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364B1 -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364B1
KR100808364B1 KR1020060076543A KR20060076543A KR100808364B1 KR 100808364 B1 KR100808364 B1 KR 100808364B1 KR 1020060076543 A KR1020060076543 A KR 1020060076543A KR 20060076543 A KR20060076543 A KR 20060076543A KR 100808364 B1 KR100808364 B1 KR 100808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main body
identity module
subscriber identity
connection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5174A (ko
Inventor
박준동
남덕영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60076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364B1/ko
Publication of KR20080015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1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G06K19/07777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 G06K19/07779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the inductive antenna being a c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가 장착되는 카드 수납부와;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의 단자들과 대응하는 카드 수납부의 위치에 설치된 카드 접속 단자들과; 상기 카드 접속 단자들 중에서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의 RF 루프 안테나 단자들에 대응하는 카드 접속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본체의 외주 연에 내장 설치된 RF 루프 안테나와; 상기 카드 수납부에 장착된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통행료, SIM(Subscribe Identity Module) 카드, OBU(On Board Unit), 터치패스, 하이패스

Description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Container for mounting subscribe identity module car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를 이용한 도로 통행료 징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OBU(On Board Unit)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무선송수신장치가 설치된 톨게이트를 통과할 때의 통신 가능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를 이용한 도로 통행료 징수 시스템의 요부 상세 블록구성도,
도 4는 통상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의 결합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A-A선 단면에서 카드 고정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의 결합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카드 고정부재와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를 분리한 상태의 컨테이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로관리시스템 20 : 톨게이트 하이패스 관리시스템
20A : 톨게이트 터치패스 관리시스템 22,22A : 요금징수장치
24 : 무선송수신장치 24A : RF 카드 리더
30 : OBU(On Board Unit) 32 : 제어부
34 : 저장부 36 : 무선통신모듈
38 : 카드 인터페이스 40 : SIM카드 컨테이너
42 : 본체 42A : 수납부
42D : 카드 접속단자 42F : RF 안테나
42H : 탄성 스프링 42I : OBU 접속단자
44 : 카드 고정부재 60 :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이동통신단말기 등에 장착되는 가입자 식별 모 듈(Subscribe Identity Module; 이하 "SIM"이라 함) 카드를 장착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SIM 카드를 하이패스 관리시스템과 터치패스 관리시스템에서 모두 사용가능하도록 SIM 카드를 장착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속도로 등과 같은 유료도로의 통행료 징수방법은 도로 진입 톨게이트에서 선불카드 또는 통행권을 발급받은 후에 진출 톨게이트에서 요금징수원이 수동으로 통행료를 징수하거나, 어떤 구간에서는 도로 진입 톨게이트에서 요금징수원이 수동으로 통행료를 징수하고 있다. 이는 요금징수를 위하여 톨게이트에 정차하는 차량들로 인한 차량정체가 가중되며, 요금징수원의 배치에 따른 인건비 증가와 선불카드 또는 통행권 발급에 따른 비용지출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통행료 징수에 따른 불편과 교통지체현상의 최소화를 지향하고, 요금징수 전산화를 위한 목적으로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도입하여, 현재 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에서 톨게이트에 통행료 자동징수를 위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을 설치하고 이 무선 송수신 시스템과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통행료를 자동으로 정산하기 위한 OBU를 차량에 탑재하여 차량의 고속주행중에도 자동으로 통행료를 징수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패스(HIGH PASS) 시스템이 구현되고 있다.
