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800B1 -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800B1
KR100808800B1 KR1020060083867A KR20060083867A KR100808800B1 KR 100808800 B1 KR100808800 B1 KR 100808800B1 KR 1020060083867 A KR1020060083867 A KR 1020060083867A KR 20060083867 A KR20060083867 A KR 20060083867A KR 100808800 B1 KR100808800 B1 KR 100808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gate
gate
semiconductor device
ono film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상일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3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800B1/ko
Priority to US11/849,151 priority patent/US2008005434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4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harge-trapp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floating gate
    • H01L29/7881Programmable transistors with only two possible levels of programm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터널 옥사이드와, 터널 옥사이드 위에 형성되며 상부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플로팅 게이트와, 플로팅 게이트 위에 형성된 ONO막과, ONO막 위에 형성된 제어 게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에 터널 옥사이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터널 옥사이드 위에 폴리실리콘 및 포토 레지스트를 형성하고 식각하여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플로팅 게이트 상부에 잔류물이 존재하도록 포토 레지스트에 대한 언더 애싱(under ashing)을 수행하는 단계와, 잔류물을 마스크로 하여 블랭크 식각(blank etch)을 수행하고 플로팅 게이트의 상부 표면을 요철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플로팅 게이트 위에 ONO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ONO막 위에 제어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은, 기판에 터널 옥사이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터널 옥사이드 위에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고 블랭크 식각을 수행하여 플로팅 게이트의 상부 표면을 국부적으로 손상시키고 플로팅 게이트의 상부에 잔류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습식 식각과 세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플로팅 게이트의 상부 표면을 요철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플로팅 게이트를 패터닝하고 ONO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ONO막 위에 제어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도 1 및 도 2는 종래 반도체 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51... 반도체 기판 33, 53... 터널 옥사이드
35, 55... 플로팅 게이트 37, 57... 포토 레지스트
39, 59... 잔류물 41, 61... ONO막
43, 63... 제어 게이트 45, 65... 스페이서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메모리 셀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파라미터는 게 이트 결합 계수이다. 게이트 결합 계수는 플로팅 게이트의 전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보다 높은 게이트 결합 계수는 플로팅 게이트의 전위를 메모리 셀의 제어 게이트에 주어진 전위에 대한 제어 게이트의 전위에 근접하게 만든다. 주어진 제어 게이트에 대한 전위가 주어진 제어 게이트 바이어스에 대한 제어 게이트의 전위에 근접할수록, 보다 높은 프로그램 및 소거 효율 및 판독 속도를 포함한, 메모리 셀의 성능이 보다 좋아진다. 높은 게이트 결합 비율은 플래시 칩 설계를 간소화하는, 특히 보다 낮은 전원 전압에 대해, 메모리 셀의 동작 전압을 낮출 수 있다.
게이트 결합 계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은 터널 옥사이드 커패시턴스에 대한 폴리실리콘간 커패시턴스이다. 폴리실리콘간 커패시턴스가 증가함에 따라, 그리고, 터널 옥사이드 커패시턴스가 감소함에 따라, 게이트 결합 계수는 증가한다. 터널 옥사이드 커패시턴스는, 최대 판독 전류를 제공하면서 전하 보존 특성을 보장하는 최소 두께에 기반하여 선택된 터널 옥사이드 두께에 의해 결정되고, 독립적으로 스케일링될 수 없다. 플래시 셀에서의 터널 옥사이드 두께의 일례는 약 90-95Å이다. 폴리실리콘간 커패시터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ONO 층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폴리실리콘간 커패시턴스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ONO 혼합층 두께가 감소됨에 따라, 전하 캐리어를 보존하기 위한 플로팅 게이트의 능력이 감소되기 때문에, ONO 층의 두께는 많이 감소될 수 없다. 통상적으로, 플래시와 같은 비휘발성 기술에서, ONO 층의 두께는, 플로팅 게이트 내의 전하 보유력이 절충될 수 있는 값 이상의 최소 가능 값 또는 그 값에 근접하게 감소된다.
