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563B1 - 구조물 점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 점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563B1
KR100813563B1 KR1020060020983A KR20060020983A KR100813563B1 KR 100813563 B1 KR100813563 B1 KR 100813563B1 KR 1020060020983 A KR1020060020983 A KR 1020060020983A KR 20060020983 A KR20060020983 A KR 20060020983A KR 100813563 B1 KR100813563 B1 KR 100813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age
data
inspection
inspec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1455A (ko
Inventor
오광진
최재호
김영민
전귀현
신주열
Original Assignee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filed Critical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Priority to KR1020060020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563B1/ko
Publication of KR20070091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03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optical equipment, e.g. magnifier, vie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점검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구조물 점검 방법은, (a)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를 판독하여 구조물의 도면을 점검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b) 구조물의 이전 점검 차수의 손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구조물의 도면 위에 손상 도면을 차례로 출력하는 단계, (c) 점검자로부터 구조물에 발생한 손상의 종류 및 위치를 입력받아 구조물의 도면위에 손상 도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d) 점검자에게 표시된 손상 도면을 나타내는 손상 데이터를 당해 점검 차수 데이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 점검시에 도면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점검자에게 함께 표시하고, 구조물에 형성된 손상부를 점검자로부터 구조물의 도면위에 직접 입력받아 손상 데이터로서 저장함으로써, 종래의 점검 현장에서 기록된 손상 데이터를 다시 수작업으로 컴퓨터에 입력하는 불편함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조물 점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structure}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점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전체 구조물 점검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구조물 점검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점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제 S210 단계를 설명하는 상세 흐름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점검자에게 표시되는 메인 점검 메뉴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는 점검자에게 출력된 도면상에 표시된 손상의 종류를 나타내는 손상 정보 창의 일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6b 는 구조물의 각 부재에 발생 가능한 손상의 종류를 함께 편집한 손상 도구 창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c 는 점검 차수를 입력하는 차수 입력 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구조물의 점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건물 및 교량 등과 같은 건설 및 토목 구조물의 점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 구조물 및 토목 구조물(이하,"구조물"로 통칭함)의 안전은 다수의 인명과 재산 피해와 직결되는 중요한 사안이므로, 주기적인 안전 점검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구조물에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정기적인 안전 점검이 수행되고 있으며, 태풍 및 지진과 같은 자연 재해가 발행한 경우에도 비정기적인 점검이 수행된다.
종래의 구조물 점검 방식은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부재별로 설계도면을 인쇄하여 현장 점검시에 지참하고, 지참한 인쇄된 설계 도면에 구조물에 발생한 손상 부위를 기록한 후, 기록된 손상 부위를 사후에 컴퓨터 파일등에 입력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각 점검 차수마다 기록된 손상 정보의 관리가 어려워, 점검자가 발견한 구조물의 손상이 이전 점검 일시와 당해 점검 일시 사이에 생성된 것인지 또는 이전 점검 일시에 이미 생성되었으나 기록이 누락된 것인지에 대한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점검자가 현장 점검용 도면위에 점검된 손상 내용등을 기록하고, 이를 다시 손상 관리를 위한 본 도면에 옮겨 기록하여야할 뿐만 아니라, 손상의 종류에 따라서 일일이 서로 다른 모양의 손상도면을 수작업으로 기록하여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점검자에 의해서 기록된 손상 도면은 이미지 파일로 생성되어, 손상 도면을 확대하는 경우에 해상도가 저하되어 손상 내용을 명확하게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조물 점검 현장에서 구조물의 본 도면과 연계하여 손상 데이터를 간편하게 저장할 수 있는 구조물 점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손상 데이터를 종류를 일일이 지정하지 않고, 손상의 위치 설정만으로 간편하게 다양한 손상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구조물 점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물 점검 장치는, 구조물의 각 부재별로 각 부재의 특징점에서의 벡터값들로 구성되는 도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도면 데이터 저장부; 각 부재별로 손상의 종류와,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을 나타내는 각 특징점에서의 벡터값들로 구성되는 손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손상 데이터 저장부; 점검자에게 점검 메뉴를 출력하고, 도면 데이터에 따라서 구조물의 도면을 출력하며, 손상 데이터에 따라서 손상 