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534B1 -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리더 - Google Patents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리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534B1
KR100812534B1 KR1020060079901A KR20060079901A KR100812534B1 KR 100812534 B1 KR100812534 B1 KR 100812534B1 KR 1020060079901 A KR1020060079901 A KR 1020060079901A KR 20060079901 A KR20060079901 A KR 20060079901A KR 100812534 B1 KR100812534 B1 KR 100812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ag
power mode
reader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9096A (ko
Inventor
장현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9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534B1/ko
Publication of KR20080019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리더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태그로 전력 전송하여 수신된 RF 신호의 크기를 통해 태그와의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인식거리를 판별하고, 판별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에 따라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리더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정의 태그와 알에프아이디 무선통신하는 리더가 수신하는 전파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전력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됨에 따라, 리더의 동작시간이 늘어나고, 적은 배터리 용량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소형의 리더를 제작할 수 있다.
Figure R1020060079901
RFID, 무선주파수인식, 리더

Description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리더{LOW POWER RFID SYSTEM AND METHOD, READER APPLIED TO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더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리더 110 : 수신부
111, 148, 210 : 안테나 112, 147 : 대역통과필터
113 : 저잡음증폭기 114 : 자동이득제어 증폭기
120 : 신호처리부 121 : 제 1 주파수발생기
122 : 제 N 주파수발생기 123 : 제 1 위상고정루프 회로
124 : 제 N 위상고정루프 회로 125 : 제 1 스위치
126 : 제 N 스위치 127 : 제 1 혼합기
128 : 위상 시프트기 129 : 제 2 혼합기
130 : 제어부 140 : 송신부
141 : 제 1 혼합기 142 : 제 2 혼합기
143 : 구동 증폭기 144 : 스위치
145 : 전력 증폭기 146 : 드라이브 증폭기
200 : 태그 220 : 전자칩
본 발명은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 증폭기를 사용하는 리더가 근거리 무선통신하는 전파환경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력 증폭기를 온/오프하여 리더의 전력효율을 높이기 위한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리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주파수인식(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은 최소형 IC 칩에 고유한 식별정보를 입력하고 무선주파수(RF)를 이용하여 이 칩이 부착된 물체나 동물 등을 인식·추적·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RFID 시스템은 고유한 식별정보가 입력되고 물체나 동물 등에 부착되는 RFID 태그(Tag 또는 Transponder)와, 이 태그가 가지고 있는 식별정보를 비접촉식으로 읽거나 또는 쓰기 위한 리더(Reader 또는 Interrogator)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리더에는 컴퓨터 등 정보처리장치가 연결되어 태그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RFID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 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20)는 자체적으로 전원을 갖지 않는 수동형 태그로서, 소형 반도체 IC 칩과 안테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IC 칩에는 RF회로, 로직 및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태그(20)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리더(10)는 특정 주파수대역의 RF신호를 태그(20)로 전송하는 전송부와 태그(20)에서 보내주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이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RFID 시스템은 리더(10)와 태그(20) 사이에 정보전송은 물론 수동형 태그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력전송이 함께 수행된다.
