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238B1 - 지하철의 플랫폼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철의 플랫폼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238B1
KR100811238B1 KR1020060073221A KR20060073221A KR100811238B1 KR 100811238 B1 KR100811238 B1 KR 100811238B1 KR 1020060073221 A KR1020060073221 A KR 1020060073221A KR 20060073221 A KR20060073221 A KR 20060073221A KR 100811238 B1 KR100811238 B1 KR 100811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
transmission
data signal
antenna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2430A (ko
Inventor
유우영
윤현
Original Assignee
유우영
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우영, 윤현 filed Critical 유우영
Priority to KR1020060073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238B1/ko
Publication of KR20080012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multiple receivers and antenna path selection
    • H04B7/08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multiple receivers and antenna path selection selecting best antenna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지하철이나 자동차와 같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가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고정 무선 단말기를 통과하는 경우 고정 무선 단말기로부터 이동 단말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실시간으로 손실없이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다수의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며 고정형 무선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 중에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신 안테나를 선택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 및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며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이동 단말기의 고유 신호의 세기에 따라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송수신 안테나를 선택하여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고정형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60073221
데이터 송수신, 통신 채널, 무손실 데이터 송수신

Description

지하철의 플랫폼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Data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for monitoring platform state of tra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 신호의 방사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수신 제어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데이터 신호의 세기에 따라 통신 채널의 온/오프 시간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제어부의 일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고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송신 경로의 온/오프 시간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지하철이 플랫폼에 진입시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고정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플랫폼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데이터 신호를 실시간으로 손실없이 지하철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비약적으로 통신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발전한 통신 기술을 일상 생활의 다양한 용도에 사용하고 있다. 통신 기술의 일상 생활의 일 사용예로 고속으로 이동하는 지하철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 오디오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 신호 등과 같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이동하는 지하철에서 각종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하나의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동 단말기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동 단말기는 고정 단말기의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와 이동 단말기의 하나의 수신 안테나 사이의 통신 채널을 번갈아 가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의 수신 안테나와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고정 단말기의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통신 채널은 이동 단말기가 고속으로 이동함에 따라 온/오프되어 변경되며, 수신 안테나와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통신 채널이 변경되는 시점에 이동 단말기는 송수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고속으로 이동하는 지하철과 같이 전파 송수신 장애물이 많은 통신 환경에서는 고정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손실없이 수신하기 곤란한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플랫폼에 진입하는 지하철에 설치된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고정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 신호를 손실없이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지하철이 플랫폼에 진입할 때 플랫폼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고정 단말기와 지하철에 설치되어 있으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플랫폼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다.
