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016A -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21016A KR20170121016A KR1020160049717A KR20160049717A KR20170121016A KR 20170121016 A KR20170121016 A KR 20170121016A KR 1020160049717 A KR1020160049717 A KR 1020160049717A KR 20160049717 A KR20160049717 A KR 20160049717A KR 20170121016 A KR20170121016 A KR 201701210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king
- wireless communication
- range wireless
- short range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1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difference in transit time between electrical and acoustic sign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 H04W4/003—
-
- H04W4/008—
-
- H04W4/043—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Y02B6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를 개시한다.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는 주차위치 등록을 적용받기 위한 차량에 설치되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차량용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는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가지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세게 수신되는 신호를 송출한 주차장 단말기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 상에 주차위치로서 결정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공 건물이나 공동 주택의 주차위치 정보 운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차위치 인식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공 건물이나 공동 주택에는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장이 마련될 수 있다. 공공 건물은 백화점이나 마트 등과 같은 상업용 건물뿐만 아니라 구청이나 정부 청사 등과 같은 관공서 건물도 포함할 수 있다. 공동 주택은 2가구 이상의 세대가 형성된 집합 건물, 빌라, 연립, 빌라, 또는 타운 하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장에는 복수의 카메라들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한 카메라들은 요금정산, 감시, 보안, 주차 유도, 또는 주차위치 인식을 위해 주차장의 구역별로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들은 차량 번호 인식용 카메라와 CCTV 용 감시 카메라로 분류될 수 있다. 차량 번호 인식에 필요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차량 번호 인식용 카메라는 CCTV 용 감시 카메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이다. 차량 번호 인식용 카메라들은 주차된 차량들의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차량들의 주차위치 인식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의 특정한 주차 구역에 차량이 주차된 경우에 상기 차량 번호 인식용 카메라는 상기 주차된 차량에 대한 차량번호를 인식한다. 상기 차량 번호 인식용 카메라는 인식된 차량 번호를 상기 특정한 주차 구역에 매칭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를 이용할 경우에 주차위치 인식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위치 인식은 주차된 시점의 관리나 파악이 곤란하다.
한편, 사용자의 태그 동작이나 버튼 누름 동작에 의해 주차위치 인식이 수행될 수도 있다. 차량이 주차장의 특정 구역에 주차된 후에, 사용자는 사용자가 지닌 무선 주파수 인식(RFID)태그를 주차장의 소정 구역마다 설치된 주차위치 리더기에 태그할 수 있다. 혹은 사용자는 사용자가 지닌 RFID 키의 특정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주차위치 리더기는 RFID 태그나 RFID 키로부터 사용자의 ID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의 ID 정보는 상기 주차위치 리더기의 설치 구역 정보에 매칭된다. 따라서, RFID 태그나 RFID 키를 이용할 경우에 주차위치 인식이 설치 구역별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주차위치 인식은 사용자의 태그 동작이나 사용자의 조작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차위치 인식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차위치 인식을 동승자에게도 제공할 수 있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단말기를 매개로 하여 주차장에서의 비상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는, 주차위치 등록을 적용받기 위한 차량에 설치되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차량용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와,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가지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가 설정된 수신 감도 이하일 때,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에서 송출되는 복수의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이 수신되면,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세게 수신되는 신호를 송출한 주차장 단말기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의 맵 상에 주차위치로서 결정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블루투스 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인 비콘 장치를 탑재한 스마트 폰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웹서버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1,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이 설정된 타임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활성화 모드에서 파워 세이빙 모드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주차위치 인식이 사용자의 조작이나 개입 없이 사용자 단말기를 매개로 하여 자동으로 제공된다. 사용자 주차위치 인식, 동승자 주차위치 인식, 택배 알림 서비스, 엘리베이터 호출, 및 비상호출 추적 모니터링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를 포함하는 주차위치 운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 내의 주차장 단말기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 내의 차량용 비콘 장치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 내의 스마트 폰의 주차위치 통신 신호 수신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도 1 내의 스마트 폰의 주차위치 통신 모드들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위치 인식 제공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도 5에 따른 통신 모드들의 모드 전환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주차위치 인식 제공에 관련된 주차장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주차장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위치 인식 제공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0은 도 9의 주차위치 인식 제공에 관련된 주차장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는 도 11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3은 도 1 내의 주차장 단말기의 신호 전송의 형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에 관련된 주차장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2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들을 갖는 주차장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주차장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범 동작제어 플로우챠트이다.
도 2는 도 1 내의 주차장 단말기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 내의 차량용 비콘 장치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 내의 스마트 폰의 주차위치 통신 신호 수신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도 1 내의 스마트 폰의 주차위치 통신 모드들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위치 인식 제공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도 5에 따른 통신 모드들의 모드 전환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주차위치 인식 제공에 관련된 주차장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주차장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위치 인식 제공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0은 도 9의 주차위치 인식 제공에 관련된 주차장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는 도 11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3은 도 1 내의 주차장 단말기의 신호 전송의 형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에 관련된 주차장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2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들을 갖는 주차장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주차장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범 동작제어 플로우챠트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이해의 편의를 제공할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개시된 내용이 보다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소자 또는 라인들이 대상 소자 블록에 연결된다 라고 언급된 경우에 그것은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어떤 다른 소자를 통해 대상 소자 블록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의미까지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급적 나타내고 있다. 일부 도면들에 있어서, 소자 및 라인들의 연결관계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나타나 있을 뿐, 타의 소자나 회로블록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장치(또는 모듈)이나 차번 인식 장치의 구체적 동작 및 기능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위치 운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주차위치 운영 시스템은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차위치 운영 시스템은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 차량용 비콘 장치(200), 웹서버(300), 및 종합 수신 제어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위치 운영 시스템은 스마트 폰 그룹(50), 단지 입구 비콘 장치(250), 및 클라우드 서버(60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차량용 비콘 장치(200)와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은 상기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를 구성한다. 차량용 비콘 장치(200)는 차량용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의 역할을 한다. 차량용 비콘 장치(200)는 주차위치 등록을 적용받기 위한 차량에 설치된다. 차량용 비콘 장치(200)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스마트 폰 그룹(50)내의 스마트 폰(예를 들어 운전자의 스마트 폰 10)으로 송출할 수 있다. 스마트 폰 그룹(50)은 복수의 스마트 폰들(10-14)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스마트 폰(10)은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차량용 비콘 장치(200)가 도 1내에 설치되지만, 본 발명은 비콘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전자기기 예컨대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또는 차량 제어 장치가 상기 차량용 비콘 장치(20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은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ID)를 가지며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인 스마트 폰(예를 들어 10)으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제1,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은 주파수가 서로 동일하나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 구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서의 스마트 폰(예 10: 사용자 단말기는 설명의 편의 상 이하에서 스마트 폰이라 칭해짐)은,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가지고 있다. 스마트 폰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신망(80)과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다운로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80)은 라인(L6)을 통해 웹서버(300)와 연결되고 라인(L7)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600)와 연결된다.