게이트 결합 계수는 또한 터널 옥사이드 표면적에 대한 폴리실리콘간 커패시 터의 표면적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ONO 커패시터의 표면적은 셀 액티브 폭 및 폴리실리콘층(12)과 STI 영역(11A-11B)간 오버랩을 포함한 폴리실리콘층(12)의 전체 폭, 및 폴리실리콘층(12) 측벽에 의해 결정된다. 터널 옥사이드 커패시터의 표면적은 셀 액티브 폭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폴리1(층(12))과 절연막간 오버랩을 증가시킴으로써 게이트 결합이 증가될 수 있다. 이것은 폴리1-폴리1 간격을 결정하기 위해 절연막 공간(절연막 크기)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절연막 공간의 증가는 보다 큰 셀 크기를 초래한다. 사실상, 셀 크기 감소의 일반적 경향은 플래시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액티브 셀 폭에서의 감소, 절연막 간격 및 폴리실리콘(12)과 STI(11A-11B)간 오버랩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보다 작은 폴리실리콘(12)과 STI(11A-11B) 오버랩은 게이트 결합 계수를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프로그램 및 소거 효율과 판독 속도를 포함한 메모리 셀의 성능에 불리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축소하는 것은 종래 기술에서 셀 성능을 향상시키는 능력을 제한한다.
따라서, 메모리 칩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비휘발성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결합 계수를 향상시키기 위한 셀 구조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제어-플로팅 게이트 결합 계수를 증가시켜, 소형으로 제조되면서도 소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터널 옥사이드; 상기 터널 옥사이드 위에 형성되며, 상부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플로팅 게이트; 상기 플로팅 게이트 위에 형성된 ONO막; 상기 ONO막 위에 형성된 제어 게이트;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ONO막의 하부 표면 및 상부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어 게이트의 하부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어 게이트, 상기 ONO막,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측면에 형성된 스페이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에 터널 옥사이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널 옥사이드 위에 폴리실리콘 및 포토 레지스트를 형성하고 식각하여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로팅 게이트 상부에 잔류물이 존재하도록 상기 포토 레지스트에 대한 언더 애싱(under ashing)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잔류물을 마스크로 하여 블랭크 식각(blank etch)을 수행하고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상부 표면을 요철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로팅 게이트 위에 ONO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ONO막 위에 제어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ONO막의 하부 표면 및 상부 표면이 요철 형상 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어 게이트의 하부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어 게이트, 상기 ONO막,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측면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에 터널 옥사이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널 옥사이드 위에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고 블랭크 식각(blank etch)을 수행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상부 표면을 국부적으로 손상시키고,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상부에 잔류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에 대하여 습식 식각과 세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상부 표면을 요철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로팅 게이트를 패터닝하고, 상기 플로팅 게이트 위에 ONO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ONO막 위에 제어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ONO막의 하부 표면 및 상부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어 게이트의 하부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어 게이트, 상기 ONO막,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측면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플로팅 게이트 결합 계수를 증가시켜, 소 형으로 제조되면서도 소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above/over/upper)"에 또는 "아래(down/below/under/low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그 의미는 각 층(막), 영역, 패드,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직접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에 접촉되어 형성되는 경우로 해석될 수도 있으며, 다른 층(막), 다른 영역, 다른 패드, 다른 패턴 또는 다른 구조물들이 그 사이에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로 해석될 수도 있다. 따라서, 그 의미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불균일한 게이트 표면 영역으로 인한 제어-플로팅 게이트 결합 계수를 증가시키는 비휘발성 메모리 셀을 제조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메모리 트랜지스터에서, 게이트간 유전체와 제어 게이트 사이의 계면 표면적 뿐만 아니라, 플로팅 게이트와 게이트간 유전체 사이의 계면 표면적을 불균일한 표면으로 인하여 증가시키는 플로팅 게이트가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게이트간 커패시턴스 및 게이트 결합 계수가 증가된다. 높은 게이트 결합 계수는 높은 프로그램 및 소거 효율 및 판독 속도를 갖는 작은 크기의 메모리 셀의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메모리 셀은 플래시 메모리 셀, EEPROM 셀, 및 플로팅 게이트를 갖는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셀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에 의하면,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팅 게이트의 표면을 국부적으로 식각 함으로써 거칠게 하여 결과적으로 높은 결합계수를 갖는 반도체 소자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에 의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31)에 터널 옥사이드(33)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터널 옥사이드(33) 위에 폴리실리콘 및 포토 레지스트(37)를 형성하고 식각하여 플로팅 게이트(35)를 형성한다.
