 1020060106443A KR 20060106443 A KR20060106443 A KR 20060106443A KR 100815300 B1 KR100815300 B1 KR 100815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air
switch knob
chamber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6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300B1/ko
Priority to DE102006056138A priority patent/DE102006056138A1/de
Priority to CN2006101629228A priority patent/CN101174519B/zh
Priority to US11/645,279 priority patent/US765221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05Y2400/854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2003/008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with a haptic or a tactile feedback controlled by electrical means, e.g. a motor or magneto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08Application power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각종 램프, 공조장치 또는 시트백에 설치되는 럼버 서포트와 같이 각각의 작동 상태에 따른 변화량을 시각적으로 직접 확인하지 않고서도 운전자의 손에 인지되는 감각만으로도 알 수 있는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시트, 등받이, 럼버 서포트, 공기 챔버

Description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The power switch for the sensory perception typ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의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 노브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200: 스위치 노브 12 : 분리부
13 : 볼록부 14 : 스프링부
15 : 오목부 20 : 공기챔버
30 : 에어펌프 40 : 제어밸브
50 : 스위치부 100 : 스위치 하우징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각종 램프, 공조장치 또는 시트백에 설치되는 럼버 서포트와 같이 각각의 작동 상태에 따른 변화량을 시각적으로 직접 확인하지 않고서도 운전자의 손에 따라 인지되는 감각만으로도 알 수 있는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의 손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다양한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공조장치 또는 룸 램프 스위치나 시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한 시트(Seat)는 차내부에 설치되어 승차자가 착석하게 되며 승차자의 등을 기대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 상부면에 장착된 헤드레스트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시트 등받이부의 내부에는 럼버 서포트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 럼버서포트(Lumbar Support)는 등받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등받이부의 형상을 시트에 착석한 승차자의 체형에 부합되게 조절하는 것으로, 승차자의 등을 등받이부에 긴밀히 밀착지지하여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를 상하 또는 전후로 조절하도록 하기 위해서 럼버 서포트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수석 전방에 조절가능한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즉, 종래의 대부분 시트의 럼버 서포트 파워 스위치는 스위치 노브를 조작함에 따라서, 이동방향에 부합되게 상하 또는 전후로 조절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럼버 서포트 조절 스위치는 작동자가 럼버 서포트의 지지양이 어느 정도 되어 있는지를 눈으로 꼭 확인을 해야 만이 알 수 있고, 손의 감각만으로 안다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로 인하여, 운전자 또는 작동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등받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럼버 서포트 조절 스위치를 이용하여 작동한 후 꼭 눈으로 다시 확인해야 하는 일을 발생시키므로 운전 중 또는 다른 일을 하고 있는 도중에 시선을 빼앗기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에 의해 작동되는 다양한 스위치가 시각으로 직접 확인하지 않고서도 손에 전해지는 감각만으로 작동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는 차량의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손 조작에 의해 작동되며 스위치 하우징의 내측 중앙에 설치된 분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된 스위치 노브; 상기 스위치 노브의 하측 중앙에 각각 이격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 노브의 누름 작동에 따라 공기 주입량이 변화하도록 제1,2 챔버가 구비된 공기 챔버; 상기 공기 챔버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 상기 에어 펌프에 의해 제1,2 챔버에 주입되는 공기의 주입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 및 상기 제1 챔버 또는 제2 챔버 중의 어느 하나에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공기 챔버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때 공기가 주입된 공기 챔버가 일측 방향으로 하향 되어 접점이 접촉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노브는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리부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노브와 공기 챔버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양단이 상기 스위치 노브의 하면과 공기 챔버의 상면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가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부는 일단이 상기 스위치 노브의 하면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1 챔버와 인접하여 설치된 제1 스프링과, 일단이 상기 스위치 노브의 하면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 챔버와 인접하여 설치된 제2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노브는 운전자의 손에 의해 감지되는 촉각으로 인지 가능하도록 어느 하나에 볼록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 오목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부는 푸쉬 버튼 타입의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차량의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가 조작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며 스위치 하우징 바디의 상부 내측면을 따라 홈부가 형성된 스위치 하우징;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홈부의 내측면과 면접촉되는 유동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스위치 노브; 상기 스위치 노브의 중앙에 설치되며 스위치 노브가 이동함 에 따라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스위치 노브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볼록 또는 오목해지는 공기 챔버; 상기 공기 챔버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 