도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표시부에 출력된 부재의 도면위에 점검자가 소정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 등 을 직접 입력하면, 입력 수단의 위치를 탐지하여 손상부의 좌표값을 생성하는 입력부; 및 좌표값을 손상부를 나타내는 벡터식으로 변환하여 손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손상 데이터를 손상 데이터 저장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물 점검 시스템 시스템은, 각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 점검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소정의 구조물 점검 장치로 도면 데이터, 점검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며, 구조물의 점검이 완료된 후 구조물 점검 장치로부터 점검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업로드받아 점검 차수 데이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구조물 관리 서버; 및 구조물 관리 서버로부터 점검 대상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 점검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점검자에게 출력하고, 점검자로부터 구조물에 발생한 손상의 종류 및 위치를 입력받아 구조물의 도면위에 손상 도면을 출력하며, 점검자에게 출력된 손상 도면을 나타내는 손상 데이터를 당해 점검 차수 데이터와 연계하여 구조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구조물 점검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구조물 점검 시스템은, 구조물 관리 서버에 접속하고, 구조물 관리 서버로부터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 점검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자에 표시하는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구조물 점검 장치는 점검 차수에 따라서 차례로 손상 데이터를 구조물의 도면위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도면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는 구조물의 각 특징점에서의 벡터값들로 구성되고, 구조물 점검 장치는 벡터값들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구조물의 도 면 및 손상 도면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구조물 점검 장치는, 점검자로부터 손상의 종류를 입력받고,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을 입력받아 손상부의 위치에 손상의 종류에 따른 손상 도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물 점검 방법은, (a)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를 판독하여 구조물의 도면을 점검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b) 구조물의 이전 점검 차수의 손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구조물의 도면 위에 손상 도면을 차례로 출력하는 단계; (c) 점검자로부터 구조물에 발생한 손상의 종류 및 위치를 입력받아 구조물의 도면위에 손상 도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d) 점검자에게 표시된 손상 도면을 나타내는 손상 데이터를 당해 점검 차수 데이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도면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는 구조물의 각 특징점에서의 벡터값들로 구성되고, 상술한 (a) 단계 및 상술한 (b) 단계는 벡터값들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구조물의 도면 및 손상 도면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c) 단계는, (c1) 점검자로부터 손상의 종류를 입력받는 단계; (c2) 점검자로부터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을 입력받는 단계; 및 (c3) 손상부의 위치에 손상의 종류에 따른 손상 도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c2) 단계는, 구조물의 도면위에 사용자가 소정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손상부를 표시하면, 입력 수단의 위치를 인식하여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d) 단계는, (d1) 손상 도면에 표시된 손상부의 특징점의 좌표값을 점검자에게 출력하고, 점검자로부터 좌표값에 대한 수정값을 입력받는 단계; (d2) 수정값에 따라서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 및 (d3) 변경된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을 벡터값으로 변환하여 손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손상 데이터를 당해 점검 차수 데이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조물 점검 방법은, (a) 구조물 점검 장치가 구조물 관리 서버로부터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 (b) 구조물 점검 장치가 저장된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를 판독하여 구조물의 도면을 점검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c) 구조물 점검 장치가 점검자로부터 구조물에 발생한 손상의 종류 및 위치를 입력받아 구조물의 도면위에 손상 도면을 출력하는 단계; (d) 구조물 점검 장치가 점검자에게 출력된 손상 도면을 나타내는 손상 데이터를 당해 점검 차수 데이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e) 구조물 관리 서버가 손상 데이터를 구조물 점검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점검 차수 데이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점검 방법은 (f) 구조물 관리 서버가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서 접속한 관리자 단말을 인증하고, 관리자 단말에 구조물 점검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g) 관리자 단말로부터 점검 메뉴에 대한 선택값을 수신한 구조물 관리 서버가 선택값에 대응되는 구조물 점검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a) 단계에서, 구조물 점검 장치는 구조물 관리 서버로부터 구조물의 손상 도면을 나타내는 손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며, 상술한 (b) 단계는, 구조물의 이전 점검 차수의 손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구조물의 도면 위에 손상 도면을 차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면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는 