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040B1 -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경구흡수 개선을 위한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경구흡수 개선을 위한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040B1
KR100815040B1 KR1020050008711A KR20050008711A KR100815040B1 KR 100815040 B1 KR100815040 B1 KR 100815040B1 KR 1020050008711 A KR1020050008711 A KR 1020050008711A KR 20050008711 A KR20050008711 A KR 20050008711A KR 100815040 B1 KR100815040 B1 KR 100815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tosan
wat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bisphosphonate
sol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851A (ko
Inventor
신희종
기민효
최미화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종근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종근당 filed Critical 주식회사종근당
Priority to KR1020050008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040B1/ko
Priority to PCT/KR2006/000013 priority patent/WO2006080780A1/en
Priority to JP2007553025A priority patent/JP2008528575A/ja
Priority to US11/883,033 priority patent/US20080153785A1/en
Priority to EP06701990A priority patent/EP1846000A4/en
Publication of KR20060087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62Phosphorus acids or esters thereof having P—C bonds, e.g. foscarnet, trichlorfon
    • A61K31/663Compounds having two or more phosphorus acid groups or esters thereof, e.g. clodronic acid, pamid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1623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Derivatives thereof; Homeopathic glob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내에서 이온화되고 수용성이 높아 생체지질막을 통과하지 못하고 생물학적이용률이 10 % 미만인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활성물질과 생체적합성 수용성 키토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필수 구성 성분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경구흡수를 개선시키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스포스포네이트, 수용성 키토산, 생체이용률

Description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경구흡수 개선을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BISPHOSPHONATE FOR IMPROVING ORAL ABSORPTION}
도 1은 실험예 1 내지 7에서 측정한 활성약물의 Caco-2 cell 투과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예 8 내지 12에서 본 발명 조성물로 제조된 정제의 시간에 따른 용출률(%)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물에서 용해 가능한 수용성 고분자키토산 및/또는 저분자 키토산 및/또는 키토산단위체를 함유하는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극성이 높아 생체지질막을 통과하지 못하여 생물학적이용률이 낮은 약물의 경구 흡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신규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들은 극성이 너무 높아 생체 지질막을 투과하지 못하며, 칼슘등의 다가 금속이온과 강한 친화성을 가져 생체내에 서 이들과 결합시 불용성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소화관에서 세포막을 통해 흡수되기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참고 문헌: Br.J.Cancer,71,Suppl.24,67,1995]. 또한, pH 6-8인 소장내부에서 음이온성을 가지므로 소장에서의 흡수도 어려워 대부분의 약물들이 10 % 미만의 흡수율을 가지며 특히 알렌드론산나트륨의 흡수율은 1 %미만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참고 문헌: Clin pharmacol & Therapeutics, 58(3),288-209(1995)].
종래부터 극성이 높아 위장관 생체지질막의 흡수 기전인 자유확산 및 투과가 이루어지지 않고 세포간극을 통한 흡수도 어려워 생체이용률이 낮은 것으로 알려진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 사례는 일부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면, 비스포스포네이트를 포함한 활성물질에 지방산을 포함하는 흡수촉진제를 첨가하여 경구흡수율을 증가시키는 선행기술에는 미국특허공개 제2003/0091623호와 WO 제00/50012호가 있으며 중간길이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medium chain triglyceride)를 흡수촉진제로 이용한 WO 제99/18972호와 양쪽 이온성 (zwitterionic) 인지질을 이용한 WO 제01/76577호)가 있다. 이들 선행기술들은 모두 지방에서 유래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고형제제를 설계하기에 많은 단점을 갖고 있다. 특히 지방산과 중간길이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는 액상 또는 반고형이고 활성물질 보다 매우 많은 양을 사용해야 하므로 실질적인 제품화가 어려우며 양쪽 이온성 인지질은 자체의 낮은 안정성과 부패의 우려로 역시 제품화가 어렵다.
미국특허 제6309663호에는 친수성 표면활성제와 소수성 표면활성제를 함께 사용하여 흡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명시되어있다. 이 선행기술은 매우 광범위한 표면활성제를 청구하면서 키토산 유도체를 포괄적으로 청구하였으나 본 발명이 표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아 위장장애 개선에 도움을 주는 데 반하여 표면활성제 존재 자체가 위장관 부작용의 또 다른 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인용발명이 키토산 본래의 성질과는 매우 상이한 키토산-EDTA 및/또는 키토산-EDTA-antipain 복합체를 사용하였다는 점과 이들을 효소억제제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 명백히 구분된다.
자체개발한 경구 흡수촉진제를 사용해 경구흡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있는 WO 제02/070438호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용성 키토산과는 상이한 흡수촉진제를 사용하고 있다. 이 선행기술의 합성된 흡수촉진제는 생체적합성 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자체가 위장관 부작용을 가질 수 있어 당 업계에서 통용되는 의약품 부형제라고 할 수 없다.
