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821B1 -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821B1
KR100808821B1 KR1020060051651A KR20060051651A KR100808821B1 KR 100808821 B1 KR100808821 B1 KR 100808821B1 KR 1020060051651 A KR1020060051651 A KR 1020060051651A KR 20060051651 A KR20060051651 A KR 20060051651A KR 100808821 B1 KR100808821 B1 KR 100808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ist
broadcast
broadcast content
st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8714A (ko
Inventor
다니엘레 압바뎃사
텔레마코 멜리아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8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6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recognising users'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6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using the result on distributors'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동시에 가능한한 단순한 인프라구조에 있어서 프로그램 콘텐츠의 시스템적인 선택이라는 옵션을 달성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더 발전된다. 사용자는 네트워크 - 이동 무선 네트워크, 인터넷 등 - 에 접속되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설정된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를 표현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리스트가, 설정된 사용자-특정 우선순위를 사용함으로써 방송 콘텐츠로부터 생성된다. 프로그램 리스트와 함께 전달되는 방송 콘텐츠의 현재 상태 및 상태 변화를 반영하는 상태 리스트가 사용자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서 프로그램 리스트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프리젠스 기술, 우선순위

Description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CONCERNING BROADCAST CONTENTS FOR A USER}
도 1 은 개략적인 모델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형태의 제 1 예제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도 2 는 개략적인 모델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형태의 제 2 예제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도 3 은 도 2 에 따른 실시형태의 예제의 실시의 경우에 있어서의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할 때 사용자-특정 우선순위를 위해서 생성된 상태 리스트 뿐만 아니라 이들의 사용례를 개략적인 모델에서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본 발명은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네트워크 - 이동 무선 네트워크, 인터넷 등 - 에 접속되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용어 "방송" 은 광의로 공중경유로 전송되는 임의의 타입의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방송과 관련된다. 이 문서에서 제시되는 예제는 TV 방송과 주로 관련된다.
TV, 오디오 등을 방송할 때, 실제적인 오디오 또는 비디오 정보와 함께 부가적인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현재 방송되는 음악의 명칭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미래 프로그램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오랫동안 공지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접속되며 사용자가 부가적인 정보를 - 예를 들면, 인터넷으로부터 랩탑을 이용하여 또는 이동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모바일을 이용하여 - 입수하는데 있어서 경유되는 네트워크와 방송이 수신되는 출처인 방송 네트워크는 다른 네트워크들이다. 그러나, 특정한 경우에 있어서, 이런 2 개의 네트워크는 동일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터넷 라디오가 언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음악, 뉴스 등과 같은 오디오 정보 및 예를 들어, 방송 콘텐츠와 관련되는 정보와 같은 부가적인 정보가 하나의 국 (局) 으로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된다.
상술된 종류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때 사용자의 방송 수신기는 수신-준비 모드에 있어야 한다는 것, 즉, 이것은 상술된 부가적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기 위해서 틀림없이 켜져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부가적인 정보는 현재 선택된 채널의 방송 콘텐츠와만 일반적으로 관련된다.
