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247B1 -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247B1
KR100811247B1 KR1020060001108A KR20060001108A KR100811247B1 KR 100811247 B1 KR100811247 B1 KR 100811247B1 KR 1020060001108 A KR1020060001108 A KR 1020060001108A KR 20060001108 A KR20060001108 A KR 20060001108A KR 100811247 B1 KR100811247 B1 KR 100811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xhaust gas
tank
processing space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3333A (ko
Inventor
문기학
Original Assignee
성진엔지니어링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진엔지니어링 (주) filed Critical 성진엔지니어링 (주)
Priority to KR1020060001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247B1/ko
Publication of KR20070073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bending, e.g. snap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04Pend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기성 물질의 처리 효율을 최대로 향상시킴은 물론, 특히 배기가스의 유기성 물질에 포함된 악취도 제거할 수 있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물 순환수단을 통해 물이 채워지는 수조가 구비되고 배기구가 구비된 처리공간을 포함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공간의 일측으로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수단과, 상기 처리공간의 상부로 상기 수조의 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물 공급수단과, 상기 처리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물 공급수단을 통해 투입되는 물과 배기가스 공급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상호 접촉시켜 배기가스를 세정하는 세정수단, 및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처리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수단은, 처리공간의 중간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 상부에 상기 물 공급수단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물 적체수조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물을 체류시키는 수직격판을 포함하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적체수조와 개방부의 사이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과, 상기 다수의 홀들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와 물이 접촉되는 순간에 와류를 형성시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 하는 와류 형성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에 물 순환수단을 통해 물이 채워지는 수조가 구비되고 배기구가 구비된 처리공간을 포함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공간의 일측으로 배기가스를 공급 하는 배기가스 공급수단과, 상기 처리공간의 상부로 상기 수조의 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물 공급수단과, 상기 처리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물 공급수단을 통해 투입되는 물과 배기가스 공급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상호 접촉시켜 배기가스를 세정하는 세정수단, 및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처리공간의 타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공간은,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다수의 격벽을 통해 하부와 상부가 번갈아 가며 개방되어 배기가스가 이동되게 구비된 다수의 통로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통로 들중 일측에서 타측으로 홀수 열의 통로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세정수단은, 일측 상부에 상기 물 공급수단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물 적체수조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물을 체류시키는 수직격판을 포함하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적체수조와 개방부의 사이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과, 상기 다수의 홀들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와 물이 접촉되는 순간에 와류를 형성시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 하는 와류 형성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배기가스, 처리장치, 유기성 물질

Description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Treatment system for organic exhaust gas include an od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전체 구성도이고,
도 1b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A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세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세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세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C-C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전체 구성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D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따른 일 실시예의 세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따른 세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E-E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세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F-F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11은 종래에 타공판을 이용한 세정식 처리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12는 도 11의 G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처리조
11 : 처리공간
111 : 배기구
12 : 수조
121 : 보조수조
13 : 물 순환수단
131 : 물 채움 공급관, 132 : 배수수단, 133 : 배수조,
134 : 제1 배수관, 135 : 제2 배수관, 136 : pH센서, 137 : COD센서
14 : 배기가스 공급수단
141 : 배기관, 142 : 배기가스 공급관, 143 : 팬
15 : 물 공급수단
151 : 물 공급관
16 : 재투입 회수관
2 : 세정수단
21 : 타공판
211 : 홀, 212 : 물 적체수조, 213 : 개방부, 214 : 수직격판
22 : 와류 형성수단
221 : 와류 형성격판, 222 : 와류 형성구형캡, 223 : 지지대,
224 : 와류 형성대, 225 : 경사대, 226 : 내부 와류공간,
227 : 분출홀
3 : 제어수단
4 : 처리조
41 : 처리공간
411 : 배기구
42 : 수조
421 : 보조수조
43 : 물 순환수단
431 : 물 채움 공급관, 432 : 배수수단, 433 : 배수조,
434 : 제1 배수관, 435 : 제2 배수관, 436 : pH센서, 437 : COD센서
44 : 배기가스 공급수단
441 : 배기관, 442 : 배기가스 공급관, 443 : 팬
45 : 물 공급수단
451 : 물 공급관
46 : 재투입 회수관
5 : 세정수단
51 : 타공판
511 : 홀, 512 : 물 적체수조, 513 : 개방부, 514 : 수직격판
52 : 와류 형성수단
521 : 와류 형성격판, 522 : 와류 형성구형캡, 523 : 지지대,
524 : 와류 형성대, 525 : 경사대, 526 : 내부 와류공간,
527 : 분출홀
6 : 제어수단
7 : 격벽
71 : 통로
10 : 농축기
20 : 소각로
30 : 폐수 처리장치
본 발명은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공장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기성 물질의 처리 효율을 최대로 향상시킴은 물론, 특히 배기가스의 유기성 물질에 포함된 악취도 제거할 수 있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기가스는 반도체와 LCD 공장 및 여러 화학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것으로서 여러 유해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악취도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공장에서는 배기가스가 대기중에 그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의무적으로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즉 통상적으로 알려진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농축 소각방식과 세정방식의 배기가스 처리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즉, 종래 농축 소각방식의 처리장치는, 고풍량, 저농도 가스를 제올라이트 농축기에서 10:1 이상으로 흡착 농축시키고 일정 온도에서 다시 탈착시켜 소각로의 가스 소각을 통해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방식의 장치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농축 소각식 처리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공장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특히, VOC가스)는 농축기에서 미 농축된 화합물 및 소각로에서 미 연소된 화합물로 인해 처리공정 이후에 대기로 배출되는 처리 가스는 악취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농축, 소각 방식의 장치는 온도가 큰 변수가 되기 때문에 LNG를 충분히 공급하여 배기가스를 연소시켜야 함으로서, 배기가스의 소각시 사용되는 연료인 LNG의 소비량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배기가스에는 PR성분과 같은 점액성 물질(끈적거리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음에 따라서 제올라이트 농축기의 흡착 성능의 저하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종래의 세정식 처리장치는 대표적으로 타공판을 이용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타공판을 이용하는 세정식 처리장치는 배기가스의 포함되는 먼지, 분진을 물의 흡착을 통해 세정하는 방식이다.
즉 도 11은 종래에 타공판을 이용한 세정식 처리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G부 확대도이다.
