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881B1 -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881B1
KR100813881B1 KR1020060081637A KR20060081637A KR100813881B1 KR 100813881 B1 KR100813881 B1 KR 100813881B1 KR 1020060081637 A KR1020060081637 A KR 1020060081637A KR 20060081637 A KR20060081637 A KR 20060081637A KR 100813881 B1 KR100813881 B1 KR 100813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farmland
level
senso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9381A (ko
Inventor
이민구
강정훈
유준재
이명수
김찬규
고두현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81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881B1/ko
Publication of KR2008001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0Cereals
    • A01G22/22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경지에 센서 노드를 설치하고, 센서 노드에 의해 수집된 수위 정보에 따라 농경지의 수위를 조절함으로써 자동 또는 원격으로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농경지의 수위를 조절하는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농경지 사이에 설치되며 개폐에 의해 상기 각 농경지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 조절 게이트; 상기 각 농경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 및 상기 수위 센서가 제공하는 수위 정보에 따라 상기 수위 조절 게이트의 개폐를 제어하며 센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FARMLA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을 이용한 농경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의 수위 조절 게이트 및 센서 노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경지에 센서 노드를 설치하고, 센서 노드에 의해 수집된 수위 정보에 따라 농경지의 수위를 조절함으로써 자동 또는 원격으로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장마와 태풍의 영향으로 엄청난 양의 비가 짧은 기간 내에 집중적으로 내리는 경우 농경지가 침수되어 농경지에서 재배중인 작물을 모두 소실되어 막대한 피 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농경지 관리자가 직접 장마 및 태풍 속에서 물을 배출하여 수위를 조절하여야 한다. 이 경우 농경지 관리자는 위험에 처할 수 있으며, 실제로 목숨을 잃은 경우가 종종 보도되고 있다.
본 발명은 농경지에 센서 노드를 설치하고, 센서 노드에 의해 수집된 수위 정보에 따라 농경지의 수위를 조절함으로써 자동 또는 원격으로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농경지의 수위를 조절하는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농경지 사이에 설치되며 개폐에 의해 상기 각 농경지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 조절 게이트; 상기 각 농경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 및 상기 수위 센서가 제공하는 수위 정보에 따라 상기 수위 조절 게이트의 개폐를 제어하며 센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은 상기 센서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상기 수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위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수위 조절 게이트의 개폐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상기 수위를 조절하는 제어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은 상기 센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상기 수위 정보를 중계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서버와 액세스 포인트는 WiFi를 통하여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은 상기 센서 네트워크 및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베이스 노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 조절 게이트는 상하로 이동하여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수문; 및 상기 센서 노드에 제어에 따라 상기 수문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 조절 게이트는 인접한 농경지 사이에 한 개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농경지의 수위를 조절하는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각 농경지에 설치된 수위 센서로부터 수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수위 정보를 수신한 센서 노드 간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수위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교환한 수위 정보에 따라 인접한 농경지 사이에 설치된 수위 조절 게이트를 개방하여 상기 수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은 상기 수위 정보를 상기 수위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수위 조절 게이트의 개폐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상기 수위를 조절하는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은 상기 제어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위 조절 게이트를 개방하여 상기 수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은 상기 수위 정보를 상기 센서 네트워크에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제어 서버로 중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을 이용한 농경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은 수위 조절 게이트(200 내지 340), 수위 센서(미도시) 및 센서 노드(SN1 내지 SN9)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 노드(400), 액세스 포인트(500) 및 제어 서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농경지(100a 내지 100i)는 매트릭스 형태로 인접하도록 배열되며, 각 농경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 센서 노드 및 수위 조절 게이트가 설치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농경지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다른 농경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도 1의 농경지 중 농경지(100a)를 도시하고 있다.
수위 조절 게이트(200, 210)는 농경지 사이, 즉 농경지와 농경지 경계에 설치되며 센서 노드(SN1)의 제어에 수문을 개폐하여 농경지(100a)의 수위를 조절한다.
수위 센서(710, 720)는 농경지(100a)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수위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센서 노드(SN1)로 전송한다.
