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575B1 - 논 수위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논 수위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575B1
KR102268575B1 KR1020190063904A KR20190063904A KR102268575B1 KR 102268575 B1 KR102268575 B1 KR 102268575B1 KR 1020190063904 A KR1020190063904 A KR 1020190063904A KR 20190063904 A KR20190063904 A KR 20190063904A KR 102268575 B1 KR102268575 B1 KR 102268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paddy
water
control system
dista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7475A (ko
Inventor
허성준
Original Assignee
허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성준 filed Critical 허성준
Priority to KR1020190063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57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논(Paddy field)에서의 수위 상태를 측정하고, 설정된 높이 미만으로 수위가 낮아지거나 또는 초과했을 시 이를 관리자에게 통지하고 논의 취수로 및 배수로의 개폐를 조절하여 농업용수를 조절함으로서 논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논 수위조절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논 수위조절 시스템은 각각 하나 이상의 취수문 및 배수문이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논의 수위를 측정하고 통지하기 위한 논 수위조절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단말기; 하나 이상의 수위알림기;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 및 하나 이상의 수위알림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 및 수위알림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인 통신부; 상기 하나 이상의 논에 대한 최대간격값이 각각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는 간격데이터; 그리고 상기 수위알림기가 송신하는 거리값(D)과 상기 간격데이터 내 저장되어 있는 최대간격값을 비교하여, 상기 송신된 거리값(D)이가 상기 최대간격값을 초과할 경우 경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취수문 및 배수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열거나 닫을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논 수위조절 시스템{WATER-LEVEL CONTROL SYSTEM OF PADDY FIELD}
본 발명은 논의 수위조절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논(Paddy field)에서의 수위 상태를 측정하고, 설정된 높이 미만으로 수위가 낮아지거나 또는 초과했을 시 이를 관리자에게 통지하고 논의 취수로 및 배수로의 개폐를 조절하여 농업용수를 조절함으로서 논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논 수위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논(Paddy field)은 물을 채우고 작물을 재배하는 농지로서, 주로 쌀 등의 작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일반적인 논은 판판한 바닥에 둘레를 흙으로 두렁을 만들고, 안에 농업용수를 채워 넣는데 농업용수의 출입을 위하여 물이 흘러들어오는 곳에 취수(取水)물고를, 물이 흘러나가는 곳에 배수(排水)물고를 만든다.
논에서 주로 재배하는 벼를 재배할 때는, 농업용수의 수심을 2~10cm 정도로 유지하며 생육기간 동안 보온이 필요하거나 뿌리에 산소공급, 불필요한 분얼(分蘖)을 억제하거나 잡초의 생육 억제를 위하여 수위를 조절하기도 한다.
이러한 농업용수의 수위조절은 논에서의 벼 재배에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로서, 논의 모든 지역에 고른 높이로 용수를 제공하는 것을 논의 농업용수 수위조절에서의 목표로 하고 있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논(P)에서의 농업용수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통하여 현재 논에서 발생하는 농업용수의 수위조절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논(P)은 바닥을 판판하게 다지는 것이 중요하지만, 현실적으로 진흙에 가까운 흙바닥인 논바닥을 계속 편평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아무리 인력 또는 기계를 이용하여 논바닥을 경운하더라도 도 1의 논바닥(G)과 같이 굴곡이 지며 때에 따라서는 튀어나온 둔덕(GT)이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논바닥(G) 위에 농업용수(W)를 채우게 되면, 처음에는 도 1의 A에서와 같이 농업용수(W)가 논(P)에 관리자가 원하는 만큼 가득 채워지게 되므로, 둔덕(GT)이 드러나지 않는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농업용수(W)는 대기중으로 증발하거나 지면 밑으로 스며들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감소한다. 따라서 농업용수가 추가되거나 비 등이 오지 않는 한, 도 1의 A에서와 같은 농업용수의 수위는 도 1의 B에서와 같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둔덕(GT)이 수면 바깥으로 드러나게 된다.