이에 종래의 타공판을 이용한 세정식 처리장치는, 하부에 수조(101)가 구비되어 있고 상부에 배기구(103)가 형성되어 있는 처리공간(102)을 포함하는 처리조 (100)와, 상기 처리공간(102)의 일측으로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수단(200)과, 상기 처리공간(102)의 상부로 상기 수조(101)의 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물 공급수단(300), 및 상기 처리공간(102)에 구비되어 상기 물 공급수단(300)을 통해 투입되는 물과 배기가스 공급수단(200)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상호 접촉시켜 배기가스를 세정하는 세정수단(400)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세정수단(400)은, 일측 상부에 상기 물 공급수단(300)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물 적체수조(402)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물을 체류 시키는 수직격판(404)을 포함하는 개방부(403)가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401)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타공판(401)은 상기 물 적체수조(402)와 개방부(403)의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홀(405)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물 공급수단(300)을 통해 타공판(401)의 상부로 물을 공급하면서 배기가스 공급수단(200)을 작동시키게 되면, 배기가스가 타공판(401)의 홀(405)로 상승 통과되고 물은 타공판(401)의 상부에서 개방부(403)쪽으로 흐르게 된다.
그러면 배기가스가 타공판(401)의 상부에 형성된 물층을 통과하면서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및 분진이 흡착 제거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처리장치를 통해 배기가스를 처리함에 있어서 배기가스가 순간적으로 물층에 통과됨으로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 면적이 적어짐으로 인하여 배기가스의 포함되어 있는 유기성 물질 및 악취성분은 그대로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타공판 형식의 세정 처리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성 물질의 제거가 미비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종래의 세정식 처리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후 처리장치로 유기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나 활성탄을 이용하는 처리 공정을 더 구비해야 함으로서, 처리장치의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들게 됨은 물론, 필터와 활성탄의 주기적인 교체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단일의 세정식 처리장치를 통해 배기가스에 포함된 먼지, 분진은 물론 악취를 포함하는 유기성 물질도 함께 제거할 수 있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기성 물질중 휘발성 유기물질의 제거 효율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 수조에 채워진 물의 pH변화에 상응되게 물을 공급하여 물을 최적의 중성 상태로 만들어 유기성 물질의 용해도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 수조에 채워진 물의 COD변화를 측정하여 물의 포화도에 따라 물을 공급함으로서 유기성 물질의 용해도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 수조에 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배수를 안정적으로 유도하여 과동한 물의 공급으로 인한 장치의 과부하를 사전에 예방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 처리조 내부에 구비된 처리공간을 다수의 통로로 구획하여 다수의 통로에 세정수단을 병렬로 구비함으로서, 낮은 높이로 처리장치를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본 발명은, 하부에 물 순환수단을 통해 물이 채워지는 수조가 구비되고 배기구가 구비된 처리공간을 포함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공간의 일측으로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수단과, 상기 처리공간의 상부로 상기 수조의 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물 공급수단과, 상기 처리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물 공급수단을 통해 투입되는 물과 배기가스 공급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상호 접촉시켜 배기가스를 세정하는 세정수단, 및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처리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수단은, 처리공간의 중간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 상부에 상기 물 공급수단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물 적체수조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물을 체류시키는 수직격판을 포함하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적체수조와 개방부의 사이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과, 상기 다수의 홀들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와 물이 접촉되는 순간에 와류를 형성시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 하는 와류 형성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에 물 순환수단을 통해 물이 채워지는 수조가 구비되고 배기구가 구비된 처리공간을 포함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공간의 일측으로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수단과, 상기 처리공간의 상부로 상기 수조의 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물 공급수단과, 상기 처리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물 공급수단 을 통해 투입되는 물과 배기가스 공급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상호 접촉시켜 배기가스를 세정하는 세정수단, 및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처리공간의 타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공간은,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다수의 격벽을 통해 하부와 상부가 번갈아 가며 개방되어 배기가스가 이동되게 구비된 다수의 통로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통로 들중 일측에서 타측으로 홀수 열의 통로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세정수단은, 일측 상부에 상기 물 공급수단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물 적체수조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물을 체류시키는 수직격판을 포함하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적체수조와 개방부의 사이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과, 상기 다수의 홀들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와 물이 접촉되는 순간에 와류를 형성시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 하는 와류 형성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전체 구성도이고, 도 1b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A부 확대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세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하부에 물 순환수단(13)을 통해 물이 채워지는 수조(12)가 구비되고 배기구(111)가 구비된 처리공간(11)을 포함하는 처리조(1)와, 상기 처리공간(11)의 일측으로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수단(14)과, 상기 처리공간(11)의 상부로 상기 수조(12)의 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물 공급수단(15)과, 상기 처리공간(11)에 구비되어 상기 물 공급수단(15)을 통해 투입되는 물과 배기가스 공급수단(14)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상호 접촉시켜 배기가스를 세정하는 세정수단(2), 및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3)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11)는 처리공간(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수단(2)은, 처리공간(11)의 중간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 상부에 상기 물 공급수단(15)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물 적체수조(212)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물을 체류시키는 수직격판(214)을 포함하는 개방부(2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적체수조(212)와 개방부(213)의 사이에는 다수의 홀(211)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21)과, 상기 다수의 홀(211)들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와 물이 접촉되는 순간에 와류를 형성시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 하는 와류 형성수단(2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수단(2)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세정수단(2)이 타공판(21)의 양측 위치를 달리하면서 다단으로 더 구비됨으로서 배기가스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세정수단(2)의 양측 위치를 달리하면서 다단으로 구비함으로서 물을 연속적으로 흐르게 하여 배기가스의 세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와류 형성수단(22)은, 상기 홀(211)의 상부에 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호 측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다수의 와류 형성격판(221)으 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211)은 다수의 종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류 형성격판(221)은 적어도 한 열 이상의 상기 홀(211)들을 덮을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물 공급수단(15)은, 수조에서 인출되어 상기 세정수단(2)의 상부로 물을 강제 순환시키는 것으로 제어수단(3)에 의해 작동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단일의 물 