즉, 태그의 작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리더에서 공급해 주어야 하므로, 충분한 인식거리를 확보하고 고기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리더의 송신 출력이 크게 증가되어야 하는데, 과도한 송신 출력으로 인해 상기 리더의 전력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300MHz 내지 3,000MHz의 극초단파(UHF; UltraHigh Frequency) 대역에서 적용되는 UHF 리더는 전력 증폭기를 구비함에 따라, 전력 소모가 더욱 커져 보다 긴 시간동안 리더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주파수인식 방식에 의한 무선통신 과정에서 실시간 변위하여 리더로 수신되는 전파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리더의 전력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리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은, 리더는 상기 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크기를 통해 상기 태그와의 실측거리인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인식거리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에 따라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은, 리더는 상기 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크기를 통해 상기 태그와의 실측거리인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 또는 태그인식 여부에 따라 가변제어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가변제어 고전력모드는 상기 리더의 저전력모드에서 태그인식 오류가 발생할 경우, 상기 RF 신호의 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력증폭율을 가변 제어하여 생성된 고출력신호를 송출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리더는, 태그로 전력 전송하여 수신된 RF 신호의 전력크기를 판별하고, 상기 RF 신호의 전력크기에 따라 상기 태그와의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를 설정하며,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에 따라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저전력모드에서 수신한 피드백 RF 신호를 통해 태그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단계별로 전력증폭율을 가변 제어하기 위한 가변제어 고 전력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은, (가) 상기 리더가 상기 태그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나) 상기 리더의 전력모드 설정이 수동 또는 자동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다) 상기 리더의 전력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RF 신호의 크기를 판별하여 상기 태그와의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는 단계, (라) 상기 설정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에 따라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마) 상기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는 리더를 통해 실시간 변위로 생성되는 고출력신호 또는 저출력신호를 상기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점에 따른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은, 가) 상기 리더가 전력 전송하여 동작하는 상기 태그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나) 상기 리더의 전력모드 설정이 수동 또는 자동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다) 상기 리더의 전력모드가 수동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RF 신호에 대한 수신율이 미약하면 고전력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 및 (라) 상기 고전력모드로 동작하는 리더를 통해 생성되는 고출력신호를 상기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은, (가) 상기 리더가 상기 태그로부터 RF 신호 또는 피드백 RF 신 호를 수신하는 단계, (나) 상기 리더의 전력모드 설정이 수동 또는 자동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다) 상기 리더의 전력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RF 신호 또는 상기 피드백 RF 신호의 크기를 통해 상기 태그와의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를 판별하고, 상기 설정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는 단계, (라) 상기 태그에 대한 인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마) 상기 설정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 또는 태그인식 여부에 따라 가변제어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사) 상기 가변제어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는 리더를 통해 실시간 변위로 생성되는 가변제어 고출력신호 또는 저출력신호를 상기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따른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은, (가) 상기 리더가 상기 태그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나) 상기 리더의 전력모드 설정이 수동 또는 자동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다) 상기 리더의 전력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RF 신호의 크기를 통해 상기 태그와의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를 판별하고, 상기 설정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는 단계, (라) 상기 설정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에 따라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마) 상기 저전력모드 동작상태에서 태그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단계별로 전력증폭율을 가변 제어하기 위한 가변제어 고전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사) 상기 가변제어 고전력모드로 동작하는 리더를 통해 상기 전력증폭율 에 대응하여 전력 증폭된 가변제어 고출력신호를 상기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알에프아이디' 라 함)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리더(100) 및 상기 리더(100)가 송신하는 특정 주파수대역의 RF 신호를 이용하여 반사 변조(Backscatterd Modulation) 방식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전송하는 태그(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태그(200)는 상기 리더(100)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210)와 상기 리더(100)의 질문신호에 응답하기 위해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칩(220)으로 구현된다. 더 나아가, 상기 리더(100)는 태그(200)를 동작케 하기 위한 전력 전송을 실행하여 상기 태그(200)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전력 크기를 통해 태그(200)와의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인식거리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사전에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소정의 결과를 생성하며, 생성된 결과에 따라 리더(100)의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를 설정한다.
또한, 리더(100)는 태그(200)와 알에프아이디 무선 통신하면서 실시간으로 관련 RF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실시간 변위하여 수신되는 RF 신호와 대응하여 알 에프아이디 인식거리도 함께 변동하고, 이에 의해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도 실시간으로 변동한다. 따라서, 리더(100)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에 의해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를 스위칭 절환하여 고출력신호 또는 저출력신호를 상기 태그(200)로 전송한다.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리더(1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 3을 참고하기로 한다. 리더(100)의 능동적인 전력모드 절환을 구현하기 위하여 내부 구성은 여러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기의 상술되는 리더(100)의 구성으로 구현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은 더욱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더(100)는 안테나(111)를 통해 태그(200)로 전력 전송하고, 전력 수신한 태그(200)가 동작하여 리더(100)의 질문신호에 응답하여 송출하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10), 수신부(110)의 출력신호인 RF 신호의 통신 주파수에 코히어런트(Coherent)한 주파수 채널을 동기화한 신호 및 상기 수신부(110)의 출력신호인 RF 신호를 하기 제어부(130)로 제공하는 신호처리부(120), 상기 RF 신호의 전력 크기를 통해 리더(100)와 태그(200) 간의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를 판별하고, 판별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에 따라 고전력 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를 설정하며, 설정된 모드에 부합하는 주파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주파수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130) 및 상기 주파수 선택신호를 토대로 신호처리부(120)에서 스위칭된 주파수 채널을 통해 상기 제어부(130)로부터 인가되는 출력신호를 상기 제어부(130)의 스 위칭 절환신호에 따라 전력증폭 또는 드라이브 증폭하여 안테나(148)를 통해 상기 태그(200)로 전송하는 송신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110)는 수신된 리더(100)의 소정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통과시키는 대역통과필터(112), 대역통과필터(112)의 출력신호에 대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저잡음증폭기(113), 저잡음증폭기(113)의 출력신호의 전력 레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자동이득제어 증폭기(114)로 구비된다.