고정 단말기는 지하철의 플랫폼 진입을 알리기 위한 고유 신호를 지하철과의 근접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로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에서 수신한 각 고유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고유 신호 측정부 및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에서 수신한 각 고유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 중 제2 임계값 이상의 세기로 고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송수신 안테나 또는 제2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데이터 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송신 경로를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지하철이 플랫폼에 진입할 때, 제1 송수신 안테나 또는 제2 송수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수신 안테나, 다수의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데이터 신호 측정부, 다수의 수신 안테나 중 제1 임계값 이상의 세기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안테나와 제1 송수신 안테나 또는 상기 제2 수신 안테나와 제2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통신 채널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 및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로, 지하철(1)이 선로를 따라 고속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동하는 지하철(1)에는 고정 단말기의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A1, A2, A3,..An)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 단말기는 고정 단말기의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A1, A2, A3,....An)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S1, S2, S3,.....,Sn)를 수신한다. 이동 단말기는 지하철(1)의 이동 진행 방향에 따라 송수신 안테나(A1)로부터 데이터 신호(S1)를 수신하며, 송수신 안테나(A2)로부터 데이터 신호(S2)를 수신하며, 송수신 안테나(A3)로부터 데이터 신호(S3)를 수신하며 송수신 안테나(An)로부터 데이터 신호(Sn)를 수신한다.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으며, 고정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손실없이 수신하기 위해 데이터 신호(S1, S2, S3,.....,Sn)의 세기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과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들 사이의 통신 채널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 신호의 방사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고로, 영역(100)은 송수신 안테나(A1)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신호(S1)의 방사 영역을 도시하고 있으며, 영역(102)은 송수신 안테나(A2)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신호(S2)의 방사 영역을 도시하고 있으며 영역(101)은 송수신 안테 나(A1)와 송수신 안테나(A2)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신호의 중첩된 방사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지하철(1)이 영역(100)으로 진입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수신 안테나와 고정 단말기의 송수신 안테나(A1) 사이의 제1 통신 채널이 활성화(establishment)되며 이동 단말기는 활성화된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고정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신호(S1)를 수신한다. 한편, 지하철이 영역(101)로 진입하는 경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수신 안테나와 고정 단말기의 송수신 안테나(A2) 사이의 제2 통신 채널이 활성화되며 활성화된 이동 단말기는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고정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이동 단말기가 영역(102)로 진입하는 경우, 제1 통신 채널은 차단(dis-establishment)되고 제 2 통신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 신호(S2)를 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로, 고속으로 이동하는 지하철(1)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는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A1, A2, A3,...An)로부터 데이터 신호(S1, S2, S3,..., Sn)를 수신하는 수신부(3), 수신부(3)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S1, S2, S3,..., Sn)의 세기를 측정하는 데이터 신호 측정부(4),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A1, A2, A3,...An)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신호(S1, S2, S3,..., Sn)의 세기에 기초하여 수신부(3)와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통신 채널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5), 수신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6) 및 복호화된 데이터 신호를 지하철(1)의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7)를 포함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수신 제어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로, 지하철(1)의 이동 단말기가 지하철(1)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A1, A2, A3,...An)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수신부(3)는 송수신 안테나(A1, A2, A3,...An)와의 근접 거리에 따라 각 송수신 안테나(A1, A2, A3,...An)로부터 서로 다른 세기로 데이터 신호(S1, S2, S3,..., Sn)를 수신한다. 제1 검색부(11)는 각 송수신 안테나(A1, A2, A3,...An)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S1, S2, S3,..., Sn)의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임계값(TH1) 이상의 세기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송수신 안테나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제1 임계값 이상의 세기로 데이터 신호(S1)를 송신하는 송수신 안테나(A1)가 존재하는 경우, 채널 제어부(15)는 송수신 안테나(A1)로부터 데이터 신호(S1)를 수신하기 위해 수신 안테나(R1)와 송수신 안테나(A1) 사이의 제1 통신 채널을 설정(establishment), 즉 온(on) 시킨다.
한편, 지하철(1)이 계속하여 이동함에 따라 제1 검색부(11)는 송수신 안테나(A1, A2, A3,...An)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S1, S2, S3,..., Sn)의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임계값(TH1) 이상의 세기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또 다른 송수신 안테나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제1 임계값 이상의 세기로 데이터 신호(S2)를 송신하는 송수신 안테나(A2)가 존재하는 경우, 채널 제어부(15)는 제1 통신 채널을 유지하면서 송수신 안테나(A2)로부터 데이터 신호(S2)를 수신하기 위해 수신 안테나(R2)와 송수신 안테나(A2) 사이의 제2 통신 채널을 온(on) 시킨다. 즉, 이동 단말기는 수신 안테나(R1)와 송수신 안테나(A1) 사이에 설정된 제1 통신 채널 및 수신 안테나(R2)와 송수신 안테나(A2) 사이에 설정된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고정 단말기로부터 각각 데이터 신호(S1)와 데이터 신호(S2)를 수신한다.
