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564B1 - 스마트 안테나 처리를 가진 무선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의 협동적 폴링 - Google Patents

스마트 안테나 처리를 가진 무선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의 협동적 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564B1
KR100809564B1 KR1020037004465A KR20037004465A KR100809564B1 KR 100809564 B1 KR100809564 B1 KR 100809564B1 KR 1020037004465 A KR1020037004465 A KR 1020037004465A KR 20037004465 A KR20037004465 A KR 20037004465A KR 100809564 B1 KR100809564 B1 KR 100809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link
uplink
base station
channel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6847A (ko
Inventor
유세프미르마이클
트로트미첼디.
로가드로저
Original Assignee
어레이컴,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레이컴, 엘엘씨 filed Critical 어레이컴,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30036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04W74/06Scheduled access using p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통신 방법은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갖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제1 폴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제1 폴을 성공적으로 수신함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1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가른 원격 사용자 단말기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폴을 성공적으로 수신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제1 기지국이 제1 또는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도중에 수신할 수 있는 제1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원격 통신 장치에 간섭 완화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한다.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은 제1 및 다른 수신된 업링크 응답 신호를 이용한다. 제1 기지국은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를 가진 제1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제2 기지국은 제1 프로토콜과 협동하는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1 기지국이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도중에 수신할 수 있는 제1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제1 및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 기지국, 사용자 단말기, 폴, 응답 신호, 업링크 , 다운링크, 프로토콜

Description

스마트 안테나 처리를 가진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의 협동적 폴링 {COOPERATIVE POLLING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SMART ANTENNA PROCESSING}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각각 양도된 동일 출원인이 제출한 다음 세 개의 미합중국 특허출원에 관한 것으로서, 이들 내용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연계시켰다.
(1) 참조번호 제015685.P031호; 유세프미르 등에 의해 출원된 발명의 명칭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구비한 기지국을 가진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 전송"
(2) 참조번호 제015685.P027호; 발명자 바레트 등에 의해 출원된 발명의 명칭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가진 무선 데이터 기지국으로부터의 비지향성 전송"
(3) 참조번호 제015685.P026호; 발명자 트로트에 의해 출원된 발명의 명칭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가진 무선 데이터 기지국으로부터의 반복 무선 호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특히 변하는 환경에서의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 송신기/수신기(트랜시버)와 복수의 원격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의 셀 방식 통신 또는 유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신 링크의 신호대 잡음비를 증가시키고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과 같은 지향성 안테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멀티패스 및 패이딩에 저항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은 안테나 소자 어레이 및 신호대 잡음비를 증가 및/또는 간섭을 완화시키도록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기구를 포함한다.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은 여러 개의 고정 빔을 형성하는 빔포머 및 하나 이상의 빔을 연계시키는 기구를 포함하는 "스위치드 빔(switched beam)"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은 특정의 수신 및 송신 상황에 대한 처리 방식에 따라 적합할 수 있는 무한 변수 안테나 방사 패턴을 달성할 수 있는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 결정 기구를 포함하는 적응성 안테나 어레이 시스템일 수 있다.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은 업링크(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 또는 다운링크(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로) 통신에 사용되거나, 또는 위상 양자 모두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은 또한 공간 분할 다원 접속(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할 수 있다. SDMA를 통하여,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는, 공동 채널 사용자 단말기가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경우, 동일한 "기존" 채널, 즉 동일한 주파수 및 시간 채널(FDMA 및 TDMA 시스템) 또는 코드 채널(CDMA 시스템) 상에서 기기국과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안테나 시 스템은 동일한 기존 채널 내에 하나 이상의 "공간 채널"을 제공한다.
전송 RF 및 간섭 환경이 셀 방식 시스템에서는 비교적 신속하게 변할 수 있다. 패킷 방식 시스템에서, 이들 환경은 연속 패킷 전송 사이에서 현저하게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 및 하나 이상의 원격 사용자 단말기를 갖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셀 방식 시스템을 생각해 보자. 신속하게 변하는 환경에서, 전송 시간과 거의 같은 시간 간격 중에 이동 통신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신호에 적응되도록 적절한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적응에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기지국까지 무선 신호를 사용하고,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은 상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결정된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신속하게 변하는 RF 및 간섭 환경에 적응이 필요하다.
폴링(Polling)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를 각각 갖는 여러 개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셀 방식 시스템을 생각해 보자. 당해 기술 분야에서는 동일 채널 내이지만 다른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공동 채널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간섭을 완화시키도록 특정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간섭 완화는 특정 기지국에서, 간섭하는 공동 채널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이 간섭 신호로부터 원하는 신호를 구별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특정의 기지국은 업링크 상에서 다른 기지국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간섭을 완화시킬 수 없거나, 또는 다운 링크 상에서 다른 기지국의 사용자 단말기를 향하 여 간섭을 완화시킬 수 없다. 특정의 기지국은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적절한 무선 주파수 링크를 갖지 못하거나 또는 다른 기지국의 사용자 단말기를 폴링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갖지 못할 수도 있다.
통신 개시
원격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개시할 때, 원격 사용자 단말기는 시스템이 로그오프 상태이거나 또는 통신이 단절되었거나 또는 비교적 최근의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 위치되어 있거나, 또는 실질적인 침묵 시간으로 비교적 저속으로 통신되는 "아이들(idle)" 상태일 수 있다.
아이들 상태인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서 통신을 개시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곤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는, 예를 들면, 이동하기 때문에 알지 못할 수 있다. 또한, 간섭 패턴은 신속하게 변할 수 있으므로, 위치를 알 수 있는 경우에도, 기지국에서 개시(예를 들면, 무선 호출) 메시지의 성공적인 수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상당한 간섭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호출용 채널을 다른 기지국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많이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간섭을 무시할 수 없다.
동일 기지국의 다른 원격 단말기에 의하여 상이한 공간 채널 상에서 많이 사용될 수 있는 기존 채널 상의 사용자 단말기를 무선 호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종종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간섭도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사용자 단말기를 무선 호출하는 무선 호출 메시지는, 공지되지 않고 신속하게 변하는 간섭이 있는 환경으로 위치가 변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가 자신과 연 계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호출(및 다른 제어 신호)을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송신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상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가진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기 전에 제1 폴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제1 기지국은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제1 폴을 성공적으로 수신함에 따라 제1 업링크 응답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 제1 기지국은 적어도 다른 하나의 원격 사용자 단말기가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폴을 수신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하나 이상의 다른 원격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또한 수신한다. 제1 기지국은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하여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고, 제1 기지국이 제1 또는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한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원격 통신 장치로의 간섭 및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도중에 수신될 수 있는 간섭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은 제1 및 다른 수신된 업링크 응답 신호를 사용한다. 제1 기지국은 자신과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에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제2 기지국은 제1 기지국이 제2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도중에 수신될 수 있는 제1 및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1 프로토콜과 협동하는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갖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다운링크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1 기지국을 위한 제1 세트의 순차 시간 간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시간 간격 각각은 선택된 개수의 다운링크 채널 및 각각의 상기 다운링크 채널마다 업링크 상에 연계된 채널을 갖는다. 연계된 업링크 채널은 제1 기지국이 연계된 업링트 채널과 연계된 다운링크 채널 상의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수신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제1 다운링크 폴링을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세트의 제1 시간 간격의 제1 다운링크 채널 상의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제1 다운링크 폴링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세트의 제1 다운링크 채널과 연계된 연계 업링크 채널 상의 제1 기지국에서 제1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제2 기지국마다 제공된 제2 세트의 순차 시간 간격의 다운링크 채널과 연계된 제2 연계 업링크 채널 상의 제1 기지국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세트의 시간 간격 각각은 선택된 개수의 다운링크 채널, 및 각각의 다운링크 채널마다 업링크 상의 연계된 채널을 갖고, 제2 세트의 순차 시간 간격 각각은 제1 세트의 순차 시간 간격과 협동한다.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는 제2 세트의 순차 시간 간격의 시간 간격의 제2 다운링크 채널 상의 제2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원격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다. 상기 방법은 수신된 제1 및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하여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정된 다운링크법은 다른 원격 통신 장치를 향한 간섭 완화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1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한 연계된 업링크 채널과 연계된 제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 상에 상기 결정된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법을 이용하여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및 제2 세트의 연계된 업링크 채널은 제1 기지국이 제1 기지국에서 수신된 제1 및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를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로부터 구별할 수 있도록 협동한다.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기지국은 셀 방식 기지국(cellular base station)을 포함한다.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이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사용하는 기지국의 두 가지 실시예의 도면으로서, 도 2(A)는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이 적응성 안테나 어레이 시스템이며 베이스밴드로 적응되는 한 가지 구성의 도면이고, 도 2(B)는 빔포밍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스위치드 빔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구비한 다른 기지국의 도면이다.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는 본 발명의 하프 듀플렉스 실시예에 따른 신호 타이밍 배열의 도면이다.
도 4(A), 도 4(B), 및 도4(C)는 본 발명의 풀 듀플렉스 실시예에 따른 신호 타이밍 배열의 도면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타이밍 배열의 도면이다.
셀 방식 시스템 및 스마트 안테나 기지국
도 1은 적어도 두 개의 기지국, 즉 제1 기지국(102)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111)을 갖는 셀 방식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일반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제1 기지국(102)은 안테나 소자(104) 어레이를 갖는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한다.
시스템(100)은 제1 기지국(102)과 2 방향 패킷 통신을 위한 복수의 원격, 가능하게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105, 106, 107, 108), 및 제2 기지국(111)과 같은 다른 기지국과 2 방향 패킷 통신을 위한 복수의 원격, 가능하게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109, 110)를 또한 포함한다. 제1 기지국(102)은 사용자 단말기(105, 106, 107, 108)와 연계되는 한편, 제2 기지국(111)은 사용자 단말기(109, 110)와 연계된다.
제1 기지국(102)은 데이터 및/또는 음성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에 연계된다. 하나 이상의 제2 기지국(111) 또한 동일 네트워크에 연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기지국 및 다른 기지국(111)은 인터넷에 연계된다.
도 2(A)는 제1 기지국(102)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기지국은 적응성 안테나 어레이 시스템인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203)을 포함한다.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203)은 안테나 소자 어레이(104),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안테나 소자 어레이(104)마다 하나의 송신기 및 하나의 수신기가 구비된 송신기/수신기("트랜시 버") 세트(206)로 구현된 송신기 세트 및 수신기 세트,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를 실행하는 공간 처리기(208)를 갖는다.
업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는 개별 안테나 소자로부터 트랜시버 세트를 거쳐 수신된 신호를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는 개별 안테나 소자로부터 트랜시버 세트를 거쳐 전송하기 위한 신호의 다중 버전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어용 컴퓨터(210)가 스마트 안테나 처리를 제어한다. 공간 처리기(208) 및 제어용 컴퓨터(210)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를 포함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및 제어를 달성하는 임의의 다른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업링크 상에서, 스마트 안테나 처리는 제어용 컴퓨터(210)의 제어 하에, 수신된 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수신된 신호가 바람직하게 연계되도록 업링크 가중치 파라미터 세트에 따라 가중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상기 연계를 업링크 공간 처리 및 업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라고 한다. 업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은, 이 경우, 업링크 가중치 파라미터에 의하여 정해진다. 상기 연계 단계는 시간 등화를 위한 일시 필터링 단계를 더 포함하고, 공간 처리와 연계되었을 때는 상기 연계 단계를 업링크 공간-일시 처리 또는 업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라고 한다. 공간-일시 처리는 각각의 안테나 소자에 발생되는 신호에 대한 일시 처리 매개변수를 포함하는 업링크 가중치 파라미터에 의하여 정해진 업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에 따라 실행된다. 간략하게 하기 위하여, 업링크 공간 처리 및 업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라는 용어는 여기에서는 업링크 공간-일시 처리 또는 업링크 공간 처리를 의미한다.
업링크 처리 방식은 일반적으로 기지국(102)의 안테나 소자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결정되고,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운링크법 또한 안테나 소자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102)은 다운링크 채널 상의 다운링크 신호를 연계된 원격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안테나 소자에 연계된 다운링크 전송 장치, 원격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안테나 소자에 연계된 업링크 수신 장치, 및 다운링크 전송 장치에 연계되며 또한 업링크 수신 장치에도 연계되는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장치는 업링크 응답 신호에 따라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 소자(104) 및 제1 기지국(102)은 각각 전송 및 수신 양자 모두에 사용되는 한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안테나 소자는 수신 및 전송용으로 별개의 안테나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사용자 단말기(105, 106, 107, 108)는 일반적으로 안테나 시스템 및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인터넷 또는 다른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음성 통신 및/또는 데이터 통신과 같은 각종 유형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입력 및/또는 출력 장치 및/또는 처리 장치에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휴대용이거나 고정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안테나 시스템은 하나의 안테나를 가질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여 수신 및 전송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안테나 시스템은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는 랩톱 컴퓨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2 방향 페이저, 개인 휴대 통신 단말기(PDA), 비디오 모니터, 오디오 플레이어, 휴대폰, 또는 음성 또는 데이터를 기지국과 같은 다른 통신 장치 또는 통신국으로 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다른 장치가 연계되거나 또는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원격 송신기(105, 106, 107, 108) 중 하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때, 적응성 공간 처리기(208)는 각각의 안테나 소자 어레이(104)에 수신된 신호의 진폭 및 위상에 응답하고, 존재할 수 있는 멀티패스 상태의 보정 및 간섭 경감 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기지국까지 신호 링크를 바람직하게 향상시키는 지향성 수신 패턴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도록 신호를 연계시키는 업링크 공간 처리를 실행한다.
가중치 파라미터에 의하여 정해진 업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각종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지된 부호 연습 시퀀스는 업링크 신호에 포함된다. 일 실시예는 방식 결정용 최소 제곱법을 사용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블라인드"법이 사용되며 이 방법에 따라 업링크 신호가, 예를 들면, 불변 계수 또는 특정 계수 포맷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하나 이상의 속성을 갖는 기준 신호가 구성된다. 공지된 신호 또는 구성된 기준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오차 신호를 형성하고, 업링크 스마트 안테나 방식 결정 단계가 오차에 따라 일부 기준을 최적으로 하는 업링크 매개변수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는 공간 분할 다원 접속("SDMA")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SDMA로 인하여, 제1 기지국(102)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는, 공동 채널 원격 사용자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한, 동일한 "기존" 채널, 즉 동일 주파수 및 시간 채널(FDMA 및 TDMA 시스템) 또는 코드 채널(CDMA 시스템) 상의 업링크 상에서 제1 기지국(102)과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은 동일한 기존 채널 내에 하나 이상의 "공간 채널"을 제공하고, 적응성 공간 처리기(208)는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기존 채널을 공유하는 제1 기지국(102)과 연계된 원격 단말기로부터 간섭을 경감시키도록 업링크 공간 처리를 실행한다.