또한, 신호처리부(120)는 알에프아이디 무선통신을 위하여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를 각각 발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발생기(121, 122), 상기 주파수발생기(121, 122)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를 기준으로 위상 고정된 소정의 주파수를 발생하는 위상고정루프 회로(123, 124), 상기 위상고정루프 회로(123, 124)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제어부(130)의 주파수 선택신호에 따라 스위칭 절환하여 상기 수신부(110)의 출력신호인 RF 신호의 통신 주파수에 코히어런트한 주파수 채널을 통해 위상고정루프 회로(123, 124)의 출력신호를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125, 126), 수신부(110)의 출력신호와 온 상태로 스위칭 절환된 스위치(125, 126)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제 1 혼합기(127) 및 온 상태로 스위칭 절환된 스위치(125, 126)의 출력신호를 90도 위상 시프트한 신호와 수신부(110)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제 2 혼합기(129)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제어부(130)는 신호처리부(120)에 구비된 제 1 혼합기(127)를 통해 인가되는 수신부(110)의 출력신호인 RF 신호의 전력 크기를 판별하여 리더(100) 와 태그(200) 간의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를 설정하고,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 이상인 경우에는 고전력모드로 리더(100) 동작설정하고,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 미만인 경우에는 저전력모드로 리더(100) 동작설정한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통상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아날로그 제어회로 또는 디지털 신호처리 전용 하드웨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제어부(130)는 고전력모드로 리더(100)동작 설정할 경우, 고전력모드에 부합하는 주파수 채널을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대한 주파수 선택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처리부(120)로 전송한 후, 상기 신호처리부(120)에서 형성된 주파수 채널신호를 인가받아 송신부(140)에 출력신호로 전송하며, 송신부(140)에 고전력모드 설정에 대한 스위칭 절환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송신부(140)에서 상기 주파수 채널신호로 인한 제어부(130)의 출력신호를 전력 증폭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저전력모드로 리더(100)동작 설정할 경우, 저전력모드에 부합하는 주파수 채널을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대한 주파수 선택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처리부(120)로 전송한 후, 상기 신호처리부(120)에서 형성된 주파수 채널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송신부(140)에 출력신호로 전송하며, 상기 저전력모드에 대한 스위칭 절환신호를 상기 송신부(140)로 전송하여 주파수 채널신호로 인한 출력신호를 드라이브 증폭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된 기준거리는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리더(100)의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며, 알에프아이디 근거리 통신거리로 예정되는 수센티미터 내지 수십 센티미터 이내로 설정되는 값이다. 통상, 상기 기준거리는 1미터 이내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리더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으로 활용되는 것이기에 이에 대한 수치가 중요한 의미를 갖지는 않는다.
더 나아가, 리더(100)의 송신부(140)는 신호처리부(120)에서 온 상태로 스위칭 절환된 스위치(125, 126)의 출력신호와 제어부(130)의 출력신호를 취합하여 출력하는 제 1 혼합기(141)), 온 상태로 스위칭 절환된 스위치(125, 126)의 출력신호를 위상 시프트기(128)를 통해 90도 위상 시프트한 신호와 제어부(130)의 출력신호를 취합하여 출력하는 제 2 혼합기(142), 상기 제 1 혼합기(141) 및 상기 제 2 혼합기(142)의 출력신호에 대한 변환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구동증폭기(143), 제어부(130)의 스위칭 절환신호에 따라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의 스위칭 절환하는 스위치(144), 고전력모드의 스위칭 절환에 따라 상기 구동증폭기(143)의 출력신호를 예정된 신호 전력레벨로 고전력 증폭시키는 전력증폭기(145), 저전력모드의 스위칭 절환에 따라 구동증폭기(143)의 출력신호를 예정된 신호 전력레벨로 저전력 증폭시키는 드라이브증폭기(146), 및 상기 전력증폭기(145) 또는 상기 드라이브증폭기(146)의 출력신호에 내재된 간섭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대역통과필터(147)를 포함한다.
