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788B1 - 교좌장치 - Google Patents

교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788B1
KR100814788B1 KR1020070086814A KR20070086814A KR100814788B1 KR 100814788 B1 KR100814788 B1 KR 100814788B1 KR 1020070086814 A KR1020070086814 A KR 1020070086814A KR 20070086814 A KR20070086814 A KR 20070086814A KR 100814788 B1 KR100814788 B1 KR 100814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stopper
bridg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경
조윤황
홍종현
Original Assignee
(주)세원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원이엔지 filed Critical (주)세원이엔지
Priority to KR1020070086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01D19/046Spherical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각에서 교량슬래브를 지지하는 교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교각의 상단에 수평 고정되는 하판(52); 상기 하판(52)상에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베어링시트(54a)가 마련된 베이스판(54); 상기 베이스판(54)의 베어링시트(54a)에 삽입되는 반구베어링(BR); 상기 반구베어링(BR)상에 안착되어 반구베어링(BR)의 상부를 지지하고, 상기 교량슬래브에 고정되는 고정판(72)이 상부면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교량슬래브의 신축에 의해 고정판(72)과 함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상판(70); 상기 베이스판(54)의 양측에 동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상판(70)의 양측(좌우측)을 지지하면서 상판(70)의 교직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스토퍼(ST) 및; 상기 스토퍼(ST) 및 상판(70) 사이에 배치되어 상판(70)의 교축방향 유동을 제한하며, 상기 스토퍼(ST)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판(70)과 함께 상기 베이스판(54)상에서 이탈되도록 구성된 유동제한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동제한수단에 의해 상판(70)의 유동이 용이하게 제한된다.
교량, 교각, 좌우, 유동, 제한

Description

교좌장치 { BRIDGE SEAT }
본 발명은 교각에 설치되어 교량슬래브를 지지하는 교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슬래브의 하부에서 온도차나 풍압에 의해 유동하는 교량슬래브를 지지하는 교좌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교량슬래브의 유동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교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각의 상부면에는 교량슬래브를 지지하는 교좌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교좌장치는 교량슬래브가 기온에 따라 신축하거나 풍압에 의해 흔들릴 경우 교량슬래브가 교각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따라서, 교량슬래브는 신축방향이나 풍압방향으로 이동이 안내됨에 따라 변형이나 파손이 방지된다.
이러한 교좌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의 상단에 설치되는 하판(1); 이 하판(1)상에 설치되는 베이스판(2); 이 베이스판(2)의 상부에 삽입되는 반구베어링(3); 이 반구베어링(3)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4); 이 상판(4)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교량슬래브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5); 전술한 베이스판(2)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판(4)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4a)에 삽입되는 스토퍼(6) 및; 이 스토퍼(6)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판(4)의 상부를 구속하는 절곡판(7); 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교좌장치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제20-405259호(명칭: 분리형 하부 플레이트를 갖는 오일레스 베어링)로 실용신안 등록된 종래기술에 의한 교좌장치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안 교좌장치는 미도시된 교량슬래브의 유동시 전술한 상판(4)의 유동을 제한하여 교량슬래브를 교각상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판(4)은 교량슬래브의 유동시 교량슬래브에 고정된 고정판(5)에 의해 유동한다. 이때, 상판(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설치된 반구베어링(3)에 의해 원활하게 유동한다. 하지만, 상판(4)은 확대도 "A"에 도시(평면도)된 바와 같이 걸림홈(4a)에 삽입되어 걸리는 스토퍼(6)에 의해 유동이 제한된다. 즉, 상판(4)은 걸림홈(4a)의 단부가 스토퍼(6)에 걸림에 따라 유동이 제한된다. 물론, 교량슬래브는 상판(4)에 의해 유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교량슬래브는 미도시된 교각에서 낙교되지 않고 교각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여기서, 전술한 걸림홈(4a)은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6)의 폭(W) 보다 길이(l)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홈(4a)의 길이(l)는 스토퍼(6)의 폭(W) 보다 약 100mm 정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판(4)은 걸림홈(4a)의 길이(l) 만큼 베이스판(2)상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즉, 상판(4)은 전술한 길이(l) 만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물론, 상판(4)은 걸림홈(4a)의 단부가 스토퍼(6)에 걸림에 따라 슬라이딩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판(4)은 걸림홈(4a)이 전술한 바와 같이 크게 형성될 경우, 교축 방향(교량슬래브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교량슬래브의 길이방향 이동을 가능케 한다. 즉, 교량슬래브는 상판(4)이 교축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다.