상기 도 1의 B에서와 같이 둔덕(GT)이 수면 바깥으로 드러나게 되면 논(P)에서의 작물 재배에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우선 드러난 둔덕(GT) 위에 심어진 작물은 충분한 수분을 공급받지 못하여 말라 죽거나 또는 제대로 자라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드러난 둔덕(GT) 위에서는 목표 작물이 잘 자라지 못할 뿐 아니라, 목표 작물이 아닌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게 되어 둔덕(GT)위의 작물 뿐 아니라 그 주변 작물의 생육에게까지 영향을 미치고 논 관리자 및 작업자의 불필요한 작업량을 늘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논의 수위를 유지하고 상기 둔덕(GT)이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리자가 지속적으로 논을 확인해야 하는 불필요한 작업 또한 추가되었다. 따라서, 관리자가 직접 육안으로 논의 수위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현재 자신이 관리 중인 논의 수위가 어느 정도이고, 논의 수위가 위험수준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상기와 같은 논의 수위확인 및 조절 장치가 공개특허 10-2019-003373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논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위감지센서와 태양전지 등을 포함한 쇠말뚝 형태의 수위감지용 지주를 사용하는데, 이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위감지기와 일부 유사하다.
하지만 상기 공개특허의 수위감지용 지주는 그 동작이 실질적으로 유효한지 의심스러운 구성이며, 또한 고장 및 파손의 위험이 높다.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면, 우선 상기 공개특허의 수위감지용 지주는 카메라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하고 있어 본 발명과는 그 구성에서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고장에 더 민감하다.
또한 상기 공개특허의 지주는 지주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판 등이 존재하지 않아, 논 지면의 액화 등으로 인하여 지주의 기반이 약화, 지주가 쓰러지려 할 시 이를 지지해줄 수 있는 구성이 전혀 존재하지 않아 지주가 쓰러질 위험이 높고, 만약 지주가 쓰러진다면 수분에 민감한 태양전지 및 축전지 등의 전기적 부품 구성의 파손 가능성이 높아져 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공개특허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위조절 시스템들의 구성 및 동작 방식 등에서 차이가 있어 본 발명은 상기 공개특허에 대비하여 볼 때 유의미한 진보성을 획득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외에도 등록특허 10-1893822호는 벼의 생육시기에 따라 논의 담수 수위가 조절되는 용수자동화 관리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 역시 본 발명과는 그 구성 및 동작 방식 등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논의 수위정보를 관리자의 단말기가 요청할 때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또한 논의 수위가 설정한 수위 미만으로 내려가면 이를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는, 논 수위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각 하나 이상의 취수문 및 배수문이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논의 수위를 측정하고 통지하기 위한 논 수위조절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단말기; 하나 이상의 수위알림기;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 및 하나 이상의 수위알림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 및 수위알림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인 통신부; 상기 하나 이상의 논에 대한 최대간격값이 각각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는 간격데이터; 그리고 상기 수위알림기가 송신하는 거리값(D)과 상기 간격데이터 내 저장되어 있는 최대간격값을 비교하여, 상기 송신된 거리값(D)이가 상기 최대간격값을 초과할 경우 경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취수문 및 배수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열거나 닫을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논 수위조절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하나 이상의 수위알림기는 각각 상단부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이 설치되고 하단부는 개방된 통 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 측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 거리측정센서; 상기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송신기; 그리고 상기 거리측정센서 및 통신부에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수위알림기의 몸체 하단부는 단부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수위알림기의 측면에는 기준선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수위비교기능, 경보신호생성기능, 수문개폐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편한 구성으로도 효과적으로 논 수위의 적합여부를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논바닥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위알림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위알림기의 A-A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위알림기의 단면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위조절 시스템의 구조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이하의 특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논 수위조절 시스템에 사용하는 수위알림기(10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수위알림기(100)의 A-A 단면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상기 수위알림기(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알림기(100)은 상단부가 폐쇄된 몸체(110)를 가진다. 