제1 기지국(102)은 존재할 수 있는 멀티패스 상태의 보정 및 간섭 경감 단계를 포함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까지 신호 링크를 바람직하게 향상시키는 지향성 수신 패턴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나 이상의 원격 장치(105, 106, 107, 108)에 신호를 송신하는데 또한 사용된다. SDMA 또한 다운링크 방향으로 가능하며, 기지국은 동일한 기존 채널 상의 하나 이상의 자신과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즉, 동일한 기존 채널은 하나 이상의 공간 채널을 가질 수 있다.
다운링크 상에서, 공간 처리기(208)는, 제어용 컴퓨터(210)의 제어 하에, 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다운링크 가중치 파라미터 세트에 따라 가중시킴으로써 원격 단말기에 송신될 각종 버전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처리를 일반적으로 다운링크 공간 처리 또는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라고 한다.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는, 이 경우, 다운링크 가중치 파라미터에 의하여 정해진다. 상기 처리는 시간 등화를 위한 일시 필터링을 더 포함하고, 가중치와 연계될 때, 상기 스마트 안테나 처리를 다운링크 공간-일시 처리라고 한다. 다운링크 공간-일시 처리는 각각의 안테나 소자에 의하여 송신될 신호에 대한 일시 처리 매개변수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가중치 파라미터 세트에 의하여 정해진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에 따라 실행된다. 간략하게 하기 위하여, 다운링크 공간 처리 및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라는 용어는 여기에서는 다운링크 공간-일시 처리 및 다운링크 공간 처리를 의미한다.
이 경우 다운링크 가중치 파라미터에 의하여 정해진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파워를 결정하는 각종의 메커니즘이 공지되어 있다. 일 실시예는 시간 도메인 듀플렉싱(time domain duplexing: TDD)을 사용하는 TDMA 시스템인 통신 시스템(100)에서 동작하고, 이로써 특정의 사용자 단말기와 자신과 연계된 기지국 사이의 업링크 주파수 및 다운링크 주파수가 동일하다. 다운링크 가중치 파라미터는 동일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업링크 가중치 파라미터로부터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운링크 가중치 파라미터를 업링크 가중치 파라미터로부터 결정할 때 측정 함수가 포함되어 왜곡 차이, 예를 들면, 각각의 안테나 소자 어레이(104)에 연계된 상이한 수신 및 송신 체인을 통과할 때 신호에 발생하는 진폭 및 위상 변화의 차이를 보정한다. 상기 체인은 안테나 소자, 케이블, 필터, RF 수신기, RF 송신기, 물리적 연결부, 및 디지털로 처리되는 경우에는 아날로그-디지털 전환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5,546,090호, 및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08/948,772호 및 제09/295,434호에는 측정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
시간 도메인 듀플렉싱을 사용하지 않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다른 실시예, 예를 들면, 특정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주파수가 동일하지 않은 주파수 도메인 듀플렉싱(FDD)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를 위한 도착 방향(DOA)을 결정하는 단계가 한정적은 아니지만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신호로부터 다운링크 가중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여러 가지 기술이 있다.
도 2(B)는 스위치드 빔 시스템인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223)을 포함하는 기지국(102)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223)은 안테나 소자 어레이(104), 안테나 소자 어레이(104)용의 고정 빔 세트를 형성하는 빔포밍 네트워크(225), 빔포머(227)의 각각의 빔 단말기마다 하나의 송신기/수신기를 구비한 트랜시버 세트(227), 및 트랜시버(227)의 하나 이상의 빔을 연계시키는 조합기(229)를 갖는다.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용 컴퓨터(229)가 포함된다. 예시적인 빔포머는 한정적은 아니지만 버틀러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조합기(229)는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상에 사용하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 빔을 선택하고, 하나 이상의 빔을 선택하도록 스위칭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조합기(229)는 하나 이상의 빔을 연계시키는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A)의 적응성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다운링크 통신을 위하여 스위치드 빔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를 업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라고 한다. 다운링크 통신 도중의 조합기(229)의 처리 단계를 다운링크 공간 처리 단계라고 한다. 업링크 상에서, 연계 단계는 선택 된 빔을 수신된 신호를 바람직하게 연계시키도록 업링크 가중치 파라미터 세트에 따라 가중시킴으로써 동작한다. 도 2(A)의 적응성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연계 단계는 업링크 공간 처리 단계라고 하며, 업링크 통신을 위하여 연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업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라고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격 장치(105, 106, 107, 108)에서 원격 송신기 중 하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때, 빔 조합기(229)는 각각의 안테나 소자 어레이(104)에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고, 실재할 수 있는 멀티패스 상태의 보정, 및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간섭 경감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기지국까지 신호 링크를 향상시키는 지향성 신호 패턴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도록 빔포머(225)로부터의 빔을 연계시키는 업링크 공간 처리를 실행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다운링크 상에서, 조합기는 가중된 버전을 결정하는 신호를 하나 이상의 선택된 빔포머(225)를 거쳐 송신되도록 처리한다. 조합기는 실재할 수 있는 멀티패스 상태의 보정 및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간섭 경감을 포함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까지의 송신이 개선되도록 처리한다.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 양자 모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신호는 다른 기지국(111)의 원격 장치(109, 110)와 같은 공동 채널 간섭 장치로부터 또한 수신된다. 공간 처리 단계에서는 다른 기지국(1110의 원격 장치(109, 110)와 같은 공동 채널 사용자로부터 간섭을 경감시키도록 상기 수신된 신호를 사용한다.
바람직한 스마트 안테나 방식, 특히 이동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또는 멀티패스 환경 또는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 또는 셀 방식 시스템에서와 같은 이들 요소의 연계에 대한 적응성 결정은, 변하는 RF 및 간섭 환경 때문에 데이터 통신 중 특정의 시간에 가장 잘 결정된다. 원격 사용자 단말기가 휴대용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를 이동하게 되면 후속의 데이터 전송 사이에서 바람직한 위치와 바람직하지 않은 위치 사이로 사용자 단말기가 이동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100)이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의 일부분일 때 사용자 단말기와 제1 기지국 사이에 전송된 데이터의 경우, 간섭 환경이 신속하게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지국에서, 원격 단말기(109, 110)와 같은 간섭 장치는 상이한 시간에 각각의 제2 기지국(111)으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간섭 패턴은 신속하게 변할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개시
제1 기지국(102)으로부터 다운링크 상에서의 통신 개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최적의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신속하게 결정하기 위하여, 제1 기지국(102)은 상기 제1 기지국(102)이 통신 개시를 원한다고 표시하도록 초기 다운링크 무선 호출 메시지를 약속된 논리 제어 채널의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로그인되지 않거나, 또는 로그인 및 확인되지만 자신들의 연계된 기지국과 활성적으로 통신 교환되지 않는 아이들 상태일 수 있고, 또는 자신들의 연계된 기지국과 활성적으로 통신되는 활성 상태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가 아이들 상태일 때, 기지국 및 사용자 단말기 양자 모두는 통신을 개시하도 록 준비된다. 또한, 기지국 및 아이들 단말기는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기를 무선 호출고, 사용자 단말기는 기지국과 통신을 개시하도록 가능한 채널 또는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 정보를 갖는다.
사용자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채널 상에서 통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으므로, 하나의 채널 상에서는 아이들 상태이고 다른 채널 상에서는 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아이들 상태란 관심 채널 상에서 아이들 상태라는 의미이다. 아이들 상태의 사용자 단말기는 다른 채널 상에서는 아이들 상태가 아닐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사용자 단말기를 무선 호출하도록 무선 호출 메시지를, 공지되지 않고 가능하게는 비교적 신속하게 변하는 간섭을 가진 환경에서의 변하는 위치의 사용자 단말기가 자신의 연계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호출(및/또는 다른 제어 신호)을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키도록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다운링크 신호를 비지향성 방식으로 전송하는 동시에, 기지국에 원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기로 공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를 향하여 간섭을 경감시키고,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는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도중에 특정의 다운링크 채널 내의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비지향성 방식이란 에너지를 의도적으로 임의의 특정 사용자 또는 사용자들을 향하도록 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섹터식 시스템에 있어서, 이것은 섹터 내의 비지향성을 의미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비지향성이란 전체적인 전송이 상이한 방식이 가능한 반복된 전송 세트로 세분될 때 시간 평균 상에 서의 비지향성을 또한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제1 기지국(102)과 같은 기지국으로부터 특정의 사용자 단말기까지 시스템(100)과 같은 무선 패킷 데이터 시스템으로 통신을 확실하게 개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후술하는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가진 기지국용으로 특히 유용하다.
상기 방법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가 응답하도록 제1 기지국(102)에 의하여 비교적 높게 부호화되고, 비교적 저속 무선 호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호화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비교적 높은 검출 가능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중 한 가지이다. 그렇게 많지 않은 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에 저속 신호가 송신된다. 사용자 단말기가 무선 호출 메시지를 검출하여 이에 응답한다. 다음, 기지국에서 이 응답을 사용하여 후속 전송을 위한 통신 링크에 관한 정보를 얻는다. 통신 링크에 관한 정보는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 확실하고 비교적 고속(예를 들면, 트래픽 데이터) 통신을 제공한다. 다른 기지국의 사용자 단말기 또한 동일한 기존 채널 상의 각각의 기지국에 응답하고, 상기 응답 또한 제1 기지국(102)이 사용하여 후속의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전송 시 공동 채널 사용자 단말기의 간섭을 경감시킬 수 있다.
다중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공유하는 다운링크 채널에서의 무선 호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호출 메시지는 트래픽 데이터가 제1 기지국(102)과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 통신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기존 채널을 다 른 데이터로서 점유할 수 있는 논리 제어 채널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호출 메시지는 트래픽 데이터 또는 무선 호출 데이터가 다른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과 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 통신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기존 채널을 다른 데이터로서 점유할 수 있는 논리 제어 채널로 제1 기지국(102)으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호출 메시지는 동일한 기존 채널을 제1 기지국(102)과 연계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 및 하나 이상의 다른 기지국의 다른 사용자로서 점유할 수 있는 논리 제어 채널로 제1 기지국(102)으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대하여 UT_Sequence라고 하는 독특한 무선 호출 시퀀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퀀스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 식별 번호 및 사용자 단말기 식별 번호가 PN 시퀀스 발생 장치에 입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얻어진 비트가 변조되고, 얻어진 I/Q 대역폭 시퀀스가 UT_Sequence를 형성한다. 여러 가지 방식으로 UT_Sequence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 식별 번호는 저속 오차 수정 코드를 사용하여 부호화될 수 있고, 부호화된 번호는 기지국 식별 번호 모두 또는 일부로 개시된 PN 시퀀스 발생 장치의 출력을 가진 XOR 동작에 의하여 스크램블된다. UT_Sequence는 동일한 무선 호출 시퀀스를 갖는 두 개의 사용자 단말기가 비교적 낮을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는, UT_Sequence는 시스템의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특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UT_Sequence는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UT_Sequence를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매우 큰 용장도를 제공하는 코드 를 포함한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는 약속된 논리 제어 채널을 UT_Sequence의 검출을 시도하면서 청취한다. 상기 논리 제어 채널은 제어 채널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양태에 있어서는 시스템 내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의하여 트래픽용으로 사용될 기존 채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UT_Sequence를 성공적으로 검출할 때까지 사용자 단말기 시퀀스 검출 기준을 사용한다. 한 가지 검출 방법은 상관 임계치를 포함하는 검출 기준으로 상관을 사용한다.
제1 기지국(102)은, 일부 약속된 방식으로,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어느 채널을 청취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고, 기지국은 이 채널 상에 UT_Sequence를 송신한다. 청취하는 상기 채널은,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를 자신과 연계된 기지국에 등록(로그인)시키는 초기 교환 도중에 약속될 수 있거나, 또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제1 기지국(102)은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여 통신을 방해할 수 있는 간섭을 감소시킴으로써 UT_Sequence의 성공적인 수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무선 호출하기 전에, 기지국(102)은 무선 호출할 사용자 단말기가 아이들 상태이고 따라서 전송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시간 중에 자신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신호("무선 호출 수신 신호 이전")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 중에는 제1 기지국(102)으로부터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기존 채널 상에서 무선 호출 메시지로서 수신할 수 있는 제1 기지국(102)과 연계된 임의의 사용자 단말 기 또는 단말기들이 제1 기지국(102)으로 업링크 상에서 전송한다.
제1 기지국(102)은 무선 호출 전 수신 신호를 사용하여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여 공동 채널 사용자 단말기에는 데이터를 동일한 기존 채널의 상이한 공간 채널 상에는 페이지 메시지를 동시에 송신한다.
자신과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외에, 제1 기지국(102)은 간섭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02)은 자신과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간섭 장치로부터의 신호와 구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별하는데는 사용자 단말기 식별 장치를 사용한다.
다운링크 기존 채널을 무선 호출 메시지로 공유할 수 있는 제1 기지국(102)과 연계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는 없다는 점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하나 이상의 다른 기지국 또한 통신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기지국은 제1 기지국(102)과 협동함으로써 제1 기지국(102)이 무선 호출 전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외에, 제1 기지국(102)은 무선 호출하려는 사용자 단말기를 무선 호출하기 전에 다른 기지국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 단말기는 도중에 전송될 수 있는 동일한 기존 채널 상에 무선 호출 메시지로서 신호를 포함한다. 제1 기지국(102)은 자신과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다른 기지국과 연계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신호와 구별한다. 다른 기지국과 연계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는 데이터를 그들과 각각 연계된 기지국으로부터 동시에 동일한 기존 채널 상에서 제1 기지국(102)으로부터의 무선 호출로서 수신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각각의 기지국은 자신과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하여 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 협동하는 두 개의 기지국은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협동한다.