한편, 상판(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스토퍼(6)에 지지되므로 교직방향(교량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즉, 상판(4)은 걸림홈(4a)이 크게 형성됨에 따라 교축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지만, 양측이 스토퍼(6)에 걸리게 되므로 교직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상판(4)은 걸림홈(4a)의 크기가 스토퍼(6) 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교축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고 교직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다.
이와 달리, 전술한 걸림홈(4a)은 길이(l)가 스토퍼(6)의 폭(W)과 대동소이한 크기로 약간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걸림홈(4a)의 길이(l)는 스토퍼(6)의 폭(W) 보다 약 4mm 정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판(4)은 사실상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지 못한다. 즉, 상판(4)은 걸림홈(4a)의 단부가 스토퍼(6)에 걸림에 따라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지 못한다. 물론, 교량슬래브는 상판(4)이 슬라이딩하지 못하므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판(4)은 양측이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6)에 지지되므로 교직방향으로도 슬라이딩하지 못한다. 즉, 상판(4)은 스토퍼(6)에 걸려서 교직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한다. 물론, 교량슬래브는 상판(4)에 의해 교직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결론적으로, 상판(4)은 걸림홈(4a)이 전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6)와 대동소 이한 크기로 형성될 경우, 교축 및 교직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스토퍼(6)는 상판(4)이 교직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할 경우, 확대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에서 가해지는 수평력(H)을 지지한다. 이때, 수평력(H)은 스토퍼(6)를 베이스판(2)에 고정하는 볼트(B)에 집중된다. 즉, 볼트(B)는 수평력(H)에 의해 스토퍼(6)가 베이스판(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스토퍼(6)는 볼트(B)에 의해 수평력(H)에 대항하면서 상판(4)의 양측을 지지한다.
또 한편, 전술한 절곡판(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6)에 볼트(B)로 볼팅된 상태로 상판(4)의 상부를 단속한다. 즉, 절곡판(7)은 상판(4)이 교량슬래브의 부반력에 의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부반력은 절곡판(7)에 체결된 볼트(B)를 통해 스토퍼(6)에 전가된다. 즉, 스토퍼(6)는 절곡판(7)이 고정됨에 따라 수평력(H) 및 부반력이 전가된다. 따라서, 교량슬래브는 교직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교각에서 부상하지 않는다.
다른 한편, 종래기술에 의한 교좌장치는 스토퍼(6) 및 절곡판(7)을 하나로 형성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이드블럭(9)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사이드블럭(9)은 전술한 스토퍼(6) 및 절곡판(7)의 기능을 동시에 충족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교좌장치는 전술한 등록 실용신안에 개시된 교좌장치이다.
이러한 도 2의 교좌장치는 사이드블럭(9)이 전술한 스토퍼(6) 및 절곡판(7)으로 분리되지 않고,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됨에 따라 도 1의 교좌 장치 보다 작은 수량의 볼트(B)로 베이스판(2)에 고정된다. 즉, 도 2의 교좌장치는 볼트(B)의 수량을 절감할 수 있다. 물론, 도 2의 교좌장치는 볼트(B)의 수량이 절감됨에 따라 조립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교좌장치는, 스토퍼(6)나 사이드블럭(9)에 전이되는 수평력(H) 및 부반력이 베이스판(2)에 체결된 볼트(B)로 집중되므로, 수백톤에 달하는 수평력(H) 및 부반력을 볼트(B)가 사실상 견디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기술의 교좌장치는 스토퍼(6)나 사이드블럭(9)에 수평력(H) 및 부반력이 모두 전이되므로, 볼트(B)가 변형되거나 절단되면서 스토퍼(6)또는 사이드블럭(9)이 도 1의 확대도 "B"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2)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이때, 볼트(B)는 부반력 보다 몇 배 내지 몇 십배나 큰 수평력(H)에 의해 일순간에 변형되거나 절단될 수 있다. 특히, 볼트(B)는 도 1의 확대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력(H)이 가해지는 상판(4)의 양측단 수평 센터선(C)과 거리(DT)가 이격됨에 따라, "모멘트=힘x거리"에 의한 공식에 의해 가중되는 수평력(H)으로 인해 보다 빨리 변형되거나 절단되는 문제도 있다. 즉, 볼트(B)는 센터선(C)과의 이격 거리(DT)만큼 배가되는 수평력(H)에 의해 보다 쉽게 변형되거나 절단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한 교좌장치는 볼트(B)의 파손에 의해 기능이 상실된다. 