한편, 리더(100)와 태그(200) 간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은 리더(100)를 통하여 상기 태그(200)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크기를 통해 태 그(200)와의 실측거리인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를 판별하고, 판별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 또는 태그인식 여부에 따라 가변제어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를 설정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변제어 고전력모드는 리더(100)가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태그인식 오류가 발생할 경우, 피드백되어 인가되는 상기 RF 신호의 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력증폭율을 가변 제어하여 생성된 가변제어 고출력신호를 송출하는 모드이다.
아울러, 상기 리더(100)는 가변제어 고전력모드에서 제 1 차 고출력신호를 송출하고, 태그인식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태그로부터 인가된 피드백 RF 신호의 크기에 따라 가변 제어된 제 2 차 고출력신호 또는 제 N 차 고출력신호를 생성하여 태그로 송출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물론, 가변제어 고출력신호는 상기 리더(100)의 고출력모드에서 출력 가능한 증폭율에 한정되는 것은 자명하다.
더 나아가, 상기 리더(100)와 태그(200) 간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은 리더(100)를 통해 태그(200)로 전력 전송하여 수신된 RF 신호의 전력 크기를 판별하고, 상기 RF 신호의 전력크기에 따라 상기 태그(200)와의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를 설정하며,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에 따라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를 설정하며, 이후로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태그(200)로부터 수신한 피드백 RF 신호를 통해 태그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판별될 경우에 단계별로 전력증폭율을 가변 제어하기 위한 가변제어 고전력모드로 전환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의 동작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력 무선주파수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은 리더(100)의 질문신호에 응답하여 저장중인 응답신호를 송출하는 태그(200)의 RF 신호를 리더(100)가 수신하는 것으로 비롯된다(S100). 리더(100)는 자체 동작을 위한 전력모드의 설정상태를 점검하는 과정을 실행한다(S102).
상기 S102 단계에서, 리더(100)가 자동 전력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태그(200)로부터 수신한 RF 신호의 전력크기를 판별하고(S104), 상기 RF 신호의 전력크기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 리더(100)와 태그(200) 간의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를 설정한다(S106). 설정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가 사전에 기 설정된 기준거리(통상 1 미터 이내의 거리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함)과 비교되는 과정을 실행한다(S108).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가 기준거리보다 이상인 경우, 리더(100)와 태그(200) 간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원거리임에 따라 상기 리더(100)를 고전력모드로 전환하고(S110), 리더(100)의 송신부(140)에 구비된 전력증폭기(145)가 동작하도록 스위칭 절환한다(S112). 이후로, 상기 전력증폭기(145)의 출력신호인 고출력신호를 필터링하여 태그(200)로 전송한다(S114).
더 나아가, 상기 S108 단계에서,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가 기준거리보다 미만인 경우, 리더(100)와 태그(200) 간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근거리임에 따라 상기 리더(100)를 저전력모드로 전환하고(S116), 리더(100)의 송신부(140)에 구비 된 드라이브증폭기(146)가 동작하도록 스위칭 절환한다(S118). 이후로, 상기 드라이브증폭기(146)의 저출력신호를 필터링하여 태그(200)로 전송한다(S120).
한편, 상기 S102 단계에서, 리더(100)가 수동 전력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리더(100)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한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를 확인한다(S122). 상기 S122 단계에서, 사용자가 리더(100)를 고전력모드로 설정하면, 리더(100)의 전력모드를 고전력모드로 전환하고(S124), 리더(100)의 송신부(140)에 구비된 전력증폭기(145)를 구동한다(S126). 이후로, 상기 전력증폭기(145)의 고출력신호를 태그(200)로 전송한다(S128). 또한, 사용자가 리더(100)를 저전력모드로 설정하면, 리더(100)의 전력모드를 저전력모드로 전환하고(S130), 리더(100)의 송신부(140)의 구비된 드라이브증폭기(146)를 구동한다(S132). 이후로, 상기 드라이브증폭기(146)의 저출력신호를 태그(200)로 전송한다(S134).