웹서버(300)는 TCP/IP 통신을 통해 종합 수신 제어기(400)에 연결되어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600)는 보안(710), 관공서(720), 및 회사(730) 중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600)는 빅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에서 스마트 폰(예 10)은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상기 통신망(80)을 통해 다운로딩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통신망(80)과 연결된 상기 웹서버(3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예 10)은, 차량용 비콘 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가 설정된 수신 감도 이하일 때,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으로부터 송출되는 복수의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는 라인(L1)을 통해 스마트 폰(예 10)으로 송출된다. 여기서 라인(L1)은 무선통신 라인이며 일종의 통신 채널을 나타낸다.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은 라인(L3)을 통해 스마트 폰(예 10)으로 송출된다. 유사하게, 상기 라인(L3)은 무선통신 라인이며 복수의 통신 채널들을 나타낸다. 스마트 폰의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함에 의해 스마트 폰(10)이 차량용 비콘 장치(200)로부터 점점 멀어지면, 스마트 폰(10)에 수신되는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세기는 점점 약해진다.
결국,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가 설정된 수신 감도 이하일 때 혹은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스마트 폰(예를 들어 10)은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내의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10)은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을 비교하여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101-105) 중에서 가장 근거리에 위치된 주차장 단말기(예 101)를 찾는다. 가장 큰 세기를 갖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는 스마트 폰(10)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된 주차장 단말기(101)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예 10)은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의 수신전계강도(RSSI)를 각기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는 수신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단위는 dBm 이다. 수신전계강도(RSSI)의 측정은 비콘 신호의 PDU(Protocol Data Unit)에 들어있는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상기 PDU에 들어 있는 데이터 내에는 TX 파워에 대한 파워 데이터가 포함된다. 상기 파워 데이터는 약 2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워 데이터는 수신전계강도(RSSI)의 측정 시에 참조된다.
상기 스마트 폰(예 10)은 상기 측정된 수신전계강도(RSSI)를 삼각측량 알고리즘에 의해 처리한다. 처리의 결과로서, 상기 스마트 폰(예 10)은 가장 가까이에서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고 있는 주차장 단말기(예 101)를 인식할 수 있다. 결국 주차장 단말기(101)가 설치된 위치가 주차 위치로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의 송출 강도는 모두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스마트 폰(예 10)은 상술한 처리 동작에 의해 상기 주차장 단말기(예 101)를 찾고, 상기 주차장 단말기(101)가 설치된 구역을 상기 주차장의 맵 상에서 주차위치로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설치 구역은 상기 주차장 단말기(예 101)로부터 송출된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데이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은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콘(beacon)신호일 수 있다.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장치는 블루투스 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이다. 비콘 신호는 비콘 장치로부터 최대 70m 이내에 위치된 수신 장치들로 제공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5~10㎝ 단위의 위치 구별이 가능할 수 있게 한다. 비콘 장치는 전력 소모가 적다. 따라서 비콘 장치는 사물 인터넷(IoT) 구현에도 적합하게 사용된다. 비콘 장치는 IoT 시대를 맞아 블루투스 기술을 다시 부활시키고 있는 통신 장치이다.
초기에 블루투스 기술은 스마트폰 도입 초기에 근거리 파일 공유 등의 기능 보유에 힘입어 각광을 받았다. 그러나 블루투스 기술은 와이파이 망의 확산과 3G(3세대), LTE(4세대 이동통신) 요금 인하로 인해 사라져가는 기술로 전락했다. 그랬던 블루투스 기술이 다시 주목받고 있는 것은 LTE 등과는 달리, 고정 위치 기반 근거리 통신 기술이 필요하였기 때문이다.
애초에 IoT 시대를 이끌 기술로 10㎝ 미만의 거리에 적용되는 태그 방식의 NFC(근접무선통신)가 각광을 받았다. 그러나 NFC를 사용자들이 외면하면서 다시 비콘 장치가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비콘 장치는 NFC보다 가용거리가 길다. GPS 기술로는 불가능했던 실내 위치 정보 제공도 비콘 장치 만의 장점이다.
상기 스마트 폰(예 10)은 다양한 근거리 통신들을 통해 주차장 단말기(예 101)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혹은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일 수 있다. 상기 WLAN은 일반적인 무선 랜(LAN)일 수 있으며, 상기 WPAN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밀리미터파 통신, 또는 Z-Wave 통신일 수 있다.
블루투스 4.0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비콘 기술이다. 애플의 비콘 기술인 아이비콘(iBeacon)이 발표된 이후부터는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기반의 비콘 기술을 일반적으로 비콘이라고 부른다. 비콘 기술의 경우 소량의 패킷 전송에 의해 동작이 가능하고 두 기기를 연결시키는 페어링(pairing)이 불필요하다. 또한 저전력으로 통신하기 때문에,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에 비해 비콘 기술은 저비용으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초광대역 통신(UWB)의 전송 주파수대역은 수㎓ 이상이다. 초광대역 통신(UWB)은 30Mbps∼50Mbps급인 무선랜에 비해 최소 100Mbps∼1Gbps급 속도를 보장한다. UWB는 무선랜보다 100Mbps급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변동 없이 전송할 수 있어 HDTV 영상을 전송하는 데 적합한 기술로 평가 받으며, 전력소모도 무선랜의 10분의 1 수준이다. 반면 도달거리는 10m 정도이다. 상기 UWB는 초기 군사용도의 통신, 레이더 등에 응용됐지만 홈 엔터테인먼트 기기에서 생산되는 대용량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요구가 커지면서 무선 홈 네트워크의 주요 기술로도 주목받고 있다.
또한, 상기 밀리미터파 통신은 기존의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인 WLAN 또는 UWB에 비해 10배 이상의 데이터 전송 능력을 갖고 있어 수 기가급 초고화질(풀HD급) 무압축 영상의 순간 전송이 가능하다. 60GHz 대역 초고속 무선전송기술표준은 전 세계 밀리미터파 대역 중 57∼66GHz 대역에 걸쳐 적게는 3.5GHz, 많게는 총 7∼9GHz에 달하는 넓은 대역을 이용한다. 이 통신 기술은 초고화질 영상을 Gbps급으로 초고속 무선 전송을 가능케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이다. 밀리미터파 통신에 의하면 스마트 폰에 저장된 2시간 분량의 영화(약 650Mb)를 10m 이내에 있는 다른 사람의 휴대폰으로 단 1초 만에 전송할 수 있고 전송지연이나 화질 저하없이 고화질 영상 스트리밍을 가능케 한다. ISO/IEC 13156 표준은 전력소모를 최소화한 규격과 스트리밍 서비스를 구현하는 규격, 통신거리 및 데이터 전송률을 최대화한 규격 등 총 3가지 타입의 규격으로 분류하고 있어 적용 기기 종류와 구현 기능 및 서비스를 고려해 기기의 최적 설계를 가능케 한다.
상기 Z-Wave는 무선통신 프로토콜이다. Z-Wave는 지그비와 경쟁하고 있는 기술이다. Z-Wave는 덴마크 회사인 Zensys에서 개발되었다. Z-Wave는 Z-Wave Alliance에 의해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Z-Wave는 와이파이나 블루투스와 더불어 홈 IoT의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Z-Wave는 900MHz 통신 대역을 사용한다. Z-Wave는 상대적으로 저주파의 통신신호를 사용하므로 와이파이나 블루투스보다 전파 도달 거리가 길다. Z-Wave는 소비전력도 100mW 미만이므로 전력 소모량도 와이파이 보다 적다.