물론, 교량슬래브는 교좌장치의 기능상실에 의해 교각에서 낙교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절곡판(7)을 스토퍼(6)에 결합하는 볼트(B)는 부반력이 크지 않으므로 스토퍼(6)를 고정하는 볼트(B)와 달리 파손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교좌장치의 경우, 스토퍼(6) 및 절곡판(7)이 도시된 바와 같이 제각기 구성되므로, 스토퍼(6) 및 절곡판(7)을 체결하기 위한 볼트(B)의 수량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스토퍼(6) 및 절곡판(7)을 제각기 제조하여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도 있다. 아울러, 교좌장치의 보수를 위하여 상판(4)을 베이스판(2)에서 분리할 경우, 스토퍼(6) 및 절곡판(7)을 베이스판(2)에서 한꺼번에 제거하여야 하므로 보수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도 있다. 특히, 스토퍼(6)에 절곡판(7)이 부착된 상태로 제거되므로 스토퍼(6)가 매우 무겁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달리,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교좌장치는 사이드블럭(9) 도 1 보다는 볼트(B)의 수량을 절감할 수 있지만, 사이드블럭(9)이 스토퍼(6) 및 절곡판(7)이 합쳐진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사이드블럭(9)의 무게로 인하여 보수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결론적으로, 종래기술에 의한 교좌장치는 수평력(H)을 지지할 수 없고, 제조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보수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상판에서 가해지는 수평력을 스토퍼를 통해 베이스판으로 전달하여, 실질적으로 베이스판이 자체강성을 통해 수평력에 대응하는 구조의 교좌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스토퍼 및 상판 사이에서 상판의 일부분이 걸리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판의 교축방향 유동을 제한하고, 스토퍼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판과 함께 베이스판상에서 이탈되는 메커니즘이 마련된 교좌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특히, 상판을 수평상태로 베이스판상에서 슬라이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교량슬래브를 쟈키로 아주 미세하게 상승시켜도 상판을 제거할 수 있는 교좌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더 나아가, 상판의 부반력을 억제하는 부재가 실질적으로 상판과 일체를 이루면서 상판과 함께 제거될 수 있는 구조의 교좌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교좌장치는, 교각에 설치되어 교량슬래브를 지지하는 교좌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각의 상단에 수평 고정되는 하판; 상기 하판상에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상부면에 반구형의 베어링 시트가 마련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베어링시트에 삽입되는 반구형의 반구베어링; 상기 반구베어링상에 안착되어 하부면을 통해 반구베어링의 상부를 지지하고, 상기 교량슬래브에 고정되는 고정판이 상부면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교량슬래브의 신축에 의해 고정판과 함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상판;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에 동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상판의 양측(좌우측)을 지지하면서 상기 상판이 교직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상판의 일부분이 걸리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및 상판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판의 교축방향 유동을 제한하며, 상기 스토퍼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판과 함께 상기 베이스판상에서 이탈되도록 구성된 유동제한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판의 외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되면서 두께가 확장되어, 두께확장에 의해 보강되는 자체강성을 통해 상기 상판의 교직방향 유동에 의한 수평력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동제한수단은 예컨대, 상기 상판의 양측면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이 걸림홈의 길이 보다 짧은 폭으로 형성되어 걸림홈에 삽입되는 판상의 사이드윙을 상기 스토퍼의 내측면에 볼트로 볼팅고정하여, 상기 스토퍼와 분리가능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상판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볼트는, 상기 상판의 양측단 센터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사이드윙을 볼팅하여, 상기 사이드윙을 통해 상기 상판의 양측단으로 체결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사이드윙의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상기 상판에 마찰시 켜서 사이드윙의 마모면적을 감소시키는 마모감소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상기 마모감소수단은 예컨대, 상기 상판의 측면을 향해 상기 사이드윙에서 돌출되는 돌기 및; 상기 상판의 양측단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형태의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판의 하부면이 상기 반구베어링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상판의 하부면을 보호하는 마모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도 있다.