더 나아가, 리더(100)와 태그(200) 간의 무선통신에 의한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리더(100)의 전력모드가 수동으로 설정된 경우, 태그(200)로부터 수신하는 RF 신호에 대한 수신율이 미약하면 고전력모드로 자동 전환하여 전력증폭기(145)의 구동으로 출력되는 고출력신호를 태그(200)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더(100)가 수신하는 RF 신호에 대한 수신율이 미약하여 고전력모드로 자동 전환한 이후, 태그(20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의 전력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실시간 변위 동작하는 자동 전력모드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RF 신호에 대한 수신율이 미약할 뿐만 아니라, 상기 리더(100) 가 전송한 질문신호에 상기 태그(200)가 응답하지 않을 경우에도 고전력모드로 자동 전환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또 다른 방식의 리더(100)와 태그(200) 간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주파수인식 방법은 리더(100)가 수신한 RF 신호 또는 피드백 RF 신호의 크기를 통해 판별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 또는 태그인식 여부에 따라 가변제어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도록 구분되며,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 이상이거나 태그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리더(100)가 가변제어 고전력모드로 동작하도록 하여 단계별로 태그로 전송하기 위한 가변제어 고출력신호의 전력증폭율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리더(100)와 태그(200) 간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주파수인식 방법은 수신한 RF 신호의 크기에 따라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는 리더(100)가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태그(200)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단계별로 전력증폭율을 가변 제어하는 가변제어 고전력모드로 전환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한 방법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태그와 알에프아이디 무선통신하는 리더가 수 신하는 전파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전력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됨에 따라, 리더의 동작시간이 늘어나고, 적은 배터리 용량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소형의 리더를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3)

  1. 리더와 태그 간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더는 예정된 레벨의 전력 전송을 실행하여 상기 태그를 동작시킨 후 상기 태그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의 크기를 통해 상기 태그와의 실측거리인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인식거리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되는 결과에 따라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로 설정되며, 설정된 모드에 대응되는 스위칭 절환을 토대로 상기 전력 전송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는
    상기 태그로부터 리더의 질문신호에 응답하여 송출된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출력신호인 RF 신호의 통신 주파수에 코히어런트(Coherent)한 주파수 채널을 동기화한 신호 및 상기 수신부의 출력신호인 RF 신호를 하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수신부의 출력신호인 RF 신호의 크기를 통해 상기 태그와의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에 따라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를 설정하며, 설정된 모드에 부합하는 주파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주파수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주파수 선택신호를 토대로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스위칭된 주파수 채널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출력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절환신호에 따라 전력증폭 또는 드라이브 증폭하여 상기 태그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RF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으로 통과시키는 대역통과필터;
    상기 대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에 대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저잡음증폭기; 및
    상기 저잡음증폭기의 출력신호 전력레벨을 유지하기 위한 자동이득제어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알에프아이디 무선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를 각각 발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발생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를 기준으로 위상 고정된 소정의 주파수를 발생하는 위상고정루프 회로;
    상기 위상고정루프 회로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제어부의 주파수 선택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하여 상기 수신부의 출력신호인 RF 신호의 통신 주파수에 코히어런트한 주파수 채널을 통해 상기 위상고정루프 회로의 출력신호를 통과시키 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상기 수신부의 출력신호와 온 상태로 스위칭 절환된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1 혼합기; 및
    상기 온 상태로 스위칭 절환된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위상 시프트한 신호와 상기 수신부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2 혼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혼합기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수신부의 출력신호인 RF 신호의 크기를 판별하여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 이상인 경우에는 고전력모드로 리더 동작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전력모드에 부합하는 주파수 채널을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대한 주파수 선택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처리부로 전송한 후,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형성된 주파수 채널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송신부에 출력신호로 전송하며, 상기 고전력모드에 대한 스위칭 절환신호를 상기 송신부로 전송하여 상기 주파수 채널신호로 인한 출력신호를 전력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혼합기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수신부의 출력신호인 RF 신호의 크기를 판별하여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 미만인 경우에는 저전력모드로 리더 동작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전력모드에 부합하는 주파수 채널을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대한 주파수 선택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처리부로 전송한 후,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형성된 주파수 채널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송신부에 출력신호로 전송하며, 상기 저전력모드에 대한 스위칭 절환신호를 상기 송신부로 전송하여 상기 주파수 채널신호로 인한 출력신호를 드라이브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부는