Z-Wave 프로토콜은 낮은 대역폭의 반이중 방식의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의 주된 목적은 하나의 제어 유닛에서 하나 혹은 여러 대의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노드에게 짧은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있다. Z-Wave 프로토콜은 4 계층으로 구성된다. 4 계층은,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라우팅 레이어, 트랜스퍼 레이어, 및 MAC 레이어로 구성된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 Layer)는 전송되거나 수신되는 프레임들에 대한 적재를 제어하는 계층이고, 라우팅 레이어(Routing Layer) 네트워크에서 프레임의 라우팅을 컨트롤하는 계층이다. 트랜스퍼 레이어(Transfer layer)는 프레임을 받거나 보내는 것을 제어하는 계층이고, MAC 레이어는 RF 매체를 제어하는 계층이다.
도 2는 도 1 내의 주차장 단말기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차장 단말기(예 101)는 블루투스 모듈(110),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120), 통화 회로(130), 통신부(140), 코덱(150), 및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도 1의 라인(L3)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이하 편의상 비콘 신호)를 상기 스마트 폰(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도 1의 라인(L4)을 통해 상기 스마트 폰(10)으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이하 편의상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라인들(L3,L4)은 무선통신 라인(또는 무선통신 채널)일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256 Kb 메모리 및 32-bit ARM CPU를 탑재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2.4Ghz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는 블루투스 4.0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또한 가속도 센서나 온도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예컨대 "HBT2X3N" 으로 구현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110)이 주차장 단말기의 ID가 들어 있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비콘 신호의 도달 거리 내에서 스마트 폰(예 10)은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마트 폰에는 안드로이드(Android) 4.3 이상의 운영 체제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 내에서의 블루투스 장치는 활성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폰에는 비콘 SDK가 내장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또는 앱)이 설치된다. 따라서, 스마트 폰이 마스터로서 역할을 할 경우에 도 2의 블루투스 모듈(110)은 슬레이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결국, 블루투스 모듈(110)은 비콘 장치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BLE 로 동작을 하거나 BR/EDR로도 동작을 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과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는 동일한 케이스(17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라인(L10)을 통해 MCU(120)에 연결된다. 상기 라인(L10)은 UART 통신 라인일 수 있다. 상기 MCU(120)는 라인(L20)을 통해 통화 회로(130) 및 통신부(140)에 연결된다. 상기 라인(L20)은 통신 버스일 수 있다.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는 비상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비상버튼은 주차장에 있는 사용자가 비상 상황 발생을 알리기 위해 누르는 버튼이다. 상기 비상버튼이 눌려지면 MCU(120)는 비상버튼의 입력을 수신하여 비상 상황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비상 상황 발생 시 MCU(120)는 도 1의 종합 수신 제어기(400)로 비상 상황 발생을 알리는 비상 발생 신호를 통신부(140)를 통해 인가할 수 있다. MCU(120)는 "ATmega128L"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서의 종합 수신 제어기(400)는 상기 비상 발생 신호를 CCTV 제어기로 인가한다. CCTV 제어기는 아파트 단지의 중앙 방재실에 위치될 수 있다. CCTV 제어기는 상기 비상 발생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따라 주차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들을 제어한다. 따라서, 주차장 내에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101)가 설치된 구역에 대해 CCTV 카메라들에 의한 집중 추적 모니터링이 수행된다.
도 2의 통화 회로(130)는 도 1의 종합 수신 제어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화 회로(130)는 음성 통신 및/또는 화상 통신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는(140)는 도 1의 종합 수신 제어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TCP/IC 통신을 통해 상기 종합 수신 제어기(4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W3150A+"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코덱(150)은 상기 MCU(120)와 연결되고, 통신 신호들에 대한 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한다. 상기 코덱(150)은 "VS1053B"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내의 차량용 비콘 장치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비콘 장치(200)는 블루투스 모듈(210),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220), 진동 센서(230), 배터리(240), 및 버튼 입력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은 도 1의 라인(L1)을 통해 비콘 신호를 상기 스마트 폰(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은 2.4Ghz 블루투스 4.0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은 송신 전용의 단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이 차량의 ID가 포함되어 있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비콘 신호의 도달 거리 내에서 스마트 폰(예 10)은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예 10)은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스마트 폰 사용자(예컨대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비콘 신호의 레벨이 일정감도 이하인 경우에도 상기 스마트 폰은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센서(230)는 차량의 시동 시 또는 차량의 움직임이 있을 때 차량 내부의 진동을 감지한다. 상기 진동 센서(230)는 진동의 감지 시에 진동 감지신호를 MCU(220)로 인가한다. MCU(220)는 상기 진동 감지신호가 수신될 때 블루투스 모듈(210)로 활성화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은 활성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 상태로 동작된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은 활성화 상태일 때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 따라서, 스마트 폰(예 10)은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의 각종 동작 예를 들어 셋, 리셋, 온, 또는 오프 등은 버튼 입력부(2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진동 센서(230)가 나타나 있지만, 진동 센서 대신에 또는 추가로 움직임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센서 대신에 또는 추가로 기울기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비록 도 3에서 차량용 비콘 장치(200)가 나타나 있지만, 차량의 신호 송신 장치 예를 들어, 차량 엔진 컨트롤 유닛과 연결된 통신부, 신호 송출기능을 갖는 네비게이션, 또는 신호 송출기능을 갖는 블랙박스들이 차량에 설치된 경우에, 상기 차량의 신호 송신 장치는 차량용 비콘 장치(200)를 대신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1 내의 스마트 폰의 주차위치 통신 신호 수신 타이밍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구간 ⓐ는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의 수신 가능 구간을 나타내고, ⓑ는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의 수신 OFF 구간을 나타낸다. 블루투스 모듈의 OFF 구간에서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동작 오프 상태로 되므로 비콘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는 비콘 신호의 전송 구간을 나타내고, ⓔ는 비콘 신호의 전송 대기 구간을 나타낸다. ⓕ는 비콘 신호의 전송 주기를 가리킨다. 따라서, ㉠은 비콘신호의 수신이 유효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은 비콘신호의 수신이 무효임을 나타낸다.
파형 ①은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수신 주기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다. ②는 수신 구간의 중간에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③은 수신 구간의 종료 시점에서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④는 수신 구간의 시작 초기에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파형 ⑤ 는 수신 구간의 시작 시점에서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②,③, 및 ④의 경우에 비콘 신호는 스마트 폰으로 유효하게 제공된다. 한편, ⑤ 의 경우에 수신 구간의 종료 시점에서 수신된 비콘 신호가 유효로 취급될 수 있다.
도 4의 수신 타이밍은 스마트 폰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정 혹은 변경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도 1 내의 스마트 폰의 주차위치 통신 모드들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주차위치 통신 모드들은 제1,2,3 모드들로 나뉠 수 있다. 제1 모드는 제2 모드에 비해 블루투스 모듈(110)의 온 주기가 짧다. 예컨대 제1 모드의 온 주기는 1/10 초 이고, 제2 모드의 온 주기는 1/5 초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의 전력 소모는 제2 모드에 비해 적다. 제3 모드는 상기 제2 모드에 비해 블루투스 모듈(110)의 온 주기가 길다. 예컨대 제3 모드의 온 주기는 1/2초이다. 따라서, 제3 모드의 전력 소모는 제2 모드에 비해 많다. 제3 모드에서는 정보 개시가 이루어진다. 정보 개시는 블루투스 모듈(210)을 통해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의 경우에 주차위치 통신 모드들이 3가지의 모드들로 나뉘어져 있으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위치 인식 제공의 플로우챠트이다.