한편, WO 제00/61111호는 흡수향상 효과의 입증없이 매우 광범위한 부형제의 조성을 흡수개선 조성물로서 청구하고 있다. 여기서 거론하는 부형제는 모든 계면활성제, 담즙산, 지방산 및 이의 비누화염, 중간길이 지방 글리세리드, 오일, 에나민 (enamine), 모든 킬레이트제 (chelating agent), 페노치아진 (phenothiazine), 카르니틴과 펩타이드의 지방산 유도체, 아존, 콘카나바린 A (concanavalin A), 포스페이트 및 유도체, 디포스페이트 및 유도체, 매일라아드 반응 (maillard reaction)의 생성물, 공중합체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모든 고분자, 키토산 및 키토산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한다고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흡수개선의 효과는 구체적 자료로서 제시된 예가 없으며 단지 조성물 만을 열거해 놓고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되는 키토산은 조성의 예에도 언급되고 있지 않다. 위장내 환경이 산성이라고 할지라도 실질적인 사람 위장내 산도는 pH 1에서 5까지 광범위하기 때문에 키토산이 용해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며 용해되더라도 그 속도가 매우 느리게 된다.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주된 흡수가 경구복용 후 30분 이내에 발생함을 고려할 때, 일반적인 키토산의 조성은 용해가 되지 않으므로 비스포스포네이트의 경구흡수에 아무런 영향을 나타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키토산이 통상적인 키토산이 아니라 물에서도 신속히 가용화되는 키토산이라는 점과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수용성 키토산을 이용한 속방출의 특징을 가지는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약제학적 조성물이라는 점에서 명백한 차이가 있다.
유럽특허공개 제1302201호는 경구흡수 개선제로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해당하는 유드라짓 E와 산성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이 기술은 경구흡수 개선을 위해 아크릴레이트 유도체인 유드라짓 E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수용성 키토산은 사카라이드 구조로 상이하다. 또 당 업계에서 인지되는 바와 같이 키토산은 생체적합성 물질이며 위장관 독성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참고문헌 : British Journal of plastic Sugery, 53, 601-606(2000)]는 점에서 위장관장애가 심한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매우 적합하다.
한편 제형의 구조적 특성을 이용하여 물리적인 활성물질의 방출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경구흡수율 향상을 의도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다.
미국특허공개 제2004/0176328호는 수용성 활성물질이 수용성 활성물질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물질로 봉입되어 캡슐화되고 캡슐화된 입자가 외상의 연속상에 담지되는 고상의 제형을 기술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6207197호는 활성물질을 봉입한 핵립과 수불용성 중합체로 된 제어방출층과 점막부착성 양이온 중합체로 된 외곽층으로 조성되는 위 체류형 미립구를 기술하고 있다. 이들 기술은 약물과 키토산의 상호작용에 의한 경구흡수율의 상승과는 관계없이 활성물질을 캡슐형태 또는 미립구 형태에 봉입시킨 제제를 만들어 이로부터 약물의 방출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생체이용률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 상이하다. 또한 이들은 지속적인 방출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인 반면 본 발명은 비스포스포네이트의 경구흡수율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속방출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상이하다.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 약물의 장시간 위장체류 또는 지속적인 방출은 경구흡수율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하더라도 비스포스포네이트와 장관 점막의 접촉시간을 연장시켜 식도 및 위장에서의 독성이 증가되는 단점을 동시에 가지므로 적절한 제어방출이라 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에 높은 극성으로 인하여 위장관의 생체지질막 통과가 어렵기 때문에 생체이용률이 낮아 높은 단위로 투여되어지는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인 알렌드론산나트륨에 대하여, 물에서 용해 가능한 수용성 고분자키토산 및/또는 저분자키토산 및/또는 키토산 단위체를 적정비율 배합함으로써 극성 활성물질의 경구흡수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경구흡수율을 높임으로써 상대 적으로 높은 단위에서 투여되어지던 활성물질의 투여 단위를 낮춤으로써 약물이 가지는 부작용을 최소화시키고 동시에 생체막 치료효과를 가지는 수용성 키토산을 배합함으로써 위장독성을 최소화하는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들 조성물을 사용해 제제화 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용해속도가 느린 중합체와 결합하여 제제화 될 경우 문제시 되어지는 느린 용출을 개선한 제형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생체내에서 이온화되고 수용성이 높아 생체지질막을 통과하지 못하고 생물학적이용률이 10 % 미만인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활성물질과 생체적합성 수용성 키토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필수 구성 성분으로 하여, 빠른 속도로 