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283B1 - 경운장치 - Google Patents

경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283B1
KR100814283B1 KR1020060122313A KR20060122313A KR100814283B1 KR 100814283 B1 KR100814283 B1 KR 100814283B1 KR 1020060122313 A KR1020060122313 A KR 1020060122313A KR 20060122313 A KR20060122313 A KR 20060122313A KR 100814283 B1 KR100814283 B1 KR 100814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tilling
tillage
blade tip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원기
Original Assignee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2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10Structur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tools ; Theoretical aspects of the cutting action
    • A01B33/103Structur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tools ; Theoretical aspects of the cutting action the rotating shaft being oriented horizontal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종래의 직선날이나 손도끼날을 사용하여 토양이 단단한 포장에 있어서 경운작업을 할 때, 배토 등의 작업에 여분의 수고와 노력이 필요했었다.
경운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부착하는 부착기부(5)의 회전방향 앞쪽의 측변을, 앞쪽 끝부분을 회전방향 앞쪽을 향해 활모양으로 구부려 형성하고, 이 측변을 따라 용접하는 경운날(2)의 용접기부(3)을 부착기부(5)에 대해 그 판면이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구성하고, 그리고 용접기부(3)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경운날(2)의 날끝부(4)를 초승달형상으로 날끝(6)에 가까울수록 폭을 좁게, 날끝(6)을 바깥쪽을 향해 활모양으로 구부려 형성하였다.
경운장치, 배토, 부착기부, 용접기부, 날끝부, 날끝

