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559B1 -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559B1
KR100751559B1 KR1020050115928A KR20050115928A KR100751559B1 KR 100751559 B1 KR100751559 B1 KR 100751559B1 KR 1020050115928 A KR1020050115928 A KR 1020050115928A KR 20050115928 A KR20050115928 A KR 20050115928A KR 100751559 B1 KR100751559 B1 KR 100751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ader
tag
power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6819A (ko
Inventor
박준석
오하령
성영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50115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559B1/ko
Publication of KR20070056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1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 G06K7/1034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the antenna being of the far field type, e.g. HF types or di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판독하거나 기록하는 무선주파수인식(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에 있어, 리더의 RF 신호를 태그로 전송하는데 드는 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한 무선 주파수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RFID 시스템은, 기존의 순방향 신호 처리부에 비해 RF 신호의 전송 시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리더의 RF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는 전력 증폭기의 게인을 조절하기 위한 게인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가 포함하지 않은 연속파가 전송 시 리더의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입력 전력을 크기를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리더의 RF 신호 전송 시 소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되고, 방사 전력에 비례하는 스퓨어리스를 줄여 결과적으로 스팩트럼 마스크가 개선됩니다.
RFID, 태그, 리더, USN, 유비쿼터스

Description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RFID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RFID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RFID 시스템의 기본적인 작용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더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게인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인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5 : 게인 제어부
R1-R5 : 저항
TR1 :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판독하거나 기록하는 무선주파수인식(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더의 RF 신호 전송 시 소비 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되고, 방사 전력에 비례하는 스퓨어리스를 줄여 결과적으로 스팩트럼 마스크가 개선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주파수인식(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은 최소형 IC 칩에 고유한 식별정보를 입력하고 무선주파수(RF)를 이용하여 이 칩이 부착된 물체나 동물 등을 인식·추적·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RFID 시스템은 고유한 식별정보가 입력되고 물체나 동물 등에 부착되는 RFID 태그(Tag 또는 Transponder)와, 이 태그가 가지고 있는 식별정보를 비접촉식으로 읽거나 또는 쓰기 위한 리더(Reader 또는 Interrogator)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리더에는 컴퓨터 등 정보처리장치가 연결되어 태그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RFID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5)는 자체적으로 전원을 갖지 않는 수동형 태그로서, 소형 반도체 IC 칩과 안테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IC 칩에는 RF회로, 로직 및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태그(5)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리더(1)는 특정 주파수대역의 RF신호를 태그(5)로 전송하는 전송부와 태그(5)에서 보내주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이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RFID 시스템의 기본적인 작용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더(1)는 고주파 캐리어신호와 소정의 질문신호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대역의 RF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RF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리더(1)의 전자기장 내에 태그(5)가 위치되면, 상기 태그(5)는 IC 칩을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동작전원을 리더(1)의 고주파 캐리어신호로부터 공급 받는다. 즉, 리더(1) 에서 전송되는 고주파 캐리어신호는 태그의 안테나에 교류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교류는 정류된 후 IC 칩을 위한 전기에너지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태그(5)는 수신된 RF신호를 변조하고 이를 근거로 태그(5)에 저장된 데이터를 반사 변조하여 응답신호로서 리더(1)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RFID 시스템은 리더(1)와 태그(5) 사이에 정보전송은 물론 수동형 태그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력전송이 함께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자체적으로 전원을 갖지 않는 수동형 태그(Passive tag)는 인식거리가 1m이하로 짧기 때문에 저주파(125kHz, 12.56MHz)의 근거리용 RFID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근거리용 RFID 시스템은 리더의 다 권선 코일에 의하여 전원 및 신호를 송신하고 태그는 리더의 코일에 흐르는 교류 전류의 자계에 의한 자계결합(magnetic coupling) 방식에 의하여 전원 에너지 생성 및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수동형 태그를 사용하는 종래의 저주파 RFID 시스템은 태그의 인식거리가 짧기 때문에 출입관리 및 교통카드 등 한정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한편, 읽기/쓰기가 가능하고 센서가 결합되어 이력관리 및 환경 정보 감지가 가능하며 인식거리가 긴 능동형 태그(Active tag)는 전력 소모가 크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배터리가 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능동형 태그는 소형화가 어렵고 가격이 고가이며 전원 수명에 따라 사용 기간이 제한받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UHF(860∼960MHz,2.4GHz) 대역에서 전자기파와 반사 변조(Backscattered Modulation) 방식을 이용한 수동형 RFID 기술의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동형 태그(Passive tag)의 인식거리가 5m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 로 전망된다. 또한 이론적으로 리더의 송신출력을 크게 하고 태그의 안테나를 크게 하면 태그와 리더 간의 통신거리는 더욱 늘릴 수 있다.
