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298B1 - 강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를위한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강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를위한 약학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13298B1 KR100813298B1 KR1020060112397A KR20060112397A KR100813298B1 KR 100813298 B1 KR100813298 B1 KR 100813298B1 KR 1020060112397 A KR1020060112397 A KR 1020060112397A KR 20060112397 A KR20060112397 A KR 20060112397A KR 100813298 B1 KR100813298 B1 KR 1008132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titis
- pharmaceutical composition
- extract
- maxim
- treatm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7—Notopterygi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활 (Angelica koreana Maxim = Angelica genuflexa) 추출물을 포함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물을 주원료로 생체에 부작용이 없는 무독성, 무잔류성의 제제로서, 비유기/건유기와 무관하게 급성형 유방염, 만성형 유방염 또는 준임상형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항생제에 내성이 생긴 유방염 원인균 및 다양한 세균 등에 효과를 발휘하며, 천연물을 사용하여 휴약 기간 없이 비유기 사용이 가능하고, 유방이 부어오르거나 발열 등의 부작용이 없는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전하며, 원유의 총세균수 및 체세포 수를 감소시키고, 유량 생산은 증가시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젖소 농가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젖소 유방염, 강활 추출물, 나노실버액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활 (Angelica koreana Maxim = Angelica genuflexa) 추출물을 포함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국민소득의 증가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관련하여 우유 및 유제품의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는 등 축산 식품의 소비량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1965년 낙농진흥법에 의하여 연간 10 ~ 15%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IMF 이후 연간 6 ~ 7%로 소비증가가 약간 감소하기는 했으나 여전히 증가 추세에 있다 (한국낙농육우협회; http://www.naknong.or.kr). 이러한 추세는 우유가 가족의 건강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소비자들이 전체의 94.2%로 조사되어 소비자들의 인식이 건강을 중요하게 여기는 웰빙 트렌드와도 관련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우유소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는 가격의 인하 (26.9%) 보다는 품질과 맛의 개선 (32.4%)이 더 중요하며, 엄격한 위생 관리 (15.9%) 등도 중요한 것으 로 조사되어 (조석진 외, 우유의 구매 및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우유낙농협회, 2000), 우유 소비량의 증가와 함께 위생적으로 안전하고, 보다 품질 좋은 우유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품질 좋은 우유는 원유의 품질에서 결정된다. 원유의 평가는 영양 성분 등의 함량과 우유 내 총 세균수, 체세포수와 같은 젖소 유방의 건강 상태와 관련된 요소 등에서도 결정된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원유 등급제는 1996년 7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이반 세균수와 체세포수에 의한 차등가격제이다. 즉, 일반 원유검사항목 (축산물위생처리법 원유검사 기준)에 합격한 원유로서 세균수와 체세포수에 의해 유대가 차등 지급되고 있다. 1등급 A원유는 세균수 3만 미만, 체세포수 20만 미만 (1 ㎖ 기준)에 해당되며, 최하등급은 세균수와 체세포수가 모두 50만을 초과하는 원유로 분류하고 있다 (한국낙농육우협회).
유방염에 감염된 젖소의 우유에는 세균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체세포수의 증가 등 유성분에도 극적인 변화가 초래되므로 유질이 현저히 저하된다. 또한, 우유 생산량의 감소와 유질 저하로 인한 유대 손실, 우유 폐기, 젖소 도태, 치료비 부담 등으로 인하여 경제적 손실을 야기 시킨다. 특히, 준임상형 유방염의 경우 산유량이 10% 이상 감소시키기도 한다.
젖소의 유방염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여러 가지 미생물 감염에 의하여 유선 조직에 염증이 생긴 것으로, 유방염의 원인균으로는 스트렙토아이세스 오레우스 (Streptomyces aureus), 스트렙토마이세스 에피더미티드스(S. epidermitidis), 스트렙토코커스 속 (Streptococcus spp) 등 이고, 액티노마이세스 파이오게네스(Actinomyces pyogenes), 펩토코커스 인돌리쿠스(Peptococcus indolicus) 및 미호기성 그람양성구균, 대장균도 관여하고 있으며, 기타 마이코플라즈마 (Mycoplasma)성 유방염과 소 파라인풀루엔자 3 (Parainfluenza 3), 렙토스피 라 (Leptospira), 부루셀라 (Bucella)균, 결핵균 등의 감염증에 동반하여 유방염이 발생하고 있다 (주이석, 젖소 유방염과 착유기, 농촌진흥청 수의과학연구소, 1997). 이러한 유방염은 하나의 균주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복합적인 균주에 의해 발생한다.
