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146A -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146A
KR20220060146A KR1020200145746A KR20200145746A KR20220060146A KR 20220060146 A KR20220060146 A KR 20220060146A KR 1020200145746 A KR1020200145746 A KR 1020200145746A KR 20200145746 A KR20200145746 A KR 20200145746A KR 20220060146 A KR20220060146 A KR 20220060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harmful gas
gas
retention
deodoriz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019B1 (ko
Inventor
박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Priority to KR1020200145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0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해가스를 제거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탈취장치로서, 내부에 세정수가 충진되는 세정탱크와, 유해가스를 공급받는 유입구가 하부에 형성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상부에 형성된 세정하우징와, 상기 세정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관통공들이 형성된 격벽유닛들로 이루어진 격벽부와, 상기 격벽부의 격벽유닛에 체결되어 유해가스를 안내하는 가스안내관와, 상기 세정탱크의 세정액을 상기 세정하우징에 공급하는 세정액분사부와, 상기 세정하우징에 유해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는 유입되는 유해가스가 세정하우징에서 체류되는 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세정하우징 내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액과의 접촉시간을 늘려 세정효율 및 정화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 {Deodorizer for purification of harmful gas with deodoriz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유해가스가 세정하우징에서 체류되는 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 함으로써, 세정하우징 내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액과의 접촉시간을 늘려 세정효율 및 정화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폐수처리장,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 분뇨처리장 및 축산농가 등과 같은 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유해가스로 인하여 혐오시설로 인식되어 있고, 이들 혐오시설들은 지역민원이나 집단이기주의로 인하여 많은 민원을 야기하고 그 처리장을 설립할 장소를 찾지 못하여 전전긍긍하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악취란 불쾌한 냄새를 일컫는 것으로서, 사람의 정신 및 신경계통을 자극하여 정서생활과 건강 측면에서 피해를 주는 것을 말하며, 이와 같은 악취 발생시설로는 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축산분뇨처리장, 요식업소, 폐기물처리공장, 도축장, 기타 화학제품 제조공장, 등과 같이 가정 및 산업현장에서 다양하게 발생 되고 있으며, 악취발생원으로는 황화수소,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하메틸, 이황화메틸, 아민류, 아세트알데히드 등이 밝혀져 있으며, 이들은 법적 규제물질로 정하여 단속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의 민원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악취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화학적 처리법, 생물학적 처리법, 물리적 처리법이 있으며, 이중 약액세정법(Wet Scrubber Method)은 물에는 별로 용해되지 않으나 산, 알칼리의 수용액과 반응하는 악취성분 또는 특정 약액과 반응하는 악취성분을 산 또는 알칼리 세정액을 사용하여 세정하는 방법이며 주로 암모니아, 아민류의 염기성성분을 제거한다. 약액 세정법은 사용하는 약액에 따라 산 세정법, 알칼리 세정법, 산화제인 차아염소산나트륨, 이산화염소 등의 산화제를 이용한 산화제 용액 세정법, 아황산나트륨 등의 환원제 용액 세정법 또는 기체상 산화제로서 오존, 이산화염소, 염소 등의 산화법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종래의 일반 세정방식에 의한 가스탈취장치는 실용신안으로 출원되어 알려져 있는데, 위의 탈가스 세정기는 1997년 6월 18일자로 공개된 실용신안공개 제20-1997-20990호에 개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분배판의 외주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와류통로가 방사선상으로 배치된 집진판을 개재시키고, 하측에 설치된 구동부에는 모터와 연동되는 축과 회전원판이 설치되며, 이의 상부에는 살수구가 설치되고 분배판의 상부에는 급수관과 연결된 분사구가 설치되어, 회전 원판이 회전하면서 분사되는 물을 파쇄하여 미립자 형태의 물분자가 유해가스의 유해성분을 흡착한 후 낙하하여 배출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탈취장치는 단일 세정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유해가스의 탈취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하우징에서 유입되는 유해가스의 압력에 의해 단순이동하여 세정되므로 체류시간이 짧아 재차 유해가스의 세정효율 및 정화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261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입되는 유해가스가 세정하우징에서 체류되는 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 함으로써, 세정하우징 내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액과의 접촉시간을 늘려 세정효율 및 정화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해가스를 제거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탈취장치로서,