더욱이 앞으로는 RFID는 태그가, 리더의 요구에 따라 단순히 식별(ID)정보만을 전달하는 수동형에서 센싱 기능이 추가되어 주변의 환경정보(온도, 습도, 오염정보, 균열정보 등)까지 스스로 탐지(Sensor)하여 능동적으로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유비쿼터스센서(u센서)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Ubiquitous Sensor Network)는 길거리의 전신주나 보도, 빌딩의 벽이나 바닥 등 사물뿐만 아니라 동물에게 초소형 태그를 부착하고(Ubiquitous), 곳곳에 설치된 무선리더나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형 무선리더를 이용하여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네트워크(Network)로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선행적으로 저가격, 고기능, 초소형인 태그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러한 USN에 적합한 태그(u센서)는 어느 곳이나 설치할 수 있을 정도로 저가인 동시에 소형이며, 감지 기능이 결합되고 많은 양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하므로 고기능화 되어야 하고 인식거리가 충분히 길어야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더(1)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시스템의 리더(1)는, 상기 리더(1)는 수신 또는 송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처리부(11)와, 상기 디지털 처리부의 변조 신호를 RF 용 안테나(ANT)를 통해 태그(20)로 공급하는 순방향 신호 처리부(13)와, 상기 태그(20)로부터 공급되는 RF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처리부(11)로 공급하는 역방 향 신호 처리부(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순방향 신호 처리부(13)는 상기 디지털 처리부(11)의 데이터가 변조된 변조 신호(I 신호 및 Q 신호)를 소정의 반송파와 혼합하여 RF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주파수 합성부(13a)와, 상기 제1 주파수 합성부(13a)의 출력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입력 전력을 부가한 후 소정 레벨로 증폭한 후 커플러(13c) 및 RF 용 안테나(ANT)를 통해 태그(50)로 전송하는 송신부(13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역방향 신호 처리부(15)는, RF용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태그(50)의 응답 신호(f1)를 수신하여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는 수신부(15a)와, 상기 제1 주파수 합성부(13a)의 출력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통해 수신된 상기 태그(50)의 RF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 신호(I 신호 및 Q 신호)를 상기 디지털 처리부(11)로 공급하는 제2 주파수 합성부(15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질문신호를 포함하는 RF신호(f1)는 RF용 안테나(ANT)를 통해 태그(50)의 수신 및 송신된다.
즉, 상기 디지털 처리부(11)의 변조 신호는 상기 순방향 신호 처리부(13)의 제1 주파수 합성부(13a)에 공급되어 소정 반송파와 혼합되어 RF 신호를 출력한다. 이 RF 신호는 송신부(15)를 의거하여 소정 레벨로 증폭된 후 RF 용 안테나(ANT)를 통해 태그(50)로 공급된다. 상기 디지털 처리부(11)로부터 공급되는 RF 신호는 프리앰블(Preamble)-커멘드(command)-연속파(CW: Continue Wave)가 반복적으로 태그(50)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프리앰블 및 명령 데이터가 전송될 때 필요한 전력 은 태그가 backscattering 하지 않으므로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고주파 성분의 연속파(CW)가 전송될 때의 전력보다 작다. 그러나, 일반적인 RFID 시스템의 송신부(15)는 프리앰블 및 명령 데이터가 전송될 때 전력과 고주파 성분의 연속파가 전송될 때 입력 전력이 동일한 값으로 부가된 후 증폭되어 태그(50)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송신부(15)의 증폭 게인은 고주파 성분의 연속파가 전송될 때 전력에 맞추어 설계되므로, 리더의 프리앰블 및 명령 데이터의 전송 시 소비 전력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필요 이상으로 스팩트럼 마스크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송신부(15)의 게인을 데이터 전송용 전력과 연속파 전송용 전력을 다르게 설정하기 위해 상기 송신부(15)의 게인을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RFID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프리앰블 및 명령 데이터 전송 시 전력 증폭기의 게인과 고주파 성분의 연속파의 전송 시 전력 증폭도의 게인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리더와 태그 간의 통신 시 소비 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되고, 방사 전력에 비례하는 스퓨어리스를 줄여 결과적으로 스팩트럼 마스크가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은, 디지털 처리부를 통해 변조된 RF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시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리더와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리더에 송신하는 태그로 구성되는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더는 상기 디지털 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프리앰블 및 명령 데이터의 전송시 상기 송신부의 증폭 레벨을 로우 레벨로 제어하며 고주파 성분의 연속파 전송시 상기 송신부의 증폭 레벨을 하이 레벨로 제어하는 게인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프리앰블 및 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에는 고전위 레벨의 제1 제어 신호 및 고전위 레벨의 제2 제어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연속파 전송시에는 저전위 레벨의 제1 제어 신호 및 고전위 레벨의 제2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디지털 처리부(100)의 데이터가 변조된 RF신호를 송수신하는 리더(200)와, 리더(200)가 송신하는 특정 주파수대역의 RF신호(f1)를 이용하여 반사 변조(Backscatterd Modulation) 방식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리더(200)로 전송하는 태그(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리더(200)는, 디지털 처리부(100)의 데이터가 변조된 변조 신호(I 신호 및 Q 신호)를 소정의 반송파와 혼합하는 제1 주파수 합성부(211)와, 제1 주파수 합성부(211)의 출력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한 후 커플러(213) 및 RF 용 안테나(ANT)를 통해 태그(500)로 전송하는 송신부(212)와, 디지털 처리부(100)의 제어 신호(Contl1)(Contl2)를 제공받아 프리앰블- 명령 데이터 전송 시와 고주파 성분의 연속파 전송 시 송신부(212)의 게인을 가변시키는 게인 제어부(215)를 구비하는 순방향 신호 처리부(210)를 포함한다.
