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647B1 -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647B1
KR100810647B1 KR1020050065971A KR20050065971A KR100810647B1 KR 100810647 B1 KR100810647 B1 KR 100810647B1 KR 1020050065971 A KR1020050065971 A KR 1020050065971A KR 20050065971 A KR20050065971 A KR 20050065971A KR 100810647 B1 KR100810647 B1 KR 100810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information
visitor
terminal device
off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956A (ko
Inventor
박건화
Original Assignee
(주)이엔제이소프트
굿맨소프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엔제이소프트, 굿맨소프트(주) filed Critical (주)이엔제이소프트
Publication of KR20060053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50/00Postage metering systems
    • G06Q2250/50Postage metering systems with specific mail handling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고객 단말 장치,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구현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은, (a)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한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신청을 접수하는 단계와; (b) 상기 신청에 응답하여 이벤트 종류 선택 안내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와; (c) 상기 이벤트 종류 선택 안내 메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선택된 '이벤트 종류 데이터', 상기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입력된 것으로서 확정되는 '이벤트 제목 데이터', 및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의 URL 주소와 상기 URL 주소로의 자동 접속에 활용할 수 있는 특정 전화 번호나 단축키 번호,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의 고유 ID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벤트 ID 데이터'를 갖는 이벤트 기초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d) 상기 이벤트 기초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웹 페이지 생성 시나리오에 따라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e) 상기 이벤트 제목 데이터와 상기 이벤트 ID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벤트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사전에 입력된 방문 예상자 연락처로 전송하는 단계와; (f)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입력된 '방문자 기본 정보'를 확보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g) 상기 방문자 기본 정보와 입력된 방문자 참여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이벤트 참여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온오프라인, 연계, 이벤트, 종류 선택, 관리, 웹 페이지, 방문자, 연락처

Description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WEB-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 EVENT IN AN ON-OFF LINE CONNECTING MANN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과 그 주변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기본 전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기본 전개 과정의 후속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기본 전개 과정과 병행하여 진행되는 추가 전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주변 장치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의 구현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초기 전개 과정에서 신청 고객에게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 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전개 과정의 일 단계에서 고객에게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전개 과정의 일 단계에서 생성된 이벤트 관리를 위한 웹 페이지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전개 과정의 일 단계에서 고객에게 제공되는 방문 예상자 기초 데이터 입력용 웹 페이지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전개 과정의 일 단계에서 방문 예상자의 연락처로 전송된 이벤트 안내 정보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전개 과정의 일 단계에서 저장되는 방문자 기본 정보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전개 과정의 일 단계에서 저장되는 이벤트 참여 정보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특정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a 내지 1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전개 과정의 각 단계에서 주최측의 지정된 고객 단말 장치로 전송되는 통지 데이터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를 통한 웹 페이지의 출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이벤트 행사 현장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그 페이지의 관리 메뉴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주변 장치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의 구현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
110 : 주최측 정보 DB
115 : 이벤트 종류별 웹 페이지 생성 시나리오 DB
120 : 웹 연계 행사장 입력/출력 제어 장치 정보 DB
125 : 이벤트 기초 정보 DB
130 : 방문 예상자 및 방문자 정보 DB
135 : 금융 거래 관련 정보 DB 140 : 물품/서비스 관련 정보 DB
142 : 이벤트 참여 정보 DB
145 :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 DB 150 :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
160 : 웹 서버 165 : 송수신부
170, 175 : 통신망
180, 181, 182, 183, 184 : 고객 단말 장치
200 : 행사장 입력 제어 장치
205 : 행사장 출력 제어 장치
300 : 금융기관 인터페이스
400 : 물품/서비스 공급 업체 인터페이스
S200 :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신청을 접수하는 단계
S205 :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신청에 응답하여 이벤트 종류 선택 안내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S210 : 이벤트 종류 데이터와 이벤트 제목 데이터와 이벤트 ID 데이터를 갖는 이벤트 기초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S215 : 이벤트 기초 정보에 기반 하여 미리 준비된 해당 웹 페이지 생성 시나리오에 따라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S220 : 이벤트 제목 데이터와 이벤트 ID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벤트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사전에 입력된 방문 예상자 연락처로 전송하는 단계
S225 :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입력된 방문자 기본 정보를 확보하여 저장하는 단계
S230 : 방문자 기본 정보와 입력된 방문자 참여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 진 규칙에 따라 이벤트 참여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출력하는 단계
본 발명은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산업의 눈부신 발전은 지구촌 전체를 연결하는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람들 사이의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인터넷은 다수의 사람들이 공간적 제약을 뛰어 넘어, 온라인상에서 서로 실시간으로 쌍방향 대화를 나누거나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전 산업 부문에 영향을 미치는 이른바 지식, 정보 혁명의 중요한 수단 내지 매체로서 자리 잡아가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와 같은 인터넷을 통해 수많은 개인과 집단간의 전자 우편(Electronic mail) 주고받기, 다양한 사이트의 검색을 통한 정보 수집과 교류가 일상생활의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또한, 기업이나 정부 개인간의 정보 공유는 물론 재화나 용역의 교류 방식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니, 최근 국내외의 전자 상거래(Electronic Commerce)의 활성화는 그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인터넷을 통한 정보 교류를 전통적인 미풍양속의 현대적 계승이라는 측면에서도 활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제안과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즉, 현대인(특히, 한국인)의 중요한 생활 문화 중 하나가 가족, 친척, 친구나 이웃의 약혼, 결혼, 회갑연, 돌잔치, 장례식은 물론 개업식이나 동창 모임, 동호회, 각종 환영 행사 등의 경조사(내지는 이벤트) 현장을 방문하여 인사를 하고 축의금 또는 조의금이나 물품(예: 화환 등)을 전달하는 것이 오랜 동안 내려온 관습 내지 관례로 되어있다. 그러나, 바쁜 현대인의 생활 속에서 시간과 거리의 제약, 경제적 부담 등으로 인해 이와 같은 경조사에 빠짐없이 참여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경조사에 상대방을 초대하는 입장에 있는 사람에게도 상대방에게 연락을 해야 한다는 도의적 필요성과 상대방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자신의 경조사에 대해 알리는 것이 고민되고 또한 부담스러운 일이기도 하다.
이런 이유로 오프라인 상의 직접 방문 대신에 또는 그것이 어려울 경우에 온라인상의 경조사(이벤트) 방문 및 참여를 구현함으로서 이와 같은 경조사 참여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계승해보고자 다양한 제안과 시도가 있어 왔다. 이하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종래의 이벤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그 내용과 한계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2001년 4월 16일에 공고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20670(출원번호 : 20-2000-0028271, 고안의 명칭: 화상으로 제공되는 영정 시스템)은 장례 절차와 관련하여 고인의 영상이나 어록이 저장된 특정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장례식에 참석하지 못한 원격지의 거주자가 자신의 개인통신 장치(PC 등)를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고인의 영상물과 육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것은 고인의 영상이나 어록이 저장된 특정 홈페이지를 원격지 거주자에게 단순히 제공할 수 있을 뿐이어서 원격지 거주자의 적극적인 참여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는 일방향 시스템이며 더욱이 오프라인 장례 진행 현장 상황과의 연계를 도모하지 못하였다.
2002년 10월 19일에 공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특2002-0079042(출원번호 : 10-2001-0019659, 발명의 명칭: 인터넷을 이용한 장례 및 추모의 서비스 방법)는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 가입한 회원이 사망 시 또는 사망자 가족이 회원으로 가입한 경우에 사망 진단서 발급 및 장례식장을 안내 받도록 하고, 장례식장에 필요한 물품을 배송 업체를 통해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시신의 매장 또는 화장 시 추모원이나 납골당을 이용하도록 안내하고 추모 인터넷 사이트를 마련하여 고인의 생존시의 정지 화상, 동화상 및/또는 음성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방법을 서술하고 있다. 이 방법은 사망자나 가족의 편의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장례의 실시간 온오프라인 참여 통합 및 방문자의 참여 편의를 도모하는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단순한 고인에 대한 정보 제공에 그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2003년 11월 19일에 공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특2003-0088345(출원번호 : 10-2003-0029774, 발명의 명칭: 관혼상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관혼상제 서비스 제공 방법)는 원격지의 방문자가 텔레비전 전화 기능을 갖는 온라인 출석자 단말을 이용하여 관혼상제 현장 중계 사이트에 접속하여 화상 회의 방식으로 조문에 참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온라인 참석자를 화상 회의 시스템을 통해 오프라인 관혼상제 현장의 진행 행사에 참여시키는 데 역점을 두다 보니 온라인 참석자가 시간상의 제약을 받으며, 시스템 구현을 위해 고가의 장비가 필요한 단점이 있고, 오프라인 행사 진행과 온라인 참여의 장점을 결합하지 못하고 있다.
2001년 2월 5일에 공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특2001-0008106(출원번호 : 10-2000-0066243, 발명의 명칭 :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문상)은 인터넷상에 부음을 게시하고 방명록을 마련하여 인터넷을 통해 문상객들이 빈소를 방문하고 조의금을 전하는 사이버 문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인터넷 방문객의 편의에 초점을 둔 나머지 오프라인 현장(즉, 빈소)의 행사 진행과 연계되지 못하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2002년 7월 25일에 공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특2002-0061972(출원번호 : 10-2001-0003145, 발명의 명칭: 경조사 관리 운용 시스템)는 각종 경조사의 입출금 내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번의 자료 입력으로 실시간 자동적으로 입출금이 정산되도록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고 입력된 자료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 경조사(이벤트) 관리 운용 프로그램을 마련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경조사 자체의 종합적인 운용 보다는 경조금 관리에 초점을 둔 것으로서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효과적인 이벤트 관리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2004년 5월 20일에 공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10-2004-0042071(출원번호 : 10-2002-0070204, 발명의 명칭: 인터넷 홈페이지를 활용한 경조사 자동 알림 및 게시판 자동 등록 방법)은 경조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사람들의 연락처를 사전에 인터넷 홈페이지에 등록시켜 놓은 후, 경조사 발생시에 해당 연락처에 경조사 발생 사실을 음성 또는 문자로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경조사 관리 방법의 일부분 만을 서술하고 있다.