제1 기지국(102)은 무선 호출 전 수신 신호 및 다른 사용자 단말기 수신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자신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여 자신과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에는 데이터를 그리고 동일한 기존 채널 상의 상이한 공간 채널 상에는 무선 호출 메시지를 동시에 송신하는 한편, 제1 기지국과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 및 다른 사용자 단말기 수신 신호를 수신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의 간섭을 경감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 결정에는 교정을 사용하여 업링크 가중치 파라미터로부터 정해진 다운링크 가중치 파라미터를 사용한다. 업링크 가중치 파라미터는 무선 호출 전 수신 신호 및 다른 사용자 단말기 수신 신호에 대응하는 안테나 어레이의 안테나 소자에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 결정에는 무선 호출 전 수신 신호 및 다른 사용자 단말기 수신 신호에 대응하는 안테나 어레이의 안테나 소자에서 수신된 신호의 수신 공분산으로부터 교정을 사용하여 정해진 전송 공분산 매트릭스를 사용한다. 특히, 방식은 도착하는 신호가 원격 사용자를 간섭하지 않도록 간섭 공분산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간섭을 경감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ZR을 기존 채널의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서 수신된 모든 신호에 대하여 안테나 소자 상에 수신된 신호의 m 곱하기 n 매트릭스로 하고, 각각의 열은 m 안테나 중 하나에서 수신된 신호의 n 복소값(I 및 Q값)의 벡터이다. ZR을 m 안테나 중 각각에서 수신된 신호 및 소음 을 나타내는 복소 무작위 변수(I 및 Q값)의 1 벡터를 곱한다. 수신 공분산 매트릭스는 RR=E[ZRZR H ]로 정의되고, 여기서 E[.]는 예상 동작이며 위첨자 H는 복소 결합된 트랜스포즈 동작, 즉 헤르미티안 트랜스포즈를 나타냄으로, m개의 안테나 소자에 대하여, 수신 공분산 매트릭스 RR은 m 곱하기 m 매트릭스이다. 임의의 원하는 업링크 신호가 없는 경우, 즉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아이들 상태일 때 발생할 수 있는 간섭만 단지 존재하는 경우, 수신 공분산 매트릭스는 RRI=E[ZRIZRI H]로 정의된 수신 간섭 공분산 매트릭스이고, 여기서 ZRI는 전송 간섭 원격 단말기로부터 안테나 어레이의 m개의 안테나 소자 중 하나에 도착하는 신호의 복소값 (I 및 Q값) 무작위 변수의 벡터이다.
수신된 간섭 공분산 매트릭스는 간섭 원격 단말기의 평균 공간 성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매트릭스의 고유치는 간섭에 의하여 점유된 평균 공간 방향을 한정한다. 수신된 간섭 공분산 매트릭스의 고유치는 각각의 고유치 방향의 간섭에 의하여 점유된 평균 파워를 나타낸다. 따라서, 비교적 큰 고유치와 연계된 고유치 방향은 비교적 다량의 평균 간섭 파워를 수신하는 공간 방향을 나타내는 한편, 비교적 작은 고유치와 연계된 고유치 방향은 비교적 소량의 평균 간섭 파워를 수신하는 공간 방향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예상 동작은 신호 샘플을 평균화함으로써 실행된다. 즉, ZR=ZRZR H 및 RRI=ZRIZRI H 여기서 ZRI는 임의의 원하는 업링크 신호가 없는 기지국에서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안테나 소자 상의 수신된 신호 샘플의 m 곱하기 n 매트릭스이고, 각각의 열은 m개의 안테나 중 하나에 수신된 신호의 복소값(I 및 Q값) 샘플의 벡터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 공분산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원하지 않는 공동 채널 사용자 단말기를 향한 간섭의 경감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다운링크 처리 방식을 결정한다. 공동 채널 사용자 단말기 세트 중 일부가 수신 공동 변수 매트릭스의 계산 도중에 제1 기지국이 송신할 때 또한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방식은 간섭 경감을 달성하는데 비교적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무선 호출 전에, 수신된 간섭 공분산 매트릭스는 무선 호출하려는 사용자에게 전송되지 않지만(예를 들면, 아이들 상태), 다운링크 상에서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기존 채널 상에서 무선 호출 메시지로서 수신할 수 있는 원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기가 업링크 상에서 그들 각각의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는 시간 도중에 샘플링함으로써 정해진다.
대안으로서, 간섭 공분산 매트릭스는 무선 호출하려는 사용자 단말기 및 다른 사용자 단말기-이들은 추후에 동일한 기존 채널 및 시간 상의 다운링크 상에서 무선 호출로서 수신할 수 있음-양자에게 전송될 수 있는 시간에 제1 기지국(102)에 서 수신된 신호 상에 업링크 공간 처리를 실행하여 정해질 수 있다. 업링크 공간 처리는 무선 호출하려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결정하고, 뺄셈으로 간섭 신호를 결정한다.
수신 공분산 매트릭스는 많은 공동 채널 원격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아이들 상태일 때 제1 기지국(102)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예를 들면, 무선 호출 전 수신 신호 및 다른 사용자 단말기 수신 신호)로부터 결정된다. 상기 수신 공분산 매트릭스는 수신 간섭 공분산 매트릭스와 동일하고, 간섭 전송 장치로부터 간섭 경감을 포함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바람직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원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기를 향한 간섭 경감을 포함하여 무선 호출을 위한 송신 공간 처리는, 상이한 안테나 소자와의 전자 장치 체인의 상이함을 고려하여 계산 또는 다른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 원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기가 업링크 상에서 전송될 때 결정된 수신 간섭 공분산 매트릭스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특히, 무선 호출을 전송하는 다운링크 공간 처리를 위한 다운링크 가중치 파라미터 세트는 가장 작은값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비교적 작은값을 가진 수신 간섭 공분산 매트릭스의 고유치로부터 취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100)의 기지국과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활발한 트래픽 통신은 순차 시간 간격(프레임) 세트로 일어나고, 각각의 프레임은 선택된 개수의 다운링크 기존 채널(예를 들면, TDMA 시스템의 시간)로 분할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각각의 다운링크 기존 채널에 대하 여, 업링크 상에도 연계된 기존 채널(예를 들면, TDMA 시스템의 시간)이 있다. 후술하는 설명은 TDMA 시스템에 사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TDMA 시스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DMA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프레임은 선택된 개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시간(타임슬롯)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시간에도 업링크 상에 전송 시간(타임슬롯)이 있다. 제1 기지국(102)과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 통신이 개시된 후, 제1 기지국(102)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이전의 연계된 통지 전송 시간, 바람직하지만 필연적은 아닌,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시간과 연계된 업링크 상의 가장 최근의 통지 전송 시간 도중에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통지 신호가 앞서게 된다. 업링크 상에서 수신된 통지 신호를 사용하여 제1 기지국(102)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처리 방식을 결정하여 앞으로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바람직하지만 필연적은 아닌, 다음 사용자 단말기-에 통지 전송 시간과 연계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시간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지국에서 사용된 연속 시간 세트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기지국의 간섭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다른 통지를 제1 기지국(102)에서 수신하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하도록 협동한다. 따라서, 업링크 상의 통지 기간 도중에 각각의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통신 시스템(100)의 사용자 단말기 개수는 바람직하지만 필연적은 아닌 연계된 미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도중에 전송될 수 있는 활성적인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 세트의 슈퍼셋이다.
특정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도중에 무선 호출 메시지를 아이들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은 교정을 사용하여 결정되고 공분산 매트릭스의 가장 작은 고유치는 업링크 상의 이전 연계된 통지 전송 기간 도중에 수신된 신호로부터 결정된다.
상기 무선 호출 방식의 사용에는 업링크 상에서 이전 연계된 통지 전송 기간 도중에 제1 기지국(102)에 의하여 신호(예를 들면, 무선 호출 전 수신 신호 및 다른 사용자 단말기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간섭을 경감하는 것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 전송 단계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공분산 매트릭스의 고유치는 가장 작은 고유치보다 상당히 큰 고유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호출 메시지는 공동 채널 사용자를 향한 간섭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업링크 상의 가장 파워가 적은 간섭 장치 방향으로 송신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공된 임계값보다 적은 값을 갖는 전송(간섭) 공분산 매트릭스의 고유치는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예를 들면, 다운링크 가중치 파라미터)을 무선 호출에 사용하도록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유치는 전송 간섭 공분산 매트릭스의 실질적으로 빈 공간에 있다.
본 명세서에서 비지향 방식의 전송이란 에너지를 공분산 매트릭스의 비교적 작은 고유치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빈 공간 전송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많은 공동 채널 원격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하고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아이들 상태일 때 결정된 수신 신호 공분산 매트릭스는 교정과 함께 사용되어 원하지 않는 공동 채널 사용자의 방향으로 빈 공간으로 향하게 하는 한편, 전방향성 방사 패턴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무선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전방향 패턴은 비지향성 방식으로 전송하는 특별한 경우이다. 섹터식 시스템에 있어서, 전방향이란 섹터 내의 실질적인 전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전방향이란 전체적인 전송이 상이한 방식으로 반복 전송 세트로 해체될 때, 시간 평균 상에서 실질적으로 전방향이라는 의미이다.
1997년 12월 12일 골드버그에 의하여 출원되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08/988,519호에는 임의의 원하는 방사 패턴을 달성하도록 다운링크 공간 처리 가중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골드버그의 방법에 있어서, 중량은 최적 기준을 최적화 함으로써 결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골드버그 방법은 공분산 매트릭스로부터 결정된 유사한 간섭 장치를 향한 채널을 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도착 방향식 방법(DOA)을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원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기를 향하여 간섭을 경감시키는 다른 방법은 약간 이른 시간에 원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기지국(102)에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원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부수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수 정보는 제1 기지국(102)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다.
원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부수 정보는 원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기를 향하여 간섭을 경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이다.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상기 기억된 부수 정보의 예는 사 용자 단말기의 공간 신호이다. 예를 들면, 바렛트 외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5,592,490호 발명의 명칭 "고성능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오터스텐 외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5,828,658호 발명의 명칭 "공간-일시 처리를 구비한 고성능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공간 신호를 사용하여 간섭을 경감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수신 공간 신호는 기지국 어레이가 임의의 간섭이 없는 특정의 사용자 단말기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전송 공간 신호는 원격 사용자 단말기가 임의의 간섭이 없는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전송 공간 신호는 교정을 사용하여 수신 공간 신호로부터 결정된다.
부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원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한 간섭 경감을 포함하도록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한다.
부수 정보는 동일한 제1 기지국(102)의 원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및 유선 및/또는 무선일 수 있는 기지국 내부 통신 기구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다른 기지국은 원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원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부수 정보 형성 단계는 상기 각각의 원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다른 기지국에서 일어난다. 부수 정보는 기지국 내부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1 기지국(102)으로 송신된다.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다른 기지국은 원하지 않는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원하지 않는 제1 기지국(102)과 통신된다.
다른 형태의 부수 정보는 하나 이상의 원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기의 DOA, 실제로는 원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수신된 신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는 TDD 시스템으로 동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FDD시스템으로 동작하는데도 적용될 수 있다. FDD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및 수신 채널은 일반적으로 임의의 소정 순간에 서로 협동하지 않는다. DOA식 기술은 사용자 단말기 방향으로부터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송신 및 수신 공분산 매트릭스는 일반적으로 충분한 시간 평균이 수신 공분산 또는 간섭 공분산 매트릭스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경우, 특히 업링크 주파수가 다운링크 주파수에 상대적으로 근접한 경우, FDD 시스템에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의 경우, 교정을 포함하여 업링크 공간 처리 방식으로부터 결정된 다운링크 공간 처리 방식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1998년 3월 5일 클래리티 와이어리스 인코포레이티드의 발명자 랠리 등에게 허여된 발명의 명칭 "통신을 위한 공간-일시 처리"의 PCT 국제특허 출원번호 WO98/09385에 개시된 바와 같은 만족할만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CDMA 시스템에도 또한 적용가능하다. CDMA 시스템은 주파수 채널의 실질적으로 모든 리소스를 소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전송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수신 공분산 매트릭스의 고유벡터에 대한 고유치는 가장 작은(즉, 빈 공간) 고유치보다 상당히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간섭이 동시에 경감 되도록 기지국이 다운링크 메시지를 비지향성 방식(예를 들면, 원격 단말기 무선 호출)으로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기지국(102)은 다른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동시에 송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기존 채널 상에서 방향 트래픽(진행 중인 트래픽 데이터) 및 방송 트래픽(무선 호출)을 연계시키는 단계를 제공한다.
반복 무선 호출
무선 호출 메시지의 성공적인 수신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신호를 제1 기지국(102)에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랜덤 액세스 신호 요구를 약속된 채널의 기지국에 송신함으로써 응답한다. 제1 기지국(102)은 주파수 채널 및 트래픽 송신을 위한 다운링크 전송 시간의 지정을 포함하는 액세스 지정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한다. 액세스 지정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링크의 경로 손실 측정 및/또는 파워 컨트롤 실행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제어 기능을 실행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호출 메시지는 필연적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기로는 비교적 많은 코드로 된다.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많은 코드로 된 UT_Sequence를 검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 한 가지는 상관 관계를 사용한다.
랜덤 액세스 요구 신호는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UT_Sequence를 성공적으로 검출했다는 표시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랜덤 액 세스 요구 신호가 없으면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페이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다는 피드백을 제1 기지국에 제공한다. 성공 또는 실패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다른 방법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기지국(102)은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페이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했는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피드백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동일한 반복법, 즉 미래 프레임의 동일한 상대 시간의 동일한 다운링크 방식을 반복해서 사용하여 여러 차례 페이지 전송을 반복함으로써 성공적인 페이지 수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동일하지 않은 반복은 다운링크 방식 또는 미래 프레임의 상이한 상대 시간 중 하나 이상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하지 않은 반복을 사용하여 간섭 환경을 반복이 상이하도록 촉진시키는데 사용하고, 이로써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동일한 반복인 경우 가능성에 걸쳐 페이지를 수신하는 가능성을 더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상이한 스마트 안테나 방식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이한 타이밍을 사용하여 간섭 환경이 상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운링크 방식 다이버시티는 상이한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제공되고, 간섭 다이버시티는 상이한 환경에서 페이지를 반복함으로써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운링크 방식 다이버시티 및 간섭 다이버시티 양자 모두가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호출이 성공이냐 실패냐의 피드백이 사용된다. 제1의 성공적이지 못한 무선 호출 후, 기지국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이한 비지향성 방식을 사용하여 미래, 예를 들면, 다음 프레임에서 무선 호출을 반복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이한 비지향성 방식은 다운링크 무선 호출을 위한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도록 실질적으로 간섭 공분산 매트릭스 빈 공간에 있는 다른 하나의 고유벡터를 향하여 전송한다. 연속되는 프레임 중 미래의 프레임이, 예를 들면, 상이한 세트의 사용자 단말기가 다음 프레임에 무선 호출될 수 있어서 간섭 환경이 신속하게 변할 수 있으므로 상이한 세트의 간섭이 있을 때 무선 호출이 반복된다. 빈 공간의 상이한 고유벡터를 사용하여 페이지를 상이한 방사 패턴으로 향하게 하여 다운링크 방식 다이버시티를 제공한다.
