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800B1 -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800B1
KR100811800B1 KR1020060125955A KR20060125955A KR100811800B1 KR 100811800 B1 KR100811800 B1 KR 100811800B1 KR 1020060125955 A KR1020060125955 A KR 1020060125955A KR 20060125955 A KR20060125955 A KR 20060125955A KR 100811800 B1 KR100811800 B1 KR 100811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liquefied gas
mass
pressurized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수
윤철남
김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텍
Priority to KR1020060125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3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mass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38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6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arameters as output values
    • F17C2250/0605Parameters
    • F17C2250/0615Mass or weight of the content of the ves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가압용기와, 상기 가압용기의 질량을 검출하는 질량검출부와, 상기 질량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가압용기의 질량변화를 상기 가압용기 내부의 압력변화로 환산하여 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압용기를 가열하여 가압용기 내부 압력의 저하를 보상하여, 상기 액화가스의 공급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히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가압용기의 질량을 측정하고, 그 질량의 변화를 가압용기 내의 압력변화로 환산하여 용기를 가열하여, 가압용기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가압용기 내의 액화가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할 수 있어, 액화가스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The apparatus which supplies the liquefied gas at fixed pressure}
도 1은 종래 액화가스 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가압용기 11,21:딥튜브
30,40:히터 50,60:질량검출부
70:캐비닛 80:액화가스 공급관
90:사용부 100:제어부
본 발명은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화가스의 소진에 무관하게 정압의 액화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형태로 사용하는 액화가스로는 질소, 아르곤, 산소, 이 산화탄소 등이 있다. 이러한 액화가스는 고압탱크에 저장하거나, 운송가능한 소형용기 또는 고압 실린더 형태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가압용기 내에는 액화가스 뿐만 아니라 기화된 기상의 가스가 혼재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종래 액화가스 공급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액화가스 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액화가스 공급장치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가압용기(1)와, 상기 가압용기(1)를 보관하는 캐비닛(3)과, 상기 가압용기(1) 내에 위치하여 가압용기(1) 내의 액화가스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팁튜브(2)와, 상기 가압용기(1) 내의 팁튜브(2)를 통해 유출되는 액화가스를 사용부(5)로 공급하는 액화가스 공급관(4)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액화가스 공급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가압용기(1)에는 액화가스가 저장되어 있으며, 그 종류로는 액화 질소, 액화 아르곤, 액화 산소 또는 액화 이산화탄소이다.
이와 같은 액화가스를 사용하는 예로는 상기 사용부(5)가 드라이아이스 생성장치이고, 액화 이산화탄소를 공급받아 세정용 드라이아이스를 생성한다.
이때, 기체 이산화탄소에 비해 액화 이산화탄소는 높은 고체전환율을 나타내 기 때문에 세정용 드라이아이스 생성에 더 유리하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용기(1)에는 액체 이산화탄소가 저장되어 있으며, 액체 이산화탄소의 공급 초기에는 상기 가압용기(1) 내의 액체 이산화탄소의 압력에 의해 팁튜브(2)와 액화가스 공급관(4)을 통해 액체 이산화탄소가 정압으로 사용부(5)에 공급된다.
그러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가압용기(1) 내에는 빈공간이 존재하게 되며, 그 공간에는 저장된 액화 이산화탄소가 상변이한 기체 이산화탄소가 존재하게 된다. 이는 가압용기(1) 내부의 압력 변화 및 주변의 온도에 의한 영향에 따른 것이며, 상기 액화 이산화탄소의 사용량에 따라 액화 이산화탄소와 기체 이산화탄소의 비율에 차이가 발생하여 액화 이산화탄소의 공급 압력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사용부(5)에서는 일정한 압력으로 액화 이산화탄소가 공급되어야 하나, 가압용기(1) 내의 압력변화에 따라 상기 가압용기(1)에서 딥튜브(2)와 액화가스 공급관(4)을 통해 공급되는 액화 이산화탄소의 압력은 점차 감소하게 되며, 그 압력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부(5)에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가압용기(1) 내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모두 사용할 수 없으며, 그 가압용기(1) 내에 액화가스가 남아있는 경우에도 캐비닛(3) 내의 다른 가압용기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사용해야 한다.