사용자가 특정한 방송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 그는 결국에는 그의 방송 수신기를 켜야 하며 개별적인 채널을 검색한 후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찾아야 한다. 그러나, 관심있는 콘텐츠를 찾기 위한 이런 검색은 매우 시간-소비적이며 방송의 사용례를 많은 종류의 사용자에 대해서 매력적이지 않게 한다. 또한, 검색 동안 디바이스의 계속적인 동작은 증가된 전력 소비를 발생시킨다. 디바이스의 가용적인 배터리 수명시간에 관하여, 이것은 예를 들어 집적 DVB-H(Digital Vedio Broadcasting - Handheld) 수신기를 갖는 핸드세트와 같이, 일반적으로 배터리-구동되며, 집적 방송 수신기를 갖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된 종류의 발명을 설계하고 더 발전시키는 작업에 기초하며, 이에 따라서 방송 콘텐츠의 시스템적인 선택이 사용자로부터의 적은 노력으로 가능한한 가장 용이하고 가장 사용자-친숙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된 작업은 청구항 1 의 특징에 의해서 해결된다.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는 네트워크 - 이동 무선 네트워크, 인터넷 등 - 에 접속되며 방송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를 표현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리스트가 설정된 사용자-특정 우선순위를 사용함으로써 방송 콘텐츠로부터 생성되고, 상태 리스트가 사용자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서 프로그램 리스트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업데이트되며, 상태 리스트는 프로그램 리스트 내에 포함된 방송 콘텐츠의 현재 상태 및 상태 변화를 반영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선, 사용자는 프리젠스 기술 (presence technology) 을 사용함으로써 그의 개별적인 관심에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를 유리한 방식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고 인식되어 왔다. 환언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에게 그와 관련있는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 방법에 의해서 방송 서비스의 시스템적인 사용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용적인 방송 콘텐츠에 관한 그의 우선순위를 정의한 후에,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리스트가 이에 따라서 생성된다. 이런 프로그램 리스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다이나믹한 상태 리스트가 - 예를 들면 랩탑, 핸드세트 또는 모바일 상에서 - 사용자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서 생성되고 항상 업데이트되어 유지된다. 이런 상태 리스트들은 사용자 우선순위를 만족하는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운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관심있는 콘텐츠, 즉, 그의 설정된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방송되는지를 그에게 표시하는 정보를 입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관련 콘텐츠를 찾기 위한 방송 채널의 시간-소비적이고 귀찮은 검색은 결론적으로 효과적으로 피해질 수 있으며, 이것은 방송 서비스에 관한 매력의 증가를 발생시킬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배터리-구동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 에너지를 절약하는 부가적인 장점을 특히 제공하는데, 이것은 방송 수신기가 현재 방송된 사용자-특정 콘텐츠를 실제로 수신하기 위해서 필요할 때인 시점에서 방송 수신기만이 켜질 것이기 때문이다. 짧은 초기화 국면 후에, 상태 리스트는 가용적이다. 또한, 사용자에서 다이나믹한 상태 리스트를 생성하고 업데이트함으로써, 그리고 상대적으로 적은 데이터 양으로 인해서, 네트워크-측 인프라-구조는 최소로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프리젠스 기술" 은, 사용자에게 특정한 상태의 변화에 관하여 통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토콜의 부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실제로 공지된 프리젠스 기술의 명세서에 관하여, M.Day,J,Rosenberg, H. Sugano 의 IETF RFC 2778 "A Model of Presence and Instant Messaging", M.Day,S.Aggarwal,G.Mohr,J.Vincent 의 IETF RFC 2779 "Instant Messaging/Presence Protocol Requirements", 3GPP TS 23.141 v6.6.0 "Presence Service" 뿐만 아니라, OMA "The wireless Village initiative: System Architecture Model" v1.1, WV-020 가 언급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어떤 특정 프리젠스 기술에도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지적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젠스 기술의 사용은, 이 기술이 예를 들어 음성 호출, 인스턴트 메시징 등과 같은 다른 통신 서비스를 위해서 이미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특별하게 유리하다. 이러한 의미에 있어서, 예를 들어 인터넷에서의 인스턴트 메시징은 이미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제는 이동 통신 업계 내에서도 또한 증가하는 중요성을 획득하기 시작하고 있다. 인스턴트 메시징의 경우에, 메시지의 전송자는 프리젠스 기술에 의해서 잠재적인 수신기의 상태에 관하여 통지받는다. 이 메시지는 수신기가 "온라인" 이며, 따라서,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거나, "오프라인" 이며, 따라서,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정보일 수도 있다. "나는 밖에 있다", "제발 방해하지 마라" 등과 같은 다른 상태 표시들이 가능하다. 이러한 의미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방법은 용이하게 사용자 디바이스[DA1]로 통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프리젠스 기술의 사용은 또한 사용하기 용이한 (easy-to-use) 인터페이스의 지원에 관하여 유리하다.
