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426B1 - 변조신호의 상회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변조신호의 상회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426B1
KR100808426B1 KR1020027003605A KR20027003605A KR100808426B1 KR 100808426 B1 KR100808426 B1 KR 100808426B1 KR 1020027003605 A KR1020027003605 A KR 1020027003605A KR 20027003605 A KR20027003605 A KR 20027003605A KR 100808426 B1 KR100808426 B1 KR 100808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 signal
phase
phase rot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6918A (ko
Inventor
블랙피터제이
호와드마이클에이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26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366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undesirabl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 H04L27/367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undesirabl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using pre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Velocity Or Acceleration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전송 신호 경로와 관련된 회로 소자들에 의해 도입된 상회전을 보상하는 변조신호의 상회전을 조정하는 기술. 회로 소자들은 전송 신호 경로에 직접 놓여지거나 또는 동작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 후, 수신 제어신호(들) 에 의해 정의되는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상회전이 결정되고, 변조신호의 상은 결정된 상회전에 관련된 양만큼 회전된다. 상회전 보상이 데이터, 즉, 스펙트럼에 있어서 데이터를 확산시키는데 이용되는 PN 시퀀스들 또는 데이터를 변조하는데 이용되는 캐리어 신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전송 신호 경로를 따른 다양한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Figure R1020027003605
상회전, 스펙트럼확산

Description

변조신호의 상회전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ROTATING A PHASE OF A MODULATED SIGNAL}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변조신호의 상을 회전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는 수신 장치에 송신되기 전에 처리되고, 변조되고, 조절 (conditioning) 된다. 데이터 처리는 압축을 위한 인코딩, 에러 검출/보정을 위한 코딩, 직교 채널을 제공하는 커버링 데이터를 스펙트럼 분산시키기 위한 확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처리된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 신호들로 변조되어, 송신에 보다 적합한 변조신호가 발생된다. 직교 상 변이 방식 (QPSK), 오프셋 QPSK, 직교 진폭 변조 (QAM), 주파수 변조 (FM), 진폭 변조 (AM) 등과 같은 다양한 변조 방식들을 이용할 수 있다. 통상, 변조 신호는 송신전에 더 조절된다 (예를 들면, 버퍼링되고, 증폭되고, 필터링되는 등).
신호 처리는 송신 신호 경로에서 많은 회로 소자들에 의해 수행되고, 이 소자들중 몇몇은 신호에 대한 왜곡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로 소자 (예를 들면, 증폭기, 믹서 (mixer)) 의 비선형성은 혼변조 (inter-modulation) 왜곡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회로 소자들은 변조 신호에 상회전을 도입할 수 있다. 종래 예에서, 이 왜곡들은 회로 소자들의 적당한 설계에 의해 허용할 수 있는 레벨에서 유지된다.
성능을 개선하고 시스템의 용량을 강화시키기 위해, 송신 신호 경로는 송신 장치의 동작 조건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회로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신호 경로는 예를 들면, 가변 출력 송신 전력레벨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는 이득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가변 이득 소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 신호 경로는 요구되는 (예를 들면, 선형성, 대역폭) 성능을 제공하면서 전력소비를 줄이도록 조정될 수 있는 바이어스 전류를 갖는 능동 회로 소자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변조 신호의 특성들은 송신 신호 경로 내의 가변 회로 소자들이 조정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특히, 변조 신호의 상은 회로 소자들이 조정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회로 소자들이 단계적으로 조정될 때, 변조 신호는 성능의 저하를 야기할 수 있는 상 불연속 (phase discontinuity) 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상 전이는 수신기에서 추적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상 추정에 관한 대역폭을 제한하게 된다. 매우 낮은 신호대 잡음비 (SNR) 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차례로 조악한 추적 실행을 하는 (시정수가 큰) 협대역 평가기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송신 신호 경로와 관련된 회로 소자들의 조정에 기인한 상회전을 보상하도록 변조 신호의 상을 회전시킬 수 있는 기술들이 매우 요구된다.
본 발명은 송신 신호 경로와 관련되는 회로 소자들에 의해 유발된 상회전을 보상하도록 변조 신호의 상회전을 조정하는 기술들을 제공한다. 회로 소자들에 의해 유발된 양과 거의 같은 양만큼 변조 신호의 상을 반대 방향으로 거의 동시에 회전시킴으로써, 변조 신호의 상 불연속은 감소된다. 상회전 보상은 송신 신호 경로를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상회전은 데이터, 데이터를 스펙트럼확산시키는데 이용되는 PN 시퀀스들, 또는 데이터를 변조시키는데 이용되는 캐리어 신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디지털 방식으로 수행된다. 상회전 보상은 CDMA, TDMA, FDMA 등을 포함하는 많은 변조 기술들에 적용될 수 있고, QPSK, OQPSK, PSK, QAM 등을 포함하는 많은 변조 포맷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송신 신호 경로로부터의 변조신호의 상회전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가 수신되고, 각각의 제어신호는 송신 신호 경로와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회로소자들 (예를 들면, VGA, PA) 특정한 특성 (예를 들면, 이득, 바이어스 전류) 을 조정하도록 제공된다. 회로 소자(들)은 송신 신호 경로에 직접 위치하거나, 또는 송신 신호 경로에 작용하도록 연결된다. 그 후,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의되는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상회전이 결정되고, 변조신호의 상은 결정된 상회전에 관한 양만큼 또는 거의 그와 같은 양만큼 회전한다.
상회전은 복소 곱셈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디지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회전은, 지정된 횟수로 수행될 수 있어서, 회로소자들을 조정함에 따라 변조신호에서 상의 불연속이 감소된다. 상회전의 크기는 임의의 해상도 및 정밀도를 가질 수 있고,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 에 저장될 수 있다.
몇몇 CDMA시스템에 대해, 변조 신호의 상은 데이터를 스펙트럼확산시키는데 이용되는 PN 시퀀스들의 상들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된다. 이들 시스템에 대해,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 및 한 쌍의 PN 시퀀스들이 수신된다. 그 후,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들) 은 PN 시퀀스들로 스펙트럼확산된다. PN 시퀀스들은 IS-95-A표준에 의한 짧은 PN I 및 PN Q 시퀀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CDMA 송신기로부터의 출력신호의 상회전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 및 한 쌍의 PN 시퀀스들이 제공된다. 그 후, 데이터 스트림(들)은 PN 시퀀스들로 스펙트럼확산되어 확산 데이터를 발생한다. 확산 데이터는 변조되어 변조신호를 발생하고, 그 후, 하나 이상의 회로소자에 의해 조절되어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가 수신되고, 각각의 제어신호는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들의 특정한 특성 (예를 들면, 이득, 바이어스 전류) 을 조정하는데 이용된다. 수신된 제어신호(들)에 의해 정의되는 동작상태에 대응하는 상회전이 결정되고, PN 시퀀스들의 상들이 출력신호의 상회전을 제공하도록 결정된 상회전에 관련된 양만큼, 또는 거의 그와 같은 양만큼 회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제어기 또는 하나 이상의 회로소자에 연결된 신호처리기를 포함하는 송신기를 제공한다. 신호처리기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을 하나 이상의 캐리어 신호와 곱하여 변조신호를 발생한다. 회로소자(들)은 변조신호를 수신하고 조절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가 회로소자에 제공되고, 각각의 제어신호는 하나 이상의 회로소자들의 특정한 특성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는 제어신호(들)을 수신하고, 수신 제어신호(들)에 의해 정의되는 동작상태에 대응하는 상회전을 결정한다. 출력신호의 상은 그 결정된 상회전과 관련되는 양 또는 거의 그와 같은 양만큼 회전한다.