2003년 10월 22일에 공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특2003-0081707(출원번호 : 10-2002-0020062, 발명의 명칭: 양방향 실시간 장례 중개 및 화상 조문 시스템)은
나름대로 이벤트 관리에 있어서 오프라인 행사 진행과 온라인 참여를 실시간으로 연계하고자 시도한 것으로서 오프라인 장례 현장을 온라인상으로도 중계하고 온라인 참여자가 상주와 조문 채팅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다양한 이벤트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며, 온라인 참여자와 오프라인 참여자 사이의 효과적인 정보 및 분위기 공유, 이벤트 주최측 대표자(예: 장례식의 경우 상주)에 대한 효과적인 정보 지원 등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은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 또한, 실시간 화상 중개를 강조한 나머지 이벤트 참여에 시간적 제약이 따른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이벤트 종류별로 그에 적합한 '이벤트 행사장'(즉, 오프라인 상의 행사 진행 현장)의 방문자 관리와 온라인상의 사이버 행사장(즉, 온라인 웹 사이트)의 방문자 관리에 대한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 및/또는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은 경조사의 주최자(예: 장례 행사에서의 상주)와 경조사 방문자(예: 장례 행사에서의 조문자) 사이의 관계에만 그 초점을 두었고, 경조사의 주최자나 연락자 등을 중심으로 하는 방문자들 간의 관계나 정보 공유 필요성 부분은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다. 실제 오프라인 행사의 경우를 살펴보면 해당 경조사를 방문한 다른 방문자들이 어떤 사람들이며, 그들과 경조사의 주최자(또는 연락자)와는 어떤 관계인 지, 또 이들이 어떤 메시지들을 남겼는지에 대 한 정보 들을 통해 또 다른 관계들이 만들어 지거나 과거의 관계가 더 돈독해 지거나 또는 더 가까워지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또한, 종래 기술은 이벤트 주최자의 효과적인 이벤트 진행을 지원하고, 오프라인 이벤트 참여자와 온라인 이벤트 참여자가 정보와 분위기를 공유할 수 있게끔 하고 나아가 이와 같은 온오프라인 연계 형으로 진행된 이벤트의 진행 기록을 콘텐츠로 만들어 통합 제공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이벤트에 대한 오프라인 참여 및 온라인 참여를 상호 연계시켜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이벤트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이벤트 종류에 맞는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목적은 이벤트의 온라인 참여자와 오프라인 참여자가 정보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끔 하고 나아가 이벤트 진행 기록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벤트 주최측이 온오프라인 이벤트 진행 및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게끔 이벤트 진행 상황 정보를 주최측에 제공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경조사에 온라인/오프라인 상으로 참여하는 방문자 상호간에 '방문자 기본 정보'(이하에서 설명)와 '방문자 참여 정보'(이하에서 설명)를 효과적으로 공유하게 함으로써 그들만의 또 다른 관계 설정이나 관계 증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국면에 따르면, 고객 단말 장치,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구현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한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신청을 접수하는 단계와; (b) 상기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신청에 응답하여 이벤트 종류 선택 안내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와; (c) 상기 이벤트 종류 선택 안내 메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선택된 '이벤트 종류 데이터', 상기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입력된 것으로서 확정되는 '이벤트 제목 데이터', 및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의 URL 주소와 상기 URL 주소로의 자동 접속에 활용할 수 있는 특정 전화 번호나 단축키 번호,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의 고유 ID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벤트 ID 데이터'를 갖는 이벤트 기초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d) 상기 이벤트 기초 정보에 기반으로 미리 준비된 해당 웹 페이지 생성 시나리오에 따라 해당 이벤트의 관리를 위한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e) 상기 이벤트 제목 데이터와 상기 이벤트 ID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벤트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사전에 입력된 방문 예상자 연락처로 전송하는 단계와; (f)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입력된 '방문자 기본 정보'를 확보하여 저장하되, 상기 방문자 기본 정보에는 방문자 이름, 방문자 연락처, 방문자의 직장명/직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방문자 기본 정보 저장 단계와; (g) 상기 방문자 기본 정보와 방문자 참여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이벤트 참여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를 통해 출력하되, 상기 방문자 참여 정보는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입력된 것으로서 이벤트 관련 입력 메시지 데이터, 현금이나 채권, 상품권 제공 내역 데이터, 물품/서비스 제공 내역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국면에 따르면, 고객 단말 장치와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와 송수신부를 거쳐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주최측의 신원 확인을 위한 '신원 확인 데이터'를 구비하는 주최측 정보를 저장하는 주최측 정보 DB와; 이벤트 종류별로 그 관리를 위한 서비스에 적합한 표준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미리 준비된 생성 시나리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벤트 종류별 웹 페이지 생성 시나리오 DB와; 선택된 이벤트 종류 데이터와 이벤트 제목 데이터와 이벤트 ID 데이터를 구비하는 이벤트 기초 정보를 저장하는 이벤트 기초 정보 DB와; 방문 예상자의 연락처 데이터를 갖는 '방문 예상자 기초 데이터'와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입력된 방문자의 성명, 연락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방문자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방문 예상자 및 방문자 정보 DB와; 상기 방문자 기본 정보와 상기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입력된 방문자 참여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생성된 이벤트 참여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방문자 참여 정보가 이벤트 관련 입력 메시지 데이터, 현금이나 채권, 상품권 제공 내역 데이터, 물품/서비스 제공 내역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이벤트 참여 정보 DB와; 고객이 고객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거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웹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각 DB에 액세스하여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거나 입력하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웹 서버와;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신청을 접수하며 이벤트 종류 선택 안내 메뉴를 제공하고, 선택된 이벤트 종류 데이터와 이벤트 제목 데이터와 이벤트 ID 데이터를 갖는 이벤트 기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이벤트 기초 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 기초 정보에 기반 하여 해당 웹 페이지 생성 시나리오에 따라 해당 이벤트의 관리를 위한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방문 예상자 기초 데이터를 상기 방문 예상자 및 방문자 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 제목 데이터와 상기 이벤트 ID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벤트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방문 예상자 연락처로 전송하고, 입력된 방문자 기본 정보를 상기 방문 예상자 및 방문자 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방문자 기본 정보와 입력된 방문자 참여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이벤트 참여 정보를 생성하여 이벤트 참여 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벤트 관리 종합 서버를 포함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 다. 우선, 본 명세서 및 청구항, 도면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주요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이벤트'란 약혼식, 결혼식, 회갑연, 생일잔치, 돌잔치, 장례식은 물론 개업식이나 동창 모임, 동호회, 각종 환영 행사, 회의 등과 같은 경조사뿐만 아니라 기타 상업적 및 비상업적 모임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최대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기존의 경조사 뿐 만 아니라 연예 행사(음악회, 축제 등), 야유회나 스포츠 경기와 같이 오프라인 행사에 다수의 사람이 참여하고 그 오프라인 행사와 연계된 웹에서의 행사 참여 기회 제공 및 오프라인 행사 중계와 같은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바 이벤트라고 하는 것은 이 처럼 최대한 넓은 의미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주최측'이란 이벤트를 주최하고 방문자를 초정하는 개인이나 단체 또는 법인을 의미하며, 주최측에는 보통 미리 정해진 숫자의 대표자(즉, '주최측 대표자')가 1인 또는 2인 이상 존재한다. '방문 예상자'란 주최측에서 해당 이벤트와 관련하여 방문할 것으로 예상하거나 아니면 방문이 예상되지 않더라도 이벤트 개최 사실을 알려 주고자 하는 개인이나 단체(의 대표자나 관계자), 법인(의 대표자나 관계자)을 의미한다. 방문 예상자에 대해서는 보통 주최측에서 방문 예상자의 이름(명칭)과 연락처를 구비하는 방문 예상자 기초 데이터를 (이벤트 행사 준비 과정에서 또는 이벤트 행사 시작 후) 고객 단말 장치 또는 오프라인 단말 장치를 통해 시스템(100)에 등록한다.
'방문자'란 '오프라인 이벤트 현장'(간단히 '행사장'이라고 약칭할 수 있음) 및/또는 온라인상의 해당 웹 페이지(온라인 이벤트 관리 웹 사이트)를 방문한 사람을 의미하며, 방문자 중에는 방문 예상자가 많겠지만 방문 예상자가 아닌 사람도 충분히 있을 수 있다. 이상의 용어 외에도, 이하에서 필요한 용어 정의(또는 설명)를 해가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서술하고자 한다. 또한, 명세서 및 도면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숫자로 표시된 장치나 시스템, 기기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100)과 그 주변 장치들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100)은 보통, 주최측 정보 DB(110), 이벤트 종류별 웹 페이지 생성 시나리오 DB(115), 이벤트 기초 정보 DB(125), 방문 예상자 및 방문자 정보 DB(130), 이벤트 참여 정보 DB(142),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 웹 서버(160), 송수신부(165)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웹 연계 행사장 입력/출력 제어 장치 정보 DB(120), 금융 거래 관련 정보 DB(135), 물품/서비스 관련 정보 DB(140),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 DB(142)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시스템(100)에 포함되거나 또는 연계되는 주변 장치로서는 통신망(170, 175)과 금융기관 인터페이스(300), 물품/서비스 공급 업체 인터페이스(400)와 고객 단말 장치(180, 181, 182, 183, 184), (웹 연계) 행사장 입력 제어 장치(200), 행사장 입력 단말 장치(예: 도 5의 211, 212, 213, 214, 217, 263)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이 보통이며, (웹 연계) 행사장 출력 제어 장치(205)와 행사장 출력 단 말 장치(예: 도 5의 243, 247)가 더 포함되는 것이 보통이다.
여기서, 통신망(170, 175)은 보통 인터넷이다. 통신망(170, 175)은 물리적 의미에서 유선 통신망 또는 위성 방송망, 무선 이동 통신 망 등 다양한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고객 단말 장치(180, 181, 182, 183, 184)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설치된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도 1의 183)가 대표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망(170, 175)을 통해 웹 서버(160)에 접속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읽어 내는 기능을 가진 다양한 접속기기, 예를 들면 WEB 또는 이와 유사한 WAP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이 지원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도 1 및 도 5의 181, 도 5의 184), 키오스크, PDA(예를 들어 도 1 및 도 5의 180, 182), 양방향 서비스가 지원되는 디지털 TV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주최측 정보 DB(110)에는 이벤트를 주최하는 측의 정보(이하 간단히 '주최측 정보'라고 약칭)가 저장되는 데, 이 주최측 정보에는 주최측의 신원 확인을 위한 '신원 확인 데이터'가 보통 구비되며, 부수적으로 해당 주최측의 지정된 고객 단말 장치, 예를 들면 주최측 대표자 고객 단말 장치의 액세스 데이터(전화 번호 등)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신원 확인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주최측(대표자)의 이름(명칭), 주최측(대표자)의 연락 전화번호가 구비되는 게 보통이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주최측이 시스템(100)의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ID, 패스워드와 기타 주최 측의 주소나 이메일(전자 우편) 주소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주최측 (대표자의) 단말 장치 정보가 더 구비될 수도 있는데, 주최 측 고객 단말 장치 정보에는 그 고객 단말 장치의 인터넷 IP 주소나 이동 통신 전화 번호가 구비되는 것이 보통이며, 그 성능 및 사양 정보도 구비될 수 있다.