종래 유방염의 치료에는 겐타마이신 (Gentamicin), 노르플록사신 (Norfloxacin), 엔로플록사신 (Enrofloxacin) 등의 항생제 및 화학요법제가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대부분 건유기용과 비유기용으로 구분되어 적용되었고, 주로 연고상의 약제를 유두구를 통해 유방내로 주입해서 치료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치료 방법은 항생제의 사용으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내성균의 출현으로 인체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비항생제 약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종래의 항생제 및 화학요법제는 비유기에 투여할 경우 원유 및 젖소 체내의 약물잔류문제로 투여 후 반드시 별도의 휴약 기간이 필요하며, 이 기간 동안은 우유를 납품할 수 없어 농가의 수익에 막대한 지장을 주기도 한다.
또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불러 일으켜 유방염이 재발할 시 질병의 치료를 더욱 어렵게 할 수 있으며, 착유량의 감퇴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 외에도, 종래 연고상 유방염 치료제는 기제로 유성 물질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우유 중에 기름이 뜨는 경우 이로 인한 우유의 손실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강활 (Algelica Koreana Maxim = A. genuflexa)은 동의보감 등에서 산한, 산풍, 제습, 지통, 도통, 풍습 비통, 견배산통을 다스리는 약재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특히, 구미강활탕은 육과준승방으로 동의보감 및 의학입문에 수록된 처방으로 사시를 막론하고 감모풍한일 때 응용되는 생약복합제 중 하나이다. 보고된 바에 따르면, 강활은 진통, 해열, 진경작용 등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약한 진통 작용이 있으며, 혈소판 응집억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항염증작용의 결과도 최근 보고되고 있다 (문영희 등, 생약학회지 30(1) : 18~24, 1999).
강활의 학명은 Angelica koreana Maxim (1985)으로, 강활은 명명된 후 1935년에는 Ostericum 속으로 소속시켜 Ostericum koreana Kitagawa로 명명되었다. 이어서 1971년에는 Angelica koreana Maxim의 syntype을 검토한 결과 이것이 강활이 아니고 산김채 (O. grosseserratum Kitagawa)로 명명하였다 (석규덕 등, 생약학회지 7(1) : 25~33, 1976). 한국에서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강활은 A. koreana 또는 O. grosseserraum도 아닌 ITS법 (internal transcribed spacers)에 의한 DNA 분석결과 왜천궁 (A. geneflexa)으로 판명되었다 (선병윤 등, 한국산 산형과 묏미나리속 식물의 계통, 식물분류학회지, 30(2), 2000).
