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543B1 - 자동차루프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루프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543B1
KR100809543B1 KR1020060007798A KR20060007798A KR100809543B1 KR 100809543 B1 KR100809543 B1 KR 100809543B1 KR 1020060007798 A KR1020060007798 A KR 1020060007798A KR 20060007798 A KR20060007798 A KR 20060007798A KR 100809543 B1 KR100809543 B1 KR 100809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opening
closing
do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7919A (ko
Inventor
김승택
Original Assignee
김승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택 filed Critical 김승택
Priority to KR1020060007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543B1/ko
Publication of KR20070077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에 따라 자동으로 자동차 루프가 절첩되거나 삽탈됨으로써 도어와 면한 루프부위가 개폐되어 탑승자의 승하차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루프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개폐에 따라 자동 스위칭되도록 차체의 도어 전단부 대응위치에 설치되는 개폐스위치와, 개폐스위치로부터 스위칭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판단하여 루프 개폐신호를 발생하는 제어회로와, 도어와 면하는 부위가 각각 개방된 루프프레임과, 루프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거나 삽탈가능하게 위치된 가동루프와, 가동루프를 회전시키거나 삽탈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로 구성되고, 우천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구비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자동차의 루프가 개폐될 수 있으므로 승하차가 편리함은 물론 승하차 후 자동으로 루프가 닫히게 되어 자동차 운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것이며, 우천시에는 자동으로 도어와 루프의 연동관계를 끊어주게 되고 날씨가 양호할 때에는 도어와 루프가 연동되게 함으로써 날씨에 따른 선택적인 사용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날씨가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불안정할 때에는 운전자가 모드선택 스위치를 오프시켜 잘못 작동되는 일이 없게 하여 사용상 편의성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루프 자동개폐장치{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개방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루프 동작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스위치의 위치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시스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개방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루프 동작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 : 도어
110 : 개폐스위치 120 : 제어회로
130 : 루프프레임 131 : 가이드레일
140 : 가동루프 141 : 종동기어
142 : 렉기어 150 : 구동모터
151 : 구동기어 152 : 피니언기어
160 : 센서 170 : 배터리
180 : 모드선택스위치
본 발명은 자동차루프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에 따라 자동으로 자동차 루프가 절첩되거나 삽탈됨으로써 도어와 면한 루프부위가 개폐되어 탑승자의 승하차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자동차는 그 신속한 기동력과 수송능력으로 인해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자동차를 사용하다보면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있는데, 자동차의 높이, 도어의 폭, 도어의 개폐각에 한계가 있어 자동차에 승하차할 때 불가피하게 허리를 구부려서 타고 내려야하는 불편함도 그 중 하나이다.
이러한 승하차 시의 불편함은 신체에 장애가 있거나, 체격이 크거나, 임신 중이거나, 아이를 안았을 때 더욱 심해지는데, 실질적으로 자동차는 차종에 따라 그 크기만 차이가 있을 뿐 승하차의 편의성을 고려한 설계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도어의 개폐에 따라 개폐스위치가 자동 스위칭되고, 이러한 개폐스위치로부터 스위칭신호가 발생되면 제어회로를 통해 루프 개폐신호가 발생되며, 루프는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중앙부를 향하여 삽탈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승하차 시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루프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시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개방 시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루프 동작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스위치의 위치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시스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루프 자동개폐장치는 자동차 도어의 개폐에 따라 자동 스위칭되도록 차체(1)의 도어 전단부 대응위치에 설치되는 개폐스위치(110)와, 개폐스위치(110)로부터 스위칭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판단하여 루프 개폐신호를 발생하는 제어회로(120)와, 도어(2)와 면하는 부위가 각각 개방된 루프프레임(130)과, 루프프레임(130)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고 그 회전축부위의 일측에 종동기어(141)가 설치된 가동루프(140)와, 루프프레임(130)의 일측에 설치되고 그 축상에 가동루프(140)의 종동기어(141)에 기어결합되는 구동기어(151)가 설치되어 제어회로(120)로부터 루프 개폐신호가 발생되면 정역회전되면서 가동루프(140)를 회전시켜 개폐하는 구동모터(150)로 구성된다.