또한, 톨게이트에 통행료 자동 징수를 위한 RF 카드 리더를 설치하고 이 RF 카드 리더에 선불식 RF카드를 터치함으로써 자동으로 통행료를 징수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패스(TOUCH PASS) 시스템이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패스 또는 터치패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OBU용 선불카드 또는 터치패스용 선불카드를 고객센터 또는 가맹점 등의 충전소를 방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뿐만 아니라 많은 충전소를 설립하기 위한 경제적 손실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컴퓨터에 연결된 카드리더기에 OBU용 선불카드 또는 터치패스용 선불카드를 삽입하고 온라인으로 도로관리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전자상거래에 의하여 충전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방법은 카드리더기의 비용을 가입자 또는 사업자가 부담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된 SIM 카드를 이용하여 하이패스 또는 터치패스를 이용할 수 있으면서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금액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SIM 카드(60)가 장착된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50)는 RF 안테나(56A)가 배터리 팩(56)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RF 안테나 특성은 기존 이동통신단말기(50)의 SIM 카드(60)의 용도에 맞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OBU 위에 탑재하여 하이패스 결제를 수행하거나 RF 카드 리더를 터치하여 터치패스를 수행할 경우에 결제 처리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이패스 관리시스템이 설치된 톨게이트를 통과할 때에는 차량용 통행료 정산 단말기(On Board Unit; 이하 OBU라 함)에 탑재하고 통행료를 하이패스 결제하도록 하고, 터치패스 관리시스템이 설치된 톨게이트를 통과할 때에는 터치패스 관리시스템의 RF 카드 리더에 터치하여 통행료를 터치패스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의 충전시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하여 충전하고 통행료결제시에 컨테이너에 장착가능하게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가 장착되는 카드 수납부와;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의 단자들과 대응하는 카드 수납부의 위치에 설치된 카드 접속 단자들과; 상기 카드 접속 단자들 중에서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의 RF 루프 안테나 단자들에 대응하는 카드 접속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본체의 외주 연에 내장 설치된 RF 루프 안테나와; 상기 카드 수납부에 장착된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를 이용한 도로 통행료 징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통행료 징수 시스템은, 도로 관리시스템(10), 톨게이트 하이패스 관리시스템(20), 톨게이트 터치패스 관리시스템(20A), 차량용 통행료 정산단말기(이하 "OBU"라 함)(30) 및 SIM 카드 컨테이너(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로관리시스템(10)은 하이패스 가입자의 정보(가입자 성명, 주소 및 가입자 식별 코드 등)와, 도로 통행료결제용 지능형 IC칩이 탑재된 하이패스 카드 및 터치패스 카드의 정보(카드 식별코드, 충전금액 등) 및 OBU 정보(OBU 식별 코드 등) 등을 저장관리한다.
상기 톨게이트 하이패스 관리시스템(20)은 각 톨게이트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차량에 탑재된 OBU(30)와 무선방식에 의하여 통신을 수행하여 OBU(30)로부터 수신된 OBU정보 및 하이패스 카드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처리를 수행하고 통행료를 징수하기 위한 절차 및 통행료의 징수에 따른 영수증 발생절차를 수행하며, 그러한 절차에서 취득 및 생성된 정보들을 저장하고 상기 도로관리시스템(10)으로 전송한다. 상기 톨게이트 하이패스 관리시스템(30)은 전체적인 절차를 수행하는 요금징수장치(22)와 무선 송수신장치(24)로 구성된다.
상기 톨게이트 터치패스 관리시스템(20A)은 각 톨게이트에 설치되는 것으로,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터치패스 카드를 터치함에 따라 그 터치패스 카드로부터 통행료를 징수하고, 그 징수정보를 상기 도로관리시스템(10)으로 전송한다. 상기 톨게이트 터치패스 관리시스템(20A)은 전체적인 절차를 수행하는 요금 징수장치(22A)와 RF 카드리더(24A)로 구성된다.
상기 OBU(30)는 차량에 탑재되는 것으로, 기존의 OBU와 근본적인 차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SIM 카드 컨테이너(40)와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OBU(30)는 하이패스 관리시스템(30)의 무선 송수신장치(24)와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36)과, 동작 프로그램과 동작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34)와, SIM카드 컨테이너(40)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카드 인터페이스(38) 및, 전체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38)는 접촉식에 의하여 SIM 카드 컨테이너(40)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일 수도 있고, 다른 방식으로는 RF 루프 안테나를 통하여 SIM 카드 컨테이너(40)의 RF 루프 안테나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이어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SIM 카드 컨테이너(40)도 접촉방식 또는 RF 루프 안테나 방식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OBU와 RF 루프 안테나를 통하여 인터페이스하도록 하고 또한 터치패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도 RF 루프 안테나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이다.