구조물의 각 특징점에서의 벡터값들로 구성되고, (b) 단계는 벡터값들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구조물의 도면 및 손상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c) 단계는, (c1) 점검자로부터 손상의 종류를 입력받는 단계; (c2) 점검자로부터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을 입력받는 단계; 및 (c3) 손상부의 위치에 손상의 종류에 따른 손상 도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c2) 단계는 구조물의 도면위에 사용자가 소정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손상부를 표시하면, 입력 수단의 위치를 인식하여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d) 단계는, (d1) 손상 도면에 표시된 손상부의 특징점의 좌표값을 점검자에게 출력하고, 점검자로부터 좌표값에 대한 수정값을 입력받는 단계; (d2) 수정값에 따라서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 및 (d3) 변경된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을 벡터값으로 변환하여 손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손상 데이터를 당해 점검 차수 데이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점 검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점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조물 점검 시스템은 구조물 관리 서버(10), 구조물 점검 장치(30), 및 관리자 단말(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조물 관리 서버(10)는 다양한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 각 구조물의 점검 데이터, 및 각 구조물의 손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일정한 점검 주기마다, 또는 구조물 점검시에 구조물 점검 장치(30)로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 점검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구조물의 점검이 완료된 후 구조물 점검 장치(30)로부터 점검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업로드받아 해당 구조물의 점검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점검 차수 데이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구조물 관리 서버(10)는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서 접속한 관리자 단말(20)을 인증하고, 원격지의 관리자가 해당 구조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해당 관리자 단말(20)로 구조물에 대한 도면 데이터 및 점검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구조물 점검 장치(30)는 구조물 관리 서버(10)에 근거리 통신망등과 같은 소정의 통신망 1 을 통해서 접속하여 구조물 관리 서버(10)로부터 점검 대상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 및 당해 점검 차수 이전 점검시에 기록된 점검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한다.
또한, 구조물 점검 장치(30)는, 구조물 점검시에는 점검자에게 구조물의 각 부재별로 도면 데이터를 출력하고, 점검자로부터 손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구조물의 점검이 완료되면 손상 데이터와 점검 데이터를 구조물 관리 서버(10)로 업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조물 점검 장치(30)는 노트북 컴퓨터, 테블릿 PC, 및 PDA 등과 같이 휴대가 간편하고, 점검자에게 도면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점검자로부터 손상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이 없다.
한편, 관리자 단말(20)은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 2 를 통해서 구조물 관리 서버(10)에 접속하여,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구조물의 점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조물 관리 서버(10)로부터 도면 데이터, 점검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자에게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전체 구조물 점검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구조물 점검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구조물의 점검 주기에 구조물 점검 장치(30)는 구조물 관리 서버(10)에 접속하여 해당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 점검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줄 것을 요청한다(S200).
구조물 관리 서버(10)는 요청된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 및 점검 데이터를 내부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판독하여 구조물 점검 장치(30)로 전송한다(S202). 이 때, 다운로드되는 도면 데이터는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들의 특징점들에서의 벡터값들로 구성된다. 점검 데이터는 점검할 항목들로 구성된 점검 리스트와 이전 차수의 점검시에 기록된 점검 결과 이력을 포함한다. 손상 데이터는 이전의 점검 차수에서 각 부재에 대해서 기록된 손상 정보를 포함한다.
구조물 점검 장치(30)는 구조물 관리 서버(10)로부터 수신된 도면 데이터, 손상 데이터, 및 점검 데이터를 각각 내부에 할당된 기억 장소에 저장한다(S204).
점검자는 구조물 점검 장치(30)를 구조물 점검 현장에 지참하여 구조물 점검시에 해당 도면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하고, 화면에 출력된 도면상에 손상의 종류 및 위치 등을 입력하여 손상 데이터를 해당 점검 차수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함으로써, 구조물 점검을 실시하고(S210), 점검이 완료된 후 점검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관리 서버(10)로 업로드 한다(S212). 제 S210 단계에 대해서는 도 4 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관리 서버(10)는 구조물 점검 장치(30)로부터 수신된 점검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내부에 저장하여 관리한다(S220).
한편, 관리자 단말(20)은 원격지로부터 인터넷과 같은 소정의 통신망 2를 통해서 관리 서버(10)에 접속하여 ID 및 패스워드와 같은 인증 정보를 관리 서버(10)로 전송한다(S230).