지하철(1) 계속하여 이동함에 따라 데이터 신호 비교부(13)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S1)의 세기와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S2)의 세기를 서로 비교한다. 데이터 신호 비교부(13)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채널 제어부(15)는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S2)의 세기가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S1)의 세기보다 큰 경우 송수신 안테나(A1)와 수신 안테나(A1) 사이의 제1 통신 채널을 차단(dis-establishment), 즉 오프(off) 시킨다.
도 5는 데이터 신호의 세기에 따라 통신 채널의 온/오프 시간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고로, 지하철(1)이 송수신 안테나(A1)를 지나 송수신 안테나(A2)로 이동함에 따라,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송수신 안테나(A1)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S1)의 세기는 점점 작아지며,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송수신 안테나(A2)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S2)의 세기는 점점 커진다. 송수신 안테나(A2)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S2)의 세기가 제1 임계값(TH1) 이상으로 증가하는 시점(T1)에 송수신 안테나(A2)와 수신 단말기(R2) 사이의 제2 통신 채널이 온된다.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S2)의 세기가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S1)의 세기보다 커지는 시점(T2)에 송수신 안테나(A1)와 수신 단말기(R1) 사이의 제1 통신 채널은 오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고로, 고정 단말기는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A1, A2, A3,...., An)를 구비하고 있으며 지하철(1)에 설치된 이동 단말기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송수신부(20), 송수신부(20)를 통해 수신한 고유 신호(S1', S2', S3',......, Sn')의 세기를 측정하는 고유 신호 측정부(21), 데이터 신호를 손실하지 않고 송신하기 위해 측정한 고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들(A1, A2, A3,...., An) 중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송수신 안테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송신 경로를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23), 플랫폼의 상태를 촬영하는 촬영부(27) 및 촬영된 영상 신호를 부호화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부호화부(25)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유 신호(S1', S2', S3',......, Sn')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고정 단말기로 송신되는 신호로, 지하철이 플랫폼에 진입시 고정 단말기로 지하철의 진입을 알려주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송신 제어부(23)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고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들(A1, A2, A3,...., An) 중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송수신 안테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송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제어부의 일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을 참고로, 지하철이 진행 방향에 따라 설치된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A1, A2, A3,...An)로 이동함에 따라, 각 송수신 안테나(A1, A2, A3,...An)는 이동 단말기와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근접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로 고유 신호(S1', S2', S3',..., Sn')를 수신한다. 제2 검색부(31)는 각 송수신 안테나(A1, A2, A3,...An)에서 수신한 고유 신호(S1', S2', S3',..., Sn')의 세기에 기초하여 제2 임계값(TH2) 이상의 세기로 고유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 안테나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제2 임계값 이상의 세기로 고유 신호(S1')를 수신하는 송수신 안테나(A1)가 존재하는 경우, 경로 제어부(35)는 송수신 안테나(A1)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 데이터 신호(S1)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치부(37)는 송수신 안테나(A1)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의 제1 송신 경로를 생성, 즉 온(on) 시킨다.
한편, 지하철(1)이 이동함에 따라 제2 검색부(31)는 고유 신호 측정부(21)를 통해 측정한 송수신 안테나(A1, A2, A3,...An)의 고유 신호(S1', S2', S3',..., Sn')의 세기에 기초하여 제2 임계값(TH2) 이상의 세기로 고유 신호를 수신하는 또 다른 송수신 안테나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제2 임계값 이상의 세기로 고유 신호(S2')를 수신하는 송수신 안테나(A2)가 존재하는 경우, 경로 제어부(35)는 제1 송신 경로를 유지한 채 송수신 안테나의 송신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치부(37)는 제1 송신 경로를 유지한 채 송수신 안테나(A2)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의 제2 송신 경로를 온 시킨다.
지하철(1) 계속하여 이동함에 따라 고유 신호 비교부(33)는 데이터 신호 측정부(21)를 통해 측정한 송수신 안테나(A1)의 고유 신호(S1') 세기와 송수신 안테나(A2)의 고유 신호의 세기(S2')를 비교하며, 경로 제어부(35)는 송수신 안테나(A2)의 고유 신호(S2')의 세기가 송수신 안테나(A1)의 고유 신호(S1') 세기보다 큰 경우 제2 송신 경로를 유지한 채 제1 송신 경로를 차단(dis-establishment), 즉 오프(off) 시킨다.