상기 플로팅 게이트(35)에 대한 식각은 반응성 이온 식각(RIE)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플로팅 게이트(35)는 하나의 예로서 BCM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33) 상부에 잔류물(39)이 존재하도록 상기 포토 레지스트(37)에 대한 언더 애싱(under ashing)을 수행한다. 이때 언더 애싱에 의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35) 상부 표면에 포토 레지시트 잔류물 및 식각에서 발생되는 폴리머 잔류물이 남을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잔류물(39)을 마스크로 하여 블랭크 식각(blank etch)을 수행하고 상기 플로팅 게이트(35)의 상부 표면을 요철 형상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는 것은, 상기 플로팅 게이트(35) 표면이 거칠어 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후,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35) 위에 ONO막(41)과 제어 게이트(43)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게이트(43), 상기 ONO막(41), 상기 플로팅 게이트(35)의 측면에 스페이서(45)를 형성한다.
상기 ONO막(41)은 증착 방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ONO막(41)의 하부 표면 및 상부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 게이트(43)는 증착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게이트(43)의 하부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표면적이 넓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31)에 형성된 터널 옥사이드(33), 상기 터널 옥사이드(33) 위에 형성되며 상부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플로팅 게이트(35), 상기 플로팅 게이트(35) 위에 형성된 ONO막(41), 상기 ONO막(41) 위에 형성된 제어 게이트(4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는 제어-플로팅 게이트 결합 계수를 증가시켜, 소형으로 제조되면서도 소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에 의하면, 도 8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팅 게이트의 표면을 국부적으로 습식 식각 함으로써 거칠게 하여 결과적으로 높은 결합계수를 갖는 반도체 소자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에 의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51)에 터널 옥사이드(53)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터널 옥사이 드(53) 위에 플로팅 게이트(55)를 형성하고 블랭크 식각(blank etch)을 수행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55)의 상부 표면을 국부적으로 손상시키고, 상기 플로팅 게이트(55)의 상부에 잔류물(59)을 형성한다. 상기 플로팅 게이트(55)에 대한 식각은 반응성 이온 식각(RIE)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잔류물(59)은 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폴리머는 식각에 의하여 생성되는 부산물일 수 있다.
이어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과물에 대하여 습식 식각과 세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55)의 상부 표면을 요철 형상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는 것은, 상기 플로팅 게이트(55) 표면이 거칠어 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터닝된 포토 레지스트(57)를 이용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55)를 패터닝하고, 상기 플로팅 게이트(55) 위에 ONO막(61)을 증착한다. 이어서 상기 ONO막(61) 위에 제어 게이트(63)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게이트(63), 상기 ONO막(61), 상기 플로팅 게이트(55)의 측면에 스페이서(65)를 형성한다.