이벤트 종류별 웹 페이지 생성 시나리오 DB(115)에는 이벤트 종류(예: 회갑연, 돌잔치, 장례식, 축제 등)별로 그 관리를 위한 서비스에 적합한 표준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미리 준비된 생성 시나리오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 시나리오는 예를 들면,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텍스트, 이미지 및 각종 메뉴의 내용과 위치를 지정한 시나리오일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에 대해 충분히 구현할 수 있을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웹 연계 행사장 입력/출력 제어 장치 정보 DB(120)에는 (웹 연계) 행사장 입력 제어 장치(200)(나중에 설명)와 (웹 연계) 행사장 출력 제어 장치(205)(나중에 설명)의 성능이나 사양 정보, 고유 번호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 웹 연계 오프라인 입력/출력 제어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시스템(100)(의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은 오프라인의 이벤트 진행 현장(즉, 행사장)에 있는 소정 입력 제어 장치(예: 200)와 연결된 행사장 입력 단말 장치(예: 213)를 통해 각종 데이터나 정보가 입력되도록 제어하면서 입력이 이뤄지는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지정된 행사장에 있는 소정 행사장 출력 제어 장치(예: 205)와 연결된 소정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예: 243, 247)를 통해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원하는 방식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벤트 기초 정보 DB(125)에는 '이벤트 기초 정보'가 저장되는 데, 이벤트 기초 정보에는 (신청 고객에 의해)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선택된 '이벤트 종류 데 이터'와 소정 방법으로 확정된 '이벤트 제목 데이터' 및 '이벤트 ID 데이터'가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게 보통이며(이에 대한 내용은 도 2의 단계(S210)를 참조로 나중에 상세히 설명함), 실시예에 따라서는 여러 가지 부가 데이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이하 단계(S210, S215)에 대한 설명 참조).
방문 예상자 및 방문자 정보 DB(130)에는 (오프라인 행사장 및/또는 온라인 웹 사이트를 방문할) 방문 예상자의 성명과 연락처 데이터(연락 전화번호, 팩스 번호, 이메일 주소 등)를 갖는 '방문 예상자 기초 데이터'가 저장되고 또한 (오프라인 행사장 및/또는 온라인 웹 사이트를 방문한) '방문자 기본 정보'가 저장되며, '방문자 참여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방문자 기본 정보'란 고객 단말 장치(180, 181, 182, 183)를 통해 입력된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방문자의 기본 정보이거나 또는 행사장 입력 제어 장치(200)의 제어 하에 행사장 입력 단말 장치(예: 도 5의 211, 212, 213, 214)를 통해 입력된 오프라인 방문자의 기본 정보를 의미하는 데, 이 방문자 기본 정보에는 방문자의 성명, 연락 전화 번호, 이메일(전자 우편) 주소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것이 보통이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여기에 방문 일시, 참여 루트(온라인 참여인가 오프라인 참여인가를 구분하는 내용) 데이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신청 고객, 주최측 대표자, 발신자, 방문자나 방문 예상자의 성명이 꼭 본명일 필요는 없으며 별명이나 예명 등 다양한 형태의 이름일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도 그렇게 해석되어야 한다.
금융 거래 관련 정보 DB(135)에는 방문자가 이벤트 추최측에 경조금이나 이벤트 참가비나 후원금(기부금)등으로 현금이나 채권, 상품권 등을 제공하는 경우 또는 이벤트 주최측에서 이벤트와 관련된 어떤 물품이나 서비스를 방문자에게 제공하고 방문자가 그에 대한 구매나 이용에 대해 결제를 하는 경우의 금융 거래 내역에 대한 정보로서 금융 거래자의 성명, 액수, 일시, 방법(온라인 송금, 오프라인 현장 방문 납부) 등의 데이터를 구비하는 '금융 거래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물품/서비스 관련 정보 DB(140)에는 방문자가 이벤트 주최측에 오프라인 현장에서 직접 전달하거나 또는 온라인을 통해 이벤트 관련 물품 공급 업체에 주문하여 주최측에 배송함으로써 주최측에 전달한 물품/서비스의 품목 명, 수량, (추정) 가격, 특이 사항 등의 데이터를 갖는 '물품/서비스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 DB(145)에는 온오프라인 이벤트 진행 기록(관련 데이터, 정보)을 보존하기 위한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가 소정 형식으로 저장된다.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는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전개 과정 및 시스템 운영 전반을 제어하는 중앙 서버로서 기능한다(나중에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전개 과정과 연관지어 상세히 설명).
웹 서버(160)는 고객(신청 고객, 주최측(대표자), 방문자, 기타 고객 등)이 고객 단말 장치(180, 181, 182, 183)를 이용하여 또는 행사장 입력 단말 장치(217)를 통해 행사장 입력 제어 장치(200)를 거쳐 통신망(170, 175), 송수신부(165)를 통해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그 내부의 각종 데이터베이스(DB)(도 1 참조)에 액세스하여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거나 입력하도록 매개하는 역 할(예 : 웹 페이지 제공)을 수행한다.
금융기관 인터페이스(300)는 주최측, 방문자, 기타 고객이 고객 단말 장치(180, 181, 182, 183)를 이용하여 또는 행사장 입력 단말 장치(217)를 통해 행사장 입력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통신망(170, 175)을 거쳐 관련 금융 기관 서버(예 : 도 5의 301)에 액세스하여 원하는 금융 거래 서비스(예 : 이벤트 관련 경조금 납부, 회비나 기부금(후원금) 납부 등을 위한 온라인 송금, 신용 카드 결제 및 승인 등)를 이용하도록 매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품/서비스 공급 업체 인터페이스(400)는 이벤트 관련 각종 물품/서비스에 대해 주최측이나 방문자가, 기타 고객이 고객 단말 장치(180, 181, 182, 183) 또는 행사장 입력 단말 장치(예: 214)를 통해 행사장 입력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통신망(170, 175)을 거쳐 물품/서비스 공급 업체 서버(예 : 도 5의 401)에 액세스하여 온오프라인 이벤트 진행과 관련된 물품이나 서비스의 구매(또는 이용) 주문, 배송을 의뢰하도록 매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벤트 진행과 관련된 물품/서비스란 이벤트에 참가하는 사람들이 주최측에 제공하는 물품(예: 축하 화환)/서비스(예: 축하 전보)가 될 수도 있고, 주최측에서 참가자들에게 유료 또는 무료로 제공하는 물품/서비스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예시되고, 이상에서 서술한 구조와 기능을 지닌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100) 및 주변 장치를 통하여 구현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웹 서비스 관리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 리 웹 서비스 방법의 기본 전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100) 및 그 주변 장치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의 구현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초기 전개 과정에서 신청 고객에게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구성 예(6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5에 표시된 행사장 입력 제어 장치(200)란 오프라인 이벤트 진행 현장(행사장)(500) 내 (설치된) 장치들(예: 도 5의 500 내에 속하는 장치들) 중 명함 자동 인식기(211), 바코드 스캐너(212), 디지털 방명록 입력기(213), 키보드 입력기(214)와 같이 오프라인 이벤트 진행 현장을 방문한 방문자(즉, 오프라인 방문자)의 기본 정보의 입력에 이용되는 행사장 입력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그것을 제어하여 오프라인 방문자 정보를 획득하여 인터넷 망(175)을 통해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행사장 입력 제어 장치(200)는 마이크(217)를 통해 오프라인 현장의 소리 또는 음성 데이터를,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과 같은 영상 취득부(263)를 통해 행사장 모습이나 방문자 또는 제공 물품 등을 촬영하여 얻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확보하여 인터넷 망(170)을 통해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행사장 입력 제어 장치(200)는 시스템(100)(내의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의 제어에 따라 오프라인 이벤트 행사 진행 현장에 설치된 행사장 입력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행사장에서의 입력 데이터 확보 역할을 함으로써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한편,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행사장 출력 제어 장치(205)는 인터넷 망(175)을 통해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이 시스템(100)(내의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의 제어에 따라 오프라인 이벤트 행사 진행 현장에 설치된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를 제어한다. 출력 단말 장치는, 예를 들면 도 5의 (빔프로젝터나 LCD, PDP, 프로젝션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243)와 스피커(247)와 같은 것으로서 온라인과 연계된 이벤트 관리를 위한 웹 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출력하거나 또는 기타 다른 방법으로 게시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상의 행사장 입력 제어 장치(200)와 행사장 출력 제어 장치(205)는 웹 연계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각각 행사장 입력 단말 장치와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PC인 것이 보통이며, 셋탑 박스 형태로서 별도로 제작된 것일 수도 있다. 제어 장치(200, 205)의 구성에 대해서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5에서 고객 단말 장치(180, 181, 182, 183, 184)는 오프라인 이벤트 행사 진행 현장에 있는 것일 수도 있고(예 : 도 5에서 180, 184) 원격지에 있는 것일 수도 있다(예 : 도 5에서 181, 182, 183). 도 5에는 주최측 사회자(190), 주최측 안내자(192), 주최측 접수자(191)가 예시되어 있는 데, 주최측 대표자는 주최측 사람 중에서 미리 지정된 1명 이상의 사람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주최측 사회자(190)가 주최측 대표자로서 지정되어 대표자 고객 단말 장치(180)를 이용하고 있는 모습을 예시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대표자 고객 단말 장치(180)를 주최측 안내자(192)나 주최측 접수자(191)가 이용하게 할 수도 있고, 또 주최측 사람들 끼리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기 위해 대표자 고객 단말 장치(180)를 여러 개 사용할 수 있게끔 지원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오프라인 방문자(291)는 주최측 접수자(191)의 도움으로 명함 인식기(211), 바코드 스캐너(212), 디지털 방명록 입력기(213)(예: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사람이 손으로 쓴 글자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디지털 문자 데이터로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입력기), 키보드 입력기(214)와 같은 행사장 입력 단말 장치 중 하나를 이용하여 자신에 관한 정보, 즉 방문자 기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오프라인 방문자(291)는 주최측 안내자(192)의 안내에 따라 오프라인 이벤트 진행 현장(행사장) 내에 자리 잡을 수 있으며, 주최측 사회자(190)의 진행에 따라 이벤트에 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신청이 (시스템(100) 내의 종합 관리 서버(150)에 의해) 접수하는 단계(단계(S200))와 상기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신청에 응답하여 이벤트 종류 선택 안내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단계(S205))로서 시작된다.