방송 기술에 관하여 본 발명은 이러한 의미에 있어서도 어떤 제한에도 종속되지 않는다는 것이 지적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라디오, TV, 인공위성, 셀룰라 네트워크 및 IP 네트워크를 통한 스트리밍, 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 및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가 초점 맞춰져 있는 디지털 뿐만 아니라 아날로그 방송 기술 모두로 실시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환경에서, 상태 리스트에 의해서 리스트되는 상태는 방송 활동 ("방송중"/"방송중이 아님"), 방송된 콘텐츠 (뉴스/스포츠/영화/잡지/...) 및/또는 물리적 방송 채널과 관련된다. 필요하다면, 다른 부가적인 정보도 또한 상태 리스트에 부가될 수 있다. 상태 리스트와 여기에 리스트되는 상태의 생성은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요구한다. 이 정보는, 예를 들면, 방송 제공자에 의해서 또는 임의의 제 3 자에 의해서 직접 제공될 수 있다.
유리한 방식으로 사용자-측 우선순위의 설정은 특정 포털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 있어서, 사용자는 예를 들면 그의 랩탑을 통하여 인터넷 TV 포털에 액세스할 수 있고 여기에서 가용적인 TV 방송 제공자로부터 그의 관심과 대응하는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우선순위는 특정 사용자와 관련있는 TV 프로그램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프로그램 리스트가 한층 더 확인하고 승인하기 위해서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프로그램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전에, 리스트의 수신기는 포털에 등록되어야 한다. 이것은, 사용자-특정 우선순위의 정의와 방송 콘텐츠의 수신이 사용자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중요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이전트의 기능을 바람직하게 수행하며 사용자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리스트의 수신기이다. 이 정보에 기초하여, 에이전트는 상태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태 변화의 경우에 이런 상태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 특히 보편적인 사용에 관하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또한 방송 콘텐츠에 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서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접속의 분실 후에 각각의 현재 상태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하여 가용적인 것이 보장될 수 있다.
특히 높은 사용자-친밀도에 관하여, 사용자가 그의 우선순위에 따라서 상태 리스트의 현재 상태 및/또는 상태의 변화에 관하여 액티브하게 통지받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환언하면, 사용자는 그와 관련된 방송 콘텐츠, 예를 들면, 그의 관심들 중 하나와 대응하는 방송의 시작을 항상 표시받는다. 이 방식으로, 제공된 방송 서비스의 특히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은, 예를 들면, 팝업-윈도우, 삑하는 소리 (beep) 등에 의해서 유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의 개별적인 취향에 따라서 통지받는 방법은 자유롭게 선택되거나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서 생성된 모든 개별적인 상태 리스트는 하나의 개별적인 방송 채널과 대응적으로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는, 사용자가 특정한 프로그램 또는 토픽에는 관심이 없지만, 특정한 방송 채널의 환경에만 관심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유익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사용자-특정 프로파일과 개별적으로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상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특정 프로파일로서, 특히, 사용자가 스포츠, 여행 리포트, 토크-쇼 등과 같은 특정 토픽을 선택하는 토픽-기반 프로파일, 또는 시간-기반 프로파일이 상상 가능하다. 순수한 시간-기반 사용자 프로파일의 경우에, 사용자는, 그에게 가용적인 방송 채널들로부터 그가 관심있는 구체적인 방송을 선택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단일 상태 리스트가 생성되면 충분할 것이다.
그래픽적으로 시각화하기 위해서, 상태 리스트를 표현하는 프리젠스 버디가 생성될 수 있고, 이것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예를 들면, LCD 상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프리젠스 버디는, 특히 이 방법과 아직 친숙하지 않은 사용자를 위한 명확성과 용이한 사용 가능성의 다소 높은 레벨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인스턴트 메시징을 위해서, 이미 생성된 사용자의 프리젠스 리스트에 부가될 수 있다. 프리젠스 리스트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활성화될 수 있는 윈도우 상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상태 리스트 변화를 사용자에서 실행되는 "프리젠스"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것은 사용자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에이전트) 의 책임이다. 이런 상태 변화들은 예를 들면, "프리젠스 상태 변화" 메시지의 형태로 전달되고, 이것은 이용되는 특정적인 "프리젠스" 기술에 대하여 특정적일 것이다.