도 8은 고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송신 경로의 온/오프 시간을 설명하는 그래 프이다.
도 8을 참고로, 지하철(1)이 송수신 단말기(A1)를 지나 송수신 단말기(A2)로 이동함에 따라, 송수신 안테나(A1)로 수신되는 고유 신호(S1')의 세기는 점점 작아지며, 송수신 안테나(A2)로 수신되는 고유 신호(S2')의 세기는 점점 커진다. 송수신 안테나(A2)로 수신되는 고유 신호(S2')의 세기가 제2 임계값(TH2) 이상으로 증가하는 시점(T3)에 송수신 안테나(A2)로의 제2 송신 경로가 온되며 송수신 안테나(A2)의 고유 신호(S2')의 세기가 송수신 안테나(A1)의 고유 신호(S1')보다 커지는 시점(T4)에 송수신 안테나(A1)로의 제1 송신 경로는 오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다수의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와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고정 무선 단말기 사이에서 복수의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에서는 고정 무선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손실없이 수신할 수 있다.

Claims (11)

  1. 지하철의 플랫폼 진입을 알리기 위한 고유 신호를 송신하며, 다수의 수신 안테나 중 제1 임계값 이상의 세기로 상기 지하철의 플랫폼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안테나 또는 제2 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지하철의 플랫폼 진입시 상기 지하철과의 근접 거리에 따라 상기 고유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서로 다른 세기로 수신하는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에서 수신한 각 고유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 중 제2 임계값 이상의 세기로 상기 고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송수신 안테나 또는 제2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 제어하는 고정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지하철의 플랫폼 진입을 알리기 위한 고유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고정 단말기로 송신하는 고유 신호 송신부;
    상기 지하철이 플랫폼에 진입할 때, 상기 제1 송수신 안테나 또는 제2 송수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수신 안테나;
    상기 다수의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상기 데이터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데이터 신호 측정부;
    상기 다수의 수신 안테나 중 제1 임계값 이상의 세기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안테나와 제1 송수신 안테나 또는 상기 제2 수신 안테나와 제2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통신 채널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신 안테나와 상기 제1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중, 상기 지하철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수신 안테나 중 상기 제2 송수신 안테나로부터 제1 임계값 이상의 세기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제2 수신 안테나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제1 검색부;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 신호의 세기와 상기 검색한 제2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는 데이터 신호 비교부; 및
    상기 데이터 신호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채널 또는 상기 제2 수신 안테나와 제2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데이터 신호의 통신 채널을 제어하는 채널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중 상기 제2 수신 안테나가 검색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채널과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각각 온 제어하며,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신호의 세기가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신호의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오프하고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온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말기는
    상기 지하철의 플랫폼 진입을 알리기 위한 고유 신호를 상기 지하철와의 근접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
    상기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에서 수신한 각 고유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고유 신호 측정부; 및
    상기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에서 수신한 각 고유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 중 제2 임계값 이상의 세기로 상기 고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송수신 안테나 또는 제2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송신 경로를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제1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중, 상기 지하철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들 중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의 세기로 상기 고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송수신 안테나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제2 검색부;
    상기 제1 송수신 안테나에서 수신한 고유 신호의 세기와 상기 검색한 제2 송수신 안테나에서 수신한 고유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는 고유 신호 비교부;
    상기 고유 신호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송수신 안테나 또는 제2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의 송신 경로를 제어하는 경로 제어부; 및
    상기 경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송신 경로 또는 상기 제2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송신 경로를 온(on)/오프(off)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제어부는