단계(S200)와 단계(S205)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를 신청하는 고객(이하 '신청 고객')이 자신의 고객 단말 장치(예를 들어 PC(183) 또는 PDA(180)) 또는 행사장 입력 단말 장치(예: 도 5의 214)(이하 간단히 '단말 장치'로 통칭할 수 있음)를 이용하여 인터넷 망(175 또는 170)을 통해 해당 인터넷 사이트(상기 시스템(100)의 인터넷 접속 주소)에 접속하여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를 신청(예를 들어 도 6의 메뉴 610을 클릭)하면, 그 신청에 응답하여 이벤트 종류 선택 안내 메뉴(예를 들어 도 7의 메뉴 720)를 (시스템(100))이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제공된 이벤트 종류 선택 안내 메뉴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신청 고객에 의해 고객 단말 장치(180)를 통해) 선택된 이벤트 종류 데이터는 시스템(100) 내의 종합 관리 서버(150)에 의해 접수될 수 있다.
여기서, 신청 고객이 상기 인터넷 사이트에 가입하여 ID를 입력하고 로그인해야만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를 유료 또는 무료로 (예를 들면 도 6의 메뉴 610을 이용하여)신청하여 이용하게끔 할 수도 있고, 아니면 회원 가입이나 로그인 과정 없이도, 즉 비회원인 경우에도 (예를 들면 도 6의 메뉴 630을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를 유료 또는 무료로 신청하여 이용하게 끔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신청 및 이벤트 종류의 선택이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와 연결된 음성 자동 응답(ARS) 시스템(도시 생략)이나 기타 오프라인 상담원을 통하여 간접적인 방식으로 이뤄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단계(S200, S205)에서 언급된 웹 서비스 신청 및 이벤트 종류 선택 안내 메뉴 제공과 그에 따른 웹 서비스 신청의 접수 및 이벤트 종류의 선택은 이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는 넓은 의미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단계(S200, S205)이후에 과정은 단계(S210)로 진행한다.
단계(S210)에서는 상기 이벤트 종류 선택 안내 메뉴를 이용하여 (상기 신청 고객에 의해) 상기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선택된 '이벤트 종류 데이터'와 소정 방법으로 확정된 '이벤트 제목 데이터' 및 '이벤트 ID 데이터'를 갖는 이벤트 기초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여기서 이벤트 제목 데이터란 예를 들면, "근영이의 결혼식", "홍길동님의 회갑연을 알려드립니다"와 같이 이벤트를 간단히 소개할 수 있는 핵심적인 문구나 문장으로 이루어진 텍스트 데이터를 말한다. 이벤트 제목 데이터는 (시스템(100)에 의해) 고객 단말 장치를 거쳐 고객에게 제공되는 이벤트 제목 입력용 안내 메뉴(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고객에 의해 입력된 것으로 확정될 수 있다. 또는 이벤트 제목 데이터는 시스템(100)이 (고객에 의해 선택된) 이벤트 종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생성하여 확보한 것일 수도 있다. 즉, 이벤트 종류가 회갑연으로 선택되었다면 시스템(100)이 자동으로 "회갑연을 알려드립니다"로 제목을 정할 수 있다. 이때, 이렇게 자동으로 정해진 제목을 신청 고객이 수정, 변경할 수 있도록 안내 메뉴를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벤트 ID 데이터'란 특정의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신청 건에 대한 고유의 이벤트 관리용 웹 페이지(예를 들어, 대표적으로는 블로그)에 고객들이 접속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해당 이벤트 고유의 식별 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이벤트 ID 데이터는 해당 이벤트의 관리를 위해 이하의 단계(S215)에서 생성될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의 해당 URL 주소로서 확정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의 해당 URL 주소로의 접속에 활용되는 소정 고유 단축키 번호(예: *4350)나 임의의 전화번호를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의 고유 ID 중 어느 하나로서 확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신청 고객 홍TT이고 선택된 이벤트 종류가 회갑연이며 이벤트 제목이 '홍길동님의 회갑연'이고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100)의 해당 인터넷 사이트 주소가 http://saramcy.com이라고 할 때 시스템(100) 내의 미리 준비된 프로그램에 따라 '홍길동님의 회갑연'에 대한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예: 블로그)의 고유 URL 주소로서 http://saramcy.com/HongGD/happybirthday60이 생성되어 이것이 이벤트 ID 데이터로서 확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우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 단말 장치에서 상기 URL 주소로 곧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통신 회사 서버(도시 생략)와의 사전 약정에 의해 확보한 특정 전화 번호(013-xxx-nnnn)나 단축키 번호(예: *4350)가 시스템(100)에 의해 상기 홍길동의 회갑연에 대한 이벤트 ID 데이터로서 확정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홍길동의 이벤트 ID 데이터로서 http://saramcy.com/donplus가 (시스템(100)에 의해) 확정됨으로서 고객이 상기 해당 인터넷 사이트(http://saramcy.com)에 접속한 다음 이벤트 검색 창에 donplus를 치면 상기 홍길동의 회갑연 관련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때, donplus는 상기 홍길동의 회갑연을 나타내는 고유 데이터로서 상기 해당 인터넷 사이트(http://saramcy.com) 내에서 유일한 것으로서 신청 고객이 사전에 등록한 것일 수도 있고 시스템이 자동으로 부여한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S205)와 단계(S210)는 분리된 단계로 수행될 수도 있지만, 통합된 한 단계로서 실시될 수도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청구항도 그렇게 해석되어야 한다. 즉, 예를 들면 단계(S205)에서 도 7의 메뉴(720)를 제공한 다음 단계(S210)에서 도 7a의 웹 페이지(700)를 제공할 수도 있지만, 도 7a의 웹 페이지(700)를 한꺼번에 제공하여 이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신청 고객이 단계(S205)와 단계(S210)가 사실상 하나의 통합된 단계로서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즉 웹 페이지(예: 700, 750)를 이용하여 신청 고객이 적어도 필수 입력 항목을 입력(이벤트 종류 데이터 선택 포함)하고 완료 메뉴(예: 706, 756)클 클릭하면 시스템(100)이 그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벤트 기초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단계(S210) 이후에 단계(S215)에서는 상기 이벤트 기초 정보에 기반 하여 미리 준비된 해당 웹 페이지 생성 시나리오에 따라 해당 이벤트의 관리를 위한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작업이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된다.
즉, 단계(S215)에서는 (시스템(100) 내의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가) 이벤트 기초 정보에 구비된 이벤트 종류 데이터와 이벤트 제목 데이터와 이벤트 ID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미리 준비된(예: 이벤트 종류별 웹 페이지 생성 시나리오 DB(115)에 저장되어 있는) 웹 페이지 생성 시나리오에 따라 이벤트 관리용 웹(web) 페이지를 생성하여 (웹 서버(160)의 기능을 통해) 제공한다. 여기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는 보통 웹 페이지 뿐 만 아니라, 블로그(blog)나 이동 통신 단말기 화면을 통해서도 쉽게 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이른바 폰 페이지(Phone-page)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벤트 기초 정보에 이벤트 종류 데이터와 이벤트 제목 데이터와 이벤트 ID 데이터 이외에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를 신청하는 신청 고객(주최측의 대표자나 관계자일 수도 있고 아니면 신청을 대행하는 사람일 수도 있음)의 신원 데이터(성명, 연락 전화 번호 등)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벤트 기초 정보에는 이벤트 장소 및 일시, 이벤트의 주최측(대표자)의 성명(명칭) 및 연락처(유무선 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팩스 번호 등), 발신자(나중에 설명할 이벤트 안내 정보 전송 시의 발신자)의 성명 및 연락처, 특기 사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계(S215) 수행 이전에 (시스템(100)에 의해) 이벤트 기초 정보 입력용(즉, 신규 또는 추가 입력, 수정, 변경 등 넓은 의미임) 웹 페이지가 제공되는 단계(도시 생략)가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전개 과정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전개 과정의 일 단계(예: 단계(S210))에서 (신청) 고객에게 제공되는 이벤트 기초 정보 입력용 웹 페이지 구성 예(700, 7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S200) 후에 신청 고객은 자신의 고객 단말 장치 또는 행사장 입력 단말 장치(예: 도 5의 214)를 통해 상기의 예와 같은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이벤트 기초 정보의 입력(즉, 신규 입력, 수정, 변경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기초 정보 입력 역시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와 연결된 ARS 시스템이나 기타 오프라인 상담원을 통하여 간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이벤트 기초 정보의 필수 입력 항목으로서 '이벤트 종류 선택', '이벤트 제목 데이터', '이벤트 ID 데이터' 항목이 있고, 이벤트 기초 정보의 권장 입력 항목으로서 '신청 고객의 신원 정보'와 이벤트 일시 및 장소, 주최측 정보, 특기 사항 등이 구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a에 예시된 회갑연을 위한 이벤트 기초 정보 입력용 웹 페이지(700)와 도 7b에 예시된 마을 축제를 위한 이벤트 기초 정보 입력용 웹 페이지(750)의 입력 항목의 명칭이나 세부 구성(예: 주최측 정보)이 다소 다르게 준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이벤트 종류에 따라 적응적으로(adaptively) 이벤트 기초 정보 입력용 웹 페이지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전개 과정의 일 단계(S215)에서 생성된 이벤트 관리를 위한 웹 페이지의 구성 예(800, 88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도 7b의 이벤트 기초 정보에 기반 하여 생성된 웹 페이지(800)를 예시하고 도 8b는 도 7a의 이벤트 기초 정보에 기반 하여 생성된 웹 페이지(880)를 예시한다.
단계(S215)에서 생성되는 웹 페이지는 최초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하나의 웹 페이지일 수도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여러 개의 웹 페이지일 수도 있다. 이 여러 개의 웹 페이지를 생성한 후, 고객의 선택 또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한 사전 설정에 의해 소정 순서로 상기 여러 개의 웨 페이지 중 하나 이상을 소정 순서 및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소정 횟수로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웹 페이지에 그 이전 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메뉴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된 웹 페이지를 고객이 소정 편집 툴을 이용하여 편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시스템(100)을 통한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를 유료로서 운용하는 경우에는 단계(S200, S205, S210, S215, S220) 중 어느 두 인접하는 단계 사이에 신청 고객이 해당 서비스 이용 요금을 납부한 것을 (예: 금융 기관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확인하는 단계(도시 생략)가 존재할 수도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단계(S(215))이후에 과정은 단계(S220)로 진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전개 과정의 일 단계에서 고객에게 제공되는 방문 예상자 기초 데이터 입력용 웹 페이지의 구성 예(9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20) 이전에 상기 예와 같은 방문 예상자 기초 데이터 입력용 웹 페이지가 '단말 장치'를 통해 신청 고객에게 제공되고 이를 이용하여 신청 고객이 방문 예상자 기초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방문자 예상자 기초 데이터에는 방문자의 연락처(예를 들면, 유선 전화 번호, 휴대 전화 번호, FAX 번호,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종합 관리 서버(150)는 상기와 같이 입력된 방문 예상자의 연락처 데이터를 갖는 방문 예상자 기초 데이터를 방문 예상자 및 방문자 정보 DB(130)에 저장한다. 이렇게 방문 예상자 연락처가 사전에 입력/저장된 상태하에서 단계(S220)이 수행된다.