동작 S610에서, 스마트 폰(예를 들어 10)은 차량용 비콘 장치(200)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620에서, 스마트 폰은 상기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은 차량 내부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블루투스 통신에 대한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결국, 스마트 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을 하면, 제2 모드의 온 주기인 1/5 초마다 블루투스 모듈(110)이 턴온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폰(10)은 제2 모드에서 차량용 비콘 장치(2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630에서, 스마트 폰은 단지 입구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단지 입구는 공동 주택 예컨대 아파트 단지의 출입구를 가리킨다. 주차위치 운영 동작의 원활화를 위해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장치가 아파트 단지의 입구에도 설치될 수 있다.
차량이 단지 입구를 통과 시에 단지 입구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동작 S640에서, 스마트 폰은 주차장 관련 맵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주차장 관련 맵 정보의 확보는 웹서버(330)가 주차장 관련 맵 데이터를 스마트 폰으로 제공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무관하게 주차장 관련 맵 정보 예컨대 주차장 지도데이터는 다운로딩을 통해 스마트 폰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동작 S650에서, 스마트 폰은 상기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3 모드는 정보 개시가 수행될 수 있는 모드이다.
동작 S660에서, 스마트 폰은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비콘 신호들이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670에서, 스마트 폰은 수신되는 복수의 비콘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신호를 찾는다. 스마트 폰은 비콘 신호들의 수신전계강도(RSSI)를 검출하고, 검출된 수신전계강도(RSSI)를 삼각측량 알고리즘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폰은 스마트 폰에 가장 가까이 위치된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은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 관련 맵 정보 상에 주차위치로서 표시할 수 있다. 즉, 주차장의 맵에 주차위치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주차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차위치의 데이터는 메시지 형태나 텍스트 형태로 스마트 폰 내에서 저장될 수 있다.
웹서버(300)가 도 1에서와 같이 설치된 경우에, 인식된 주차위치 정보는 스마트 폰(10)에 의해 웹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웹서버(300)는 상기 인식된 주차위치 정보를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엘리베이터 호출 제어기 및/또는 세대의 월패드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차를 행한 사용자는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을 누름이 없이도 엘리베이터를 자동으로 호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차량의 주차 행위 자체 만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셈이다. 상기 월패드는 각 세대마다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종합 수신 제어기(400)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월패드의 모니터 화면에는 상기 주차위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웹서버(300)가 설치된 경우에 주차 위치의 인식 주체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동작 S670에서, 스마트 폰은 복수의 비콘 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웹서버(300)로 인가한다. 웹서버(300)는 수신된 복수의 비콘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센 비콘 신호를 찾는다. 웹서버(300)는 비콘 신호들의 수신전계강도(RSSI)를 각기 측정하고, 측정된 수신전계강도(RSSI)를 삼각측량 알고리즘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웹서버(300)는 스마트 폰에 가장 근접 설치된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웹서버(300)는 인식된 주차 위치 정보를 스마트 폰으로 3G, 4G, 또는 와이파이 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폰은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의 맵 상에 주차위치로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은 상기 주차장 단말기(101)의 설치 구역을 주차 위치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의 주차위치를 스마트 폰의 메시지 확인을 통해 알 수 있다.
한편, 웹서버(300)가 없는 경우에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에 연결된 종합 수신 제어기(400)가 주차 위치 인식의 주체로 될 수 있다. 동작 S670에서, 주차된 차량에서 하차된 스마트 폰은 내부에 설치된 블루투스 장치(또는 모듈)을 통해 일정 주기마다 고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고유 신호는 상술된 바와 같은 비콘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이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스마트 폰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주차장 단말기(예 101)가 스마트 폰의 비콘 신호를 가장 세게 수신할 것이다.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은 각기 수신한 스마트 폰의 비콘 신호를 종합 수신 제어기(400)로 전송한다. 종합 수신 제어기(400)는 비콘 신호들의 수신전계강도(RSSI)를 각기 측정하고, 측정된 수신전계강도(RSSI)를 삼각측량 알고리즘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합 수신 제어기(400)는 비콘 신호를 가장 세게 수신한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종합 수신 제어기(400)는 인식된 주차 위치를 상기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을 향해 역으로 전송한다.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스마트 폰으로 인식된 주차 위치 정보를 인가한다. 따라서, 스마트 폰은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의 맵 상에 주차위치로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은 상기 설치 구역을 주차 위치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결국,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주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S680에서, 스마트 폰은 모든 비콘 신호들이 설정된 수신 감도 이하인지 를 체크한다. 차량에서 송출되거나 주차장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들이 설정된 수신 감도 이하이거나 수신이 되지 않으면 사용자의 스마트 폰은 주차장을 벗어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비콘 신호 들이 설정된 수신 감도 이하이면 동작 S690이 실행된다.
동작 S690에서, 스마트 폰은 동작 모드를 제3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폰의 배터리 소모는 제3 모드에 비해 상당히 줄어든다. 블루투스 4.0 통신 스펙의 경우에 저전력 통신이 기본적으로 지원되므로, 상기 모드 전환은 필요한 경우에 한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동작 모드의 전환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도 5의 통신 모드들에 따른 모드 전환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이전에 스마트 폰의 동작 모드는 제1 모드이다. 시점(t1)에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에 스마트 폰은 차량용 비콘 장치(2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폰은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동작 모드는 배터리 파워 세이빙 용을 위해 마련된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된다. 차량이 아파트 단지 입구를 통과 시 시점(t2)에서 스마트 폰은 단지 입구에 설치된 비콘 장치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폰은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만약 단지 입구에 비콘 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라고 하면 스마트 폰의 동작 모드는 여전히 제2 모드일 수 있다.
차량이 지하의 주차장으로 진입 시 시점(t3)에서 스마트 폰은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비콘 장치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은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시점(t4)에서 차량이 주차장의 비어 있는 주차 구역으로 이동된다. 시점(t4)이 지난 이후에 제3 모드에서 스마트 폰은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3 모드는 주차가 완료된 후 스마트 폰이 주차장을 벗어날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차량 및 주차장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들이 모두 수신되지 않으면 스마트 폰은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결국, 주차의 완료 후에 사용자가 주차장을 벗어 나면 스마트 폰의 동작 모드는 제1 모드로 복귀된다. 제1 모드에서는 스마트 폰의 파워 세이빙이 최대로 이루어진다.
도 8은 도 6의 주차위치 인식 제공에 관련된 주차장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주차장 도면이다.
주차장에는 복수의 주차 구역들(Z101-Z104)이 마련된다. 주차 구역들(Z101-Z104)에는 주차장 단말기들(102-104)이 각기 대응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차량(200)이 주차 구역(Z102)에 주차되면, 사용자는 출입 경로들(C102,C104)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통해 주차장을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출입 경로(C102)를 통해 주차 구역(Z102)을 벗어날 경우 주차장 단말기(102)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가 스마트 폰에 가장 센 신호로서 수신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예 10)은 주차장 단말기들(101,103,104)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들 보다 주차장 단말기(102)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 강도가 가장 강한 신호로서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주차장 단말기들(101-104)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들의 세기는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스마트 폰(10)은 상기 주차장 단말기(102)의 설치 위치 ID를 주차위치로서 결정한다.