또한, 자동차의 차체 일측에는 우천시 이를 감지하는 센서(160)가 부착되고, 센서(160)로부터 발생된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회로(120)에서는 루프 개폐신호를 발생하거나, 루프 오프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자동차 내부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측에는 센서(160)의 동작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모드선택스위치(180)가 구비되어 센서(160)와 제어회로(120)를 연결하는 신호선상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루프 자동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탑승자가 자동차에 탑승하기 위해 도어(2)를 개방하면 눌려져 있던 개폐스위치(110)가 튀어나오면서 온되고, 이러한 스위칭신호가 제어회로(120)로 입력되어 제어회로(120)에서는 루프 개방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며, 루프 개방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5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동력이 구동기어(151)와 종동기어(141)를 통해 가동루프(140)의 회전축에 전달되고, 가동루프(140)는 이러한 회전력에 의해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어(2)의 개방과 동시에 가동루프(140)가 개방될 수 있으며, 탑승자가 신체를 많이 구부리지 않고도 충분히 자동차에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과정은 탑승자가 자동차에서 내릴 때에도 같은 작동과 효과를 나타낸다.
반대로, 도어(2)를 닫게 되면 스위치온되어 있던 개폐스위치(110)가 도어(2)의 전단부에 의해 눌리면서 스위치오프되고, 이러한 신호가 제어회로(120)에 입력되어 제어회로(120)에서는 루프 폐쇄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며, 루프 폐쇄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50)가 루프 개방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동력이 구동기어(151)와 종동기어(141)를 통해 가동루프(140)의 회전축에 전달되고, 가동루프(140)는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어(2)가 닫힘과 동시에 가동루프(140) 역시 닫힐 수 있어 운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이때, 개폐스위치(110), 제어회로(120), 구동모터(150)를 구동할 수 있는 전원은 자동차의 배터리(170)로부터 얻을 수 있다.
한편, 비 또는 눈이 내리는 날씨에는 오히려 루프를 개방시키지 않고 승하차함이 바람직하며, 이럴 경우에 대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체 일측에 우천시 이를 감지하는 센서(160)를 부착하고, 이 센서(160)로부터 발생된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회로(120)에서는 루프 개폐신호를 발생하거나, 루프 오프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센서(160)를 통해 비 또는 눈이 옴이 감지되면 제어회로(120)에서는 루프 오프신호를 발생시켜 구동모터(150)에 전원이 인가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도어(2)와 가동루프(140)의 연동관계를 끊어주게 되고 날씨가 좋은 날에는 센서(160)로부터 어떠한 감지신호도 발생되지 않으므로 이럴 경우 제어회로(120)에서는 루프 개폐신호를 발생시켜 상기와 같은 도어(2)와 가동루프(140)가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럴 경우 센서(160)의 감지주기를 30분 또는 1시간과 같이 일정시간 간격으로 설정하고, 그 주기별로 제어회로(120)에서는 루프 개폐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루프 오프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운전자가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측에 노출되어 있는 모드선택스위치(180)를 조작하면 센서(160)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어 날씨가 화창하거나 계속 비가 올 경우에는 센서(160)의 동작을 온시키고, 날씨가 불안정할 때에는 센서(160)의 동작을 아예 오프시켜 가동루프(140)가 도어(2)의 개폐와 상관없이 항상 열리지 않도록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써, 루프프레임(130)의 개방부위와 통하도록 양측에 각각 가이드레일(131)이 설치되고, 가동루프(140)는 루프프레임(130)의 가이드레일(131)에 얹혀져 루프프레임(130) 내측으로 삽탈되도록 바닥면 일측에는 그 삽탈방향으로 렉기어(142)가 형성되며, 이러한 렉기어(142)와 치합되도록 구동모터(150)의 축상에 피니언기어(152)가 설치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가동루프(140)가 회전되는 것이 아니고 삽탈되는 것이 다를 뿐 모든 동작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그 작용효과 역시 동등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에 따라 자동차의 루프가 개폐될 수 있으므로 승하차가 편리함은 물론 승하차 후 자동으로 루프가 닫히게 되어 자동차 운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것이며, 우천시에는 자동으로 도어와 루프의 연동관계를 끊어주게 되고 날씨가 양호할 때에는 도어와 루프가 연동되게 함으로써 날씨에 따른 선택적인 사용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날씨가 불안정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모드선택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시켜 작동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과 함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자동차 도어(2)의 개폐에 따라 자동 스위칭되도록 차체(1)의 도어 전단부 대응위치에 설치되는 개폐스위치(110)와, 상기 개폐스위치(110)로부터 스위칭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판단하여 루프 개폐신호를 발생하는 제어회로(120)와, 상기 도어(2)와 면하는 부위가 각각 개방된 루프프레임(130)과, 