Description

경운장치{blade apparatus of cultivator}
도 1은 본 발명의 경운장치의 용접기부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경운장치의 용접기부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경운장치의 부착기부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경운장치의 부착기부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경운장치를 부착한 경운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경운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의 부착기부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경운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의 부착기부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경운장치에 배토부를 추가한 경우의 상단부 판면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경운장치에 배토부를 추가한 경우의 상단부 전방측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경운장치에 배토부를 추가한 경우의 상단부 후방측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경운(耕耘)장치 2 경운날(耕耘爪)
3 용접기부(溶接基部) 4 날끝부(刃先部)
5 부착기부(取付基部) 6 날끝(刃先)
7 뾰족한 끝(切先) 8 부착구멍(取付孔)
9 배토부
본 발명은 경운축(耕耘軸)에 장착하여, 밭 등의 포장(圃場)을 경운할 때에 사용하는 경운(耕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경운작업에 사용되는 날(爪)로서는 직선날이나 손도끼날 등이 알려져 있어, 경운작업에는 이들 날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직선날은 경운하는 포장의 토양이 단단한 경우에도 적은 마력으로 포장을 경운할 수 있고, 경운된 흙은 앞쪽이나 위쪽으로 비산된다. 한편, 손도끼날은 경운된 흙을 옆쪽으로 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토(培土)등의 작업에는 적합하지만, 포장의 토양이 단단한 경우에는 흙을 경운하는데 직선날에 비해 높은 마력을 필요로 하여, 경운기의 고마력화의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다.
경운기의 기체 중앙에 앞뒤방향에 따라 부착축(取付軸)을 설치하고, 이 축의 좌우 양쪽에 경운 커버를 부착하여, 토양이 단단한 포장에 있어서 배토 등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 경운 커버를 위쪽으로 회동(回動)하여 좌우를 열고, 직선날로 경운하여 위쪽으로 비산시킨 흙을 경운 커버에 부딪히게 함으로써, 경운기의 옆쪽으로 흙을 모으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옆쪽으로 흙을 비산시키기 위해서는 경운 커버를 크게 회동시켜서 열어야만 하기 때문에 배토 거리의 조절이 어려울 뿐 아니라, 흙이 광범위하게 비산되어 버려, 배토 효율이 나쁘다. 또한, 경운 커버의 열림을 작게 하면, 위쪽으로 비산된 흙이 커버에 부딪혀서 그대로 낙하되어 버려, 기체에 가까운 장소에는 흙을 모을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토양이 단단한 포장에 있어서 배토를 행하는 경우에, 직선날로 경운한 후, 손도끼날로 배토를 행하는 등, 여분의 수고와 노력이 필요했었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토양이 단단한 포장에 있어서의 배토 등의 작업에 여분의 수고와 노력이 필요했던 점이다.
본 발명은 경운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부착하는 부착기부(取付基部)의 회전방향 앞쪽의 측변(側邊)의 날끝부(刃先部)를 회전방향 앞쪽을 향해 활모양으로 구부려 형성하고, 이 측변을 따라 용접하는 경운날의 용접기부(溶接基部)의 판면(板面)이 경운축과 직교하는 면에 대해 교차하도록 구성하고, 그리고 용접기부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경운날의 날끝부를 초승달형상으로 날끝에 가까울수록 폭을 좁게, 날끝을 바깥쪽을 향해 활모양으로 구부려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경운날의 후방측면에는 라운드지게 돌출된 배토부가 형성됨이 바람 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경운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부착하는 부착기부와, 상기 부착기부에 연속적으로 일체 형성되는 경운날로 되고, 경운날의 판면이, 경운축과 직교하는 면에 대해 직교하도록 구성하며, 경운날의 양쪽면을 폭방향의 한쪽으로 활모양으로 구부려 날끝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날끝부를 초승달형상으로 날끝에 가까울수록 폭을 좁게, 바깥쪽을 향해 활모양으로 구부려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경운날은 일측으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꼬인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경운날의 후방측면에는 라운드지게 돌출된 배토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경운장치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운장치의 용접기부를 판면쪽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경운장치의 용접기부를 측변쪽에서 본 도면으로, 도 1의 좌측면도이다.
경운기에 장착되는 경운장치(1)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용접기부(3)와, 이 용접기부(3)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양쪽변이 폭방향의 한쪽으로 활모양으로 구부러진 날끝부(4)를 구비하고, 날끝부(4)의 끝 가장자리를 용접기부(3)의 끝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형성하여 이 날끝부(4)의 끝 가장자리에 날끝(6)을 설치하고, 용접기부(3)와 날끝부(4)로 구성되는 경운날(2)을 형성하여, 경운축에 장착하는 긴 판형상의 부착기부(5) 측변을 경운날(2)의 판면에 비스듬히 교차하여 부착해서 구성된다.
부착기부(5)는 도시하지 않는 경운축에 설치되는 날 홀더에 장착하여 볼트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부착구멍(8)(取付孔)을 구비하고 있고, 부착기부(5)의 판면이 경운축에 직교하는 면과 평행하게 날 홀더에 부착된다.
도 3 및 도 4는 경운장치(1)의 부착기부(5)를 측변 또는 판면의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 이것은 경운장치(1)를 경운축에 부착했을 때, 경운기의 기체 정면 또는 기체 측면으로부터 경운장치(1)를 본 경우에 상당한다. 즉, 도 3에 있어서 좌우방향이 경운축을 향하고 있고, 도 4에 있어서는 지면(紙面)에 수직방향이 경운축을 향하게 된다. 또한, 도 5는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운장치(1)를 날 홀더에 장착했을 때, 용접기부(3)의 판면은 경운축과 직교하는 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동시에, 날끝부(4)의 끝 가장자리에 형성한 날끝(6)의 뾰족한 끝(7)이 경운축의 회전방향 가장 앞쪽 끝에 위치하도록 부착기부(5)의 측변에 대해 용접기부(3)을 비스듬히 부착하여 용접 등에 의해 고착(固着)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경운장치를 부착한 경운기의 측면도이다. 물론 상기 경운장치는 경운기에 장착되는 것만을 한정하지는 않으며, 경운을 위한 일반적인 경운기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경운기(10)에 부착된 경운장치(1)는, 그 날의 뾰족한 끝(7)이 경운축의 회전방향(시계방향) 가장 앞쪽 끝에 위치하고, 또한 경운날의 용접기부(3)는 경운축과 직교하는 면에 대해 경사각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경운기(10)의 정면에서 봤을 때 우측(지면 뒷쪽)에 부착되는 경운날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경운장치(1)와 경상(鏡像)의 관계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경운장치(1)는, 경운날의 날끝부(4)를 날끝(6)에 가까울수록 초승달형상으로 폭을 좁게 형성함으로써, 이 날끝(6)으로 단단한 토양을 깊숙이까지 경운하는 동시에, 바깥쪽을 향해 활모양으로 구부러진 날끝부(4) 및 용접기부(3)에 의해, 경운된 흙을 경운기(10)의 기체 옆쪽으로 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토양이 단단한 포장에 있어서도 적은 마력으로 목적으로 하는 깊이까지 경운하는 동시에 배토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용접기부(3) 및 날끝부(4)로 구성되는 경운날(2)과 부착기부(5)를 별개로 형성하여, 이들을 용접 등으로 고착하여 경운장치(1)을 구성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도 7 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운날(2)로부터 부착기부(5)를 연속적으로 일체 형성하여 경운장치(1)를 구성해도 된다.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운날(3)에 부착기부(5)가 일체화된 경우에는 경운날(3)은 일측으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꼬인 상태로 형성되므로, 전술된 일 실시형태에서 부착기부(5) 측변을 경운날(2)의 판면에 비스듬히 교차하여 부착해서 구성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경운날의 후방측면에 배토부가 형성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경운장치에 배토부를 추가한 경우의 상단부 판면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0은 경운장치의 상단부 전방측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1은 경운장치의 상단부 후방측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운날(2)로부터 부착기부(5)를 연속적으로 일체 형성함과 아울러, 경운날(2)의 후방측면에 라운드지게 돌출된 배토부(9)를 형성한다. 배토부(9)는 경운날(2)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되어 결합될 수도 있으며, 경운날(2)이 지나가면서 땅을 경운하면서 파내진 흙을 모아 고랑을 따라 양측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배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이러한 배토부(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경운날(2) 후방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경운날의 날끝부를 초승달형상으로는 날끝부에 가까울수록 폭을 좁게 형성함으로써, 이 날끝으로 단단한 토양을 깊숙이까지 경운하여, 파서 일궈 경운된 흙을 바깥쪽을 향해 활모양으로 구부러진 날끝부에 의해 경운기의 기체 옆쪽으로 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토양이 단단 포장에 있어서도 적은 마력으로 깊숙이까지 경운할 수 있는 동시에 배토 등을 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경운날 후방측면에 라운드지게 돌출된 배토부를 형성함으로써 경운날이 지나가면서 땅을 경운함과 동시에 파내진 흙을 모아 고랑을 따라 양측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배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5)