공급관(151)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물 공급관(151)은 상기 세정수단(2) 중 제일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세정수단(2)에 포함되어 있는 물 적체수조(212)로 인출되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세정수단(2)을 구성하는 물 적체수조(212)는 물을 완만하게 타공판(21)의 상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측벽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벽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을 형성함으로서 물을 완만하게 타공판(21)의 상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가스 공급수단(14)은, 상기 공장의 배기관(141)과 연결되어 팬(143)을 통해 배기가스를 처리공간(11)으로 강제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관(14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조(12)는 처리공간(11)과는 차단되고 수조(12)의 물만 유입되는 보조수조(121)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수조(121)의 상부인 수면의 상부와 상기 팬(143)의 전방인 배기가스 공급관(142)의 사이에는 수면위로 상승되는 휘발성 유 기물질을 배기가스 공급관(142)을 통해 처리공간(11)으로 재투입하는 재투입 회수관(16)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보조수조(121)의 채워진 물로부터 휘발성 유기물질이 상승되게 되면 상승된 휘발성 유기물질은 상기 재투입 회수관(16)을 통해 배기가스 공급관(142)으로 유입된 다음 처리공간(11)으로 재 투입되어 처리됨으로서 좀더 처리 효율이 향상된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 순환수단(13)은 외부의 물 공급원(도시않됨)과 보조수조(121)의 상부와 연결되어 있는 펌프를 포함하는 물 채움 공급관(131)과, 보조수조(121)에 구비되어 수조(12)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132)과, 상기 보조수조(121)에 채워진 물의 pH농도를 감지하여 제어수단(3)을 통해 펌프와 배수수단(132)을 제어하는 pH센서(136)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조에 채워진 물의 pH변화에 상응되게 물을 공급하여 물을 최적의 중성 상태로 만들어 유기성 물질의 용해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수조(12)는 처리공간(11)과는 차단되고 수조(12)의 물만 유입되는 보조수조(121)를 포함하고, 상기 물 순환수단(13)은 물 공급원과 보조수조(121)의 상부와 연결되어 있는 펌프를 포함하는 물 채움 공급관(131)과, 보조수조(1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조(12)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132)과, 상기 보조수조(121)에 채워진 물의 COD를 감지하여 제어수단(3)을 통해 펌프와 배수수단(132)을 제어하는 COD센서(137)로 구성될 수 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조에 채워진 물의 COD변화를 측정하여 물의 포화도에 따라 물을 공 급함으로서 유기성 물질의 용해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상기 배수수단(132)은, 상기 보조수조(121)의 측벽에 구비되어 수면의 물을 오버플로우시켜 물을 안정적으로 배출하는 배수조(133)와, 상기 배수조(133)로 취합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수단(3)을 통해 개폐되는 배수밸브가 구비된 제1 배수관(134), 및 상기 보조수조(121)의 하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배수관(134)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3)을 통해 별도로 개폐되는 배수밸브를 포함하는 제2 배수관(135)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배수조(133)는 수면의 물을 오버플로우시키는 측벽을 포함하며 측벽의 상부에는 다수의 굴곡부를 두어 수면의 물이 좀더 안정적으로 배수조(13)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조에 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배수를 안정적으로 유도하여 과도한 물의 공급으로 인한 장치의 과부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수단(132)의 배출측에는 배수수단(132)을 통해 유입되는 폐수를 처리하는 폐수 처리장치(30)가 더 연결됨으로서, 폐수가 그대로 하수구에 방출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폐수 처리장치(30)는 여러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나 폐수를 오버 플로우를 통해 처리하는 유량조절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물 공급수단(15)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물을 공급하고 배기가스가 미 유입될 경우에는, 공급되는 물은 세정수단(2)의 물 적체수조(212)를 통하여 반대편에 구비된 개방부(213)는 물론 타공판(21)에 형성된 홀(211)을 통해 하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배기가스 공급관(142)의 팬(143)을 작동시키면 배기가스가 팬(143)의 항력으로 인하여 상기 타공판(21)의 홀(211)로 통과 상승되게 된다.
그러면 배기가스가 다수의 홀(211)에 상승되면서 통과되는 순간에는 배기가스의 상승력으로 인하여 홀(211)에서 더 이상 물은 흘러내리지 않고 대신 배기가스가 홀(211)의 상부에 형성되는 물층을 통과하면서 홀(2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와류 형성수단(22)으로 인하여 와류를 일으키면서 물과 배기가스가 상호 접촉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물과 배기가스의 상호 접촉됨에 따라서 배기가스에 혼합되어 있는 먼지 및 분진은 물론 악취를 포함하는 유기성 물질를 제거시키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배기가스가 물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홀(211)들의 상부에 구비된 와류 형성격판(221)에 배기가스가 포함된 물이 충돌됨으로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이 확장된다. 그러므로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물질이 물에 용해되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공장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다단으로 구비된 세정수단(2)의 상부를 이동하는 물을 통해 세정 처리함으로서,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악취성분을 포함하는 유기성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함에 따라 악취성분이 포함된 유기성 물질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세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B-B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세정수단(2)은, 일측 상부에 상기 물 공급수단(15)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물 적체수조(212)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물을 체류시키는 수직격판(214)을 포함하는 개방부(2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적체수조(212)와 개방부(213)의 사이에는 다수의 홀(211)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21)과, 상기 다수의 홀(211)들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와 물이 접촉되는 순간에 와류를 형성시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 하는 와류 형성수단(22)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와류 형성수단(22)은, 상기 각각의 홀(211)의 상부에 공간을 두고 지지대(223)를 통해 구비되는 다수의 와류 형성구형캡(22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배기가스가 홀(211)에 상승되면서 통과되는 순간에는 배기가스의 상승력으로 인하여 홀(211)에서 더 이상 물은 흘러내지지 않고 대신 배기가스가 홀(211)의 상부에 형성되는 물층을 통과하면서 홀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와류 형성수단(22)의 내부에 접촉됨으로서 와류를 일으키면서 물과 배기가스가 상호 접촉된다.
즉 상기 배기가스가 물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홀(211)의 상부에 구비된 와류 형성구형캡(222)에 배기가스가 포함된 물이 접촉되면서 와류를 일으킨 다음 와류 형성구형캡(222)의 하부 둘레에서 배기가스가 상승된 후 배출 됨으로서, 배기 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이 확장된다. 그러므로 배기가스의 포함되어 있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물질이 물에 용해되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세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C-C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세정수단(2)은, 일측 상부에 상기 물 공급수단(15)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물 적체수조(212)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물을 체류시키는 수직격판(214)을 포함하는 개방부(2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적체수조(212)와 개방부(213)의 사이에는 다수의 홀(211)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21)과, 상기 다수의 홀(211)들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와 물이 접촉되는 순간에 와류를 형성시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 하는 와류 형성수단(22)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와류 형성수단(22)은, 상기 각각의 홀(211)의 상부에 씌워지고 측부로 편중되게 다수의 분출홀(227)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와류공간(226)을 포함하는 다수의 와류 형성대(22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타공판(21)의 홀은 다수의 종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류 형성대(224)는 일측에 분출홀(227)이 형성된 양측 경사대(22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211)과 분출홀(227)은 상호 위치를 달리하며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기가스가 홀(211)에 상승되면서 통과되는 순간에는 배기가스의 상승력으로 인하여 홀(211)에서 더 이상 물은 흘러내지지 않고 대신 배기가스가 홀(211)의 상부에 형성되는 물층을 통과하면서 홀(2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와류 형성수단(22)으로 인하여 와류를 일으키면서 물과 배기가스가 상호 접촉된다.