사용자의 우선순위와 매칭하는 방송 콘텐츠의 가능한한 용이한 인보킹 (invoking) 또는 수신하는 것에 관하여, 프리젠스 리스트 내의 프리젠스 버디를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클릭하거나 선택함으로써, 대응하는 방송 수신이 활성화될 수 있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되는 방송 기술에 의존할 때, 이러한 "온-클릭" 튜닝 (tuning) 은 상태 리스트로부터 자동적으로 수신된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를 가지며 이에 따라서 튜닝된 방송 수신기를 가짐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이제, 유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교시를 설계하고 더 발전시키는 방법에 관 한 여러가지 옵션들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이것은 한편 청구항 1 에 종속된 청구항과 관련되어야 하고 다른 한편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예제의 다음 설명과 관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 및 도면과 관련하여, 이 교시의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설계와 한층 더한 발전이 또한 설명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
도 1 은, 사용자들 - 사용자 A, B 및 C - 이 이들의 각각의 우선순위와 매칭하는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 수단이 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형태의 제 1 예제의 모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시된 모델은, 사용자가 특정 프로그램 또는 콘텐츠에 관심이 없는 어프로치 (approach) 를 반영한다. 이들의 관심은, 이들이 예를 들어 대응하는 포털을 통하여 선택해 온, 하나 이상의 방송 채널에만 초점이 맞춰진다. 방송 채널 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방송 수신을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예를 들면 핸드헬드 (PDA, 모바일, 등) 를 집적 DVB-H 수신기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택이 부가적인 디바이스, 예를 들면, 랩탑에 의해서 수행된다는 것이 또한 계획될 수 있다.
도 1 에서 도시된 실시형태의 예제에서, 사용자 A 및 B 는 채널 1 에 대해서 그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해 온 반면에, 사용자 C 는 채널 3 을 선택해왔다. 사용자 우선순위를 정의한 후에, 이 실시형태의 예제에서 에이전트의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각각의 방송 채널에 대해서 대응하 는 프리젠스 버디에 의해서 각각 표현되는 상태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 프리젠스 버디는 대응하는 사용자의 프리젠스 리스트에 부가되며, 이것은 이미 인스턴트 메시징을 위한 인증된 통신 파트너 (친구들) 의 엔트리를 포함하고 있다.
프리젠스 버디의 생성 후에, 이들은 에이전트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이 채널 상에서 방송되는 현재 방송된 콘텐츠에 관한 연속적이며 현재인 정보를 수신한다.
도 2 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형태의 예제의 개략적인 모델을 도시한다. 실시는 상술된 바와 같은 실시형태의 예제에서 보다 더 복잡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토픽을 우선순위로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토픽의 선택은, 예를 들어, 특정 포털을 통하여 다시 수행된다. 사용자 A 는 토픽 1 및 2 에 관한 그의 관심을 표명하는 반면, 사용자 B 는 토픽 1 에 관하여만 통지 받기를 원하며 사용자 C 는 토픽 1,2 및 3 에 관하여 관심이 있다. 각각의 토픽에 대하여, - 대응하는 프리젠스 버디에 의해서 다시 표현되는 - 상태 리스트가 사용자에서 각각 실행되며 에이전트의 기능을 다시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서 생성된다. 프리젠스 버디는 사용자의 대응하는 프리젠스 리스트로 통합되고 대응하는 에이전트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업데이트된다. 이 실시형태의 예제에 있어서, 이들은 집선기 (aggregator) 를 통하여 가용적인 방송 채널 - 여기에서는 채널 1 내지 채널 5 - 의 방송된 콘텐츠에 관한 이들의 정보를 입수한다.