간섭 환경은 매우 신속하게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연속 시간 세트의 상이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에서 반복된다. TDMA의 경우, 예를 들면, 이것은 상이한 타임슬롯과 일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복 전송은 제1 전송의 특정 다운링크 트래픽 데이터 전송 기존 채널보다 상이한 다운링크 기존 채널 상에서 일어난다. FDMA 시스템에 있어서, 이것은 상이한 주파수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 간섭 공분산 매트릭스는 상이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과 연계된 통지 전송 기간에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결정되고, 가장 작은 고유치를 가진 수신된 간섭 공분산 매트릭스의 고유벡터를 사용하여 무선 호출 전송 도중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에 대한 다운링크 공간 처리를 상이한 간섭 환경에서 무선 호출 반복을 촉진시키도록 상기 상이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도중에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는 간섭 공분산 매트릭스로부터 결정된 필연적이 아닌 다운링크 방식으로 반복 무선 호출을 실행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특정의 사용자 단말기를 향한 무선 호출은 공지되지 않은 위치의 사용자 단말기가 무선 호출을 수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연속 세트의 가중치 파라미터 중 상이한 하나를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전송된다. 예를 들면, 1998년 2월 9일 바렛트에게 허여되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09/020,619호에 상기 순서를 결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송신하도록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에 사용된 가중치 파라미터의 순서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별개의 푸리에 트랜스폼(DFT)에 따른 복소치 가중치 파라미터의 직교 순서이다. 무선 호출의 성공적인 수신을 더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이한 다운링크 전송 기간 도중에 무선 호출 전송을 반복하여 상이한 간섭 환경에서 무선 호출의 반복을 촉진시킨다.
무선 호출 반복을 사용하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호출은 넓게, 즉 전방향 빔으로 전송되지만, 각각의 상이한 반복 도중에 무선 호출은 상이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예를 들면, 상이한 타임슬롯) 도중에 전송되어 상이한 간섭 환경에서 무선 호출의 반복이 확보된다. 전방향 패턴으로 전송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전술한 골드버그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08/988,519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은 무선 호출을 위하여 두 개의 절반부로 분할된다. 페이지는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중 전반부 또는 후반부 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이로써 소정 개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내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메시지가 송신될 수 있다. 또한, 페이지 반복 사이에 간섭 환경을 변경시키는 또 다른 방법이 제공된다.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중 전반부에 무선 호출이 송신된 후, 다음 프레임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이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의 후반부에 다음 반복이 송신된다. 따라서, 적어도 무선 호출 전송에 대한 간섭 환경은 제1 및 제2 전송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을 두 개 이상의 무선 호출 기간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3은 TDMA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프레임 순서도이다. 도 3(A)는 세 개의 완전한 프레임의 도면이다. 도 3(B)는 하나(N번째)의 프레임의 도면이고, 도 3(C)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이 경우 기간 D3가 무선 호출을 위하여 전반부 및 후반부로 분할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마찬가지로, 도 4는 다른 풀 듀플렉스 배열의 도면이다. 도 4(C)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이 경우 기간 D3가 무선 호출을 위하여 전반부 및 후반부로 분할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반복 횟수는 무선 호출 기지국까지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근접할 수 있는 추정치의 함수이다. 사용자 단말기의 근접성은 초기 등록(예를 들면, 로그인), 또는 이전의 성공적인 무선 호출 순서 도중에 추정된다. 필연적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무선 호출 기지국에 근접하는 것으로 추정된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사용자 단말기에서 보다 간섭을 덜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추정된 근접성은 근접함, 멀 리 떨어짐, 아주 멀리 떨어짐 중 하나이며, 근접한 사용자 단말기는 1회 무선 호출을 수신, 즉 반복이 없고, 멀리 떨어진 사용자 단말기는 2회 무선 호출을 수신, 한차례 반복되며, 아주 멀리 떨어진 사용자 단말기는 2회를 반복해서 수신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는 각종 횟수의 반복을 결정하도록 다른 기준을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반복이 상이한 간섭 환경에서 일어나도록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가진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까지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사용하여 반복 전송하는 방법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개시되어 있다.
트래픽 통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과 이에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는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트래픽 통신된다. 무선 프로토콜은 제1 기지국을 위한 제1 세트의 순차 시간 간격(프레임)을 제공하여 자신과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한다. 또한, 무선 프로토콜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기지국(111) 세트 각각을 위한 다른 세트의 순차 시간 간격(프레임)을 제공한다.
도 3은 하나의 TDMA 실시예의 경우 전송 시퀀스를 예시하는 전송 시간표 세트의 도면이다. 도 3(A)는 시간을 인접 프레임,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간을 갖는 시퀀스로 전체가 분할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3개의 완전한 연속 프레임이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 타이밍 제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필요에 따라 협동할 수 있는 동기화 채널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신호 구간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프레임 마커 신호로 개시하여 모든 원격 사용자 단말기를 기지국의 타이밍 순서로 동기화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주로 각 프레임 내의 신호 배열에 관한 것으로서, 예시적인 프레임(프레임 N)이 이전 프레임(프레임 N-1)의 말단 및 다음 프레임(프레임 -+1)의 시작과 함께 도 3(B)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TDMA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은 선택된 개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타임슬롯)(D1, D2, D3, 등) 및 선택된 개수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타임슬롯)(U1, U2, 등)으로 세분된다. 또한, 업링크 상에는 다수의 통지 전송 기간(타임슬롯)(AKD1, AKD2, AKD3, 등)이 있고, 이것은 각각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과 연계되며 기지국으로 알려진 연계된, 일 실시예에서는 고정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과 미리 정해진 관계를 갖는다. 또한, 업링크 상에는 다수의 통지 전송 기간(타임슬롯)(AKU1, AKU2, 등)이 있고, 이것은 각각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과 연계되며 기지국으로 알려진 연계된, 일 실시예에서는 고정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과 미리 정해진 관계를 갖는다. 하나의 TDMA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기간과 연계된 통지 전송 기간 간의 고정된 관계는 타임슬롯에 의하여 설명된다. 즉, 데이터 트래픽 기간에 대한 특정의 타임슬롯은 연계된 통지 전송 기간에 대한 타임슬롯을 반대방향으로 결정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계는 시스템의 모든 기지국에 대한 연속 시간 기간 세트 모두에 동일하다.
TDMA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데이터 전송 기간은 기존의 채널에 해당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3(B)에 예시된 예에 있어서, 4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즉 4개의 업링크 통지 전송 기간, 및 2개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즉 2개의 다운링크 통 지 전송 기간이 있다. SDMA는 동일 타임슬롯 도중에 공간 채널이라고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용이하게 하고, 도 3(B)의 예는 다운링크 상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4개의 활성 사용자 단말기 및 업링크 상에서 통신하는 적어도 2개의 활성 사용자 단말기를 수용하는 것이다.
시간 간격 시퀀스의 한 가지 특징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상에서 상이한 개수의 데이터 전송 기간을 수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예를 들면 기지국이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계된 경우, 업링크보다는 다운링크 상에서 더 통신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업링크와 다운링크 트래픽 데이터 통신 사이에 비대칭을 수용한다. 시스템은 특히 특정의 채널 내에 수용될 활성 사용자 단말기의 개수 및 각 방향으로의 데이터 전송 요구와 시스템의 성능에 따라 보다 많거나 또는 보다 적은 개수의 본 명세서에 도시된 각 유형의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의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다량의 사용자가 수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개수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이 각각의 순차 시간 간격에 존재하므로, 제공된 다운링크 트래픽 채널 세트의 전체 데이터 지지 성능은 제공된 업링크 트래픽 채널 세트의 전체 데이터 지지 성능과 동일하다.
다운링크 트래픽 통신
성공적인 무선 호출 후, 기지국(102)으로부터의 액세스 지정 메시지는 다운링크 전송 기간(즉, 다운링크 트래픽 채널) 및 연계된 통지 전송 기간(즉, 연계된 업링크 채널)을 제1 세트의 순차 시간 간격의 각각의 순차 시간 간격 내에 지정한다.
성공적으로 무선 호출된(예를 들면, 자신과 연계된 기지국으로부터 초기 다운링크 무선 호출에 따라 액세스 지정 메시지를 수신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는 연계된 다운링크 트래픽 전송 기간에 대응하는 통지 전송 기간에 업링크 상의 무선 호출 순서(예를 들면, 액세스 지정 메시지)에 응답한다. 제1 및 다른 세트의 순차 시간 간격은 제2 기지국(111)과 같은 다른 기지국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응답을 포함하여 초기 다운링크 무선 호출 시퀀스(예를 들면 액세스 지정 메시지)에 업링크 상에서의 사용자 단말기의 응답이 제1 기지국(102)으로 알려진, 예를 들면, 전송 기간 및 주파수/코드 채널인 통지 기존 채널 상에서 일어난다. 특히, TDMA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의 타이밍은 동기화되고, 임의의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응답은 동일 주파수 채널 및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으로 발생될 수 있는 제1 기지국(102) 또는 다른 기지국(111)과 연계된 다른 공동 채널 사용자 단말기와 같은 임의의 간섭 사용자 단말기의 가능한 응답으로 때에 맞춰 정렬된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자신과 연계된 기지국으로 송신된 통지 신호는 트레이닝 데이터 및 식별 정보 몇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트레이닝 데이터는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식별 정보는 제1 기지국(102)이 자신과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다른 기지국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신호와의 구별을 용이하게 한다. 식별 정보는 기지국 식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02)은 응답(즉, 통지)을 수신하고 트레이닝 데이터 및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미래, 일 실시예에서는 다음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도중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한다.
다운링크 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1 기지국(102)의 원하는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은 상기 다른 공동 채널 사용자 단말기를 향한 전송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이 경감되도록 공동 채널 간섭 장치를 향하여 간섭을 경감시키는 것을 포함하도록 결정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통지 신호를 수신하는 원하는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은 일 실시예에서는 공동 채널 간섭 장치로부터 간섭을 경감시키는 것을 포함하도록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지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 피드백을 기지국에 제공하는 통지 메시지를 포함한다. 기지국에서 예상 ACK를 수신하지 않았거나, 또는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다는 정보가 피드백된 경우, 기지국은 데이터를 재송신한다.