도 2에서는 일예시로서 상기 몸체(110)가 원통형인 것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상기 몸체(110)는 상단부가 폐쇄된 형태라면 어떤 것이든 가능하며, 예를 들어 상단부가 폐쇄된 사각통 형태 또는 삼각통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제작자가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가 상단부가 폐쇄된 원통형인 것을 일예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몸체(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부가 폐쇄된 원통형인데, 이 중 폐쇄되지 않고 개방되는 하단부(111)는 끄트머리가 비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하단부(111)가 땅에 꽂혀지는 부분이 되는데 땅을 좀 더 잘 파고들어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측면으로는 하나 이상의 구멍(112)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112)은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하는데, 하나는 상기 몸체(110)가 농업용수가 채워진 논의 땅에 꽂혀진 뒤에, 상기 몸체(11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을 동일하게 맞춰 주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위알림기(100)은 농업용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데, 상기 수위알림기(100)을 이루는 몸체(110)가 땅에 꽂혀질 때 내부와 외부가 완전히 단절되어 있다면, 내부와 외부에 압력차가 발생하여 내부와 외부의 농업용수 수위가 변동, 농업용수의 수위 측정을 유효하게 실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구멍(112)은 상술한 압력 조절을 위해서라도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 생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구멍(112)이 수행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역할은, 농업용수가 상기 구멍(112)을 통해 상기 몸체(110)의 내부와 외부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수위알림기(100)가 보다 정확한 농업용수 수위 측정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몸체(110) 내부의 농업용수와 외부의 농업용수가 서로 소통하지 못하고 단절된다면, 상기 몸체(110) 내부와 외부의 환경적 차이, 예를 들어 강우(降雨) 등으로 인한 기상적 변화 또는 태양의 일사량 차이로 인한 증발 차이 등으로 인하여 상기 몸체(110) 내부의 농업용수 수위와 외부의 농업용수 수위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정확한 농업용수 수위 측정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구멍(112)은 둘 이상(112a, 112b) 형성하고, 상단(112a) 및 하단(112b)에 배치하여, 상단구멍(112a) 농업용수에 잠기지 않도록 하여 상기한 몸체(110) 내, 외부 압력차 조절 기능을 수행하고, 하단구멍(112b)은 농업용수에 잠기도록 하여 상기한 농업용수의 소통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 중 폐쇄된 상단면 안쪽으로는 배터리(120)와 거리측정센서(130)가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120)는 상기 거리측정센서(13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통상의 건전지 또는 충전지 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리측정센서(130)는 수면으로부터 자신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거리측정센서(130)가 수면으로부터 자신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서, 상기 농업용수의 수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위알림기(100)는 송신기(131)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131)는 추후 설명할 서버(200, 도 5)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상기 서버(200, 도 5)와 통신할 수 있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거리측정센서(130)가 측정한 거리값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도 2 및 도 3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외부 측면에는 기준선(1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기준선(113)은 본 발명의 수위알림기(100)를 지면에 꽂아 설치할 때, 지면에 파고들어가는 상기 몸체(110)의 적합한 깊이를 표시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110)를 지면상에 너무 깊이 꽂아 넣게 되면, 고장을 일으키거나 수위 측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상기 기준선(113) 높이까지 꽂아 넣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위알림기(100) 몸체(110)에서 상기 배터리(120) 및 거리측정센서(130), 송신기(131) 등이 설치되는 상단부는 폐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부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여닫을 수 있는 뚜껑(114)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상단부를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단부를 뚜껑(114)으로 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와 같이 하면 상기 뚜껑(114)에 상기 배터리(120) 및 거리측정센서(130), 송신기(131)가 설치되는데 이렇게 하면 상기 배터리(120)의 교환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130), 송신기(131) 등의 유지보수 등을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뚜껑(114)이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뚜껑(114)이 상기 몸체(110) 상단부에 결합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는 종래의 여러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서 사용하면 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경첩을 설치하여 여닫을 수도 있고, 돌려서 여닫을 수 있는 트위스트 캡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수위알림기(100)를 실제로 농업용수(W)가 차 있는 지면(G)에 설치한 모습을 표현한 구조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수위알림기(10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수위알림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서버(200) 및 관리자의 단말기(T) 간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상기 수위알림기(100)의 구체적인 동작 및 본 발명의 수위조절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알림기(100)는 몸체(110) 중에서도 개방되어 있고 뾰족한 하단면(111)을 상기 지면(G)에 꽂아 넣어 설치한다. 이때 상기 지면(G)은 위에 채워진 농업용수(W)의 영향으로 어느 정도 액화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단면(111)을 상기 지면(G)상에 수동으로 어렵지 않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위알림기(100)의 몸체(110) 측면에는 기준선(113)이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선(113)까지 지면(G)에 상기 몸체(110)를 꽂아서 농업용수 측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수위알림기(100)를 설치하면, 상기 거리측정센서(130)가 자신으로부터 농업용수(W)의 수면까지의 거리값(D)을 측정하여 상기 농업용수(W)의 수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서, 비교적 간단하게 상기 수위알림기(100)를 구성하면서도 유효하게 상기 농업용수(W)를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논 수위조절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통하여 본 발명의 논 수위조절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도 5에서 점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연결된 구성요소간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논 수위조절 시스템은 상술한 수위알림기(100)를 하나 이상 사용한다. 