따라서, 국내에서 자생되고 있는 강활은 개강활, 북강활, 남강활, 지리강활 등으로 혼용되어 사용하고 있으므로 실제 사용 시에는 정확한 감정이 따라야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천연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방염 치료제의 연구를 계속한 결과, 강활 (Angelica koreana Maxim) 추출물이 유방염의 주 원인균인 스테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살모넬라 엔테리카 (Salmonella enterica), 스트렙토코코스 파이로젠 (Streptococcus pyrogenes), 에스케리키아 콜라이 (Escherichia coli) 등에 유의성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강활 (Angelica koreana Maxim) 추출물을 포함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활 (Angelica koreana Maxi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강활 추출물은 물 및 메탄올,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활 추출물에 더하여 나노실버제제를 추가로 첨가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나노실버제제는 농도가 50 ~ 1,000 ppm/0.45 ℓ인 나노실버액을 5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중량%의 범위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활 추출물을 0.01 내지 50중량% 범위의 유효량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중량% 범위의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젖소 유방염은 급성형 유방염, 만성형 유방염 또는 준임상형 유방염 등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강활 (Angelica koreana Maxim)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활을 채집하여 건조하고 세절한 후, 강활 시료 중량의 약 2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7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및 메탄올, 에탄올의 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약 0.01 : 0.99 내지 1 : 9 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을 가하여 70 내지 90℃에서 약 1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진공여과에 의해 상층액을 회수한 다음, 상기의 과정을 2 내지 7회, 바람직하게는 4회 반복 수행하여 상층액을 수집하고 감압 농축하여 강활 조추출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법으로 얻어진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젖 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강활은 오랫동안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들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절한 부형제와 혼합하거나 희석제로 희석하여 젖소의 착유 시 발생하는 유방의 각종 염증과 노화에 따른 유방상피세포의 손상 등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는데, 강활 추출물 0.01 내지 50중량% 및 약제학적으로 가능한 부형제를 함유하는 유방 도포용 연고제로 제조하거나, 강활 추출물을 0.01 내지 50중량%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희석제를 함유하는 유두 삽입용 주사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강활 추출물이 수용성 용매에 완전하게 포화되지 아니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폴리소르베이트와 폴레에틸렌글리콜 등의 유화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연고제가 유방 내부에 점착되었을 때 적절하게 유착될 수 있도록 점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등의 점도 강화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상기에 더하여 650여 가지의 균주에 대하여 항균 및 살균력이 있으며, 내성이 없다고 알려진 나노실버제제를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방법은 통상의 항생제 투여 방법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유방 내 주입 방법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젖소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1일 1 g/1 실린지 내지 30 g/1 실린지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5일 내지 7일 연속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강활 추출물의 제조
구입한 강활 1 ㎏을 세절한 후, 메탄올 5 ℓ를 가하여 환류 냉각을 하면서 8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진공 여과하여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상기 과정을 4회 반복하여 상층액을 모은 후, 감압 농축하여 강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제예 (1) - 나노실버액을 포함하는 제제
조제 탱크 1 에 100 g의 폴리소르베이트 20과 300 g의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을 투입하고, 80℃로 유지하면서 20분간 가열한 후, 상기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강활 추출물 40 g 넣고 20분간 가온하면서 호모믹서와 패들 교반을 사용하여 잘 혼합한 다음,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05#과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5# 및 세토스테아릴알코올을 각각 14 g씩 투입하고, 모든 성분들이 용해될 때까지 잘 혼합하였다.
조제 탱크 2 에는 나노실버액 1,316.8 g과 안식향산나트륨을 1.2 g을 투입한 후, 80℃에서 30분간 가열하면서 호모믹서와 패들 교반으로 잘 혼합하고, 상기 성분이 충분히 용해되면 상기 조제 탱크 1 의 수용성 혼합물과 혼합한 다음 8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냉각하여 제품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3. 제제예 (2) - 나노실버액을 포함하지 아니하는 제제
본 발명에서는 나노실버액이 첨가된 상기 실시예 2 의 대조 실험으로, 상시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나노실버액 대신 생리 식염수를 동일한 양으로 첨가하여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강활 추출물의 항균 활성 확인
본 발명에 따른 강활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방염의 대표 적인 원인균인 스테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살모넬라 엔테리카 (Salmonella enterica ATCC 2931), 스트렙토코코스 파이로젠 (Streptococcus pyrogenes ATCC 3096), 에스케리키아 콜라이 (Escherichia coli ATCC 8739)의 균주를 트립틱 소이 액체배지 (Tryptic soy broth; TSB)에 접종하여 35℃ 배양기에서 24 시간 정도 배양하여 활성화시켰다.