상기 루프프레임(130)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고, 그 회전축 부위의 일측에 종동기어(141)가 설치된 가동루프(140)와, 상기 루프프레임(130)의 일측에 설치되고, 그 축상에 상기 가동루프(140)의 종동기어(141)에 기어결합되는 구동기어(151)가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120)로부터 루프 개폐신호가 발생되면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가동루프(140)를 회전시켜 개폐하는 구동모터(150)로 구성하거나, 자동차 도어(2)의 개폐에 따라 자동 스위칭되도록 차체(1)의 도어 전단부 대응위치에 설치되는 개폐스위치(110)와, 상기 개폐스위치(110)로부터 스위칭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판단하여 루프 개폐신호를 발생하는 제어회로(120)와, 상기 도어(2)와 면하는 부위가 각각 개방되고, 그 개방부위와 통하도록 양측에 각각 가이드레일(131)이 설치된 루프프레임(130)과, 상기 루프프레임(130)의 가이드레일(131)에 얹혀져 상기 루프프레임(130) 내측으로 삽탈되도록 바닥면 일측에는 그 삽탈방향으로 렉기어(142)가 형성된 가동루프(140)와, 상기 루프프레임(130)의 일측에 설치되고, 그 축상에 상기 가동루프(140)의 렉기어(142)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52)가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120)로부터 루프 개폐신호가 발생되면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가동루프(140)를 삽탈시켜 개폐하는 구동모터(150)로 구성한 자동차루프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차체(1) 일측에는 우천시 이를 감지하는 센서(160)가 부착되고, 상기 센서(160)로부터 발생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회로(120)에서는 루프 개폐신호를 발생하거나, 루프 오프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센서(160)의 동작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모드선택스위치(180)가 구비되어 상기 센서(160)와 상기 제어회로(120)를 연결하는 신호선상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루프 자동개폐장치.
KR1020060007798A 2006-01-25 2006-01-25 자동차루프 자동개폐장치 KR100809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798A KR100809543B1 (ko) 2006-01-25 2006-01-25 자동차루프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798A KR100809543B1 (ko) 2006-01-25 2006-01-25 자동차루프 자동개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280U Division KR200416233Y1 (ko) 2006-01-25 2006-01-25 자동차루프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919A KR20070077919A (ko) 2007-07-30
KR100809543B1 true KR100809543B1 (ko) 2008-03-04

Family

ID=38502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798A KR100809543B1 (ko) 2006-01-25 2006-01-25 자동차루프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5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832U (ko) * 1997-05-29 1998-12-05 김창호 자동차의 천정도어장치
KR20010076534A (ko) * 2000-01-26 2001-08-16 이종구 자동차의 개폐식 지붕
KR20040039632A (ko) * 2002-11-04 2004-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창 및 선루프 자동 개폐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832U (ko) * 1997-05-29 1998-12-05 김창호 자동차의 천정도어장치
KR20010076534A (ko) * 2000-01-26 2001-08-16 이종구 자동차의 개폐식 지붕
KR20040039632A (ko) * 2002-11-04 2004-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창 및 선루프 자동 개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919A (ko) 2007-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60696B2 (ko)
JP4205046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制御装置
KR100809543B1 (ko) 자동차루프 자동개폐장치
KR200416233Y1 (ko) 자동차루프 자동개폐장치
EP3088222B1 (en) Vehicle
JP2586189Y2 (ja) 自動車の電動窓
JP3711516B2 (ja)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JP3926992B2 (ja) 車両用サンルーフの開閉制御装置
KR100216035B1 (ko) 자동차용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JP3711515B2 (ja)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JP4327539B2 (ja) 開閉体の閉鎖駆動装置
JP2006271764A (ja) ゴルフカート
JP3629650B2 (ja)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JP3634990B2 (ja) 位置検出装置
KR100591828B1 (ko) 와이퍼 제어장치
KR200243283Y1 (ko) 차량의윈도우자동제어장치
KR20010016967A (ko) 차량의 파워 윈도우 제어 시스템
KR19980060573U (ko) 자동차 선바이저 장치
JPH085856Y2 (ja) サンルーフ開閉制御装置
KR19980078670A (ko) 자동차의 탑승 편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9990002259A (ko) 자동차의 파워윈도우 무선제어장치
JPH055523U (ja) 自動車のパワーウインド連動式カード収納ケース
KR19980014013A (ko) 자동 닫힘기능을 갖는 차량의 파워윈도우
KR19980051422U (ko) 어린이 보호용 도어로크 개폐장치
KR20000006741U (ko) 자동차의 창문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