상기 스위치 노브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 노브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 노브의 작동에 따라 접점이 접촉되는 접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홈부는 스위치 하우징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유동부에 설치된 스위치 노브의 중간 위치 상태를 고정하도록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폭 방향 내측으로 각각 라운드지게 요입된 제1 홈부와, 상기 제1 홈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노브 작동시 유동부와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제2,3 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동부는 홈부를 따라 원할 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의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 노브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의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손 조작에 의해 작동되며 스위치 하우징(16)의 내측 중앙에 설치된 분리부(12)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된 스위치 노브(10); 상기 스위치 노브(10)의 하측 중앙에 각각 이격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 노브(10)의 누름 작동에 따라 공기 주입량이 변화하도록 제1,2 챔버(20-1,20-2)가 구비된 공기 챔버(20); 상기 공기 챔버(20)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30); 상기 에어 펌프(30)에 의해 제1,2 챔버(20-1,20-2)에 주입되는 공기의 주입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40); 및 상기 제1 챔버(20-1) 또는 제2 챔버(20-2) 중의 어느 하나에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공기 챔버(20)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때 공기가 주입된 공기 챔버(20)가 일측 방향으로 하향 되어 접점이 접촉되는 스위치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노브(10)는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리부(12)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노브(10)와 분리부(12)의 재질을 구별하는 이유는 운전자의 작동 용이성을 위해서이다.
상기 스위치 노브(10)는 분리부(12)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스위치 노브(10-1)와 분리부(12)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스위치 노브(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노브(10)와 공기 챔버(20)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양단이 상기 스위치 노브(10)의 하면과 공기 챔버(20)의 상면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14)가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부(14)는 일단이 상기 스위치 노브(10)의 하면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1 챔버(20-1)와 인접하여 설치된 제1 스프링(14-1) 과, 일단이 상기 스위치 노브(10)의 하면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 챔버(20-2)와 인접하여 설치된 제2 스프링(1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노브(10)는 운전자의 손에 의해 감지되는 촉각으로 인지 가능하도록 어느 하나에 볼록부(13)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 오목부(15)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부(50)는 푸쉬 버튼 타입의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기 챔버(20)의 하측에 각각 이격되어 제1 스위치부(50-1)와 제2 스위치부(5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밸브(40)는 제1 챔버(20-1)와 연결된 노즐 상에 설치된 제1 제어 밸브(40-1)와 제2 챔버(20-2)와 연결된 노즐 상에 설치된 제2 제어 밸브(4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차량의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가 조작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며 스위치 하우징 바디의 상부 내측면을 따라 홈부(110)가 형성된 스위치 하우징(100); 상기 스위치 하우징(100)의 홈부(11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홈부(110)의 내측면과 면접촉되는 유동부(210)의 중앙에 위치하는 스위치 노브(200); 상기 스위치 노브(200)의 중앙에 설치되며 스위치 노브(200)가 이동함에 따라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스위치 노브(200)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볼록 또는 오목해지는 공기 챔버(300); 상기 공기 챔버(300)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400); 상기 스위치 노브(20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 노브(200)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스위 치(500); 및 상기 스위치 노브(200)의 작동에 따라 접점이 접촉되는 접점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홈부(110)는 스위치 하우징(100)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유동부(210)에 설치된 스위치 노브(200)의 중간 위치 상태를 고정하도록 상기 스위치 하우징(100)의 폭 방향 내측으로 각각 라운드지게 요입된 제1 홈부(110a)와, 상기 제1 홈부(110a)의 좌우 양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노브(200) 작동시 유동부(210)와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제2,3 홈부(110b,11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점부(600)는 상기 스위치(500)의 전후방에 각각 이격 설치된 제1 접점(600-1)과 제2 접점(60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동부(210)는 홈부(110)를 따라 원할 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는 차량에 구비되는 각종 램프, 공조장치 또는 시트백에 설치되는 럼버 서포트와 같이 다양하게 설치 가능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럼버 서포트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에 운전자가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체형에 맞는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시트 파워 스위치를 온 상태(S10)로 작동시킨다. 상기 시트 파워 스위치가 온(On) 됨과 동시에 시트 콘트롤러가 작동(S20) 되어 상기한 시트백의 작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운전자에 의해 스위치 노브(10)에 구비된 제1 스위 노브(10-1) 또는 제2 스위치 노브(10-2)가 선택적으로 작동(S30)이 이루어지되, 예를 들어 제1 스위치 노브(10-1)를 누르게 되면 에어 펌프(30)의 펌핑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제2 제어 밸브(40-2)는 클로징 되고, 제1 제어 밸브(40-1)는 오픈 되어 제1 챔버(20-1)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럼버 서포트 모터가 작동(S40)된다.