상기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강활 추출물 1 g을 1% 에탄올 용액에 녹여 30분 정도 초음파 진탕을 하여 표준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의 농도는 1 ㅧ 10-1 g/㎖ 이며, 상기 표준용액을 1% 에탄올 용액으로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10, 100, 500, 1000배 희석한 시험 검액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시험 검액을 시험관에 4.5 ㎖씩 분주하고, 상기 균액을 0.5 ㎖씩 분주하여 최종 접종 농도를 105 cfu/㎖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잘 혼합하여 35℃ 배양기에서 하루 동안 배양하고, 생리식염수로 10배 단계씩 희석하여 각각의 희석액을 1 ㎖씩 페트리디쉬에 취한 후 고압 멸균한 한천배지를 50℃ 정도로 냉각하여 페트리디쉬에 분주하였다. 이때 스테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 (A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와 살모넬라 엔테리카 (Salmonella enterica ATCC 2931)는 대두유 카제인 배지 (Tryptic Soy Agar)에서, 스트랩토코코스 파이로젠 (Streptococcus pyrogenes ATCC 3096)은 BHI 배지 (Brain Heart Infusion Agarl BHIA), 에스케리키아 콜라이 (Escherichia coli ATCC 8739)는 에오신 메틸렌 블루 배지 (Eosine Methylene Blue Agar; EMB)를 사용하였다.
분주된 페트리디쉬는 배양기에서 하루 내지 이틀 후 균의 성장 여부 및 균수를 측정하였다.
하기의 표 1 및 표 2 는 대조군 및 본 발명에 따른 강활 추출물을 1% 에탄올에 녹여 희석한 표준 용액의 항균 활성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모든 실험에 대해 3회 이상 반복하여 실험한 결과임).
[표 1]
(단위: cfu/㎖)
대조군 | 초기 | 1일 배양 | 2일 배양 |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 1.8 × 105 | 1.8 × 105 | 2.4 × 105 |
Salmonella enterica ATCC 2931 | 2.2 × 105 | 1.3 × 105 | 2.8 × 105 |
Streptococcus purogenes ATCC 3096 | 2.0 × 105 | 5.0 × 104 | 7.0 × 104 |
E. coli ATCC 8739 | 3.8 × 105 | 5.8 × 105 | 3.2 × 105 |
[표 2]
(단위: cfu/㎖)
실험군 | 초기 | 1일 배양 | 2일 배양 |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 2,5 × 105 | 검출되지 않음 | 검출되지 않음 |
Salmonella enterica ATCC 2931 | 1.7 × 105 | 검출되지 않음 | 검출되지 않음 |
Streptococcus purogenes ATCC 3096 | 8.2 × 104 | 검출되지 않음 | 검출되지 않음 |
E. coli ATCC 8739 | 3.2 × 105 | 검출되지 않음 | 검출되지 않음 |
상기 표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 (1% 에탄올 용액)에서는 모든 균주 의 총균수가 증가하였으나, 표준 용액을 10 배 희석한 실험군에서는 하루 만에 모든 균이 검출되지 아니하였다 (표 2 참조).
또한, 검체의 농도를 희석하여 각각의 균주의 성장이 검출되지 않는 최소 농도를 확인한 결과, 시험 균주 모두 1 × 10-5 g/㎖ 농도에서도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표 3 참조).
[표 3]
Staphylococcus | Strpeococcus pyogenes | Salmonella enterica subsp . enterica | |
실험군 | < 1 × 10-5 g/㎖ | < 1 × 10-5 g/㎖ | < 1 × 10-5 g/㎖ |
대조군 | 균주 성장 | 균주 성장 | 균주 성장 |
실험예 2. 제제의 항균 활성 확인
상기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에서 제조한 제품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항균 실험을 실시하였다.
유방염의 대표적인 원인균인 스테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 살모넬라 엔테리카, 스트렙토코코스 파이로젠,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의 균주를 대두 카제인 소화액체 배지 (TBS)를 사용하여 35℃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여 활성화시켰다.
상기 실시예 2 와 3 에서 제조한 제제를 시험관에 각각 4.5 ㎖씩 분주하여 최종 접종 농도를 105 cfu/㎖로 조절하고, 잘 혼합하여 배양기에서 하루 동안 배양한 후 생리 식염수로 10배씩 단계적으로 희석하였다.