신호 처리기는, 확산 데이터를 발생하도록 한 쌍의 PN 시퀀스로 데이터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스펙트럼확산시키는 확산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신호처리기는 변조신호를 발생하도록 동위상인 캐리어 신호 및 직교위상인 캐리어 신호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변조시키는 변조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변조신호의 상은 PN 시퀀스들의 상, 데이터 스트림의 상, 또는 캐리어 신호의 상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는 제어신호(들)을 수신하고, 수신 제어신호들에 의해 정의되는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상회전 값을 제공하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송신 신호 경로와 관련되는 회로 소자들에 의해 유발되는 상 변이를 보상하기 위해 변조신호의 상 조정을 제공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본질, 및 이점을,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중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1 은 본 발명의 상회전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송신기의 특정 실시형태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2 는 확산기의 특정 실시형태를 관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변조기의 특정 실시형태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4 는 PN발생기의 특정 실시형태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5 는 한 쌍의 직교 PN 시퀀스들의 상회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7 은 상회전 회로의 2개의 특정 실시형태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8b 는 2개의 상회전 구현예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상회전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송신기 (100) 의 특정 실시형태에 관한 블록도이다. 송신기 유닛 (110) 내에서, 데이터 소스 (112) 로부터의 데이터는 데이터 프레임들로 구획되어 인코더 (114) 에 제공된다. 제어기 (116) 는 데이터 소스 (112) 로부터의 데이터의 구획과 전송을 지시할 수 있고, 인코더 (114) 에 추가적인 데이터 및 메세지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인코더 (114) 는 특정 인코딩 포맷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 및 메시지들을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데이터를 확산기 (118) 에 제공한다. 또한, 확산기 (118) 는 PN발생기 (120) 로부터 한 쌍의 의사 잡음 (PN) 시퀀스들을 수신하고, 인코딩된 데이터 및 메시지들을 PN 시퀀스들로 스펙트럼확산시켜 확산 데이터를 발생한다. 특정 변조 포맷 (예를 들면, QPSK) 에 따라 데이터를 중간 주파수 캐리어 신호 (IF LO) 로 변조하는 확산 데이터가 변조기 (MOD; 122) 에 제공되어, IF변조신호를 발생시킨다. 확산기 (118) 및 변조기 (122) 는 데이터, PN 시퀀스들, 및 IF 캐리어 신호 (IF LO) 를 수신하는 신호처리기의 일부분이고, IF변조신호를 발생한다. 몇몇 회로소자들중 일부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IF변조신호는, 신호를 버퍼링하여 버퍼링된 신호를 믹서 (132) 에 제공하는 버퍼 (130) 에 제공된다. 또한, 믹서 (132) 는 라디오 주파수(RF LO) 에서 또 다른 캐리어 신호 (예를 들면, 정현파) 를 수신하고, 버퍼링된 신호를 RF LO와 함께 업컨버팅하여 RF신호를 발생한다. 믹서 (132) 는 복소 곱셈기로 구현될 수 있다. RF신호는 제어기 (116) 으로부터의 이득 제어신호에 의해 결정된 이득으로 신호를 증폭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 (VGA; 134) 에 제공된다. 증폭된 RF신호는 요구되는 신호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전력증폭기/드라이버 (PA/DRV; 136) 에 제공된다.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PA/DRV (136) 의 바이어스 전류는 제어기 (116) 로부터의 바이어스 제어신호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통상, PA/DRV (136) 로부터의 변조신호는 외부필터에 의해 필터링되어 이미지와 의사 신호를 제거한다. 그 후, 필터링된 신호는 아이솔레이터 (isolator) 및 듀플렉서 (duplexer) 를 통해 라우팅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장치에 송신된다. 이 소자들은 도 1 에 도시되지 않는다.
송신기 (100) 는 다양한 코드 분할 다중 접속 (CDMA) 표준을 구현하기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기 (100) 는, 이하에서 IS-95-A 표준, IS-98표준, IS-2000표준 또는 합의, 및 WCDMA 표준 또는 합의로 각각 칭하게 되는, (1)"이중모드 광대역 확산 스펙트럼 셀룰러 시스템에 대한 TIA/EIA/IS-95-A 이동국-기지국 호환가능한 표준", (2) "이중모드 확산 스펙트럼 셀룰러 및 PCS이동국들에 대해 권장되는 최소 수행 성능표준" 이라는 제목의 TIA/EIA/IS-98-A, -B, -C, (3) "cdma 2000ITU-R RTT 후보합의", 및 (4) "ETSI UMTS 지상 라디오 접속 (UTRA) ITU-R-RTT 후보 합의"에 따르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이 표준들을 참조한다.
또한, 송신기 (100) 가, 발명의 명칭이 "위성 또는 지상 리피터를 이용하는 확산 스펙트럼 다중 액세스 통신 시스템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TELLITE OR TERRESTRIAL REPEATERS)" 인 미국특허 제 4,901,307 호,발명의 명칭이 "CDMA 셀룰러 전화 시스템에서 파형을 발생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WAVEFORMS IN A C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인 미국특허 제 5,103,459 호, 및 발명의 명칭이 "높은 레이트 패킷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RATE PACKET DATA TRANSMISSION)" 인 1997년 3월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 08/963,386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CDMA 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미국특허들 및 미국특허출원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여기에 참조로 포함되었다. 본 발명이 전술한 CDMA 표준 및 아키텍쳐와 다른 현재와 미래의 CDMA표준 및 아키텍쳐에 대한 적용에 채택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인지될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송신기 실시형태에 대해 다양한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면, 디지털 신호 처리는 도 1 에 나타난 것들보다 추가적인, 더 적은, 또는 상이한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처리는 종래기술에 나타난 심볼 반복, 심볼 펑쳐링 (symbol puncturing), 인터리빙 (interleav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더 적거나 추가적인 필터, 버퍼, 믹서, 및 증폭기 단계들이 송신 신호 경로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소자들이 상이한 구성으로 더 배치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는, 상이한 수의 집적회로들 및/또는 별개의 소자들이 이용되기는 하지만, 송신기 유닛 (110) 은 하나의 집적회로내에서 구현되고, 나머지 회로 소자들이 또 다른 집적회로내에서 구현된다.
도 1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때때로 송신 신호 경로와 관련되는 몇몇 회로 소자들의 어떤 특성들을 조정하는 것이 유리하거나 또는 요구된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가변 이득 소자들 (예를 들면, VGA134) 이 출력 송신 전력레벨을 고려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에서 다른 유닛들에 대한 간섭동안에 수신 장치에서 특정 성능레벨 (예를 들면, 특정 비트 에러율) 을 유지하기 위해서 이득 조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또한, 송신 신호 경로내의 몇몇 회로 소자들 (예를 들면, PA/DRV 136) 은 그것들의 바이어스 전류를 조정하여 전력을 보존하고 동작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조정가능한 바이어스 전류를 갖는 증폭기의 예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수되고, 여기에 참조로 포함되고 발명의 명칭이 "조정가능한 바이어스 전류를 가지는 증폭기 (AMPLIFIER With ADJUSTABLE BIAS CURRENT)" 인 미국특허 제 09/034,979 호에서 설명된다. 통상, 높은 출력 송신 전력레벨로 송신시에는, 높은 바이어스 전류가 이용되고, 다른 때에는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낮은 바이어스 전류가 이용된다.
회로소자의 조정은 원하는 회로 특성 (예를 들어, 이득, 바이어스 전류) 에 영향을 미치지만, 또한, 처리되는 신호의 특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VGA (134) 의 이득의 조정은 예상되는 바와 같이, 신호 레벨에 영향을 미치지만, 변조 신호의 상에도 영향을 미치며, 그것은 바람직하지 않거나 또는 수용될 수 없을 수도 있다. 유사하게, PA/DRV (136) 의 바이어스 전류의 조정은 예상되는 바와 같이, 회로의 구동 용량에 영향을 미치지만, 통상, 변조신호의 상에도 또한 영향을 미친다. 변조 신호의 상은 송신 신호 경로와 관련되는 회로 소자들을 조정하는데 이용되는 제어 신호와 함께 변하거나 또는 회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조신호의 상은 회전하여 회로소자들의 조정에 기인한 상회전을 보상한다. 예를 들면, 가변 이득 소자가 어떤 이득 설정값으로부터 다른 이득 설정값으로 조정될 때 특정 상회전이 유발된다면, 변조 신호의 상은 회로 조정과 거의 같은 시기에 거의 같은 양만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변조신호에서 상 불연속은 감소되고, 이것은 수신 장치에서 개선된 복조 성능과 더 나은 신호 추적을 제공할 수 있다.