관리 서버(10)는 관리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자를 인증하고(S232), 인증된 관리자 단말(20)로 소정의 구조물 점검 메뉴를 전송하여 관리자에게 표시한다(S234).
관리자 단말(20)은 관리자로부터 표시된 점검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 서버(10)로 전송하고(S240), 관리 서버(10)는 선택 메뉴에 대응되는 점검 데이터 등을 판독하여 관리자 단말(20)로 전송하며(S242), 관리자 단말(20)은 관리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점검 데이터 등을 관리자에게 표시한다(S244).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점검 장치(30) 및 구조물 점검 장치(30)에서 수행되는 구조물 점검 방법을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점검 장치(3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점검 장치(30)는 점검 데이터 저장부(31), 도면 데이터 저장부(32), 손상 데이터 저장부(33), 프로그램 저장부(34), 표시부(35), 제어부(36), 입력부(37), 및 송수신부(38)를 포함한다.
점검 데이터 저장부(31)는 구조물의 각 부재별 점검 항목 및 현재까지의 각 항목에 대한 점검 결과등을 저장한다.
도면 데이터 저장부(32)는 구조물의 각 부재별로 각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면 데이터는 각 부재의 특징점에서의 벡터값들로 구성되고, 이 때, 부재의 특징점은 부재의 모서리등과 같은 부재의 선과 점을 구성하는 부분을 일컫는다.
손상 데이터 저장부(33)는 각 부재별로 손상 데이터를 점검 차수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다. 손상 데이터는 각 부재별로 손상의 종류, 손상의 위치, 및 각 특징점에서의 손상의 벡터값들로 구성된다.
프로그램 저장부(3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점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 및 점검자에게 표시될 선택 메뉴와 그래픽 정보등을 저장하고, 본 발명의 구조물 점검 장치(30)가 구동되면 제어부(36)로 저장된 프로그램등을 로딩 한다.
표시부(35)는 도면 데이터 저장부(32)로부터 판독된, 구조물의 각 부재의 특징점의 벡터값들을 이용하여 해당 부재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물 점검 방법이 실행되면, 제어부(36)로부터 점검자에게 표시될 점검 메뉴를 입력받아 점검자에게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입력부(37)는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과 마우스 또는 키보드등의 기타 입력 장치의 결합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부(37)가 터치 패널로만 구현된 경우에, 입력부(37)는 표시부(35)에 출력된 부재의 도면위에 점검자가 펜등을 이용하여 손상부의 위치 및 형성 모양 등을 직접 입력하면, 펜등의 위치를 탐지하여 해당 좌표값을 제어부(36)로 출력한다. 또한, 입력부(37)는 점검자로부터 점검 메뉴에 대한 선택값을 입력받는다.
한편, 입력부(37)가 터치 패널과 마우스등이 결합되어 구현된 경우에, 점검자의 점검 메뉴에 대한 선택값은 터치 패널뿐만 아니라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통해서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36)는 프로그램 저장부(34)로부터 본 발명의 구조물 점검 방법의 실행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고, 점검 메뉴를 표시부(35)로 출력하며 해당 점검 메뉴의 선택값을 입력부(37)로부터 입력받아, 점검 메뉴에 따라 요구되는 데이터를 도면 데이터 저장부(32) 또는 손상 데이터 저장부(33)로부터 판독하여 표시부(35)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36)는 입력부(37)로부터 입력된 좌표값들을 벡터식으로 변환하여 손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손상 데이터를 손상 데이터 저장부 (33)로 출력한다.
도 4 는 도 2 의 제 S210 단계를 설명하는 상세 흐름도이다. 상술한 제 S 204 단계를 수행하면, 구조물 관리 서버(10)로부터 수신된 구조물 점검 항목 및 현재까지의 구조물 점검 이력 데이터는 점검 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되고, 점검 대상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는 도면 데이터 저장부(32)에 저장되며, 현재까지 기록된 구조물의 손상 데이터는 손상 데이터 저장부(33)에 각각 저장되어 있다.