상기 희석액을 1 ㎖씩 페트리디쉬에 취하고, 50℃로 냉각한 고압 멸균한 한 천 배지를 상기 페트리디쉬에 분주하였다. 이때 스테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와 살모넬라 엔테리카는 대두유 카제인 배지, 스트랩토코코스 파이로젠은 BHI 배지, 에스케리키아 콜라이는 EMB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분주된 페트리디쉬는 배양기에서 하루와 이틀 후 균의 성장여부 및 균수를 확인하였다.
[표 4]
(단위: cfu/㎖)
대조군 | 초기 | 1일 배양 | 2일 배양 |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 1.6 × 105 | 1.9 × 105 | 2.4 × 105 |
Salmonella enterica ATCC 2931 | 1.7 × 105 | 2.1 × 105 | 3.7 × 105 |
Streptococcus purogenes ATCC 3096 | 1.2 × 105 | 3.7 × 104 | 7.8 × 104 |
E. coli ATCC 8739 | 3.4 × 105 | 4.9 × 105 | 4.5 × 105 |
[표 5]
(단위: cfu/㎖)
실험군 | 초기 | 1일 배양 | 2일 배양 |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 2.5 × 105 | 검출되지 않음 | 검출되지 않음 |
Salmonella enterica ATCC 2931 | 1.7 × 105 | 9.4 × 103 | |
Streptococcus purogenes ATCC 3096 | 8.2 × 104 | 2.0 × 100 | 검출되지 않음 |
E. coli ATCC 8739 | 3.2 × 105 | 3.4 × 102 | 검출되지 않음 |
[표 6]
(단위: cfu/㎖)
실험군 | 초기 | 1일 배양 | 2일 배양 |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 3.3 × 105 | 검출되지 않음 | 검출되지 않음 |
Salmonella enterica ATCC 2931 | 2.7 × 105 | 2.9 × 104 | 9.1 × 100 |
Streptococcus purogenes ATCC 3096 | 5.1 × 104 | 2.0 × 100 | 검출되지 않음 |
E. coli ATCC 8739 | 3.9 × 105 | 1.8 × 103 | 5.0 × 100 |
상기 표 4 내지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제의 항균 실험 결과이다. 표 4 의 대조군 (생리 식염수 사용)의 경우, 모든 균주의 총균수가 증가하였으나, 실험군에서는 스테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 및 스트렙토코코스 파이로젠은 검출되지 아니하였으며, 검출된 다른 균주 역시 초기의 균수보다 105 배 감소하였다. 또한, 상기 결과는 나노실버액의 첨가 유무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표 5, 6 참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제제가 유방염의 주요 원인균들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체세포 수 검사 (1)
본 발명의 제제예에 따른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방염 테스트를 실시하고, 체세포 수를 조사하였다.
유방염이 발생하면 유선 조직의 염증으로 인해 원유 내에 다량의 체세포가 검출되는데 이러한 체세포 수를 측정하여 유방염을 진단하는 방법을 체세포 수 검사법이라고 한다.
원유출하가 불가능한 체세포 수 70만 이상의 젖소를 대상으로 총 10 곳의 목 장에서 10 마리의 젖소, 총 12 분방에 대해 상기 실시예 3 에서 제조한 제품을 착유 후 1일 2회 총 6일 동안 10㎖씩 유두구를 통해 주입 투여하였으며, 투여시작 전부터 투여시작 후 7일 동안 매일 체세포 수를 측정하고, 마지막 14일째 완치 유무를 판단하였다.