상회전 보상은 송신 신호 경로를 따르는 임의의 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상회전은, 구현의 완화를 위해, 그리고 일정한 성능을 제공하도록 디지털 방식으로 수행된다. 명확히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상회전의 특정 구현이 특정 송신 설계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2 는 확산기 (118) 의 특정 실시형태에 관한 블록도이다. 확산기 (118) 는 "복소" 데이터 입력 (IDATA+jQDATA) 및 "복소" PN 시퀀스 (PN I+jPN Q) 를 수신하고, 복소 데이터 입력을 복소 PN 시퀀스와 곱하고, "복소" 데이터 출력 (IOUT+jQOUT) 을 제공하는 복소 곱셈기이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는, IDATA와 QDATA는 단순히 2개의 입력 데이터 스트림들이고,PN I와 PN Q는 단순히 2개의 PN 시퀀스들이다. PN I와 PN Q 시퀀스들은 구현되는 특정 CDMA표준 또는 시스템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2개의 PN코드들로부터 발생되는 확산스펙트럼 신호들이다. IDATA와 QDATA는 PN I와 PN Q시퀀스들과의 곱셈으로써 스펙트럼확산되고, 결과 산출들은 크로스애드 (crossadd) 되어 IOUT 및 QOUT 확산 테이타 출력들을 산출한다.
도 2 에 나타낸바와 같이, 확산기 (118) 은 IDATA 및 QDATA 과 PN_I 및 PN_Q 시퀀스들을 수신한다. IDATA가 곱셈기 (210a 및 210b) 에 제공되고, QDATA가 곱셈기 (210b 및 210d) 에 제공된다. 유사하게, PN_I 시퀀스는 곱셈기 (210a 및 210d) 에 제공되고, PN_Q 시퀀스는 곱셈기 (210b 및 210c) 에 제공된다. 각각의 곱셈기 (210) 는 수신 입력 데이터를 수신 PN 시퀀스와 곱하거나 스펙트럼확산시켜, 각각의 출력 확산데이터를 산출한다. 곱셈기 (210a 및 210b) 의 출력들은 곱셈기 (210a) 의 출력으로부터 곱셈기 (210b) 의 출력을 감산하여 IOUT확산데이터를 발생하는 합산기 (212a) 에 제공된다. 유사하게, 곱셈기 (210c 및 210d) 의 출력들은 출력들을 결합하여 QOUT확산데이터를 발생하는 합산기 (212b) 에 제공된다. 확산기 (118) 에 의해 수행되는 함수 및 확산 데이터 출력은;
Figure 112002007865989-pct00001
로 표현될 수 있다. 확산기 (118) 는 복소곱셈 연산을 통하여 PN_I 및 PN_Q시퀀스들로 IDATA 및 QDATA 데이터 스트림을 효과적으로 변조한다.
도 3 은 변조기 (122) 의 특정 실시형태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확산 데이터 IOUT 및 QOUT가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각각의 필터들 (314a 및 314b) 에 제공된다. 또한, 필터들 (314) 은 종래에 알려진 방식으로 제로-필 (zero-fill) 및 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수신된 데이터를 오버샘플링할 수 있다. 필터들 (314a 및 314b) 로부터 처리된 데이터는 데이터를 I 및 Q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각각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DAC) 들에 제공된다. 아날로그 신호들은 이미지들을 DAC (316) 변환 비율의 정수배에서 (예를 들면, 1×, 2×, 3×,...) 로 압축하는 저역통과 필터들 (318a 및 318b) 에 제공된다. 또한, 필터들 (314 또는 318) 은 종래기술에서 알려진 방식으로 sinx/x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I 및 Q의 필터링된 신호들은 IF_LO로부터 발생된 각각의 동위상 (I_LO) 및 직교위상 (Q_LO) 캐리어 신호들을 또한 수신하는 각각의 곱셈기들 (320a 및 320b) 에 제공된다. 각각의 곱셈기 (320) 는 각각의 캐리어 신호로 데이터를 변조하여 변조된 성분들을 발생한다. I 및 Q의 변조성분들은 그 성분들을 합산하는 합산기 (322) 에 제공되어 IF 변조신호를 발생한다. 곱셈기들 (320) 및 합산기 (322) 는 동위상 및 직교위상 캐리어 신호들로 I 및 Q 신호들의 직교변조를 수행한다.
몇몇 송신기 설계에 있어서, 직교 변조는 디지털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 송신기 설계에서, 각각의 필터들 (314a 및 314b) 로부터의 I 및 Q 데이터는 동위상 및 직교위상 캐리어 신호들이다. 그 후, 디지털 I 및 Q 변조 성분들은 결합되고, 가능한한 필터링되어, IF변조신호를 발생하는 DAC에 제공된다.
도 4 는 PN_I 및 PN_Q 시퀀스를 발생하도록 설계된 PN발생기 (120) 의 특정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는 긴 PN코드 및 짧은 PN코드로 확산된다. 긴 PN코드는 데이터를 스크램블링 (scrambling) 하여 수신장치 (예를 들면, 기지국) 는 특정한 송신 장치 (예를 들면, 특정 이동국) 를 식별할 수 있다. 짧은 PN코드들은 전체 이용가능한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서 데이터를 스펙트럼확산시킨다. 도 4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긴 PN 시퀀스는 긴 코드 PN에 기초하여 긴 코드 발생기 (432) 에 의해 발생되고, 곱셈기 (436a 및 436b) 에 제공된다. 한 쌍의 짧은 PN 시퀀스들은 한 쌍의 짧은 PN코드들에 기초하여 짧은 코드 발생기 (434) 에 의해 제공되고, 또한, 곱셈기 (436a 및 436b) 에 제공된다. 긴 PN코드 및 짧은 PN코드는 CDMA 표준 (예를 들면, IS-95-A 표준) 에 의해 정의되는 코드들일 수 있다.
각 곱셈기 (436) 은 수신된 긴 PN 시퀀스와 짧은 시퀀스을 곱하여 각각의 출력 PN 시퀀스를 발생시킨다. 곱셈기 (436a 및 436b) 로부터의 IPN 및 QPN 시퀀스는 각각 제어신호 CTRL 가 지정하는 대로 시퀀스들을 상회전시키는 상회전 회로 (438) 에 제공된다. 상회전된 PN_I 및 PN_Q시퀀스들이 데이터를 확산시키는데 이용된다. 타이밍/제어회로 (430) 는 PN 시퀀스들이 특정한 시간에서 시작될 수 있는 PN 발생기들 (432 및 434) 에 대한 타이밍 신호를 제공한다.