센서 노드(SN1)는 수위 센서(700, 710)가 제공하는 수위 정보에 따라 수위 조절 게이트(200, 210)의 개폐를 제어하며 다른 센서 노드(SN2 내지 SN9)와 센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센서 네트워크는 멀티-홉 애드-홉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메쉬(Mesh) 네트워크일 수 있다.
센서 노드(SN1 내지 SN9)에 의해 센서 네트워크가 형성되면, 각 센서 노드는 다른 센서 노드와 통신하여 수집한 수위 정보를 상호 교환한다. 따라서, 각 센서 노드는 인접한 농경지의 수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위 조절 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농경지(100a)의 수위가 높아서 수위 조절 게이트(200, 210)가 개방되면, 센서 노드(SN2) 및 센서 노드(SN4)는 센서 노드(SN1)와의 통신에 의해 농경지(100a)의 수위가 감소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필요한 경우 수위 조절 게이트(220, 230) 또는 수위 조절 게이트(250, 260)를 개방하여 농경지(100b) 또는 농경지(100d)의 수위를 적절히 조절한다. 이러한 과정을 각 농경지에서 반복하면 전체적인 수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의 제어 서버(600)는 수위 정보를 수신하여 수위를 모니터링하고 수위 조절 게이트의 개폐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수위를 조절한다.
제어 서버(600)는 베이스 노드(400)를 통하여 센서 네트워크에 접속된 액세 스 포인트(500)를 통하여 상기 센서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제어 서버(600)와 액세스 포인트는 무선랜(WiFi)을 통하여 상호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의 수위 조절 게이트 및 센서 노드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위 조절 게이트는 상하로 이동하여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수문(800) 및 센서 노드(SN1)에 제어에 따라 수문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모터(9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위 조절 게이트는 인접한 농경지 사이에 한 개씩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농경지에 설치된 수위 센서로부터 수위 정보를 수집한다(S100).
수집된 수위 정보는 센서 노드 간의 통신을 통하여 상호 교환된다(S110). 상기 교환에 의해 각 센서 노드는 인접한 농경지의 수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인접한 농경지의 수위 조절 개폐 여부 등의 파악도 가능하다.
수위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 수위 조절 게이트를 개방하여 방류를 시작한다(S120). 방류가 시작되어 수위가 낮아지면, 이러한 수위 정보를 타 센서 노드와의 통신에 의해 상호 교환한다.
상기 수집된 정보는 수위 정보를 수위를 모니터링하고 수위 조절 게이트의 개폐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수위를 조절하는 제어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S130).
사용자는 제어 서버를 조작하여 특정 농경지의 수위를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다(S140).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 및 시스템은 농경지에 센서 노드를 설치하고, 센서 노드에 의해 수집된 수위 정보에 따라 농경지의 수위를 조절함으로써 자동 또는 원격으로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농경지에 고여 있는 물의 양을 센서 노드에 부착되어 있는 수위 센서를 통해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무선을 통해 댁내에 위치하고 있는 제어 서버에 전달한 후 이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는 원격으로 수위 조절 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어 평상시 농사철뿐만 아니라 장마철과 태풍으로 인한 폭우시 에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Claims (12)

  1.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농경지의 수위를 조절하는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농경지 사이에 설치되며 개폐에 의해 상기 각 농경지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 조절 게이트;
    상기 각 농경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
    상기 수위 센서가 제공하는 수위 정보에 따라 상기 수위 조절 게이트의 개폐를 제어하며 센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센서 노드;
    상기 센서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상기 수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위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수위 조절 게이트의 개폐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상기 수위를 조절하는 제어 서버; 및
    상기 센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상기 수위 정보를 중계하는 액세스 포인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와 액세스 포인트는 WiFi를 통하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네트워크 및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베이스 노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조절 게이트는
    상하로 이동하여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수문; 및
    상기 센서 노드에 제어에 따라 상기 수문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조절 게이트는 인접한 농경지 사이에 한 개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네트워크는 멀티-홉 애드-홉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메쉬 네트워크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경지 수위 조절 시스템.