붕괴되고 최소 60분 이내에 80 % 이상의 활성물질을 위장관계에 방출함으로써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경구흡수율을 개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극성 활성물질(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음이온 극성부위를 물에서도 용해 가능한 수용성 키토산의 양이온 전하부위로 차폐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약물의 양이온 극성부위를 드러내어 세포간극을 통한 흡수를 용이하게 하거나, 수용성 키토산 및/또는 저분자키토산 및/또는 키토산단위체를 사용해 약물의 극성을 감소시키고 약물의 소수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지질막을 통한 자유확산 및 분배에 유리한 조건을 유도함으로써 활성물질의 생체지질막 내부로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여 생물학적이용률을 향상시키고 있다. 둘 째는 활성물질의 투여 단위를 줄임과 함께,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자극하여 상처치유 효과를 가지고, GI독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참고문헌: Biomaterials, 20, 2959-2966(2001) &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 52, 105-115(2001)] 키토산 특히, 물에서도 용해 가능한 수용성 키토산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제제들에게서 나타나는 식도 및 위장 관련 독성을 줄이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용성 키토산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0.1 % w/v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0.5 % w/v 이상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물에서는 용해되지 않고 산성조건에서만 용해되는 통상의 키토산으로 제제화할 경우, 개체차로 인하여 용해속도가 느리거나 용해자체가 불완전하여 약물의 주요흡수가 발생되는 60분 이내, 바람직하게는 30분 이내에 목적하는 흡수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키토산 대신 물에서 쉽게 용해되어지는 수용성 키토산을 사용함으로써 위에서도 빨리 용해되는 속붕해성 제제를 만들어 활성물질의 빠른 용출을 유도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경구흡수가 어려운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에 대해서 그 경구흡수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약물의 적은 단위 투여량으로도 골흡수억제 작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약물에서 야기되는 식도 및 위장 독성을 줄여 환자의 적응성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제제의 개발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과 생체적합성 양이온성 중합체 인 수용성 키토산 및/또는 저분자키토산 및/또는 키토산단위체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은 수용성이 높아 약물의 경구흡수가 불가능한 약물로서 생물학적이용률 30 % 미만, 특히, 생물학적이용률 10 % 미만의 약물을 의미하며, 물에 용해시 약물의 구조 내에 1개 이상의 음이온 전하 및/또는 양이온 전하를 갖는 약물이다. 그리고 이들은 유수분배계수(Log P)가 주로 1.0 이하로서 상대적으로 오일에 비하여 물에 대한 친화력이 높은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활성물질에는 알렌드로네이트(4-아미노-1-하이드록시부틸리덴-1,1-비스포스폰산), 시마드로네이트(인카드로네이트, 1-(사이클로헵틸아미노)메틸리덴-1,1-비스포스폰산), 에티드로네이트(1-하이드록시에틸리덴-1,1-비스포스폰산), 틸루드로네이트(1-(4-클로로페닐티오)메틸리덴-1,1-비스포스폰산), 미노드로네이트(1-하이드록시-2-(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틸리덴-1,1-비스포스폰산), 이반드로네이트(1-하이드록시-3-(N-메틸-N-펜틸아미노)프로필리덴-1,1-비스포스폰산), 리세드로네이트(1-하이드록시-2-(3-피리딜)에틸리덴-1,1-비스포스폰산), 파미드로네이트(3-아미노-1-하이드록시프로필리덴-1,1-비스포스폰산), 졸레드로네이트(1-하이드록시-3-(1-피롤리디닐)프로필리덴-1,1-비스포스폰산, 1-하이드록시-2-(1-이미다졸릴)에틸리덴-1,1-비스포스폰산), 네리드로네이트(6-아미노-1-하이드록시헥실리덴-1,1-비스포스폰산), 올파드로네이트(밀드로네이트, N,N-디메틸-3-아미노-1-하이드록시프로필리덴-1,1-비스포스폰산) 및 그의 가능한 염 또는 에스테르 유도체 및 그 혼합물이 있다.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은 골조직으로부터 칼슘의 재흡수를 강력하게 억제하여 파골세포의 기능을 저하시켜 골밀도를 높일 수 있는 골다공증 치료약물이다. 하지만 우수한 약효를 가지고 있는데 반해 생체적용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약물로 인식되고 있다. 경구흡수의 측면에서는 아침 식전 30분에 과량의 물과 함께 복용하여야만 약물의 흡수가 일어나고 그 생체이용율도 30 % 미만, 특히, 10 % 미만이다. 가장 대표적인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인 알렌드로네이트는 생체이용율이 0.7 % 미만으로 보고되어 있다. 특히 칼슘과 같은 다가 금속이온과 강하게 결합하여 침전이 발생되고 식사나 음료에 의해서도 약물의 생물학적이용율이 절반이하로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용법에서는 정제를 입안에서 녹여서 복용할 때는 심각한 구강내 궤양 또는 간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정상적으로 복용하더라도 장기복용시 환자의 약 36 %에서 가슴앓이(heartburn) 또는 상복부통증 (epigastric pain)이 발생되고 있다. 