또한, 리더(200)는 RF 용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태그(500)의 응답 신호(f1)를 수신하여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는 수신부(311)와, 제1 주파수 합성부(211)의 출력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통해 수신된 태그(500)의 RF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 신호(I 신호 및 Q 신호)를 디지털 처리부(100)로 공급하는 제2 주파수 합성부(313)를 가지는 역방향 신호 처리부(300)를 포함한다.
즉, 디지털 처리부(100)의 변조 신호는 순방향 신호 처리부(210)의 제1 주파수 합성부(211)에 공급되어 소정 반송파와 혼합되어 RF 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RF 신호는 송신부(212)에 의하여 소정 레벨로 증폭된 후 RF 용 안테나(ANT)를 통해 태그(500)로 공급된다. 이때 송신부(212)의 게인은 게인 제어부(215)에 의해 프리앰프-명령 데이터 전송 시 또는 고주파 성분의 연속파 전송 여부에 따라 가변된다.
또한, 게인 제어부(215)는 디지털 처리부(100)의 제어 신호(Cont2)(Conlt2)에 따라 프리엠블- 명령 데이터 전송 시와 연속파 전송 시 송신부(212)의 증폭 게인을 가변시키고, 게인 제어부(215)의 게인에 따라 제1 주파수 합성부(211)의 출력 신호가 증폭된 후 태그(500)로 전송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주파수 합성부(211)와, 송신부(212), 및 게인 제어부(215)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파수 합성부(211)는, 소정 반송파를 발진하는 제1 주파수 발생기(211a)와, 디지털 처리부(100)의 출력 신호와 제1 주파수 발생기(211a)의 출력 신호를 혼합하여 RF 신호로 변조시키는 혼합기(211b)를 포함한다.
또한, 송신부(212)는, 혼합기(211b)의 출력 신호의 변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구동 증폭기(212a)와, 구동 증폭기(212a)의 출력 신호를 소정 신호 전력레벨로 증폭시키는 전력 증폭기(212b)와, 전력 증폭기(212b)의 출력 신호의 원하는 신호만을 통과시켜 커플러(213) 및 RF 용 안테나(ANT)를 통해 태그(500)로 공급하는 대역통과필터(212c)를 포함한다.
한편, 게인 제어부(215)는 디지털 처리부(100)의 제어 신호(Contl1)(Contl2)에 따라 트랜지스터가 스위칭되어 데이터 전송과 연속파 전송 시의 전력 증폭기(212a)의 전력 증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게인 제어부(215)에 공급되는 디지털 처리부(100)의 제어 신호(Contl1)(Contl2)의 레벨 크기에 따라, 전력 증폭기(212a)의 게인을 다르게 설정한다.
즉, 게인 제어부(215)는 디지털 처리부(100)의 제1 제어 신호(Cont1)를 분배하는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의 분배 신호를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측에 공급하고, 디지털 처리부(100)의 제2 제어 신호(Cont2)를 바이패스하는 제3 저항(R3)의 출력 신호는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측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TR1)가 오프 상태일 때 게인을 결정하는 제4 저항(R4) 및 제5 저항(R5)이 트랜지스터(R1)의 콜렉터측에 직렬로 접속된다.