동 도면을 참조하면, SIM 카드 컨테이너(40)의 본체(42) 중앙부분에는 SIM 카드(6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수납부(42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수납부(42A)의 소정 부분에는 SIM 카드(60)의 수납시에 SIM 카드(60)의 단자 들(60A)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카드접속단자들(42D)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드접속단자들(42D)중 상기 SIM카드(60)의 안테나 단자와 대응하는 단자에는 RF 루프 안테나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RF 루프 안테나는 수납부(42A)의 외곽 측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42A)의 양측의 측벽 상부에는 카드 고정부재(44)의 제1고정단(44D) 및 제2고정단(44A)이 삽입되는 제1고정홈(42C) 및 제2고정홈(4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고정홈(42C) 및 제2고정홈(42B)이 형성된 수납부(42A)의 측벽과 수직한 일 측벽에는 상기 SIM 카드(60)의 꺼냄을 돕기 위한 오목부(42E)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42) 및 고정부재(44)는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드 고정부재(44)는 그 양단에 각각 제1고정단(44D)과 제2고정단(44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복수의 홈(44C)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44C)은 카드 고정부재(44)를 본체(42)에서 착탈할 때 카드 고정부재(44)를 길이방향으로 밀 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에는 도 5에 도시한 SIM 카드 컨테이너의 본체(42)에 SIM 카드(60)를 장착하고 카드 고정부재(44)로 SIM 카드(60)를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A-A선 단면인 도 7a를 보면, 제2고정홈(42B)의 안쪽에 홀(42G)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홀(42G) 안에는 탄성 부재로서 스프링(42H)이 내장되어 있다. 이 스프링(42H)은 카드 고정부재(44)가 SIM 카드 컨테이너의 본체(42)에 장착되어 있을 때 카드 고정부재(44)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카드 고정부재(4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7b를 보면,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카드 고정부재(44)를 길이방향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스프링(42H)이 수축되면서 제2고정홈(42B)의 안쪽에 끼여 있던 카드 고정부재(44)의 제1고정단(44D)의 고정이 해제되어, 카드 고정부재(44)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IM 카드 컨테이너에 이동통신단말기의 SIM 카드를 분리하여 장착한다. 그리고 하이패스 톨게이트를 통과할 때에는 OBU(30)와 RF 루프 안테나에 의하여 인터페이스하도록 OBU(30)에 SIM 카드 컨테이너를 탑재함으로써, 통행료를 하이패스 결제하도록 하며, 터치패스 톨게이트를 통과할 때에는 RF 루프 안테나에 의하여 RF 카드 리더(24A)와 인터페이스하도록 SIM 카드 컨테이너를 터치함으로써 통행료를 터치패스 결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카드 고정부재와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를 분리한 상태의 컨테이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OBU와 OBU 접속단자를 통하여 인터페이스하도록 하고 또한 터치패스를 위해서는 RF 루프 안테나에 의하여 인터페이스하도록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도 5의 실시예와는 SIM 카드 컨테이너(40')의 일측 단부에 OBU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OBU 접속단자들(42I)이 설치되어 있고, SIM 카드 수납부에 설치된 카드 접속단자들(42D) 중에서 RF 루프 안테나와 접속되지 않는 단자들이 각각 상기 OBU 접속단자들(42I)에 도전라인들(42J)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고, 그 이외에는 동일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IM 카드 컨테이너에 이동통신단말기의 SIM 카드를 분리하여 장착한다. 그리고 하이패스 톨게이트를 통과할 때에는 OBU(30)에 OBU 접속단자를 통하여 인터페이스하도록 OBU(30)에 SIM 카드 컨테이너를 장착함으로써, 통행료를 하이패스 결제하도록 하며, 터치패스 톨게이트를 통과할 때에는 RF 루프 안테나에 의하여 RF 카드 리더(24A)와 인터페이스하도록 SIM 카드 컨테이너를 터치함으로써 통행료를 터치패스 결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SIM 카드 컨테이너에 장착되는 SIM 카드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하고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금액 충전을 하면 된다.