즉 상기 배기가스가 물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홀(211)의 상부에 구비된 와류 형성대(224)의 내부 공간에서 배기가스가 포함된 물이 와류를 일으킨 다음 분출홀(227)을 통해 상승 배출됨으로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이 확장된다. 그러므로 배기가스의 포함되어 있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물질이 물에 용해되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홀(211)과 와류 형성대(224)의 분출홀(227)의 위치를 달리하여 와류가 더 크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좀더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상기 공장에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관(141)과 배기가스 공급관(142)의 사이에 배기가스를 농축시키는 농축기(10) 및 농축된 배기가스를 소각시키는 소각로(2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농축기(10)를 통해 배기가스를 농축 처리한 다음 이를 소각로에서 소각 시킨 후 처리조(1)의 내부에서 물을 통해 세정함으로서,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성분을 포함하는 유기성 물질의 제거 효율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전체 구성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D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세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하부에 물 순환수단(43)을 통해 물이 채워지는 수조(42)가 구비되고 배기구(411)가 구비된 처리공간(41)을 포함하는 처리조(4)와, 상기 처리공간(41)의 일측으로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수단(44)과, 상기 처리공간(41)의 상부로 상기 수조(42)의 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물 공급수단(45)과, 상기 처리공간(41)에 구비되어 상기 물 공급수단(45)을 통해 투입되는 물과 배기가스 공급수단(44)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상호 접촉시켜 배기가스를 세정하는 세정수단(5), 및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6)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411)는 처리공간(41)의 타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공간(41)은,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다수의 격벽(7)을 통해 하부와 상부가 번갈아 가며 개방되어 배기가스가 이동되게 구비된 다수의 통로(71)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세정수단(5)은 상기 통로(71)들중 일측에서 타측으로 홀수 열의 통로(71)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세정수단(5)은, 일측 상부에 상기 물 공급수단(45)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물 적체수조(52)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물을 체류시키는 수직격판(514)을 포함하는 개방부(5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적체수조(512)와 개방부(513)의 사이에는 다수의 홀(511)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51)과, 상기 다수의 홀(511)들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와 물이 접촉되는 순간에 와류를 형성시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 하는 와류 형성수단(52)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세정수단(5)이 구비되어 있는 통로(71)에서는 배기가스가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 이동되게 됨으로서 물과 접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통로(71)에 구비된 세정수단(5)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세정수단(5)이 타공판(51)의 양측 위치를 달리하면서 다단으로 더 구비됨으로서 배기가스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세정수단(5)의 양측 위치를 달리하면서 세정수단(5)을 다단으로 구비함으로서 물을 연속적으로 흐르게 하여 배기가스의 세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와류 형성수단(52)은, 상기 홀(511)의 상부에 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호 측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다수의 와류 형성격판(52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511)은 다수의 종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류 형성격판(521)은 적어도 한 열 이상의 상기 홀(511)들을 덮을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물 공급수단(15)은, 수조(42)에서 인출되어 상기 각각의 통로(71)에 구비된 세정수단(2)의 상부로 물을 강제 순환시키는 것으로, 제어수단(3)에 의해 작동되는 펌프를 포함하며 다수로 분기되는 물 공급관(451)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물 공급관(451)에서 분기되는 분기관들은 상기 세정수단(2) 중 제일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각 통로(71)에 구비된 각각의 세정수단(2)에 포함되어 있는 물 적체수조(512)로 인출되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세정수단(2)을 구성하는 물 적체수조(212)는 물을 완만하게 타공판(21)의 상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측벽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벽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을 형성함으로서 물을 완만하게 타공판(21)의 상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가스 공급수단(44)은, 상기 공장의 배기관(441)과 연결되어 팬(443)을 통해 배기가스를 처리공간(41)으로 강제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관(44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조(42)는 처리공간(41)과는 차단되고 수조(42)의 물만 유입되는 보조수조(421)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수조(421)의 상부인 수면의 상부와 상기 팬(443)의 전방인 배기가스 공급관(442)의 사이에는 수면위로 상승되는 휘발성 유기물질을 배기가스 공급관(442)을 통해 처리공간(41)으로 재투입하는 재투입 회수관(46)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보조수조(421)에 채워진 물로부터 휘발성 유기물질이 상승되게 되면 상승된 휘발성 유기물질은 상기 재투입 회수관(46)을 통해 배기가스 공급관(442)으로 유입된 다음 처리공간(41)에 재 투입되어 처리됨으로서 좀더 처리 효율이 향상된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 순환수단(43)은 물 공급원(도시않됨)과 보조수조(421)의 상부와 연결되어 있는 펌프를 포함하는 물 채움 공급관(431)과, 보조수조(421)에 구비되어 수조(42)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432)과, 상기 보조수조(421)에 채워진 물의 pH농도를 감지하여 제어수단(6)을 통해 펌프와 배수수단(432)을 제어하는 pH센서(436)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조에 채워진 물의 pH변화에 상응되게 물을 공급하여 물을 최적의 중성 상태로 만들어 유기성 물질의 용해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수조(42)는 처리공간(41)과는 차단되고 수조(42)의 물만 유입되는 보조수조(421)를 포함하고, 상기 물 순환수단(43)은 물 공급원과 보조수조(421)의 상부와 연결되어 있는 펌프를 포함하는 물 채움 공급관(431)과, 보조수조(4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조(42)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432)과, 상기 보조수조(421)에 채워진 물의 COD를 감지하여 제어수단(6)을 통해 펌프와 배수수단(432)을 제어하는 COD센서(437)로 구성될 수 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조에 채워진 물의 COD변화를 측정하여 물의 포화도에 따라 물을 공급함으로서 유기성 물질의 용해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상기 배수수단(432)은, 상기 보조수조(421)의 측벽에 구비되어 수면의 물을 오버플로우시켜 물을 안정적으로 배출하는 배수조(433)와, 상기 배수조(433)로 취합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수단(6)을 통해 개폐되는 배수밸브가 구비된 제1 배수관(434), 및 상기 보조수조(421)의 하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배수관(434)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6)을 통해 별도로 개폐되는 배수밸브를 포함하는 제2 배수관(435)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배수조(433)는 수면의 물을 오버 플로우시키는 측벽을 포함하며 측벽의 상부에는 다수의 굴곡부를 두어 수면의 물이 좀더 안정적으로 배수조(43)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조에 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배수를 안정적으로 유도하여 과동한 물의 공급으로 인한 장치의 과부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수단(432)의 배출측에 연결되어 배수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폐수를 처리하여 배출하는 폐수 처리장치(30)를 더 구비됨으로서, 폐수가 하수구로 방출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폐수 처리장치(30)는 여러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나 폐수를 오버 플로우를 통해 처리하는 유량조절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물 공급수단(45)으로부터 분기관을 통해 각 세정수단(5)에 연속적으로 물을 공급하고 배기가스가 미 유입될 경우에는, 공급되는 물은 각각의 통로(71)에 구비된 각 세정수단(5)의 물 적체수조(512)를 통하여 반대편에 구비된 개방부(513)는 물론 타공판(51)에 형성된 홀(511)을 통해 하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배기가스 공급관(442)의 팬(443)을 작동시키면 배기가스가 팬(443)의 항력으로 인하여 상기 타공판(51)의 홀(511)로 통과 상승되게 된다.