    상기 온 상태로 스위칭 절환된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90도 위상 시프트한 신호와 상기 수신부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온 상태로 스위칭 절환된 스위치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를 취합하여 출력하는 제 1 혼합기;
    상기 온 상태로 스위칭 절환된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90도 위상 시프트한 신호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를 취합하여 출력하는 제 2 혼합기;
    상기 제 1 혼합기 및 상기 제 2 혼합기의 출력신호에 대한 변환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구동 증폭기;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절환신호에 따라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의 스위칭 절환하는 스위치;
    고전력모드의 스위칭 절환에 따라 상기 구동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예정된 신호 전력레벨로 고전력 증폭시키는 전력 증폭기;
    저전력모드의 스위칭 절환에 따라 상기 구동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예정된 신호 전력레벨로 저전력 증폭시키는 드라이브 증폭기; 및
    상기 전력 증폭기 또는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의 출력신호에 내재된 간섭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대역통과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11. 리더와 태그 간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더는 상기 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크기를 통해 상기 태그와의 실측거리인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 또는 태그인식 여부에 따라 가변 제어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가변제어 고전력모드는,
    상기 리더의 저전력모드에서 태그인식 오류가 발생할 경우, 상기 RF 신호의 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력증폭율을 가변 제어하여 생성된 고출력신호를 송출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는
    상기 가변제어 고전력모드에서 제 1 차 고출력신호를 송출하고, 태그인식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태그로부터 인가된 피드백 RF 신호의 크기에 따라 가변 제어된 제 2 차 고출력신호 또는 제 N 차 고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는
    상기 태그로부터 리더의 질문신호에 응답하여 송출된 상기 RF 신호 또는 상기 피드백 RF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출력신호인 RF 신호의 통신 주파수에 코히어런트한 주파수 채널을 동기화한 신호 및 상기 수신부의 출력신호인 RF 신호를 하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수신부의 출력신호인 RF 신호의 크기를 통해 상기 태그와의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값 을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에 따라 가변제어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를 설정하며, 설정된 모드에 부합하는 주파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주파수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주파수 선택신호를 토대로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스위칭된 주파수 채널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출력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저전력 스위칭 절환신호에 따라 드라이브 증폭하거나, 상기 제어부의 가변제어 스위칭 절환신호에 따라 단계별로 전력 증폭하여 상기 태그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의 출력신호인 RF 신호의 크기를 통해 판별한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거나, 태그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 경우, 단계별로 전력증폭율을 가변 제어하는 가변제어 고전력모드로 리더 동작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변제어 고전력모드에 부합하는 주파수 채널을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대한 주파수 선택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처리부로 전송한 후,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형성된 주파수 채널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송신부에 출력신호로 전송하며, 상기 전력증폭율에 대응하는 가변제어 스위칭 절환신호를 상기 송신부로 전송하여 상 기 주파수 채널신호로 인한 출력신호를 예정 단계로 전력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16. 태그와 무선주파수인식(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에 의해 무선 통신하는 리더에 있어서,
    상기 리더는 상기 태그로 전력 전송하여 수신된 RF 신호의 전력크기를 판별하고, 상기 RF 신호의 전력크기에 따라 상기 태그와의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를 설정하며,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에 따라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수신한 피드백 RF 신호를 통해 태그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단계별로 전력증폭율을 가변 제어하기 위한 가변제어 고전력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는
    상기 전력 전송을 통해 에너지 공급된 상기 태그로부터 리더의 질문신호에 응답하여 송출된 상기 RF 신호 또는 상기 피드백 RF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출력신호인 RF 신호의 통신 주파수에 코히어런트(Coherent)한 주파수 채널을 동기화한 신호 및 상기 수신부의 출력신호인 RF 신호를 하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수신부의 출력신호인 RF 신호의 전력크기를 통해 상기 태그와의 알에프 아이디 인식거리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에 따라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를 설정하며, 상기 저전력모드에서 태그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가변제어 고전력모드로 전환하고, 설정된 모드에 부합하는 주파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주파수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주파수 선택신호를 토대로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스위칭된 주파수 채널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출력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절환신호에 따라 전력증폭 또는 드라이브 증폭하거나, 상기 제어부의 가변제어 스위칭 절환신호에 따라 단계별로 전력 증폭하여 상기 태그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
  18. 리더와 태그 간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주파수인식 방법에 있어서.