단계(S220)에서는 (종합 관리 서버(150)가) 상기 이벤트 제목 데이터와 상기 이벤트 ID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벤트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사전에 입력된 해당 방문 예상자 연락처로(즉, 해당 방문 예상자 연락처에 해당하는 통신서비스 경로 및 해당 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송한다. 이벤트 안내 정보는 방문 예 상자에게 이벤트가 예정 또는 진행되고 있음을 알리고 해당 이벤트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이벤트에 대한 온라인 및/또는 오프라인 상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벤트 안내 정보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종합 관리 서버(150)에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생성되어 제공된다.
예를 들면, 이벤트 안내 정보가 이벤트 ID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것이며, 이벤트 안내 정보에는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의 접속에 활용되는 백유알엘(Back-URL) 접속용 메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가 안내 이메일 형태로 전송되는 것으로서 상기 안내 이메일에는 '답글 작성 및 전송' 메뉴가 구비되어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를 열람한 고객이 자신의 단말 장치(즉,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답글을 입력하면 상기 답글이 이벤트 참여 정보(나중에 설명)로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전송되어 처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안내 정보가 이벤트 제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것으로서 이벤트 안내 정보에는 소정의 전화번호가 구비되어,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를 열람한 고객이 자신의 단말 장치(즉,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수신처로 하여 자신의 메시지(문자 또는 음성, 음성의 경우에는 서버에서 음성 인식을 통해 문자로 변환)를 전송하면 상기 문자 메시지가 이벤트 참여 정보로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전송되어 처리되게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에는 해당 이벤트 제목 데이터 와 해당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의 인터넷 주소 데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이벤트 기초 정보에 구비된 데이터 항목 중 적어도 하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이벤트 안내 정보에는 오프라인 이벤트의 장소 및 일시, 주최측 대표자의 성명 및 연락처, 발신자 성명 및 연락처, 특기 사항 중 적어도 하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전개 과정의 일 단계(S220)에서 방문 예상자의 연락처로 전송된 이벤트 안내 정보의 구성 예(10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벤트 안내 정보는 이메일로 전달될 수다. 이벤트 안내 정보는 SMS와 같은 문자 메시지(텍스트 데이터)로서 전달될 수도 있고 음악 및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이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일 수도 있다. 또한, 이벤트 기본 안내의 전송이 팩스나 ARS 또는 이른바 TTS(Text to Sound) 기능을 이용한 자동 전화 음성 통지 서비스 형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실제의 활용 예에 있어서, 기존의 초대장(예: 청첩장, 부고장) 등에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 주소를 인쇄하여 배부할 수도 있다.
단계(S220)에서는, 예를 들어 이벤트 안내 정보를 이메일과 SMS와 TTS 기능을 이용한 자동 전화 통보 서비스로서 전송할 경우, 이메일과 MMS 중 어느 하나로도 수신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 TTS 기능을 이용한 자동 전화 음성 통지 서비스로서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S220) 후에 과정은 단계(S225))로 진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25)의 진행에 앞서서, 상기 단계(S200부터 S220까지)의 진행과 별개로 단계(S200) 후에 또는 상기 단계(S200부터 S220까지) 중의 어느 한 단계의 진행 중이나 진행 후에, 오프라인 이벤트 현장을 방문한 방문자(예: 도 5의 291)에 관한 방문자 기본 정보 또는 온라인상으로 해당 웹 페이지에 접속한 온라인 방문자에 관한 기본 정보가 입력되는 과정이 전개된다. 오프라인 방문자(291)에 관한 방문자 기본 정보는 보통 키보드 입력기(214)를 통해 입력되지만, 마이크(217)나 영상 취득부(163)를 통해 방문자의 사진이나 음성,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방문자 기본 정보의 구성 데이터의 하나로서 입력될 수도 있다. 온라인 방문자에 관한 기본 정보는 해당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됨으로써 확보된 방문자 기본 정보는 단계(S225)에서 (시스템(100) 내의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에 의해 방문 예상자 및 방문자 정보 DB(130)에) 저장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전개 과정의 일 단계(S225)에서 저장되는 방문자 기본 정보의 구성 예(1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방문자 기본 정보에는 보통 방문자 성명, 방문자의 연락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방문 일시, 방문 초청자, 방문 일시, 방문 루트(오프라인 현장 방문 및/또는 온라인 방문)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25) 후에 '방문자 참여 정보'가 확보된다. 예를 들면, 오프라인 행사장 방문자(291)의 참여 정보가 키보드 입력기(214), 디지털 방명록 입력기(213), 마이크(217), 영상 취득부(263)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방문자(도시 되지 않음)는 자신의 고객 단말 장치(예 : 181, 182, 183)를 통해 방문자 참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방문자의 참여 정보 입력용 안내 메뉴(예: 도 8a의 810, 830, 840)가 해당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800) 상에 제공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오프라인 방문자(예: 291)도 자신의 고객 단말 장치(예: 184)를 통해 온라인으로도 참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그 방문자(예: 291)가 오프라인 행사장 방문자인 동시에 온라인 방문자가 됨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방문자 참여 정보란 방문자가 입력한 이벤트 관련 입력 메시지(보통 텍스트임), 이벤트 관련 현금이나 채권, 상품권 제공 내역, 이벤트 관련 물품/서비스 제공 내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가지는 정보를 의미 한다. 또한, 상기 방문자 참여 정보에는 방문자가 온라인 및/또는 오프라인 방문을 통해 올린 참조 파일 형태로서의 콘텐츠(예: 사진, 동영상, 음악 파일 등)도 포함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단계(S225)이후에 단계(S230)에서는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가) 확보된(입력된) 방문자 기본 정보와 확보된(입력된) 방문자 참여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이벤트 참여 정보를 생성하여 (예를 들어, 이벤트 참여 정보 DB(142)에) 저장하고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출력은 온라인상의 출력(예: 해당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예: 도 8의 800)의 해당 창(예: 도 8의 810)을 통한 출력)과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를 통한 오프라인 상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할 수 있는데, 보통 둘 다 활용한다.
오프라인 상의 출력은 오프라인 이벤트 진행 현장(즉, 행사장)에 있는 상기 인터넷 사이트(시스템(1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오프라인 이벤트 현장의 출력 단말 장치(이하에서 간단히,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라 칭할 수 있음)(예를 들면, 도 5의 디스플레이 기기(243)와 스피커(247)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예: 도 5의 디스플레이 기기(243)와 스피커(247)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것으로 보통 스피커가 장착된 PDP나 LCD, 프로젝션 TV 등)가 이용되는 데, 보통 오디오 출력 영역(스피커로 소리를 출력하는 영역)과 화면(창이라고도 함) 출력 영역과 텍스트 출력 영역의 세 가지 출력 영역을 구비한다.
이벤트 참여 정보에는 보통, 방문자 성명, 방문자의 직장/직책, 방문자 메시지, 방문자가 올린 콘텐츠(참조 파일), 방문자가 제공한 현금이나 채권, 상품권 제공 내역, 물품/서비스 내역, 참여 루트 등의 데이터 항목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참여 정보에는 '행사 진행 안내 데이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행사 진행 안내 데이터는 예를 들면, 행사장에 있는 방문자에게 행사 진행을 알리는 코멘트일 수도 있고, 행사 진행 상 방문자에게 협조나 양해를 구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도 있고, 행사장 사진(또는 동영상)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행사 진행 안내 데이터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온라인상의 별도의 디스플레이 창(예: 도 8b의 805) 및/또는 행사장의 디스플레이 기기(243)의 스크린 상의 소정 위치(도시 생략)에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참여 정보는 주로 방문자(참여자)가 웹 페이지에 등록한 글이나 핸드폰을 통해 입력한 메시지가 주류를 이루기 때문에, 메시지(텍스트), 비디오(사진/동영상 파일), 음악(오디오 파일)으로 구성된다. 간혹 상기 구성 형태와 다른 참여 정보가 발생하더라도 당업자라면 해당 참여 정보를 쉽게 텍스트와 첨부 파일 형태로 가공하여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결과로서, 블로그나 인터넷 게시판, 자료실 등과 같은 웹 페이지에 등록된 콘텐츠의 형태는 크게 본문(텍스트)과 참조 파일로 나눌 수 있는 데, 본문(텍스트)은 주로 간단한 메시지나 사연을 글로 올려놓은 것이고, 참조 파일은 보통 첨부 파일 형태로서 올려진 사진(정지 영상) 파일, 동영상 파일, 파워 포인트, PDF 등의 각종 파일을 의미한다. 웹 페이지에 등록된 콘텐츠로서는 상기 본문과 참조 파일 둘 중, 둘 다 없을 수도 있고, 둘 중 하나만 있을 수도 있으며, 둘 다 있을 수도 있다.
콘텐츠를 웹 페이지에 올리고 저장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새로 생성된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를 통해 직접 하는 방법도 있지만,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웹 페이지(예: 블로그)와 상기 단계(S215)에서 생성된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 상호 간에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올리고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참여 정보를 이벤트 참여 정보 DB(142) 저장할 수도 있지만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100)과 상호 콘텐츠를 공유하기로 사전에 약속한 다른 블로그나 인터넷 게시판, 자료실의 해당 DB(도시 생략)에 저장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좀더 상세히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가,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가 생성된 조건 하에서 단말 장치를 통해 미리 입력된 기존 블로그 주소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기존 블로그(도시 생략)와 이벤트 관리 웹 페 이지 사이의 통신로를 확보한 다음, 해당 기존 블로그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와 참조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100) 내의 해당 DB에 저장하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방문자 기본 정보와 방문자 참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해당 기존 블로그의 DB(도시 생략)에 저장함으로써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와 해당 기존 블로그 사이의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전개 과정의 일 단계에서 저장되는 이벤트 참여 정보의 구성 예(1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S230)의 수행으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기본 전개 과정이 종료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기본 전개 과정에 후속하여 또는 병행하여 실행되는 과정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기본 전개 과정의 후속 과정으로서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에 의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S230) 이후에 단계(S235)에서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에 의해) 오프라인 이벤트 진행 종료 후 방문자의 연락처로 소정 감사 메시지를 전송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여기서 오프라인 이벤트 진행 종료 시점은, 실제로 오프라인 이벤트 행사가 종료된 시점(종료 사실 입력 시점)일 수도 있고 사전에 시스템(100) 관리자나 해당 이벤트 신청 고객에 의해 설정된 시점(예: 오프라인 이벤트 행사 종료 시점+24 시간)일 수도 있다.