[표 7]
(단위: 만)
분방 | 초기 | 1일 | 2일 | 3일 | 4일 | 5일 | 6일 | 7일 | |
1 목장 | 분방 1 | 73 | 889 | 681 | 310 | 120 | 50 | 45 | 21 |
분방 2 (정상) | 15 | 59 | 26 | 13 | 12 | 12 | 8 | 6 | |
2 목장 | 분방 3 | 219 | 729 | 693 | 552 | 370 | 221 | 89 | 43 |
분방 4 (정상) | 23 | 38 | 53 | 31 | 19 | 15 | 14 | 12 | |
3 목장 | 분방 5 | 186 | 490 | 520 | 420 | 310 | 167 | 83 | 29 |
4 목장 | 분방 6 | 82 | 150 | 142 | 121 | 119 | 101 | 89 | 89 |
5 목장 | 분방 7 | 101 | 450 | 480 | 310 | 229 | 131 | 69 | 12 |
6 목장 | 분방 8 | 91 | 760 | - | - | 650 | 360 | 220 | 94 |
7 목장 | 분방 9 | 167 | 390 | 380 | 210 | 98 | 88 | 52 | 27 |
8 목장 | 분방 10 | 75 | 550 | 369 | 210 | 406 | 399 | 251 | 71 |
9 목장 | 분방 11 | 231 | 769 | 531 | 360 | 220 | 167 | 123 | 44 |
10 목장 | 분방 12 | 194 | 150 | 120 | 176 | 119 | 96 | 52 | 13 |
목장 1 과 2 의 정상 젖소를 제외한 체세포 70만 이상의 유방염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젖소에서 본 발명의 제제예에 따른 제품을 투여한 지 1일 혹은 2일째 되는 날부터 찌꺼기 등을 포함한 농이 원유에 상당 수 배출되었다. 또한, 농이 배출되기 시작한 2일째부터는 농이 더 이상 배출되지 아니하였으며, 그 이후부터 체세포 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제제예에 따른 제품이 유방 내부에 주입되었을 때 나노실버 및 강활 추출물에 의해 유선조직 및 상피세포 등이 살균 효과 등을 나타내면서 죽은 백혈구 등과 세포 조직들이 배출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농의 배출 이후에는 세포 조직들이 수복되고, 염증이 완화되면서 체세포 수가 완화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8번 목장의 젖소에서는 2일째 농이 배출되기 시작하고, 점차 체세포 수가 감소하다가 4일째 (총 8회 주입) 이후 약간의 미열이 있었으며, 7일 후에도 처음의 체세포 수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정상 젖소를 제외한 유방염으로 판단된 10마리 젖소 중 처음 원유에서 확인된 체세포 수보다 치료 후 2 주에 확인하였을 때 유의적인 감소 효과가 있는 젖소는 모두 7마리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4. 체세포 수 검사 (2)
상기 실시예 3 에서 제조한 제품을 사용하여, 상기 실험예 3 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는 표 8 에 명시하였다.
즉, 원유 출하가 불가능한 체세포 수 70만 이상의 젖소를 대상으로, 총 7 곳의 목정에서 모두 11 마리의 젖소, 총 11 분방에 대해 상기 실시예 3 에서 제조한 제품을 착유 후 1일 2회 10 ㎖씩 총 8일간 유두구를 통해 주입 투여하였으며, 투여시작 전부터 투여시작 후 9일 동안 매일 체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표 8]
(단위: 만)
분방 | 초기 | 1일 | 2일 | 3일 | 4일 | 5일 | 6일 | 7일 | 8일 | 9일 | |
A목장 | 분방 1 | 83 | 128 | 276 | 750 | 720 | 439 | 289 | 148 | 72 | 12 |
분방 2 (정상) | 27 | 33 | 50 | 46 | 33 | 31 | 28 | 25 | 22 | 21 | |
B목장 | 분방 3 | 450 | 218 | 182 | 1,250 | 1,300 | 850 | 459 | 224 | 128 | 80 |
분방 4 (정상) | 43 | 75 | 56 | 45 | 42 | 38 | 40 | 34 | 38 | 40 | |
C목장 | 분방 5 | 92 | 72 | 304 | 464 | 688 | 676 | 359 | 249 | 128 | 32 |
D목장 | 분방 6 | 146 | 513 | 860 | 804 | 763 | 493 | 469 | 288 | 159 | 91 |
분방 7 | 245 | 234 | 161 | 370 | 922 | 644 | 385 | 220 | 152 | 78 | |
E목장 | 분방 8 | 89 | 150 | 643 | 707 | 529 | 339 | 171 | 127 | 85 | 33 |
F목장 | 분방 9 | - | 1,200 | 1,700 | - | 875 | 689 | 526 | 497 | 367 | 132 |
분방 10 | 138 | 877 | 991 | 805 | 644 | 501 | 328 | 144 | 120 | 45 | |
G목장 | 분방 11 | 78 | 170 | 282 | 543 | 890 | 592 | 352 | 132 | 52 | 15 |
상기 표 8 에서 보듯이, 목장 A 와 B 의 정상 젖소를 제외한 체세포 70만 이상의 유방염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젖소에서 본 발명의 제제예에 따른 제품을 투여 후 초기에는 찌꺼기 등을 포함한 농이 배출되었으며, 배출 시기는 상기 실험예 3 보다 2 ~ 3일 정도 지연되었으나 농이 배출되기 시작한 다음부터는 농이 감소되었고, 그 이후부터 체세포 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체세포 수 감소 역시 상기 실험예 3 의 결과보다 지연되었으며, 전체적인 감소기간도 실험예 3 과 비교하여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강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은 나노실버액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은 