  9.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농경지의 수위를 조절하는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각 농경지에 설치된 수위 센서로부터 수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수위 정보를 수신한 센서 노드 간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수위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
    (c) 상기 교환한 수위 정보에 따라 인접한 농경지 사이에 설치된 수위 조절 게이트를 개방하여 상기 수위를 조절하는 단계;
    (d) 상기 수위 정보를 상기 수위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수위 조절 게이트의 개폐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상기 수위를 조절하는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수위 정보를 상기 센서 네트워크에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제어 서버로 중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위 조절 게이트를 개방하여 상기 수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
  12. 삭제
KR1020060081637A 2006-08-28 2006-08-28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 및 시스템 KR100813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637A KR100813881B1 (ko) 2006-08-28 2006-08-28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637A KR100813881B1 (ko) 2006-08-28 2006-08-28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381A KR20080019381A (ko) 2008-03-04
KR100813881B1 true KR100813881B1 (ko) 2008-03-18

Family

ID=3939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637A KR100813881B1 (ko) 2006-08-28 2006-08-28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8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847B1 (ko) * 2010-04-12 2010-08-30 정병일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망을 통한 보일러 나노연료첨가제 주입 원격자동조절장치 및 방법
KR102268575B1 (ko) * 2019-05-30 2021-06-22 허성준 논 수위조절 시스템
WO2021176738A1 (ja) * 2020-03-06 2021-09-10 株式会社ナイルワークス 営農システム、営農サーバ及び営農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5908A (ja) * 1996-02-05 1997-08-12 Yokogawa Electric Corp 水田の水位管理装置
JPH11346581A (ja) 1998-06-03 1999-12-21 Hitachi Ltd 複数水田群の水管理方法及び水管理システム
KR20000000269A (ko) * 1999-10-08 2000-01-15 김홍겸 통합 원격 유량 및 수위 감시 제어 장치
KR20000003930A (ko) * 1998-06-30 2000-01-25 김영환 명령어 캐시 미스 시 손실을 줄이기 위한 명령어 페치 장치
JP2000135034A (ja) 1998-10-30 2000-05-16 Toshiba Corp 農業用水管理システム
KR20030095123A (ko) * 2002-06-11 2003-12-18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개발 농업용수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5908A (ja) * 1996-02-05 1997-08-12 Yokogawa Electric Corp 水田の水位管理装置
JPH11346581A (ja) 1998-06-03 1999-12-21 Hitachi Ltd 複数水田群の水管理方法及び水管理システム
KR20000003930A (ko) * 1998-06-30 2000-01-25 김영환 명령어 캐시 미스 시 손실을 줄이기 위한 명령어 페치 장치
JP2000135034A (ja) 1998-10-30 2000-05-16 Toshiba Corp 農業用水管理システム
KR20000000269A (ko) * 1999-10-08 2000-01-15 김홍겸 통합 원격 유량 및 수위 감시 제어 장치
KR20030095123A (ko) * 2002-06-11 2003-12-18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개발 농업용수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381A (ko) 2008-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466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rrigation control
US1071626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rrigation control
US10901379B2 (en) Controlling parameters in a building
CN101436336B (zh) 一种入侵检测系统及方法
KR20090011073A (ko) 환경 센서를 이용한 관개용수 자동제어시스템
KR100605745B1 (ko) 노드들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결정 장치 및 방법
KR100813881B1 (ko)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31768A (ko) Ict기반의 스마트 팜 제어 시스템
KR102055258B1 (ko) 스마트 rtu를 이용하여 저장조의 수위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106355A (ko) 골프장의 환경 제어시스템
CN204740460U (zh) 通过具有自适应通信的微机电系统驱动的无线设备
KR20130039095A (ko) 온실 최적 생장 환경 유지 시스템 및 방법
CN105446190A (zh) 温室大棚的卷帘控制方法
US11851855B2 (en) Drainage system and drain
US20070094386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Sensor Network
CN108812207A (zh) 一种基于农田水分监测的自动灌溉系统
CN107331108B (zh) 一种具有晾衣功能的卷帘窗智能安防控制系统
CN109799858B (zh) 一种夯土建筑智能监测系统的监测参数训练方法
CN109840562B (zh) 一种夯土建筑智能监测维护方法
KR20200050856A (ko)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135149B1 (ko)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
KR20180114389A (ko) 온실난방 자동제어 시스템
CN205281154U (zh) 温室大棚的卷帘控制系统
KR102362151B1 (ko) 주변 감시 장치의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데이터 수집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432723B1 (ko) 노지형 무선 자동관수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