한편, 이벤트 시작 시점은 실제로 행사장 오픈 시점과 같은 오프라인 행사가 시작된 시점(시작 사실 입력 시점) 또는 온라인 웹 페이지의 최초 생성 시점일 수도 있으며, 사전에 시스템(100) 관리자나 해당 이벤트 신청 고객에 의해 설정된 시작 시점일 수 있으며(예를 들어 회갑연 이벤트의 경우 행사장 오픈 7일전에 온라인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도 있음), 또는 단계(S200, S205, S210, S215) 중의 소정 단계의 시작 또는 종료 시점일 수도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는 이벤트의 시작 및 종료 시점을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적 제약에 얽매이지 않고 행사장에서의 오프라인 이벤트 진행과 웹 사이트를 통한 온라인 참여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결합한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단계(S235) 이후에 단계(S240)에서는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가) 온오프라인 연계 형으로 진행된 이벤트 진행에 관한 기록의 보존을 위해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를 미리 정해진 형식으로 생성하여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 DB(145)에) 저장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특정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의 구성 예(1300)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를 구성하는 폴더 구조가 도시된다.
단계(S240)에 이어서 단계(S250)에서는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가)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 제공 명령 신호가 접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접수되었으면 단계(S255)로 진행하여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소정 회수( 예: 3회까지)) 허용한다. 즉, 오프라인 이벤트 행사가 종료된 이후에 주최측에서 온오프라인 연계 형으로 진행된 이벤트에 대한 기록 보존 콘텐츠를 제공받기를 원할 경우에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온라인상으로 또는 시스템(100)의 관리자에게 직접 전화를 해서 신청 할 수 있고 이때 (보통 다운로드 비용을 송금하면) 신청이 접수되고 이에 따라 시스템(100)에 의해 상기 제공 명령 신호가 발생, 접수되는 것이다.
보통, 주최측에서 이벤트 진행 기록 콘텐츠를 제공 받는 데 필요한 비용을 지불하면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 DB(145)로부터 해당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가 다운로드 되어 CD 또는 DVD에 담겨져 주최측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의 기록 포맷과 다운로드 될 때 제공되는 포맷이 다를 수도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가 MPEG1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고, 다운로드 될 때는 포맷이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에 의해) 예를 들면 MPEG2형식, VTR, DVD에서의 재생에 적합한 형식 중 해당 형식으로 변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계(S240)가 단계(S250)와 단계(S255)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즉 단계(S250)에서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 제공 명령 신호가 접수된 경우에 단계(S240)를 수행한 후 단계(S255)로 진행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단계(S250)에서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 제공 명령 신호가 접수되지 않은 경우 또는 단계(S255)의 진행 후에 단계(S260)에서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 제공 종 료 조건이 성립되는 지 판단하여 성립되면 단계(S26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과정은 단계(S250)로 리턴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 제공 종료 조건이란 사전에 미리 설정된 종료 시각(예: (입력된)오프라인 행사 종료 시점 + 15일)에 도달 되거나 아니면 시스템(100) 관리자에 의한 강제적으로 설정된 종료 시각이 도달된 경우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계(S260)에서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 제공 종료 조건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에 과정은 단계(S220)로 리턴될 수도 있다. 단계(S220)로 리턴시키는 것은 오프라인 이벤트가 종료되었더라도 온라인 이벤트가 종료되기 전까지는 온라인 참여를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S260)에서는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의 제공을 종료하게 되고 이로써 도 2의 기본 과정에 후속되는 도 3의 해당 과정은 종료된다. 한편, 상기 단계(S255)를 통해 다운로드 받은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를 고객이 그 다음에 상기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를 받을 때, 다시 업로드(up load) 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작년의 동창회 모임 때의 기록 보존 콘텐츠를 업로드 시켜서 이를 이용하여 올해의 동창회 모임을 위한 웹 페이지 생성에 활용한 다음, 작년 것과 올해 것을 모두 CD에 담을 수 있도록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기본 전개 과정과 병행하여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에 의해) 진행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의 추가 전개 과정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단계(S215) 이후에 도 2의 기본 전개 과정과 연계되면서 병렬적으로 (시스템(100) 내의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에 의해) 진행될 수 있는 웹 서비스 방법의 추가 전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추가 전개 과정은 (단계(S215) 이후에) 웹 페이지 생성 통지 데이터를 주최측의 지정된 고객 단말 장치, 예를 들면 대표자 고객 단말 장치(예: 도 1, 도 5의 180)로 전송하는 단계(S440)로서 시작된다. 도 1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추가 전개 과정의 단계(S440)에서 전송되는 웹 페이지 생성 통지 데이터(1410)를 예시한다.
그 후, 단계(S450)에서는 도 2의 단계(S220)가 수행되었는지, 즉 이벤트 안내 정보가 방문 예상자 연락처로 전송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전송되었으면 과정이 단계(S455)로 진행하여, 안내 정보(즉, 이벤트 안내 정보) 전송 통지 데이터를 주최측의 지정된 고객 단말 장치(예: 180))로 전송한다. 도 1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추가 전개 과정의 단계(S455)에서 전송되는 안내 정보 전송 통지 데이터(1420)를 예시한다.
이어서, 단계(S460)에서는 방문자 기본 정보의 저장이 시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시작되었으면 과정이 단계(S465)로 진행하여 소정 시간 주기로(예 : 30분 간격)(또는 소정 조건 성립 때마다) 방문자 통지 데이터를 주최측의 지정된 고객 단말 장치(예: 180)로 전송한다. 도 1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추가 전개 과정의 단계(S465)에서 전송되는 방문자 통지 데이터(1430)를 예시한다. 여기서 '소정 조건 성립 때마다'의 예로서는 '소정 수(예: 4명)의 방문자 기본 정보가 저장될 때마다'가 될 수 있다.
그 후, 단계(S470)에서는 방문자 참여 정보의 저장이 시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시작되었으면 과정이 단계(S475)로 진행하여 소정 시간 주기로(예 : 30분 간격)(또는 소정 조건 성립 때마다) 이벤트 참여 통지 데이터를 주최측의 지정된 고객 단말 장치(예: 180)로 전송한다. 도 1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추가 전개 과정의 단계(S475)에서 전송되는 이벤트 참여 통지 데이터(1440)를 예시한다. 여기서 '소정 조건 성립 때마다'의 예로서는 '소정 수(예: 4명)의 방문자 참여 정보가 저장될 때마다'가 될 수 있다. 이로써 도 4의 추가 전개 과정은 종료될 수 있다. 이상의 도 2, 3, 4에 도시된 각 단계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그 진행 순서가 바뀔 수도 있으며 또한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웹 페이지에 올려져 있는 텍스트(본문)와 참조 파일과 같은 콘텐츠를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다양한 방법이 온오프라인 연계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를 통한 웹 페이지의 (온오프라인 연계 형) 출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내지 도 17을 참조로 하는 실시예들은 각각 도 2의 단계(S230)에서의 이벤트 참여 정보의 출력 방법의 예 또는 그것과 연관된 출력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로 한 웹 페이지 출력 방법은 이벤트 관리 종합 관리 서버(150)가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에 올려져 있는 콘텐츠(참조 파일 또는 텍스트 등)를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예: 도 5의 247, 243)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는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가 생성된 조건 하에서 출력 시작 명령을 접수한 경우(단계(S1510))에, 기본 배경 음악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본 배경 음악을 출력하고(단계(S1520)에서 단계(S1530)로 이동한 경우), 그 다음에 대표 참조 파일이 미리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표 참조 파일을 출력하고(단계(S1540)에서 단계(S1550)로 이동한 경우), 대표 참조 파일이 미리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의 화면 출력 영역을 공백으로 처리(단계(S1540)에서 단계(S1560)로 이동한 경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단계(S1550)에서 만약에 참조 파일에 오디오 요소가 포함된 경우(예를 들어, 참조 파일이 동영상인 경우)에는 해당 참조 파일이 출력되는 동안만 배경음악의 볼륨을 줄이거나 오프시킬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가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가 생성된 조건 하에서 이벤트 진행 중에 출력 대상 참조 파일이 있는 지 판단하여(단계(S1610)), 출력 대상 참조 파일이 있으면 해당 참조 파일을 출력하고(단계(S1620)), 텍스트 영역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화면 출력 영역 상에 오버레이(overlay) 처리를 하고(단계(S1640)에서 단계(S1650)로 이동한 경우), 텍스트 영역이 설정되어 있되 출력 대상 텍스트가 있으면 대상 텍스트를 출력하고(단계(S1640)에서 단계(S1660), 단계(S1670)로 이동한 경우), 텍스트 영역이 설정되어 있되 출력 대상 텍스트가 없으면 텍스트 출력 영역을 공백으로 처리(단계(S1640)에서 단계(S1660), 단계(S1680)로 이동한 경우)할 수 있다. 단계(S1610)에서 출력 대상 참조 파일이 없다고 판단되면, 단계(S1630)로 진행하여 미리 지정된 참조 파일을 출 력하거나 또는 공백으로 처리한 다음 텍스트 영역이 설정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640)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테스트 영역이 설정되어 있더라도 해당 본문(메시지)을 오버레이 시키고, 텍스트 출력 영역에는 뉴스나 기타 지정된 것을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본문을 텍스트 영역에 출력하고 다른 내용물(주로 텍스트)을 화면 출력 영역에 오버레이 시키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가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가 생성된 조건 하에서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에 올려져 있는 콘텐츠(참조 파일 및/또는 텍스트)를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150)는 미리 준비된 출력 대상 콘텐츠를 확인(단계(S1710))한 다음에 자동 출력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미리 지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 대상 콘텐츠를 출력하고(단계(S1720)에서 단계(S1730)로 이동한 경우), 자동 출력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미리 지정되어 있던 우선순위에 대한 변경 명령이 있는지 판단하여 변경 명령이 있으면 미리 지정된 우선순위를 상기 변경 명령에 따라 변경하여 그 변경된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 대상 콘텐츠를 출력(단계(S1720)에서 단계(S1740), 단계(S1750), 단계(S1760)로 이동한 경우)하도록 (출력 단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미리 지정된 우선순위는 '방송 편성표'로서 구체화될 수 있는 데, 일반적으로 방송 편성표란 출력 대상물의 순서와 조건(출력 지정 영역, 출력 시간 등)을 미리 규정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런 의미에서 여기서의 방송 편성표란 통상의 TV의 방송 편성표와 유사하다. 그러나, 콘텐츠의 구성요소 면에 서 통상의 TV에서 적용되는 방송 편성표와 차이점이 있다. TV 방송용 콘텐츠에서는 일반적으로 비디오, 오디오 두 가지가 주된 구성 요소가 되고, 텍스트(자막)는 해당 콘텐츠의 앞/뒤에 붙어서 저작자나 제작자 등과 관계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될 뿐이고 대부분의 텍스트(자막)는 해당 콘텐츠와는 별개로 방송 중의 긴급한 공지 등에 사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방송 편성표에서는 기존의 웹상에서 구현되고 있는 블로그, 게시판, 자료실 등에 등록된 자료를 많이 활용하기 때문에 텍스트 부분이 콘텐츠의 중요 구성요소가 된다.