도 3 은 도 2 에서 설명된 실시형태의 예제에 따른 실시의 개별적인 논리 빌 딩 블록과 데이터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사용자 A 및 토픽 1 에 대한 프로세스가 예제로서 여기에서 설명된다. 사용자 및 토픽의 다른 조합에 대하여 프로세서는 필요한 변형을 가하여 적용한다.
포털에서, 사용자 A 는 토픽 1 에 대해서 그의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우선순위의 정의와 방송 수신은 여기에서 하나의 단일 디바이스, 예를 들면 PDA 또는 집적 DVB-H 수신기를 갖는 모바일에 의해서 수행된다. 이 후에, 사용자의 수신 디바이스 상에서 구동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 에이전트 - 은 포털에 등록될 것이며 다음으로 개별적인 프로그램 리스트를 수신할 것이다. 이것에 기초하여, 에이전트는 상태 리스트를 생성한다.
사용자가 선택했고 방송된 프로그램 콘텐츠의 변화가 에이전트에게 표명될 것이고 상태 리스트의 관련된 업데이트가 수행될 것이다. 방송된 프로그램 콘텐츠에 관한 대응하는 정보가 방송국 또는 이 이상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포털에 제공된다.
에이전트는 이미 기존의 상태 리스트가 아닌 것을 생성하며 이것들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한다. 이런 상태 리스트로부터, 프리젠스 버디들이 결국에 생성되며 -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 사용자 A 의 프리젠스 리스트에 부가된다. 에이전트에 의해서 생성되는 상태 리스트는 사용자 우선순위를 만족하는 방송 콘텐츠에만 기초될 것이며 사용자는 이에 따라서 이 콘텐츠의 방송에 관하여 통지 받을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할 때 사용자-특정 우선순위 및 이것들의 사용을 위해서 생성된 상태 리스트를 개략적인 개요에서 도시한다. 사용자 A 는 그가 "스포츠" 및 "여행" 의 분야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표시해 왔다. 스포츠 프로그램의 경우에 있어서, 그는 "축구" 및 "수영" 이라는 토픽을 선호하고, 여행 프로그램의 경우에 있어서, 그는 "독일" 및 "이탈리아" 의 나라에 관한 정보를 통지 받기를 원한다. 임의의 상위 영역의 관심 - "스포츠", "여행" - 에 대해서, 시간선 상에서 도 4 에서 도시된 상태를 갖는 프리젠스 버디가 에이전트에 의해서 생성된다. 도면은, 시간 T1 에서 임의의 2 개의 토픽에 관하여 방송된 리포트가 없다 ("비방송") 라는 것을 표시한다. 시간 T2 에서, 사용자가 대응하게 통지 받은 것에 관한 축구에 관한 리포트 ("방송중") 가 시작된다. 시간 T3 에서, 사용자 A 에 의해서 설정된 우선순위와 매칭하는 방송이 시작하기 때문에 ("로마 방문"), 제 2 상태 리스트 내의 상태 ("사용자 A - 여행") 는 "비방송" 로부터 "방송중" 으로 전환한다. 사용자는 게다가 이것에 관하여 정보를 통지 받을 수 있으며, 그는 2 개의 방송 중에서 어느 것이 그가 계속하기 원하는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시간 T4 에서, "축구" 라는 토픽에 관한 리포트가 끝나므로 상태 리스트 내의 상태 "사용자 A - 스포츠" 는 "비방송" 로 변한다. 시간 T5 에서, 이와 동일한 사항이 상태 리스트 "사용자 A - 여행" 동안 발생한다.