또 식도질환시에는 급성 식도염 (severe esophagitis) 또는 식도염증 (extensive esophagitis)이 발생할 수 있다고 사용설명서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가장 적합한 개량형 약제 (Incrementally modified drugs)는 생물학적이용율을 향상시켜 동등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의 단위 투여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약물 자체가 수반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추가로, 위장관 독성을 증가시키지 않거나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생체적합성 물질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 골조직으로 분포된 이후에는 약물의 반감기가 11.9년으 로 매우 길기 때문에 위장관 점막조직이 재생되는 5일 이상의 기간으로 투여되는 것이 약효를 감소시키지 않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투여기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알렌드로네이트의 경우, 매 1일 10 mg 보다 매 7일 70 mg의 경구투여 단위용량이 부작용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이기는 하나 이 또한 생물학적이용율이 1 %에 미치지 못함을 고려하면 생물학적이용율을 증가시켜 매 7일마다 투여되는 70 mg의 단위를 혁신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단점을 개선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생체적합성의 물질이며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생물학적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흡수전달체로는 수용성 키토산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수용성 키토산은 물에서 용해가 가능한 고분자키토산, 분자량별 혼합 키토산, 저분자키토산, 키토올리고당, 키토산단위체(글루코사민) 및 그 혼합물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키토산과 산성물질이 균질하게 배합된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키토산은 여타의 유도체화 과정이나 추가의 산성화 과정이 필요없이 물에서도 매우 신속하게 용해되는 특성을 가지는데, 키토산의 단위체인 글루코사민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0.5 w/v % 이상으로 매우 우수하여 생체 위장의 산도에 관련없이 일정한 체내흡수율 상승을 가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키토산은 글루코사민을 단위체로 하며 크게 분자량에 따라 수용성 고분자키토산과 저분자키토산, 키토산 단량체(글루코사민)로 분류될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키토산은 분자량 10,000 ~ 500,000의 범위가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100,000 ~ 200,000의 범위가 사용될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키토산은 키토올 리고당과 동일한 의미로 혼용되기도 하는데 분자량 200 ~ 10,000의 범위가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500 ~ 2,000의 범위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성 키토산 단량체는 의미 그대로 키토산을 단량체까지 분해하여 생성되는 글루코사민 (키토사민, 2-아미노-2-디옥시-D-글루코오즈)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용성 키토산은 키토산이 산성물질과 균질하게 배합된 혼합물이거나 키토산의 단위체인 글루코사민이 산성물질과 이온적 인력에 의하여 배열된 키토산의 산성물질 염이다. 상기의 산성물질로는 염산, 황산, 질산 등의 무기산 또는 젖산, 초산, 구연산, 주석산, 호박산 등의 유기산에서 1종 이상의 산성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염산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설명에서 키토산이 산성물질과 균질하게 배합된 혼합물이란, 통상의 키토산이 상기의 무기산 또는 유기산과 물리적으로 균질하게 혼합된 형태를 의미한다. 상기의 설명에서 키토산의 단위체인 글루코사민이 산성물질과 이온적 인력에 의하여 배열된 키토산의 산성물질 염이란, 글루코사민의 아민기가 양전하를 가지고 무기산 또는 유기산이 음전하를 가지기 때문에 양전하와 음전하 사이에 이온적으로 인력이 작용하여 글루코사민과 산성물질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형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수용성 키토산의 구체적인 제품으로는 한국의 (주) 자광의 에이치에프피 키토산 (HFP Chitosan) 이나 (주) 키토라이프의 파코스 (FACOS)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키토산 중의 키토산단위체인 글루코사민과 무기산 또는 유기산을 몰비로서 1:0.1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10으로 고상 또는 액상으로 균질하게 혼화한 혼합물 또는 이것을 모두 물에 용해한 후 다시 건조하여 수득된 키토산 분말도 본 발명의 수용성 키토산의 범주에 속한다. 또 통상의 키토산과 무기산 또는 유기산을 모두 물에 용해한 후 여기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석출시키고 유기용매를 제거한 키토산 분말도 본 발명의 수용성 키토산의 범주에 속한다.
게, 새우등의 갑각류 및 곤충류의 껍질이나 세포 벽의 보호조직으로부터 얻어지는 키틴이라는 물질을 탈아세틸화하여 얻어지는 통상의 키토산도 글루코사민을 단위체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수용성 키토산과 비교하여 산성물질을 균질하게 가지고 있지 못하거나 산성물질을 단위체 구조내에 가지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pH 3 이하의 산성에서만 용해가 가능하고 물에서는 전혀 용해되지 않고 산성용액에서도 그 용해속도 또한 매우 느려 본 발명의 효과인 경구흡수율 향상을 나타내지 못한다.