그러면 배기가스가 다수의 홀(511)에 상승되면서 통과되는 순간에는 배기가 스의 상승력으로 인하여 홀(511)에서 더 이상 물은 흘러내지지 않고 대신 배기가스가 홀(511)의 상부에 형성되는 물층을 통과하면서 홀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와류 형성수단(52)으로 인하여 와류를 일으키면서 물과 배기가스가 상호 접촉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물과 배기가스의 상호 접촉됨에 따라서 배기가스에 혼합되어 있는 먼지 및 분진은 물론 악취를 포함하는 유기성 물질를 제거시키는 것이다. 즉 배기가스는 각각의 통로(71)을 통과하면서 각각의 통로(71)에 구비되어 있는 세정수단(5)에서 순차적으로 처리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배기가스 공급관(442)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는 홀수열의 통로(71)에서는 상승되어 세정 처리되고 짝수열의 통로(71)에서는 하강되어 다음 칸의 통로(71)로 이동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배기가스가 물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홀(511)들의 상부에 구비된 와류 형성격판(521)에 배기가스가 포함된 물이 충돌됨으로서 배기가스의 물의 접촉면적이 확장된다. 그러므로 배기가스의 포함되어 있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물질이 물에 용해되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공장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각각의 통로(71)에 다단으로 구비된 세정수단(5)의 상부를 이동하는 물을 통해 세정 처리함으로서,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악취성분을 포함하는 유기성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항에 따라 악취성분이 포함된 유기성 물질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처리공간(41)을 다수의 통로(71)로 구획하여 다수의 세정수단을 병렬로 구비함으로서, 낮은 높이로 처리장치를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 지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따른 세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E-E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세정수단(5)은, 일측 상부에 상기 물 공급수단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물 적체수조(512)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물을 체류시키는 수직격판(514)을 포함하는 개방부(5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적체수조(512)와 개방부의 사이에는 다수의 홀(511)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51)과, 상기 다수의 홀(511)들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와 물이 접촉되는 순간에 와류를 형성시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 하는 와류 형성수단(52)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와류 형성수단(52)은, 상기 각각의 홀(511)의 상부에 공간을 두고 지지대(523)를 통해 구비되는 다수의 와류 형성구형캡(52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배기가스가 홀(511)에 상승되면서 통과되는 순간에는 배기가스의 상승력으로 인하여 홀(511)에서 더 이상 물은 흘러내지지 않고 대신 배기가스가 홀(511)의 상부에 형성되는 물층을 통과하면서 홀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와류 형성수단(52)의 내부에 접촉됨으로서 와류를 일으키면서 물과 배기가스가 상호 접촉된다.
즉 상기 배기가스가 물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홀(511)의 상부에 구비된 와류 형성구형캡(522)에 배기가스가 포함된 물이 접촉되면서 와류를 일으킨 다음 와류 형성구형캡(522)의 하부 둘레에서 배기가스가 상승된 후 배출 됨으로서, 배기 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이 확장된다. 그러므로 배기가스의 포함되어 있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물질이 물에 용해되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세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F-F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세정수단(5)은, 일측 상부에 상기 물 공급수단(45)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물 적체수조(512)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물을 체류시키는 수직격판(514)을 포함하는 개방부(5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적체수조(512)와 개방부(513)의 사이에는 다수의 홀(511)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51)과, 상기 다수의 홀(511)들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와 물이 접촉되는 순간에 와류를 형성시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 하는 와류 형성수단(52)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와류 형성수단(52)은, 상기 각각의 홀(511)의 상부에 씌워지고 측부로 편중되게 다수의 분출홀(527)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와류공간(526)을 포함하는 다수의 와류 형성대(52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타공판(51)의 홀은 다수의 종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류 형성대(524)를 일측에는 분출홀(527)에 형성된 양측 경사대(52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511)과 분출홀(527)을 상호 위치를 달리하며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기가스가 홀(511)에 상승되면서 통과되는 순간에는 배기가스의 상승력으로 인하여 홀(511)에서 더 이상 물은 흘러내지지 않고 대신 배기가스가 홀(511)의 상부에 형성되는 물층을 통과하면서 홀(5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와류 형성수단(52)으로 인하여 와류를 일으키면서 물과 배기가스가 상호 접촉된다.
즉 상기 배기가스가 물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홀(511)의 상부에 구비된 와류 형성대(524)의 내부에서 배기가스가 포함된 물이 와류 형성대(524)의 내부 공간에서 와류를 일으킨 다음 분출홀(527)을 통해 상승 배출됨으로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이 확장된다. 그러므로 배기가스의 포함되어 있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물질이 물에 용해되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홀(511)과 와류 형성대(524)의 분출홀(527)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서 와류가 더 크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좀더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상기 공장에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관(441)과 배기가스 공급관(442)의 사이에 배기가스를 농축시키는 농축기(10) 및 농축된 배기가스를 소각시키는 소각로(2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농축기(10)를 통해 배기가스를 농축 처리한 다음 이를 소각로에서 소각 시킨 후 처리조(4)의 내부에서 물을 통해 세정함으로서,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성분을 포함하는 유기성 물질의 제거 효율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단일의 세정식 처리장치를 통해 배기가스에 포함된 먼지, 분진은 물론 악취를 포함하는 유기성 물질도 함께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존의 농축 소각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유기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기성 물질중 휘발성 유기물질의 제거 효율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기성 물질의 처리 효율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수조에 채워진 물의 pH변화에 상응되게 물을 공급하여 물을 최적의 중성 상태로 만들어 유기성 물질의 용해도를 극대화 하는 효과도 있다.
또 수조에 채워진 물의 COD변화를 측정하여 물의 포화도에 따라 물을 공급함으로서 유기성 물질의 용해도를 극대화 하는 효과도 있다.