사용자가 그의 우선순위 중 하나와 매칭하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였다고 결정한다면, 사용자 단말기 상의 브로드캐스터 수신기는 자동적으로 온으로 전환되고 정확한 라디오 주파수에 튜닝된다. 상술된 예제에서, 축구 리포트가 시간 T2 에서 시작한다면, 채널 1 이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로부터의 본 발명에 따른 교시의 실시형태의 완벽하게 임의적으로 선택된 예제는 본 발명에 따른 것과 같은 교시의 예증으로서만 역할할 뿐이지, 이들은 결코 본 발명을 주어진 실시형태의 예제로 제한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지적하는 것은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콘텐츠의 시스템적인 선택이 사용자로부터의 적은 노력으로 가능한한 가장 용이하고 가장 사용자-친숙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Claims (15)

  1. 사용자는 네트워크 - 이동 무선 네트워크, 인터넷 등 - 에 접속되며 방송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상기 방송 콘텐츠를 표현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리스트는 상기 설정된 사용자-특정 우선순위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방송 콘텐츠로부터 생성되고,
    상태 리스트가 상기 사용자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서 상기 프로그램 리스트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업데이트되며,
    상기 상태 리스트는 상기 프로그램 리스트 내에 포함된 방송 콘텐츠의 현재 상태와 상태 변화를 반영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리스트 내에 리스트된 상기 상태는 방송 활동, 방송된 콘텐츠 및/또는 물리적 방송 채널 및/또는 부가적인 정보와 관련되는,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특정 포털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서 실행되는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에이전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서 실행되는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상기 프로그램 리스트 및/또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요청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의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상기 상태 리스트의 상기 현재 상태 및/또는 상태 변화에 관하여 통지받는,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팝-업 윈도우, 시그널링 비프 등에 의해서 상태 변화에 관심이 유도되는,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상태 리스트는 상기 생성된 상태 리스트 각각에 있어서 개별적인 방송 채널과 관련되는,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상태 리스트는 사용자-특정 프로파일과 각각 관련되는,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특정 프로파일은 토픽 또는 시간에 기초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프리젠스 버디가 상기 상태 리스트를 그래픽적으로 시각화하며 이것들을 표 현하기 위해서 생성되는,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스 버디는 상기 사용자의 이미 생성된 프리젠스 리스트에 부가되는,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그의 프리젠스 리스트 내의 프리젠스 버디 상을 클릭함으로써 사용자의 희망했던 액션을 개시할 수 있는,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희망했던 액션은 그의 우선순위에 따라서 방송 콘텐츠의 수신을 활성화하는 것 및/또는 상기 현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입수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서 실행되는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의 이미 생성된 프리젠스 리스트와 커뮤니케이팅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60051651A 2005-06-08 2006-06-08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0808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26539A DE102005026539B3 (de) 2005-06-08 2005-06-08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von Informationen betreffend Rundfunkinhalte an einen Nutzer
DE102005026539.1 2005-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714A KR20060128714A (ko) 2006-12-14
KR100808821B1 true KR100808821B1 (ko) 2008-03-03

Family

ID=3744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651A KR100808821B1 (ko) 2005-06-08 2006-06-08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82495A1 (ko)
JP (1) JP2006345507A (ko)
KR (1) KR100808821B1 (ko)
CN (1) CN1878296A (ko)
DE (1) DE102005026539B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189B1 (ko) 2010-11-29 2012-10-15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업데이트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4335B2 (en) * 2006-11-06 2013-07-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ducts for download status notification
US9465935B2 (en) * 2010-06-11 2016-10-11 D2L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ing user document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382A (ko) * 2000-01-25 2001-08-04 구자홍 채널 선호도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방법
JP2002094965A (ja) 2000-09-12 2002-03-29 Uniden Corp Catvインターネットを用いた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
KR20030067995A (ko) * 2002-02-09 2003-08-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안내 정보 갱신 방법
KR20040013763A (ko) * 2002-08-08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제어방법
KR100442095B1 (ko) 2000-09-08 2004-07-27 김유식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75549A (ko) * 2003-02-21 2004-08-30 디지텔리전트 미디어 엘엘씨 네트워크를 이용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청 시스템과 재 시청 방법
KR20040080222A (ko) * 2003-03-11 200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tv 수신기
KR20050044838A (ko) * 2004-06-16 2005-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안내하는 디지털 방송수신용 단말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3891A (ja) * 1995-09-13 1997-03-28 Sanyo Electric Co Ltd 番組内容表示装置