비록 위장내 환경이 산성이라고 할지라도 실질적인 사람 위장내 산도는 pH 1에서 5까지 광범위하기 때문에 통상의 키토산은 용해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며 용해되더라도 그 속도가 매우 느리게 된다. 따라서 통상의 키토산으로는, 생체적용시에 1시간 이내에 신속한 약물흡수가 적합한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에는 실질적인 경구흡수율 향상 효과를 전혀 얻을 수 없다. 더욱이 용해속도가 느린 통상의 키토산은 오히려 약물의 방출을 저해하여 신속한 흡수가 요구되는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흡수를 감소시키는 역효과 또한 발생시킬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활성물질과 수용성 키토산을 혼합하거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혼합할 수 있다. 활 성물질에 대하여 수용성 고분자키토산 및/또는 저분자키토산(키토올리고당) 및/또는 키토산단위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중량비로서 100:1 내지 1:100, 바람직하게는 25:1 내지 1:25,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10으로 배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인정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서 혼합(blending) 및 연합(kneading), 분쇄(grinding), 체과(sieving), 충전(filling), 압축(compressing), 동결건조(lyophilization), 분사건조 (spray-drying), 유동건조 (fluid-bed drying), 원심분리과립 (centrifugal granulation) 등을 통하여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로는 희석제(diluent), 결합제(binder), 붕해제(disintegrant), 색소(coloring agent), 감미제 (sweeting agent), 향료(Flavor), 보존제(preservative), 활택제(lubricant) 등이 사용가능하며 상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희석제에는 락토오즈, 덱스트로오즈, 미결정셀룰로오즈, 전분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가능하며, 결합제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디칼슘포스페이트, 알긴산나트륨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붕해제에는 소디움크로스카멜로오즈, 소디움전분글리콜산, 가교화 폴리비닐피롤리돈, 호화전분,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색소에는 수용성 및 타르 색소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감미제에는 덱스트로오즈, 솔비톨, 만니톨, 아스파탐, 아세설팜, 구연산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 향료에는 오렌지향 분말, 포도향 분말, 딸기향 분말, 블루베리 분말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보존제에는 벤조인산,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 활택제에는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탈크, 경질무수규산, 슈크로오즈 지방산에스테르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형성된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과 수용성 키토산의 조성물은 위에서 빠르게 붕해되어 제형으로부터 1시간 이내에, 바람직하게는 30분 이내에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을 모두 방출하고 키토산은 신속히 용해되어 약물의 생체막투과를 촉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동일한 비율로 고체상으로 균질하게 혼합되어 분말제나 과립제, 정제, 캅셀제와 같은 고체상의 제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과 함께 용해되어 시럽제, 액제와 같은 액상의 제형으로 설계될 수도 있으며 필요시 동결건조를 통하여 용시 현탁 또는 유탁, 용해하여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종래의 조성물 보다 경구흡수율이 현저히 증가되므로 단위 투여량을 대폭 감소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활성성분이 알렌드론산나트륨인 경우 종래 단위투여량의 최대 1/100 까지 감축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3
실시예 1 내지 3을 위하여, 활성물질(약물)로서 알렌드산나트륨 13.0 mg을 HBSS Buffer 100 ㎖에 가하고, 수용성 고분자키토산(HFP?, 자광) 6.5 ㎎, 26.0 ㎎, 52.0 ㎎을 HBSS Buffer 100 ㎖에 각각 가하여 용해시켰다. 이 후, 알렌드로네이트 용액과 각각의 키토산 용액을 동일량씩 취하여 교반하여 균질하게 혼합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4를 위해서는, 활성물질로서 알렌드산나트륨 13.0 mg을 HBSS Buffer 100 ㎖에 가하고 수용성 저분자키토산(FACOS?, 키토라이프) 52.0 mg을 HBSS Buffer 100 ㎖에 가하여 용해시켰다. 이 후, 두 용액을 동일량씩 취하여 혼합한 후, 잘 섞이도록 교반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5를 위해서는, 활성물질로서 알렌드산나트륨 13.0 mg을 HBSS Buffer 100 ㎖에 가하고 키토산단위체인 염산글루코사민 34.5 ㎎을 HBSS Buffer 100 ㎖에 가하여 용해시켰다. 이 후, 두 용액을 동일량씩 취하여 혼합한 후, 잘 섞이도록 교반하였다.
비교예 1 및 2
비교예 1을 위하여, 활성물질로서 알렌드산나트륨 13.0 mg을 HBSS Buffer 200 ㎖에 가하여 용해시켰다.