또 수조에 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배수를 안정적으로 유도하여 과동한 물의 공급으로 인한 장치의 과부하를 사전에 예방함으로서,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처리조 내부에 구비된 처리공간을 다수의 통로로 구획하여 다수의 통로에 세정수단을 병렬로 구비하여 낮은 높이로 처리장치를 시공함으로서, 공간의 제약과 고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처리조를 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 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28)

  1. 공장의 배기관(441)과 연결되며, 하부에 물 순환수단(13)을 통해 물이 채워지는 수조(12)가 구비되고 배기구(111)가 구비된 처리공간(11)을 포함하는 처리조(1)와, 상기 처리공간(11)의 일측으로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수단(14)과, 상기 처리공간(11)의 상부로 상기 수조(12)의 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물 공급수단(15)과, 상기 처리공간(11)에 구비되어 상기 물 공급수단(15)을 통해 투입되는 물과 배기가스 공급수단(14)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상호 접촉시켜 배기가스를 세정하는 세정수단(2), 및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3)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11)는 처리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수단(2)은, 처리공간(11)의 중간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 상부에 상기 물 공급수단(15)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물 적체수조(212)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물을 체류시키는 수직격판(214)을 포함하는 개방부(2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적체수조(212)와 개방부의 사이에는 다수의 홀(211)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21)과, 상기 다수의 홀(211)들의 상부에 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호 측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다수의 와류 형성격판(221)으로 구성되어 배기가스와 물이 접촉되는 순간에 와류를 형성시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는 와류 형성수단(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정수단(2)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세정수단(2)이 타공판(21)의 양측 위치를 달리하면서 다단으로 구비되데,
    상기 홀(211)은 다수의 종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류 형성격판(221)은 적어도 한열 이상의 상기 홀(211)들을 덮을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2. 공장의 배기관(441)과 연결되며, 하부에 물 순환수단(13)을 통해 물이 채워지는 수조(12)가 구비되고 배기구(111)가 구비된 처리공간(11)을 포함하는 처리조(1)와, 상기 처리공간(11)의 일측으로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수단(14)과, 상기 처리공간(11)의 상부로 상기 수조(12)의 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물 공급수단(15)과, 상기 처리공간(11)에 구비되어 상기 물 공급수단(15)을 통해 투입되는 물과 배기가스 공급수단(14)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상호 접촉시켜 배기가스를 세정하는 세정수단(2), 및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3)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11)는 처리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수단(2)은, 처리공간(11)의 중간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 상부에 상기 물 공급수단(15)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물 적체수조(212)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물을 체류시키는 수직격판(214)을 포함하는 개방부(2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적체수조(212)와 개방부의 사이에는 다수의 홀(211)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21)과, 상기 다수의 홀(211)들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와 물이 접촉되는 순간에 와류를 형성시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는 와류 형성수단(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정수단(2)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세정수단(2)이 타공판(21)의 양측 위치를 달리하면서 다단으로 구비되데;
    상기 와류 형성수단(22)은, 상기 각각의 홀(211)의 상부에 공간을 두고 지지대(223)를 통해 구비되는 다수의 와류 형성구형캡(22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3. 공장의 배기관(441)과 연결되며, 하부에 물 순환수단(13)을 통해 물이 채워지는 수조(12)가 구비되고 배기구(111)가 구비된 처리공간(11)을 포함하는 처리조(1)와, 상기 처리공간(11)의 일측으로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수단(14)과, 상기 처리공간(11)의 상부로 상기 수조(12)의 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물 공급수단(15)과, 상기 처리공간(11)에 구비되어 상기 물 공급수단(15)을 통해 투입되는 물과 배기가스 공급수단(14)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상호 접촉시켜 배기가스를 세정하는 세정수단(2), 및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3)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11)는 처리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수단(2)은, 처리공간(11)의 중간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 상부에 상기 물 공급수단(15)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물 적체수조(212)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물을 체류시키는 수직격판(214)을 포함하는 개방부(2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적체수조(212)와 개방부의 사이에는 다수의 홀(211)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21)과, 상기 다수의 홀(211)들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와 물이 접촉되는 순간에 와류를 형성시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 하는 와류 형성수단(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정수단(2)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세정수단(2)이 타공판(21)의 양측 위치를 달리하면서 다단으로 구비되데;
    상기 와류 형성수단(22)은, 상기 각각의 홀(211)의 상부에 씌워지고 측부로 편중되게 다수의 분출홀(227)이 형성되고 내부 와류공간(226)을 포함하는 다수의 와류 형성대(22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4. 제 3항 있어서,
    상기 홀은 다수의 종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류 형성대(224)는 하나에는 분출홀(227)이 형성된 양측 경사대(22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211)과 분출홀(227)을 상호 위치를 달리하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5. 공장의 배기관(441)과 연결되며, 하부에 물 순환수단(13)을 통해 물이 채워지는 수조(12)가 구비되고 배기구(111)가 구비된 처리공간(11)을 포함하는 처리조(1)와, 상기 처리공간(11)의 일측으로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수단(14)과, 상기 처리공간(11)의 상부로 상기 수조(12)의 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물 공급수단(15)과, 상기 처리공간(11)에 구비되어 상기 물 공급수단(15)을 통해 투입되는 물과 배기가스 공급수단(14)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상호 접촉시켜 배기가스를 세정하는 세정수단(2), 및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3)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11)는 처리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수단(2)은, 처리공간(11)의 중간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 상부에 상기 물 공급수단(15)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물 적체수조(212)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물을 체류시키는 수직격판(214)을 포함하는 개방부(2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적체수조(212)와 개방부의 사이에는 다수의 홀(211)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21)과, 상기 다수의 홀(211)들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와 물이 접촉되는 순간에 와류를 형성시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는 와류 형성수단(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정수단(2)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세정수단(2)이 타공판(21)의 양측 위치를 달리하면서 다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배기가스 공급수단(14)은, 상기 공장의 배기관(141)과 연결되어 팬 (143)을 통해 배기가스를 처리공간으로 강제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관(142)으로 구성되데;