이러한 상기 마모방지부재는 예컨대, 상기 상판의 하부면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상판 및 상기 반구베어링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상판과 함께 이동하는 슬라이딩 박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교좌장치는, 스토퍼가 성형에 의해 베이스판에 동일체로 형성되므로, 상판에서 가해지는 수평력을 베이스판에 분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판의 양측단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스토퍼의 일부분이 돌출되면서 두께가 확장되므로 수평력에 대항하는 스토퍼의 자체강성이 보강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사이드윙만 볼트로 고정되므로 볼트가 과도하게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사이드윙이 걸림홈에 걸리므로 상판의 유동을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판의 제거시 사이드윙이 볼트의 해제에 의해 스토퍼에서 분리되면서 상판과 함께 제거되는 효과도 있다.
특히, 무게가 가벼운 사이드윙만이 분리상태로 제거되므로 상판의 제거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판이 미도시된 교량슬래브가 약 5mm 정도만 들어올려져도 수평상태로 제거되므로 매우 용이하게 교좌장치를 보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볼트가 상판의 센터선과 일직선을 이루면서 체결되므로, 볼트의 체결력이 상판의 측방으로 전달되는 효과도 있다.
이에 더하여, 슬라이딩 박판이 상판의 하부면을 보호하므로 상판의 하부면이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 나아가, 사이드윙 및 상판에 돌기 및 레일을 형성할 경우 사이드윙이 마모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교좌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좌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좌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교좌장치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교좌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좌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52); 베이스판(54); 반구베어링(BR); 상판(70); 스토퍼(ST) 및; 유동제한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하판(52)은 도시된 바와 같은 평판이며, 미도시된 교각의 상단에 수평 고정된다. 이러한 하판(52)은 도시된 바와 같은 앵커볼트(52a)가 하부면에 부착된다. 즉, 하판(52)은 앵커볼트(52a)에 의해 교각의 상단에 견고히 고정된다.
다음, 전술한 베이스판(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52)상에 안착되어 볼팅에 의해 하판(52)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베이스판(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의 중앙에 반구형의 베어링시트(54a)가 마련된다.
그 다음, 전술한 반구베어링(BR)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고력황동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반구베어링(BR)은 예컨대, 표면이 흑연과 같은 고체윤활제로 코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구베어링(BR)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54)의 베어링시트(54a)에 삽입된다.
계속해서, 전술한 상판(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베어링(BR)상에 안착되어 하부면을 통해 반구베어링(BR)의 상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상판(70)은 미도시된 교량슬래브에 고정되는 고정판(72)이 상부면에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고정판(7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볼팅에 의해 상판(7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용접으로 상판(7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판(70)은 교량슬래브가 기온차에 의해 신축할 경우 교량슬래브의 신축에 의해 고정판(72)과 함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이어서, 전술한 스토퍼(ST)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54)의 성형시 베이스판(54)의 양측에 동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토퍼(ST)는 베이스판(54)과 동일체를 이룬다. 이러한 스토퍼(ST)는 베이스판(54)의 양측에 형성됨에 따라 상판(70)의 양측단(좌우단)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판(70)은 교직방향, 즉 교량슬래브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유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스토퍼(ST)는 도면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52)의 외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되면서 두께(T)가 확장되어, 두께확장에 의해 보강되는 자체강성을 통해 상판(70)의 교직방향 유동에 의한 수평력(H)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토퍼(ST)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52)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길이(LT) 만큼 두께(T)가 두꺼워지므로, 두께(T)에 의해 자체강성이 보강된다. 따라서, 스토퍼(ST)는 상판(70)에서 가해지는 수평력(H)을 보강된 강성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지지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유동제한수단은 상판(70)의 일부분이 걸리는 구조로 형성되어, 스토퍼(ST) 및 상판(70)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판(70)의 교축방향 유동(교량슬래브의 길이방향)을 제한한다. 또한, 유동제한수단은 스토퍼(ST)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판(70)과 함께 베이스판(54)상에서 이탈되도록 구성된다. 즉, 유동제한수단은 스토퍼(ST) 및 상판(70) 사이에서 상판(70)의 교축방향 유동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 상판(70)과 함께 제거된다.