비교예 2를 위해서는, 활성물질로서 알렌드산나트륨 13.0 mg을 HBSS Buffer 100 ㎖에 가하고 일반 고분자키토산 52.0 ㎎을 HBSS Buffer 100 ㎖에 가하여 현탁시켰다.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용액은 모두 육안상으로 투명하게 용해되었으나,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용액은 육안상으로도 완전히 용해되지 못하여 불투명한 상태로 현탁시켜 실험예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 7
실험예 1 내지 7을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 에서 제조된 수용액 내지 현탁액을 2주 배양된 Caco-2 Cell의 apical side에 200 ㎕씩 가하고 basolateral side에 HEPES buffer 1,000 ㎕를 넣은 후 배양기 안에서 2시간동안 세포를 배양한다. 2시간 이후 세포 양쪽 각각의 buffer를 회수하여 샘플을 FMOC-Cl로 전처리한 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법으로 약물의 농도를 측정하고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apical side로부터 basolateral side로의 흡수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05005853617-pat00001
Caco-2 cell에 의한 투과도 실험은 당 업계에서 약물의 경구흡수율과 경구를 통한 흡수기전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는 전형적인 실험모델이다. 도 1은 실험예 1내지 7에서 본 발명 조성물의 Caco-2 cell 실험 2시간 후의 비스포스포네이트 흡수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면, 실험예 1 내지 5는 비교예 1을 사용한 실험예 6에 비하여 8 내지 20 배의 놀라운 흡수율 증가를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극성이 높아 경구흡수가 약 1 % 미만에 불과한 활성물질에 대하여 경구흡수율을 획기적으로 상승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 예 2를 사용한 실험예 7의 투과도는 비교예 1과 유사한 투과도를 보여 통상의 키토산은 물에 녹지 않아 약물의 흡수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비해 용해가 쉽고 생체활용성이 높도록 개발된 수용성 고분자키토산(HFP) 및 저분자키토산, 키토산단위체는 알렌드론산나트륨의 세포 투과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경구 투여시 흡수율을 획기적으로 상승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 8
실시예 6 내지 8을 위하여, 활성물질인 알렌드론산나트륨 5.02 g에 대하여 수용성 고분자키토산(HFP?) 2.51 g, 7.53 g 20.08 g을 각각 혼합하고, 여기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중 통상의 붕해제로서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을 중량비로서 5 %를 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것을 압축강타하고 분쇄한 후, 18 mesh체로 정립하여 과립을 형성시켰다. 각각의 과립에 붕해제로서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을 중량비로서 5 %, 활택제로서 글리세릴베헤네이트를 중량비로서 3 %을 가한 후, 총 중량이 70 g이 되도록 미세결정셀룰로오스를 적량 가하여 최종 혼합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최종 혼합물을 타정기를 이용하여 활성성분이 알렌드론산으로서 20 ㎎ 함유되도록 타정하여 각각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9를 위하여, 활성물질인 알렌드론산나트륨 5.02 g에 대하여 수용성 저분자키토산(FACOS?) 20.08 g을 혼합하고, 여기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중 통상의 붕해제로서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을 중량비로서 5 %를 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것을 무수에탄올로 연합하고 건조한 후, 18 mesh체로 정립하여 과립을 형성시켰다. 형성된 과립에 붕해제로서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을 중량비로서 5 %, 활택제로서 글리세릴베헤네이트를 중량비로서 3 %을 가한 후, 총 중량이 70 g이 되도록 미세결정셀룰로오스를 적량 가하여 최종 혼합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최종 혼합물을 타정기를 이용하여 활성성분이 알렌드론산으로서 20 ㎎ 함유되도록 타정하여 각각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0을 위하여, 활성물질인 알렌드론산나트륨 5.02 g에 대하여 키토산단위체인 염산글루코사민 13.3 g을 혼합하고, 여기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중 통상의 붕해제로서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을 중량비로서 5 %를 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것을 물로 연합하고 건조한 후, 18 mesh체로 정립하여 과립을 형성시켰다. 형성된 과립에 붕해제로서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을 중량비로서 5 %, 활택제로서 글리세릴베헤네이트를 중량비로서 3 %을 가한 후, 총 중량이 70 g이 되도록 미세결정셀룰로오스를 적량 가하여 최종 혼합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최종 혼합물을 타정기를 이용하여 활성성분이 알렌드론산으로서 20 ㎎ 함유되도록 타정하여 각각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 13
실시예 11 내지 13를 위하여, 활성물질인 알렌드론산나트륨 5.02 g에 대하여 수용성 고분자키토산 2.51 g, 7.53 g 20.08 g을 각각 혼합하고, 여기에 실시예 6 내지 8과 동일한 방식으로 과립을 제조하고 최종 혼합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최종 혼합물을 캡슐충전기를 이용하여 활성성분이 알렌드론산으로서 20 ㎎ 함유되도록 각각의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4를 위하여, 활성물질인 알렌드론산나트륨 5.02 g에 대하여 저분자 수용성 저분자키토산 20.08 g을 혼합하고, 여기에 실시예 9와 동일한 방식으로 과립을 제조하고 최종 혼합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최종 혼합물을 캡슐충전기를 이용하여 활성성분이 알렌드론산으로서 20 ㎎ 함유되도록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5를 위하여, 활성물질인 알렌드론산나트륨 5.02 g에 대하여 키토산단위체인 염산글루코사민 13.3 g을 혼합하고, 여기에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식으로 과립을 제조하고 최종 혼합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최종 혼합물을 충전기를 이용하여 활성성분이 알렌드론산으로서 20 ㎎ 함유되도록 각각의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6를 위하여, 활성물질로 알렌드론산나트륨 1.0 g에 대하여 수용성 고분자키토산 (HFP?) 4.0 g을 물 200 ㎖에 가하여 육안상으로 투명해질 때까지 교반용해하였다. 제조된 용액에 아세설팜 50 mg과 구연산 20 mg, 오렌지 에센스 적량을 가하여 경구용 액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7를 위하여, 활성물질로 알렌드론산나트륨 1.0 g에 대하여 수용성 저분자키토산 (FACOS?) 4.0 g을 물 200 ㎖에 가하여 육안상으로 투명해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제조된 용액에 아세설팜 50 mg, 구연산 20 mg, 오렌지 에센스 적량을 가하여 경구용 액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 19