상기한 특정 실시예들에서는 SIM 카드 컨테이너 본체의 상부 면에 오목한 카드 수납부를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SIM 카드 컨테이너 본체의 일면에 SIM 카드가 수납될 수 있는 큰 홈을 형성하는 구조이어도 되는 것이다. 또한, SIM 카드 컨테이너의 OBU 접속단자의 구성도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이패스 관리시스템이 설치된 톨게이트를 통과할 때에는 OBU에 탑재하고 통행료를 하이패스 결제하도록 하고, 터치패스 관리시스템이 설치된 톨게이트를 통과할 때에는 터치패스 관리시스템의 RF 카드 리더에 터치하여 통행료를 터치패스 결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SIM카드의 충전시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하여 충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가 장착되는 카드 수납부와;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의 단자들과 대응하는 카드 수납부의 위치에 설치된 카드 접속 단자들과;
    상기 카드 접속 단자들 중에서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의 RF 루프 안테나 단자들에 대응하는 카드 접속 단자들에 전기적
    으로 접속되며 상기 본체의 외주 연에 내장 설치된 RF 루프 안테나와;
    상기 카드 수납부에 장착된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카드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카드 수납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드 수납부의 측벽 상부에는 상기 카드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의 안쪽에 탄성 부재가 내장되어, 이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카드 고정부재가 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카드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카드 고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루프 안테나는 차량용 통행료 정산 단말기와의 인터페이스와, 터치패스용 RF 카드 리더와의 RF 인터페이스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차량용 통행료 정산 단말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접속단자 들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접속단자들은 상기 카드 접속 단자들 중에서 RF 루프 안테나 접속단자들을 제외한 상기 카드 접속 단자들과 일대 일로 도전라인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RF 루프 안테나는 터치패스용 RF 카드 리더와의 RF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카드 수납부의 측벽과 수직한 일 측벽에는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의 꺼냄을 돕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고정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에서 착탈하기 위하여 상기 카드 고정부재를 길이방향으로 밀 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7.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가 장착되는 카드 수납부와;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의 단자들과 대응하는 카드 수납부의 위치에 설치된 카드 접속 단자들과;
    상기 카드 접속 단자들 중에서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의 RF 루프 안테나 단자들에 대응하는 카드 접속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 내장 설치된 RF 루프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카드 접속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외부장치와의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위한 접속단자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위한 접속단자들은 차량용 통행용 정산 단말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들은 상기 카드 접속 단자들 중에서 RF 루프 안테나 접속단자들을 제외한 상기 카드 접속 단자들과 일대 일로 도전라인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RF 루프 안테나는 터치패스용 RF 카드 리더와의 RF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10.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가 장착되는 카드 수납부와;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의 단자들과 대응하는 카드 수납부의 위치에 설치된 카드 접속 단자들과;
    상기 카드 접속 단자들 중에서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의 RF 루프 안테나 단자들에 대응하는 카드 접속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본체의 외주 연에 내장 설치된 RF 루프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RF 루프 안테나는 차량용 통행료 정산 단말기와의 인터페이스와, 터치 패스용 RF 카드 리더와의 RF 인터페이스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11.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가 장착되는 카드 수납부와;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의 단자들과 대응하는 카드 수납부의 위치에 설치된 카드 접속 단자들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카드 접속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차량용 통행용 정산 단말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접속단자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12. 제7항 또는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수납부에 장착된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카드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KR1020060076543A 2006-08-14 2006-08-14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KR100808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543A KR100808364B1 (ko) 2006-08-14 2006-08-14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543A KR100808364B1 (ko) 2006-08-14 2006-08-14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174A KR20080015174A (ko) 2008-02-19
KR100808364B1 true KR100808364B1 (ko) 2008-02-27

Family

ID=39383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543A KR100808364B1 (ko) 2006-08-14 2006-08-14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5925A (zh) * 2018-11-12 2019-04-26 深圳成有科技有限公司 一种在v2x网络中的路径标识与分段收费方法及车载单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820B1 (ko) * 2009-07-10 2010-05-06 동선산업전자주식회사 가입자식별모듈 또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을 이용한 도로 통행료 징수 단말기가 내장된 차량 디지털 시계 및 이를 이용한 결제방법.