도 4 를 참조하여 제 S210 단계를 설명하면, 점검자가 본 발명의 구조물 점검 장치(30)를 구조물 점검 현장에서 구동하면, 제어부(36)는 프로그램 저장부(34)로부터 실행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고, 점검 데이터 저장부(31)로부터 해당 구조물에 대해서 설정된 구조물 점검 항목 데이터를 판독하여, 표시부(35)를 통해서 점검자에게 구조물 점검과 관련된 점검 메뉴를 표시한다(S402). 점검 메뉴는 구조물 점검과 관련된 다양한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구조물의 각 부재 리스트, 점검 항목 리스트, 및 손상 종류 리스트를 포함하는 점검 메뉴를 점검자에게 표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점검자에게 표시되는 메인 점검 메뉴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메인 점검 메뉴가 표시부(35)를 통해서 점검자에게 출력되면, 점검자는 출력된 점검 메뉴 중 하나를 입력부(37)를 통해서 선택하고, 입력부(37)는 점검자의 선택값을 제어부(36)로 출력한다(S404).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37)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통해서 점검자의 선택값을 입력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블렛 PC 상에서 본 발명의 구조물 점검 방법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점검자가 입력 도구를 이 용하여 터치 패널상에 입력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값을 생성하여 제어부(36)로 출력한다.
제어부(36)는 점검자의 선택값에 따라서 해당 선택값에 대응되는 메뉴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도면 데이터 저장부(32), 손상 데이터 저장부(33), 및 점검 데이터 저장부(31)로부터 판독한다. 이하에서는 구조물의 각 부재의 외관 손상을 점검하고 기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점검자가 구조물의 특정 부재를 선택하면, 제어부(36)는 도면 데이터 저장부(32)로부터 해당 부재의 도면 데이터를 판독하여 표시부(35)로 출력한다(S410).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 데이터는 구조물 부재의 특징점들을 규정하는 벡터값들로 구성되고, 표시부(35)는 벡터값을 이용하여 각 특징점들을 연결함으로써 각 부재의 도면을 표시한다. 이렇게, 각 특징점의 벡터값을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도면은 종래의 그림 파일로 도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과 비교하여 도면의 확대 및 축소시에 해상도의 열화없이 도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면 데이터가 점검자에게 표시된 후, 제어부(36)는 손상 데이터 저장부(33)로부터 해당 부재의 손상 데이터를 각 점검 차수별로 판독하여 표시부(35)로 출력하고, 표시부(35)는 역시 벡터값으로 구성된 손상 데이터를 제 S410 단계에서 표시된 도면 데이터 위에 표시함으로써 점검자에게 출력한다(S412). 상술한 바와 같이, 손상 데이터는 각 점검 차수별로 저장되고, 도면위에 표시되는 손상 데이터는 점검차수 제 1 차부터 가장 최근 차수의 손상 데이터까지 순차적으로 출력되어 점검자는 부재에 형성된 손상이 새롭게 발생한 것인지 또는 종래에 발생한 손상이 보 수되지 않은 것인지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손상 데이터가 출력된 후, 제어부(36)는 점검자가 출력된 손상의 종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자에게 현재 출력된 도면상에 표시된 손상의 종류를 나타내는 손상 정보 창을 표시한다(S414).
제어부(36)는 손상 데이터가 출력된 후, 점검자가 당해 점검 차수에 발생된 손상 데이터를 입력하기 편리하도록,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물의 각 부재에 발생 가능한 손상의 종류들을 나타내는 손상 도구 창을 표시부(35)를 통해서 점검자에 출력하고, 입력부(37)를 통해서 점검자로부터 손상 도구 창에 표시된 손상의 종류 중 하나를 선택한 선택값을 입력 받는다(S416). 손상 도구 창은 콘크리트, 강재, 디지털 자료로 대분류되어 있고,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균열, 망상 균열, 박리/파손, 누수, 백태 등과 같은 세부 손상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검자가 세부 손상 항목을 선택한 후, 실제 구조물의 부재상에 손상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되는, 표시부(35)에 출력된 부재 도면의 위치에, 펜등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손상부의 위치 및 손상부가 형성된 모양 등을 입력하면, 입력부(37)는 점검자가 이용한 펜등의 위치를 검출하여 점검자가 지정한 손상부의 위치 및 손상부의 모양의 좌표값을 생성하여 제어부(36)로 출력한다(S418).