이러한 유동제한수단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70)의 양측면에 걸림홈(82)을 형성하고, 이 걸림홈(82)에 삽입되어 걸리는 판상의 사이드윙(84)을 스토퍼(ST)의 내측면에 볼트(B)로 볼팅고정하여, 스토퍼(ST)와 분리가능한 상태를 이루면서 상판(70)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판(70)은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홈(82)이 사이드윙(84)에 걸림에 따라 교축방향의 유동이 제한된다.
여기서, 전술한 걸림홈(82)은 상판(70)이 교축방향으로 약간 이동할 수 있도록 스토퍼(ST)의 폭(W) 보다 길이(L)를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판(70)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스토퍼(ST)의 폭(W)과 대동소이한 길이(L)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판(70)은 걸림홈(82)의 길이(L)가 스토퍼(ST)의 폭(W) 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걸림홈(82)의 길이(L) 만큼 슬라이딩하면서 수평이동할 수 있고, 걸림홈(82)의 길이(L)가 스토퍼(ST)의 폭(W)과 대동소이하게 형성될 경우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다.
그리고, 전술한 사이드윙(84)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ST)와 평행을 이루면서 걸림홈(82)에 삽입되어 걸리는 수직판(84a); 이 수직판(84a)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판(70)의 상부를 구속하는 직각판(84b);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이드윙(84)은 수직판(84a)으로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직판(84a) 및 직각판(84b)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좌장치는 상판(70)의 하부면이 반구베어링(BR)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판(70)의 하부면을 보호하는 마모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마모방지부재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70)의 하부면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상판(70) 및 반구베어링(BR)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판(70)과 함께 이동하는 슬라이딩 박판(74);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박판(74)은 전술한 반구베어링(BR) 보다 경질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팅으로 상판(70)의 하부면에 고정할 수 있으나, 이보다 는 용접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도면상 미설명부호 R은 전술한 반구베어링(BR)의 상단 외주면에 끼워지는 패킹링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상판(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제한수단의 사이드윙(84)에 의해 베이스판(54)상에 견고히 안착된다. 이에 따라, 반구베어링(BR)은 상판(70)에 의해 사실상 은폐된다. 이때, 사이드윙(8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84a) 및 직각판(84b)으로 구성될 경우, 수직판(84a)이 걸림홈(82)에 삽입되어 걸리고, 직각판(84b)이 상판(70)의 상부를 구속한다.
이러한 사이드윙(8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에 의해 스토퍼(ST)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즉, 볼트(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윙(84)을 스토퍼(ST)에 분리가능하게 일체적으로 고정한다. 따라서, 사이드윙(84)은 스토퍼(ST)를 통해 실질적으로 베이스판(54)과 동일체를 이룬다.
도 5를 참조하면, 반구베어링(BR)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54)의 베어링시트(54a)에 삽입되어 베어링시트(54a)와 정합된다. 이러한 반구베어링(BR)은 전술한 걸림홈(82)의 길이(L)가 스토퍼(ST)의 폭(W) 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상판(70)이 걸림홈(82)의 길이(L)만큼 슬라이딩하면서 수평이동하도록, 베어링시트(54a)상을 미세하게 슬라이딩한다. 즉, 반구베어링(BR)은 미도시된 교량슬래브의 신축에 의해 상판(70)이 수평이동할 경우 베어링시트(54a)상을 미세하게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상판(70)은 교량슬래브의 신축시 수평이동하면서 교량슬래브를 안내한다.
이때, 상판(70)의 하부면에 부착된 슬라이딩 박판(74)은 반구베어링(BR)의 상부면 및 상판(70)의 하부면이 직접적으로 마찰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판(70)은 원활하게 슬라이딩한다.
여기서, 전술한 상판(70)은 교량슬래브가 신축이나 풍하중에 의해 교직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교량슬래브와 함께 이동한다. 이때, 스토퍼(ST)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70)의 양측단을 지지하면서 상판(70)이 교직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상판(70)은 교직방향으로 유동할 수 없다.