방송 편성표에서의 출력 우선순위는 예를 들면, 등록된 콘텐츠(예: 게시판에 등록한 방문자의 참여 정보로서의 메시지, 음악 파일, 사진, 동영상 등)의 등록 시간의 역순, 즉 최근에 등록된 것부터 우선하여 출력하도록 편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혼식장의 방문자(축하객)가 등록한 콘텐츠 중 최근 30분 내에 등록된 것이 4개 있다면 최근 것부터 순서대로 지정된 시간만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1740, S1750, S1760))의 경로를 겪는 경우의 예로서는, 상기 4개의 출력 기간 중에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에 신규 콘텐츠가 등록된 경우에는 화면 출력 영역은 그대로 진행하되, 테스트 출력 영역에 대해서는 신규 등록된 콘텐츠의 메시지 내용만을 텍스트 영역에 소정 지정 기간 동안 우선적으로 출력한 후 다시 상기 4개의 해당 텍스트 출력을 방송 편성표에 따라 계속하도록 하는 경우이다. 당업자라면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방송 편성표를 작성할 수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이벤트 행사 현장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결혼식장에 설치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메인 화면과, 일종의 텍스트 출력 영역으로 볼 수 있는 축하 메시지나 축하 금품 접수 현황을 소정 방송 편성 규칙에 따라 출력하는 (예: 문자 스크롤) 창이 메인 화면 밑에 예시되어 있다. 또 고정 또는 이동 카메라로 촬영한 또다른 사진 출력창(도 18의 왼쪽 맨위)도 있을 수 있고, 접수된 휴대폰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는 창, 온오프라인 방문자 리스트를 보여주는 창도 있을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그 페이지의 관리 메뉴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이상에서 설명한 이벤트 관리를 위한 웹 페이지, 예를 들면 블로그의 종합 관리 메뉴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앞서 본문에서 설명한 다양한 메뉴들이 예시되는 데, 블로그 설정은 타이틀 변경이나 블로그 주소 변경 등을 관리하기 위한 메뉴이고, 부운영자 관리는 복수의 운영자를 관리하기 위한 메뉴이다. 전체 발송 기록 관리는 이벤트 안내 정보가 발송된 상황, 발송 메시지의 수신 여부 표시 등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기타, 접수되고 정산된 축의금 금액이나 내역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축의금 정산 관리 메뉴가 있을 수 있고, 비용(회계) 처리 관리 메뉴와 운영자의 홍보나 업무에 참조 파일 첨부를 관리하는 메뉴(도 19에서는 파워포인트 파일 첨부 관리 메뉴)도 포함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상기 설명과 도 18, 19를 참조로 다양한 오프라인 행사장에서의 출력 화면 구성 및 블로그 관리 메뉴 구성을 구현할 수 있는 바,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주변 장치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의 구현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도면이다. 도 20에서 도면 부호 510, 530, 550의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오프라인 행사장(5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오프라인 행사장을 나타낸다. 또한 도 20에서 도 5에 도시된 도면 부호와 동일한 것은 도 5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장치나 기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프라인 행사가 한 곳이 아니라 여러 곳에서 동시에 또는 시차를 두고 개최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510이 서울에 있는 행사장이고 530이 각각 대구와 부산에 있는 행사장을 나타낸다고 하면, 이들 행사장에 있는 입력 및/또는 출력 제어 장치들(예: 200, 205, 305, 320)(550 내 제어 장치는 도시 생략됨)이 모두 하나의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100)과 인터넷망(175)을 통해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서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가 진행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서울 연회장(510), 대구 연회장(530), 부산 연회장(550)에서 동시에 동창회가 열리는 경우, 참가자들은 상기 세 곳의 연회장에 온 사람들과 인터넷을 통한 원격 온라인 참가자들이 된다. 이 때, 서울 행사장에 있는 동창회장이 (시스템(100)에 의한 도 2의 단계(S220)에서의 이벤트 안내 정보 전송에 의해) 핸드폰(또는 이메일) 메시지로서 동창회의 시작을 알리고, 각 행사장이나 온라인으로 참가한 참가자들이 축하 메시지 등을 통해 방문자 참여 정보를 입력하면 이것을 시스템(100)이 받아서 이벤트 참여 정보로서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도 18의 예와 같이 각 행사장의 대형 화면(즉, 디스플레이 기기 스크린)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대형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에 각 연회장에 있는 영상 취득부, 즉 카메라(263, 363)에 의해 촬영된 사진 및 해당 블로그 페이지에 올라온 사진들을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편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대구 참가자가 문자 메시지를 시스템(100)으로 (자기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고유 번호도 함께) 전송해서 방송 출연 신청을 하면, 시스템(100)에 의해 그 신청 내용이 시스템 운영자나 관리자의 단말기에 음성 통지 또는 백유알엘(BackURL)이 포함된 문자 통지로서 전달되고 운영자나 관리자가 이에 대한 승인 신호를 시스템(100)에 보내서 승인이 확정되면 결국 시스템(100)에 의해 해당 카메라의 내용이 모든 온오프라인 출력 화면에 방송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이하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프라인 이벤트 행사장 참여 및 온라인 사이트 참여를 상호 연계시켜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이벤트 종류에 맞는 웹 페이지를 적응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벤트의 온라인 사이트 참여자(방문자)와 (오프라인 이벤트) 행사장 참여자(방문자) 사이의 효과적인 정보 및 분위기 공유를 도모할 수 있으며, 방문자 상호간에 방문자 기본 정보와 방문자 참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벤트 주최 측이 이벤트 진행 및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6)

  1. 고객 단말 장치,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구현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한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신청을 접수하는 단계와;
    (b) 상기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신청에 응답하여 이벤트 종류 선택 안내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와;
    (c) 상기 이벤트 종류 선택 안내 메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선택된 '이벤트 종류 데이터', 상기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입력된 것으로서 확정되는 '이벤트 제목 데이터', 및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의 URL 주소와 상기 URL 주소로의 자동 접속에 활용할 수 있는 특정 전화 번호나 단축키 번호,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의 고유 ID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벤트 ID 데이터'를 갖는 이벤트 기초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단계와;
    (d) 상기 이벤트 기초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준비된 해당 웹 페이지 생성 시나리오에 따라 해당 이벤트의 관리를 위한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e) 상기 이벤트 제목 데이터와 상기 이벤트 ID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벤트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사전에 입력된 방문 예상자 연락처로 전송하는 단계와;
    (f)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입력된 '방문자 기본 정보'를 확보하여 저장하되, 상기 방문자 기본 정보에는 방문자 이름, 방문자 연락처, 방문자의 직장명/직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방문자 기본 정보 저장 단계와;
    (g) 상기 방문자 기본 정보와 방문자 참여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이벤트 참여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를 통해 출력하되, 상기 방문자 참여 정보는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입력된 것으로서 이벤트 관련 입력 메시지 데이터, 현금이나 채권, 상품권 제공 내역 데이터, 물품/서비스 제공 내역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 장치에는 상기 행사장 내에 설치된 행사장 입력 단말 장치가 포함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 예상자 연락처는 상기 이벤트 방문 예상자 각각의 유선 전화 번호,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 인터넷 이메일 주소, 팩스 번호 중의 어느 하나인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기초 정보에는 오프라인 이벤트의 장소 및 일시, 주최자나 주최측 대표자의 성명 및 연락처, 발신자 성명 및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구비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가 상기 이벤트 ID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것이며,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에는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의 접속에 활용되는 백유알엘(Back-URL) 접속용 메뉴가 구비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가 안내 이메일 형태로 전송되는 것으로서 상기 안내 이메일에는 '답글 작성 및 전송' 메뉴가 구비되어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를 열람한 고객이 자신의 단말 장치(즉,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답글을 입력하면 상기 답글이 이벤트 참여 정보로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되어 처리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가 상기 이벤트 제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것으로서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에는 소정 휴대폰 번호가 구비되어,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를 열람한 고객이 자신의 단말 장치(즉,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상기 소정 휴대폰 번호를 수신처로 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문자 메시지가 이벤트 참여 정보로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되어 처리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웹 브라우저를 통한 온라인상의 출력 및 상기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오프라인 이벤트 장소'(행사장)에 설치된 출력 단말 장치에서의 웹 브라우저 또는 별도의 전용 출력 프로그램을 이용한 출력으로서 이뤄지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h1) 오프라인 이벤트 진행 종료 후에 방문자 연락처로 소정 감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h2) 오프라인 이벤트 진행에 관한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i1) 상기 이벤트 관리를 위한 해당 웹 페이지가 생성된 이후에 웹 페이지 생성 통지 데이터를 주최측의 지정된 고객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i2)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가 상기 방문 예상자 연락처로 전송된 이후에 안내 정보 전송 통지 데이터를 상기 주최측의 지정된 고객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의 전송은 HTML 문서 형식의 이메일, 'SMS', '음악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ARS나 TTS 기능을 이용한 자동 전화 음성 통지' 서비스 중의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서 수행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h3) 상기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에 대한 제공 명령 신호가 접수되었는지 판단하여, 접수되었으면 상기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허용하는 단계와;
    (h4) 미리 정해진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의 제공 종료 조건이 성립되는지 판단하여 성립되면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의 제공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i3) 상기 방문자 기본 정보의 저장이 시작되었는지 판단하여 시작되었으면 소정 시간 주기로(또는 소정 조건 성립 때마다) 방문자 통지 데이터를 상기 주최측의 지정된 고객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i4) 상기 방문자 참여 정보의 저장이 시작되었는지 판단하여 시작되었으면 소정 시간 주기로(또는 소정 조건 성립 때마다) 이벤트 참여 통지 데이터를 상기 주최측의 지정된 고객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15. 고객 단말 장치와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와 송수신부를 거쳐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주최측의 신원 확인을 위한 '신원 확인 데이터'를 구비하는 주최측 정보를 저장하는 주최측 정보 DB와;
    이벤트 종류별로 그 관리를 위한 서비스에 적합한 표준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미리 준비된 생성 시나리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벤트 종류별 웹 페이지 생성 시나리오 DB와;
    선택된 이벤트 종류 데이터와 이벤트 제목 데이터와 이벤트 ID 데이터를 구비하는 이벤트 기초 정보를 저장하는 이벤트 기초 정보 DB와;
    방문 예상자의 연락처 데이터를 갖는 '방문 예상자 기초 데이터'와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입력된 방문자의 성명, 연락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방문자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방문 예상자 및 방문자 정보 DB와;
    상기 방문자 기본 정보와 상기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입력된 방문자 참여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생성된 이벤트 참여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방문자 참여 정보가 이벤트 관련 입력 메시지 데이터, 현금이나 채권, 상품권 제공 내역 데이터, 물품/서비스 제공 내역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이벤트 참여 정보 DB와;