내부에 세정수가 충진되는 세정탱크;
유해가스를 공급받는 유입구가 하부에 형성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상부에 형성된 세정하우징;
상기 세정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관통공들이 형성된 격벽유닛들로 이루어진 격벽부;
상기 격벽부의 격벽유닛에 체결되어 유해가스를 안내하는 가스안내관;
상기 세정탱크의 세정액을 상기 세정하우징에 공급하는 세정액분사부; 및
상기 세정하우징에 유해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벽유닛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안내관은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게 끼움되어, 유입되는 가스를 안내하여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벽유닛은 유해가스가 이동하도록 상부통기공들이 형성된 상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의 하측에 배치되며 유해가스가 이동하도록 하부통기공들이 형성된 하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의 저면 테두리 부분에 상단부가 고정되고, 하단부에 상기 하부패널의 상면 테두리 부분이 고정되는 연결틀과,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 사이에 형되는 체류세정공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은 저면에 원뿔형상의 테이퍼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부에는 상기 하부통기공을 통해 상기 체류세정공간으로 유입된 유해가스의 체류시간을 늘리도록 체류핀들의 상단부가 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에 형성되는 상기 상부통기공의 내경은 상기 하부패널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통기공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는 유입되는 유해가스가 세정하우징에서 체류되는 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세정하우징 내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액과의 접촉시간을 늘려 세정효율 및 정화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에 있어, 격벽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에 있어, 격벽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에 있어, 격벽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에 있어, 격벽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에 있어, 격벽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에 있어, 격벽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에 있어, 격벽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에 있어, 격벽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에 있어, 격벽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에 있어, 격벽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탈취장치라 명명함)는 하수 및 오폐수에서 발생하는 악취, 유해가스 및 유해공기를 전달받아 유해가스 및 유해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과 악취를 제거한 후 정화된 공기를 외부에 배출시키는 탈취장치(10)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10)는 세정탱크(20)와 세정하우징(30)과 격벽부(40)와 가스안내관(50)과 세정액분사부(60)와 가스공급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정탱크(2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하우징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 세정수가 충진된다.
이때, 상기 세정탱크(20)의 내부를 구획분할하여, 다수의 공간을 형성하고 각각의 공간에 세정수를 충진하되, 충진되는 세정수를 각각 알카리세정수, 중성세정수 또는 산성세정수를 마련하고, 분할된 공간에 각각 다른 세정수를 충진시켜 상기 세정탱크(20)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세정하우징(30)은 내부에 세정공간이 마련되고, 유해가스를 공급받는 유입구(31)가 하부에 형성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32)가 상부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32)에는 부직포 또는 합성필터로 이루어진 후처리필터를 더 나사 설치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이물질 및 유해성분을 걸러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세정하우징(30)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되고, 도면에서와 같이 구조물 형태의 하우징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후처리필터는 유해가스의 기름이나 오물과 같은 이물질 및 정화된 공기에 포함된 유해성분 및 악취를 걸러내게 된다. 후처리필터에는 인입된 유해가스에 대해서 산성계 물질의 처리를 수행하는 산성계 물질흡수층, 상기 산성계 물질 흡수층에 적층되어 염기성계 물질의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염기성계 물질 흡수층, 상기 염기성계 물질흡수층에 적층되어 산화 환원처리를 수행하는 산화 환원 처리층, 및 부가반응을 실행하여 산염기성계 물질외 중성계 물질과 잔존하는 미 반응물질까지 제거하는 부가반응층을 포함하며, 유해가스에 포함된 물질의 종류및 농도에 따라 처리 방법을 결정하고 그 특성에 맞게 조정하여 가동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40)는 상기 세정하우징(30)은 관통공(411)들이 형성된 격벽유닛(41)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정하우징(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하우징(30)의 내부를 적층되도록 구획, 분할한다.