이러한 스토퍼(ST)는 도면상의 확대도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70)의 양측단에서 가해지는 수평력(H)을 베이스판(52)으로 전달하면서 수평력(H)에 대항한다. 이때, 수평력(H)은 스토퍼(ST)에 전체적으로 전달되면서 베이스판(52)으로 전이된다. 즉, 수평력(H)은 스토퍼(ST)의 전체면적에 골고루 분산되면서 베이스판(52)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스토퍼(ST)는 수평력(H)에 강직하게 대응한다.
특히, 스토퍼(ST)는 일부분이 베이스판(52)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두께(T)가 확장됨에 따라 아주 견고하게 상판(70)의 양측단을 지지한다. 즉, 스토퍼(ST)는 두께(T)에 의해 보강된 자체강성에 의해 상판(7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한다.
한편, 전술한 볼트(B)는 사이드윙(84)을 통해 상판(70)의 양측단으로 체결력이 전달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70)의 양측단 센터선(C)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서 사이드윙(84)을 볼팅한다. 즉, 볼트(B)는 상판(70)의 센터선(C)과 측방으로 일직선을 이루면서 체결된다. 이에 따라, 볼트(B)는 사이드윙(84)을 통해 상판(70)의 양측단으로 체결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상판(70)의 양측은 사이드윙(84)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된다.
또 한편, 전술한 사이드윙(84)은 직각판(84b)을 통해 상판(70)의 부반력을 억제한다. 즉, 상판(70)은 측단부가 직각판(84b)에 걸리므로 부반력의 작용시 부상하지 않는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좌장치는, 사이드윙(84)의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상판(70)에 마찰시켜서 사이드윙(84)의 마모면적을 감소시키는 마모감소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전술한 마모감소수단은 예컨대, 도면상의 확대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70)의 측면을 향해 사이드윙(84)에서 돌출되는 돌기(84a) 및; 상판(70)의 양측단 상부에 형성되어 돌기(84a)가 삽입되는 홈형태의 레일(70a);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마모감소수단은 상판(70)이 슬라이딩하면서 수평이동할 경우 레일(70a)이 돌기(84a)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사이드윙(84)은 돌기(84a)만이 상판(70)과 마찰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판(70)은 미도시된 교량슬래브가 쟈키(jack: 미도시)에 의해 교각에서 부상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54)에서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판(70)은 볼트(B)가 스토퍼(ST)에서 우선적으로 제거되어야 분리가 가능하다. 즉, 상판(70)은 사이드윙(84)이 볼팅에서 해제되어야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상판(70)은 볼트(B)의 제거에 의해 사이드윙(84)이 스토퍼(ST)와 분 리될 경우, 사이드윙(84)과 함께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베이스판(54)에서 이탈된다. 이때, 사이드윙(84)은 상단의 직각판(84a)이 상판(70)의 측단 상부에 걸림에 따라 상판(70)과 함께 이탈된다. 즉, 사이드윙(84)은 직각판(84a)이 상판(70)의 상부에 걸린상태로 상판(70)과 함께 이탈된다. 따라서, 상판(70) 및 사이드윙(84)은 실질적으로 일체를 이루면서 용이하게 이탈된다. 즉, 상판(70) 및 사이드윙(84)은 한꺼번에 이탈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교좌장치는 스토퍼(ST)가 성형에 의해 베이스판(52)에 동일체로 형성되므로, 상판(70)에서 가해지는 수평력(H)을 베이스판(52)에 분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판(70)의 양측단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 스토퍼(ST)의 일부분이 돌출되면서 두께(T)가 확장되므로 수평력(H)에 대항하는 스토퍼(ST)의 자체강성이 보강된다.
또한, 사이드윙(84)만 볼트(B)로 고정되므로 볼트(B)가 과도하게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아울러, 사이드윙(84)이 걸림홈(82)에 걸리므로 상판(70)의 유동을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판(70)의 제거시 사이드윙(84)이 볼트(B)의 해제에 의해 스토퍼(ST)에서 분리되면서 상판(70)과 함께 제거된다.
특히, 무게가 가벼운 사이드윙(84)만이 분리상태로 제거되므로 상판(70)의 제거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판(70)이 미도시된 교량슬래브가 약 5mm 정도 만 들어올려져도 수평상태로 제거되므로 매우 용이하게 교좌장치를 보수할 수 있다.