한편, 사용자가 출입 경로(C104)를 통해 주차 구역(Z102)을 벗어날 경우에 주차장 단말기(104)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가 다른 비콘 신호들에 비해 가장 센 신호로서 스마트 폰(10)에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폰(10)은 상기 주차장 단말기(104)의 설치 위치 ID를 주차위치로서 결정한다.
스마트 폰(10)이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라고 하면, 상기 주차장 단말기(102) 또는 상기 주차장 단말기(104)가 스마트 폰(10)의 비콘 신호를 가장 세게 수신할 것이다. 따라서, 주차장 단말기들(102-105)과 연결된 종합 수신 제어기(400)는 상기 주차장 단말기(102)의 설치 위치 ID 또는 상기 주차장 단말기(104)의 설치 위치 ID를 주차위치로서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위치 인식 제공의 플로우챠트이다.
하나의 차량 내에는 운전자 이외에도 한 사람 이상의 동승자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동승자들이 존재할 경우에 동승자들도 스마트 폰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9는 이에 관련된 주차위치 인식 제공의 제어 흐름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동작 S911에서, 복수의 스마트 폰들(예 10-14)은 각기 차량 내부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될 경우, 동작 S912에서, 복수의 스마트 폰들은 각기 동작 모드를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동작 S913에서, 복수의 스마트 폰들은 단지 입구 및/또는 주차장 단말기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상기 단지 입구 및/또는 주차장 단말기의 비콘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동작 S914에서, 복수의 스마트 폰들은 주차장 관련 맵 정보를 웹서버를 통해 다운 로딩하거나 기 저장된 주차장 관련 맵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동작 S915에서, 복수의 스마트 폰들은 주차위치 인식을 위해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제3 모드로의 동작 전환은 상기 단지 입구 및/또는 주차장 단말기의 비콘 신호가 수신될 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에서 복수의 스마트 폰들은 웹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웹서버(300)는 복수의 스마트 폰들과 통신 시에 상기 차량용 비콘 장치(200)의 UUID(Unique Universal Identifier)를 체크함에 의해 복수의 스마트 폰들이 동승자들의 스마트 폰들임을 인식할 수 있다.
동작 S916에서, 복수의 스마트 폰들 중 동승자의 스마트 폰(예 11)은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의 비콘 신호들이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즉, 동승자는 차량이 주차되기 이전에 미리 하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동승자의 스마트 폰(11)은 차량 내부의 비콘 신호를 수신 감도 이하로 수신하거나 수신하지 못한다.
동작 S917에서, 동승자의 스마트 폰(11)은 복수의 비콘 신호들을 상술한 바와 같이 삼각 측량 알고리즘으로 처리함에 의해 예를 들어 "A"위치를 주차 위치로서 결정할 수 있다. 동승자의 스마트 폰(11)은 웹서버(300)로 "A"위치를 주차 위치 정보로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918에서, 운전자의 스마트 폰(예10)은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의 비콘 신호들이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즉, 동승자가 하차한 이후에 운전자는 차량을 주차하고 하차할 수 있다.
동작 S919에서, 운전자의 스마트 폰(10)은 복수의 비콘 신호들을 삼각 측량 알고리즘으로 처리함에 의해 예를 들어 "B"위치를 주차 위치로서 표시할 수 있다. 운전자의 스마트 폰은 웹서버로 "B"위치 주차위치 정보로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920에서, 웹서버(300)는 최후에 전송된 "B"위치를 주차 위치로서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웹서버(300)는 최종적으로 하나의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주차 "A"위치를 모두 "B"위치로 갱신한다. 웹서버(300)는 동승자의 스마트 폰(11)으로 갱신된 주차 위치를 전송한다. 따라서, 동승자의 스마트 폰(11)에는 주차 위치가 최종적으로 "B"위치로 갱신되어 표시된다.
도 10은 도 9의 동승자 관련 주차위치 인식 제공에 관련된 주차장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과 유사하게, 주차장에는 복수의 주차 구역들(Z101-Z104)이 마련된다. 주차 구역들(Z101-Z104)에는 주차장 단말기들(102-105)이 각기 대응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차량(200)이 주차장의 주차 구역(P102)에 주차되기 이전에, 동승자는 출입 경로(C105)를 통해 주차장을 벗어날 수 있다. 동승자가 출입 경로(C105)를 통해 주차장을 벗어날 경우에 주차장 단말기(105)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하게 동승자의 스마트 폰(예 11)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동승자의 스마트 폰(예 11)은 주차장 단말기들(101,102,103,104)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들 보다 주차장 단말기(105)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가장 강하게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들의 세기는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동승자의 스마트 폰(11)은 상기 주차장 단말기(105)의 설치 위치 ID를 주차위치로서 결정한다. 상기 설치 위치 ID는 웹서버로(3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운전자가 차량(200)을 주차 구역(P102)에 주차한 후 하차를 하면, 운전자의 스마트 폰(예10)은 출입 경로(C200)를 통해 주차 위치(Z200)을 벗어날 수 있다. 이 경우에 주차장 단말기(103)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가 가장 강한 세기로 운전자의 스마트 폰(1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스마트 폰(10)은 상기 주차장 단말기(103)의 설치 위치 ID를 주차위치로서 결정한다. 운전자의 스마트 폰(10)에 의한 상기 설치 위치 ID도 웹서버로(300)로 제공될 수 있다.
웹서버(300)는 차량 탑승자들의 스마트 폰들로부터 수신된 설치 위치 ID들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받은 설치 위치 ID를 현재 주차된 차량에 대한 주차 구역으로 서 최종 결정한다. 웹서버(300)는 동승자의 스마트 폰(11)으로 최종 결정된 주차 위치를 전송한다. 따라서, 동승자의 스마트 폰(11)에는 최종적으로 갱신된 주차 위치가 표시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S1100에서,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각기, 제1 비콘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한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내의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주차 위치 인식의 운영을 위해 블루투스 신호 예컨대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를 설명의 편의상 제1 비콘 신호라고 칭한다. 제1 비콘 신호가 송출되는 상태에서 비상 상황이 스마트 폰의 사용자에게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의 사용자가 범죄의 피해자가 되거나 신체에 이상이 발생되면 비상 상황이 되는 것이다. 이 때, 스마트 폰(예 10)의 사용자는 도 2의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를 통해 비상벨을 누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의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 폰에 미리 설정된 비상 버튼을 누를 수 있다.
동작 S1110에서,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비상벨 누름 및/또는 비상 호출을 체크한다. 비상벨 누름은 스마트 폰의 사용자가 비상벨을 눌렀을 때 감지된다. 비상 호출은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 미리 설정된 비상 버튼을 눌렀을 때에도 감지된다.
동작 S1110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되면, 동작 S1120이 실행된다. 동작 S1120에서,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중 비상벨이 눌려진 주차장 단말기(예 101)는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비상상황 발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상황 발생이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통보되어 CCTV 집중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장 단말기(101)는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예 제1 비콘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고 비상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예 제2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제2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101-105) 중 상기 스마트 폰(10)과 가장 근접한 주차장 단말기(101)이다. 즉, 다른 주차장 단말기들(102-105)은 여전히 제1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 결국, 주차장 단말기(101)는 비상상황 발생에 응답하여 주차위치 인식 모드(일반 동작)에서 스마트 폰의 위치 추적 모드(비상 동작)로 전환한다.
스마트 폰(10)은 비상알림 위치 추적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스마트 폰(1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앱)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웹서버(300)를 통해 다운로딩할 수 있다.