상기 수위알림기(100)는 자신이 꽂혀져 설치되어 있는 논에게서 상기 거리값(D)을 측정하는데, 하나의 논에 상기 수위알림기(100)는 하나 이상 설치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논에 둘 이상의 수위알림기(100)가 설치된다면, 설치된 수위알림기(100)가 전송하는 거리값(D) 중 가장 높은 값의 거리값(D)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한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여러 논(P1, P2, P3, P4)에 각각 하나의 수위알림기(1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일예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논들(P1, P2, P3, P4)에는 농업용수를 공급받기 위한 취수물고(WI)와, 농업용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물고(WO)와 연결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각각의 논들(P1, P2, P3, P4)과 상기 취수물고(WI) 사이에는 취수문(310)이 설치되어, 상기 취수문(310)의 개폐에 의해 상기 취수물고(WI)로부터 농업용수를 제공받거나 또는 제공받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각각의 논들(P1, P2, P3, P4)과 상기 배수물고(WO) 사이에는 배수문(320)이 설치되어, 상기 배수문(320)의 개폐에 의해 상기 배수물고(WO) 쪽으로 고여 있던 농업용수를 배출하거나 또는 배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취수문(310) 및 배수문(320)의 구조 및 구성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자동 취수 및 배수문을 사용하면 되며, 바람직하게는, 볼 밸브를 사용하여 여닫을 수 있는 자동식 취수 및 배수문을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위알림기(100)는 서버(2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논(P1, P2, P3, P4)에 설치되어 있는 수위알림기(100)들은 각각 상기 서버(200)와 유선 또는 통신으로 통신하여, 자신이 측정한 상기 거리값(D)을 상기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위알림기(100)들로부터 상기 거리값(D)을 제공 받아, 관리자의 단말기(T)가 요청할 때 해당 논의 거리값(D) 및 상기 거리값(D)을 통해 도출된 수위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수신된 거리값(D)이 설정된 거리수치를 초과할 때, 경보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의 단말기(T)에 전송하고, 해당 논의 취수문(310) 또는 배수문(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서 해당 논의 농업용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수위알림기(100)들 및 관리자의 단말기(T)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통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인 통신부(210), 그리고 각각의 논(P1, P2, P3, P4)에 대한 최대거리값(221, 222, 223...)들이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는 간격데이터(220), 그리고 송신되는 거리값(D)과 상기 간격데이터(220)에 저장되어 있는 최대거리값을 비교하여, 송신되는 상기 거리값(D)이 상기 최대거리값을 초과하게 되면, 경보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논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기(T)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거리값(D)과, 상기 거리값(D)이 측정 대상 논의 최대거리값을 비교하는 수위비교기능(231), 상기 기능(231)을 실행했을 때 상기 거리값(D)이 측정 대상 논의 최대거리값을 초과하였다면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T)에게 송부하는 경보신호생성기능(232), 그리고 상기 기능(231)을 실행했을 때 상기 거리값(D)이 측정 대상 논의 최대거리값을 초과하였다면 상기 취수문(310) 또는 배수문(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서 상기 측정대상 논의 농업용수 수위를 조절하는 수문개폐기능(233)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상기 서버(200)의 동작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예를 들어 제1논(P1)에 설치된 수위감지기(100)는 상기 서버(200)의 통신부(2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통신 방식 및 통신 프로토콜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현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논(P1)의 관리자가 자신의 단말기(T)를 이용하여 상기 제1논(P1)의 현재 거리값(D)에 대하여 상기 서버(200)에 요청하면,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제1논(P1)의 수위감지기(100)에게 상기 거리값(D)을 제공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수위감지기(100)는 이에 따라 현재의 거리값(D)을 송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부(210)에 현재 거리값(D)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현재 거리값(D)을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T)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위감지기(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상기 거리값(D)을 제공 받거나 또는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거리값(D)을 제공 받을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와 같이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송신되거나 또는 요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거리값(D)을 수신할 때, 수신된 거리값(D)에 대하여 상기 간격데이터(220) 내 미리 입력되어 있는 제1논의 간격정보(221)값와 비교하는 상기 수위비교기능(231)을 실시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기능(231)에서 수신된 상기 거리값(D)이 상기 제1논의 간격정보(221)값을 초과하면, 경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T)에 전송하는 경보신호 생성기능(232)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기(T)에 전송된 경보정보를 확인하고, 자신이 관리하는 논(P1)의 농업용수 수위 저하현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능(232)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230)는 수문개폐기능(233)을 실시하는데, 상기 기능(231)의 결과는 해당 논(P1)의 수위가 낮다는 것이므로, 상기 P1의 취수문(310)을 개방하여 상기 취수물고(WI)로부터 농업용수를 인입받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논(P1)의 농업용수 수위를 높여 정상 수위로 돌려놓을 수 있으며 만약 상기 기능(233)을 실시할 때 만약 상기 취수문(310)의 개방에 따라 농업용수가 너무 많이 인입되어 농업용수의 수위가 과도하게 높아졌다면, 추가적으로 상기 배수문(320)을 개방하여 농업용수를 상기 배수물고(WO)로 배출, 농업용수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100 : 수위알림기. 110 : 수위알림기 몸체.