상기 제1 챔버(20-1) 내부로 주입된 공기는 제1 챔버(20-1)를 팽창시켜 스프링부(14)에 설치된 제1 스프링(14-1)을 인장 시키게 된다.
상기 제1 스프링(14-1)이 인장 되면서 공기 챔버(20)는 제1 스위치부(50-1)가 설치된 곳으로 하향 작동되고, 하향된 공기 챔버(20)가 제1 스위치부(50-1)의 접점을 누름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스위치 노브(10-1)는 팽창된 제1 챔버(20-1)에 의해 스위치 하우징(16)의 외측으로 돌출(S50) 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제1 스위치 노브(10-1)가 작동 되면서 시트백은 수직 상태로 이동되어 운전자를 수직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는 돌출된 제1 스위치 노브(10-1)를 손가락으로 인지하여 직접적으로 눈으로 확인할 필요 없이 감각적인인지(S60)가 이루어진다.
제2 스위치 노브(10-2)의 작동에 따른 작동 상태는 제1 스위치 노브(10-1)의 작동과 유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에서는 제1 스 위치 노브(10-1)의 선단부 상에 볼록부(13)를 형성하여 운전자가 상기한 제1 스위치 노브(10-1)에 형성된 볼록부(13)를 손가락으로 인지하여 럼버 서포트의 지지량이 증가 되는 것으로 인지하게 되고, 반대로 럼버 서포트의 지지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스위치 노브(10)를 확인하지 않고 제2 스위치 노브(10-2)의 후단부에 형성된 오목부(15)를 손가락으로 인지하여 럼버 서포트의 지지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에 운전자가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체형에 맞는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스위치 노브(200)를 손가락으로 감지하여 작동시키되, 상기 스위치 노브(200)의 위치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부(110a)상에 위치하게 되면 럼버 서포트의 지지량이 중간 정도의 각도를 갖는 것으로 인지하게 된다.
즉, 스위치 노브(200)의 중앙에 위치한 공기 챔버(300)는 스위치 노브(200)가 제1 홈부(110a)상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스킨면과 일치하게 되고, 운전자가 스위치 노브(200)를 제2 홈부(110b)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스위치 노브(200)를 따라 이동하는 유동부(210)가 상기 제2 홈부(110b)의 형상에 따라 변형이 이뤄지면서 스위치(500)도 함께 접점부(600)의 제1 접점부(600-1)로 이동되고, 상기 제1 접점부(600-1)와 접점 접촉되어 에어 펌프(400)에 의한 펌핑이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 펌프(400)에 의해 발생된 공기는 공기 챔버(300)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공기 챔버(300)를 스위치 노브(200)의 외측으로 팽창시키게 된다. 운전자는 손가락에 인지되는 공기 챔버(300)의 팽창력을 감지하여 럼버 서포트가 수직 상태로 변형된다는 것을 미리 알 수 있게 되며, 럼버 서포트 모터가 작동되어 시트백이 수직 상태로 작동이 이루어진다.