제4 저항(R4)의 출력측은 송신부(212)의 전력 증폭기(212a)의 바이어스 측과 접속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프리앰블 및 명령 데이터의 전송 시와 고주파 성분의 연속파 전송 시 게인 조절부를 통해 전력 증폭기의 게인을 각각 다르게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디지털 처리부(100)에서 출력되는 복조 신호의 크기를 프리앰블 및 명령 데이터의 전송 시와 고주파 성분의 연속파 전송 시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리더(200)에 따르면 디지털 처리부(100)의 I 신호 및 Q 신호는 순방향 신호 처리부(210)의 제1 주파수 합성부(211)에 공급된다.
이어서 제1 주파수 합성부(211)는 소정 캐리어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기(211a)의 반송파와 디지털 처리부(100)의 I 신호 및 Q 신호를 혼합하여 RF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주파수 합성부(211)의 출력 신호는 송신부(212)에 공급된다.
한편, 디지털 처리부(100)는 송신부(212)의 증폭 게인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제어 신호(Contl1)(Contl2)를 출력하고, 이 제1 제어 신호(Contl1)는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에 의해 분배되고, 이 분배 신호는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측에 공급된다. 또한, 제2 제어신호(Contl2)는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측에 공급된다.
이때 데이터 전송 시 제1 제어신호(Contl1)은 고전위 레벨이고, 제2 제어 신호(Contl2)는 고 전위 레벨이므로, 트랜지스터(TR1)는 온 상태로 스위칭된다. 따라서 제2 제어신호(Contl2)는 출력되지 않는다.
즉, 송신부(212)는 변조된 RF 신호를 증폭시킨 후 RF용 안테나(ANT)를 통해 공기 중에 전자기파로 복사(radiation)시킨다. 상기 변조된 RF 신호는 송신부(212)의 구동 증폭기(212a)에 공급되고 구동 증폭기(212a)는 제1 주파수 합성부(211)의 출력 신호의 송출에 필요한 입력 전력을 주기 위해 상기 변조된 RF 신호를 증폭하고, 이 증폭된 구동 증폭기(212a)의 출력 신호는 전력 증폭기(212b)로 공급되며, 전력 증폭기(212b)는 구동 증폭기(212a)의 출력 신호를 게인 제어부(215)의 출력 신호에 따라 결정된 증폭 게인을 기초로 증폭한 후 대역통과필터(212c)에 공급한다. 대역통과필터(212c)는 전력 증폭기(212b)의 출력 신호 중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고, 이 대역통과필터(212c)의 출력 신호는 커플러(213) 및 RF용 안테나(ANT)를 통해 도선 상의 전기적 신호 변화를 공기 중의 전자기파로 복사시킨다. 다수의 태그(200) 중 전자기파의 영역 내에 위치한 태그는 이 데이터가 포함된 RF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디지털 처리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제2 제어신호(Contl2)는 전력 증폭기(212b)에 공급되지 않으므로, 전력 증폭기(212b)는 로우 게인으로 동작된다.
한편, 상기 연속파(CW) 전송 시 제1 제어신호(Contl1)은 저 전위 레벨이고, 제2 제어 신호(Contl2)는 고 전위 레벨이므로, 트랜지스터(TR1)는 오프 상태로 스위칭된다. 따라서 제2 제어신호(Contl2)는 제3 저항(R3) 내지 제5 저항(R5)의 저항치에 따라 증폭도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제3 저항(R3)의 저항치가 2 kohm 이고, 제4 저항(R4)의 저항치가 10kohm이며, 제5 저항(R5)의 저항치가 2kohm 인 경우 제2 제어신호(Contl 2)는 1/2로 감쇠된다. 따라서, 제2 제어신호(Contl 2)에 따라 증폭도가 결정되는 전력 증폭기(212b)는 하이 게인으로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변조된 RF 신호는 송신부(212)의 구동 증폭기(212a)에 공급되고 구동 증폭기(212a)는 제1 주파수 합성부(211)의 출력 신호의 송출에 필요한 입력 전력을 주기 위해 상기 변조된 RF 신호를 증폭하고, 이 증폭된 구동 증폭기(212a)의 출력 신호는 전력 증폭기(212b)로 공급되며, 전력 증폭기(212b)는 게인 제어부(215)의 출력 신호에 따라 결정된 증폭 게인을 기초로 구동 증폭기(212a)의 출력 신호를 증폭한 후 대역통과필터(212c)에 공급한다. 대역통과필터(212c)는 전력 증폭기(212b)의 출력 신호 중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고, 이 대역통과필터(212c)의 출력 신호의 도선 상의 전기적 신호 변화는 커플러(213) 및 RF용 안테나(ANT)를 통해 공기 중의 전자기파로 복사된다. 다수의 태그(500) 중 전자기파의 영역 내에 위치한 태그는 이 데이터가 포함된 RF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제2 제어신호(Contl2)에 따라 증폭도가 결정되는 전력 증폭기(212b)는 하이 게인으로 동작된다.