상기 ONO막(61)은 증착 방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ONO막(61)의 하부 표면 및 상부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 게이트(63)는 증착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게이트(63)의 하부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표면적이 넓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 판(51)에 형성된 터널 옥사이드(53), 상기 터널 옥사이드(53) 위에 형성되며 상부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플로팅 게이트(55), 상기 플로팅 게이트(55) 위에 형성된 ONO막(61), 상기 ONO막(61) 위에 형성된 제어 게이트(6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는 제어-플로팅 게이트 결합 계수를 증가시켜, 소형으로 제조되면서도 소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어-플로팅 게이트 결합 계수를 증가시켜, 소형으로 제조되면서도 소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반도체 기판에 터널 옥사이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널 옥사이드 위에 폴리실리콘 및 포토 레지스트를 형성하고 식각하여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로팅 게이트 상부에 잔류물이 존재하도록 상기 포토 레지스트에 대한 언더 애싱(under ashing)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잔류물을 마스크로 하여 블랭크 식각(blank etch)을 수행하고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상부 표면을 요철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로팅 게이트 위에 ONO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ONO막 위에 제어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ONO막의 하부 표면 및 상부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게이트의 하부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게이트, 상기 ONO막,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측면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9. 반도체 기판에 터널 옥사이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널 옥사이드 위에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고 블랭크 식각(blank etch)을 수행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상부 표면을 국부적으로 손상시키고,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상부에 잔류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로팅 게이트에 대하여 습식 식각과 세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상부 표면을 요철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로팅 게이트를 패터닝하고, 상기 플로팅 게이트 위에 ONO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ONO막 위에 제어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ONO막의 하부 표면 및 상부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게이트의 하부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게이트, 상기 ONO막,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측면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1020060083867A 2006-08-31 2006-08-31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08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867A KR100808800B1 (ko) 2006-08-31 2006-08-31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1/849,151 US20080054343A1 (en) 2006-08-31 2007-08-31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867A KR100808800B1 (ko) 2006-08-31 2006-08-31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800B1 true KR100808800B1 (ko) 2008-02-29

Family

ID=39150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867A KR100808800B1 (ko) 2006-08-31 2006-08-31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054343A1 (ko)
KR (1) KR100808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1579A (zh) * 2012-10-25 2013-01-16 上海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通过边角圆化浮栅提高数据保持力的方法及mos晶体管
JP2018163967A (ja) * 2017-03-24 2018-10-18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0107A (ja) * 1991-10-14 1993-04-30 Sony Corp フローテイングゲートを有する半導体装置
KR960013946B1 (ko) * 1993-07-16 1996-10-10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제조방법
JPH118322A (ja) 1997-06-18 1999-01-12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20000004487A (ko) * 1998-06-30 2000-01-25 김영환 이피롬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68908A (ko) * 2003-12-30 2005-07-05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비 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4393A (en) * 1997-06-16 2000-03-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trench isol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11220112A (ja) * 1998-01-30 1999-08-1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225162B1 (en) * 1999-07-06 2001-05-0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Step-shaped floating poly-si gate to improve gate coupling ratio for flash memory application
KR100311049B1 (ko) * 1999-12-13 2001-10-12 윤종용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6204141B1 (en) * 2000-09-13 2001-03-20 Taiwan Semiconductor Mfg.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deep trench capacitor
US20050106888A1 (en) * 2003-11-14 2005-05-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Method of in-situ damage removal - post O2 dry process
US7910429B2 (en) * 2004-04-07 2011-03-22 Promos Technologies, Inc. Method of forming ONO-type sidewall with reduced bird's beak
KR100685893B1 (ko) * 2005-06-22 2007-02-26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0107A (ja) * 1991-10-14 1993-04-30 Sony Corp フローテイングゲートを有する半導体装置
KR960013946B1 (ko) * 1993-07-16 1996-10-10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제조방법
JPH118322A (ja) 1997-06-18 1999-01-12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20000004487A (ko) * 1998-06-30 2000-01-25 김영환 이피롬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68908A (ko) * 2003-12-30 2005-07-05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비 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54343A1 (en)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598B1 (ko) 유전막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소자 제조방법.
KR20070002312A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104044A (zh) 分离栅快闪存储器及其制造方法
US756034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KR100771805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CN102254867B (zh) 快闪存储器的制作方法
US7514368B2 (en) Flash memory device
US7473601B2 (en) Method of fabricating flash memory device using sidewall process
US6468862B1 (en) High capacitive-coupling ratio of stacked-gate flash memory having high mechanical strength floating gate
KR100808800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10289260B (zh) 闪存的制造方法、闪存储器及光罩掩膜版
US7923327B2 (en) Method of fabricat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with concavely depressed electron injection region
KR10094794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85787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071856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93942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71982B1 (ko) 플래시 메모리 셀 및 그 제조 방법
CN113611704B (zh) 半导体结构的制作方法
KR100685621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958627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14802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셀 게이트 구조물 제조 방법
KR100799039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823664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spacer shape floating g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818045B1 (ko) 높은 게이트 결합계수를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셀 및 그제조방법
KR100882721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