제1 기지국(102)은 지정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에 데이터(즉, 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한다. 활성 사용자 단말기는 제1 기지국(102)으로부터 전송된 다운링크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트래픽 데이터를 통신하는 외에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가 다운링크 폴링 신호로 작용하여 추가 통신을 위한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응답을 업링크 상에서 얻는다. 따라서, 다운링크 트래픽 데이터에 응답하여, 지정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에 대한 업링크 상에서의 다음 통지 전송 기간 도중에, 사용자 단말기는 통지 신호를 기지국으로 다시 송신한다. 기지국은 상기 통지 신호, 및 동 일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공동 채널 간섭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통지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이들 신호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다음 지정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도중에 사용자 단말기에 데이터를 바람직하게 전송하도록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한다. 결정된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은 다른 기지국(111)의 공동 채널 원격 단말기를 향한 간섭 경감을 포함한다. 또한, 제1 기지국(102)은 간섭 공동 채널 사용자로부터 간섭 경감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간섭 공동 채널 원격 단말기로부터 통지 신호를 바람직하게 수신하도록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처리 방식을 또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이 동일한 기존 채널, 예를 들면 TDMA 시스템의 동일 타임슬롯 내에 하나 이상의 공간 채널을 제공하는 경우, 결정된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은 동일한 기존 채널의 다른 공간 채널 상의 동일한 기지국의 공동 채널 간섭 원격 단말기에 대한 간섭 경감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통지 신호를 수신하는 소정의 통지 전송 기간에, 제1 기지국(102)은 무선 호출 시퀀스(예를 들면, 액세스 지정 메시지) 또는 다운링크 트래픽 데이터에 대한 응답일 수 있는 통지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이 개시되면, 다운링크 트래픽 데이터 전송은 지정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에 프레임 별로 계속한다. 각각의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는 다운링크 폴링 신호로 또한 작용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지정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에 자신과 연계된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음 지정된 통지 전송 기간 도중에 통지 신호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통지 신호는 동일 기지국 또는 다른 기지국의 공동 채널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임의의 다른 통지 신호와 함께 기지국에서 수신되고, 기지국은 통지 신호를 최적으로 수신하고 다음 지정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에 다음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를 최적으로 전송하도록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에 대한 처리 방식을 결정한다. 최적화란 간섭 사용자 단말기를 오가는 간섭을 경감시키는 다운링크 방식을 사용하여 제1 기지국(102)이 통지 신호를 수신하는 한편 하나 이상의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향상시킨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 결정이 특정의 통지 전송 기간 도중에 수신된 신호를 사용하고, 특정의 통지 전송 기간과 연계된 다음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도중에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상기 다음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도중에 전송될 활성 사용자 단말기 세트는 이전의 특정 통지 전송 기간 도중에 각각의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기 세트의 서브세트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전의 특정 통지 전송 기간에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만이 다음 연계된 다운링크 전송 기간에서 다운링크 상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중 특정한 한 기간에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될 활성(즉, 아이들 상태가 아님) 사용자 단말기는 동일한 특정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과 연계된 업링크 상의 이전 통지 전송 기간 상에서 데이터가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링크 통신 개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제1 기지국(102)과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 중 하나로부터 업링크 상에서 통신을 개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사용자 단말기가 제1 기지국(102)으로 데이터 통신을 개시하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먼저 약속된 논리 제어 채널 상으로 랜덤 액세스 요구를 전송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요구는 제1 기지국(102)에서 수신된다. 응답 시, 제1 기지국(102)은 또한 사용자 단말기에 정보를 전송하여 랜덤 액세스 요구를 수신했음을 사용자 단말기에 나타내도록 정보를 전송하고, 또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링크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도록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및 주파수 채널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액세스 통지 메세지를 약속된 논리 제어 회로 상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응답 시, 지정된 업링크 트래픽 기간 도중에 업링크 트래픽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은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제2 기지국(111)과 같은 다른 기지국의 사용자 단말기는 업링크 트래픽 데이터를 각각의 기지국으로 또한 전송할 수 있고, 이들 신호는 제1 기지국(102)의 업링크 트래픽 신호를 간섭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지국(102)이 SDMA용으로 또한 제공되는 경우, 기존 채널과 공유하는 연계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도 또한 간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업링크 데이터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액세스 지정 메시지에 응답으로 작용하고, 제1 기지국이 상기 응답(즉, 업링크 트래픽 데이터)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다른 추가 세트의 순차 시간 간격은 업링크 트래픽 신호가 액세스 지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또는 계속되는 업링크 트래픽 데이터로서 제1 기지국(102)으로 알려진 업링크 기존 채널, 예를 들 면 데이터 전송 기간 및 주파수/코드 채널로 송신되도록 설계된다. 제1 기지국(102)은 수신된 신호로부터 결정된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사용하여 업링크 트래픽 신호를 수신한다.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은 활성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정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내의 각각의 업링크 트래픽 데이터 신호는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용 처리 방식을 결정하도록 정보를 기지국에 제공하는 트레이닝 데이터를 포함한다. 트레이닝 데이터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용 컴퓨터는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이 동일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내에 업링크 데이터를 바람직하게 수신하는데 적합하도록 제어한다. 제어용 컴퓨터가 업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이 동일한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동안 데이터를 최적으로 신속하게 수신하기에 충분하도록 결정하는 연산력이 충분하지 못한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내에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결정되는 업링크 방식이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에 의하여 사용되어 미래의 프레임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즉 특정의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다음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에 데이터를 수신한다. TDMA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의 타이밍은 동기화되고,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각각의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간섭 공동 채널 사용자 단말기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은 동일 타임슬롯 및 동일 주파수 채널에서 발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이 업링크 트래픽 데이터를 활성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성공적으로 수신했을 때,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에 대한 다운링크 상의 지정 통지 전송 기간 도중에 통지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한다. 이로써 업링크 트래픽 데이터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역방향 폴링 신호로 사용되어, 이에 응답하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지 신호로 되어 통신 개시 후 역 폴 통지 신호로 생각될 수 있다. 다른 역방향 폴 통지 신호에 대한 응답을 기지국이 사용하여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처리 방식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다운링크 상의 통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1 기지국(102)은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이 처리 방식을 결정하도록 통지되는 업링크 트래픽 데이터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상의 다음 지정된 통지 기간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통지 신호를 바람직하게 전송한다. 결정된 방식은 다른 기지국 또는 업링트 트래픽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기지국(102) 중 하나 이상의 공동 채널 사용자 단말기를 향한 간섭 경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기지국(102)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된 통지 신호도 또한 기지국의 성공적인 수신에 대한 피드백으로서 통지 메세지(ACK)가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된다. 통지 메시지는 또한 통지 부정 메시지(NACK) 또는 다른 피드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가 NACK를 수신하거나 또는 예상 ACK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혹은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피드백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또한, 통지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성공적인 수신을 보조하는 트레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다운링크 상에서 업링크 트래픽으로의 통지가 또한 사용되어 사용자 단말기의 스마트 안 테나 시스템의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한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기지국(102)까지 업링크 통신은 지정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에 프레임 별로 계속될 수 있다. 기지국에 의하여 수신된 각각의 업링크 데이터는 다른 간섭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임의의 공동 채널 업링크 트래픽 데이터와 함께 사용되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1 기지국(102)에서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처리 방식을 결정하고, 기지국은 또한 자신과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에 통지 신호를 추가의 역방향 폴 통지 신호로서 전송하도록 안테나 시스템의 처리 방식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가진 하나의 기지국에서만 사용되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시스템(100)은 상기 안테나 시스템을 각각 포함하는 기지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기지국(102) 및 하나 이상의 제2 기지국(111)은 동일하게 구성된 순차 시간 간격 세트를 사용함으로써, 제1 세트의 순차 시간 간격 및 다른 세트의 순차 시간 간격이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3(B)에 도시된 신호는 TDD를 포함하는 TDMA 시스템용으로서,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가 함께 그룹으로 되어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이 업링크로부터 다운링크로 전환시키는 횟수를 감소시킨다. 도 3(B)에 도시된 신호의 대안으로서, 예를 들면, 기지국이 주파수 도메인 듀플렉싱(FDD)을 사용할 때 대략 시간 간격이 변할 수 있고, 여기서 다운링크 주파수 및 업링크 주파수는 동일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데는 상이하다. 상기 다른 대안이 도 3(D)에 도시되어 있다. 도 3(E)는 도 3(B)의 배열과 유사하지만 이동된 프레임 경계를 갖는 다른 대안의 도면이다.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도 3(B)의 배열을 여러 가지로 변경시킬 수 있다.
트래픽 통신을 위한 다른 실시예
도 3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는 일 실시예는 프레임 세트의 임의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이 동일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과의 연계가 필요하지 않는 하프 듀플렉스 실시예이다.
하나의 다른 하프-듀플렉스 실시예에 있어서,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통지하는 프레임 시퀀스 중 프레임의 통지 전송 기간은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미래의, 예를 들면 다음 지정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이다. 따라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도중에 다운링크 상에 전송된 데이터는 통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트레이닝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매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마다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이 있다.
또한, 다른 대안인 하프-듀플렉스 실시예에 있어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또는 액세스 지정 메시지에 응답)을 통지하는 프레임의 통지 전송 기간은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미래, 즉 다음 지정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에 포함된다. 따라서,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도중에 전송된 데이터는 트레이닝 및/또는 식별 데이터 및/또는 통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마다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이 있다.
도 4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을 사용하는, 즉 본 명세서에서 풀 듀플렉스 다른 실시예라고 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전송 시퀀스를 예시하는 전송 시간표 세트의 도면이다. 도 4(A)는 시간이 동일 기간의 연속 프레임 시퀀스로 전부 분할된 도면이다. 도 4(A)에는 세 개의 완전한 연속 프레임이 예시되어 있다.
도 3(B)에는 특정 채널의 예시적인 데이터 구간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풀 듀플렉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은 다수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U1, U2, U3 등), 및 상기와 동일 개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D1, D2, D3 등)으로 세분된다. 도 4(B)에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5개의 활성 사용자 단말기를 수용하는 5개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이 있다. 각각의 활성 사용자 단말기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연계된 기지국으로부터의 액세스 지정 메시지를 사용하여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에 지정된다. 다른 실시예는 각 프레임에 더 많거나 더 적은 개수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는 각 프레임에 3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을 갖는 프레임 구조를 사용한다.
풀 듀플렉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업링크 데이터 기간을 통지하는 시간 간격 시퀀스 프레임 내의 통지 전송 기간은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미래의, 바람직하게는 다음 지정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에 포함된다. 또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또는 액세스 지정 메시지에 대응)을 통지하는 기간 간격 시퀀스 프레임 내의 통지 전송 기간은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미래의, 바람직하게는 다음 지정된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의 하프 듀플렉스 실시예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 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통신이 실행된다. 기지국은 무선 호출 메시지를 먼저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랜덤 액세스 요구로 응답한다. 기지국은 트래픽 통신에 사용하기 위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시간 지정을 포함하는 액세스 지정 메시지로 응답한다.
사용자 단말기가 액세스 지정 메시를 수신했을 때, 지정된 업링크 트래픽 채널 도중에 통지 신호를 송신한다.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무선 링크를 위한 바람직한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할 때 자신과 연계된 기지국에서 사용하기 위한 트레이닝 데이터 및/또는 식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02)에 대한 연속 시간 기간 세트는 제2 기지국(111)과 같은 다른 기지국의 기지국에 대한 연속 시간 기간 세트와 협동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메시지에 액세스하는 응답은 기지국으로 알려진 시간/주파수 위치이고, 기지국, 예를 들어 제1 기지국(102)은 자신과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간섭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제2 기지국(111)과 같은 다른 기지국과 연계된 공동 채널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바람직한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은 공동 채널 간섭 장치(업링크 상의)로부터 공동 채널 간섭 장치(다운로드 상의)를 향한 간섭 경감을 포함하도록 결정된다.
또한, 기지국이 자신과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업링크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할 때, 기지국은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통지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는 자신과 연계된 기지국으로부터의 액세스 지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뿐만 아니라 자신과 연계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트래픽 데이터에 대한 인지로서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풀 듀플렉스 실시예에 있어서, 업링크 트래픽 데이터는 트레이닝 데이터 및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고, 기지국은 상기 데이터를 사용하여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처리 방식을 결정한다.
따라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동안 다운링크 상으로 전송된 데이터는 트레이닝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ACK 및/또는 NACK 데이터와 같은 통지 데이터, 또는 다른 통지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업링크 데이터 전송 기간 동안 전송된 데이터는 트레이닝 및/또는 식별 데이터 및/또는 ACK 및/또는 NACK 데이터와 같은 통지 데이터, 또는 다른 통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실체가 NACK를 수신하거나 또는 예상 ACK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또는 수신이 성공적이지 않았음을 알게된 경우,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한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기지국(102, 111) 각각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기 전에 자신과 연계된 각각의 활성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링크 폴링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특정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위한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의 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폴링이 실행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기지국(102) 및 제1 기지국(102)을 위한 제공된 제1 세트의 순차 시간 간격 및 제2 기지국(111) 각각을 위한 제공된 다 른 세트의 순차 시간 간격 내의 하나 이상의 제2 기지국(111)에 의하여 다운링크 폴링이 실행되며, 시간 간격 각각은 순방향 폴링 기간을 포함하는 선택된 개수의 다운링크 전송 기간, 및 순방향 폴링과 각각 연계된 다수의 연계 업링크 전송 기간, 및 다수의 트래픽 데이터 전송 기간을 갖는 데이터 전송 구간을 포함한다.
도 5는 상기 다른 예의 경우 전송 시퀀스를 예시하는 전송 시간 다이어그램이다. 도 5(A)는 시간이 동일 기간의 인접하는 프레임 시퀀스로 전체적으로 분할된 도면이다. 각각의 프레임은 셀방식 오버헤드와 같은 시스템 오버헤드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발신 구간, 및 데이터 전송 구간을 포함한다. 세 개의 완전한 순차 프레임이 도 5(A)에 예시되어 있다. 시스템 타이밍 제어를 위하여, 각각의 발신 구간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프레임 마커 신호로 개시하여 모든 원격 장치를 기지국의 타이밍 시퀀스에 동기화시킨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각 프레임의 데이터 전송 구간 내의 신호 배열에 관한 것이고, 따라서 특정 채널에 대한 예시적인 데이터 전송 구간 이 도 5(B)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구간은 다수의 순방향 폴링 기간(F1, F2, F3, 등), 다수의 역방향 폴링 기간(R1, R2, R3, 등), 및 다수의 트래픽 전송 기간(D1, D2, D3, 등)으로 세분된다. 도 5(B)에 예시된 예에 있어서, 적어도 5개의 활성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5개의 순방향 폴링 기간, 5개의 역방향 폴링 기간 및 5개의 트래픽 데이터 전송 기간이 있다. 각각의 활성 사용자 단말기는 신호 채널 및 순방향 폴링 기간 및 역방향 폴링 기간에 지정된다.
제1 기지국(102) 및 다른 기지국(111)은 그들 각각의 순방향 폴링 기간 내에 다운링크 폴링 신호를 송신한다. 자신과 연계된 기지국으로부터 폴링 신호를 수신하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는 순방향 폴링 기간과 연계된 업링크 전송 기간에 폴링 신호에 응답한다. 상기 연계된 업링크 전송 기간은 자신과 연계된 기지국의 순차 시간 간격 세트의 트래픽 데이터 전송 기간 중 일부이다. 제1 및 다른 세트의 순차 시간 간격은 사용자 단말기가 다운링크 폴링에 대하여 연계된 업링크 전송 기간 및 제1 기지국(102)으로 알려진 주파수/코드 채널에서 응답하는 것이다.
기지국(102)은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이 응답 신호를 사용하여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다운링크 처리 방식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다운링크 처리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자신과 연계된 활성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한다. TDMA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의 타이밍은 동기화되고,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105, 106, 107, 108), 및 간섭 사용자 단말기(109, 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폴링으로 동일한 타임슬롯 및 동일 주파수 채널에서 응답한다. 상기 결정된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은 상기 간섭 공동 채널 원격 단말기를 향한 간섭 경감을 포함한다.
제1 기지국(102)과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 중 하나로부터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제1 기지국(102)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 때, 사용자 단말기는 역방향 폴링 기간 도중에 제1 기지국(102)에 의하여 수신된 역방향 폴링 신호를 송신한다. 제1 기지국(102)은 역방향 폴을 수신했음을 사용자 단말기에 나타내는 송신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링크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도 록 트래픽 데이터 전송 기간 및 주파수 채널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역방향 폴 통지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지정된 업링크 트래픽 데이터 전송 기간 도중에 데이터 전송 신호를 송신한다. 데이터 전송 신호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 트래픽 데이터 전송 기간의 트레이닝 데이터 구간 내에 트레이닝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제2 기지국(111)과 같은 다른 기지국은 그들 각각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역방향 폴링 통지에 응답하여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들 신호는 제1 기지국(102)으로의 데이터 전송 신호를 간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다른 세트의 순차 시간 간격은 역방향 폴 통지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송 신호가 업링크 트래픽 데이터 전송 기간 및 제1 기지국(102)으로 알려진 주파수/코드 채널로 송신된다는 것이다. 제1 기지국(102)은 역방향 폴링 통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이 응답을 사용하여 자신과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도록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처리 방식을 결정한다.