제어부(36)는 제 S416 단계에서 선택된 손상의 종류에 대응되는 모양(도 6b 에 도시된 각 손상의 정형적인 모양을 칭함)의 도면 데이터를 제 S418 단계에서 입력된 좌표값과 함께 표시부(35)로 출력하고, 표시부(35)는 제어부(36)로부터 입력 된 손상의 정형적 모양의 도면 데이터를 제어부(36)로부터 입력된 좌표값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한다(S420).
한편, 점검자가 입력 도구를 이용하여 도면상에 직접 입력한 손상 내용을 보다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제어부(36)는 점검자에게 표시된 손상의 주요 특징점에 대응되는 좌표값을 표시부(35)를 통해서 점검자에게 표시하고, 입력부(37)를 통해서 점검자로부터 수정값을 입력받는다(S422).
표시부(35)는 손상의 종류 및 수정된 좌표값에 따라서 손상부의 위치 및/또는 모양을 수정한 손상 도면을 각 부재의 도면 위에 재출력한다(S424).
손상 도면이 완성될 때까지 상술한 제 S422 단계 및 제 S424 단계가 반복하여 실행되고, 손상 도면이 완성되면, 점검자는 도 6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점검 차수 관리 메뉴를 선택하고, 입력부(37)를 통하여 현재 입력한 손상 데이터를 저장할 점검 차수 정보를 입력한다(S430). 이 때, 입력되는 점검 차수 정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차수명, 점검 종류, 점검시작일, 점검종료일, 점검년도, 및 점검차수를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들로 구성된다.
점검자가 점검 차수 정보 입력을 완료하면, 제어부(36)는 점검자가 입력한 손상 데이터를 벡터값들로 변경하고, 이를 점검자가 입력한 점검 차수 정보와 연계하여 손상 데이터 저장부(33)로 출력하여 저장한다(S432).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점검 방법에서는 관리자가 손상 데이터를 입력하고 좌표값을 수정한 후, 상술한 제 S430 단계의 점검 차수를 입력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손상 데이터를 입력하기 전에 상술한 제 S430 단계 를 수행하여 점검 차수를 입력하도록 변형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물 점검 방법에 따르면,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 및 점검 데이터를 중앙의 관리 서버에 저장하고, 구조물의 점검시에 휴대 장치로 구현된 점검 장치에 해당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 및 현재까지 점검된 손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검 이력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점검을 수행하고, 점검이 완료되면 점검 데이터를 관리 서버에 다시 업로드하여 저장함으로써, 구조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원격지의 관리자가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구조물의 최근 점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점검 장치는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 및 현재까지의 손상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점검시에 도면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점검자에게 함께 표시하고, 구조물의 손상부를 점검자로부터 구조물의 도면위에 직접 입력받아 손상 데이터로서 저장함으로써, 종래의 점검 현장에서 기록된 손상 데이터를 다시 수작업으로 컴퓨터에 입력하는 불편함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효과가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a) 구조물 점검 장치가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구조물의 도면을 점검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가 상기 구조물의 이전 점검 차수의 손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구조물의 도면 위에 손상 도면을 차례로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가 상기 점검자로부터 상기 구조물에 발생한 손상의 종류 및 위치를 입력받아 상기 구조물의 도면위에 손상 도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가 상기 점검자에게 표시된 손상 도면을 나타내는 손상 데이터를 당해 점검 차수 데이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점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 데이터 및 상기 손상 데이터는 상기 구조물의 각 특징점에서의 벡터값들로 구성되고,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가 상기 벡터값들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구조물의 도면 및 손상 도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점검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가 상기 점검자로부터 손상의 종류를 입력받는 단계;
    (c2)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가 상기 점검자로부터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을 입력받는 단계; 및
    (c3)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가 상기 손상부의 위치에 상기 손상의 종류에 따른 상기 손상 도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점검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는
    상기 구조물의 도면위에 사용자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손상부를 표시하면,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가 상기 입력 수단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점검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가 상기 손상 도면에 표시된 상기 손상부의 특징점의 좌표값을 점검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점검자로부터 상기 좌표값에 대한 수정값을 입력받는 단계;
    (d2)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가 상기 수정값에 따라서 상기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 및
    (d3)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가 상기 변경된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을 벡터값으로 변환하여 손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손상 데이터를 상기 당해 점검 차수 데이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점검 방법.