  1. 경운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부착하는 부착기부(5)의 회전방향 앞쪽의 측변의 앞쪽 끝부분을 회전방향 앞쪽을 향해 활모양으로 구부려 형성하고, 이 측변을 따라 용접하는 경운날(2)의 용접기부(3)의 판면이 경운축과 직교하는 면에 대해 교차하도록 구성하고,
    용접기부(3)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경운날(2)의 날끝부(4)를 초승달형상으로 날끝(6)에 가까울수록 폭을 좁게, 날끝(6)을 바깥쪽을 향해 활모양으로 구부려 형성해서 되는 경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경운날(2)의 후방측면에는 라운드지게 돌출된 배토부(9)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장치.
  3. 경운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부착하는 부착기부(5)와, 상기 부착기부(5)에 연속적으로 일체 형성되는 경운날(2)로 되고,
    경운날(2)의 판면이, 경운축과 직교하는 면에 대해 직교하도록 구성하며,
    경운날(2)의 양쪽면을 폭방향의 한쪽으로 활모양으로 구부려 날끝부(4)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날끝부(4)를 초승달형상으로 날끝(6)에 가까울수록 폭을 좁게, 바깥쪽을 향해 활모양으로 구부려 형성해서 되는 경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경운날(3)은 일측으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일방향으로 꼬인 상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경운날(2)의 후방측면에는 라운드지게 돌출된 배토부(9)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장치.
KR1020060122313A 2006-12-05 2006-12-05 경운장치 KR100814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313A KR100814283B1 (ko) 2006-12-05 2006-12-05 경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313A KR100814283B1 (ko) 2006-12-05 2006-12-05 경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283B1 true KR100814283B1 (ko) 2008-03-18

Family

ID=39410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313A KR100814283B1 (ko) 2006-12-05 2006-12-05 경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2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5911A (zh) * 2018-10-25 2019-01-11 孙雪芹 一种开沟施肥一体机用粘土刀具的制作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2643Y1 (ko) * 1985-02-18 1987-08-14 금성전선 주식회사 농용 트랙터 부착용 복합 경운 장치
KR920006937Y1 (ko) * 1989-10-05 1992-09-28 히데오 사노 경운기에 있어서 이랑쌓기 삽 부착장치
KR200182603Y1 (ko) 1999-12-02 2000-05-15 진형길 농기계용 로타리날 개선구조
KR200207865Y1 (ko) 2000-07-15 2000-12-15 진형길 농기계용 로타리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2643Y1 (ko) * 1985-02-18 1987-08-14 금성전선 주식회사 농용 트랙터 부착용 복합 경운 장치
KR920006937Y1 (ko) * 1989-10-05 1992-09-28 히데오 사노 경운기에 있어서 이랑쌓기 삽 부착장치
KR200182603Y1 (ko) 1999-12-02 2000-05-15 진형길 농기계용 로타리날 개선구조
KR200207865Y1 (ko) 2000-07-15 2000-12-15 진형길 농기계용 로타리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5911A (zh) * 2018-10-25 2019-01-11 孙雪芹 一种开沟施肥一体机用粘土刀具的制作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9274A (en) Streamlined wear-resistant deep tillage tool
JP4837948B2 (ja) 耕起・整地装置の砕土作業具およびこれを取り付けた耕起・整地装置
EP2258156A1 (en) Improvements to mouldboard ploughs
KR100814283B1 (ko) 경운장치
JP3996740B2 (ja) 部分深耕機
CA2437941C (en) Tillage sweep
JP3167090U (ja) 耕耘用ロータリー刃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耕耘機
KR20100046678A (ko) 트랙터용 쟁기장치
JP3148700U (ja) 耕耘爪体
JPS63160501A (ja) 耕耘爪
JP7170354B2 (ja) 土寄せ板
JP6727750B2 (ja) 耕耘爪、及び作業機
JP2003169502A (ja) サブソイラ付きロータリ作業機
JP3151436U (ja) 耕耘用駆動刃装置及び駆動刃
JP2005013008A (ja) 耕耘装置
RU2338346C1 (ru) Ручное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
JP4824661B2 (ja) 耕耘装置
JPS637707A (ja) 深耕用アップカットロ−タリ耕耘方法および装置
RU2230443C2 (ru) Ручное орудие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JP2006333832A (ja) 耕耘爪体
JP2004329076A (ja) 耕耘装置
JPS64722Y2 (ko)
JP2020115884A (ja) 作業機
JP6054860B2 (ja) 耕耘機の耕耘刃
JP6693708B2 (ja) 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