제1 기지국(102)은 상기 결정된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사용하여 자신과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TDMA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의 타이밍은 동기화되고,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105, 106, 107, 108) 및 가능하게는 간섭 사용자 단말기(109, 110)는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역방향 폴 통지에 대하여 동일한 타임슬롯 및 동일한 주파수 채널에서 응답할 수 있다.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은 상기와 같은 간섭 사용자로부터의 간섭 경감을 포함하도록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100)은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각각 갖는 제1 기지국(102) 및 하나 이상의 다른 기지국(111)을 포함하고, 제1 기지국(102) 및 다른 기지국(111)은 동일하게 구성된 세트의 순차 시간 간격을 사용함으로써, 제1 세트의 순차 시간 간격 및 다른 세트의 순차 시간 간격이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지 제1 기지국(102)만이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갖는다.
도 5(B)에 도시된 신호의 대안으로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역방향 폴링 기간 및 순방향 폴링 기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역방향 폴링 신호에 대한 수신을 통지하고, 대응하는 순방향 폴링 기간 도중에 선택된 역방향 폴 통지 신호에 의하여 데이터 전송 구간을 지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순방향 폴링의 경우, 데이터 전송 기간의 개시 시에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트레이닝 신호의 송신에는 사용자 단말기가 순방향 폴링 신호를 수신하였음을 기지국에 통지하는 충분한 정보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지가 필요하지 않다.
다른 실시예는 기지국에 의하여 송신된 오버헤드 발신 및 폴링 신호가 원격 단말기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될 수 있는 가능성이 증가되도록 상이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버헤드 발신 및 폴링 신호는 어레이 소자(104)를 사용하여 광범위한 빔을 통하여 송신된다(예를 들면, 1997년 12월 12일 골드버그에 허여되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08/988,519호를 참조).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의 응답 시 트레이닝 신호보다 파일럿 톤을 더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트레이닝 신호 또는 파일럿 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공지된 "블라인드" 방법을 사용하여 제1 기지국(102)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가중치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가중치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도록 다른 공지된 폴링 배열로 변형시킬 수 있다. 변형될 수 있는 상기 프로토콜은 Z.Zhang 및 A.S.Amapora에 의한 Proc. GLOBECOM'91,("Zhang"), A.S. Amapora 및 S.V. Krishnamurthy에서의 "Performance of a modified polling strategy for broadband wireless LANs in a harsh fading environment", Proc. ICUPC' 97, San Diego, CA, 1997("Amapora 및 Krishnamurthy")에서의 "New adaptive MAC layer protocol for wireless ATM networks in harsh fading and interference environments", 및 S.V. Krishnamurthy, A.S Amapora, 및 M. Zorzi에의한 Proc. ICUPC' 98 pp. 337-341, 1998("Krishnamurthy")에서의 "Polling based media access protocol for use with smart adaptive array antennas"에 제안되어 있다. Zhang은 기지국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이 순차 폴링하는 각각의 원격 단말기에 의하여 자신의 가중치 파라미터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토큰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원격 단말기는 폴링 요구에 대하여 정보 요구 또는 비모듈 파일럿 톤으로 응답하고, 응답 모두는 가중치를 업데이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Zhang 방법이 본 발명에 결합되도록 변형시키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 및 하나 이상의 다른 기지국에 의하여 사용된 프로토콜이 협동하여 정보 요구 또는 비모듈 파 일럿 신호가 제1 기지국(102)로 알려진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제2 기지국(111)과 같은 다른 기지국의 원격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고, 제1 기지국(102)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되어 다른 기지국과 연계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간섭 경감을 제공할 수 있다. Amapora 및 Krishnamurthy는 Zhang보다 더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미디어 액세스(MAC)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양 방향으로의 각각의 송신은 원격 대 기지국 파일럿 신호가 바로 선행하여 어레이를 상기 원격 사용자 단말기에 즉시 적응시키는데 사용된다. Amapora 및 Krishnamurthy 방법에 대한 변형은 유사할 수 있다. Krishnamurthy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원격 사용자 단말기는 자신의 정보 요구를 기지국과 자신 사이의 임의의 정보로 피드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전 프레임으로 정보가 전송되지 않은 원격 사용자 단말기만이 현재 프레임으로 폴링된다. 따라서, 프레임 사이즈는 일정하지 않고 적어도 포함된 폴 개수에 따라 변한다. 제1 변형예에 있어서, 기지국은 각각의 폴에서 원격 사용자 단말기는 한 가지 미해결 요구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제한된 폴링을 사용하고, 제2 변형예에 있어서, 기지국은 각각의 원격 사용자 단말기를 철저하게 폴링하고, 원격 사용자 단말기는 폴링되었을 때 모든 미해결 요구를 송신한다. 변형된 Krishnamurthy 방법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이 방법은 특정의 기지국에 의하여 사용된 프로토콜이 다른 기지국에 의하여 사용된 프로토콜과 협동함으로써 원격 사용자 단말기가 특정의 기지국에 이용가능한 시간/주파수 위치에서 응답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TDMA 시스템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FDMA 및 CDMA 시스 템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콤비네이션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기기 판독식 매체 상에 기억된 정보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현되고, 이 정보는 기기(예를 들면, 기지국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같은 통신 장치에 의하여 사용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의하여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적어도 일부분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스트럭션 세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기억 소재(예를 들면, 자기 기억 디스크, 광 디스크 등) 및/또는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ROM, RAM, DRAM, SRAM,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와 같은 하나 이상의 범용 및/또는 특정의 처리기를 기지국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 중의 사용자 단말기는 각종 유형의 통신 장치를 지칭할 수 있고, 입력 및/또는 출력 장치 및/또는 처리기에 결합시켜 인터넷 또는 다른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상에 음성 통신, 데이터 통신과 같은 각종 유형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신. 특히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이용하는 셀방식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만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무선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예를 들면,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하는 통신국과 같은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임의의 유형의 구조 또는 공기 경계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TDMA, FDMA, 또 는 CDMA, 및 TDD 또는 FDD, 혹은 다른 구조/프로토콜 중 하나 또는 이들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경 및 변형할 수 있고, 이들 변경 및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8)

  1.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가진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1 원격 통신 장치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에 송신하기 전에 제1 폴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폴을 성공적으로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제1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다른 원격 통신 장치가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제2 폴을 성공적으로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방식은 제1 또는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1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원격 통신 장치까지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도중에 수신할 수 있는 간섭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제1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1 원격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프로토콜과 협동하는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도중에 수신할 수 있는 상기 제1 및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제2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다른 원격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은 제1 다운링크 채널 상에서 송신되고, 상기 제1 업링크 응답 신호는 상기 제1 다운링크 채널과 연계되고 상기 채널과 소정의 관계를 갖는 제1 업링크 채널 상에서 수신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폴은 하나 이상의 제2 다운링크 채널 상에서 송신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업링크 응답 신호는 각각의 제2 다운링크 채널과 각각 연계되고 상기 채널과 소정의 관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계 업링크 채널 상에서 수신되는 무선 통신 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다운링크 채널 및 연계 채널은 기존 TDMA 채널이고,
    상기 제1 연계 업링크 채널 및 상기 제2 연계 업링크 채널은 동기화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채널 및 상기 제2 다운링크 채널은 동기화되는 무선 통신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통신 시스템의 제1 기지국이고,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연계된 원격 사용자 단말기이며,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제2 기지국이고, 상기 다른 원격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기지국과 연계된 원격 사용자 단말기이며, 상기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1 기지국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1 기지 국으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단말기에 하나 이상의 다른 폴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폴을 성공적으로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상기 제1 기지국의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추가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은 추가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과 연계된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단말기까지 간섭을 완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셀 방식 기지국(cellular base station)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는 복수의 제2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는 원격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형인 무선 통신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는 음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는 인터넷 상에서 교환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상기 안테나 소자에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결정된 수신 가중치 파라미터 세트에 따라 안테나 소자에서 수신하도록 신호의 업링크 공간 처리를 위한 메커니즘, 및 전송 가중치 파라미터 세트에 따라 송신하도록 신호의 다운링크 공간 처리를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도중에 수신된 상기 제1 및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업링크 가중치 파라미터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업링크 가중치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상기 다운링크 가중치 파라미터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다른 원격 통신 장치는 프레임별로 양방향 통신되고, 상기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가장 최근 프레임에서 수신된 상기 제1 및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응답 신호는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각각의 프레임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에 의하여 송신된 통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블라인드 방법, 및 가장 최근에 수신된 제1 및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가중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는 트레이닝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트레이닝 데이터 및 가장 최근에 수신된 제1 및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가중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원격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는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
    상기 안테나 부재에 결합되어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1 원격 통신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에 송신하기 전에 제1 폴을 상기 원격 통신 장치에 추가로 송신하는 다운링크 전송 장치,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장치가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제2 폴을 성공적으로 수신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다른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추가로 수신하는 업링크 수신 장치, 및
    상기 다운링크 전송 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업링크 수신 장치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업링크 수신 장치가 제1 및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도중에 수신할 수 있는 상기 제1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원격 통신 장치에 간섭 완화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을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결정하는 처리기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 장치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도중에 수신할 수 있는 상기 제1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및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2 통신 장치와 협동하는
    제1 통신 장치.
  46. 삭제
  47. 삭제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전송 장치는 상기 제1 폴을 송신하는 제1 다운링크 채널을 제공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폴을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다운링크 채널을 제공하며, 상기 업링크 수신 장치는 상기 제1 폴을 수신하는 제1 연계 업링크 채널 및 하나 이상의 제2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계 업링크 채널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업링크 채널은 상기 제1 다운링크 채널과 연계되어 상기 제1 다운링크 채널과 소정의 관계를 가지며, 상기 제2 연계 업링크 채널은 각각의 상기 제2 다운링크 채널과 각각 연계되어 각각의 상기 제2 다운링크 채널과 소정의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채널, 상기 제2 다운링크 채널, 상기 제1 연계 업링크 채널, 및 상기 제2 연계 업링크 채널은 기존 TDMA 채널이며,
    상기 제1 연계 업링크 채널 및 상기 제2 연계 업링크 채널은 동기화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채널 및 상기 제2 다운링크 채널은 동기화되는, 제1 통신 장치.
  49. 삭제
  50. 삭제
  51.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장치와 연계된 원격 사용자 단말기이고, 상기 다른 원격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장치와 연계된 원격 사용자 단말기이며,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단말기와 연계되고,
    상기 다운링크 전송 장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기 전에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통신 장치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단말기에 하나 이상의 추가 폴을 송신하고,
    상기 업링크 수신 장치는 상기 추가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추가 폴을 성공적으로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장치와 연계된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결정된 다운링크 스마트 안테나 처리 방식은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다른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간섭을 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통신 장치.
  52.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및 음성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제1 통신 장치.
  5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채널, 상기 제2 다운링크 채널, 상기 제1 연계 업링크 채널, 및 상기 제2 연계 업링크 채널은 기존의 TDMA 채널, FDMA 채널, 및 기존의 CDMA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인 무선 통신 방법.