도 2 및 도 3 을 다시 참조하면, IDATA 및 QDATA가 우선 PN_I 및 PN_Q시퀀스로 스펙트럼확산되고, 계속하여 I_LO 및 Q_LO로 변조된다. 본 발명의 상회전은 이 단계들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확산 단계에서의 (즉, 곱셈기 (210) 를 통한) 상회전은 PN 시퀀스들의 상 또는 데이터의 상을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변조 단계에서의 상회전은 I_LO 및 Q_LO 캐리어 신호들의 상들을 회전시킴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도 5 는 직교 PN 시퀀스들의 상회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IPN 및 QPN 시퀀스들 (즉, 상회전 회로 (438) 의 입력들) 은 각각 수평 및 수직 축 상에서 페이저로 나타난다. PN_I 및 PN_Q 시퀀스들 (즉, 상회전 회로 (438) 의 출력들) 은 대시기호(_) 의 페이저로 나타난다. 출력 PN 시퀀스들 (예를 들면, PN_Q) 과 입력 PN 시퀀스들 (예를 들면, QPN) 사이의 위상차는 상회전 θROT이다. PN_I 및 PN_Q시퀀스들은
Figure 112002007865989-pct00002
로 계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특정 구현이 2개의 제어신호 CTRL[1:0] 가 제공되는 도 1 의 송신기 (100) 에 대하여 설명된다. 한 제어신호 (예를 들면, CTRL1) 은 VGA (134) 의 이득을 조정하고, 다른 제어신호 (예를 들면, CTRL0) 는 PA/DRV (136) 의 바이어스 전류를 조정한다. CTRL[1:0] 의 특정 제어값들의 각 세트는 송신기의 특정 동작 상태를 정의한다. 예를 들면, CTRL[1:0]=00 의 제어값들은 낮은 이득, 낮은 바이어스 전류 동작 상태를 정의할 수 있고, 01의 제어값은 낮은 이득, 높은 바이어스 전류 동작 상태를 정의할 수 있고, 10의 제어값은 높은 이득, 낮은 바이어스 전류 동작 상태를 정의할 수 있으며, 11의 제어값은 높은 이득, 높은 바이어스 전류 동작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각각의 동작 상태는 변조 신호의 특정 상회전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동작 상태들중 하나는 0의 상회전을 갖는 기준 상태로 지정된다. 나머지 동작 상태들은 각각 기준 상태와 관계있는 특정 상회전과 관련된다. 예를 들면, CTRL[1:0]=00, 01, 10 및 11의 동작 상태들은 각각 0, π/2, π, 및 3π/2의 상회전과 관련이 될 수 있다.
송신기가 새로운 동작상태로 조정되거나 또는 설정되는 경우, 새로운 동작상태와 관련된 상회전이 결정된다. 그 후, PN 시퀀스들의 상회전은 결정된 상회전만큼 회전되어, 새로운 동작 상태에서의 회로 소자 동작에 기인한 상회전을 보상한다. PN 시퀀스들은 회로 소자(들)이 조정되는 시점과 거의 같은 시점에 회전된다. PN 시퀀스들의 상들을 반대 방향으로, 거의 같은 시점에 거의 같은 양만큼 회전시킴으로써, 변조 신호에서의 상 불연속은 감소된다.
제어신호들 CTRL[1:0] 에 의해 식별되는 각각의 동작 상태들은, 4개의 가능한 상회전 값들 중 하나와 관련된다. 간단한 구현예에서, 0, π/2, π, 및 3π/2의 4개의 상회전 값들이 제공되고, 신호들 PHASE[1:0] 에 의해 식별된다. 표 1 에서 나타내었듯이, 이 실시예에서, 상회전된 PNI 및 PN_Q 시퀀스들은 입력 IPN 및 QPN 시퀀스들로부터 발생될 수 잇다.
Figure 112002007865989-pct00003
제어신호들 CTRL[1:0] 에 의해 식별됨에 따라, 새로운 동작 상태가 선택될 때, 이 새로운 동작상태에 관련된 상회전이 결정된다. 상회전 값들에 대한 동작상태들의 맵핑은 룩업 테이블 (LUT), 콤비너토리얼 로직, 또는 다른 구현수단들로 달성될 수 있다. 그 후, PN_I 및 PN_Q 시퀀스들은 요구되는 대로 그리고, 신호들 PHASE[1:0] 에 의해 식별되는 양만큼 조정되어, 원하는 상회전을 제공한다.
도 6 은 표 1 에 나타난 상회전들을 구현하는 상회전 회로 (438a) 의 특정 실시형태에 관한 블록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동작 상태는 하나 또는 4개의 가능한 상회전 값들과 관련된다. 제어신호들 CTRL[1:0] 은 특정 동작 상태를 식별하고, 신호들 PHASE[1:0] 은 특정 상회전 값을 식별한다. 제어신호들 CTRL[1:0] 은 클럭 신호 (CLK) 로 클럭되는 레지스터 (642) 에 제공된다. 레지스터 (642) 로부터 레지스터링된 값들은 수신 제어신호들 CTRL[1:0] 에 의해 정의되는 특정 동작상태와 관련된 상회전 값을 제공하는 룩업 테이블 (642) 에 제공된다. 상회전 값은 신호들 (PHASE[1:0]) 상에 제공된다.
표 1 에 나타낸바와 같이, 0상회전에 대해서는, PN_I 및 PN_Q시퀀스들은 각각 IPN 및 QPN 시퀀스들과 동일하다. 상회전들 π/2 및 3π/2 에 대해, IPN 및 QPN 시퀀스들은 스와핑 (swap) 된다. IPN 시퀀스는 π 및 3π/2 의 상회전으로 역변환되고, QPN 시퀀스는 π/2 및 3π/2 의 상회전으로 역변환된다. 익스클루시브-오어 (XOR) 게이트 (exclusive-or gate; 646) 및 멀티플렉서 (MUX; 648) 들은 이 관계들을 구현하는데 이용된다.
도 6 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신호 PHASE1 는 XOR 게이트 (646a) 의 한 입력에 제공되고, IPN 시퀀스는 XOR 게이트 (646a) 의 제 2 입력에 제공된다. 상회전이 π또는 3π/2일 때, XOR 게이트 (646a) 는 IPN 시퀀스를 역변환한다. XOR 게이트 (646a) 의 출력은 MUX (648a) 의 "0"입력 및 MUX (648b) 의 "1"입력에 제공된다.
신호들 PHASE[1:0] 이 XOR 게이트 (646b) 의 입력들에 제공된다. 상회전이 π/2 또는 π일 때, XOR게이트 (646b) 는 QPN 시퀀스를 역변환하는 데 이용되는 로직을 높게 발생한다. XOR 게이트 (646b) 의 츨력은 XOR 게이트 (646c) 의 한 입력에 제공되고, QPN 시퀀스는 XOR 게이트 (646c) 의 제 2 입력에 제공된다. 상회전이 π/2 또는 π일 때, XOR 게이트 (646c) 는 QPN 시퀀스를 역변환한다. XOR 게이트 (646c) 의 출력은 MUX (648a) 의 "1"입력 및 MUX (648b) 의 "0"입력에 제공된다. 신호 (PHASE0) 는 MUX들 (648a 및 648b) 의 선택 (S) 입력에 제공되어, 상회전이 π/2 또는 3π/2일 때, PN 시퀀스들을 스와핑한다.
또한, 레지스터 (642) 는 레지스터가 지정된 시간에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이네이블 신호 (EN) 를 수신한다. 이네이블 신호 (EN) 는 송신 신호 경로와 관련된 회로 소자들의 조정으로 PN 시퀀스들의 상회전을 배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변조신호의 상이 회로 소자들의 조정에 기인하여 회전할 때, 대응되는 상회전 보상은 변조신호 상에서 수행되어 회로 소자들의 조정에 기인한 상회전을 거의 보상한다. 리셋 신호 RESET 는 레지스터를 리셋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리셋 비트가 설정되거나 또는 하드웨어 리셋 라인이 활성화되었을 때, (예를 들면, 로직 하이 (logic high) 에) 이용될 수 있다.
도 6 에 나타난 간단한 실시형태에서, 2개의 제어신호들 CTRL[1:0] 이 제공되며, 각각의 제어신호는 하나의 회로 소자를 제어하고, "0" 또는 "1"중 하나의 값을 갖는다. 통상, 송신 신호 경로는 임의의 수의 조정가능한 회로 소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각 회로 소자는 임의의 수의 상태들 중 어느 하나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VGA의 이득을 4비트의 해상도 (resolution) 로 조정하고, 회로 소자의 바이어스 전류를 8비트의 해상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 소자들의 각각의 특정 세팅은 송신 신호 경로의 특정 동작 상태에 대응한다. 각각의 동작 상태가 변조 신호의 특정 상회전과 관련이 있을 수 있더라도, 가능한 동작 상태들의 서브 세트들에 대해서만 상회전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예에 있어서, 회로 소자의 바이어스 전류가 8비트의 해상도로 조정될 수도 있지만, 이 회로 소자에 대한 제어신호의 3개의 최상위 비트들에 의해 정의되는 8개의 동작 상태들에 대한 상회전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통상, 각각의 제어신호는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들의 특정한 특성을 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공통 제어신호를 이용하는 송신 신호 경로에서 2개의 VGA들의 이득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단히, 상회전 보상이 요구되는 M개 이상의 회로 소자들에 대한 M개의 제어신호들은, M≤N 인 N개의 비트들로 연결된다.