게다가, 볼트(B)가 상판(70)의 센터선(C)과 일직선을 이루면서 체결되므로, 볼트(B)의 체결력이 상판(70)의 측방으로 전달된다.
이에 더하여, 슬라이딩 박판(74)이 상판(70)의 하부면을 보호하므로 상판(70)의 하부면이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이드윙(84) 및 상판(70)에 돌기(84c) 및 레일(70a)을 형성할 경우 사이드윙(84)이 마모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교좌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과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교좌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좌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좌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교좌장치의 A-A'선 단면도;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교좌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 설명>
52 : 하판
54 : 베이스판
70 : 상판
72 : 고정판
74 : 슬라이딩 박판
82: 걸림홈
84 : 사이드윙
B : 볼트
C : 센터선
BR : 반구베어링
ST : 스토퍼

Claims (6)

  1. 교각에 설치되어 교량슬래브를 지지하는 교좌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각의 상단에 수평 고정되는 하판(52);
    상기 하판(52)상에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상부면에 반구형의 베어링시트(54a)가 마련된 베이스판(54);
    상기 베이스판(54)의 베어링시트(54a)에 삽입되는 반구형의 반구베어링(BR);
    상기 반구베어링(BR)상에 안착되어 하부면을 통해 반구베어링(BR)의 상부를 지지하고, 상기 교량슬래브에 고정되는 고정판(72)이 상부면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교량슬래브와 일체를 이루는 상판(70);
    상기 베이스판(54)의 양측에 동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상판(70)의 양측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상판(70)이 교직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하는 스토퍼(ST); 및
    상기 상판(70)의 일부분이 걸리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ST) 및 상판(70)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판(70)의 교축방향 유동을 제한하며, 상기 스토퍼(ST)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판(70)과 함께 상기 베이스판(54)상에서 이탈되도록 구성된 유동제한수단;을 포함하는 교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ST)는,
    상기 베이스판(52)의 외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되면서 두께(T)가 확장되어, 두께확장에 의해 보강되는 자체강성을 통해 상기 상판(70)의 교직방향 유동에 의한 수평력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한수단은,
    상기 상판(70)의 양측면에 걸림홈(82)을 형성하고, 이 걸림홈(82)에 삽입되어 걸리는 판상의 사이드윙(84)을 상기 스토퍼(ST)의 내측면에 볼트(B)로 볼팅고정하여, 상기 스토퍼(ST)와 분리가능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상판(70)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B)는,
    상기 상판(70)의 양측단 센터선(C)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사이드윙(84)을 볼팅하여, 상기 사이드윙(84)을 통해 상기 상판(70)의 양측단으로 체결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윙(84)의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상기 상판(70)에 마찰시켜서 사이드윙(84)의 마모면적을 감소시키는 마모감소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모감소수단은,
    상기 상판(70)의 측면을 향해 상기 사이드윙(84)에서 돌출되는 돌기(84c); 및
    상기 상판(70)의 양측단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84c)가 삽입되는 홈형태의 레일(70a);을 포함하는 교좌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판(70)의 하부면이 상기 반구베어링(BR)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상판(70)의 하부면을 보호하는 마모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모방지부재는,
    상기 상판(70)의 하부면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상판(70) 및 상기 반구베어링(BR)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상판(70)과 함께 이동하는 슬라이딩 박판(7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
KR1020070086814A 2007-08-29 2007-08-29 교좌장치 KR100814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814A KR100814788B1 (ko) 2007-08-29 2007-08-29 교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814A KR100814788B1 (ko) 2007-08-29 2007-08-29 교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788B1 true KR100814788B1 (ko) 2008-03-18

Family

ID=3941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814A KR100814788B1 (ko) 2007-08-29 2007-08-29 교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78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090B1 (ko) 2008-12-19 2009-09-22 유니슨이앤씨(주) 광대변위 흡수용 미끄럼 받침