상기 격벽유닛(41)에는 관통공(411)들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안내관(50)은 상기 관통공(411)에 관통되게 끼움되어, 유입되는 가스를 안내하여 이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격벽부(4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패널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세정하우징(30)의 내측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도면상 수직방향으로 나사체결 또는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격벽부(40)에 의해 유입되는 가스가 상기 세정하우징(30)에 머무는 체류시간을 늘리도록 함으로써, 세정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유닛(41)은 유해가스가 이동하도록 상부통기공(412a)들이 형성된 상부패널(412)과, 상기 상부패널(412)의 하측에 배치되며 유해가스가 이동하도록 하부통기공(413a)들이 형성된 하부패널(413)과, 상기 상부패널(412)의 저면 테두리 부분에 상단부가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하단부에 상기 하부패널(413)의 상면 테두리 부분이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관구조의 연결틀(414)과, 상기 상부패널(412)과 상기 하부패널(413) 사이에 형성되는 체류세정공간(415)으로 이루어져, 상기 격벽유닛(41)이 상부패널(412)과 하부패널(413)로 이중의 패널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유해가스의 체류시간을 늘려 세정효율을 높이게 되고, 상기 체류세정공간(415)에 세정액 또는 유해가스가 충진되어, 재차 유해가스의 세정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벽유닛(41)에는 상면에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격벽유닛(41)에 전달되어 진동되도록 함으로써, 격벽유닛(41) 표면의 세정액이 유동되어 세정효율을 높이고 상기 상부통기공(412a) 및 하부통기공(413a)에 끼인 이물질의 탈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패널(412)은 저면에 하향으로 돌출되게 원뿔형상의 테이퍼부(412b)가 더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부(412b)에는 상기 하부통기공(413a)을 통해 상기 체류세정공간(415)으로 유입된 유해가스의 체류시간을 늘리도록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체류핀들의 상단부가 융착 또는 부착되어 더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통기공(412a)으로 유입되는 세정액이 상기 테이퍼부(412b)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체류핀에 공급되어, 유해가스가 상기 체류핀에 맞닿아 세정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테이퍼부(412b) 및 상기 체류핀들에 의해 유해가스와 맞닿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고, 유해가스가 걸림되고 충돌되어 세정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테이퍼부(412b)에 체류홈들을 더 형성하여, 유해가스와 맞닿는 면적을 넓혀 세정효율을 높이고 유해가서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체류시간을 늘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패널(412)에 형성되는 상기 상부통기공(412a)의 내경은 상기 하부패널(413)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통기공(413a)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유해가스가 상기 격벽유닛(41)을 관통하여 도면상 상향으로 이동되는 체류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됨으로써, 재차 세정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가스안내관(50)은 상기 격벽부(40)의 격벽유닛(41)에 체결되어 유해가스를 안내한다.
상기 가스안내관(50)은 상기 격벽유닛(41)에 형성되는 관통공(411)에 끼움된 후 나사체결되거나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며, 상기 유입구(31)를 통해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이동시킨다.
상기 격벽부(40)에 상기 가스안내관(50)이 끼움되어, 이물질에 가스안내관(50)에 끼이게 되면, 상기 격벽부(40)에서 분리한 후 세척할 수 있어, 격벽유닛(41)을 세정하우징(30)에서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분사부(60)는 상기 세정탱크(20)의 세정액을 상기 세정하우징(30)에 공급한다.
상기 세정액분사부(60)는 상기 세정하우징(30)의 내측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세정액분사관과 상기 세정액분사관에 형성되는 세정노즐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정액분사관은 상기 세정탱크(20)와 공급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세정탱크(20)에 마련되는 공급펌프의 구동에 의해 상기 세정탱크(20)의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분사관으로 공급하여 상기 세정액분사관에 형성되는 세정노즐들을 통해 상기 세정하우징(30) 내부로 세정액을 분사함으로써, 유입된 유해가스를 세정하여 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가스공급부(70)는 상기 세정하우징(30)에 유해가스를 공급한다.