도 7 은 임의의 수의 상회전 값들을 발생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는 상회전 회로 (438b) 의 특정 실시형태에 관한 블록도이다. 제어신호들 CTRL[N-1:0] 의 N비트가 클럭신호 CLK 에 의해 클럭되는 레지스터 (742) 에 제공된다. 레지스터링된 값은 수신 제어신호들에 의해 정의되는 동작상태와 관련된 상회전 값을 제공하는 룩업 테이블 (744) 에 제공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L상회전 값들이 룩업 테이블 (744) 에 저장된다. 수신 제어신호들 CTRL[N-1:0] 에 의해 정의되는 각각의 동작 상태는 L개의 상회전 값들중의 하나와 관련이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룩업 테이블 (744) 에 저장된 각각의 상회전 값들은 P비트의 해상도를 갖고, 0 과 2π 사이의 특정 상회전 값들을 식별한다.
수신 제어신호들에 의해 정의되는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상회전 값 (θF) 이 LUT (744) 로부터, IPN 및 QPN 시퀀스를 또한 수신하는 복소 곱셈기 (746) 에 제공된다. 곱셈기 (746) 는 식 (4) 및 (5) 에 따라, 수신된 상회전 값 (θF) 의 PN 시퀀스들을 적절한 사인 및 코사인과 곱하여, 상회전된 PN 시퀀스들을 발생한다. 상회전 값 (θF) 은 식 (4) 및 (5) 에서, 상회전 값 (θROT) 으로 치환된다. 곱셈기 (746) 는 입력 IPN 및 QPN 시퀀스로부터 0 과 2π 사이의 상회전을 갖는 출력 PN_I 및 PN_Q 를 제공한다.
복소 곱셈기 (746) 는 로직, 룩업 테이블, 또는 다른 회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소 곱셈기 (746) 는 또한 룩업 테이블 (744) 로 통합될 수 있다. 통상, 각각의 IPN 또는 QPN 시퀀스들은 1비트의 해상도를 가진다. 곱셈기 (746) 으로부터의 각각의 출력 PN 시퀀스들은 K비트의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2K2P+2비트를 갖는 룩업 테이블은 복소곱셈기 (746) 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출력 PN 시퀀스들은 본래 정현적이기 때문에, 룩업 테이블은 정현파의 한 사분면을 저장하고, 다른 3개의 사분면을 저장된 사분면으로부터 도출함으로써,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도 7 은 회로 소자(들)이 조정될 때, 변조신호에서의 상 불연속이 감소되도록 회로 소자들에 제공된 제어신호들을 정렬하는 위한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신호들 CTRL[N-1:0] 이 적당한 양만큼 제어신호들을 지연시키는 지연소자 (748) 에 제공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VGA (134) 의 지연을 보상하기 위해, PA/DRV (136) 에 대한 바이어스 제어신호가 VGA (134) 의 제어신호보다 좀 더 지연될 수도 있다. 지연소자 (748) 로부터의 지연된 제어신호들이 회로소자(들) 에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회전은 송신 신호 경로의 다양한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회전이 복소데이터 (즉, IDATA 및 QDATA), 복소PN 시퀀스들 (즉, IPN 및QPN), 또는 캐리어 신호들 (즉, I LO 및 Q LO)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상회전은
Figure 112002007865989-pct00004
로 표현될 수 있고, 여기서 s(t)는 출력변조신호, m(t)는 데이터시퀀스, p(t)는 PN 시퀀스,
Figure 112005051510269-pct00005
는 캐리어 신호가다.
도 8a 및 도 8b 는 본 발명의 상회전에 관한 2 개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a 는 PN확산 데이터들의 상회전을 나타내고, 도 8b 는 PN 확산 시퀀스의 상회전을 나타낸다.
도 8a 에서, 확산기 (810) 는 복소 PN 시퀀스 (IPN 및 QPN) 로 복소 데이터 (IDATA 및 QDATA) 를 수신 및 확산시키고, 확산 데이터를 상회전기 (812) 에 제공한다. 또한, 상회전기 (812) 는 원하는 상회전 (θROT) 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θROT의 상의 양만큼 확산 데이터를 회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회전은 디지털 방식으로 또는 변조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8b 에서, 상회전회로 (820) 는 θROT의 상의 양만큼 복소 PN 시퀀스 (IPN 및 QPN) 수신 및 회전시키고, 회전된 PN 시퀀스들 (PN_I 및 PN_Q) 을 확산기 (822) 에 제공한다. 또한, 확산기 (822) 는 복소 PN 시퀀스들 (PN_I 및 PN_Q) 로 복소 데이터 (IDATA 및 QDATA) 를 수신 및 확산시켜, 확산 데이터를 발생한다. 몇몇 특정 실시 예들 (예를 들면, 90°의 증가로 상회전) 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 PN 시퀀스들이 1비트의 해상도를 갖고, 상회전이 간단한 회로로 쉽게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구현 예는 계산적으로 더 효율적일 수도 있다.
회로 소자들의 조정에 의해 야기된 변조 신호에서의 상회전의 양은 다양한 수단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회전은 회로 시뮬레이션, 송신의 경험적인 측정치들, 또는 다른 수단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각각의 회로 구성 (즉, 제어신호들 CTRL[1:0] 에 의해 정의된 각각의 특정 동작 상태) 에 대하여, 변조신호의 상이 결정된다. 기준 동작 상태가 선택되고, 각각의 나머지 동작 상태와 관련된 상의 값은 기준 상태의 상의 값에 대하여 비교되어, 동작 상태에 대한 상회전 값을 얻는다. 따라서, 각각의 동작 상태는 특정 상회전 값으로 맵핑 (mapping) 되거나 또는 그와 관련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룩업 테이블은 다양한 동작 상태들에 대한 상회전들을 저장한다. 송신기가 초기화 되거나, 또는 리셋 신호가 수신될 때, 룩업 테이블이 로딩 (loading) 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상회전 값들은, 제어신호들이 상태를 변화시킬 때마다 시스템 버스 상에 (즉, 또 다른 집적회로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상회전 보상이 PN 시퀀스들을 상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제공된다. 또한, 상회전이, 도 2 의 IDATA 및 QDATA 와 같은 데이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송신기 설계에 있어서, 데이터는, PN 시퀀스들보다 더 많은 비트의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에 PN 시퀀스들을 회전하는 경우가 더 적은 수의 회로를 요할 수도 있다.
또한, 상회전 보상은 송신 신호 경로를 따르는 다른 지점들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회전은 또한 데이터를 변조하는데 이용되는 캐리어 신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필터링된 I 및 Q데이터는 각각 곱셈기 (320a 및 320b) 로 구성되는 변조기에 의해 동위상 (I_LO) 및 직교위상 (quadrature) 캐리어 신호들로 변조된다. 변조 단계에서 상을 회전하기 위해, 동위상 및 직교위상 캐리어 신호들의 상은 변조신호의 요구되는 상회전을 제공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그 상회전은 용이한 구현을 위해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되며 일정한 성능을 제공한다. 단계의 크기가 신호 PHASE 의 해상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해도, 디지털 방식 구현은 불연속 단계에서 상회전을 고려한다. 또한, (예를 들면, 변조단계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하여 상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아날로그 구현은 더 연속적인 방법으로 상회전 보상을 고려할 수도 있다.