만약, 운전자가 럼버 서포트의 지지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제3 홈부(110c)로 스위치 노브(200)를 이동시키게 되면, 스위치 노브(200)를 따라 이동하는 유동부(210)가 상기 제3 홈부(110c)의 형상에 따라 변형이 이뤄지면서 스위치(500)도 함께 접점부(600)의 제2 접점부(600-2)로 이동되어 상기 제2 접점부(600-2)와 접점 접촉되어 에어 펌프(400)에 의한 펌핑이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 펌프(400)는 공기 챔버(300)에 주입된 공기를 빼내어 상기 공기 챔버(300)를 수축시켜 스위치 노브(200)의 내측으로 공기 챔버(300)가 수축되어 운전자는 손가락에 인지되는 공기 챔버(300)의 수축력을 감지하여 럼버 서포트의 지지량이 감소됨을 인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는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 또는 공조장치 및 시트 등받이의 럼버 서포트의 파워 스위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시트 등받이의 럼버 서포트 파워 스위치로 사용할 경우에는 작동자가 럼버 서포트 지지량이 어느 정도 되어 있는지를 눈으로 일일이 확인할 필요없이 파워 스위치의 조작만으로도 알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의 편의성 및 감성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차량의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손 조작에 의해 작동되며 스위치 하우징의 내측 중앙에 설치된 분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된 스위치 노브;
    상기 스위치 노브의 하측 중앙에 각각 이격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 노브의 누름 작동에 따라 공기 주입량이 변화하도록 제1,2 챔버가 구비된 공기 챔버;
    상기 공기 챔버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
    상기 에어 펌프에 의해 제1,2 챔버에 주입되는 공기의 주입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 및
    상기 제1 챔버 또는 제2 챔버 중의 어느 하나에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공기 챔버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때 공기가 주입된 공기 챔버가 일측 방향으로 하향 되어 접점이 접촉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는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리부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와 공기 챔버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양단이 상기 스위치 노브의 하면과 공기 챔버의 상면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탄성 지 지하는 스프링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일단이 스위치 노브의 하면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1 챔버와 인접하여 설치된 제1 스프링, 일단이 상기 스위치 노브의 하면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 챔버와 인접하여 설치된 제2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는 운전자의 손에 의해 감지되는 촉각으로 인지 가능하도록 어느 하나에 볼록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 오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푸쉬 버튼 타입의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
  7. 차량의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가 조작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며 스위치 하우징 바디의 상부 내측면을 따라 홈부가 형성된 스위치 하우징;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홈부의 내측면과 면접촉되는 유동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스위치 노브;
    상기 스위치 노브의 중앙에 설치되며 스위치 노브가 이동함에 따라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스위치 노브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볼록 또는 오목해지는 공 기 챔버;
    상기 공기 챔버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
    상기 스위치 노브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 노브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 노브의 작동에 따라 접점이 접촉되는 접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스위치 하우징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유동부에 설치된 스위치 노브의 중간 위치 상태를 고정하도록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폭 방향 내측으로 각각 라운드지게 요입된 제1 홈부, 상기 제1 홈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노브 작동시 유동부와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제2,3 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홈부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
KR1020060106443A 2006-10-31 2006-10-31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 KR100815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443A KR100815300B1 (ko) 2006-10-31 2006-10-31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
DE102006056138A DE102006056138A1 (de) 2006-10-31 2006-11-28 Leistungsschalter für Fahrzeug einer Art mit Sinneswahrnehmung
CN2006101629228A CN101174519B (zh) 2006-10-31 2006-11-29 用于感官知觉类型机动车的电源开关