천연물을 주원료로 생체에 부작용이 없는 무독성, 무잔류성의 제제로서, 비유기/건유기와 무관하게 급성형 유방염, 만성형 유방염 또는 준임상형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항생제에 내성이 생긴 유방염 원인균 및 다양한 세균 등에 효과를 발휘하며, 천연물을 사용하여 휴약 기간 없이 비유기 사용이 가능하고, 유방이 부어오르거나 발열 등의 부작용이 없는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전하며, 원유의 총세균수 및 체세포 수를 감소시키고, 유량 생산은 증가시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젖소 농가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 강활 메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강활 메탄올 추출물에 더하여, 나노실버제제를 더 첨가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나노실버제제는 농도가 50 ~ 1,000 ppm/0.45 ℓ인 나노실버액을 10 내지 60 중량%의 범위로 포함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강활 메탄올 추출물은 0.1 내지 30중량%로 포함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젖소 유방염은 급성형 유방염, 만성형 유방염 또는 준임상형 유방염인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2397A KR100813298B1 (ko) | 2006-11-14 | 2006-11-14 | 강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를위한 약학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2397A KR100813298B1 (ko) | 2006-11-14 | 2006-11-14 | 강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를위한 약학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13298B1 true KR100813298B1 (ko) | 2008-03-13 |
Family
ID=3939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12397A KR100813298B1 (ko) | 2006-11-14 | 2006-11-14 | 강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를위한 약학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13298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99906A (zh) * | 2013-03-04 | 2013-05-15 | 滕绍然 | 一种治疗急性乳腺炎的中药组合物 |
CN103110021A (zh) * | 2013-03-08 | 2013-05-22 | 湖南农业大学 | 一种对哺乳母猪具有突出催奶作用的中草药预混剂及含该预混剂的饲料 |
CN104800420A (zh) * | 2015-04-18 | 2015-07-29 | 臧海阳 | 一种治疗正虚邪恋型急性乳腺炎的中药组合物 |
CN104814998A (zh) * | 2015-05-16 | 2015-08-05 | 朱蕾 | 一种治疗妇科炎症的中药组合物 |
CN105250713A (zh) * | 2015-11-17 | 2016-01-20 | 焦桂秀 | 一种护理治疗热毒炽盛型乳痈的药物及制备方法 |
CN103948674B (zh) * | 2014-05-04 | 2017-06-27 | 中国农业科学院兰州畜牧与兽药研究所 | 一种奶牛专用护乳膏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07362193A (zh) * | 2017-07-25 | 2017-11-21 | 上海中医药大学附属曙光医院 | 防治初期急性乳腺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07929439A (zh) * | 2018-01-01 | 2018-04-20 | 曹春利 | 一种治疗急性乳腺炎的中药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1424B1 (ko) * | 2005-02-01 | 2006-01-11 | 황성연 | 항염증성 생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060110600A (ko) * | 2005-04-21 | 2006-10-25 | (주)한샘건강 | 은나노 용액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KR20060118809A (ko) * | 2005-05-17 | 2006-11-24 | 김정진 | 생약재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
-
2006
- 2006-11-14 KR KR1020060112397A patent/KR10081329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1424B1 (ko) * | 2005-02-01 | 2006-01-11 | 황성연 | 항염증성 생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060110600A (ko) * | 2005-04-21 | 2006-10-25 | (주)한샘건강 | 은나노 용액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KR20060118809A (ko) * | 2005-05-17 | 2006-11-24 | 김정진 | 생약재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Natural product Science 11(1), pp.16-21, 2005 *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99906A (zh) * | 2013-03-04 | 2013-05-15 | 滕绍然 | 一种治疗急性乳腺炎的中药组合物 |