    상기 제1 송신 경로에 의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중 상기 제2 송수신 안테나가 검색되는 경우, 상기 제1 송신 경로와 제2 송신 경로를 각각 온 제어하며,
    상기 제2 송수신 안테나에서 수신한 고유 신호의 세기가 상기 제1 송수신 안테나에서 수신한 고유 신호의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송신 경로를 오프하고 상기 제2 송신 경로를 온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60073221A 2006-08-03 2006-08-03 지하철의 플랫폼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100811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221A KR100811238B1 (ko) 2006-08-03 2006-08-03 지하철의 플랫폼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221A KR100811238B1 (ko) 2006-08-03 2006-08-03 지하철의 플랫폼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430A KR20080012430A (ko) 2008-02-12
KR100811238B1 true KR100811238B1 (ko) 2008-03-07

Family

ID=39340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221A KR100811238B1 (ko) 2006-08-03 2006-08-03 지하철의 플랫폼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2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170B1 (ko) * 2009-04-20 2011-06-09 주식회사 씨. 아이. 테크 복수의 무선 송수신기의 자동 선택기 및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송수신기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방법
KR101367600B1 (ko) * 2012-12-14 2014-02-26 서울메트로 누설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지하철 무선설비 안테나 무인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133A (ko) * 1998-05-26 1999-12-15 곽치영 부호분할 다중접속 (씨디엠에이) 시스템에서의 선택적 송신 다이버시티 방법
US6281840B1 (en) 1998-10-29 2001-08-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antenna changing method
KR20030070714A (ko) * 2002-02-26 2003-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선택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순방향 채널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6847628B1 (en) 1999-06-10 2005-01-25 Nec Corporation High throughput TDMA/TDD diversity communication by assembling time slots into downlink burst groups corresponding to selected antennas
KR20060007814A (ko) * 2004-07-22 2006-01-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다이버서티를 구현한 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133A (ko) * 1998-05-26 1999-12-15 곽치영 부호분할 다중접속 (씨디엠에이) 시스템에서의 선택적 송신 다이버시티 방법
US6281840B1 (en) 1998-10-29 2001-08-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antenna changing method
US6847628B1 (en) 1999-06-10 2005-01-25 Nec Corporation High throughput TDMA/TDD diversity communication by assembling time slots into downlink burst groups corresponding to selected antennas
KR20030070714A (ko) * 2002-02-26 2003-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선택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순방향 채널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60007814A (ko) * 2004-07-22 2006-01-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다이버서티를 구현한 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430A (ko) 200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3335B2 (en) Mobile station,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7369503B2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CN110261813B (zh) 定位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811238B1 (ko) 지하철의 플랫폼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JP2009049738A (ja) 無線による列車制御システム
KR20170121017A (ko) 주차장의 비상발생 위치 인식 제공장치
JP2014039145A (ja) 無線装置
KR100693954B1 (ko) 무선 신호 전송 시스템 및 그 제어 장치
JP2004056697A (ja) 列車無線通信システム
JP6615045B2 (ja)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07213470A (ja) 移動方向検出機能を有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935895B1 (ko) 이동체용 양방향 무선영상 시스템의 채널 전환 방법
JP4324232B2 (ja) 無線通報装置
US20210274518A1 (en) Bas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ing medium
JP2014048855A (ja) 交通情報測定装置および交通情報測定方法
KR20170121016A (ko)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JP2004120347A (ja) 列車通信システム
CA2540303A1 (en) Track-guided transport system
JP4209821B2 (ja) 無線通報装置
KR20170079675A (ko) 열차 운행방향에 따라 안테나를 전환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열차 무선통신 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102080703B1 (ko) 차량 환경에서의 저주파수 통신을 위한 안테나 및 저주파수 통신 시스템
KR101040170B1 (ko) 복수의 무선 송수신기의 자동 선택기 및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송수신기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방법
JP4434059B2 (ja) 照明器具および記録装置
JP3841529B2 (ja) 地上列車間無線伝送システム
JP2007237762A (ja) 情報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