도 1 에 도시된 소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 처리소자 (예를 들어, 인코더 (114), 확산기(118)) 는, 특수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서, 처리기 (예를 들어, 제어기(16)) 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또는 그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기 (116) 는 마이크로컴퓨터, 마이크로처리장치, 처리장치, 신호처리장치, 주문형집적회로 (ASIC), 또는 여기에 개시된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유닛으로 구현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을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다이나믹 RAM (DRAM), 읽기 전용 메모리 (ROM), 프로그램가능한 ROM (P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램가능한 ROM (EPROM), 플래시 메모리, 다른 기억장치, 및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신호 CTRL[1:0] 는 직접변환경로에 위치한 회로소자의 특성을 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접변환경로에 위치하지 않은 다른 회로소자의 조정으로 인한 상회전을 보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제어 오실레이터 (VCO) 및 이것과 연관된 버퍼는, 전력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들의 바이어스 전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회로소자의 바이어스 전류의 조정은 VCO에 의해 발생된 신호의 상에서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그것은 변조신호에 상회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VCO 및/또는 버퍼가 조정됨에 따라, 이러한 회로소자로 인한 변조신호에서의 상회전을 보상하기 위해 변조신호의 상은 회전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은, CDMA 통신 시스템과 같은 여러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재 존재하는 다양한 CDMA 시스템 및 계속해서 고려될 새로운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상기의 미국 특허출원 제 08/963,386 호에 특정한 CDMA 시스템이 설명되었다. 이 시스템은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전송유닛에 확산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확산기는, 전술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한 쌍의 PN 시퀀스로 스펙트럼확산한다. 또 다른 CDMA 시스템은 전술한 미국특허 제 4,901,307 호 및 미국특허 제 5,103,459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넓은 범위 (예를 들어, 85dB) 에 걸쳐 그것의 출력전송전력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 CDMA 시스템의 이동국에 특히 응용가능하다. 이동국은, 전력손실을 감소시키고 장치의 동작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가변이득을 갖는 다수의 회로소자 및 조정가능한 바이어스 전류를 갖는 다수의 회로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분할 다중접속 (TDMA), 주파수분할 다중접속 (FDMA), 주파수변조 (FM), 및 (진폭압신신호측대역 (ACSSB) 과 같은) 진폭변조 (AM) 방식과 같은 다른 변조기술을 사용하는 다른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텔레비젼, 페이징등과 같은 다른 송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송신 신호경로와 연관된 회로소자에 의해 도입된 상 변이로 인한 변조신호의 상 조정을 제공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회로소자가 조정됨에 따라, 변조신호에서 상의 불연속을 감소시키기 위해, 변조신호의 상은 회로소자에 의해 도입된 상이동을 보상하도록 변이될 수 있어서, 변조신호의 상 불연속을 감소시킨다.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 것이다. 당업자는 이러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변형을 쉽게 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된 일반적인 원리는 창작성을 사용할 필요도 없이 다른 실시형태에 응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서 보여준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기서 개시된 신규한 특징 및 원리에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Claims (8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이득 제어 신호 및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변조신호의 신호 경로와 관련되는 회로 소자의 특성 조정에 의해 야기된 상기 변조신호의 상회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회로 소자의 특성 조정에 의해 야기된 상기 상회전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변조신호에 관하여 상회전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회전 보상은 (a) 데이터 신호, (b) 상기 데이터 신호를 스펙트럼 확산시키는 확산 시퀀스, 및 (c) 상기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는 캐리어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상을 회전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상회전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와 관련되는, 상기 변조 신호의 상회전의 방향 및 양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상회전의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상기 상회전의 상기 결정된 양에 대응되는 양만큼 상기 변조 신호의 상을 회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8. 삭제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바이어스 제어 신호는,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의해 정의된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회로 소자에 관한 하나 이상의 특성을 조정하는 데에 이용되는 방법.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신호의 상을 회전하는 단계는, 복소 곱셈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방법.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신호의 상을 회전하는 단계는, 디지털 방식으로 수행되는 방법.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회전 보상이 수행되는 시간은 상기 회로 소자의 특성 조정의 시간에 대응되는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회전 보상이 수행되는 시간은 상기 회로 소자의 특성 조정의 시간에 정렬되어, 상기 변조신호에서의 상 불연속은 상기 회로 소자의 특성 조정이 발생하는 경우에 감소되는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회전 보상이 수행되는 시간은 상기 회로 소자의 특성 조정의 시간과 거의 동일한 방법.
  35.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회전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변조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를 스펙트럼 확산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PN 시퀀스의 상을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PN 시퀀스는 IS-95-A 표준에 따른 PN 시퀀스를 포함하는 방법.
  37.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회전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변조신호를 발생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데이터의 상을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회전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변조신호를 발생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 신호의 상을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 각각의 값은 특정 상회전 값에 대응되는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의 값에 대응되는 상회전 값은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 에 저장되고,
    상기 상회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방법.
  4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신호의 상을 회전하는 단계는 이산 증분 (discrete increment) 으로 수행되는 방법.
  4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소자는 상기 신호 경로에 직접적으로 위치하는, 방법.
  4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소자는 상기 신호 경로에 작용하도록 연결되는, 방법.
  44. 이득 제어 신호 및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변조신호의 신호 경로와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에 의해 야기된 상기 변조 신호의 상 변이 (phase shift) 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경로와 관련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에 의해 야기된 상기 상 변이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변조신호에 관하여 상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 조정은 (a) 데이터 신호, (b) 상기 데이터 신호를 스펙트럼 확산시키는 확산 시퀀스, 및 (c) 상기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는 캐리어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상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상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변조 신호의 상 변이의 방향 및 양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상 변이의 양은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와 관련되는, 결정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상 변이의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상기 상 변이의 상기 결정된 양에 대응되는 양만큼 상기 변조 신호의 상을 변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5. 삭제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는,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의해 정의된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조정하는 데에 이용되는 방법.
  47.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 및 한 쌍의 PN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
    확산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한 쌍의 PN 시퀀스로 확산시키는 단계;
    변조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확산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조정하는 데에 이용되는 이득 제어 신호 및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변조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로 조절 (conditioning) 하는 단계; 및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의 하나 이상의 특성의 조정에 의해 야기된 상기 출력 신호의 상회전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 회전을 보상하는 단계는,
    (a) PN 시퀀스, (b) 확산 데이터, 및 (c) 상기 확산 데이터를 변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상을 회전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상 회전을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와 관련되는, 상기 변조 신호의 상회전의 방향 및 양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상회전의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상기 상회전의 상기 결정된 양에 대응되는 양만큼 상기 변조 신호의 상을 회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기초하여 변조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조정하는 데에 이용되는 이득 제어 신호 및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변조신호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신호 프로세서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를 구비하되,
    상기 신호 프로세서는,
    확산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해 PN 시퀀스로 데이터 스트림을 확산시키는 확산기; 및
    하나 이상의 캐리어 신호로 상기 확산 데이터를 변조시키는 변조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의 하나 이상의 특성의 조정에 의해 야기된 상기 변조신호의 상회전은,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기초하고, 또한 (a) PN 시퀀스, (b) 상기 확산기에 의해 발생된 확산 데이터, 및 (c) 상기 확산 데이터를 변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상을 회전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보상되는, 장치.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성의 조정에 의해 야기된 상기 변조신호의 상회전은,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의 값에 각각 대응되는 한 세트의 상회전 값을 저장하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장치.
  58.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는,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된 이득을 가지는 가변 이득 소자를 포함하는 장치.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이득 소자는 가변 이득 증폭기 (VGA) 인 장치.
  60.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는,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된 바이어스 전류를 갖는 능동 회로 소자를 포함하는 장치.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회로 소자는, 전력 증폭기 (PA) 인 장치.