    (가) 상기 리더가 상기 태그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나) 상기 리더의 전력모드 설정이 수동 또는 자동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다) 상기 리더의 전력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RF 신호의 크기를 판별하여 상기 태그와의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는 단계;
    (라) 상기 설정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에 따라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마) 상기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는 리더를 통해 실시간 변위 로 생성되는 고출력신호 또는 저출력신호를 상기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는
    상기 리더의 전력모드 설정이 수동인 경우, 리더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는
    상기 리더가 고전력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되면 상기 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생성된 고출력신호를 상기 태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는
    상기 리더가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되면 상기 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드라이브 증폭하여 생성된 저출력신호를 상기 태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라) 단계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 이상인 경우, 고전력모드 로 리더 동작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라) 단계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 미만인 경우, 저전력모드로 리더 동작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마) 단계는,
    (마-1) 상기 고전력모드 또는 상기 저전력모드에 부합하는 주파수 채널을 판별하는 단계;
    (마-2) 상기 판별한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주파수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마-3) 상기 주파수 선택신호를 토대로 신호처리된 주파수 채널신호를 상기 리더의 송신부로 전송하는 단계;
    (마-4) 소정의 전력모드와 대응하여 상기 주파수 채널신호의 고출력 증폭 또는 저출력 증폭하기 위한 스위칭 절환신호를 상기 송신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마-5) 상기 송신부의 고출력신호 또는 저출력신호를 상기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
  25. 리더와 태그 간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주파수인식 방법에 있어서,
    (가) 상기 리더가 전력 전송하여 동작하는 상기 태그로부터 RF 신호를 수신 하는 단계;
    (나) 상기 리더의 전력모드 설정이 수동 또는 자동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다) 상기 리더의 전력모드가 수동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RF 신호에 대한 수신율이 예정된 레벨에 미치지 못하면 고전력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 및
    (라) 상기 고전력모드로 동작하는 리더를 통해 생성되는 고출력신호를 상기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리더가 수신하는 RF 신호에 대한 수신율이 기 설정된 수신율보다 약한 경우, 고전력모드로 자동 전환한 이후에 상기 RF 신호의 전력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실시간 변위 동작하는 자동 전력모드로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다) 단계는
    상기 RF 신호에 대한 수신율이 기 설정된 수신율보다 약한 경우 뿐만 아니라, 상기 리더가 전송한 질문신호에 상기 태그가 응답하지 않을 경우에도 고전력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
  28. 리더와 태그 간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주파수인식 방법에 있어서.
    (가) 상기 리더가 상기 태그로부터 RF 신호 또는 피드백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나) 상기 리더의 전력모드 설정이 수동 또는 자동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다) 상기 리더의 전력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RF 신호 또는 상기 피드백 RF 신호의 크기를 통해 상기 태그와의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를 판별하고, 상기 설정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는 단계;
    (라) 상기 태그에 대한 인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마) 상기 설정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 또는 태그인식 여부에 따라 가변제어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사) 상기 가변제어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는 리더를 통해 실시간 변위로 생성되는 가변제어 고출력신호 또는 저출력신호를 상기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마) 단계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 이상인 경우 또는 태그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가변제어 고전력모드로 리더 동작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마) 단계는
    상기 가변제어 고출력신호와 대응하여 상기 태그로부터 인가되는 피드백 RF 신호로 인하여 태그인식이 이루어질 때까지 단계별로 전력증폭율을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마) 단계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 미만인 경우 또는 태그인식이 이루어진 경우, 저전력모드로 리더 동작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
  32. 리더와 태그 간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주파수인식 방법에 있어서.
    (가) 상기 리더가 상기 태그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나) 상기 리더의 전력모드 설정이 수동 또는 자동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다) 상기 리더의 전력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RF 신호의 크기를 통해 상기 태그와의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를 판별하고, 상기 설정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는 단계;
    (라) 상기 설정한 알에프아이디 인식거리와 기 설정된 기준거리를 비교하여 생성된 결과에 따라 고전력모드 또는 저전력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마) 상기 저전력모드 동작상태에서 태그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단계별로 전력증폭율을 가변 제어하기 위한 가변제어 고전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사) 상기 가변제어 고전력모드로 동작하는 리더를 통해 상기 전력증폭율에 대응하여 전력 증폭된 가변제어 고출력신호를 상기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사) 단계는
    상기 가변제어 고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태그로부터 인가되는 피드백 RF 신호를 통해 태그인식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가변제어 고전력모드의 최대 증폭을 한도로 상기 전력증폭율을 단계적으로 상승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방법.