동작 S1130에서,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사용자의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송출되는 비상신호를 설정 타임마다 수신할 수 있다.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이 비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은 스마트 폰(10)이 비상신호를 비콘 신호 혹은 BLE 통신 신호로서 송출하기 때문이다. 스마트 폰(10)은 상기 제2 비콘 신호를 비상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로서 수신한다. 스마트 폰(10)은 상기 제2 비콘 신호의 수신 세기를 분석하여 수신 세기가 일정한 세기 이상인 경우에 비상 신호 송출모드로 진입한다. 비상 신호 송출모드에서 상기 비상신호가 송출된다. 한편, 비상 신호 송출모드는 상기 비상 호출의 발생 시에도 실행된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 미리 설정된 비상 버튼을 눌렀을 때에 스마트 폰(10)은 상기 비상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동작 S1130의 실행에 의해, 스마트 폰(10)은 상기 제2 비콘 신호에 응답하여 비상 호출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도면에서는 간략히 비상신호로 칭해짐)를 주기적으로 송출한다.
동작 S1140에서,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각기,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수신한 비상신호를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1150에서,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을 통해 다중으로 수신되는 스마트 폰(10)의 비상신호(비상 호출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의미)를 분석하여 상기 스마트 폰(10)의 이동 경로를 판단한다. 즉,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전송된 비상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맵 데이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맵 데이터 상에 표시된 이동 경로의 정보를 웹서버(330)로 제공할 수 있다.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비상 해제의 상황 발생 시 비상 해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비상 해제 신호를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아파트 단지의 단지 서버와 통신 가능하다.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단지 서버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동작 S1160에서,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비상 해제의 유무를 체크할 수 있다. 비상 해제 신호의 수신 시에 비상 해제가 이루어진다.
동작 S1170에서, 주차장 단말기(101)는 제2 비콘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고 제1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한다. 한편, 스마트 폰(10)은 상기 비상 해제 신호의 수신시에 상기 비상신호 송출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은 상기 비상 해제 입력 명령이 들어오면 상기 비상신호 송출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도 11에 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의 제어 동작은 웹서버(300)의 지원 없이도 수행될 수 있으므로, 웹서버(30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도 종합수신 제어기(400)와의 연동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2의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 즉 스마트 폰(예 10)과 통신 가능한 웹서버(300)가 비상호출 모니터링의 제어에 지원된다.
동작 S1200에서, 스마트 폰들(예 10,11)은 주차장 단말기(예 101)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할 수 있다.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각기, 일반 동작에서는 제1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1 비콘 신호가 송출되는 상태에서 비상 상황이 스마트 폰의 사용자에게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될 때 스마트 폰(예 10)의 사용자는 비상벨을 누를 수 있다. 비상벨의 누름에 응답하여 주차장 단말기(예 101)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인 제1 비콘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고 비상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인 비상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비상 신호는 예컨대 상기 제1 비콘 신호와는 데이터 구성이 다른 제2 비콘 신호일 수 있다.
스마트 폰들(10,11)은 동작 S1200에서 비상신호가 수신되면, 동작 S1210을 수행한다.
동작 S1210에서, 스마트 폰들(10,11)은 각기, 상기 비상신호를 웹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폰들(10,11)은 각기, 비상 송출 해당 시라고 판단 시 에 비상 위치 정보를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 송출할 수 있다. 따라서, 주차장 단말기들(101-105)과 연결된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맵 정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종합수신 제어기(400)의 제어 동작에 따라 상기 주차장 단말기(101)의 설치 구역에 대한 CCTV 집중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결국, 비상상황 시에 CCTV를 연동한 추적이 가능해진다.
한편, 웹서버(300)는 상기 스마트 폰들(10,11)중에서 비상 모드로 전환되어야 할 스마트 폰(예 10)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웹서버(300)는 스마트 폰들(10,11)을 통해 수신되는 비상신호를 분석하여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스마트 폰(10)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S1220에서, 스마트 폰(10)은 비상모드 수행 명령의 수신을 체크할 수 있다. 스마트 폰들(10,11)중에서 스마트 폰(10)이 비상모드 수행 명령을 수신한 이유는 상기 웹서버(300)에 의해 상기 스마트 폰(10)이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되었기 때문이다.
동작 S1230에서, 스마트 폰(10)은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각기 송출되는 제1 비콘신호를 받아 웹서버(300)로 전송한다. 대안적으로 혹은 추가적으로, 스마트 폰(10)은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송출되는 비상신호를 받아 웹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1240에서, 웹서버(300)는 종합수신 제어기(400)와 통신하여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받은 제1 비콘 신호들을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300)는 자체적으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맵 정보상에 표시하고 추적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웹서버(300)는 상기 스마트 폰(10)을 통해 다중으로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인 상기 제1 비콘 신호를 분석(예를 들어 삼각 측량 기법을 통해 분석)한다. 따라서 상기 웹서버(300)는 주차장의 맵 상에서 스마트 폰(10)의 이동 경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폰(10)은 주기적으로 증거 수집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증거 수집 모드에서 상기 스마트 폰(10)은 사진 촬영 및 음성 녹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S1250에서, 스마트 폰(10)은 해제 명령의 수신을 체크한다. 해제 명령의 수신 시에 스마트 폰(10)은 비상호출 모니터링의 제어 동작을 종료한다.
도 13은 도 1 내의 주차장 단말기의 신호 전송의 형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주차장 단말기(103)는 주차위치 인식 동작(도면에서는 편의 상 "일반 동작")에서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또 다른 주차장 단말기들(104,105)도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비콘 신호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주차장 단말기(103)는 비상벨이 눌려진 경우에 비상 호출 모니터링 동작을 시작한다. 주차장 단말기(103)는 비상 호출 모니터링 동작에서 스마트 폰(10)으로 비상 신호를 송출한다. 한편, 또 다른 주차장 단말기들(104,105)은 여전히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10)은 주차장 단말기(103)로부터 상기 비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10)는 상기 비상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비상 신호를 송출한다. 따라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103)는 상기 스마트 폰(10)으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주차장 단말기들(104,105)은 비콘 신호를 송출하지 않는 구간(수신 구간)에서 상기 스마트 폰(10)의 비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주차장 단말기들(103,104,105)의 양방향 통신에 의해 비상호출 모니터링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에 관련된 주차장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3명의 사용자들이 주차장에 있다. 사용자들은 구별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들(PP1,PP2,PP3)로서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PP1)가 비상 호출을 일으킨 경우라 하면 사용자(PP1)가 지닌 스마트 폰(10)은 도 11 혹은 도 12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은 비상호출 모니터링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들(PP1,PP2,PP3)중에서 사용자(PP3)는 주차장 단말기(103)의 모니터링 범위에서 벗어나므로 비상호출 모니터링 관련 동작으로부터 배제된다. 또한, 사용자(PP2)는 사용자(PP1)와는 주차장 단말기(103)의 모니터링 범위에 같이 속해 있으나, 주차장 단말기(103)를 기준으로 사용자(PP1)에 비해 더 멀리 위치되어 있으므로, 비상호출 모니터링 관련 동작으로부터 배제된다.