  62. 이득 제어 신호 및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변조신호의 신호 경로와 관련되는 회로 소자의 특성 조정에 의해 야기된 상기 변조신호의 상회전을 결정하고,
    상기 회로 소자의 특성 조정에 의해 야기된 상기 상회전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변조신호에 관하여 상회전 보상을 수행하며,
    상기 상회전 보상은 (a) 데이터 신호, (b) 상기 데이터 신호를 스펙트럼 확산시키는 확산 시퀀스, 및 (c) 상기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는 캐리어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상을 회전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상회전 보상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와 관련되는, 상기 변조 신호의 상회전의 방향 및 양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상회전의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상기 상회전의 상기 결정된 양에 대응되는 양만큼 상기 변조 신호의 상을 회전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명령어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63. 이득 제어 신호 및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변조신호의 신호 경로와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에 의해 야기된 상기 변조 신호의 상 변이를 결정하고,
    상기 신호 경로와 관련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에 의해 야기된 상기 상 변이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변조신호에 관하여 상 조정을 수행하며,
    상기 상 조정은 (a) 데이터 신호, (b) 상기 데이터 신호를 스펙트럼 확산시키는 확산 시퀀스, 및 (c) 상기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는 캐리어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상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상 조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변조 신호의 상 변이의 방향 및 양을 결정하고, 상기 상 변이의 양은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와 관련되며,
    상기 결정된 상 변이의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상기 상 변이의 상기 결정된 양에 대응되는 양만큼 상기 변조 신호의 상을 변이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명령어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64.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기초하여 변조신호를 발생하고,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조정하는 데에 이용되는 이득 제어 신호 및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변조신호를 조절하고,
    확산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해 PN 시퀀스로 데이터 스트림을 확산시키고,
    하나 이상의 캐리어 신호로 상기 확산 데이터를 변조시키고,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의 하나 이상의 특성의 조정에 의해 야기된 상기 변조신호의 상회전은,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기초하고, 또한 (a) PN 시퀀스, (b) 상기 확산기에 의해 발생된 확산 데이터, 및 (c) 상기 확산 데이터를 변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상을 회전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보상되는, 명령어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65. 이득 제어 신호 및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변조신호의 신호 경로와 관련되는 회로 소자의 특성 조정에 의해 야기된 상기 변조신호의 상회전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회로 소자의 특성 조정에 의해 야기된 상기 상회전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변조신호에 관하여 상회전 보상을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상회전 보상은 (a) 데이터 신호, (b) 상기 데이터 신호를 스펙트럼 확산시키는 확산 시퀀스, 및 (c) 상기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는 캐리어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상을 회전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상회전 보상을 수행하는 수단은,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와 관련되는, 상기 변조 신호의 상회전의 방향 및 양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결정된 상회전의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상기 상회전의 상기 결정된 양에 대응되는 양만큼 상기 변조 신호의 상을 회전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바이어스 제어 신호는,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의해 정의된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회로 소자에 관한 하나 이상의 특성을 조정하는 데에 이용되는, 장치.
  67.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신호의 상을 회전하는 수단은, 복소 곱셈기인, 장치.
  68.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신호의 상을 회전하는 수단은, 디지털 방식인, 장치.
  69.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회전 보상이 수행되는 시간은 상기 회로 소자의 특성 조정의 시간에 대응되는, 장치.
  70.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회전 보상이 수행되는 시간은 상기 회로 소자의 특성 조정의 시간에 정렬되어, 상기 변조신호에서의 상 불연속은 상기 회로 소자의 특성 조정이 발생하는 경우에 감소되는, 장치.
  71.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회전 보상이 수행되는 시간은 상기 회로 소자의 특성 조정의 시간과 거의 동일한, 장치.
  72.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회전 보상을 수행하는 수단은, 상기 변조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를 스펙트럼 확산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PN 시퀀스의 상을 회전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73. 제 72 항에 있어서,
    상기 PN 시퀀스는 IS-95-A 표준에 따른 PN 시퀀스를 포함하는, 장치.
  74.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회전 보상을 수행하는 수단은, 상기 변조신호를 발생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데이터의 상을 회전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75.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회전 보상을 수행하는 수단은, 상기 변조신호를 발생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 신호의 상을 회전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7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 각각의 값은 특정 상회전 값에 대응되는, 장치.
  77. 제 7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의 값에 대응되는 상회전 값은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 에 저장되고,
    상기 상회전을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는, 장치.
  78.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신호의 상을 회전하는 수단은 이산 증분 (discrete increment) 으로 수행되는, 장치.
  79.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소자는 상기 신호 경로에 직접적으로 위치하는, 장치.
  80.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소자는 상기 신호 경로에 작용하도록 연결되는, 장치.
  81. 이득 제어 신호 및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변조신호의 신호 경로와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에 의해 야기된 상기 변조 신호의 상 변이 (phase shift) 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신호 경로와 관련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에 의해 야기된 상기 상 변이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변조신호에 관하여 상 조정을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상 조정은 (a) 데이터 신호, (b) 상기 데이터 신호를 스펙트럼 확산시키는 확산 시퀀스, 및 (c) 상기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는 캐리어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상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상 조정을 수행하는 수단은,
    상기 변조 신호의 상 변이의 방향 및 양을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상 변이의 양은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와 관련되는, 결정 수단; 및
    상기 결정된 상 변이의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상기 상 변이의 상기 결정된 양에 대응되는 양만큼 상기 변조 신호의 상을 변이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82. 제 8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는,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의해 정의된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조정하는 데에 이용되는, 장치.
  83.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 및 한 쌍의 PN 시퀀스를 수신하는 수단;
    확산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한 쌍의 PN 시퀀스로 확산시키는 수단;
    변조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확산 데이터를 변조하는 수단;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조정하는 데에 이용되는 이득 제어 신호 및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변조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로 조절 (conditioning) 하는 수단; 및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의 하나 이상의 특성의 조정에 의해 야기된 상기 출력 신호의 상회전을 보상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상 회전을 보상하는 수단은,
    (a) PN 시퀀스, (b) 확산 데이터, 및 (c) 상기 확산 데이터를 변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상을 회전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 회전을 보상하는 수단은,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와 관련되는, 상기 변조 신호의 상회전의 방향 및 양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결정된 상회전의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상기 상회전의 상기 결정된 양에 대응되는 양만큼 상기 변조 신호의 상을 회전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KR1020027003605A 1999-09-17 2000-09-14 변조신호의 상회전 방법 및 장치 KR100808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742999A 1999-09-17 1999-09-17
US09/397,429 1999-09-17
PCT/US2000/025472 WO2001020866A1 (en) 1999-09-17 2000-09-14 Method and apparatus for rotating a phase of a modulated signal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729A Division KR100869456B1 (ko) 1999-09-17 2000-09-14 변조신호의 상회전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918A KR20030026918A (ko) 2003-04-03
KR100808426B1 true KR100808426B1 (ko) 2008-03-03

Family

ID=235711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605A KR100808426B1 (ko) 1999-09-17 2000-09-14 변조신호의 상회전 방법 및 장치