상기 가스공급부(70)에서 공급되는 유해가스는 상기 세정하우징(30)의 유입구(31)로 공급하게 되고, 상기 가스공급부(70)와 상기 유입구(31)를 연결관에 의해 연결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탈취장치 20 : 세정탱크
30 : 세정하우징 31 : 유입구
32 : 배출구 40 : 격벽부
41 : 격벽유닛 411 : 관통공
50 : 가스안내관 60 : 세정액분사부
70 : 가스공급부 412 : 상부패널
412a : 상부통기공 412b : 테이퍼부
413 : 하부패널 413a : 하부통기공
414 : 연결틀 415 : 체류세정공간

Claims (5)

  1. 유해가스를 제거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탈취장치로서,
    내부에 세정수가 충진되는 세정탱크;
    유해가스를 공급받는 유입구가 하부에 형성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상부에 형성된 세정하우징;
    상기 세정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관통공들이 형성된 격벽유닛들로 이루어진 격벽부;
    상기 격벽부의 격벽유닛에 체결되어 유해가스를 안내하는 가스안내관;
    상기 세정탱크의 세정액을 상기 세정하우징에 공급하는 세정액분사부; 및
    상기 세정하우징에 유해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유닛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안내관은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게 끼움되어, 유입되는 가스를 안내하여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유닛은 유해가스가 이동하도록 상부통기공들이 형성된 상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의 하측에 배치되며 유해가스가 이동하도록 하부통기공들이 형성된 하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의 저면 테두리 부분에 상단부가 고정되고, 하단부에 상기 하부패널의 상면 테두리 부분이 고정되는 연결틀과,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 사이에 형되는 체류세정공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은 저면에 원뿔형상의 테이퍼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부에는 상기 하부통기공을 통해 상기 체류세정공간으로 유입된 유해가스의 체류시간을 늘리도록 체류핀들의 상단부가 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에 형성되는 상기 상부통기공의 내경은 상기 하부패널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통기공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
KR1020200145746A 2020-11-04 2020-11-04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 KR102446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746A KR102446019B1 (ko) 2020-11-04 2020-11-04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746A KR102446019B1 (ko) 2020-11-04 2020-11-04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146A true KR20220060146A (ko) 2022-05-11
KR102446019B1 KR102446019B1 (ko) 2022-09-22

Family

ID=81607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746A KR102446019B1 (ko) 2020-11-04 2020-11-04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0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517B1 (ko) * 2006-05-08 2006-10-27 금호환경 주식회사 회절식 스크러버
KR100811247B1 (ko) * 2006-01-04 2008-03-10 성진엔지니어링 (주)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KR20090078973A (ko) * 2008-01-16 2009-07-21 황성철 버블을 이용한 탈취 및 먼지 제거방법 및 이를 이용한공기정화장치
KR101680634B1 (ko) * 2015-09-17 2016-11-29 최승욱 토네이도 버블 회절판이 구비된 회절식 스크러버
KR101912617B1 (ko) 2017-12-28 2018-10-29 주식회사 대진산업 무동력 마이크로버블 형성구조를 갖는 탈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247B1 (ko) * 2006-01-04 2008-03-10 성진엔지니어링 (주) 악취를 포함한 유기성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0638517B1 (ko) * 2006-05-08 2006-10-27 금호환경 주식회사 회절식 스크러버
KR20090078973A (ko) * 2008-01-16 2009-07-21 황성철 버블을 이용한 탈취 및 먼지 제거방법 및 이를 이용한공기정화장치
KR101680634B1 (ko) * 2015-09-17 2016-11-29 최승욱 토네이도 버블 회절판이 구비된 회절식 스크러버
KR101912617B1 (ko) 2017-12-28 2018-10-29 주식회사 대진산업 무동력 마이크로버블 형성구조를 갖는 탈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019B1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537B1 (ko) 악취가스 액적 분리시스템
KR101653368B1 (ko)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513682B1 (ko) 세정식 다단 탈취장치
KR101433071B1 (ko) 악취가스의 탈취장치
KR101955270B1 (ko) 복합형 악취 제거장치
KR102032801B1 (ko) 3단 습식 세정 장치
KR102093121B1 (ko) 유입 악취가스 내 습식 분진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식 탈취기
US10512878B2 (en) Complex malodor removing equipment
JP5106982B2 (ja) 悪臭処理方法、悪臭処理システムおよび飼育システム
KR101882803B1 (ko)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KR101918005B1 (ko) 다단 탈취 필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2단 세정 탈취 장치
KR102069379B1 (ko) 오염공기 탈취장치
KR101999165B1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탈취장치
KR102191776B1 (ko) 습식 공기정화장치
KR101986293B1 (ko) 모듈형미세분사부가 구비된 복합 탈취 장치
KR101587598B1 (ko) 오존 탈취기능을 갖는 수평방향 다단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912617B1 (ko) 무동력 마이크로버블 형성구조를 갖는 탈취장치
JP5405014B2 (ja) 脱臭装置および脱臭方法
KR20220137514A (ko) 악취 제거용 플라즈마 발생 유닛, 플라즈마 발생 모듈을 포함한 악취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계장 악취 제거 장치
KR101963765B1 (ko) 촉매수 발생장치를 이용한 세정장치를 구비한 약액세정탈취장치
KR102297416B1 (ko) 다단 처리방식의 탈취장치
KR101675148B1 (ko)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
KR102446019B1 (ko)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
KR20170115421A (ko) 마이크로 버블링 회절 스크러버
KR200408896Y1 (ko) 오존수를 이용한 습식 스크러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