111 : 수위알림기 하단부. 112 : 구멍.
113 : 기준선. 120 : 배터리.
130 : 거리측정센서. 131 : 송신기.
200 : 서버. 210 : 통신부.
220 : 간격데이터. 230 : 제어부.

Claims (5)

  1. 각각 하나 이상의 취수문 및 배수문이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논의 수위를 측정하고 통지하기 위한 논 수위조절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단말기; 하나 이상의 수위알림기;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 및 하나 이상의 수위알림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 및 수위알림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인 통신부; 상기 하나 이상의 논에 대한 최대간격값이 각각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는 간격데이터; 그리고 상기 수위알림기가 송신하는 거리값(D)과 상기 간격데이터 내 저장되어 있는 최대간격값을 비교하여, 상기 송신된 거리값(D)이가 상기 최대간격값을 초과할 경우 경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취수문 및 배수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열거나 닫을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수위알림기는 각각 상단부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이 설치되고 하단부는 개방된 통 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 측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 거리측정센서; 상기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송신기; 그리고 상기 거리측정센서 및 통신부에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수위알림기의 몸체 하단부는 단부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수위알림기의 측면에는 기준선이 더 포함되어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는 수위비교기능, 경보신호생성기능, 수문개폐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 수위조절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63904A 2019-05-30 2019-05-30 논 수위조절 시스템 KR102268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904A KR102268575B1 (ko) 2019-05-30 2019-05-30 논 수위조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904A KR102268575B1 (ko) 2019-05-30 2019-05-30 논 수위조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475A KR20200137475A (ko) 2020-12-09
KR102268575B1 true KR102268575B1 (ko) 2021-06-22

Family

ID=7378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904A KR102268575B1 (ko) 2019-05-30 2019-05-30 논 수위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5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325B1 (ko) * 2020-12-21 2021-06-23 주식회사 휴먼네트워크 농업배수의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관리 시스템
KR102631433B1 (ko) * 2023-08-16 2024-01-30 장정자 습식 암거용 수위 계측 및 운영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756Y1 (ko) * 2005-04-11 2005-06-21 안종율 초음파 반사각을 이용한 수위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881B1 (ko) * 2006-08-28 2008-03-18 전자부품연구원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경지 수위 조절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756Y1 (ko) * 2005-04-11 2005-06-21 안종율 초음파 반사각을 이용한 수위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475A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182B1 (ko) 일체형 스마트 작물 관리 모듈
US8862277B1 (en) Automatic efficient irrigation threshold setting
KR102268575B1 (ko) 논 수위조절 시스템
US8751052B1 (en) Automatic efficient irrigation threshold setting
CN110036884A (zh) 基于作物生长周期用水特征和实时天气的灌溉方法及装置
US8682494B1 (en) Methods for performing soil measurements including defining antenna configuration based on sensor burial depth
KR101882933B1 (ko) 농지 범용화를 위한 스마트 토양 수분 제어 장치
KR101893822B1 (ko) 벼의 생육시기에 따라 논의 담수 수위가 조절되는 용수자동화 관리시스템
KR101882934B1 (ko) 농지 범용화를 위한 스마트 토양 수분 제어 방법
KR102324748B1 (ko) 논 수위알림 장치
CN108713481B (zh) 一种光伏计量泵阀智能化系统
JP7188835B2 (ja) 芝生監視システム
US6805147B2 (en) Automatic water supply system
US11917955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irrigating lands
KR20140072588A (ko)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자동 관수제어를 통한 관비재배 시스템
KR101881934B1 (ko) 토양수분 감지장치
KR102152328B1 (ko) 경작지 관리 시스템
KR102109565B1 (ko) 논 수위알림 시스템
CN211085299U (zh) 一种基于物联网的农作物监控装置
KR102308371B1 (ko) 광대역 무선통신과 위치정보를 이용한 심도 조절 토양수분 모니터링 장치
JP2000232828A (ja) 土中水分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灌水システム
CN214758353U (zh) 一种园林景观苗木的滴灌装置
CN108931614B (zh) 一种农作物重金属积累特性鉴定系统
KR200455675Y1 (ko) 조수 퇴치용 전기울타리
US11862843B1 (en) Underground sensor mount and telemet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