실시예 18 내지 19를 위하여, 활성물질인 알렌드론산나트륨 5.02 g과 키토산 20.08 g에 대하여 유기산으로서 글루타민산 10.04 g, 구연산 10.04 g에서 1종을 각각 혼합하고, 여기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중 통상의 붕해제로서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을 중량비로서 5 %를 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것을 무수에탄올로 연합하여 건조하고 압축강타하여 분쇄한 후, 18 mesh체로 정립하여 과립을 형성시켰다. 각각의 과립에 붕해제로서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을 중량비로서 5 %, 활택제로서 글리세릴베헤네이트를 중량비로서 3 %을 가한 후, 총 중량이 70 g이 되도록 미세결정셀룰로오스를 적량 가하여 최종 혼합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최종 과립을 타정기를 이용하여 활성성분이 알렌드론산으로서 20 ㎎ 함유되도록 타정하여 각각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8 - 12
실험예 8 내지 12를 위하여, 37 ℃, 50 rpm의 조건으로 작동되어지는 용출기를 사용하여 실시예 6 내지 10 에서 제조된 정제를 사용하여 아래의 수학식 2에 따라 물에서의 각각의 용출률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05005853617-pat00002
At: 용출시간당 검액의 피크면적
As: 용출시간당 표준액의 피크면적
도 2는 실험예 8 내지 12에서 본 발명 조성물로 제조된 정제의 시간에 따른 용출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면, 실험예 8 내지 12에서 모두 용출 개시 60분 이내에 80 % 이상의 높은 용출률을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의 제제는 물과 함께 경구로 투여 시 1시간 이내에 대부분의 약물이 제제로부터 방출되어 물에 잘 용해되지 않아 약물의 방출을 지연시키는 종래의 키토산과는 달리 약물의 흡수율 향상에 기여할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생체내에서 이온화되고 수용성이 높아 생체지질막을 통과하지 못하고 생물학적이용률이 10 % 미만인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활성물질과 생체적합성 수용성 키토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필수 구성 성분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고용량으로 투여되던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경구흡수를 개선하여 약물의 부작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약물에 대한 환자의 적응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9)

  1.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활성물질과 물에 대한 용해도가 0.1 % w/v 이상인 분자량 10,000 ~ 500,000 범위의 수용성 고분자키토산, 분자량 200 ~ 10,000 범위의 수용성 저분자키토산, 글루코사민 및 그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용성 키토산을 중량비로 25:1 내지 1:25 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경구흡수율을 개선한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과 수용성 키토산이 중량비로 10:1 내지 1:10으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키토산이 물에 대한 용해도가 0.5 % w/v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키토산이, 키토산이 산성물질과 균질하게 배합된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키토산이, 키토산의 단위체인 글루코사민이 산성물질과 이온적 인력에 의하여 배열된 키토산의 산성물질 염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이 알렌드로네이트, 시마드로네이트(인카드로네이트), 에티드로네이트, 틸루드로네이트, 이반드로네이트, 리세드로네이트, 파미드로네이트, 졸레드로네이트, 네리드로네이트, 올파드로네이트(밀드로네이트), 미노드로네이트 및 그의 가능한 염 또는 에스테르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3항 및 제 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이 알렌드론산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3항 및 제 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제형이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시럽제, 액제, 복용시 현탁 또는 유탁, 용해하여 사용되는 동결건조물에서 선택되는 1종 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50008711A 2005-01-31 2005-01-31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경구흡수 개선을 위한약제학적 조성물 KR100815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711A KR100815040B1 (ko) 2005-01-31 2005-01-31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경구흡수 개선을 위한약제학적 조성물
PCT/KR2006/000013 WO2006080780A1 (en) 2005-01-31 2006-01-03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bisphosphonate for improving oral absorption
JP2007553025A JP2008528575A (ja) 2005-01-31 2006-01-03 経口吸収率を向上させるためのビスホスフォネートを含む薬剤学的組成物
US11/883,033 US20080153785A1 (en) 2005-01-31 2006-01-03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Biophosphonate for Improving Oral Absorption
EP06701990A EP1846000A4 (en) 2005-01-31 2006-01-03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BISPHOSPHONATE TO IMPROVE ORAL ABSORP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711A KR100815040B1 (ko) 2005-01-31 2005-01-31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경구흡수 개선을 위한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851A KR20060087851A (ko) 2006-08-03
KR100815040B1 true KR100815040B1 (ko) 2008-03-18

Family

ID=3674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711A KR100815040B1 (ko) 2005-01-31 2005-01-31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경구흡수 개선을 위한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53785A1 (ko)
EP (1) EP1846000A4 (ko)
JP (1) JP2008528575A (ko)
KR (1) KR100815040B1 (ko)
WO (1) WO20060807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1805A1 (en) 2007-11-05 2009-05-14 Scolr Pharma, Inc. Formulations for enhanced bioavailability of orally administered polar agents