KR100942991B1 (ko) * 2008-06-13 2010-02-1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축 및 전단하중계측이 가능한 스페리칼 교좌장치
CN104452579A (zh) * 2014-10-11 2015-03-25 洛阳双瑞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限位装置易更换的双曲面球型减隔震支座
CN106120547A (zh) * 2016-08-24 2016-11-16 洛阳双瑞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竖向测力型双曲面球型减隔震支座
CN106906738A (zh) * 2017-04-20 2017-06-30 温州市龙湾区市政工程公司 一种盆式支座及其更换方法
CN110668034A (zh) * 2019-10-28 2020-01-10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多自由度补偿可抗大剪切力的大型真空容器支撑装置
CN111364349A (zh) * 2020-03-20 2020-07-03 安徽全一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高速铁路桥桥墩墩顶吊围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011A (ko) * 2001-09-14 2003-03-26 광원산업(주) 교좌장치
KR200398507Y1 (ko) * 2005-07-27 2005-10-12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KR200398506Y1 (ko) * 2005-07-27 2005-10-12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KR100643015B1 (ko) * 2006-04-24 2006-11-10 매크로드 주식회사 유지 보수 가능한 스페리칼형의 교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011A (ko) * 2001-09-14 2003-03-26 광원산업(주) 교좌장치
KR200398507Y1 (ko) * 2005-07-27 2005-10-12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KR200398506Y1 (ko) * 2005-07-27 2005-10-12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KR100643015B1 (ko) * 2006-04-24 2006-11-10 매크로드 주식회사 유지 보수 가능한 스페리칼형의 교좌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991B1 (ko) * 2008-06-13 2010-02-1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축 및 전단하중계측이 가능한 스페리칼 교좌장치
KR100918090B1 (ko) 2008-12-19 2009-09-22 유니슨이앤씨(주) 광대변위 흡수용 미끄럼 받침
CN104452579A (zh) * 2014-10-11 2015-03-25 洛阳双瑞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限位装置易更换的双曲面球型减隔震支座
CN106120547A (zh) * 2016-08-24 2016-11-16 洛阳双瑞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竖向测力型双曲面球型减隔震支座
CN106120547B (zh) * 2016-08-24 2018-05-01 洛阳双瑞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竖向测力型双曲面球型减隔震支座
CN106906738A (zh) * 2017-04-20 2017-06-30 温州市龙湾区市政工程公司 一种盆式支座及其更换方法
CN106906738B (zh) * 2017-04-20 2018-12-28 温州市龙湾区市政工程公司 一种盆式支座及其更换方法
CN110668034A (zh) * 2019-10-28 2020-01-10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多自由度补偿可抗大剪切力的大型真空容器支撑装置
CN110668034B (zh) * 2019-10-28 2024-06-11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多自由度补偿可抗大剪切力的大型真空容器支撑装置
CN111364349A (zh) * 2020-03-20 2020-07-03 安徽全一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高速铁路桥桥墩墩顶吊围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788B1 (ko) 교좌장치
KR101659250B1 (ko) 상부신축이동이 가능한 안전지지볼트가 결합된 교량상판 인상장치
KR100726164B1 (ko) 부반력저항탄성재를 갖는 교좌장치
US20080000346A1 (en) Safety Device
US20170264089A1 (en) Apparatus for relieving tension of electric cable
KR20090085408A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교량받침
RU2003116537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нения подвески грузового крана
KR101003775B1 (ko) 교좌 장치
JP2006265935A (ja) 落橋防止装置
KR101913302B1 (ko) 부반력 저항 스페리컬 받침
KR100820001B1 (ko) 댐퍼부재를 갖는 교좌장치
KR101093573B1 (ko) 유지 보수형 스페리컬 교좌장치
KR20100004262U (ko) 분리형 교좌장치
KR101163149B1 (ko) 내진교좌장치
KR102096624B1 (ko) 연결대상물의 위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핑거조인트
KR100949292B1 (ko) 온도신축의 영향을 받지않는 가설교량의 지점부 시공방법
JP6359136B2 (ja) 移動制限装置
KR20120048082A (ko) 부반력 제어 기능을 갖는 교량용 받침장치
KR100783259B1 (ko) 부반력저항탄성재를 갖는 교좌장치
CN102187102B (zh) 两个致动器的安全连接装置
KR100950257B1 (ko) 수평방향 및 회전방향의 복합 거동을 수용할 수 있는 복합 탄성 받침
JP2009286622A (ja) ベルトコンベヤのガーダ支持構造
US20160288881A1 (en) Device for Transferring Persons
JP2006312841A (ja) 構造物移動制限用ストッパ装置
KR101949142B1 (ko)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스페리컬 베어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