US6536041B1 (en) * 1998-06-16 2003-03-18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 guide system with real-time data sources
AU2001291116A1 (en) * 2000-09-29 2002-04-15 Gist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presenting a recommendation-based guide to television viewing choices
JP2002251409A (ja) * 2001-02-23 2002-09-06 Ricoh Co Ltd イベント発生通知システム、イベント発生通知方法およびイベント発生通知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記憶媒体
US7146632B2 (en) * 2001-06-08 2006-12-05 Digeo, Inc. Interactive information aggregator for a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JP3594569B2 (ja) * 2001-06-27 2004-12-02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FI20012256A0 (fi) * 2001-11-20 2001-11-20 Nokia Corp Matkaviestintäverkot ja digitaaliset yleislähetyspalvelut
JP4009940B2 (ja) * 2001-12-21 2007-11-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番組選択支援情報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とサーバ装置および端末装置ならびに番組選択支援情報提供方法と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30208545A1 (en) * 2002-05-01 2003-11-06 Eaton Eric Thomas Instant messag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one or more events and method therefor
AU2002337396A1 (en) * 2002-09-20 2004-05-04 Nokia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s of a radio broadcast to terminal devices
JP4346892B2 (ja) * 2002-10-31 2009-10-21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方法および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0577360B1 (ko) * 2003-09-09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셋톱 박스를 이용한 추천 프로그램 공유 장치 및방법
GB2407738A (en) * 2003-10-27 2005-05-04 Nokia Corp Accessing broadcast services through a service portal
KR100651459B1 (ko) * 2004-10-11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디지털 방송 채널 등록 및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382A (ko) * 2000-01-25 2001-08-04 구자홍 채널 선호도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방법
KR100442095B1 (ko) 2000-09-08 2004-07-27 김유식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094965A (ja) 2000-09-12 2002-03-29 Uniden Corp Catvインターネットを用いた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
KR20030067995A (ko) * 2002-02-09 2003-08-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안내 정보 갱신 방법
KR20040013763A (ko) * 2002-08-08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제어방법
KR20040075549A (ko) * 2003-02-21 2004-08-30 디지텔리전트 미디어 엘엘씨 네트워크를 이용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청 시스템과 재 시청 방법
KR20040080222A (ko) * 2003-03-11 200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tv 수신기
KR20050044838A (ko) * 2004-06-16 2005-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안내하는 디지털 방송수신용 단말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189B1 (ko) 2010-11-29 2012-10-15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업데이트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45507A (ja) 2006-12-21
US20060282495A1 (en) 2006-12-14
DE102005026539B3 (de) 2006-12-14
CN1878296A (zh) 2006-12-13
KR20060128714A (ko)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437B1 (ko) 사용자에게 방송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US8892081B2 (en) Multi-service content broadcast for user controlled selective service receive
CN101558617B (zh) 使用联网音频设备的社区网络
CN101821716B (zh) 调度下载:实现后台过程以接收广播数据
US200803017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television viewing triggered by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11512714A (ja) ハイブリッドサービス:データ、オーディオ及びクリップキャスト
CN102428688A (zh) 通过具有内容过滤能力的移动广播设备向客户端应用递送选择性内容
KR20100126819A (ko) 이동 디바이스에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9514301A (ja) 放送コンテンツに関する動作を行う端末,方法及び計算機プログラム製品
JP2011515723A (ja) デジタル・ブロードキャスト・ネットワーク上での情報の配信及び表示
JP5479602B2 (ja) パーソナライズされたコンテンツを電力効率良く配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0808821B1 (ko)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200801669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broadcasting
KR101212076B1 (ko) 사용자 신원확인 방법들 및 장치들 그리고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통보
US201001155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system
CN101536501B (zh) 用于快速改变服务的方法和接收单元
US8977767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ffecting programming of content for transmission over a multicast network
EP2522163B1 (en) Adaptive monitoring method for update detection in a mobile broadcast network
KR101331359B1 (ko) 다중 서비스 관리
US20170041158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livering content
JP2005109588A (ja) 携帯端末装置、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方法
JP2017103658A (ja) ラジオ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