CN109448146A (zh) * 2018-10-25 2019-03-08 深圳成有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车载单元obu终端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791A (ko) * 2000-02-08 2001-08-20 남용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 장치
KR20050046093A (ko) * 2003-11-13 2005-05-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입자 모듈 보관 장치
KR20050049765A (ko) * 2003-11-24 2005-05-27 주식회사 스마비스 칩카드형 콤비카드, 이를 위한 콤비카드 콘넥터, 및이들을 이용한 rf 전자결제 장치
KR20060029696A (ko) * 2003-09-26 2006-04-06 레노보(베이징)리미티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무선통신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791A (ko) * 2000-02-08 2001-08-20 남용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 장치
KR20060029696A (ko) * 2003-09-26 2006-04-06 레노보(베이징)리미티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무선통신모듈
KR20050046093A (ko) * 2003-11-13 2005-05-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입자 모듈 보관 장치
KR20050049765A (ko) * 2003-11-24 2005-05-27 주식회사 스마비스 칩카드형 콤비카드, 이를 위한 콤비카드 콘넥터, 및이들을 이용한 rf 전자결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5925A (zh) * 2018-11-12 2019-04-26 深圳成有科技有限公司 一种在v2x网络中的路径标识与分段收费方法及车载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174A (ko) 2008-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8642B2 (ja) 利用料金を清算するための引落し装置
US20100253482A1 (en) Automatic payment system for the urban parking phases of vehicles using radio frequency (rfid)
KR100808364B1 (ko)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CN107797815A (zh) 车载设备的升级方法、车载设备和升级设备
KR100920746B1 (ko) 하이패스 카드를 이용한 주차요금 징수시스템
KR101201643B1 (ko) 위성항법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도로통행료 징수 방법/시스템과, 이 방법에 적용 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 및 차량용 통행료 정산단말기
KR100887984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요금정산장치
KR100856831B1 (ko) 심 카드 및 안테나 모듈 교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액세서리
KR100837058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카드의 금액 충전시스템 및 방법
KR100839264B1 (ko) 개방형 톨게이트의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KR100661370B1 (ko)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JP4593432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用車載器
CN209281413U (zh) 高频射频卡及识别码识读设备
KR100969926B1 (ko) 전자 카드를 내장한 통행료 정산 단말기
KR100728053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요금정산장치
KR101038326B1 (ko) 통행료 결제카드 및 이를 위한 차량단말기
KR101020770B1 (ko) 할인대상자를 위한 통행요금결제 단말기, 방법 및 지문정보저장 방법
KR20090106672A (ko) 외부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obu 시스템
KR100915674B1 (ko) 전자식 통행료 징수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8235328A (ja) チツプカード読取り装置
KR100794838B1 (ko) 다기능 접속장치를 이용한 차량탑재기
KR200406187Y1 (ko) 스마트 카드 시스템
KR101213312B1 (ko) 차량용 도로 통행료 정산단말기
KR101003215B1 (ko) 근거리 단방향 통신을 이용한 사용자 선택적 톨 콜렉팅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KR100470284B1 (ko) 결제제어 가능한 스마트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12