상기의 이유로 종래 액화가스 공급장치는 가스공급과정에서 액화가스의 공급압력 저하에 의해 액화가스를 모두 소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다른 가압용기로 교체 사용해야 함으로써, 액화가스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가압용기 내에 저장된 액화가스가 소진될 때까지 액화가스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가압용기와, 상기 가압용기의 질량을 검출하는 질량검출부와, 상기 질량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가압용기의 질량변화를 상기 가압용기 내부의 압력변화로 환산하여 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압용기를 가열하여 가압용기 내부 압력의 저하를 보상하여, 상기 액화가스의 공급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두 가압용기(10,20)와, 상기 두 가압용기(10,2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각각 외부로 배출하는 딥튜브(11,21)와, 상기 두 가압용기(10,20)의 질량변화를 측정하는 질량검출부(50,60)와, 상기 질량검출부(50,60)의 질량 검출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압용기(10,20)를 개별적으로 가열하여, 상기 가압용기(10,20)에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히터(30,40)와, 가압용기(10,20), 질량검출부(50,60), 히터(30,40)를 수용하는 캐비닛(70)과, 상기 딥튜브(11,21)를 통해 공급되는 정압의 액화가스를 사용부(90)에 공급하는 액화가스 공급관(80)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가압용기(10,20)에는 액화가스가 저장되며, 그 가압용기(10,20)의 질량은 질량검출부(50,60)에서 검출된다. 이때 가압용기(10,20)의 질량은 가압용기(10,20) 내에 저장된 액화가스의 양을 측정하는 수단이 되며, 그 액화가스의 양은 사용부(90)에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압력 변화와 관계된다.
따라서, 상기 질량검출부(50,60)에서 검출된 가압용기(10,20)의 질량 정보를 입력받은 제어부(100)는 그 질량의 변화에 따른 가압용기(10,20) 내부의 압력변화를 감안하여, 설정된 온도로 상기 히터(30,40)를 가열하는 제어를 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30,40)는 두 가압용기(10,20) 각각을 개별적으로 히팅하며, 그 히팅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가압용기(10,20)에 저장된 액화가스의 기화가 가속된다.
이때, 기화된 가스는 가압용기(10,20) 내의 압력을 높이게 되며, 액화가스의 공급압력은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액화가스가 기화된 기체 가스는 소량의 액화가스가 기화된 경우에도 동일한 양의 액화가스가 가지는 압력에 비하여 더 높은 압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액화가스의 기화에 따른 액화가스의 손실은 매우 적은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가압용기(10,20)의 압력을 질량검출부(50,60)를 이용하여 검출하고, 그 질량검출부(50,60)에서 검출된 질량의 변화를 가압용기(10,20) 내부의 압력변화로 환산하여, 히터(30,40)를 이용한 가열로 손실된 압력을 보상함으로써, 상기 딥튜브(11,21)와 액화가스 공급관(80)을 통해 사용부(90)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압용기(10,20) 내의 압력 조정에 의하여 상기 액화가스는 압력조정을 위해 기화되는 소량의 액화가스를 제외하고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액화가스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가압용기(10,20)에서 최초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압력과 마지막에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부(90)에서는 항상 동일한 압력의 액화가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압용기(10,20)에 저장된 액화가스가 액화 이산화탄소이고, 상기 사용부(90)가 세정용 드라이아이스 생성 노즐인 경우, 동일한 가압용기(10,20)를 사용할 때, 일정한 압력의 세정용 드라이아이스 분사가 가능하여 세정공정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두 가압용기(10,20)는 양측모두의 액화가스가 딥튜브(11,21)와 액화가스 공급관(80)을 통해 사용부(90)에 공급될 수 있으며, 일측 가압용기(10)의 액화가스가 모두 소진된 후 다른 가압용기(20)의 액화가스가 사용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가압용기의 질량을 측정하고, 그 질량의 변화를 가압용기 내의 압력변화로 환산하여 용기를 가열하여, 가압용기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가압용기 내의 액화가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할 수 있어, 액화가스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액화가스를 수용하며, 내부 압력에 의해 사용부에 액화가스를 공급하는 가압용기;
    상기 가압용기의 질량을 검출하는 질량검출부;
    상기 질량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가압용기의 질량변화를 상기 가압용기 내부의 압력변화로 환산하여 상기 가압용기 내부 압력을 보상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압용기를 가열하여 가압용기 내부 압력의 저하를 보상하여, 상기 액화가스의 공급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용기로 서로 다른 두 개의 가압용기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질량검출부는 그 두 개의 가압용기 각각의 질량을 측정하며, 상기 히터는 그 두 개의 가압용기 각각을 개별적으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용기의 액화가스는 액화 이산화탄소이고, 상기 사용부는 세정용 드라이아이스 분사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