  54.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전송 장치는 상기 제1 폴을 송신하는 제1 다운링크 채널을 제공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폴을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다운링크 채널을 제공하며, 상기 업링크 수신 장치는 상기 제1 폴을 수신하는 제1 연계 업링크 채널 및 하나 이상의 제2 업링크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계 업링크 채널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업링크 채널은 상기 제1 다운링크 채널과 연계되어 상기 제1 다운링크 채널과 소정의 관계를 가지며, 상기 제2 연계 업링크 채널은 각각의 상기 제2 다운링크 채널과 각각 연계되어 각각의 상기 제2 다운링크 채널과 소정의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채널, 상기 제2 다운링크 채널, 상기 제1 연계 업링크 채널, 및 상기 제2 연계 업링크 채널은 기존의 TDMA 채널, FDMA 채널, 및 기존의 CDMA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인 제1 통신 장치.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KR1020037004465A 2000-09-29 2001-09-26 스마트 안테나 처리를 가진 무선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의 협동적 폴링 KR100809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677,460 US6795409B1 (en) 2000-09-29 2000-09-29 Cooperative polling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smart antenna processing
US09/677,460 2000-09-29
PCT/US2001/030175 WO2002028119A2 (en) 2000-09-29 2001-09-26 Cooperative polling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smart antenna proces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847A KR20030036847A (ko) 2003-05-09
KR100809564B1 true KR100809564B1 (ko) 2008-03-04

Family

ID=24718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465A KR100809564B1 (ko) 2000-09-29 2001-09-26 스마트 안테나 처리를 가진 무선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의 협동적 폴링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95409B1 (ko)
EP (1) EP1325641B1 (ko)
JP (1) JP4933023B2 (ko)
KR (1) KR100809564B1 (ko)
CN (1) CN100521575C (ko)
AU (2) AU1127202A (ko)
DE (1) DE60111761T2 (ko)
WO (1) WO200202811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9879A1 (en) 1999-05-21 2009-09-03 Wi-La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width request/grant protoco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925068B1 (en) 1999-05-21 2005-08-02 Wi-La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bandwidt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817666B2 (en) * 1999-05-21 2010-10-19 Wi-Lan, Inc.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ly obtaining bandwidth allocation requests
US8462810B2 (en) * 1999-05-21 2013-06-11 Wi-Lan, Inc.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ly obtaining bandwidth allocation requests
US7006530B2 (en) * 2000-12-22 2006-02-28 Wi-Lan, Inc.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ly obtaining bandwidth allocation requests
US8363744B2 (en) 2001-06-10 2013-01-29 Aloft Media, Llc Method and system for robust, secure, and high-efficiency voice and packet transmission over ad-hoc, mesh, and MIMO communication networks
JP2002010339A (ja) * 2000-06-23 2002-01-11 Ntt Docomo Inc チャネル割当方法および通信装置
US6982968B1 (en) * 2000-09-29 2006-01-03 Arraycomm, Inc. Non-directional transmitting from a wireless data base station having a smart antenna system
US7043259B1 (en) 2000-09-29 2006-05-09 Arraycomm, Inc. Repetitive paging from a wireless data base station having a smart antenna system
US7062294B1 (en) * 2000-09-29 2006-06-13 Arraycomm, Llc. Down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base station with a smart antenna system
US7978673B1 (en) * 2000-12-29 2011-07-12 Intel Corporation Channel allocation based on random plus planned processes
US6947768B2 (en) * 2001-09-28 2005-09-20 Kabushiki Kaisha Toshiba Base station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US7349667B2 (en) * 2001-10-19 2008-03-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implified noise estimation and/or beamform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7113786B2 (en) * 2002-03-08 2006-09-26 Ipr Licensing, Inc. Antenna adaptation to manage the active set to manipulate soft hand-off regions
CN1172549C (zh) * 2002-03-27 2004-10-2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智能天线移动通信系统传输高速下行包交换数据的方法
US7539496B1 (en) 2002-03-28 2009-05-26 Intel Corporation Channel assignment based on spatial strategies in a wireless network using adaptive antenna arrays
US7139274B2 (en) * 2002-08-23 2006-11-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 data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031336B2 (en) * 2002-08-26 2006-04-18 Colubris Networks, Inc. Space-time-power scheduling for wireless networks
US7729316B2 (en) 2002-09-30 2010-06-01 Intel Corporation Receiving signals on a channel used for traffic and access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20040063465A1 (en) 2002-09-30 2004-04-01 Uhlik Christopher R. Hopping hardware resources during pag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606192B2 (en) 2002-09-30 2009-10-20 Intel Corporation Transmitting signals on a channel used for traffic and access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8412106B2 (en) 2002-11-04 2013-04-02 Xr Communications, Llc Directed wireless communication
CN100344120C (zh) * 2003-01-15 2007-10-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局域网中接入点发送下行数据的方法
US7302278B2 (en) * 2003-07-03 2007-11-27 Rotan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throughput multiple radio sectorized wireless cell
US7839836B2 (en) 2003-08-08 2010-11-23 Intel Corporation Arranging SDMA poll groups by response length
US20050144307A1 (en) * 2003-12-15 2005-06-30 Qinghua Li Back-end alignment to avoid SDMA ACK time-out
KR100751161B1 (ko) * 2003-08-08 2007-08-22 인텔 코포레이션 멀티캐스트 sdma 트레이닝 폴을 위한 장치 및 방법과 머신 판독 가능한 매체
US7065144B2 (en) 2003-08-27 2006-06-20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independent spatial processing for wideband MISO and MIMO systems
US9226308B2 (en) 2003-10-15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edium access control
US8462817B2 (en) 2003-10-15 2013-06-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ultiplexing protocol data units
US8284752B2 (en) 2003-10-15 2012-10-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edium access control
US8842657B2 (en) * 2003-10-15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High speed media access control with legacy system interoperability
US8483105B2 (en) 2003-10-15 2013-07-09 Qualcomm Incorporated High speed media access control
CN102571801B (zh) * 2003-10-15 2015-09-09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对等数据通信的方法
US8233462B2 (en) * 2003-10-15 2012-07-31 Qualcomm Incorporated High speed media access control and direct link protocol
US8472473B2 (en) 2003-10-15 2013-06-25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LAN protocol stack
US20050111427A1 (en) * 2003-11-21 2005-05-26 Qinghua Li SDMA training and operation
US8699508B2 (en) 2003-12-18 2014-04-15 Intel Corporation Response scheduling for multiple receivers
US8903440B2 (en) 2004-01-29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Distributed hierarchical scheduling in an ad hoc network
US7818018B2 (en) 2004-01-29 2010-10-19 Qualcomm Incorporated Distributed hierarchical scheduling in an AD hoc network
US8315271B2 (en) 2004-03-26 2012-11-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hoc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564814B2 (en) 2004-05-07 2009-07-2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mode and rate selec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01018B2 (en) 2004-06-02 2013-03-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a wireless network
JP2005354126A (ja) * 2004-06-08 2005-12-22 Hitachi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無線通信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TWM259411U (en) * 2004-06-11 2005-03-11 Quanta Comp Inc Automatic sliding mechanism
DE102004028703A1 (de) * 2004-06-14 2005-12-29 Siemens Ag Verfahren zur Zuweisung von Übertragungskapazitäten bei einer Signalübertragung, Basisstation und mobiles Endgerät
US7263335B2 (en) 2004-07-19 2007-08-28 Purewave Networks, Inc. Multi-connection, non-simultaneous frequency diversity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s
US7882412B2 (en) * 2004-10-05 2011-02-01 Sanjiv Nanda Enhanced block acknowledgement
ATE379900T1 (de) * 2004-12-09 2007-12-15 Research In Motion Ltd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ZWEI ODER MEHRERE ß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DTIM)ß PERIODEN IN DRAHTLOSEN NETZEN
US7489282B2 (en) * 2005-01-21 2009-02-10 Rotan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ntenna module
US8005032B2 (en) * 2005-01-21 2011-08-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aintaining 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DTIM) periods on a per-wireless client device basis
US7593417B2 (en) * 2005-01-21 2009-09-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ling broadcast and multicast traffic as unicast traffic in a wireless network
EP1882328B1 (en) * 2005-05-11 2015-07-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s session management
US8600336B2 (en) 2005-09-12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with reverse direction gra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965292B2 (en) * 2005-10-26 2015-02-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DE602005004619T2 (de) * 2005-11-04 2009-04-30 Alcatel Lucent Zuweisung von Frequenzen mit begrenzter Leistung zur Verbesserung von Interzellinterferenzen
EP1784032A1 (en) * 2005-11-04 2007-05-09 Alcatel Lucent Method for performing user allocation in SDMA systems, and corresponding base station
JP4732175B2 (ja) * 2006-01-30 2011-07-27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移動局及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CA2866948C (en) 2006-02-28 2017-05-16 Helvetia Ip Ag Methods and apparatus for overlapping mimo antenna physical sectors
US20080153501A1 (en) * 2006-12-20 2008-06-26 Motorola, Inc. Smart antenna for common channel incremental redundancy
CN103281168B (zh) * 2008-10-28 2016-06-29 富士通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及其方法、无线通信终端装置和无线基站装置
US8211408B2 (en) * 2008-11-25 2012-07-03 The Proctor & Gamble Company Low pH oral care compositions with fused silica
US8551457B2 (en) 2008-11-25 2013-10-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spherical fused silica
WO2010061713A1 (ja) * 2008-11-26 2010-06-03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制御方法
US9026124B2 (en) * 2009-03-31 2015-05-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9264097B2 (en) 2009-06-04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for down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336193A1 (en) 2012-06-19 2013-12-19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information for assisting user equipment
CN104768520B (zh) 2012-11-05 2017-06-13 宝洁公司 热处理的沉淀二氧化硅
US9793967B2 (en) * 2013-11-21 2017-10-17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Weighted sum data rate maximization using linear transceivers in a full-duplex multi-user MIMO system
US9781685B2 (en) 2013-11-21 2017-10-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elf-adaptive coverage of wireless networks
CN105101044B (zh) * 2014-05-08 2020-03-10 夏普株式会社 寻呼消息接收/发送方法及其相关设备
CN105635980A (zh) * 2014-10-31 2016-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信号处理方法、设备和系统
CN106160806B (zh) * 2015-04-03 2021-01-08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执行干扰协调的方法和设备
WO2019142524A1 (ja) * 2018-01-16 2019-07-25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CN111130632B (zh) * 2019-12-10 2023-10-24 陕西烽火实业有限公司 一种基于多信道接收的无线通信系统及相互通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4794A (en) 1996-01-25 1997-11-04 Hazeltine Corporation Validation of subscriber signals in a cellular radio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5468A (en) 1970-02-25 1972-05-23 Air Land Systems Co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3704465A (en) 1970-08-28 1972-11-28 Hazeltine Corp Angular position determining system compensated for doppler
US3798645A (en) 1970-08-28 1974-03-19 Hazeltine Corp Angular position determining systems using time scanned arrays
DE2203442C2 (de) 1972-01-25 1974-04-11 Standard Elektrik Lorenz Ag Funknavigationssystem mit zyklischer Impulsabstrahlung durch eine Strahlerzeile zur Azimut- oder Elevationsbestimmung
US3946385A (en) 1975-01-20 1976-03-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Interferometric navigation and guidance system
US4005379A (en) 1975-11-04 1977-01-25 Lockheed Electronics Co., Inc. R.F. power distribution network for phased antenna array
US4035746A (en) 1976-09-07 1977-07-12 The Bendix Corporation Concentric broadband power combiner or divider
US4085319A (en) 1977-02-01 1978-04-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patial-multiplex, spatial-diversity optical communication scheme
US4128740A (en) 1977-02-14 1978-12-05 Motorola, Inc. Antenna array for a cellular RF communications system
US4263568A (en) 1979-03-12 1981-04-21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Large scale low-loss combiner and divider
US4316191A (en) 1980-04-14 1982-02-16 The Bendix Corporation Low angle radar processing means
US4375622A (en) 1981-04-20 1983-03-01 Motorola, Inc. Multiport radio frequency signal combiner
US4434505A (en) 1982-12-01 1984-02-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Interference cancelling system for a mobile subscriber access communications system
US4827395A (en) 1983-04-21 1989-05-02 Intelli-Tech Corporation Manufacturing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US4475010A (en) 1983-05-05 1984-10-02 At&T Bell Laboratories High density cellular mobile radio communications
GB2147760B (en) 1983-10-07 1987-04-15 Racal Res Ltd Direction finding systems
US4796291A (en) 1983-10-28 1989-01-03 Nec Corporation Mobil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4737975A (en) 1984-09-18 1988-04-12 Metrofone, Inc. Programmable system for interfacing a standard telephone set with a radio transceiver
US4775997A (en) 1984-09-18 1988-10-04 Metrofone, Inc. System for interfacing a standard telephone set with a radio transceiver
US4658096A (en) 1984-09-18 1987-04-14 Metrofone, Inc. System for interfacing a standard telephone set with a radio transceiver
US4639914A (en) 1984-12-06 1987-01-27 At&T Bell Laboratories Wireless PBX/LAN system with optimum combining
US4829554A (en) 1985-01-31 1989-05-09 Harris Corporation Cellular mobile telephone system and method
US4639732A (en) 1985-02-22 1987-01-27 Allied Corporation Integral monitor system for circular phased array antenna
US4972151A (en) 1985-10-01 1990-11-20 Hughes Aircraft Company Steered-beam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US4750147A (en) 1985-11-06 1988-06-07 Stanford University Method for estimating signal source locations and signal parameters using an array of signal sensor pairs
US4965732A (en) 1985-11-06 1990-10-2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ignal reception and parameter estimation
US4742356A (en) 1985-12-09 1988-05-03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mote object orientation and position
US4737794A (en) 1985-12-09 1988-04-12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mote object orientation and position
US4922517A (en) 1987-04-08 1990-05-01 Metrofone, Inc. System for interfacing a standard telephone set with a radio transceiver
JPH0616603B2 (ja) 1988-01-14 1994-03-02 東京電力株式会社 移動体通信方式
JPH0622345B2 (ja) 1988-01-14 1994-03-23 東京電力株式会社 移動体通信方式
EP0328100B1 (en) 1988-02-10 1995-06-21 Nec Corporation High throughput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digital mobile station when crossing a zone boundary during a session
US4855748A (en) 1988-03-18 1989-08-08 Allied-Signal Inc. TCAS bearing estimation receiver using a 4 element antenna
US4837800A (en) 1988-03-18 1989-06-06 Motorola, Inc. Cellular data telephone system and cellular data telephone therefor
US5041833A (en) 1988-03-28 1991-08-20 Stanford Telecommunications, Inc. Precise satellite ranging and timing system using pseudo-noise bandwidth synthesis
JPH063886B2 (ja) 1988-06-14 1994-01-12 富士通株式会社 折り返し試験機
US4910794A (en) 1988-08-04 1990-03-20 Norand Corporation Mobile radio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4965849A (en) 1988-09-29 1990-10-23 Sony Corporation Cordless telephone
US5255210A (en) 1988-10-28 1993-10-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elf-coherence restoring signal ex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US5299148A (en) 1988-10-28 1994-03-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elf-coherence restoring signal extraction and estimation of signal direction of arrival
US5638375A (en) 1988-11-30 1997-06-10 Motorola, Inc. AGC isolation of information in TDMA systems
US4965850A (en) 1989-01-23 1990-10-23 Schloemer Jerry R System for and method of assigning frequencies in a communications system with no central control of frequency allocation
US4940963A (en) 1989-03-10 1990-07-10 Motorola Inc. Paging system with improved acknowledge-back capabilities
US4926186A (en) 1989-03-20 1990-05-15 Allied-Signal Inc. FFT-based aperture monitor for scanning phased arrays
US5052799A (en) 1989-07-17 1991-10-01 Thurman Sasser Object orienting systems and systems and processes relating thereto
JP2854346B2 (ja) 1989-09-19 1999-02-0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チャネル割当方法
US5124697A (en) 1989-10-16 1992-06-23 Motorola, Inc. Acknowledge-back pager
GB2237706A (en) 1989-11-03 1991-05-08 Racal Res Ltd Radio communications link with diversity
US5142253A (en) 1990-05-02 1992-08-25 Raytheon Company Spatial field power combiner having offset coaxial to planar transmission line transitions
US5103459B1 (en) 1990-06-25 1999-07-06 Qualcomm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ignal waveforms in a c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US5159593A (en) 1990-07-02 1992-10-27 Motorola, Inc. Channel acquistion and handoff method and apparatus for a TDMA communication system
US5276908A (en) 1990-10-25 1994-01-04 Northern Telecom Limited Call set-up and spectrum sharing in radio communication on systems with dynamic channel allocation
FI86492C (fi) 1990-12-28 1992-08-25 Telenokia Oy Arrangemang foer att bilda en radiotestslinga.