    상기 수조(12)는 처리공간(11)과는 차단되고 수조(12)의 물만 유입되는 보조수조(121)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수조(121)의 상부인 수면의 상부와 상기 팬(143)의 전방인 배기가스 공급관(142)의 사이에는 수면위로 상승되는 휘발성 유기물질을 배기가스 공급관을 통해 처리공간으로 재투입하는 재투입 회수관(16)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6. 공장의 배기관(441)과 연결되며, 하부에 물 순환수단(13)을 통해 물이 채워지는 수조(12)가 구비되고 배기구(111)가 구비된 처리공간(11)을 포함하는 처리조(1)와, 상기 처리공간(11)의 일측으로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수단(14)과, 상기 처리공간(11)의 상부로 상기 수조(12)의 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물 공급수단(15)과, 상기 처리공간(11)에 구비되어 상기 물 공급수단(15)을 통해 투입되는 물과 배기가스 공급수단(14)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상호 접촉시켜 배기가스를 세정하는 세정수단(2), 및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3)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11)는 처리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수단(2)은, 처리공간(11)의 중간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 상부에 상기 물 공급수단(15)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물 적체수조(212)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물을 체류시키는 수직격판(214)을 포함하는 개방부(2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적체수조(212)와 개방부의 사이에는 다수의 홀(211)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21)과, 상기 다수의 홀(211)들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와 물이 접촉되는 순간에 와류를 형성시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 하는 와류 형성수단(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정수단(2)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세정수단(2)이 타공판(21)의 양측 위치를 달리하면서 다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배기가스 공급수단(14)은, 상기 공장의 배기관(141)과 연결되어 팬 (143)을 통해 배기가스를 처리공간으로 강제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관(142)으로 구성되데;
    상기 공장의 배기관(141)과 배기가스 공급관(142)의 사이에는,
    배기가스를 농축시키는 농축기(10) 및 농축된 배기가스를 소각시키는 소각로(2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7. 공장의 배기관(441)과 연결되며, 하부에 물 순환수단(13)을 통해 물이 채워지는 수조(12)가 구비되고 배기구(111)가 구비된 처리공간(11)을 포함하는 처리조(1)와, 상기 처리공간(11)의 일측으로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수단(14)과, 상기 처리공간(11)의 상부로 상기 수조(12)의 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물 공급수단(15)과, 상기 처리공간(11)에 구비되어 상기 물 공급수단(15)을 통해 투입되는 물과 배기가스 공급수단(14)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상호 접촉시켜 배기가스를 세정하는 세정수단(2), 및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3)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11)는 처리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수단(2)은, 처리공간(11)의 중간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 상부에 상기 물 공급수단(15)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물 적체수조(212)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물을 체류시키는 수직격판(214)을 포함하는 개방부(2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적체수조(212)와 개방부의 사이에는 다수의 홀(211)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21)과, 상기 다수의 홀(211)들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와 물이 접촉되는 순간에 와류를 형성시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는 와류 형성수단(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조(12)는 처리공간(11)과는 차단되고 수조(12)의 물만 유입되는 보조수조(121)를 포함하고;
    상기 물 순환수단(13)은 물 공급원과 보조수조(121)의 상부와 연결되어 있는 펌프를 포함하는 물 채움 공급관(131)과, 보조수조(121)에 구비되어 수조(12)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132)과, 상기 보조수조(121)에 채워진 물의 pH농도를 감지하여 제어수단(3)을 통해 펌프와 배수수단(132)을 제어하는 pH센서(1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8. 공장의 배기관(441)과 연결되며, 하부에 물 순환수단(13)을 통해 물이 채워지는 수조(12)가 구비되고 배기구(111)가 구비된 처리공간(11)을 포함하는 처리조(1)와, 상기 처리공간(11)의 일측으로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수단(14)과, 상기 처리공간(11)의 상부로 상기 수조(12)의 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물 공급수단(15)과, 상기 처리공간(11)에 구비되어 상기 물 공급수단(15)을 통해 투입되는 물과 배기가스 공급수단(14)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상호 접촉시켜 배기가스를 세정하는 세정수단(2), 및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3)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11)는 처리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수단(2)은, 처리공간(11)의 중간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 상부에 상기 물 공급수단(15)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물 적체수조(212)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물을 체류시키는 수직격판(214)을 포함하는 개방부(2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적체수조(212)와 개방부의 사이에는 다수의 홀(211)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21)과, 상기 다수의 홀(211)들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와 물이 접촉되는 순간에 와류를 형성시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는 와류 형성수단(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조(12)는 처리공간(11)과는 차단되고 수조(12)의 물만 유입되는 보조수조(121)를 포함하고;
    상기 물 순환수단(13)은 물 공급원과 보조수조(121)의 상부와 연결되어 있는 펌프를 포함하는 물 채움 공급관(131)과, 보조수조(1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조(12)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132)과, 상기 보조수조(121)에 채워진 물의 COD를 감지하여 제어수단(3)을 통해 펌프와 배수수단(132)을 제어하는 COD센서(13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수단(132)은,
    상기 보조수조(121)의 측벽에 구비되어 수면의 물을 오버플로우시켜 물을 안정적으로 배출하는 배수조(133)와, 상기 배수조(133)로 취합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수단(3)을 통해 개폐되는 배수밸브가 구비된 제1 배수관(134), 및
    상기 보조수조(121)의 하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배수관(134)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3)을 통해 별도로 개폐되는 배수밸브를 포함하는 제2 배수관(13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10.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상기 배수수단(132)의 배출측에 연결되어 배수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폐수를 처리하여 배출하는 폐수 처리장치(3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공장의 배기관(441)과 연결되며, 하부에 물 순환수단(43)을 통해 물이 채워지는 수조(42)가 구비되고 배기구가 구비된 처리공간(41)을 포함하는 처리조(4)와, 상기 처리공간(41)의 일측으로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수단(44)과, 상기 처리공간(41)의 상부로 상기 수조(42)의 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순환시키는 물 공급수단(45)과, 상기 처리공간(41)에 구비되어 상기 물 공급수단(45)을 통해 투입되는 물과 배기가스 공급수단(44)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상호 접촉시켜 배기가스를 세정하는 세정수단(5), 및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6)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411)는 처리공간(41)의 타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공간(41)은,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다수의 격벽(7)을 통해 하부와 상부가 번갈아 가며 개방되어 배기가스가 이동되게 구비된 다수의 통로(71)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세정수단(5)은 상기 통로 들중 일측에서 타측으로 홀수 열의 통로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세정수단(5)은, 일측 상부에 상기 물 공급수단(45)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물 적체수조(512)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물을 체류시키는 수직격판(514)을 포함하는 개방부(5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 적체수조(512)와 개방부의 사이에는 다수의 홀(511)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51)과, 상기 다수의 홀(511)들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와 물이 접촉되는 순간에 와류를 형성시켜 배기가스와 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 하는 와류 형성수단(5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통로에 구비된 세정수단(5)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세정수단(5)이 타공판(51)의 양측 위치를 달리하면서 다단으로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 있어서, 상기 와류 형성수단(52)은,
    상기 홀(511)의 상부에 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호 측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다수의 와류 형성격판(52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18. 제 17항 있어서, 상기 홀(511)은 다수의 종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류 형성격판(521)은 적어도 한열 이상의 상기 홀(511)들을 덮을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19. 제 15항 또는 제 16항 있어서, 상기 와류 형성수단(52)은,
    상기 각각의 홀(511)의 상부에 공간을 두고 지지대(523)를 통해 구비되는 다수의 와류 형성구형캡(52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20. 제 15항 또는 제 16항 있어서, 상기 와류 형성수단(52)은,