US11/645,279 US7652219B2 (en) 2006-10-31 2006-12-22 Sensory perception type power switch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443A KR100815300B1 (ko) 2006-10-31 2006-10-31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300B1 true KR100815300B1 (ko) 2008-03-19

Family

ID=39265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443A KR100815300B1 (ko) 2006-10-31 2006-10-31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52219B2 (ko)
KR (1) KR100815300B1 (ko)
CN (1) CN101174519B (ko)
DE (1) DE10200605613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9370A (ja) * 1993-08-13 1995-07-04 Eaton Corp デテント付きスイッチアセンブリ
KR19990014773U (ko) * 1997-10-09 1999-05-06 홍종만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의 오동작 방지 구조
KR200199640Y1 (ko) 2000-02-19 2000-10-02 신경호 핸드패드
JP2002093263A (ja) 2000-09-08 2002-03-29 Clarion Co Ltd スイッチパネ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56386Y (zh) * 1996-05-15 1997-06-18 张家俊 汽车座椅靠背调节推杆
FR2761805B1 (fr) * 1997-04-07 1999-05-14 Schneider Electric Sa Bouton-poussoir a effet sonore et tactile
US6121559A (en) * 1997-07-03 2000-09-19 Bassin; Gilbert Bellows
JPH11120854A (ja) 1997-10-09 1999-04-30 Sony Corp 押下型電気スイッチ
JP3790365B2 (ja) 1998-05-25 2006-06-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載用入力装置
JPH11339580A (ja) * 1998-05-22 1999-12-10 Alps Electric Co Ltd ステアリング装置
JP3717306B2 (ja) * 1998-05-25 2005-11-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載用入力装置
US5977867A (en) * 1998-05-29 1999-11-02 Nortel Networks Corporation Touch pad panel with tactile feedback
JP2000082360A (ja) 1998-07-07 2000-03-21 Yazaki Corp 操作スイッチの操作内容表示装置
JP4108378B2 (ja) 2001-09-26 2008-06-25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KR200293230Y1 (ko) * 2002-08-10 2002-10-28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차량용 의자의 완충높이 조정장치
JP3988584B2 (ja) * 2002-08-27 2007-10-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CN2578154Y (zh) * 2002-10-29 2003-10-08 常州市富邦汽车配件有限公司 气囊悬浮式座椅支座
JP2004171851A (ja) * 2002-11-19 2004-06-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方向操作スイッチ
US7012200B2 (en) * 2004-02-13 2006-03-14 Sonion Roskilde A/S Integrated volume control and switch assembly
US7868515B2 (en) * 2008-04-15 2011-01-1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Thin laminate construction for the creation of tactile feedba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9370A (ja) * 1993-08-13 1995-07-04 Eaton Corp デテント付きスイッチアセンブリ
KR19990014773U (ko) * 1997-10-09 1999-05-06 홍종만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의 오동작 방지 구조
KR200199640Y1 (ko) 2000-02-19 2000-10-02 신경호 핸드패드
JP2002093263A (ja) 2000-09-08 2002-03-29 Clarion Co Ltd スイッチパネ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52219B2 (en) 2010-01-26
US20080099319A1 (en) 2008-05-01
CN101174519A (zh) 2008-05-07
DE102006056138A1 (de) 2008-05-08
CN101174519B (zh)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41331B (zh) 开关装置
US7390982B2 (en) Contactless intuitive seat adjuster control
JP4166477B2 (ja) 自動車用機能装置等のための容量性のコマンド装置、およびかかる装置を備えた装備部品
US7432459B2 (en) Seat control unit for adjusting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configuration
KR101266347B1 (ko) 차량 시트용 백 레스트
US4678872A (en) Button set and switch
CN107585060B (zh) 能够检测承载力的装置
EP2216201A1 (en) Power seat control unit
US11584260B2 (en) Power seat operating device having seesaw type switch for vehicle
US20130169065A1 (en) Operating Element for a Furniture Control and Electrically Adjustable Piece of Furniture
CN103140907B (zh) 电动座椅开关组件
JP4939801B2 (ja) オペレータ存在スイッチを備える乗物シートアセンブリ
US4425910A (en) Seat having an adjustable backrest
KR100815300B1 (ko) 감각 인지형 차량용 파워 스위치
JP2002144937A (ja) 自動車用パワーシートスイッチ装置
US20210132696A1 (en) Vehicle input device
JP6458986B2 (ja) マッサージ機
AU763947B2 (en) Switch apparatus
CN110712577B (zh) 具有操作装置的车辆座椅
KR20110132225A (ko) 안마기
US10882422B2 (en) Seat for vehicles with segmented backrest and movable lumbar portion
KR101337357B1 (ko) 안마기
CN105702487B (zh) 电气按钮速动开关
KR101736736B1 (ko) 폴딩 가능한 헤드레스트
JP6425071B2 (ja) 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