    고객이 고객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거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웹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각 DB에 액세스하여 필요한 정보를 검 색하거나 입력하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웹 서버와;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신청을 접수하며 이벤트 종류 선택 안내 메뉴를 제공하고, 선택된 이벤트 종류 데이터와 이벤트 제목 데이터와 이벤트 ID 데이터를 갖는 이벤트 기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이벤트 기초 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 기초 정보에 기반 하여 해당 웹 페이지 생성 시나리오에 따라 해당 이벤트의 관리를 위한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방문 예상자 기초 데이터를 상기 방문 예상자 및 방문자 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 제목 데이터와 상기 이벤트 ID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벤트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방문 예상자 연락처로 전송하고, 입력된 방문자 기본 정보를 상기 방문 예상자 및 방문자 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방문자 기본 정보와 입력된 방문자 참여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이벤트 참여 정보를 생성하여 이벤트 참여 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벤트 관리 종합 서버를 포함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관리 종합 서버가 상기 이벤트 관리를 위한 해당 웹 페이지가 생성된 이후에 웹 페이지 생성 통지 데이터를 주최측의 지정된 고객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이벤트 안내 정보가 상기 방문 예상자 연락처로 전송된 이후에 안내 정보 전송 통지 데이터를 상기 주최측의 지정된 고객 단말 장치로 전송하며, 상 기 방문자 기본 정보의 저장이 시작되었는지 판단하여 시작되었으면 소정 시간 주기로(또는 소정 조건 성립 때마다) 방문자 통지 데이터를 상기 주최측의 지정된 고객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방문자 참여 정보의 저장이 시작되었는지 판단하여 시작되었으면 소정 시간 주기로(또는 소정 조건 성립 때마다) 이벤트 참여 통지 데이터를 상기 주최측의 지정된 고객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 D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가 오프라인 이벤트 진행 종료 후에 상기 방문자 연락처로 소정 감사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 DB에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에 대한 제공 명령 신호가 접수되었는지 판단하여 접수되었으면 상기 이벤트 기록 보존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허용하고, 미리 정해진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의 제공 종료 조건이 성립되는지 판단하여 성립되면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의 제공을 종료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관리 종합 서버가 인터넷을 통해 행사장 입력 제어 장치 및 행 사장 출력 제어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이벤트 관리 종합 서버가 상기 행사장 입력 단말 장치와 상기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를 각각 상기 행사장 입력 제어 장치와 상기 행사장 출력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금융 거래 관련 정보 DB를 더 포함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금융 기관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가, 상기 방문자가 금융 기관 서버에 접속하여 이벤트 참가비나 후원금(기부금)등으로 현금이나 채권, 상품권을 납부하거나 또는 상기 이벤트 주최측에서 이벤트와 관련된 소정 물품이나 서비스를 상기 방문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방문자가 그에 대한 구매나 이용의 대가로서 결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물품/서비스 관련 정보 DB를 더 포함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물품/서비스 공급 업체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가, 방문자가 이벤트 주최측에 오프라인 현장에서 직접 전달하거나 또는 이벤트 관련 물품 공급 업체에 주문하여 주최측에 배송함으로써 주최측에 물품/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가,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가 생성된 조건 하에서 상기 고객 단말 장치를 통해 미리 입력된 기존 블로그 주소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기존 블로그와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 사이의 통신로를 확보하고, 상기 해당 기존 블로그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와 참조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 내의 해당 DB에 저장하며,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방문자 기본 정보와 방문자 참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해당 기존 블로그의 DB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와 상기 해당 기존 블로그 사이의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상기 행사장 입력 제어 장치 정보와 상기 행사장 출력 제어 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웹 연계 행사장 입력/출력 제어 장치 정보 D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가 상기 행사장 입력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 오프라인 이벤트 장소 있는 상기 행사장 입력 제어 장치와 연결된 상기 행사장 입력 단말 장치를 통해 각종 데이터나 정보의 입력을 제어하고 입력이 이뤄지는 상황을 파악하며 또한 소정 오프라인 이벤트 장소에 있는 상기 행사장 출력 제어 장치와 연결된 상기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를 통해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행사장 입력 단말 장치에는 명함 자동 인식기, 바코드 스캐너, 디지털 방명록 입력기, 키보드 입력기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가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에 올려져 있는 참조 파일 또는 텍스트를 상기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가 빔프로젝터, LCD, PDP, 프로젝션 TV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이벤트 관리 종합 서버가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가 생성된 조건 하에서 출력 시작 명령을 접수한 경우에, 기본 배경 음악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본 배경 음악을 출력하고, 대표 참조 파일이 미리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대표 참조 파일을 출력하고, 대표 참조 파일이 미리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출력 단말 장치의 화면 출력 영역을 공백으로 처리하는 제어 기능을 더 수행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가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에 올려져 있는 참조 파일 또는 텍스트를 상기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가 빔프로젝터, LCD, PDP, 프로젝션 TV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가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가 생성된 조건 하에서 출력 대상 참조 파일이 있는지 판단하여 있으면 해당 참조 파일을 출력하고 텍스트 영역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화면 출력 영역 상에 오버레이 처리를 하고, 텍스트 영역이 설정되어 있되 출력 대상 텍스트가 있으면 대상 텍스트를 출력하고 텍스트 영역이 설정되어 있되 출력 대상 텍스트가 없으면 텍스트 출력 영역을 공백으로 처리하는 제어 기능을 더 수행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가 상기 이벤트 관리 웹 페이지에 올려져 있는 콘텐츠를 상기 행사장 출력 단말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종합 관리 서버가 미리 준비된 출력 대상 콘텐츠를 확인한 다음에 자동 출력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미리 지정된 우선순위로 상기 출력 대상 콘텐츠를 출력하고, 자동 출력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미리 지정되어 있던 우선순위에 대한 변경 명령이 있는지 판단하여 있으면 미리 지정된 우선순위를 상기 변경 명령에 따라 변 경하여 그 변경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출력 대상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시스템.
KR1020050065971A 2004-08-13 2005-07-20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810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63913 2004-08-13
KR1020040063913 2004-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956A KR20060053956A (ko) 2006-05-22
KR100810647B1 true KR100810647B1 (ko) 2008-03-06

Family

ID=3715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971A KR100810647B1 (ko) 2004-08-13 2005-07-20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6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8269A1 (ko) * 2009-12-05 2011-06-09 Yang Joon Cheol 오프라인 이벤트를 위한 온라인 웹 서버 및 그 제공방법
KR101666970B1 (ko) 2015-09-15 2016-10-17 주식회사 칸마루 홍보이벤트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7430A1 (en) * 2006-12-18 2008-06-19 Hawthorne John D Virtual Event Attendance Systems
WO2010036260A1 (en) * 2008-09-26 2010-04-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recting an attendee of a collaboration event to an endpoint
US9130763B2 (en) * 2011-06-20 2015-09-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sharing of event content by linking devices
KR101722730B1 (ko) * 2016-08-25 2017-04-03 이창진 룩북용 웹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KR102046865B1 (ko) * 2018-02-01 2019-11-20 주식회사 경조사 실시간 양방향 온라인 조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051A (ko) * 2000-06-07 2001-06-05 김동승 인터넷상에서의 토탈 웨딩서비스 방법
KR20010076082A (ko) * 2000-01-25 2001-08-11 최정일 인터넷을 이용한 예식 화상 전송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082A (ko) * 2000-01-25 2001-08-11 최정일 인터넷을 이용한 예식 화상 전송방법
KR20010044051A (ko) * 2000-06-07 2001-06-05 김동승 인터넷상에서의 토탈 웨딩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8269A1 (ko) * 2009-12-05 2011-06-09 Yang Joon Cheol 오프라인 이벤트를 위한 온라인 웹 서버 및 그 제공방법
KR101666970B1 (ko) 2015-09-15 2016-10-17 주식회사 칸마루 홍보이벤트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956A (ko)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29280B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eremonial occasion services
US7392296B2 (en) Method and computer software program for sharing images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among a plurality of users in accordance with a criteria
EP1377008B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images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multiple users
US77253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ling goods and/or services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multiple users
US83070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up a system for sharing images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multiple users
KR100810647B1 (ko) 온오프라인 연계 형 이벤트 관리 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090271247A1 (en) System for creating a social-networking online community
US20110282942A1 (en) Social networking system and method for an online stationery or greeting card service
CN103891250B (zh) 经由网络对数字内容进行未来递送的方法、系统和设备
CA27995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online memories and greeting service
US200302368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images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among a plurality of users
TW201036444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over a network
US201603582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he creation, ordering, processing and delivery of personalized bereavement packages
US20080022210A1 (en) Wedding Ceremony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20030101102A1 (en) Prepayment and profit distribution system for unrealized goods on internet
KR100860121B1 (ko) 예식의 인터넷 실시간 자동중계 및 포탈 서비스 시스템과그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기록매체
JP2001338208A (ja) インターネットを用いた結婚式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1256319A (ja) 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冠婚葬祭支援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363233B1 (ko) 고객 상담 관리를 위한 공인중개사용 모바일 단말
JP6046339B2 (ja) 葬祭メディア提供システム並びにその方法
KR20230091346A (ko) 행사진행상황 중계 서비스 시스템
JP2002109091A (ja) 電子参列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02318866A (ja) ライブ情報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2073846A (ja) 催事総合サポートシステム
JP2003150696A (ja) イベント対応アーティスト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