도 14에서는 주차 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101-106)에 의해 모니터링을 위한 범위들(Z101-Z106)이 주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PP1)의 스마트 폰(10)이 이동 경로(C103)를 따라 이동하였다고 하면, 주차장 단말기들(103,104,105)이 이동 경로를 맵 데이터 상에 표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5는 도 2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5에서, 주차장 단말기의 구성은, 블루투스 모듈(110)이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로부터 떨어져 설치된 것을 제외하면, 도 2의 구성과 동일하다.
블루투스 모듈(110)은 레이스 웨이(181)에 설치된다. 레이스 웨이(181)는 주차장의 천정에 설치된다. 레이스 웨이(181)는 주차장에 배치된 조명등들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110)은 주차장 단말기의 ID가 들어 있는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의 도달 거리 내에서 스마트 폰(예 10)은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폰(10)에는 안드로이드(Android) 4.3 이상의 운영 체제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 내의 블루투스 장치는 활성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스마트 폰(10)의 블루투스 장치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는 주차장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에 마련된 비상벨이 눌려지면 비상 신호가 무선으로 송출된다.
MCU(120)는 무선으로 송출되는 상기 비상 신호를 수신하여 비상 상황의 발생을 인식한다. 상기 MCU(120)는 통신부(140)로 비상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통신부는(140)는 도 1의 종합 수신 제어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TCP/IC 통신을 통해 상기 종합 수신 제어기(400)로 비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들을 갖는 주차장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주차장 단말기는 블루투스 모듈(210-1), 제1,2 카메라 모듈들(1100,1200), 제어부(2000), 영상 처리부(3000), 및 통신부(400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210-1)은 도 15의 블루투스 모듈(110)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210-1)은 도 15의 레이스 웨이(18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0)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200)은 하나의 하우징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 카메라 모듈들(1100,1200)은 일반적인 스마트 폰 에 있는 카메라 모듈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제1,2 카메라 모듈들(1100,1200)은 스마트 폰의 카메라 모듈보다 더 큰 사이즈로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제1,2 카메라 모듈들(1100,1200)은 일반적인 차번 인식용 카메라 모듈이나 CCTV 용 카메라 모듈에 비해 사이즈가 월등히 콤팩트하다.
상기 제1,2 카메라 모듈들(1100,1200)과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1)은 하나의 부품 단위로 결합되어 상기 레이스 웨이(181)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0)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한다. 제어부(2000)는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200)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한다. 제어부(2000)는 상기 제1,2 이미지들을 변환 처리하여 채널별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0)는 예를 들어, 고 해상도 보안 처리 카메라용 프로세서인 "ASC8852A"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0)는 차량번호 인식에 사용되도록 하는 스틸 컷 즉 정지 영상을 상기 제1,2 이미지들로부터 추출한다. 정지 영상은 복수의 채널들 중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3000)는 상기 제어부(2000)와 연결된다. 영상 처리부(3000)는 상기 제1,2 이미지들 및 상기 정지 영상을 수신한다. 영상 처리부(3000)는 상기 제1,2 이미지들 및 상기 정지 영상을 처리하거나 압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통신부(4000)는 상기 영상 처리부(3000)에 연결된다. 상기 통신부(4000)는 상기 영상 처리부(3000)의 이미지 데이터를 라인(I/O)을 통해 수신한다. 통신부(4000)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라인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전송라인은 이더넷 통신을 위한 TCP/IP 통신라인일 수 있다. 또한, 전송라인은 무선 통신 채널일 수 있다.
상기 전송라인을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복수의 채널들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들은 제1 동영상 채널, 제2 동영상 채널, 및 정지영상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2채널의 동영상과 1채널의 정지영상이 단일의 통신라인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000)는 종합수신 제어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주차서버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통신 라인을 통해 주차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주차서버는 공동주택의 홈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주차서버는 주차장에 주차되는 차량들에 대한 주차 위치 인식 및 제반 주차 관리를 수행한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1)이 설치되는 레이스 웨이(181)에는 센서부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는 주차구역마다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금속 감지 센서일 수 있다. 센서부는 설정된 주차구역에 물체가 존재하는 지의 유무에 따라 주차 감지신호나 주차 해제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주차 감지신호는 차량이 주차구역에 주차될 때 상기 센서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주차 해제신호는 차량이 주차구역을 벗어날 때 상기 센서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센서부는 사람의 출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의 주차장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범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17에 나타난 동작들은 도 16의 카메라 모듈들을 이용하여 부가적인 방범 동작을 수행하는 예시를 보여준다.
도 17을 참조하면, 주차장 내에 사람이나 물체의 출현이 없는 경우에 센서부 예컨대 마이크로 웨이브(M/W)센서는 감지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동작 S910에서, 제어부(2000)는 도 16의 주차장 단말기를 방범 대기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방범 대기 모드에서 주차장의 레이스 웨이에 설치된 조명등은 최대 밝기의 약 30%의 밝기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방범 대기 모드에서 사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0) 및 제2 카메라 모듈(1200)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전부가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2 카메라 모듈들(1100,1200)중 하나가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되면 주차장 단말기의 전력 소모가 줄어들 것이다.
동작 S920에서, 제어부(2000)는 방범 활성화 이벤트가 감지되는 지를 체크한다. 사람이 주차장으로 진입함에 따라, 마이크로 웨이브(M/W)센서는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방범 활성화 이벤트가 감지된다.
동작 S930에서, 제어부(2000)는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0) 및 제2 카메라 모듈(1200)중에서 비활성화 상태(예를 들어 대기모드나 슬리프 모드)에 있던 카메라 모듈을 웨이크 업한다.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0) 및 제2 카메라 모듈(1200)은 방범용 카메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000)는 주차장의 조명등이 최대 밝기로 제어되도록 한다. 또는 제어부(2000)는 주차장의 조명등이 미리 설정된 조도로 제어되도록 한다.