    상기 각각의 홀(511)의 상부에 씌워지고 측부로 편중되게 다수의 분출홀(527)이 형성되고 내부 와류공간(526)을 포함하는 다수의 와류 형성대(52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21. 제 20항 있어서, 상기 홀은 다수의 종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류 형성대(524)는 하나에는 분출홀(527)이 형성된 양측 경사대(52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511)과 분출홀(527)을 상호 위치를 달리하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22.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공급수단(44)은,
    상기 공장의 배기관(441)과 연결되어 팬(443)을 통해 배기가스를 처리공간으로 강제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관(44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42)는 처리공간(41)과는 차단되고 수조(42)의 물만 유입되는 보조수조(421)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수조(421)의 상부인 수면의 상부와 상기 팬(443)의 전방인 배기가스 공급관(442)의 사이에는 수면위로 상승되는 휘발성 유기물질을 배기가스 공급관을 통해 처리공간으로 재투입하는 재투입 회수관(46)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24.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42)는 처리공간(41)과는 차단되고 수조(42)의 물만 유입되는 보조수조(421)를 포함하고,
    상기 물 순환수단(43)은 물 공급원과 보조수조(421)의 상부와 연결되어 있는 펌프를 포함하는 물 채움 공급관(431)과, 보조수조(421)에 구비되어 수조(42)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과, 상기 보조수조(421)에 채워진 물의 pH농도를 감지하여 제어수단(6)을 통해 펌프와 배수수단(432)을 제어하는 pH센서(4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25.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42)는 처리공간(41)과는 차단되고 수조(42)의 물만 유입되는 보조수조(421)를 포함하고,
    상기 물 순환수단(43)은 물 공급원과 보조수조(421)의 상부와 연결되어 있는 펌프를 포함하는 물 채움 공급관(431)과, 보조수조(4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조(42)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432)과, 상기 보조수조(421)에 채워진 물의 COD를 감지하여 제어수단(6)을 통해 펌프와 배수수단(432)을 제어하는 COD센서(43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26.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수단(432)은,
    상기 보조수조(421)의 측벽에 구비되어 수면의 물을 오버플로우시켜 물을 안정적으로 배출하는 배수조(433)와, 상기 배수조(433)로 취합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수단(6)을 통해 개폐되는 배수밸브가 구비된 제1 배수관(434), 및
    상기 보조수조(421)의 하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배수관(434)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6)을 통해 별도로 개폐되는 배수밸브를 포함하는 제2 배수관(43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27.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상기 배수수단(432)의 배출측에 연결되어 배수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폐수를 처리하여 배출하는 폐수 처리장치(3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28.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공장의 배기관(441)과 배기가스 공급관(442)의 사이에는, 배기가스를 농축시키는 농축기(40) 및 농축된 배기가스를 소각시키는 소각로(5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20060001108A 2006-01-04 2006-01-04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0811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108A KR100811247B1 (ko) 2006-01-04 2006-01-04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108A KR100811247B1 (ko) 2006-01-04 2006-01-04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266U Division KR200412487Y1 (ko) 2006-01-04 2006-01-04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333A KR20070073333A (ko) 2007-07-10
KR100811247B1 true KR100811247B1 (ko) 2008-03-10

Family

ID=38507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108A KR100811247B1 (ko) 2006-01-04 2006-01-04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24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416B1 (ko) 2010-09-07 2012-09-0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기수분리기의 액체 배출 구조
KR101261439B1 (ko) * 2012-09-13 2013-05-10 성진엔지니어링 (주) Voc 처리시스템
KR101418908B1 (ko) 2012-11-20 2014-07-16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에어버블 흡수기가 구비된 탈취장치
KR101740614B1 (ko) * 2016-05-20 2017-05-26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온실가스 제거 효율이 향상된 연도 가스 처리 장치
KR101740618B1 (ko) * 2016-03-22 2017-05-30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연도 가스 처리 장치
KR20190103603A (ko) * 2018-02-28 2019-09-05 주식회사 멘도타 미세분진 또는 수용성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60146A (ko) * 2020-11-04 2022-05-11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992B1 (ko) * 2013-11-25 2014-05-30 최승욱 다단 멀티필터형 회절식 탈취기
KR101501910B1 (ko) * 2013-12-31 2015-03-12 주식회사 애니텍 중소형 선박에서의 유해물질 제거를 위한 스크러버 모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해물질 제거 방법
KR101627421B1 (ko) 2014-09-22 2016-06-03 주식회사 엔케이 정유량 조절밸브가 장착된 유증기 회수용 스크러버
KR102586410B1 (ko) * 2022-11-10 2023-10-06 주영일 복합가스 고효율 다단 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345A (ko) * 1998-06-10 2000-01-15 장백운 수분을 이용한 에어크리너
JP2002028949A (ja) 2000-07-19 2002-01-29 Sumitomo Heavy Ind Ltd 射出成形機
KR200333254Y1 (ko) 2003-08-04 2003-11-14 문준식 이중 다공판 세트 부착형 다공판식 스크러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345A (ko) * 1998-06-10 2000-01-15 장백운 수분을 이용한 에어크리너
JP2002028949A (ja) 2000-07-19 2002-01-29 Sumitomo Heavy Ind Ltd 射出成形機
KR200333254Y1 (ko) 2003-08-04 2003-11-14 문준식 이중 다공판 세트 부착형 다공판식 스크러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416B1 (ko) 2010-09-07 2012-09-0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기수분리기의 액체 배출 구조
KR101261439B1 (ko) * 2012-09-13 2013-05-10 성진엔지니어링 (주) Voc 처리시스템
KR101418908B1 (ko) 2012-11-20 2014-07-16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에어버블 흡수기가 구비된 탈취장치
KR101740618B1 (ko) * 2016-03-22 2017-05-30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연도 가스 처리 장치
KR101740614B1 (ko) * 2016-05-20 2017-05-26 제이플에너지 주식회사 온실가스 제거 효율이 향상된 연도 가스 처리 장치
KR20190103603A (ko) * 2018-02-28 2019-09-05 주식회사 멘도타 미세분진 또는 수용성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476B1 (ko) 2018-02-28 2019-09-18 주식회사 멘도타 미세분진 또는 수용성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60146A (ko) * 2020-11-04 2022-05-11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
KR102446019B1 (ko) * 2020-11-04 2022-09-22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333A (ko) 200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247B1 (ko)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KR200412487Y1 (ko)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1354444B1 (ko) 세정액 혼합방지 기능을 갖는 세정식 탈취장치
KR101401992B1 (ko) 다단 멀티필터형 회절식 탈취기
KR100975099B1 (ko) 멀티스크러버
KR102069379B1 (ko) 오염공기 탈취장치
JP2008119562A (ja)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方法
KR100948652B1 (ko) 탈취 효율이 높은 와류 회절 믹서 탈취기
KR101874952B1 (ko) 선회식 유로 접촉을 이용한 다단 세정 탈취장치
KR101557121B1 (ko) 고효율 약액 반응 탈취장치
KR20060126021A (ko) 숙성 고목피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KR101675148B1 (ko)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
KR100864642B1 (ko) 상향류 팽창상 활성탄 흡착 여과 장치 및 그 세정 방법
KR101823139B1 (ko) 터널식 오존 세정 악취 제거 장치
KR102183331B1 (ko) 다중 정화구조로 형성된 스크러버
KR20130035417A (ko) 유동형 회절식 탈취기
KR101655767B1 (ko)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KR20220058070A (ko)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
US5322621A (en) Equipment for treating sewage by biological oxidation
JP5269433B2 (ja) 生物脱硫装置
KR20170115421A (ko) 마이크로 버블링 회절 스크러버
JPH0947779A (ja) 水質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483976B1 (ko) 탈부착이 가능한 건식스크러버 타입 바이오가스 처리장치
KR200408897Y1 (ko) 오존수를 이용한 가스정화장치
KR102248902B1 (ko) 미생물 분해 촉진 기능을 갖는 탈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