US5276907A (en) 1991-01-07 1994-01-0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tribution of a communication channel load in a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system
WO1993000750A1 (en) 1991-06-25 1993-01-0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link
US5592490A (en) 1991-12-12 1997-01-07 Arraycomm, Inc. Spectrally efficient high capacit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5828658A (en) 1991-12-12 1998-10-27 Arraycomm, Inc. Spectrally efficient high capacit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th spatio-temporal processing
US5515378A (en) 1991-12-12 1996-05-07 Arraycomm, Inc.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5546090A (en) 1991-12-12 1996-08-13 Array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ntenna arrays
SG50659A1 (en) 1992-04-10 1998-07-20 Ericsson Ge Mobile Inc Random access in mobile telephone system
US5262789A (en) 1992-04-30 1993-11-16 General Electric Company Source identification system for closely separated spatial sources
US5367559A (en) 1992-05-11 1994-11-22 Hughes Aircraft Company Sequential power estimation for cellular system handoff
US5274844A (en) 1992-05-11 1993-12-28 Motorola, Inc. Beam pattern equalization method for an adaptive array
US5260968A (en) 1992-06-23 1993-11-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communications signals through blind adaptive spatial filtering
JP2973719B2 (ja) 1992-07-15 1999-11-08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クタセル基地局の試験用送受信装置
US5283540A (en) 1992-07-27 1994-02-01 At&T Bell Laboratories Compact signal isolating microwave splitters/combiners
AU670955B2 (en) 1992-08-04 1996-08-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obile radio system
US5465399A (en) 1992-08-19 1995-11-07 The Boe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tted power in a radio network
EP0593822B1 (en) 1992-10-19 1996-11-20 Nortel Networks Corporation Base station antenna arrangement
FR2706100B1 (fr) 1993-03-03 1995-07-21 Alcatel Mobile Comm France Procédé pour égaliser un bloc de données en réception dans un système de communications à accès multiple à répartition dans le temps et récepteur mettant en Óoeuvre ce procédé.
US5379320A (en) 1993-03-11 1995-01-03 Southern California Edison Company Hitless ultra small aperture terminal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US5361303A (en) 1993-04-01 1994-11-01 Noise Cancellation Technologies, Inc. Frequency domain adaptive control system
US5471647A (en) 1993-04-14 1995-11-28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 for minimizing cross-talk in adaptive transmission antennas
SE9301695L (sv) 1993-05-17 1994-09-12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nordning vid kanalutnyttjandet i ett radiokommunikationssystem
JP2518156B2 (ja) 1993-07-19 1996-07-24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のチャネル割当方式
GB2280335B (en) 1993-07-22 1997-05-28 Northern Telecom Ltd Mobile communications
US5335249A (en) 1993-07-29 1994-08-02 Seattle Silic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US5448621A (en) 1993-08-02 1995-09-05 Motorola, Inc. Dynamic reallocation of spectral capacity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GB2281175B (en) 1993-08-12 1998-04-08 Northern Telecom Ltd Base station antenna arrangement
EP0647981A3 (en) * 1993-08-12 1995-06-28 Northern Telecom Ltd Antenna device for base station.
GB2281011B (en) 1993-08-12 1998-04-08 Northern Telecom Ltd Base station antenna arrangement
GB2281660B (en) 1993-09-03 1997-04-16 Matra Marconi Space Uk Ltd A digitally controlled beam former for a spacecraft
US5440281A (en) 1993-09-07 1995-08-08 Allen Telecom Group, Inc. Multichannel transmitter combiners employing cavities having low output impedance
US5557657A (en) 1993-09-09 1996-09-17 Hughes Aircraft Company Handoff between overlay and underlay cells
JP3255319B2 (ja) 1993-09-14 2002-02-12 ソニー株式会社 緊急メツセージ通信方法
FI934052A (fi) 1993-09-15 1995-03-16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radiovastaanotinyksikön toiminnan valvomiseksi sekä vastaanotinyksikkö
TW351886B (en) 1993-09-27 1999-02-01 Ericsson Telefon Ab L M Using two classes of channels with different capacity
JP2626514B2 (ja) 1993-11-08 1997-07-02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送受信装置
US5387915A (en) 1993-11-16 1995-02-07 B. F. Goodrich Flight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decoding transponder reply signals
US5625885A (en) 1993-12-15 1997-04-29 Fujitsu Limit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pagers for providing two-way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s
JP2661533B2 (ja) 1993-12-27 1997-10-0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のチャネル割当方式
US5673291A (en) 1994-09-14 1997-09-30 Ericsson Inc. Simultaneous demodulation and decoding of a digitally modulated radio signal using known symbols
FR2715488B1 (fr) 1994-01-21 1996-03-22 Thomson Csf Procédé et dispositif permettant à un modem de se synchroniser sur un transmetteur de données numériques par voie hertzienne en présence de brouilleurs.
US5566209A (en) 1994-02-10 1996-10-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Transceiver algorithms of antenna arrays
US5553074A (en) 1994-03-04 1996-09-03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Transmission format in packet based communications
US5548813A (en) 1994-03-24 1996-08-20 Ericsson Inc. Phased array cellular base station and associated methods for enhanced power efficiency
US5621752A (en) 1994-06-23 1997-04-15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sectorization 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FI96550C (fi) 1994-06-30 1996-07-1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Summausverkko
ZA955605B (en) 1994-07-13 1996-04-10 Qualcomm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user interference received by subscriber units 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network
US5596625A (en) 1994-09-28 1997-01-21 U S Wes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routing emergency calls during busy interface channel conditions
US5530449A (en) 1994-11-18 1996-06-25 Hughes Electronics Phased array antenna management system and calibration method
GB2295524A (en) 1994-11-28 1996-05-29 Northern Telecom Ltd Beamed antenna system for a cellular radio base station
US5532706A (en) 1994-12-05 1996-07-02 Hughes Electronics Antenna array of radiators with plural orthogonal ports
US5684836A (en) 1994-12-22 1997-11-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ceiver with automatic frequency control
JPH08331647A (ja) 1995-06-01 1996-12-13 Nec Corp Phsの制御方法と制御システム
US5694416A (en) 1995-02-24 1997-12-02 Radix Technologies, Inc.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receiver and antenna array for the simultaneous formation of a beam on a signal source and a null on an interfering jammer
US5649287A (en) 1995-03-29 1997-07-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Orthogonalizing methods for antenna pattern nullfilling
JP2751869B2 (ja) 1995-04-28 1998-05-18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ダイバシティ方式
US5748676A (en) 1995-05-01 1998-05-05 Norand Corporation Network utilizing modified preambles that support antenna diversity
US6018317A (en) 1995-06-02 2000-01-25 Trw Inc. Cochannel signal processing system
US5689502A (en) 1995-06-05 1997-11-18 Omnipoint Corporation Efficient frequency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system with interleaved format and timing adjustment control
US5606729A (en) 1995-06-21 1997-02-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received signal quality measurement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726978A (en) 1995-06-22 1998-03-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daptive channel alloc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system
JP3125644B2 (ja) 1995-09-13 2001-01-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復調装置
US5774461A (en) 1995-09-27 1998-06-30 Lucent Technologies Inc. Medium access control and air interface subsystem for an indoor wireless ATM network
JP2739850B2 (ja) 1995-10-11 1998-04-1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
US5732076A (en) 1995-10-26 1998-03-24 Omnipoint Corporation Coexisting communication systems
US5819182A (en) 1995-11-13 1998-10-06 Pacific Communication Scien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eceiver performance in a lan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5815116A (en) 1995-11-29 1998-09-29 Trw Inc. Personal beam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GB2309616B (en) 1996-01-27 2000-05-17 Motorola Ltd A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channels therein
JPH09219615A (ja) * 1996-02-14 1997-08-19 Toshiba Corp アダプティブアレイ送受信装置の指向性制御方法と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アダプティブアレイ送受信装置
US5697066A (en) 1996-03-07 1997-12-09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Media access protocol for packet access within a radio cell
GB2313261B (en) 1996-05-17 2000-08-30 Motorola Ltd Devices for transmitter path weights and methods therefor
IL120574A (en) 1996-05-17 2002-09-12 Motorala Ltd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mitter track weights
US5884148A (en) 1996-07-08 1999-03-16 Omnipoint Corporation Wireless local loop system and method
US5742904A (en) 1996-07-08 1998-04-21 Motorola, Inc.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alarm support via an alternativ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825762A (en) 1996-09-24 1998-10-20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to a sectorized coverage area
US5905721A (en) 1996-09-26 1999-05-18 Cwill Telecommunications, Inc. Methods for channel estimation and signal detection of CDMA signals
US5930243A (en) 1996-10-11 1999-07-27 Array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parameters of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tenna arrays and spatial processing
US5909470A (en) 1996-10-11 1999-06-01 Array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cision directed demodulation using antenna arrays and spatial processing
US5914946A (en) 1996-11-08 1999-06-22 Lucent Technologies Inc. TDM-based fixed wireless loop system
US6144652A (en) 1996-11-08 2000-11-07 Lucent Technologies Inc. TDM-based fixed wireless loop system
FI964714A (fi) 1996-11-26 1998-05-27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hätäpuhelun varmistamiseksi langattomassa tilaajaverkkoympäristössä
US6122260A (en) * 1996-12-16 2000-09-19 Civil Telecommunications, Inc. Smart antenn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526196B2 (ja) * 1997-01-07 2004-05-10 株式会社東芝 アダプティブアンテナ
US5933421A (en) 1997-02-06 1999-08-03 At&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 for frequency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s
US5887038A (en) * 1997-04-22 1999-03-23 Golden; Glenn David Adaptive antenna array processing arrangement using a combined coherent and constant-modulus reference signal
US6018643A (en) 1997-06-03 2000-01-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ly forming an antenna beam patter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5867123A (en) 1997-06-19 1999-02-02 Motorola, Inc. Phased array radio frequency (RF) built-in-test equipment (BITE)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US6005854A (en) 1997-08-08 1999-12-21 Cwill Telecommunication, Inc. Synchronous wireless access protocol method and apparatus
US6131016A (en) 1997-08-27 2000-10-10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ommunication reception at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6108565A (en) 1997-09-15 2000-08-22 Adaptive Telecom, Inc. Practical space-time radio method for CDMA communication capacity enhancement
US6009124A (en) 1997-09-22 1999-12-28 Intel Corporation High data rate communications network employing an adaptive sectored antenna
US6037898A (en) * 1997-10-10 2000-03-14 Array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radio frequency base stations using antenna arrays
US5970394A (en) 1997-10-24 1999-10-19 Internet Mobility Corporation Method of detecting damaged cellular telephone facilities
US6154661A (en) * 1997-12-10 2000-11-28 Arraycomm, Inc. Transmitting on the downlink using one or more weight vectors determined to achieve a desired radiation pattern
US6185440B1 (en) * 1997-12-10 2001-02-06 Arraycomm, Inc. Method for sequentially transmitting a downlink signal from a communication station that has an antenna array to achieve an omnidirectional radiation
US5973638A (en) 1998-01-30 1999-10-26 Micronetics Wireless, Inc. Smart antenna channel simulator and test system
US5955992A (en) 1998-02-12 1999-09-21 Shattil; Steve J. Frequency-shifted feedback cavity used as a phased array antenna controller and carrier interference multiple access spread-spectrum transmitter
US6615024B1 (en) * 1998-05-01 2003-09-02 Array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ignatures for calibrating a communication station having an antenna array
US6067324A (en) 1998-06-30 2000-05-23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demodulating a communications signal using an adaptive antenna arra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R2782882B1 (fr) * 1998-08-26 2000-10-20 Sfr Sa Procede de test d'un reseau de radiocommunication, dispositif et station de correspondants
US6023203A (en) 1998-10-14 2000-02-08 Arraycomm, Inc. RF test fixture for adaptive-antenna radio systems
US6266528B1 (en) * 1998-12-23 2001-07-24 Arraycomm, Inc. Performance monitor for antenna arrays
JP3511580B2 (ja) * 1999-01-06 2004-03-29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アレイアンテナ
US6064865A (en) 1999-03-01 2000-05-16 Ford Motor Company Proportional diversity radio receiver system with dynamic noise-controlled antenna phasers
US6177906B1 (en) * 1999-04-01 2001-01-23 Arraycomm, Inc. Multimode iterative adaptive smart antenn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0295152A (ja) * 1999-04-01 2000-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レーアンテナ無線通信装置
US6141567A (en) * 1999-06-07 2000-10-31 Arraycomm,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forming in a changing-interference environment
US6532225B1 (en) * 1999-07-27 2003-03-11 At&T Corp Medium access control layer for packetized wireless systems
US6236839B1 (en) * 1999-09-10 2001-05-22 Utstar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smart antenna arr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4794A (en) 1996-01-25 1997-11-04 Hazeltine Corporation Validation of subscriber signals in a cellular radio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11761D1 (de) 2005-08-04
DE60111761T2 (de) 2006-05-04
US6795409B1 (en) 2004-09-21
AU2002211272B2 (en) 2007-08-09
CN100521575C (zh) 2009-07-29
WO2002028119A3 (en) 2002-06-13
JP2004511141A (ja) 2004-04-08
JP4933023B2 (ja) 2012-05-16
AU1127202A (en) 2002-04-08
KR20030036847A (ko) 2003-05-09
EP1325641B1 (en) 2005-06-29
EP1325641A2 (en) 2003-07-09
CN1478362A (zh) 2004-02-25
WO2002028119A2 (en) 200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564B1 (ko) 스마트 안테나 처리를 가진 무선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의 협동적 폴링
KR100797648B1 (ko)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구비한 기지국을 갖는 무선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 송신
US8032160B2 (en) Repetitive paging from a wireless data base station having a smart antenna system
US6982968B1 (en) Non-directional transmitting from a wireless data base station having a smart antenna system
AU2001293126A1 (en) Down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base station with a smart antenna system
AU2002211272A1 (en) Cooperative polling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smart antenna processing
JP5420812B2 (ja) 共用チャネル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複数のユーザを分離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3987727B2 (ja) ビームフォーミング方法
EP1386421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040151146A1 (en) Multi-branch OFDM transceiver
KR20060047562A (ko) 양방향 무선 통신 방법 및 양방향 무선 통신 장치
JP2004511142A (ja) アダプティブ・アレイ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モード切換
US73528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andom access det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Asakura et al. Cooperative signal reception and down-link beam forming i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s
KR101009329B1 (ko)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구비한 무선 데이터 기지국의 반복페이징
JP2007525035A (ja) スマート・アンテナ・システムを有する無線データ基地局からの無指向性送信
US101112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alignment and multi-antenna signal process in wireless network
KR20060107847A (ko)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구비한 무선 데이터 기지국의무지향성 전송
Claudino et al. Linear MMSE Channel Estimation for Underlay Cognitive Radio Networks
Liu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5G NR Transmitter With Wi-Fi Coexistence by Beamforming and Power Control
Takatori et al. Smart antenna testbed for SDMA systems using STBC
Cavalcanti et al. Using adaptive arrays for collision resolution in Slotted ALOHA packet radio systems
Lenoble et al. A practical medium access scheme for wireless ad hoc networks employing ESPAR antennas
Hunziker et al. A CSMA/CA-based medium access scheme for array antenna-enhanced wireless ad hoc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