CN103110021A (zh) * | 2013-03-08 | 2013-05-22 | 湖南农业大学 | 一种对哺乳母猪具有突出催奶作用的中草药预混剂及含该预混剂的饲料 |
CN103948674B (zh) * | 2014-05-04 | 2017-06-27 | 中国农业科学院兰州畜牧与兽药研究所 | 一种奶牛专用护乳膏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04800420A (zh) * | 2015-04-18 | 2015-07-29 | 臧海阳 | 一种治疗正虚邪恋型急性乳腺炎的中药组合物 |
CN104814998A (zh) * | 2015-05-16 | 2015-08-05 | 朱蕾 | 一种治疗妇科炎症的中药组合物 |
CN105250713A (zh) * | 2015-11-17 | 2016-01-20 | 焦桂秀 | 一种护理治疗热毒炽盛型乳痈的药物及制备方法 |
CN107362193A (zh) * | 2017-07-25 | 2017-11-21 | 上海中医药大学附属曙光医院 | 防治初期急性乳腺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07362193B (zh) * | 2017-07-25 | 2021-05-28 | 上海中医药大学附属曙光医院 | 防治初期急性乳腺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07929439A (zh) * | 2018-01-01 | 2018-04-20 | 曹春利 | 一种治疗急性乳腺炎的中药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3298B1 (ko) | 강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를위한 약학조성물 | |
TW201212935A (en) | Antimicrobial agent | |
US20120201904A1 (en) |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a salt and sugar as active ingredient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aginosis and the use thereof | |
Peng et al. | Polyphenols and tri-terpenoids from Olea europaea L. in alleviation of enteric pathogen infections through limiting bacterial virulence and attenuating inflammation | |
Gupta et al. | Essential oils and mastitis in dairy animals: a review. | |
KR101483749B1 (ko) | 비타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항균제 조성물 | |
WO2012131732A1 (en) | A synergistic herbal extract composition for use in treating and preventing mastitis | |
CN104257684A (zh) | 奶牛乳头药浴涂膜剂及其制备方法 | |
Hassan et al. | Prevalence of yeast infections in small in ruminants with particular references to their treatment by some natural herbal extracts | |
US20210128695A1 (en) | Ovotransferrin treatment for the reproductive tract | |
CN105661025A (zh) | 一种降低奶牛体细胞数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 |
CN106267193A (zh) | 一种用于治疗奶牛乳腺炎的药物注入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LV15071B (lv) | Kompozīcija subklīniska mastīta ārstēšanai govīm | |
US9408868B2 (en) |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a combination of sodium chloride and glucose as active ingredients for treating vaginosis and the use thereof | |
KR20100089394A (ko) |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20220069727A (ko) | 불가사리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
Dahikar et al. | Pharmacokinetics of Withania somnifera (Ashwagandha) in healthy buffalo calves. | |
Chaunde et al. | Evaluation of Emblicaofficinalis (Amla) fruit for antibacterial activity and therapeutic potential in bovine sub-clinical mastitis | |
CN105395527A (zh) | 一种海洋生物护伤喷膜剂的制备方法 | |
Arain et al. | Antibacterial Potential of Aloe vera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Streptococcus agalactiae isolated from Mastitic Milk: Antibacterial Potential of Aloe vera | |
CN104622803A (zh) | 一种治疗泌乳期奶牛乳房炎的乳房注入剂及制备方法 | |
Maz’uma et al. | Antibacterial activity of citrus sinensis and solanum lycopersicum on wound isolated from hospitals in kaduna metropolis kaduna nigeria | |
CN114831937B (zh) | 大黄素甲醚微乳液及其应用 | |
Tuteja et al. | Camel mastitis | |
CN108310045B (zh) | 一种用于防治奶牛干奶期乳房炎的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