  6. (a) 구조물 점검 장치가 구조물 관리 서버로부터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가 저장된 상기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구조물의 도면을 점검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가 상기 점검자로부터 상기 구조물에 발생한 손상의 종류 및 위치를 입력받아 상기 구조물의 도면위에 손상 도면을 출력하는 단계;
    (d)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가 상기 점검자에게 출력된 손상 도면을 나타내는 손상 데이터를 당해 점검 차수 데이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e) 상기 구조물 관리 서버가 상기 손상 데이터를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점검 차수 데이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점검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f) 상기 구조물 관리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서 접속한 관리자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에 구조물 점검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g)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점검 메뉴에 대한 선택값을 수신한 상기 구조물 관리 서버가 상기 선택값에 대응되는 구조물 점검 데이터 및 상기 손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점검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는 상기 구조물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구조물의 손상 도면을 나타내는 손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구조물의 이전 점검 차수의 손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구조물의 도면 위에 손상 도면을 차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점검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 데이터 및 상기 손상 데이터는 상기 구조물의 각 특징점에서의 벡터값들로 구성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벡터값들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구조물의 도면 및 손상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점검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점검자로부터 손상의 종류를 입력받는 단계;
    (c2) 상기 점검자로부터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을 입력받는 단계; 및
    (c3) 상기 손상부의 위치에 상기 손상의 종류에 따른 상기 손상 도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점검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는
    상기 구조물의 도면위에 사용자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손상부를 표시하면, 상기 입력 수단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점검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손상 도면에 표시된 상기 손상부의 특징점의 좌표값을 점검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점검자로부터 상기 좌표값에 대한 수정값을 입력받는 단계;
    (d2) 상기 수정값에 따라서 상기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 및
    (d3) 상기 변경된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을 벡터값으로 변환하여 손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손상 데이터를 상기 당해 점검 차수 데이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점검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조물 점검 방법을 컴퓨터에서 판독할 수 있고,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기록한 기록매체.
  14. 각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 점검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구조물 점검 장치로 상기 도면 데이터, 상기 점검 데이터, 및 상기 손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며, 구조물의 점검이 완료된 후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로부터 점검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업로드받아 점검 차수 데이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구조물 관리 서버; 및
    상기 구조물 관리 서버로부터 점검 대상 구조물의 상기 도면 데이터, 점검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점검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점검자로부터 상기 구조물에 발생한 손상의 종류 및 위치를 입력받아 상기 구조물의 도면위에 손상 도면을 출력하며, 상기 점검자에게 출력된 손상 도면을 나타내는 손상 데이터를 당해 점검 차수 데이터와 연계하여 상기 구조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점검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관리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구조물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구조물의 도면 데이터, 점검 데이터, 및 손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자에 표시하는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점검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는 점검 차수에 따라서 차례로 상기 손상 데이터를 상기 구조물의 도면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점검 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 데이터 및 상기 손상 데이터는 상기 구조물의 각 특징점에서의 벡터값들로 구성되고,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는 상기 벡터값들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구조물의 도면 및 손상 도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점검 시스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는
    상기 점검자로부터 손상의 종류를 입력받고,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을 입력받아 상기 손상부의 위치에 상기 손상의 종류에 따른 상기 손상 도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점검 시스템.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점검 장치는
    상기 구조물의 각 부재별로 각 부재의 특징점에서의 벡터값들로 구성되는 도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도면 데이터 저장부;
    각 부재별로 손상의 종류와,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을 나타내는 각 특징점에서의 벡터값들로 구성되는 상기 손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손상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점검자에게 점검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도면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구조물의 도면을 출력하며, 상기 손상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손상 도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출력된 부재의 도면위에 점검자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 등을 직접 입력하면, 상기 입력 수단의 위치를 탐지하여 상기 손상부의 좌표값을 생성하는 입력부; 및
    상기 좌표값을 상기 손상부를 나타내는 벡터식으로 변환하여 손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손상 데이터를 상기 손상 데이터 저장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점검 시스템.