KR1020077026729A KR100869456B1 (ko) 1999-09-17 2000-09-14 변조신호의 상회전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729A KR100869456B1 (ko) 1999-09-17 2000-09-14 변조신호의 상회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7106782B2 (ko)
EP (1) EP1212878B1 (ko)
JP (1) JP4680458B2 (ko)
KR (2) KR100808426B1 (ko)
CN (2) CN101202731B (ko)
AT (1) ATE388563T1 (ko)
AU (1) AU776175B2 (ko)
BR (1) BR0014022A (ko)
CA (1) CA2386647A1 (ko)
DE (1) DE60038241T2 (ko)
HK (1) HK1049936B (ko)
IL (2) IL148367A0 (ko)
MX (1) MXPA02002806A (ko)
NO (1) NO20021311L (ko)
RU (1) RU2275749C2 (ko)
TW (1) TW498664B (ko)
UA (1) UA67861C2 (ko)
WO (1) WO20010208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5849B1 (en) * 2003-03-28 2009-06-09 Google Inc. Signal spectrum spreading and combining system and method
US8385470B2 (en) 2000-12-05 2013-02-26 Google Inc. Coding a signal with a shuffled-Hadamard function
US8374218B2 (en) 2000-12-05 2013-02-12 Google Inc. Combining signals with a shuffled-hadamard function
DE10101911B4 (de) * 2001-01-16 2004-03-18 Interessengemeinschaft für Rundfunkschutzrechte GmbH Schutzrechtsverwertung & Co. KG. Signalverarbeitung eines amplituden- und/oder phasenmodulierten Hochfrequenzsignals
US7272187B2 (en) * 2002-11-01 2007-09-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ilter circuit and radio apparatus
JP4387220B2 (ja) * 2004-02-24 2009-1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表示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60205379A1 (en) * 2005-03-08 2006-09-14 Intel Corporation Signal reception enhancement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JP4740065B2 (ja) * 2006-08-22 2011-08-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移動局及びパイロットチャネル生成方法
US7889751B2 (en) * 2007-03-06 2011-02-15 Sudhir Aggarwal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420275B2 (ja) 2009-03-03 2014-02-19 株式会社Nttドコモ 符号多重伝送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US8055212B2 (en) * 2009-05-26 2011-11-08 ST-Erisson SA Transmitter phase shift determination and compensation
US20110141930A1 (en) * 2009-12-11 2011-06-16 Qualcomm Incorporated Baseband compensation for phase discontinuities in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devices
US10659112B1 (en) 2018-11-05 2020-05-19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assis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US10812216B2 (en) 2018-11-05 2020-10-20 XCOM Labs, Inc.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scheduling
US10432272B1 (en) 2018-11-05 2019-10-01 XCOM Labs, Inc. Variabl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user equipment
US10756860B2 (en) 2018-11-05 2020-08-25 XCOM Labs, Inc.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RU2710961C1 (ru) * 2018-11-15 2020-01-1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оенный инновационный технополис "ЭР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детальных радиолокационных изображений в рлс с синтезированной апертурой антенны
CN113169764A (zh) 2018-11-27 2021-07-23 艾斯康实验室公司 非相干协作式多输入多输出通信
US11063645B2 (en) 2018-12-18 2021-07-13 XCOM Labs, Inc. Methods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group of devices
US10756795B2 (en) 2018-12-18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with cellular link and peer-to-peer link
US11330649B2 (en) 2019-01-25 2022-05-10 XCOM Labs, Inc. Methods and systems of multi-link peer-to-peer communications
US10756767B1 (en) 2019-02-05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cellular signal with another user equipment
US10686502B1 (en) 2019-04-29 2020-06-16 XCOM Labs, Inc. Downlink user equipment selection
US10735057B1 (en) 2019-04-29 2020-08-04 XCOM Labs, Inc. Uplink user equipment selection
US11411778B2 (en) 2019-07-12 2022-08-09 XCOM Labs, Inc. Time-division duplex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alibration
US11411779B2 (en) 2020-03-31 2022-08-09 XCOM Labs, Inc. Reference signal channel estim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8431B1 (de) * 1981-02-17 1988-05-11 Deere & Company Futtererntemaschine
EP0738050A2 (en) 1995-04-14 1996-10-16 Kabushiki Kaisha Toshib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0814A (ja) * 1982-10-13 1984-04-21 ソ−ラ−・タ−ビンズ・インコ−ポレ−テツド ガスタ−ビンエンジン
US4901307A (en) 1986-10-17 1990-02-13 Qualcomm, Inc.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tellite or terrestrial repeaters
US5103459B1 (en) 1990-06-25 1999-07-06 Qualcomm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ignal waveforms in a c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JPH04291829A (ja) * 1991-03-20 1992-10-15 Fujitsu Ltd 歪み補償回路
US5287555A (en) * 1991-07-22 1994-02-15 Motorola, Inc. Power control circuitry for a TDMA radio frequency transmitter
GB2265270B (en) * 1992-03-02 1996-06-12 Motorola Ltd Rf power amplifier with linearization
US5561395A (en) * 1995-01-27 1996-10-0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adjusting a multistage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GB2300545B (en) * 1995-05-03 1999-10-27 Motorola Ltd A method for processing signals
US5799034A (en) * 1995-12-06 1998-08-25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Frequency acquisition method for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systems
JPH1022756A (ja) * 1996-07-04 1998-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送信機およびその送信制御方法
US5770971A (en) * 1996-07-26 1998-06-23 Northern Telecom Limited Distortion compensation control for a power amplifier
JP3311951B2 (ja) * 1996-12-20 2002-08-05 富士通株式会社 符号多重送信装置
US5933767A (en) * 1997-09-15 1999-08-03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uning the gain of a transmitter utilizing cartesian feedback
JPH11215198A (ja) * 1998-01-27 1999-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リディストーション歪補償機能付送信装置及び送信装置におけるプリディストーション歪補償方法
JP3570898B2 (ja) * 1998-08-24 2004-09-29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レディストーション回路
US6535562B1 (en) * 1999-11-30 2003-03-18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tating the phase of a complex sig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8431B1 (de) * 1981-02-17 1988-05-11 Deere & Company Futtererntemaschine
EP0738050A2 (en) 1995-04-14 1996-10-16 Kabushiki Kaisha Toshib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66035C (zh) 2008-01-30
HK1049936B (zh) 2008-06-27
DE60038241T2 (de) 2009-04-23
ATE388563T1 (de) 2008-03-15
DE60038241D1 (de) 2008-04-17
BR0014022A (pt) 2002-07-02
US20030123526A1 (en) 2003-07-03
EP1212878A1 (en) 2002-06-12
NO20021311D0 (no) 2002-03-15
RU2275749C2 (ru) 2006-04-27
CN1390414A (zh) 2003-01-08
MXPA02002806A (es) 2002-10-23
US7106782B2 (en) 2006-09-12
WO2001020866A1 (en) 2001-03-22
CA2386647A1 (en) 2001-03-22
KR100869456B1 (ko) 2008-11-19
NO20021311L (no) 2002-05-15
AU776175B2 (en) 2004-09-02
CN101202731A (zh) 2008-06-18
JP2003509967A (ja) 2003-03-11
KR20030026918A (ko) 2003-04-03
HK1049936A1 (en) 2003-05-30
IL148367A0 (en) 2002-09-12
IL148367A (en) 2007-06-17
AU7495200A (en) 2001-04-17
CN101202731B (zh) 2011-07-27
KR20070119093A (ko) 2007-12-18
TW498664B (en) 2002-08-11
EP1212878B1 (en) 2008-03-05
JP4680458B2 (ja) 2011-05-11
UA67861C2 (uk) 200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426B1 (ko) 변조신호의 상회전 방법 및 장치
US7469017B2 (en) Multimodulation transmitter
JP3570898B2 (ja) プレディストーション回路
EP1304826B1 (en) Waveform generation for interplex modulation
US7751496B2 (en) Electromagnetic wave transmitter, receiver and transceiver system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JP2000286915A (ja) 信号変調回路及び信号変調方法
KR20100050564A (ko) 무선 통신용 멀티-모드 및 멀티-대역 송신기
US7474708B1 (en) Multimode transmitter architecture
AU753700B2 (en) Amplitude limitation in a CDMA system
US9450798B2 (en) Transmitter circuit,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for amplifying a complex quadrature signal
WO20030817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iminating signal zero crossings in single and multiple channel communication systems
JP3527716B2 (ja) 高効率プリディストーション12/4qam変調器
JP4359864B2 (ja) 直交周波数分割多重装置および直交周波数分割多重方法
EP10757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modulation
US8224265B1 (en) Method for optimizing AM/AM and AM/PM predistortion in a mobile terminal
JP4748241B2 (ja) 直交周波数多重分割装置および直交周波数多重分割方法
JP4831195B2 (ja) 直交周波数多重分割装置および直交周波数多重分割方法
JP3898370B2 (ja) 送信装置
WO2004036737A2 (en) Transmi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