상기 데이터 전송 시 송신부(212)의 출력 신호의 전력 크기 보다 연속파 전송 시 송신부(212)의 출력 신호의 전력 크기가 커지게 된다. 즉, 상기 데이터 전송 시는 게인 제어부(215)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전력 증폭기(212b)가 로우 게인으로 동작하는 반면 연속파 전송 시 전력 증폭기(212b)가 하이 게인으로 동작한다. 이어 태그(500)로부터 공급되는 RF 신호(f1)는 수신부(311)를 통해 소정 레벨로 증폭된 후 제2 주파수 합성부(313)에 공급되고, 제2 주파수 합성부(313)는 이 수신부(311)의 RF 신호를 제1 주파수 합성부(211)의 사용 주파수와 코허런트한 주파수와 혼합하여 복조 신호를 발생하고, 이 복조 신호를 디지털 처리부(100)로 제공한다..
상기의 과정은 통상적인 태그의 응답 신호를 리더로 전송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은, 프리앰블 및 명령 데이터 전송 시 전력 증폭기의 게인과 고주파 성분의 연속파의 전송 시 전력 증폭기의 게인을 각각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리더와 태그 간의 통신 시 소비 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되고, 방사 전력에 비례하는 스퓨어리스를 줄여 결과적으로 스팩트럼 마스크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 의해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

  1. 디지털 처리부를 통해 변조된 RF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시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리더와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리더에 송신하는 태그로 구성되는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더는
    상기 디지털 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프리앰블 및 명령 데이터의 전송시 상기 송신부의 증폭 레벨을 로우 레벨로 제어하며 고주파 성분의 연속파 전송시 상기 송신부의 증폭 레벨을 하이 레벨로 제어하는 게인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프리앰블 및 명령 데이터의 전송시에는 고전위 레벨의 제1 제어 신호 및 고전위 레벨의 제2 제어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연속파 전송시에는 저전위 레벨의 제1 제어 신호 및 고전위 레벨의 제2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KR1020050115928A 2005-11-30 2005-11-30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KR100751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928A KR100751559B1 (ko) 2005-11-30 2005-11-30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928A KR100751559B1 (ko) 2005-11-30 2005-11-30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819A KR20070056819A (ko) 2007-06-04
KR100751559B1 true KR100751559B1 (ko) 2007-08-22

Family

ID=38354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928A KR100751559B1 (ko) 2005-11-30 2005-11-30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826B1 (ko) * 2006-02-22 2007-10-02 주식회사 하이온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의 리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952A (ko) * 2004-09-30 2006-04-04 주식회사 케이티 정보 보호 기능을 가지는 무선전자태그 및 리더기와 그를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952A (ko) * 2004-09-30 2006-04-04 주식회사 케이티 정보 보호 기능을 가지는 무선전자태그 및 리더기와 그를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819A (ko)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306B1 (ko) 저전력 리더-태그 통신을 위한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778307B1 (ko) 저 전력 리더-태그 통신을 위한 지능형 무선주파수인식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0745B1 (ko)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056818A (ko)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US5426667A (en) System for the contactless exchange of data, and responder for use in such a system
JP4519142B2 (ja) 非接触情報記憶装置内の情報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情報アクセ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7215249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US9204485B2 (en) Network node for a wireless sensor network
KR20070056816A (ko)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WO2015143731A1 (en) Mobile reader
JP2004227315A (ja) 非接触icカードリーダライタ装置
KR100751559B1 (ko)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KR20080019096A (ko) 저전력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리더
KR100783084B1 (ko) 보안장치를 가지는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676769B1 (ko)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KR101001681B1 (ko) 능동형 rfid 시스템 및 그의 태그 웨이크 업 제어 방법
US8653943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provided for access control
KR100762826B1 (ko)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의 리더 장치
KR100801904B1 (ko) 리더-태그 통신을 위한 확장형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70103618A (ko) 무선 주파수 인식 시스템의 리더 및 그 제어 방법
KR100867755B1 (ko) 무선주파수인식 리더
US7760073B2 (en) RFID tag modification for full depth backscatter modulation
Qiwei Research and design 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KR101809755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
JP5060903B2 (ja) 非接触リーダライ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