동작 S930에서 조명등의 조도 정상화 및 이미지 캡쳐 장치 즉 카메라 모듈들의 웨이크 업이 완료되면, 동작 S940에서 방범 영상 획득 및 경보 처리 동작이 실행된다. 상기 동작 S940의 실행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동영상 채널, 제2 동영상 채널, 및 정지영상 채널이 방범 영상으로서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비상 상황의 발생 시 비상벨이 눌려지면 경보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동작 S950에서, 제어부(2000)는 방범 대기 이벤트 발생을 체크한다.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M/W)센서의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2000)는 방범 대기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방범 대기 이벤트 발생인 경우에 동작은 동작 S910로 리턴된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를 통해 본 발명의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통신 방식이나 통신기기들에 대한 세부적 제어기능이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주차장 단말기 그룹
200: 차량용 비콘 장치
300: 웹서버
400: 종합수신 제어기
100: 주차장 단말기 그룹
200: 차량용 비콘 장치
300: 웹서버
400: 종합수신 제어기
Claims (23)
- 주차위치 등록을 적용받기 위한 차량에 설치되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차량용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및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가지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가 설정된 수신 감도 이하일 때,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에서 송출되는 복수의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이 수신되면,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세게 수신되는 신호를 송출한 주차장 단말기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 상에 주차위치로서 결정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블루투스 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인 비콘(Beacon)장치를 탑재하거나 Z-Wave 장치를 탑재한 스마트 폰인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웹서버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1,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이 설정된 타임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활성화 모드에서 파워 세이빙 모드로 전환을 수행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은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은 단지서버와 연결 가능한 종합수신 제어기와 통신하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는 상기 차량에 대한 주차위치를 인식하고 엘리베이터 호출 및/또는 해당 세대 통보가 수행되도록 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주차위치 등록을 적용받기 위한 대상 차량에 설치되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차량용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및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제2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수신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포함하며, 주차위치 운영을 제어하기 위한 종합수신 제어기와 통신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가 설정된 수신 감도 이하일 때,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에서 송출되는 복수의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는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내의 주차장 단말기들 중에서 가장 큰 신호 세기로 수신한 주차장 단말기의 설치 구역을 주차위치로서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결정된 주차위치를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내의 주차장 단말기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주차장의 맵 상에 상기 차량에 대한 주차위치로서 지정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블루투스 4.0 프로토콜 기반의 블루투스 모듈이나 Z-Wave 모듈을 탑재한 스마트 폰인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은 2.4 GHz 대역의 블루투스 통신 신호인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는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에 의한 BLE 통신을 통하거나 Z-Wave 통신을 통해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으로 송출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상기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을 통해 각기 수신하여 주차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 전계 강도 측정 및 삼각 측량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주차위치 등록을 적용받기 위한 차량에 설치되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차량용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제2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포함하며, 주차위치 운영을 제어하기 위한 종합수신 제어기와 통신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와 통신하는 웹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가지고 있거나 상기 웹서버를 통해 다운로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가 설정된 수신 감도 이하일 때,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에서 송출되는 복수의 제2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들이 수신되면, 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웹서버는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세게 수신되는 신호를 송출한 주차장 단말기의 설치 구역을 상기 차량에 대한 주차위치로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결정된 주차위치를 상기 웹서버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주차장의 맵 상에 상기 차량에 대한 주차위치로서 표시하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는 상기 결정된 주차위치를 상기 웹서버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주차위치를 인식하고 엘리베이터 호출 및/또는 해당 세대 통보를 수행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는 송신 전용의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장치인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웹서버와 이동 무선통신 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 탑승 정보를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 전송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주차위치 등록을 적용받기 위한 차량에 설치되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로 송출하는 차량용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제2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로 송출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포함하며, 주차위치 운영을 제어하기 위한 종합수신 제어기와 통신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 및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와 통신하는 웹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은,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가지고 있거나 상기 웹서버를 통해 다운로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가 설정된 수신 감도 이하일 때,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에서 송출되는 복수의 제2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들이 수신되면, 이를 상기 웹서버로 각기 전송하고,
상기 웹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들을 각기 수신하여 각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주차위치를 개별적으로 결정 및/또는 통보하고 있다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 중 마지막으로 전송을 행한 사용자 단말기에 근거하여,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내의 주차장 단말기들 중에서 신호 세기가 가장 세게 수신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송출한 주차장 단말기의 설치 구역을 상기 차량에 대한 최종 주차위치로서 결정하고, 이전에 개별적으로 결정하고 있던 개별 주차위치를 상기 최종 주차위치로 갱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은 상기 결정된 최종 주차위치를 상기 웹서버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주차장의 맵 상에 상기 차량에 대한 주차위치로서 표시하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는 상기 결정된 주차위치를 상기 웹서버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주차위치를 인식하고 엘리베이터 호출 및/또는 해당 세대 통보를 수행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은 블루투스 4.0 프로토콜 이상의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하거나 Z-Wave 모듈을 탑재한 스마트 폰인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은 2.4 GHz 대역의 블루투스 통신 신호인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최종 주차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 전계 강도 측정 및 삼각 측량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개별 주차위치를 차량에 탑승한 동승자의 주차위치로서 관리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주차위치 등록을 적용받기 위한 차량에 설치되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차량용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및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가지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가 설정된 수신 감도 이하일 때,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가 각각의 주차장 단말기를 통해 다중으로 수신되면, 가장 근접 위치한 주차장 단말기를 찾아 주차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주차장 단말기는 주차장의 기둥에 설치되는 비상벨 버튼 입력부와, 레이스 웨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 혹은 Z-Wave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인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과 일체로 상기 레이스 웨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획득용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 인접하여 상기 레이스 웨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획득용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9717A KR20170121016A (ko) | 2016-04-24 | 2016-04-24 |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9717A KR20170121016A (ko) | 2016-04-24 | 2016-04-24 |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1016A true KR20170121016A (ko) | 2017-11-01 |
Family
ID=6038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9717A KR20170121016A (ko) | 2016-04-24 | 2016-04-24 |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21016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1380B1 (ko) * | 2019-06-12 | 2020-09-29 | 장기헌 | 주차 자동인식 시스템 |
RU216651U1 (ru) * | 2022-12-07 | 2023-02-16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втоФон" | Устройство скрытой установки на объект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объекта |
CN115884333A (zh) * | 2022-11-22 | 2023-03-31 | 上海移柯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 Tbox智能管理方法、Tbox、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2016
- 2016-04-24 KR KR1020160049717A patent/KR2017012101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1380B1 (ko) * | 2019-06-12 | 2020-09-29 | 장기헌 | 주차 자동인식 시스템 |
CN115884333A (zh) * | 2022-11-22 | 2023-03-31 | 上海移柯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 Tbox智能管理方法、Tbox、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5884333B (zh) * | 2022-11-22 | 2023-08-11 | 上海移柯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 Tbox智能管理方法、Tbox、电子设备及存储介质 |
RU216651U1 (ru) * | 2022-12-07 | 2023-02-16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втоФон" | Устройство скрытой установки на объект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объект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72342B2 (en) | Pedestrian safet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 |
KR101840112B1 (ko) | 자동 출입을 위한 현관 출입 장치 | |
CN105452138B (zh) | 用于电梯设备的通信方法 | |
CN101271634B (zh) | 停车管理系统及装置 | |
CN1316437C (zh) | 监视系统、监控传感设备的方法 | |
KR100810585B1 (ko) | 가로등 시스템 | |
WO2015073726A1 (en) | Low-cost and low-power smart parking system utilizing a wireless mesh network | |
KR101830500B1 (ko) | 주차장의 비상발생 위치 인식 제공장치 | |
CN205657715U (zh) | 基于北斗定位的车载通信系统 | |
US20160219517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within wireless sensor networks based on a periodic beacon signal | |
KR101858811B1 (ko) | 사용자 기반 개별 제어 기능을 갖는 세대환경 조절장치 | |
US10455368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within wireless sensor networks based on at least one periodic guaranteed time slot for sensor nodes | |
KR100822769B1 (ko) | 모드전환방식의 전자태그 및 모드전환방식의 전자태그인식장치 | |
KR20180095958A (ko) | 도어 프리 기능을 갖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 |
CN110895845B (zh) | 一种联通智慧家庭的安防门禁系统及其交互方法 | |
KR20170121016A (ko) |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
KR101969638B1 (ko) | 차량용 비치 장치를 제거한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 |
KR20200059852A (ko) | 무인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120042346A (ko) | 조명 제어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 장치, 건물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 |
KR102208615B1 (ko) |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무선 비상벨 장치를 포함하는 주차위치 확인 및 주차유도 시스템 | |
KR102449596B1 (ko) | 비콘시스템에서 메쉬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 |
CN106231567A (zh) | 一种通信方法和通信管理装置 | |
KR102010320B1 (ko) |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 |
Jamuna et al. | LIFI for Smart Transportation: Enabling Secure and Safe Vehicular Communication | |
KR102462898B1 (ko) | 메쉬네트워크 통신기술을 활용한 안심벨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