KR101631243B1 (ko) * 2009-05-13 2016-06-17 신일제약주식회사 신규한 알렌드로네이트 에멀젼 건조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한 약제학적 조성물
DK2459176T3 (en) 2009-07-31 2017-12-04 Gruenenthal Gmbh Crystallization process and bioavailability
US20160016982A1 (en) 2009-07-31 2016-01-21 Thar Pharmaceuticals, Inc. Crystallization method and bioavailability
US9169279B2 (en) 2009-07-31 2015-10-27 Thar Pharmaceuticals, Inc. Crystallization method and bioavailability
US9340565B2 (en) 2010-11-24 2016-05-17 Thar Pharmaceuticals, Inc. Crystalline forms
US10195218B2 (en) 2016-05-31 2019-02-05 Grunenthal Gmbh Crystallization method and bioavailability
JOP20180128A1 (ar) * 2018-12-24 2020-06-24 Univ Of Petra صيغة دوائية صلبة قابلة للتشتت في الفم
CN112972400A (zh) * 2021-03-09 2021-06-18 华侨大学 可快速崩解的米诺膦酸颗粒及制备方法
CN114621432B (zh) * 2022-03-07 2024-02-13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具有诱导细胞钙化能力的聚氨基酸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389A (ko) * 1999-04-09 2001-11-24 다비드 에 질레스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비스포스포네이트의 흡수를향상시키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약 제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3261A (en) * 1995-02-21 1997-12-02 Albemarle Corporation Preparation of pentafluorophenyl compounds
IL121920A (en) * 1996-02-28 2002-09-12 Nippon Catalytic Chem I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luorophenyl borane derivatives
GB9710699D0 (en) * 1997-05-24 1997-07-16 Danbiosyst Uk Gastro-retentive controlled release system
JPH1129576A (ja) * 1997-07-04 1999-02-02 Nippon Shokubai Co Ltd (フッ化アリール)ホウ素化合物の安定化剤および安定化方法並びに結晶化方法
US7658938B2 (en) * 1999-02-22 2010-02-09 Merrion Reasearch III Limited Solid oral dosage form containing an enhancer
US6309663B1 (en) * 1999-08-17 2001-10-30 Lipocine Inc. Triglyceride-fre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ed absorption of hydrophilic therapeutic agents
GB0310919D0 (en) * 2003-05-13 2003-06-18 West Pharm Serv Drug Res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389A (ko) * 1999-04-09 2001-11-24 다비드 에 질레스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비스포스포네이트의 흡수를향상시키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약 제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104389A
Int. J. Pharm. Vol.261, pp.126-136(20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28575A (ja) 2008-07-31
EP1846000A4 (en) 2008-07-30
WO2006080780A1 (en) 2006-08-03
US20080153785A1 (en) 2008-06-26
KR20060087851A (ko) 2006-08-03
EP1846000A1 (en)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040B1 (ko)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의 경구흡수 개선을 위한약제학적 조성물
JP5788331B2 (ja) 浸食マトリックス中に1またはそれ以上のフマル酸エステルを含む医薬製剤
US7022345B2 (en) Oral soli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with pH-dependent multiphasic release
US20050026871A1 (en) Method of increasing bioavailability of alendronate or other bis-phosphonate by predose administration of vitamin D derivative
AU2117399A (en) Oral liquid compositions
JP2010275319A (ja) キレート剤を含有するビスホスホネートの腸溶性で固形の経口剤形
EP1622601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I88580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tt depotpreparat av ibuprofen
KR102616690B1 (ko) 아연-γ-PGA 조성물 및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US20130085181A1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JP2002532389A (ja) リン脂質組成物
EP1004297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containing a gastroresistant coating based on acrylic polymers
US20070065511A1 (en) Controlled delivery creatine formulation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A2672686A1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US20200254013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lpha-polyglutamic acid-zinc for treating cancer
JP2511577B2 (ja) アルギン酸プロピレングリコ―ルエステルからなる徐放性製剤
US9358205B2 (en) Modified starch derivative-based matrix for colon targeting
KR20090086128A (ko) 메만틴 약학 조성물
EP2809305B1 (en) Bilayer tablet formulations of flurbiprofen and glucosamin
EP1617826B1 (en) The dispersible alendronate microparticle formulation
WO2019098984A1 (en) Synergistic combination of diclofenac, famotidine and a carbonate
KR102239649B1 (ko) 염증성 장 질환의 치료를 위한 티아졸로 피리미딘온의 용도
KR0171413B1 (ko) 젬피브로질 제제
KR20120135754A (ko) 서방성 경구용 액상 제제
Säkkinen Biopharmaceutical evaluation of microcrystalline chitosan as release-rate-controlling hydrophilic polymer in granules for gastro-retentive drug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