KR1020060125955A 2006-12-12 2006-12-12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 KR100811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955A KR100811800B1 (ko) 2006-12-12 2006-12-12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955A KR100811800B1 (ko) 2006-12-12 2006-12-12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800B1 true KR100811800B1 (ko) 2008-03-10

Family

ID=39398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955A KR100811800B1 (ko) 2006-12-12 2006-12-12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8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521B1 (ko) * 2009-03-12 2009-11-25 우주쎄미텍 주식회사 액화가스 자동 기화 공급 장치
KR101106597B1 (ko) * 2009-12-23 2012-01-2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액화가스 공급유량 조절장치
KR20180000074U (ko) 2016-06-28 2018-01-0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정압기 코어의 조립용 지그
KR20180000084U (ko) 2016-06-28 2018-01-0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용 퍼지장치
KR20200001365U (ko) 2018-12-14 2020-06-2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용 퍼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096A (ja) 1999-06-23 2001-01-09 Nippon Sanso Corp ガス供給方法及び装置
JP2002071099A (ja) 2000-08-28 2002-03-08 Yazaki Corp 液化ガス供給装置
JP2003227597A (ja) 2002-02-01 2003-08-15 Nippon Sanso Corp ガス供給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096A (ja) 1999-06-23 2001-01-09 Nippon Sanso Corp ガス供給方法及び装置
JP2002071099A (ja) 2000-08-28 2002-03-08 Yazaki Corp 液化ガス供給装置
JP2003227597A (ja) 2002-02-01 2003-08-15 Nippon Sanso Corp ガス供給装置及び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521B1 (ko) * 2009-03-12 2009-11-25 우주쎄미텍 주식회사 액화가스 자동 기화 공급 장치
KR101106597B1 (ko) * 2009-12-23 2012-01-2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액화가스 공급유량 조절장치
KR20180000074U (ko) 2016-06-28 2018-01-0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정압기 코어의 조립용 지그
KR20180000084U (ko) 2016-06-28 2018-01-0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용 퍼지장치
KR20200001365U (ko) 2018-12-14 2020-06-2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용 퍼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800B1 (ko)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
KR100733157B1 (ko) Lng선박 냉각시험 및 치환용 질소공급시스템
JP5428755B2 (ja) ガス充填装置
TW463206B (en) Continuous gas saturation system and method
CA2293287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generate liquid ambulatory oxygen from an oxygen concentrator
JP4443879B2 (ja) 高精度高圧アニール装置
KR101585054B1 (ko) 액상 전구체 공급장치
KR100773727B1 (ko) 액화가스 정압 공급장치 및 방법
JP4884301B2 (ja) 発電プラント及び発電プラントの発電方法
CA2794646C (en) Apparatus for purging hydrogen cooling gas from a turbine and high flow co2 delivery system
JP2002333103A (ja) 過熱蒸気発生方法及びその装置
JP5260337B2 (ja) 燃料ハンドリング装置及び方法
JP2007212381A (ja) 温度調節装置
US6380522B1 (en) Device for the regulation of a generator of a hot fluid in liquid or gaseous phase
JP2003013233A (ja) 液体原料気化供給装置
KR20140000637A (ko) 액체 재료 유무 검지 방법
Navin et al. Communication: Angle-resolved thermal dissociative sticking of CH4 on Pt (111): Further indication that rotation is a spectator to the gas-surface reaction dynamics
TW202309432A (zh) 用於高壓氣體輸送的減壓系統、設備和方法
CN114322558A (zh) 脱脂炉及脱脂方法
JP2018112218A (ja) Lng貯留設備のbog圧縮機負荷制御装置
JP2012251606A (ja) 液化水素貯蔵供給設備
US56113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vaporized fuel stream
KR102136007B1 (ko) 질량감지수단을 이용한 액체질소 자동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JP2008291872A (ja) 低温液化ガスの流量計測システム
JP3242006U (ja) 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メタノール気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