KR1020060079901A 2006-08-23 2006-08-23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리더 KR100812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901A KR100812534B1 (ko) 2006-08-23 2006-08-23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리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901A KR100812534B1 (ko) 2006-08-23 2006-08-23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리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096A KR20080019096A (ko) 2008-03-03
KR100812534B1 true KR100812534B1 (ko) 2008-03-12

Family

ID=3939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901A KR100812534B1 (ko) 2006-08-23 2006-08-23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리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5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924B1 (ko) 2007-03-14 2008-1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id 태그의 전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16122027A1 (ko) * 2015-01-30 2016-08-04 전자부품연구원 물류 추적 시스템에 적용되는 능동형 rfid 태그 및 그 통신 방법
KR20160119368A (ko) * 2015-04-03 2016-10-13 한국과학기술원 고속열차 위치 검지 시스템, 이를 위한 리더 및 틸팅 코일 기반의 전력 전송 방법
US9697399B2 (en) 2015-01-30 2017-07-04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Activ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applied to logistics tracking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80913A (zh) * 2016-03-08 2016-06-15 李齐营 一种远距离识别装置
US11778568B2 (en) 2019-07-12 2023-10-03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ly controlling RF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AV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440A (ko) * 1998-04-06 1999-11-05 윤종용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송신 전력 조절 장치
JP2000049654A (ja) 1998-07-30 2000-02-18 Nippon Avionics Co Ltd Rfidシステム
JP2003198720A (ja) 2001-12-28 2003-07-11 Nec Corp 携帯電話装置
JP2005303789A (ja) 2004-04-14 2005-10-27 Olympus Corp 情報装置
JP2005328231A (ja) 2004-05-13 2005-11-24 Ricoh Co Ltd 無線端末装置
KR20060106619A (ko) * 2005-03-30 2006-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rfid 리더,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 및 이들의rf 송출전력 설정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440A (ko) * 1998-04-06 1999-11-05 윤종용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송신 전력 조절 장치
JP2000049654A (ja) 1998-07-30 2000-02-18 Nippon Avionics Co Ltd Rfidシステム
JP2003198720A (ja) 2001-12-28 2003-07-11 Nec Corp 携帯電話装置
JP2005303789A (ja) 2004-04-14 2005-10-27 Olympus Corp 情報装置
JP2005328231A (ja) 2004-05-13 2005-11-24 Ricoh Co Ltd 無線端末装置
KR20060106619A (ko) * 2005-03-30 2006-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rfid 리더,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 및 이들의rf 송출전력 설정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924B1 (ko) 2007-03-14 2008-1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id 태그의 전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16122027A1 (ko) * 2015-01-30 2016-08-04 전자부품연구원 물류 추적 시스템에 적용되는 능동형 rfid 태그 및 그 통신 방법
US9697399B2 (en) 2015-01-30 2017-07-04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Activ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applied to logistics tracking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20160119368A (ko) * 2015-04-03 2016-10-13 한국과학기술원 고속열차 위치 검지 시스템, 이를 위한 리더 및 틸팅 코일 기반의 전력 전송 방법
KR101709294B1 (ko) * 2015-04-03 2017-03-09 한국과학기술원 고속열차 위치 검지 시스템, 이를 위한 리더 및 틸팅 코일 기반의 전력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096A (ko) 2008-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534B1 (ko)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리더
US7664461B2 (en) RFID reader architecture
JP4298705B2 (ja) 電力供給装置及び電力供給方法
JP5324451B2 (ja) mRFIDリーダ機
EP2057589B1 (en) Tag device, reader device, and rfid system
US9082026B2 (en) Wireless tag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CN109560836B (zh) 用于操作经由电感耦合通信的通信装置的方法和系统
KR20080097115A (ko) 무선 주파수 식별 장치
EP3337051B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s device that communicates via inductive coupling
EP1526388A1 (en) Interrogator of moving body identification device
JP6529919B2 (ja) 無線送信装置及び方法
KR100807109B1 (ko) 무선 주파수 인식 시스템의 리더 및 그 제어 방법
US8653943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provided for access control
KR20070056815A (ko)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KR101205790B1 (ko) 물체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알에프아이디 판독장치
US9407312B2 (en) Amplifier circuit, antenna modu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62826B1 (ko)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의 리더 장치
CA2898428C (en) Amplifier circuit, antenna modul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100751559B1 (ko)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KR100676768B1 (ko)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JP2005208753A (ja) 非接触icカード通信装置
WO2006011233A1 (ja) データ通信装置及びデータ通信方法
KR20120100136A (ko) 무칩 태그용 rfid 리더
JP2001358609A (ja) 質問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