  20. 구조물의 각 부재별로 각 부재의 특징점에서의 벡터값들로 구성되는 도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도면 데이터 저장부;
    각 부재별로 손상의 종류와,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을 나타내는 각 특징점에서의 벡터값들로 구성되는 손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손상 데이터 저장부;
    점검자에게 점검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도면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구조물의 도면을 출력하며, 상기 손상 데이터에 따라서 손상 도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출력된 부재의 도면위에 점검자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손상부의 위치 및 모양 등을 직접 입력하면, 상기 입력 수단의 위치를 탐지하여 상기 손상부의 좌표값을 생성하는 입력부; 및
    상기 좌표값을 상기 손상부를 나타내는 벡터식으로 변환하여 손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손상 데이터를 상기 손상 데이터 저장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점검 장치.
KR1020060020983A 2006-03-06 2006-03-06 구조물 점검 방법 및 장치 KR100813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983A KR100813563B1 (ko) 2006-03-06 2006-03-06 구조물 점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983A KR100813563B1 (ko) 2006-03-06 2006-03-06 구조물 점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455A KR20070091455A (ko) 2007-09-11
KR100813563B1 true KR100813563B1 (ko) 2008-03-17

Family

ID=3868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983A KR100813563B1 (ko) 2006-03-06 2006-03-06 구조물 점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5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046B1 (ko) 2019-12-04 2020-05-18 (주) 다음기술단 시설물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 방법
KR102387717B1 (ko) 2021-12-14 2022-04-18 (주) 다음기술단 드론 촬영 및 사진첩 기법을 이용한 시설물 손상 진단 및 점검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408A1 (ko) * 2017-11-22 2019-05-31 정현호 건축물 안전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87095B1 (ko) * 2017-11-22 2018-08-09 정현호 건축물 안전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39666B1 (ko) * 2018-08-06 2019-11-01 (주)바인테크 사고예방용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916A (ko) * 1997-05-30 1998-12-05 이정국 교량의 유지보수 이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9980085913A (ko) * 1997-05-30 1998-12-05 이정국 설계 도면 데이터를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방법
KR20040085441A (ko) * 2003-03-31 2004-10-08 (주)안세기술 피디에이를 이용한 엔지니어링 현장업무 지원 시스템 및그 방법
JP2004324165A (ja) 2003-04-23 2004-11-18 Nishimatsu Constr Co Ltd 建物検査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916A (ko) * 1997-05-30 1998-12-05 이정국 교량의 유지보수 이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9980085913A (ko) * 1997-05-30 1998-12-05 이정국 설계 도면 데이터를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방법
KR20040085441A (ko) * 2003-03-31 2004-10-08 (주)안세기술 피디에이를 이용한 엔지니어링 현장업무 지원 시스템 및그 방법
JP2004324165A (ja) 2003-04-23 2004-11-18 Nishimatsu Constr Co Ltd 建物検査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046B1 (ko) 2019-12-04 2020-05-18 (주) 다음기술단 시설물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 방법
KR102387717B1 (ko) 2021-12-14 2022-04-18 (주) 다음기술단 드론 촬영 및 사진첩 기법을 이용한 시설물 손상 진단 및 점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455A (ko) 2007-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0365B2 (en) Workflow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distributing and publishing content
US8964206B2 (en) Printing device, management device and management method
KR100813563B1 (ko) 구조물 점검 방법 및 장치
JP6504234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359324B (zh) 一种基于bim的数字化建筑审图方法及装置
KR20140074892A (ko) 제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역할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0802699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ort Assistance
JP2012221190A (ja) 図面管理サーバ、図面管理プログラム、及び図面管理システム
JP201415380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停止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094785A1 (en) Application program, smar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4696960B2 (ja) ジョブ定義確認システム、そ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376333B (zh) 文件审批方法、介质、装置和计算设备
US20080011819A1 (en) Verification of hit testing
JP2004310616A (ja) 点検システム、サーバ、端末装置及び記憶媒体
JP2009134673A (ja) Gui画面操作シーケンス検証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09503B2 (en) Content development device
JP655216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420099B2 (ja) デバイス管理装置、デバイス管理方法及びデバイス管理プログラム
JP4663375B2 (ja) プラント点検システム、プラント点検方法、およびプラント点検プログラム
JP6626946B1 (ja) テスト支援システム、テスト支援方法及びテスト支援プログラム
US10644939B2 (en) Decision service manager
US6993565B1 (en) Service processor control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service processor control program
JP5217762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961218B2 (ja) テストケース自動作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994824B2 (ja) 端末装置、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